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육적 ‘실천’으로서 환경교육을 위하여: 아리스토텔레스 프로네시스 개념을 중심으로

        강진영 한국환경교육학회 2019 環境 敎育 Vol.32 No.2

        We are living in an era after the ‘Rationalist Turn’ of the civilization of means. On the basis of instrumental rationalism, however, we find that the society and the environment are not sustainable in many places. Environmental problems are being considered as an issue, which inevitably involves complexity. With this change, Environmental Education (EE) places the social-ecological system as the scope of its education. This research asks how EE can be placed in this context with an educational perspective and tries to find the answers in the search for the time before the transition to rationalism. For the above purposes, first, this paper explored the phronesis of Aristotle's intellectual virtues and re-examined the educational value of EE through the ‘environmental perspective model’. Afterwards, this study tries to reconstruct the educational meaning of EE based on the concept of phronesis and to suggest ‘phronesis model’. This approach is meaningful as an introductory essay on the concept of phronesis for educational meaning and reformation in changing EE. 우리는 ‘수단의 문명’이라고 이름 지워진 합리주의자 전환 이후 시대를 살아가고 있다. 하지만 도구적 합리주의만을 기반으로 할 때, 우리가 지속가능하지 않음을 많은 곳에서 발견하고 있다. 환경문제는 쟁점화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환경교육은 사회생태시스템과 복잡성을 교육의 범위로 포함한다. 이러한 변화 상황에서 이 연구는 환경교육이 어떻게 교육적으로 자리할 수 있을지 질문을 던지고 그 실마리를 합리주의자 전환 이전을 탐색하는 것에서 찾았다. 먼저, 아리스토텔레스의 지적 덕(intellectual virtues) 중 프로네시스(phronesis) 개념을 탐색하고 환경교육의 변화에 따른 교육적 가치를 ‘환경적 관점’ 모형을 통해 재조명하였다. 그리고 프로네시스 개념을 바탕으로 환경교육의 교육적 의미를 재구성하였으며, ‘환경적 관점’모형을 확장한 ‘프로네시스 모형’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는 변화하는 환경교육 속의 교육적 의미 찾고 재정향하기 위한 시론으로 의미가 있다.

      • KCI등재

        트뤼포의 영화 <400번의 구타>에 나타난 교육적 환경의 영향력과 욕망의 발현력

        김영철 한국교육학회 2014 敎育學硏究 Vol.52 No.2

        This thesis tries to extract F. Truffaut's educational ideas, focused on the relation between milieus and desires, from his maiden long film at the age of 27, <The 400 BLOWS> which represented his unfortunate juvenility. At the beginning, I assume two interpretations, one is that of superiority of the milieu to the desire and the other that of superiority of the desire to the milieu, may be contrast. I could find out his educational idea from the reverse images of the scenes. So, generally speaking, his educational idea is the adult generation's positive influences on the next generation. But the milieu's influence on the desire remains the indeterminable remainder(Educational Idea Ⓐ, abridged 'EIⒶ'). When we search minutely <The 400 BLOWS> again, EIⒶ that presumes that the milieus are the active and the character Antoine in the milieus is passive is not exactly congenial to the Truffaut's because he brings active and positive desires into relief. The film shows us the objects of these positive and productive desires in several singular scenes such as the becoming of H. de Balzac, of child's mind, and of grand sea of creativity. But here again I find out the meaning of unrealizable criteria especially in the scene of child's mind(Educational Idea Ⓑ, abridged 'EIⒷ'). 이 논문은 환경과 욕망의 관련에 주목하여, 트뤼포 감독의 영화 <400번의 구타>에서 교육관을 추출하려는 시도이다. 환경의 능동적 영향력을 강조하면, 욕망은 환경의 가치를 수동적으로 수용하게 되며, 욕망의 능동적 발현력을 강조하면, 환경은 욕망의 가치를 실현하는 수동적 자원이 된다. 최초의 관람을 통한 1차적 해석에서 이 영화가 드러내는 교육관은, 영화에 묘사된 환경의 능동적 작용과 부정적 가치, 그리고 이에 상응하는 욕망의 수동적 작용과 부정적 가치로부터 유추된 것으로서, 수동적 욕망에 대한 환경의 능동적이고 긍정적인 영향으로 규정된다. 그런데 그 환경의 욕망에 대한 영향력의 행사에는 ‘결정불가능한 잔여’가 존재한다(교육관 A). 한편, 두 번째 관람을 통한 2차적 해석에서 이 영화가 드러내는 교육은, 욕망의 능동적 작용과 긍정적 가치, 그리고 이에 상응하는 환경의 수동적 작용과 긍정적 가치에 따라, 수동적 환경에 대한 욕망의 능동적이고 긍정적인 발현으로 규정된다. 그리고 여기에서도 1차적 해석에서와 유사하게, 그 발현력의 행사에는 ‘실현불가능한 기준’이 존재한다(교육관 B). 환경의 교육적 영향력과 욕망의 교육적 발현력을 강조하고 있는 두 교육관은 영화적 사례의 탐구를 통하여 개선되고 교정된 것으로서, 다시 두 교육관의 이론적 종합가능성을 문제로 제기한다.

