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새롭게 변모하는 국가안보사범에 대한 법적· 제도적 연구

        한희원(Han, Hee Won) 한국법학회 2017 법학연구 Vol.67 No.-

        냉전시대의 고정된 영토를 가진 전통적 안보위협이었던 적대국가와 달리 전 세계를 넘나드는 안보위협을 초국가적안보위협세력이라고 한다. 죽음을 불사하는 테러리즘을 대표적인 모습으로 하는 이들 초국가적안보위협세력은 냉전시대와는 차원이 다르게 전개되고 따라서 국가안보사범의 양태도 크게 달라졌다. 물론 우리의 경우에는 북한과의 전쟁에 대한 예지력 발휘는 정보기구의 중요한 임무이다. 동시에 형사법적 범죄를 구성하는 초국가적 세력을 상대로 하는 범죄와의 전투도 수행해야 한다. 정보와 수사가 결합한 대공수사권이 대표적이다. 그에 더하여 글로벌 안보동향은 국가정보, 범죄수사력(치안력)그리고 국방안보의 중심인 군사력의 운용과 전개에도 주권국가의 변화된 인식을 요청한다. 이에 본고는 직접적인 테러공격을 당한 미국의 경험을 바탕으로 정보와 수사의 올바른 방향성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주권국가의 자주적 독립을 위한 정보공동체 개혁에 대한 법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고자 한다. The end of the Cold War has changed the nature of the threats to sovereign states’s security. No longer are national security risks exclusively or predominantly military in nature. Nowadays, not only traditional national security crimes but also so called supra-national security threats like terrorism, international organized crime, cyber security and weapons of mass destruction(WMD) proliferation pose realistic and direct threats to the national security. Newly arising law enforcement issues concerning to the national security problems has changed not only the policy discourse, but it also has changed the exercise of public power. Most of them are increasingly defining their security interests more in terms of crimefighting than in terms of warfighting, and more in terms of deterring law evasions than in terms of deterring military invasions. From these point of views, this Article examines four categories of national security crimes treason, espionage, sabotage, terrorism and the applicable statutes available to combat these threats and examines how the coercive apparatus of the state has been reconfigured and redeployed. Generally investigating against national security crimes are called counter-communism investigation in Korea what gives the state a vital edge in securing freedom and security which are facing some of the most difficult problems we face in the midst of so called supra-national security threats era. Specifically, this thesis traces the growing fusion between law enforcement and national security missions, institutions, strategies, and technologies. This thesis explores the consequences of these changes and argue that these changes reflect both a militarization of policing and a domestication of soldiering. And finally this thesis emphasizes that one of the most important blurring of traditionalboundaries occurring in the post Cold War era is that between an internally oriented domestic police sphere and an externally oriented military sphere. For protecting national security from the attack of national security crimes offender including communism power, it requires a mixed power of foreign and domestic intelligence and a wide corporation with foreign intelligence services and intelligence, investigation mixed from intelligence gathering to investigating crimes. Despite of all hot debates about the various legality and human rights issues derived from counter-communism investigation, this article emphases and makes suggestion to rebuild the whole National Intelligence machinery of the Republic of Korea. This Article aims to providing an extensive typology of all the offenses that fall under the rubric of national security crime.

