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국제교육실습프로그램 표준모형 개발을 위한 내용 요소 및 절차 구안

        김윤옥(Kim, Youn Ock),윤소영(Yun, Soyoung) 공주교육대학교 글로벌인재교육센터 2019 교육실습연구 Vol.1 No.1

        본 연구는 국제교육실습프로그램의 표준모형 개발을 위한 연구이다. 본 연구의 주요 초점은 국제교육실습프로그램 표준모형의 전체 절차의 구안과 구체적인 내용요소를 탐구하는데 있다. 본 연구를 위해 1995년부터 2016년까지 10년 동안의 국제교육실습 프로그램관련 선행연구 중 13편을 분석하였으며, 국제교육실습 모형에 들어가야 하는 구성요소들을 구축하였다. 또한 이 구성요소를 지난 10년간 국제교육실습프로그램을 운영해 온 A 교육대학교의 국제교육실습프로그램을 대상으로 사례분석 해 봄으로써, 국제교육실습프로그램의 표준모형에 포함되어야 할 구성요소들을 재확인하게 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로서, 선행연구를 통해 구축된 국제교육실습 프로그램의 구성요소들의 세부 단계는 교류준비, 선발, 사전교육, 출국준비, 지도교수배정, 현장실습, 인증서 교부, 평가 및 조사, 국내실습 인정, 실습록 전시 등에 걸친 10단계이었으며, 효과적인 국제교육실습 프로그램의 표준모형에 포함되어야 할 구성요소로 제시되었다. This study is for the development of a standard model of international teaching practicum. The main focus of this study is on both the formation of a whole procedure of a standard model of international teaching practicum and the specification of the elements of each step of the program. To create a standard model of international teaching practicum, we explored the required components and procedures of effective international teaching practicums. To do so, 13 research on international teaching practicum, from 1995 to 2016, were analyzed. Also, the international teaching practicum of A university where has operated the program successfully for the past ten years has been analyzed as a case. Then, the required components for a standard model of international teaching practicum has been constructed. The detailed steps that consist the international teaching practicum were found out to be ten steps. These are; exchange preparation such as contracting a MOU, recruiting the participants, an orientation program for international teaching practicum, departure preparation, assignment of guidance professors, on-site teaching practicum, certificate issuance, evaluation and pre/post surveys, exempting from one of the domestic teaching practica if possible, and exhibition of teaching diaries.

      • KCI등재후보

        유아교육 실습지도교사 인터넷 지원 프로그램 개발

        조운주,이춘자 한국교원교육학회 2002 한국교원교육연구 Vol.19 No.2

        교사교육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실습지도교사 교육을 실행하고 있으나 우리 나라 교사들의 경우 항상 시간 부족에 직면해 있어서 시행의 어려움이 많다. 정보 통신 공학인 웹이나 인터넷을 활용하므로 시·공간의 제약의 문제를 극복할 수 있고 능동적인 학습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육 실습지도교사를 위한 참여교육의 연장으로 실습지도교사-실습지도교사, 실습지도교사-지도교수 간의 협의와 지원이 가능한 인터넷 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서 웹기반 학습 개발 틀에 따라서 교사들의 요구를 분석하였고, 이를 기초로 인터넷 사이트를 설계(목표, 내용, 매체, 학습 방법, 화면 및 학습구조, 사용자 역할, 학습 관리, 평가)하고 제작하였다. 이를 시범 운영한 후, 평가의 과정을 거쳐서 유아교육 실습지도교사 인터넷 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 KCI등재

        한국과 미국의 국제교육실습 사례 비교 연구

        이현명 ( Lee Hyun-myoung ),정용재 ( Joung Young Jae ),설양환 ( Sol Yang Hwan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8 교사교육연구 Vol.57 No.3