      • KCI등재

        사이버학습환경에서 “교육적 경험”을 지원하는 교수자의 역할 모형 설계

        허희옥 ( Hee Ok Heo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07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3 No.2

        이 연구는 사이버학습환경에서 학습자들이 교육적으로 의미있는 학습경험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교수자의 역할 및 교수 전략을 탐구하는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기존의 면대면 교육 상황과 마찬가지로, 사이버학습환경에서의 경험이 언제나 교육적으로 의미있고, 학습자의 지속적인 경험의 재구성을 지원하는 것은 아니다. 이에, 사이버교수자는 교실 수업의 교사가 그러하듯이, 사이버학습환경의 학습자의 성공적인 학습 경험을 위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해야 한다. 사이버교수자의 역할 연구의 하나로, 이 연구는 우선 Dewey의 교육 이론을 토대로, 사이버학습환경에서의 교육적 경험에 대한 의미와 과정을 재검토하였다. 그리고, 교육적 경험의 시작, 전개, 완성의 국면에서 교사의 역할 및 지원 전략을 탐구하였으며, 반성적 사고를 자극하기 위한 전략을 도출하였다. 이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전문가 검토를 실시하고, 연구자가 직접 연구 대상으로 참여하여 실제 대학교 수업에 적용하였다. 대체로 적용 결과는 사이버교수자의 역할에 대한 긍정적인 효과를 증명하였지만, 여전히 실제 적용을 위하여 다양한 구체화 노력이 필요함이 밝혀졌다. 마지막으로 후속연구를 위하여 학습자 수준의 분석, 변화 과정의 파악, 그리고 그에 적응적인 교수자의 역할 및 지원 전략이 좀더 구체적으로 개발되어야 함이 강조되었다. As not all individuals successfully direct their learning by themselves, and not every experience in learning situation leads them into an educationally desirable change in cyberspace, the teacher must support and lead learners to get genuinely educative experience in cyberspace. This study clarifies the roles of teachers and teaching strategies for leading learners into genuinely educational experience in cyberspace. For achieving the goal, this study first discussed learning experience and teaching practices in cyberspace, and then explored the meaning and value of "Educative Experience" based on Dewey`s educational thoughts. Secondly the teacher`s roles and teaching strategies were identified for supporting learners to get genuine educative experience. Finally, the expert review and field trial were conducted to test the validity of role model for teachers in cyber-learning environment. Generally the results showed the comprehensiveness and clarity of the model. However, more concrete guidelines to apply in a real situation should be provided. For further studies, some recommendations are suggested such as design of teaching strategies related to the advanced technology, development of criteria for tracing learner`s history, etc.