      • KCI등재

        국가안보 예외의 사각(死角)지대 - ‘정보제공 거부’ 조항의 의미와 문제점-

        이재민(Lee Jaemin) 대한국제법학회 2020 國際法學會論叢 Vol.65 No.1

        국가안보 예외조항은 최근 새로운 관심의 대상이 되었고 점차 활발하게 원용되고 있다. 국가안보라는 애매모호한 개념을 통해 조약상 의무로부터 일탈할 수 있다는 점에서 체약 당사국간 갈등을 초래하고 있다. 이 과정을 통해 국가안보 예외조항에 대한 법리 발전도 감지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국가안보 예외조항의 사각지대에 위치한 규정이 바로 ‘정보제공 거부’ 조항이다. 이 조항은 문언상으로는 핵심 안보 이익에 저해된다고 원용국이 판단하면 어떠한 정보의 제공도 거부할 수 있다. 또한 그러한 거부는 모든 절차와 상대방을 대상으로 한다. 국가안보 예외조항에 포함된 다른 규정들과 비교하여도 객관적 기준이 소략하고 원용국에 관대하다. 모든 자료, 문서, 기록에 대하여 어떠한 절차에서도 원용 가능하다는 측면에서 이 조항은 국가안보 예외조항의 다른 하위 조항을 사실상 형해화할 수 있다. 나아가 해당 조약의 제반 규정을 무력화시킬 수도 있다. 또한 이 문제를 다루는 분쟁해결절차의 진행을 곤란하게 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현재의 정보제공 거부 조항의 논의과정을 살펴보면 이러한 측면을 충분히 평가하지 못한 상황에서 도입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이 조항은 앞으로 다양한 국가안보 예외 관련 분쟁을 다루는 데에 중요한 장애물로 등장할 가능성이 높고, 이미 그러한 움직임의 단초가 보이고 있다. 이 조항에 대한 재검토와 정비 작업이 필요하다. National security exceptions clauses in treaties are receiving heightened attention recently as states increasingly refer to these provisions to deviate from otherwise existing treaty obligations. As disputes increase, jurisprudence on the national security exceptions is also being developed and accumulated. States look to national security exceptions with keen interest and new perception. Such a phenomenon is being observed in a variety of treaties. In the meantime, there is a particular provision contained in a national security exceptions clause which has been mostly sidelined and sometimes neglected in these discussions. This provision is what is called a ‘refusal to furnish information’ clause, contained in national security exceptions. It uses extensive languages without much qualifications or conditions. The level of discretion and leeway accorded to an invoking state is arguably much higher than other provisions in the same national security exceptions. As such, this provision can permit a state to refuse to provide any information to any entity in any proceeding. This means this provision could effectively nullify other obligations in the already controversial national security exceptions as well as in other ordinary provisions of a treaty. Notably, its invocation could even derail dispute settlement proceedings at international courts. Examination of the drafting history of this provision indicates that careful thoughts have not necessarily given to its introduction and wording. Nor has there been sufficient discussions so far to clarify and tame this provision. Robust attention to national security exceptions these days is now signaling that the “refusal to furnish information” provision will be invoked more actively, considering its usefulness to block any discussion relating to a treaty. Existing and future treaties need to revisit this provision to ensure it does not become a source of conflict or a carte blanche for a treaty violation.

      • KCI등재후보

        최근 미국의 국가안보 관련 법제의 연구와 그 시사점

        박웅신(Park, Woong-Shin) 한국법이론실무학회 2022 법률실무연구 Vol.10 No.3

        국가안보란 국가안전보장의 약어이다. 다양한 위협으로부터 국가의 안전을 지키는 것을 국가안보로 볼 수 있는데 이는 필연적으로 위협의 대상이 너무 넓다는 문제가 발생하고, 이는 국가안보의 다의적 해석을 초래한다. 따라서 국가안보의 개념 자체가 너무나 넓은 개념이기 때문에 이를 학문적으로 접근하는 것이 쉽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하지만, 안전이 전제되지 않으면 행복과 번영은 도달할 수 없는 이상향이며, 국가의 안전이 확보되지 않는 것은 그 국가라는 공동체 구성원의 안전 더 나아가 행복과 번영을 충족시키지 못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라 본다. 따라서 여러 가지 이유 특히 법외적인 문제로 국가안보에 대해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은 현실은 충분히 개선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이는 국가안보에 대한 과학수사라는 개별영역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남북분단이라는 현실과 우리나라를 둘러싼 국제정치적 입장을 고려한다면 국가안보란 단지 교과서에서만 존재하는 레토릭이 아닌 우리의 일상을 보장해주는 존재이다. 이러한 국가안보를 위협하는 대상에 대한 투쟁은 법치주의의 한계를 벗어날 수 없으며 그러기 위해서는 국가안보를 대상으로 하는 법제와 기관 그리고 이들에 의한 첨단 과학수사 기법의 정착이 필요한 것이다. 따라서 우리 국가안보 대응역량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다른 국가의 모범 사례를 살펴보고 취사선택하는 지혜가 필요할 것이다. 그리고 우리에게 가장 많은 화두를 던져주는 나라가 미국일 것이다. 이민자들의 나라에서 세계 초강대국에 이르기까지 미국의 역사는 어찌보면 투쟁의 역사라고 볼 수 있다. 양대 세계대전과 소련과의 냉전시대, 베트남전과 이라크침공과 최근의 아프가니스탄전에 이르기까지 미국은 수많은 안보위협과의 투쟁을 통해 지금의 국제정치학적 지위를 차지했다. 미국은 국가안보에 대한 국가정보 수집·분석능력, 법집행능력, 국방력을 포함한 국가안보의 모든 영역에서 상세한 법률과 제도를 가지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에서는 규범학이 소극적으로 접근하고 있는 국가정보의 영역에 대해서도 적극적인 검토의 대상이 되고 있다는 점에서 특히 주목할 필요가 있다. National security is an abbreviation for national security. Protecting the safety of the state from various threats can be seen as national security, which inevitably leads to a problem that the target of the threat is too wide, which leads to a multilateral interpretation of national security. Therefore, the reality is that it is not easy to approach the concept of national security academically because the concept of national security itself is too broad. However, if safety is not premised, happiness and prosperity are unreachable utopia, and it is natural that the security of the country is not secured to meet the safety and further happiness and prosperity of the community member of the country. Therefore, the reality that research on national security has not been conducted for various reasons, especially out of law, needs to be sufficiently improved. And this is the same in the individual area of scientific investigation into national security. Considering the reality of the division of the two Koreas and the international political stance surrounding Korea, national security is not just a textbook, but a guarantee of our daily lives. The struggle against objects that threaten national security cannot escape the limits of the rule of law, and to do so, legislation and institutions targeting national security and advanced scientific investigation techniques by them are needed. Therefore, in order to strengthen our national security response capabilities, we will need the wisdom to look at and choose best practices from other countries. And the country that gives us the most talking points will be the United States. From the country of immigrants to the worlds superpower, the history of the United States can be seen as a history of struggle in a way. From the two world wars to the Cold War with the Soviet Union, to the Vietnam War and the invasion of Iraq to the recent Afghanistan war, the United States has gained its current international political status through the struggle against numerous security threats. The United States has detailed laws and systems in all areas of national security, including national information collection and analysis capabilities, legal enforcement capabilities, and national defense capabilities. In particular, it is worth paying particular attention in that in Korea, normative studies are also subject to active review of the area of national information that is passively approached.