        본 연구는 국제사회의 흐름에 능동적으로 적응하고 대처하는 국제적 감각과 역량을 지닌 교사 양성을 위해, 국제 교육실습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국내 대학과 미국의 주요 대학의 국제교육실습 프로그램과 사례를 비교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양질의 국제교육실습 운영을 위한 시사점 도출을 목적으로 한다. 지금까지 컨소시엄(연합체) 형태의 국제교육실습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운영하는 미국의 오하이오대학교와 인디애나대학교, 한국의 공주교육대학교 사례를 국제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국제교육실습 프로그램의 목적, 프로그램 개발, 외부의 제약과 긴장, 내적인 우려, 지원자 배치 유형, 실습기관 배정, 프로그램 홍보 및 학생의 관심처리, 신청과정 및 지원자 선정, 프로그램 감독에게 환송될 정보, 교육실습생의 업무 배정, 지원자 오리엔테이션 및 귀국 등의 영역을 서로 비교하여 공통점과 차이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공주교육대학교 국제교육실습 프로그램의 한계점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국제교육실습의 목적과 비전은 프로그램을 주관하는 대학의 교육목표와 철학에 맞게 재설정해야 한다. 둘째 국제교육실습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 주관대학의 교육목표와 철학이 반영되어야 한다. 셋째, 교사자격 취득과 국내 교육실습 대체에 관한 명확한 법적인 근거가 마련되어야 한다. 넷째, 교사양성기관은 구성원들에게 신뢰감을 줄 수 있도록 국제교육실습의 실효성을 강화해야 한다. 다섯째, 지원자 배치 유형의 다양화가 필요하다. 여섯째, 실습기관 배정도 다양화가 필요하다. 일곱째,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내실화를 통한 대외적 신인도를 높일 수 있어야 한다. 여덟째, 지원자 선정기준을 다변화해야 한다. 아홉째, 교육실습생의 업무 배정은 개별 교사의 전문성 발달에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정교한 프로그램 평가를 통해 프로그램 개선을 위한 대안 마련이 필요하다. 앞으로 국제교육실습 프로그램이 활성화되려면 새로운 교육 정책의 뒷받침도 필요하다. 첫째는 대학의 자율성이 최대한 보장되어야 하고 개별 교사 양성 대학 간의 컨소시엄을 구성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둘째, 교사자격 취득과 국내 교육실습을 대체할 수 있는 법적, 제도적 근거를 마련하여 대학 구성원 간의 갈등과 긴장을 최소화해야 한다. 셋째 확실한 재정적 지원을 통해 많은 예비교사가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한다. 넷째, 교사양성기관의 교육실습 프로그램이 내실화될 수 있도록 새로운 프로그램개발과 운영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을 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raw implications for operating international student teaching programs which encourage student teachers to develop intercultural competence and international capacities by analyzing and comparing cases of the major universities’ international student teaching programs in Korea and the USA.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international cases including Go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Ohio University, and Indiana University so far as to develop and operate overseas student teaching programs as a type of a consortium.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familiarities and differences by comparing each domain such as program goals, program development, external pressures and tensions, internal concerns, types of placements, determining host institutions, marketing the program, addressing students concerns, application process and candidate selection, information to be returned to the program directors, candidate placement logistics, and orientation and reentry.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provides some insightful implication for overseas student teaching. First, the goal and vision for overseas student teaching should be reset in terms of educational goals and philosophy of its leading university. Second, when the leading university is developing overseas student teaching program, it should reflect on its own educational goal and philosophy. Third, overseas student teaching programs should establish a legal basis for acquiring teaching licensure and waiver for local student teaching program for the overseas student teaching program. Fourth, overseas student teaching programs should enhance its effectiveness to build trust among the participating education institutions. Fifth, types of placements should be diversified. Sixth, the principle of determining host institutions should also be diversified. Seventh, external credit rating should be increased by reestablishing teacher education programs. Eighth, the principles of candidate selection process should be diversified. Ninth, the focus of candidate placement logistics should be focused on the individual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Last but not least, overseas student teaching programs should establish plans for improving its program through an elaborate program evaluation. To galvanize overseas student teaching programs in Korea, it is necessary for university faculty who are involved in overseas student teaching programs be supported by educational policies. First, the Ministry of Education should provide support by establishing a national consortium in order to insure maximum autonomy of educational universities. Second, efforts should be made to minimize conflicts and tensions between teacher education institution by establishing a legal basis for teacher licensure and waivers for local student teaching. Third, to attract a large number of student teaching candidates sufficient financial support should be provided. Fourth, the Ministry of Education should also actively support in developing and operating overseas student teaching programs to enriching teaching education programs.