      • KCI등재

        우리는 안전한 환경을 제공하고 있는가? : 환경호르몬에 대한 영유아교사의 인식과 교육적 요구에 대한 질적 연구

        박은선,노승희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23 유아교육학논집 Vol.27 No.1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ways to support education related to endocrine-disrupting chemicals by examining the awareness and educational need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regarding endocrine-disrupting chemicals. To this end,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seven daycare center and kindergarten teachers located in S city; the interview contents were analyzed and meanings extracted.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eachers had heard about endocrine-disrupting chemicals but had never thought about them in relation to infants and young children. They suspected that endocrine-disrupting chemicals would emerge, but they were unsure. Furthermore, although they felt uncomfortable, they did not pay attention on busy days. Second, regarding endocrine-disrupting chemicals, it was requested that both teachers and pre-service teachers and young children should be educated; customized education considering the situation in the field and educational contents that were practically helpful in educational institutions were requested.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discussed ways to improve teacher education related to endocrine-disrupting chemicals. 본 연구는 환경호르몬에 대한 영유아교사들의 인식과 교육적 요구를 살펴봄으로써 환경호르몬 관련 교사교육 지원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S시에 소재한 어린이집, 유치원 교사 7인을 대상으로 개별 심층면담을 실시하였으며, 이후 면담내용을 분석하고의미를 추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유아교사들은 환경호르몬에 대해 들어 봤지만 영유아와 관련지어 생각해본 적은 없었으며, 환경호르몬이 나올것 같은 의심은 되지만 잘 모르겠고, 찝찝함은 있었지만 바쁜 일과 속에서 신경 쓰지 못하고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환경호르몬과 관련하여 영유아교사 대상 교육뿐만 아니라 예비교사, 영유아 대상의 교육도 필요함을 요구하였으며, 현장의 상황을 고려한 맞춤형 교육과, 교육기관의 상황에서 실제적인 도움이 되는 교육내용을 요구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본 연구에서는 환경호르몬 관련 교사교육 지원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다문화가정의 이중언어환경과 다문화가정 유아를 위한 교육적실행에 관한 교사의 인식

        이효림(Lee, Hyorim),김순환(Kim, Soonhwan)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어린이연구원 2021 영유아교육: 이론과 실천 Vol.6 No.1

        본 연구는 이중언어환경과 다문화가정 유아를 위한 교육적 실행에 대해 교사의 인식을 탐색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참여자는 경기 지역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에 다문화가정 유아를 담임하는 교사 9명이며, 자료수집은 심층 면담을 통해 이루어졌다. 본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이중언어환경에 대해 교사의 인식은 의사소통 부재의 원인으로 바라보기, 적응을 목적으로 이중언어 배제하기, 이중언어 발현을 수용하기, 미래의 자산으로 바라보기, 성장의 가능성을 인식하기로 분류되었다. 이는 교사가 이중언어환경에 대해 잠재된 언어의 지위를 민감하게 인식하고, 다문화가정 유아의 이중적 정체성이 우세한 언어에 압도되는것을 주의하며 개방적으로 인식을 확장할 필요가 있음을 의미한다. 둘째, 교사는 다문화가정을 위해 정서적 지지하기, 자립하도록 일과를 배치하기, 상호문화경험 계획하기, 의사소통 확장하기, 가정과 연계하기로 교육적 실행을 한다고 보았다. 이를 통해 교사는 다문화가정의 유아에게 기관에 적응이나 권리향상을 위한 교육보다 미래적 인식을 가지고, 유아의 언어, 인지, 정서발달까지 고려하며 교육적 실행을 확장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다문화사회로 급격히 변화하는 우리 사회에서 유아교육기관의 교사들이 이중언어환경을 개방적으로 인식하고, 다문화가정의 유아를 위한 교육적 전략을 확장하여, 미래의 다문화 정체성을 지닌 인재를 양성하는데 시사점을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eachers’ perception of educational practices for the bilingual environment and you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o this end, nine teachers who worked with young multicultural children at a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 located in Gyeonggi were recruited, and in-depth interviews were performed to collect data. The research results categorized by type are as follows: First, the teachers perception of the bilingual environment was classified into “seeing as the cause of lack of communication,” “excluding bilingualism for the purpose of adaptation,” “embracing the manifestation of bilingualism,” “seeing as a future asset,” and “recognizing the possibility of growth.” This means that teachers need to be sensitive about the potential status of language for the bilingual environment, to note that the dual identity of multicultural children is overwhelmed by the prevailing language, and to expand and open their minds. Second, the educational practices for young multicultural children consisted of “providing emotional support,” “arranging routines for children’s self-reliance,”“planning intercultural experiences,” “expanding communication,” and “connecting with families.” Through this, the teachers are able to carry out educational practices by taking into account the linguistic, cognitive, and emotional development of children with a future awareness going beyond providing education for coping with the problem of the bilingual environment or improving rights.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providing implications that early childhood teachers need to have an open mind to the bilingual environment while our society is rapidly becoming more multicultural and to promote educational strategies for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n order to foster future talents with a multicultural identity.