      • KCI등재

        변모하는 안보환경에 따른 국가안보체계 혁신에 대한 법규범적 연구

        한희원(Han, Heewon) 대검찰청 2015 형사법의 신동향 Vol.0 No.49

        국가안보(國家安保)는 국가탄생의 본질적 목적과 직결된다. 탈냉전시대에 새롭게 등장한 초국가적안보위협세력으로 국가안보가 상시적인 준(準) 전투적 상황에 직면한 오늘날, 새로운 법학문의 영역으로 국가안보 형사법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국가안보사범은 비교할 수 없는 위험성에도 불구하고 과거와 달리 고도로 훈련된 많은 병력이나 인원, 최신 무기를 필요로 하지도 않고 족적을 남기지도 않는다. 2015년 11/13 금요일 밤의 피의 테러는 진정으로 인권은 무엇인가를 묻는다. 단적으로 공동체 파괴자들의 추상적인 인권침해의 가능성과 무고한 일반시민의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인권 가운데 하나를 선택하라고 요청한다. 안보법치를 위한 국가안보 대장전 (Magna Carta)으로 ‘국가안보 활동을 위한 기본법’의 제정은 절실하다. 이에 본고는 변모하는 안보환경에서 국가안보와 국토(치안)안보 확보의 중추인 정보(情報)와 수사(搜査)의 융합에 대한 세계적 추세를 살펴본다. Following the spectacular terrorist attacks by the al-Qaeda upon the United States on tuesday, september 11, 2001 and subsequent terrorist incidents around the world, national security issues became a paramount concern for many sovereign states and societies. Including such like terrorism, human trafficking, drug trafficking, and organized crime are the most common transnational or supranational threats being dealt with today that fit the general definition of new type security threats after the end of cold era, and it is these threats that this paper examines closely in an effort to explain exactly what it is and what a governments should do to counter those threats. Sovereign states must construct ‘national security criminal legal system’ as a natural government responsibility following social contract. However the abstract and conceptual provisions of crimes to ensure the security and the existence of a constitutional orders are not enough to attain national security and defend constitutional value and public order. However, measures which may ostensibly serve a national security purpose, such as mass surveillance, and censorship of mass media, could ultimately lead to an Orwellian dystopia. Among questions raised: to what extent for the sake of national security individual rights and freedoms can be restricted, and how the restriction of civil rights for the sake of national security be justified in an absence of war. From all these point of views, this article emphases and makes suggestion to rebuild the whole national intelligence machinery of the Republic of Korea.