      • CIPP 평가모형에 기반한 교육실습 프로그램 평가

        박일수(Park, Il-soo) 공주교육대학교 글로벌인재교육센터 2021 교육실습연구 Vol.3 No.2

        이 연구의 목적은 교육실습 프로그램의 개선방향 및 실습학기제 운영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교육실습생을 대상으로 교육실습 만족도를 조사하였다. 교육실습 만족도 조사도구는 CIPP 평가모형의 상황, 투입, 과정, 산출 요소가 반영되어 있다.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A교육대학교의 교육실습 프로그램의 만족도는 투입요소와 산출요소에서 높았으나, 상황요소에서는 낮았다. 둘째, 실습학교에 따라 교육실습 프로그램 만족도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교육실습생은 교육실습의 상황, 투입, 과정, 산출 요소와 관련한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가 교육실습 프로그램을 내실화하고, 실습학기제 운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raw implications for the improvement of the teacher practicum program and the teacher practicum sandwich system. In order to achieve this research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satisfaction with teacher practicum program. Satisfaction survey tool for teacher practicum consisted of context, input, process, and output factors based on CIPP model. The main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atisfaction with the teacher practicum program was high in input and output factors, but low in context factors.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atisfaction with the teacher practicum program by the training school. Third, the pre-teachers presented problems and improvement for the context, input, process, and output of teacher practicum program.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was that it suggests ways to improve the teacher practicum program and provides basic data for the introduction of the teacher practicum program semester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it suggests ways to improve the teacher practicum program and provides basic data for the introduction of the teacher practicum sandwich system.

      • KCI등재

        중등 예비체육교사의 교육실습 프로그램 평가

        권민정(Kwon Min J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5

        본 연구는 중등 예비체육교사들이 경험한 교육실습 프로그램을 평가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Kirkpatrick(1998)의 4단계 교육프로그램 평가 모형에 따라 반응, 학습, 행동, 결과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된 자료 중 총 133부가 빈도분석과 교차분석을 통해 분석되었고, 예비체육 교사들의 성별, 운동부 소속 여부, 실습학교 소재지, 실습학교급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첫째, ‘반응’ 단계의 평가에서 ‘실습 내용’은 남자, 일반, 지방이, ‘지도교사’는 남자, 일반, 고등학교가, ‘교육시설’은 남자, 수도권, 고등학교가, ‘교육적 경험’은 중학교가 더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둘째, ‘학습’ 단계의 평가에서 ‘수업설계’는 일반이, ‘수업실행’에서는 일반, 고등학교가, ‘체육교사의 역할과 책무’는 여자, 중학교가 더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셋째, ‘행동’ 단계의 평가에서는 ‘교수행동 강화’와 ‘변화 노력’ 모두 여자와 일반이 더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넷째, ‘결과’ 단계의 평가에서 ‘학교체육에 대한 인식 변화’는 여자가, ‘교육실습의 가치 변화’에서는 여자와 중학교에서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중등 예비체육교사의 교육실습 프로그램은 성, 실습학교 소재지에 따른 차이를 최소화하기 위한 표준화된 양질의 실습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나, 운동부 소속 여부 및 실습학교급을 고려한 실습프로그램 개발도 추가적으로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teaching practice program experienced by secondary pre-service PE teachers. To achieve this purpose, a survey on the reaction, learning, behavior, and result was conducted in accordance with the 4-phases teaching program evaluation model by Kirkpatrick(1998). Through frequency analysis and cross analysis, statistical significances were found in accordance with sex, matter of belonging to the athletic club, location of school for practice, and the school grade for practice. First, in the evaluation of ‘reaction’ phase, ‘practice contents’ was evaluated more positively by men, general, and local area, ‘guidance teacher was evaluated more positively by men, general, and high school, ‘educational facilities’ was evaluated more positively by men, capital area, high school, educational experience’ was evaluated more positively by middle school. Second, in the evaluation of learning phase, ‘instruction design’ was evaluated more positively by general, instruction practice was evaluated more positively by general and high school, role and duty of PE teachers was evaluated more positively by women and middle school. Third, in the evaluation of behavior phase, both ‘reinforcement of teaching behavior and effort for change were evaluated more positively by women and general. Fourth, in the evaluation of result phase, change in perception of school PE was evaluated more positively by women, change in value of teaching practice was evaluated more positively by women and middle school.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concludes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standardized high-quality practice program for secondary pre-service PE teachers to minimize gaps, which come from the differences in sex and school locations for practice.