      • KCI등재

        참여시민을 통해 본 환경영화제의 환경교육적 의미와 효과: 서울환경영화제를 중심으로

        지혜성,윤순진 한국환경교육학회 2022 環境 敎育 Vol.35 No.2

        This study attempted to explore the environmental educational meaning and effect of the environmental film festival based on its identity as an ecological culture festival. To this end, the Seoul Environmental Film Festival, the largest environmental film festival in Asia, was adopted as a case to analyze the participation motives and expectations of citizens who participated in the Seoul Environmental Film Festival through in-depth interviews, participation observations, and exploratory survey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environmental film festival has been shown to have an communication, activities, and participatory character brought by various experiences as well as the immersive characteristics of environmental films, and to form a festive atmosphere overall. As a venue for environmental education through the festival, the Seoul Environmental Film Festival played a role in deepening awareness of environmental issues and helping participants to practice environmental actions through appreciation, communication, experience, and experience of being together.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empirically illuminates the environmental educational value of the Environmental Film Festival by taking the Seoul Environmental Film Festival as an example and targeting the film festival participants.

      • KCI등재

        통합교육 환경에 배치된 청각장애 중고등학생의 학교생활 만족도와 교육적 요구

        이동화,김자경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2022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연구 Vol.13 No.3

        This study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7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ith hard of hearing deployed in an integrated educational environment to find out their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and educational needs. They were positively aware of “teacher and peer support and consideration” and “self adjusting well to the integrated education environment”, but it was found that they were not satisfied with school life due to difficulties due to “inadequate listening environment”, exposure to situations where they could not hear clearly, participation in group and collaboration classes, communication difficulties caused by wearing masks, difficulties in class and evaluation, and difficulties in emotional integration due to hearing impairment. Accordingly, they suggested ‘support for a well-hearing physical environment’, ‘change in class and evaluation method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hearing impairment, ‘creating an atmosphere that can proudly demand support’, and ‘easy access to information about hearing impairment’. 본 연구는 통합교육 환경에 배치된 중․고등학교 청각장애 학생 7명을 대상으로 학교생활 만족도와 교육적 요구를 알아보고자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이들은 ‘교사와 또래의 지지와 배려’, ‘통합교육 환경에 잘 적응하고 있는 자신’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학교생활에 만족하고 있었으나, ‘부적합한 청취환경’으로 인한 어려움, 명료하게 듣지 못하는 상황에의 노출, 모둠․협업 수업의 참여, 마스크 착용에서 비롯되는 ‘의사소통의 어려움’, 청인 위주의 수업과 평가, 중․고등학교로 갈수록 다양해지는 교과와 이동 수업으로 인한 ‘수업과 평가 참여의 어려움’, 청각장애로 인한 ‘정서적인 통합의 어려움’으로 학교생활에 대해 만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이들은 ‘잘 들을 수 있는 물리적 환경 지원’, 청각장애 특성을 고려한 ‘수업과 평가 방식의 변화’, ‘당당하게 지원을 요구할 수 있는 분위기 조성’, ‘청각장애에 대한 정보에 쉽게 접근할 수 있기’를 교육적 요구로 제시하였다.