      • KCI등재

        국가안보와 특정금융정보법에 관한 헌법적 연구

        김상겸(Kim Sang Kyum),변승현(Byun Sung Hyun) 한국토지공법학회 2016 土地公法硏究 Vol.76 No.-

        국가안보는 국가의 존립과 국민의 안전을 위한 국가의 헌법적 책무이다. 현행 헌법 전문은 국민의 안전을 언급하고 있으며, 여러 조항에서 대통령을 위시한 국군 등 국가기관에게 국가안보를 의무로 부과하고 있다. 또한 헌법 제37조 제2항은 어떤 국민의 자유와 권리라 하여도 국가안보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 법률로써 제한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렇게 헌법은 모든 국민에게 법률이 정하는 바에 따라 국방의 의무를 부과하고 있으며, 국가기관에게 국가안보가 무엇보다도 중요한 책무라는 것을 선언하고 있다. 헌법국가에서 국가안보는 가장 기본적이고 핵심적인 헌법질서이다. 민주주의가 다양성을 존중하고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언론의 자유를 최대한 보장하여도 국가안보를 도외시 할 수 없다. 헌법의 기본원리로서 민주주의는 국가의 존재 속에서 그 존재가치를 갖는다. 즉 민주적 법치국가는 국가의 존립과 국민의 안전이 보장될 때 의미와 가치를 갖는 것이다. 더구나 우리나라는 국가안보를 위협하는 북한과 대치하고 있다. 그래서 우리나라에게 국가안보는 무엇보다도 중요한 헌법가치 중에 하나이다. 오늘날 고도의 정보사회에서 정보안보는 무엇보다도 중요한 국가안보의 한 부분이다. 정보는 국가 전 영역뿐만 아니라 개인에게도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그래서 헌법의 영역에서 정보국가원리는 하나의 기본원리가 되어 가고 있다. 이제 국가영역에서 정보를 배제하면서 작용되는 국가기능은 없다고 보아도 과언이 아니다. 테러, 마약범죄와 같은 국제범죄에서 돈세탁이 발생하게 되기 때문에, 이런 범죄에서 관련 금융거래정보의 추적은 국가안보와 범죄예방의 차원에서 중요한 국가의 책무이다. 우리나라는 이미 범죄와 관련된 금융거래정보를 추적할 수 있도록 법률을 시행하고 있다. 이 법률이 시행되면서 처음에 국가정보원이 제외되면서 테러와 마약 등 국제범죄 내지 국가안보범죄의 예방에 큰 어려움이 있었다. 그러다가 2016년 초 법률이 개정되면서 국가정보원에게도 금융거래정보에 대한 접근권이 주어졌다. 늦었지만 국가정보의 핵심기관에게 권한을 부여한 것은 다행었다. 앞으로 국가안보에 있어서 금융거래정보도 중요한 요소임을 인식하고 입법기관이 이런 잘못을 해서는 안 된다. 입법기관에게도 국가안보는 무엇보다도 중요한 헌법적 책무이다. National Security is a nation s constitutional obligation for the existence of the state and the safety of the people. The preamble of the current constitution mentions the safety of the people, and other articles impose state institutions including the President and the military the obligation for national security. Furthermore, Article 37 (2) states that the freedoms and rights of citizens may be restricted by Act only when necessary for national security. The Constitution imposes the duty of national defense on all nationals in accordance with the law, and proclaims the importance of national security for state institutions. In a legal state, national security is the most fundamental and core constitutional order. Its importance does not diminish in a democracy that respects diversity and maximizes the freedom of press, since national security provides the ground for democracy to exist within a state. A democratic legal state can exist when the existence of a state and the safety of people are ensured. Especially in Korea which is under the threat from North Korea, national security has important constitutional value. In an information society, information security is an essential part of national security. Given that the principle of information state is becoming more incorporated into the Constitution as a basic principle, there is no domain in the state that can function without information gathering. For example, money laundering in cross-border crimes like terrorism and drug trafficking can be prevented and held accountable through information gathering. Tracking down information on financial transaction becomes an important state responsibility in national security and prevention of crime. Korea has legislated a law that enables the state to track down information on financial transaction. The exclusion of the National Intelligence Service (NIS) from access to such information in the initial legislation caused enormous difficulties in preventing international national security crimes such as terrorism and drug trafficking. Thus, it was the right decision that the recent amendment in March 2016 granted the NIS access to information on financial transaction. The legislative branch should recognize the importance of financial transaction information in national security, and not make the same kind of mistake again.