      • KCI등재후보

        통합적 접근 실습 모형 식생활교육 프로그램을 통한 식생활능력 및 오감의 변화

        이성숙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7 實科敎育硏究 Vol.23 No.2

        이 연구는 초등학생을 위한 식생활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함으로써 식생활능력 및 오감의 변화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교육적 방향을 제시하고자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은 통합적 접근 식생활 실습 모형 질문하기 알기, 만들기, 느끼기, 공감하기 5단계를 적용하여 개발하였고, 개발한 프로그램을 광주지역 초등학생(저학년 20명, 고학년 20명)에게 2015년 10월부터 12월까지 각각 3시간씩 6주 동안 토요 휴업일 프로그램으로 진행하였다. 식생활능력은 프로그램 전과 후에 설문지를 통하여, 오감은 프로그램 마다 활동지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프로그램은 바른 식생활 및 슬로우 라이프 가치를 중심으로 건강 영역, 환경 영역, 배려공감 영역으로, 활동은 조리 실습을 위주로 선정하였다. 프로그램의 주제는 건강 영역, 환경 영역, 배려공감 영역 각 2개씩 총 6개로 ‘밥 짓기와 반찬 만들기’, ‘떡 만들기’, ‘지역농산물로 음식 만들기’, ‘에코 음식 만들기’, ‘김치 담그기’, ‘부모님 생신상 차리기’이었다. 식생활능력의 사전 사후 변화를 분석한 결과 저학년은 사전사후 각각 3.45점, 3.52점이었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고학년은 사전사후 각각 3.84점에서 4.30점으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p<.01), 영역별로 보면 식사준비(p<.05), 영양관리(p<.01), 지속가능한 식생활(p<.05)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오감을 분석한 결과 완성한 음식과 각각의 식재료일 때의 맛을 느끼며 다양하게 표현하였으며, 조리과정을 통해 맛, 냄새, 촉감이 달라짐을 알고 표현하였다. 한 가지 식재료를 다양한 맛과 냄새가 있거나 또는 없다고 표현하는 경우도 있어 식품 자체의 맛을 느끼며 표현하도록 하는 교육이 필요하다고 본다. 냄새나 촉감은 기분이나 행동에 쓰는 단어로도 표현하였다. 저학년은 거부감이 있었던 음식이 긍정적으로 바뀌었으며, 전체적으로 모양이나 맛, 촉감에 비해 소리, 냄새에 대해서는 표현이 적었다. 고학년은 냄새, 소리에서 구체적으로 표현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에서 통합적 접근 실습 모형 식생활교육 프로그램은 식생활능력에서 ‘질문하기’, ‘알기’ 단계는 영양관리 영역, ‘만들기’단계는 식사 준비 영역, ‘느끼기’, ‘공감하기’ 단계는 지속가능한 식생활 영역에서 고학년의 식생활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 오감은 ‘만들기’단계와 ‘느끼기’단계에서 프로그램 초기에는 만든 음식의 전체의 맛과 음식 속 재료의 맛을 느끼고, 같은 재료가 조리 후에 달라짐을 모양, 촉감, 맛으로 표현하였다. 프로그램이 진행됨에 따라 음식의 재료를 조리하기 전과 후 모양, 맛, 냄새, 소리, 촉감으로 느끼고, 만든 음식을 다른 것과 함께 먹을 때의 느낌을 오감으로 표현하게 되었다. 그러므로 통합적 접근 실습 모형 식생활교육 프로그램은 식생활능력 및 오감의 향상에 효과가 있었으며, 향후 오감을 활용한 다양한 식생활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본다. This study aims to present educational directions by developing dietary life education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pplying it and analyzing their dietary life competency and five senses. This program applied practice model by integrated approach composed by combining practice-based model with ethical value. The program developed was applied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Gwangju (20 lower grades and 20 upper grades) for total 18 hours over 6 weeks. The topics of the program were 'making rice' and 'making rice cake' in health area, 'making food with local agricultural products' and 'eco-food making' in environment area, and 'making Kimchi' and 'preparing dishes for celebrating parents' birthday' in consideration·sympathy area. As a result of analyzing changes in dietary life competency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lower grades showed 3.45 and 3.52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Upper grades scored 3.84 and 4.30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and the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p<.01) and such areas as preparing meals(p<.05), nutrition management(p<.01) and sustainable dietary life(p<.05) showed significant increase. As a result of analyzing five senses, the whole and individual participation in tasting ingredients of food expressed different tastes in various ways and differences of taste, smell and feeling through different cooking process were learned. While some expressed various tastes and smells of a food ingredient, others expressed no taste and no smell of the same food ingredient. So it is thought that educating how to fell and express a food itself is required. Some expressed smell or feeling in words used for mood or behavior. Lower grades showed a positive change of taste that they had a little resistance after the activity. There were less expressions of sound and smell than those of shape, taste and feeling of food. Upper grades concretely expressed smell and sound. Therefore, this study found out that dietary life education program was effective in improving upper grades' dietary life competency. Expressions of five senses were less in smell and sound than in shape, taste and feeling. It is considered that further dietary education programs using five senses.