      • KCI등재

        유아 교육 환경 개선을 위한 CLASS™의 이해와 활용: Hedges의 표준화된 평균차를 이용한 미국과 핀란드 CLASS™ 결과의 메타분석

        이경숙 ( Kyung Sook Lee ),조숙인 ( Sook In Cho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5 유아교육연구 Vol.3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the Classroom Assessment Scoring System or CLASS™(Pianta, LaParo, & Hamre, 2008) and to examine the culturally-driven variations in CLASS™ scores between American and Finnish teachers. The CLASS™ is a holistic and objective observational tool which assesses the quality of classrooms. This tool contains ten dimensions categorized into three key domains. The USA CLASS™ data came from the Head Start on Science project (teacher N=66) and the data from Finland were from Pakarinen et al.’s study published in 2010 (teacher N=49). Meta-analysis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scores of CLASS™ domains and dimensions between the two countries. Overall, American and Finnish teachers had similar score patterns in three of the domains. However, the effect size (Hedges’ g) showed that there were some scor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countries. The teachers in the US were significantly higher-performing in emotional support and classroom organization than the Finnish teachers were, whereas the Finnish teachers ha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on instructional support than the US teachers. These differences may be driven by how teaching practices are implemented in each culture. The findings suggest that CLASS™ can be used as a valid and reliable measure of overall classroom quality and as good training material in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s in diverse countries. 본 연구의 목적은 CLASS™의 기본 개념을 소개하고, 메타분석을 통해 미국과 핀란드 교사들의 CLASS™ 점수를 비교하여 문화 차이를 설명하는 것이다. CLASS™는 교육 환경의 질 및 교사의 역량을 평가하는 총체적이고 객관적인 도구로서, 3개의 영역과 10개의 차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미국 CLASS™는 미시간 주립대학교 Head Start on Science(HSOS)연구팀의 자료이며(교사 N=66), 핀란드의 CLASS™는 2010년에 발표된 Pakarinen연구 팀(2010)의 발표 논문을 참고하였다(교사 N=49). 미국과 핀란드 교사들은 공통적으로 정서적지지와 학습 환경 구조화 영역에서 교육적 지지 영역에 비해 높은 점수를 받았다는 유사점이 있었다. 메타 분석 결과, 정서적지지와 학습 환경 구조화 영역에서 미국 교사의 평균점수가 핀란드 교사들의 평균 점수보다 높았다. 반면, 교육적 지지 영역에서는 핀란드 교사들의 평균 점수가 미국 교사들의 평균점수보다 높았다. 각 나라가 지닌 문화적 특수성이 국가 간 평균 점수의 차이를 발생시킨 것으로 유추할 수 있다. CLASS™ 국제적으로 사용 가능한 교사 및 교육 환경 평가 도구로서 의미가 있으며, 교사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유용한 기초 자료로 이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활용이 기대된다.