      • KCI등재

        '국가안보전략-2020'에 나타난 러시아 국가안보정책의 주요 변화와 전략적 함의

        김태웅(Tae Woong Kim) 한국동북아학회 2011 한국동북아논총 Vol.16 No.2

        러시아연방은 국가 창설 초기의 정치·경제·사회적 불안정 등 국가적 총제적 위기 속에서 발생했던 1997년의 IMF 경제위기를 성공적으로 극복하고 국가 통치력을 효율적으로 회복했음에도 불구하고, 2008년 세계적 경제공황 형태로 발생했던 국제 금융위기의 여파로 인해, 그동안 그동안의 국가 경제발전 상황과 다양한 부문에서의 국가개혁 속도를 재점검하게 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국가발전에 대한 총체적 점검결과에 따라. 메드베데프 대통령은 ``2000-국가안보개념``을 대체하는 ``국가안보전략-2020``을 제정·공포함으로써, 러시아 군사 안보 전문가들로부터 "러시아 안보정책의 새로운 틀을 수립하였으며, 지속성 및 변화와 확고성, 그리고 실용주의 요소를 고루 반영하여 기존 안보전략으로부터 새로운 전환을 시도하였다."는 평가를 받게 되었다. 여기에 논자는 본 논문을 통해 2000년 1월 10일 제정·공포된 ``2000-국가안보개념``의 특징과 내용 및 의미를 살펴봄으로써 러시아 국가안보전략의 변화과정을 고찰해 보았다. 또한 논자는 새로운 안보 전환기적 상황에 직면되어 있는 러시아가 안보상의 제반 문제점을 적극적·능동적으로 극복하기 위해 수립한 ``새로운 안보전략 구상``으로서의 ``국가안보전략-2020``의 성안 배경과 그 특징 및 의미를 이전의 국가안보개념과 비교·분석하면서, ``국가안보전략-2020``에 나타난 러시아 안보정책 상의 주요 변화와 그 함의를 고찰하고 있는데, 이를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러시아는 대서구 관계를 개선하려는 의지를 강하게 보여주고 있으며, 향후 이를 위한 다양한 정책과 국제적 협력관계를 모색할 것이라는 점이다. 둘째, 러시아는 향후 러시아 국민들의 삶의 질 개선을 확약하고 있지만, 현실적인 여건은 이를 보장하고 있지 못하여 정부로서의 획기적인 대책을 강구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점이다. 셋째, 러시아 시민사회의 성숙과 민주주의적 발전에 대한 가시적 성과는 푸틴과 무력기관 출신의 통치 엘리트에 의해 좌우될 수밖에 없어, 2012년에 있을 푸틴의 대선 향방과 크게 관련되어 있다는 점이다. 넷째, 국제사회에서의 러시아의 책임 있는 역할 수행은 러시아 주요 정책 결정자들의 냉전적 사고에 입각한 과거 유산들에 대한 전향적 극복을 통해서만 가능하다는 점이다. 결국, 이러한 러시아의 전략적 과제들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더 이상 부정적인 결과가 초래되지 않기 위해서는 오늘날의 러시아 정책 결정 지도부가 보다 냉철한 국가적 이성을 바탕으로 국가안보 관련 주요 정책들을 결정하고 시행해 나가야 할 것이다. Russian Federation have rechecked about it`s reality of national reform execution in the various field after global financial crisis in 2008, in spite of overcoming economic crisis of IMF in 1997 and restoration of national governing system which was occurred in the total crisis including political, economic and social unstability in the beginning of the establishment of Russian Federation. According the result of total rechecking in various field of national reform, the president of Russian Federation ``Medvedev`` established and proclaimed ``National Security Strategy-2020`` which substituted ``2000-National Security Concept`` in 1997. And he was evaluated by the Russian military security analyst that he made the new frame of national security policy and try to convert previous security strategy to new pattern of security strategy in the equal consideration of the continuity, change, firmness and pragmatism. Therefor the writer try to study the transition course of national security strategy through the investigation contents and meaning of ``2000-National Security Concept`` in this paper. And Comparing and Analyzing the background of establishment,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National Security Strategy-2020`` which is regarded in ``New Security Strategy Initiative`` in order to overcome many problems of national security in turning point of national security, the writer also study about the main change and strategic meaning contained in ``National Security Strategy-2020`` as like following; At first, Russia showed it`s firm attitude and will grope for various diplomatic policy and international cooperation relation toward the improvement of relation with western European countries including U.S.A.