      • KCI등재

        이해당사자 기반 평생교육실습 프로그램 평가척도개발

        구경희,윤명희 한국직업교육학회 2018 職業 敎育 硏究 Vol.3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evaluation scales that can access hierarchically the lifelong education field training program based on relevant stakeholders. To fulfill this purpose,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were applied. First of all, four groups of stakeholders were selected such as trainees, professors, field instructors, and program inspectors. The in-depth interviews with 13 experts in the field were conducted, and as a result, the scale with hierarchy of evaluation area, evaluation section, and evaluation item for each stakeholder was developed. In order to verify the content validity of the evaluation scales, delphi surveys for each stakeholder were conducted, using 35 expert panels. After delphi survey, the scale was applied to 90 trainees, 22 professors, and 31 field instructors. SPSS program was used to analyze the descriptive statistics, validity, and reliability. Finally, the evaluation scale of the trainer was identified as 8 evaluation areas, 14 evaluation sections and 51 evaluation items. And the professor’s scale consisted of 6 areas, 10 sections and 40 items. The field instructor’s scale was determined as 3 areas, 7 sections and 31 items, and the program inspector's evaluation scale was confirmed as 7 areas, 15 sections, and 32 items. 본 연구는 평생교육실습 프로그램의 관련 이해당사자를 기반 하여 평생교육실습 프로그램을 다면적으로 평가할수 있는 평가척도를 개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통합연구방법 모형 중 질적연구와 양적연구를 순차적으로실시하는 순차적 탐구 전략을 적용하였다. 연구과정은 먼저, 평생교육실습 프로그램 관련 문헌분석을 통해 주요 이해당사자를 실습생, 담당교수자, 실습지도자, 프로그램 관리자의 네 집단으로 선정하고, 이해당사자들의 평가관점 및 평가내용을 탐색하였다. 탐색된 평가내용을 보완하기 위하여 현장에서 활동 중인 13명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한 후, 문헌분석과 심층면담을 통해 도출된 내용을 각 이해당사자별로 평가영역, 평가부문, 평가항목의 위계를가진 초안을 구성하였다. 구성된 초안은 평가척도의 내용타당도를 확보하기 위해 35명의 전문가 패널을 활용하여 이해당사자별로 각각 2∼ 3회기의 델파이 조사를 시행하였다. 이후 델파이 조사를 통해 전문가들의 의견이 반영된 평가척도를 활용하여 실습생90명, 담당교수자 22명, 실습지도자 31명을 대상으로 적용하였다. 기술통계값, 타당도 및 신뢰도를 확인하여 평생교육실습 프로그램의 이해당사자별 평가척도를 최종 확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실습생 평가척도는 8개 평가영역, 14개 평가부문, 51개 평가항목, 담당교수자 평가척도는 6개 평가영역, 10개 평가부문, 40개 평가항목으로 이루어졌다. 실습지도자 평가척도는 3개 평가영역, 7개 평가부문, 31개 평가항목으로 완성되었으며, 프로그램 관리자 평가척도는 7개 평가영역, 15개 평가부문, 32개 평가항목으로 구성되었다. 이해당사자 기반 평생교육실습 프로그램 평가척도는 평생교육실습 프로그램의 효과적인 운영을 위해 진행단계에따른 각 이해당사자 입장의 변수들을 밝혀내어 개발된 것으로서 현장에서 실시되고 있는 프로그램의 내적 충실도를규명하는 데 유용하고 객관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예비유아교사의 유치원현장실습 사전교육프로그램 내용에 대한 교육요구 분석