      • KCI등재

        창의성에 대한 이해 지평의 확대와 국어교육적 재조명

        최홍원 한국국어교육학회 2012 새국어교육 Vol.0 No.89

        This study aims at probing the meaning scope about creativity and through the process I want to shed new light on creativity in the field of Korean education, giving rise to new understanding, based on the reflection that inquiry on creativity was not enough so far.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I raised the uncertainty of creativity and mysterious approaches, the origin of the uniqueness and the relevance with tradition as the misunderstanding and issues about creativity. This is a new approach about creativity and a base to lead to three dimensions including spacial, time and educational horizons. I expanded the scope of understanding about creativity through the enlargement of spacial horizons according to the involvement of socio-cultural environment, the expansion of time horizons depending on the tradition of the past and the extension of educational horizons concerning the hierarchical differentiations. Also, I added two elements of the essence of it: looking at deeply and differently. The proposal is based on the interpretation that creativity can carry out a role as mediation to relate with oneself as penetrating the essence of problems. Moreover, I clarified the needs to set up hierarchical differentiations in accord with individual experiences through educational horizons. Such discussion can be the foundation of the establishment of the concept of creativity in Korean education. At the same time, it can lead to the effect of feedback about all over creativity as general education. By pioneering a new horizon, I hope that this study may be helpful in various studies in relation with creativity. 이 연구는 창의성에 대한 일련의 교육적 수행과 실천의 담론에 앞서, 창의성에 대한 천착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반성에 따라 창의성의 의미역을 탐색하고, 이를 통해 국어교육에서의 창의성에 대해 재조명하고 새로운 이해를 가져오는 데 목적을 둔다. 기존의 연구가 국어교육적 차별성을 강조하려는 의도에서 국어교육적 특질만을 앞세운 나머지, 창의성 그 자체에 대해서는 충분한 논의가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문제의식에 따른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창의성에 대한 오해와 쟁점으로 창의성의 불명확성과 그에 따른 개인 차원의 신비적 접근, 독창성의 기원과 전통과의 연관성 문제를 제기하여 창의성에 대한 새로운 이해와 접근의 필요성을 일깨우고자 하였다. 나아가 이는 창의성에 대한 새로운 접근으로서 공간적, 시간적, 교육적 지평의 확대라는 세 차원을 이끌어내는 바탕이 되는 것이다. 사회 문화적 환경의 관여에 따른 공간적 지평의 확대, 과거 전통의 관여에 따른 시간적 지평의 확대, 위계 및 수준 설계에 따른 교육적 지평의 확대를 통해 창의성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혔다. 이를 통해 창의성은 문제의 본질을 깊이 헤아려 꿰뚫어보면서 자기와 관련짓는 중재로서의 성격을 갖는다는 점에서, 깊이보기와 달리보기를 그 본질로 추가할 것을 제안하게 되었다. 나아가 교육적 지평을 통해 개인 차원의 경험과 위계에 부합하는 단계 설정의 필요성도 밝혔다. 이러한 논의는 국어적 창의성의 개념 정립의 단초를 마련하면서, 동시에 교육 일반으로서 창의성 전반에 대한 송환의 효과를 도모하고 있다. 창의성에 대한 국어교육적 모색이 새로운 지평 개척을 통해 창의성을 과제로 하는 여러 학문에 기여하게 되길 희망하는 것이다.

      • KCI등재

        영재학생이 지각한 영재성 수준에 따른 정신건강, 인성, 교육적합성, 부모 심리적 환경의 차이 분석

        정광석 제주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21 교육과학연구 Vol.23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e mental wellbeing & mental psychopathology, virtue & competence, educational fit, and parental psychological environment by perceived giftedness level of 131 gifted students, mainly major of mathematics & science, of 11-15 ages(M=13.85) were assessed by self-report scales. Research methods were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of variance & important performance analysis. Results were that average of mental health of four giftedness groups was belonged to the complete mental health group which was shown as high mental wellbeing & nonsignificant symptoms of mental psychopathology, but obsessions of the 1st giftedness group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lower than those of their fourth giftedness group. Self-esteem, self-control, and wisdom of the 1st giftedness group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higher than those of their 4th giftedness group. Based on these results, preventing psychopathology, & improving giftedness in virtue & competence education for gifted students was recommended in conclusion. 본 연구는 영재학생이 지각한 영재성 수준에 따라 정신적 안녕감과 정신병리, 인성, 교육적합성, 부모 심리적 환경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11-15세의 영재학생 131명(M=13.85)이었다. 수과학융합전공 중심의 영재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영재학생들이 지각한 영재성 수준과 교육적합성, 정신적 안녕감 척도, 자기보고식 다차원 증상 설문지, KEDI 인성 척도, 가정 심리적 환경검사(학생용)를 자기보고식으로 측정하였다. 연구방법은 기술통계, Important Performance Analysis기법, 분산분석을 적용하였다. 연구결과는 영재성 집단이 4개의 집단으로 구분되었으며, 지능과 학업성취의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영재성 집단의 평균은 모두 정신적 안녕감이 유의미한 안녕감의 기준 보다 높고, 정신병리는 유의미한 증상의 기준 보다 낮은 완전정신건강집단에 속하였다. 세부적인 요인과 집단별로 영재성 집단1은 영재성 집단4 보다 정신병리의 강박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낮았으며, 인성의 자기존중과 자기조절, 지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았다. 그러나 영재성 집단의 정신적 안녕감, 교육적합성, 부모 심리적 환경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며, 모든 요인에서 영재성 집단2와 영재성 집단3의 통계적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연구결과에 의해 정신병리를 예방하고 정신적 안녕감과 인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영재교육 방안이 제시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