      • KCI등재

        한국 국제정치학에 있어 안보연구의 경향 평가와 전망

        박영준(Park Young-June) 고려대학교 평화와민주주의연구소 2017 평화연구 Vol.25 No.1

        국가안보란 국가의 주권과 국민의 생명에 대해 가해지는 위협요인을 식별하고, 이를 배제하기 위해, 군사, 정치, 외교, 경제적 수단들을 강구하려는 국가의 정책적 노력을 가리킨다. 무정부 상태를 방불케 하는 국제정치의 세계에서 국가안보는 국가의 우선적인 정책목표가 되어 왔다. 따라서 국제정치학의 영역에서도 국가안보연구는 중심적인 위치를 점해 왔다. 이 글은 국제정치논총을 중심으로 지난 60여 년간 한국 국제정치학자들이 국가안보에 대해 발언해온 담론들을 분석하고, 향후 발전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냉전기 한국의 연구자들은 주로 현실주의적 시각에 입각하여, 북한의 군사적 위협과 한반도를 둘러싼 강대국들 간의 세력관계를 주요 위협으로 인식하였다. 이러한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동맹의 체결, 집단안보기구의 형성, 그리고 자주국방 정책을 통한 국력 강화 방안 등을 정책수단으로 제안해 왔다. 적대국과의 공존을 추구하는 ‘호혜적 안보’ 나, 군사안보 이외에 국제법이나 국제기구를 활용한 포괄적 안보개념이 선구적으로 제안되기도 하였다. 탈냉전기 이후 한국 연구자들은 서구에서 유래된 ‘공동안보’ 및 ‘협력안보’의 개념을 적극 수용하여, 북한과의 공존적 관계 구축, 그리고 동북아 역내에서의 ‘다자간 안보협의체’ 구축 등의 정책방침을 제안하였다. 이 같은 연구자들의 국가안보연구는 21세기 들어 노무현 정부나 이명박 정부의 국가안보전략서에 반영되는 성과도 나타났다. 그러나 국가안보에 관한 이론적 자산을 주로 서구에서 유래된 개념들에 의존하거나, 한국 국가안보정책 전개에 대한 실증적 고찰이 부족한 점은 한국 안보연구의 한계라고 하지 않을 수 없다. 불확실성을 더해가는 한반도와 동북아 안보정세를 타개해 나가기 위해서라도, 한국의 국가안보 연구가 이러한 한계들을 극복해 가려는 노력들이 필요할 것이다. The study of national security has been a centerpiece of international studies. This paper tries to overview the Korean security studies which have been appeared its annually published journals since the establishment of Korea Association of International Studies in the later 1950s. During the Cold War period, Korean security studies had emphasized possible threats from North Korea as well as surrounding super powers rivalry. To respond to it, Korean theorists of security studies who were strongly influenced by realist approach proposed multiple tools for national security such as a formation of alliance with the United States, forging the collective security organization of anti-communist countries in the region, and self-strengthening of military powers. It should be noted that some theorists suggested a more liberal approach such as the concept of ‘security for mutual benefit’ or a policy of ‘expanding diplomacy toward communist countries’ prior to the non-traditional security concepts which became prevalent after the demise of the Cold War system among Western scholars. With the advent of Post-Cold War Period, Korean security studies began to suggest more liberal approach of security studies implementing the concept of ‘common security’ or ‘cooperative security’ to the real diplomatic sphere. Based upon these security studies, Korean government could actively propose multilateral security framework in the region and published its national security strategy reflecting the ‘comprehensive security concept.’ Foreseeing more conflicting security environments surrounding Korean peninsula, Korean security studies should focus on formation of its own security theory based on indigenous historical experience.