        김옥주 한국유아교육학회 2016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Vol.2016 No.1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유치원현장실습 사전교육프로그램 내용에 대한 교육요구를 분석하는 것이며, 이를 통해 예비유아교사의 유치원현장실습을 지원하는 사전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와 경상남도에 소재한 3년제 전문대학과 4년제 대학교 유아교육과에서 유치원현장실습을 완료한 예비유아교사 277명을 연구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유치원현장실습 사전교육프로그램 내용에 대한 교육요구도와 우선순위를 도출하기 위해 대응표본 t-검증, Borich 요구도 분석, The Locus for Focus 모델 등의 3단계 분석방법을 활용하였다. 그 결과, 예비유아교사의 유치원현장실습 사전교육프로그램 내용에 대한 교육요구에서 32개 교육내용 모두 현재수준과 요구되는 수준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Borich 요구도 값을 계산하여 32개의 교육내용에 대한 우선순위를 결정하였다. 마지막으로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통해 실습생의 역할 및 태도, 유치원현장실습에 대한 이해, 하루일과 운영의 실제, 교육계획안 작성법, 유아-교사의 올바른 상호작용, 부모와의 관계 맺기 및 상담, 긍정적인 의사소통 기술, 대인관계에 대한 이해, 사전유치원 현장 관찰하기의 9개 교육내용이 예비유아교사 유치원현장실습 사전교육프로그램에서 우선적으로 고려해야할 교육내용으로 파악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예비유아교사 유치원현장실습 사전교육프로그램에서 우선적으로 다루어져야할 교육내용을 명료화하여 예비유아교사의 유치원현장실습 수행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예비유아교사 유치원현장실습 사전교육프로그램의 기초자료를 제공해 줄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 KCI등재

        초등 교육실습 기간 확대 및 내용 강화를 적용한 사례연구

        정혜영 한국교원교육학회 2009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6 No.3

        본 연구는 교육실습 기간 연장을 통해 교육실습 내용의 강화를 3년에 걸쳐 적용한 사례연구로, 교육실습 기간 연장에 따른 참여자의 요구와 기대, 교육실습 기간과 내용 강화에 대한 교육실습생의 경험에 대해 탐색하였다. 이를 위하여 문서, 설문지와 면담, 저널쓰기 등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참여자의 요구와 기대 중 실습생들은 프로그램 내용의 중복을 피하고 임용고사의 자연스러운 준비와 동시에 실제 현장에 도움이 되는 경험과 안내의 역할을; 실습학교는 실습학교 간 차별성 및 연계성과 실습단계마다 서로 유기적인 관계를 맺어 점차 심화된 프로그램 운영을; 교육청은 변화하는 사회에 발맞추어 예비교사도 현장의 실정을 미리 경험하고 실습학교 지도교사의 전문성 신장에도 기여할 수 있기를; 대학은 학교현장을 경험함으로써 이론과 실제 간의 접목을 기대하고 교직은 계속 노력하고 협력하는 영역임을 인식하기를 기대하였다. 교육실습생들은 확대된 실습 프로그램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하였고 수업과 학생관리 부분을 계속 고민하였다. 교육실습 기간이 확대되기 위해서는 선행되어야 하는 조건, 교원양성기관의 철학, 변화하는 사회를 반영하여야 함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논리모델을 적용한 평생교육실습 프로그램의 사례연구