      • KCI등재

        脫냉전 이후 비국가행위자의 안보위협과 국가정보 활동방향

        함중영 한국국가정보학회 2022 국가정보연구 Vol.15 No.1

        Factors that threaten national security have been constantly changed. The structure of the East-West Cold War has been broken down as a turning point in 1991, and the changes were clearly shown before and after the year of 1991, in terms of security threats and counter activities. When considering the timing, before the post-Cold War period is classified as traditional security, and after that is classified as non-traditional security. As a new security concept that emerges after the post-Cold War, "human security" introduced by the UNDP in 1994 was appeared, and the concept of "comprehensive security" was introduced by European scholars in 1998. Meanwhile, some scholars in Korea also use the concept of 'new security' mainly studying specific factors of non-traditional security concepts, which is not the same as the concept of ‘emerging security’. Threats dealt with in traditional security were war and physical conflicts between countries. Security threats in the non-traditional security period are the intersection of threats identified in the new security dimension and threats listed in the human security dimension, such as poverty, famine, infectious diseases, environmental problems, violence and crime. On the other hand, while the traditional security actor is a state-actor, the activities of non-state actors have emerged as a huge security threat since the introduction of the non-traditional security concept, as seen in the September 11 attacks in 2001. Among the threats derived from the intersection of new security and human security threats, the main threats posed by non-state actors appear as terrorism, transnational organized crime, terrorist-TOC combined groups, cyber attacks, and abuse of new technologies. Korea's national intelligence agencies have made efforts to appropriately respond to the security threats of non-state actors listed above while responding to changes in the international environment. In particular, it is encouraging to expand national espionage activities, enact anti-terrorism laws for efficient counter-terrorism activities, and international cooperation activities to respond to cyberattacks. However, non-systematic expansion and ambiguity of national counterintelligence activities, errors in anti-terrorism laws, and lack of a security response system for new technologies are pointed out as problems to be improved quickly. 국가안보를 위협하는 요인은 지속적으로 변화해왔으며, 동서 냉전의 구도가 와해되는 1991년을 분깃점으로 삼아, 전후로 구분하여 안보위협 환경 변화와 대응활동의 커다란 차이를 나누어 볼 수 있다. 시기적으로 고찰해 볼 때, 탈냉전 시기 이전을 전통적 안보, 이후를 비전통적 안보라고 구분한다. 이어 탈냉전 이후 출현하는 새로운 안보 개념으로, 1994년 UNDP에서 소개한 ‘인간안보’가 소개되었고, 1998년 유럽 학자들을 중심으로 ‘포괄적 안보’ 개념이 소개되면서 작금 국제관계학의 주류 용어로 자리잡고 있다. 한편, 국내 일부 학자들은 비전통적 안보개념의 구체적 요인들을 대상으로 연구하면서 ‘신안보’라는 개념도 활용하는데, 신흥안보 또는 Emerging Security 등 다양하게 소개되는 새로운 안보개념과의 비교 구분도 요구된다. 전통적 안보에서 다루어진 위협요인은 국가 간 전쟁과 갈등관계였다. 비전통적 안보 시기의 안보위협은 신안보 차원에서 파악한 위협의 요인과 인간안보 차원에서 열거된 위협들의 교집합이라고 할 수 있는데, 현재와 미래에서 다루어져야 할 위협으로서, 빈곤, 기근, 감염병, 환경문제, 폭력과 범죄 등이다. 한편, 전통적 안보의 행위자(actor)는 국가인데 비해, 2001년 9.11 테러에서 보듯이 비전통적 안보개념이 도입되는 시점부터 비국가행위자의 활동이 엄청난 안보위협으로 대두되고 있다. 신안보위협과 인간안보 위협들의 교집합에서 도출한 위협요인 중 비국가행위자에 의해 자행되는 대표적 위협은 테러리즘, 초국가적조직범죄, 테러조직과 조직범죄집단의 연계활동, 사이버공격, 신기술의 악용 등으로 나타난다. 우리나라 국가정보기관은 국제환경의 변화에 대응하면서 위에서 열거한 비국가행위자의 안보 위협요인에 적절히 대처하는 노력을 전개해왔다. 특히, 국가방첩활동의 확대와 효율적인 대테러 활동을 위한 테러방지법 제정, 사이버공격에 대응하기 위한 국제협력 활동 등이 고무적이다. 그러나, 국가방첩활동의 비체계적 확장과 모호성, 테러방지법의 오류, 신기술에 대한 안보 대응체계 미흡 등은 신속히 개선되어야 할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 KCI우수등재

        토픽모형을 사용한 국가 사이버안보 선호 분석

        안정배(Jungbae An),강신재(Sinjae Kang),임혜수(Hyesu Im),황태희(Taehee Whang) 한국국제정치학회 2020 國際政治論叢 Vol.60 No.4

        본 연구는 사이버안보 분야의 국제규범협력의 조건을 종합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국가의 선호의제를 분석한다. 사이버공간이라는 독특한 위상 위에서 개념화되는 사이버위협은 그 개념과 범주의 모호성 때문에 전통적 군사수단을 통한 대응이 어렵다. 또한, 신규 안보문제로서 사이버위협 대응에 대한 각 국가의 선호는 각기 상이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측면들을 고려하면서 국제 사이버안보 규범협력을 구축하기 위해, 국가들의 선호구조 파악이 필수적이다. 사이버안보 전략에 나타나는 국가들의 주요 선호의제는 무엇인가? 국가들의 의제 선호도는 어떻게 분포되어 있는가? 본 연구는 전 세계 국가사이버안보전략을 수집해 분석함으로써 국가 사이버안보 선호구조를 종합적으로 분석하는 최초의 시도이다. 우선, 본 연구는 토픽모형 알고리즘을 포함한 일련의 텍스트처리 기법을 사용해 사이버안보 전략에 나타나는 국가들의 선호의제를 도출한다. 분석 결과, 군사화와 안보딜레마 상황에 주목하는 기존 연구들의 관심과 대조적으로 국가들은 경제적 이해관계 보호(37.56%)에 더 큰 선호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적 선호는 다시, 사적영역 보호와 인프라 및 경제개발에 대한 관심으로 분류되었다. 한편, 전통적 안보대응에 해당하는 규범협력(14.50%)과 군사화(11.02%)는 상대적으로 적은 비중으로 나타났으며, 두 의제에서 강대국의 리더십이 확인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국제 사이버안보 정치에서 경제적 이해관계가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고, 사이버안보 국제규범에 대한 현재의 담론이 향후 높은 변화가능성을 지니고 있음을 암시한다. We analyze the states’ issue preferences to understand the condition of international cybersecurity norms cooperation comprehensively. It is challenging to address cyberthreats with traditional military means as the concept and scope of cyberthreats are hard to define. Also, as a new security problem, each state’s preference for addressing cyberthreats can be differently constructed. It is crucial to understand the structure of the preferences of states to establish international cybersecurity norms cooperation with considering those aspects. What are the main preferences of states in cybersecurity strategies? How are countries’ agenda preferences distributed differently? Our study is the first effort to analyze states’ cybersecurity preferences comprehensively by collecting and analyzing the National Cybersecurity Strategies across the world. To build a comparative dataset from the textual strategy documents, we use a series of text analysis methods including a topic model algorithm. Our analysis shows that, in contrast to the dominant studies that focus on the militarization and cybersecurity dilemma, states have greater concerns in protecting economic interests (37.56%). The economic preference was divided into the protection of the private sector and infrastructure development. Meanwhile, traditional security measures, including security norms cooperation (14.50%) and militarization (11.02%), were shown low, and the leadership of great powers on these matters was not found. The results imply that the economic interests can be critical factors in the future international cybersecurity politics, and the current discourse of international cybersecurity politics has a high potential to change.