        박명신(Park Myeungsin),한상훈(Han Sanghoon) 한국열린교육학회 2016 열린교육연구 Vol.24 No.2

        본 연구는 사례분석기법인 논리모델을 적용하여 평생교육실습 프로그램의 사례를 분석하기 위해 대전․ 충남지역의 4년제 대학교에서 평생교육실습 프로그램 참여 경험이 있는 대학생 12명(남자 6명, 여자 6 명)을 대상자로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투입과정에서는 실습생들의 실습비용은 실습기관에 따라 차이가 있었고, 대부분 표준화된 실습 매뉴얼 없이 실습이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한 기관에서 1명 정도의 실습생만을 선발하고 있었다. 또한 실습 전 사전정보․상호작용이 부족하였으나, 실습지도자의 전문성 은 어느 정도 갖추고 있었다. 활동과정에서 실습지도자는 평생교육법에 규정되어 있는 평생교육사의 업무 에 충실히 수행하고 있었으나, 실습생들은 실습지도자의 지도에 따라 실습지도자의 업무들을 보조하는 역 할을 하였으며, 실습생에 대한 실습지도자의 교육․훈련․슈퍼비전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산출과정에서 실습지도자와 실습생의 매칭은 대부분 1:1로 이루어졌고, 실습시간․횟수, 기간은 충분하였으나, 실습지도 자의 슈퍼비전 횟수․기간은 더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성과과정에서 실습생들은 평생교육실습 프로그램 에 대체로 만족 및 효과가 있었으며, 평생교육사의 직업 선택에 대해 관심을 갖게 되었으며, 평생교육기관, 평생교육프로그램, 평생교육사들을 통해 지역사회와의 연계․협력 및 세대 간 상호작용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개선사항으로는 평생교육사 양성교육기관을 선정․지정하여 프로젝트 공모 혜택과 예산 지원 등의 적극적인 지원과 혜택 등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평생교육 사 양성을 위한 평생교육실습 프로그램의 질적 수준 향상과 전문성을 갖춘 평생교육사 양성에 대한 이론 적이고 실증적인 자료에 시사점을 준다. This study selected 12 persons who had an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a lifelong education practicum program and then made an analysis in order to analyze the cases of lifelong education practicum program using logic model, case analysis method. The results of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input, trainees' practicum costs were different according to practicum site. And most of practicum is taken without standardized practicum manual. A site selected only 1 trainee or so. Advance information․interaction was insufficient before practicum. However, practicum instructor had expertise to some extent. Second, in activity, a practicum instructor faithfully performed lifelong educator's tasks specified in Lifelong Education Act. However, trainees played a role in assisting the practicum instructor with tasks according to the practicum instructor's instruction. And it was shown that practicum instructor's education․training․ supervision of trainees was insufficient. Third, in output, for the most part, practicum instructor was 1:1 matched with trainee. And the hours, frequency and duration of practice was sufficient. However, it was shown that more frequency․duration of supervision was required. Fourth, in outcome, trainees were generally satisfied with lifelong education practicum program and an effect was produced. And they became interested in choosing the long educator job. It was shown that, through lifelong education institute, lifelong education program and lifelong educators, connection․cooperation with community and interaction between generations was accomplished. Fifth, with regard to improvements, it was necessary to select․designate an educational institution for training a lifelong educator, and actively give support and incentive such as budgetary support and incentive in inviting the public to a prize contest for best projects. Therefore, this study is intended to provide theoretical and empirical data on training a lifelong educator who has expertise and an increase in the quality of lifelong education practicum program to train a lifelong educato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