      • KCI등재

        ‘중앙국가안전위원회’를 통해 본 시진핑의 국가안보관

        장지아,이장원 한중사회과학학회 2019 한중사회과학연구 Vol.17 No.1

        China’s security issues have followed up with new situations by the rise of China on the international stage. Indeed, China’s national security concept is advancing with the times and has a constantly updated. During the Cold War, China’s national security has been absolutely influenced by the traditional security concept. With the reform and opening up, the national security concept has transformed into comprehensive security including non-traditional security concepts. The Chinese government is constantly constructing institutions that guarantee national security while facing complex security issues. However, despite the establishment of individual institutions for the national security, they have not been fully effective due to the limitations from which the divided working system of the government in the national security field. Most importantly, the security concept of the top leadership has not been combined with the national institutions to form a comprehensive national security management mechanism. This paper argues that Xi Jinping recognizes an overall national security system should be built on the basis of the Overall National Security Outlook, which is marked by the establishment of the Central National Security Commission. In other words, the Overall National Security Outlook described by Xi Jinping provides a theoretical basis for China to establish a new national security strategy.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omposition and functions of the Central National Security Commission, this paper will point out that its functions in terms of national security are fundamentally different from those of other national security agencies. China’s unique party-state system is characterized by "party priority." Therefore, the Central National Security Commission is not a horizontal or parallel relationship with other national security institutions, but a vertical relationship directly led by the highest leadership of the Communist Party of China. At the same time, the establishment of the Central National Security Commission is also an important means for the Communist Party of China to strengthen the party’s leadership over the state and maintaining national security. 시대적 변화에 따라 중국의 역대 지도자들은 새로운 국가안보관을 계속해서 제시해 왔다. 냉전 시기 중국의 국가안보는 군사안보를 중심으로 하는 전통적인 안보개념 하의 생존안보를 추구했다. 이어 덩샤오핑 이래로 개혁개방을 기점으로 중국의 국가안보관은 광범위한 비전통안보의 개념을 포함하는 종합안보의 개념으로 바뀌었다. 중국공산당은 다 양한 안보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국가안보를 보장할 수 있는 국가기구를 끊임없이 구축해왔다. 그러나 국가안보와 관련된 개별적 기구를 설립했음에도 불구하고 국가안보분야에서 나타난 ‘분업관리’의 한계성에 직면하여 제역할을 발휘하지 못했다. 또 최고지도자의 안보관이 국가 기구와 연동되어 종합적인 안보관리기제로 체계화되지 않았다. 이에 시진핑은 중공 18대를 통해 이른바 ‘총체적 국가안보관’을 제시하면서, 중국의 국가안보관을 새롭게 정의했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시진핑의 ‘총체적 국가안보관’ 수행을 위한 핵심기구라 할 수 있는 중앙국가안전 위원회의 구성과 기능을 분석하고 시진핑의 총체적 안보관과 중국의 국가안보전략 구축에 있어서 그 역할을 살펴보고자 한다. 결론적으로 시진핑이 제시한 총체적 국가안보관은 중국국가안보전략 구축의 이론적인 토대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중국의 특유한 당-국가체제에서 보이는 ‘당 우위’라는 특징아래 중앙국가안전위원회는 다른 안보기구와의 수평적인 관계가 아닌 공산당 최고지도부가 주도하는 수직적 관계를 보인다. 동시에 중국공산당은 중앙국가안전위원회를 통해 국가안보의 확보와 유지에 있어 당의 역할을 강화하는 수단으로 활용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