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독교대학의 정체성 구현을 위한 전공교육체제 개발 연구

        이은철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23 기독교교육논총 Vol.- No.7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major education system to realize the identity of a Christian university. For the study, I searched for previous studies and found studies that developed the capabilities of Christian universities. and through prior research, a content system was created to educate the identity of a Christian university. The content system was created in low-medium-high stages. The content system consists of achievement standards according to stages. First, 24 achievement standards were organized for the low stage, 31 achievement standards for the medium stage, and 33 achievement standards for the high stage. and this study developed a curriculum operation model that can operate the content system. The curriculum operation model was composed of a major curriculum, mentor curriculum,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and non-curricular curriculum using the 4C/ID model. This study developed a major education system by developing a content system and a major curriculum operation model that can embody the identity of a Christian university. Through this, it is expected that a practical major curriculum that can embody the identity of a Christian university can be operated. 연구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학령인구 감소와 기독교에 대한 호감도 감소로 인해 사회에 대한 교회의 영향력이 감소한 가운데 교회의 부흥과 기독교대학의 발전을 위해 기독교 학교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있는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기독교대학의 정체성 구현 할 수 있는 전공교육체제를 개발하는 것이다. 연구 내용 및 방법 : 본 연구의 내용은 기독교 대학의 정체성을 기반으로 내용 체계를 구성하고, 내용 체계를 운영할 수 있는 교육과정 운영 모형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먼저 문헌 분석을 통해서 내용 체계를 구성할 수 있는 기독교 대학의 역량 모형을 탐색하였고, 이를 기초-기본-심화 3단계의 교육내용 체계로 구성하였고, 기초단계는 24개의 성취 기준을 구성하고, 기본 단계는 31개의 성취 기준, 심화 단계는 33개의 성취기준을 편성하였다. 다음으로 4C/ID 모형을 이용하여 전공교육과정, 멘토린 교육과정, 교양교육과정, 비교과교육과정으로 구성된 전공교육과정 운영 모형을 구성하였다. 결론 및 제언 : 본 연구는 기독교대학의 정체성을 구현할 수 있는 내용 체계와 전공교육과정 운영 모형을 개발하여, 전공교육체제를 개발하였다. 이를 통해서 기독교 대학의 정체성을 구현할 수 있는 실제적 전공교육과정이 운영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국가 수준 교육과정 및 미술과 교육과정 문서 체제 비교 연구

        이주연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0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5 No.1

        차기 교육과정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이 때, 각 나라의 현행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 및 미술과 교육과정의 문서 체제를 살펴보는 일은 각국이 무엇에 중점을 두고 교육과정을 설계, 실시, 운영하는가를 알아보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및 미국, 영국, 호주, 일본을 선정, 교육과정의 문서 체제를 비교하였다. 강력한 국가 주도의 교유고가정이 실시되는 우리나라 및 일본의 경우 교육과정 총론의 문서 체제에 준하여 미술과 교육과정이 기술되어 있으며, 제시 형태도 유사하였다. 미국, 호주의 경우 각 주별로 교육과정이 독립적으로 개발, 운영되기 때문에 총론 및 각론의 문서 체제는 관련성이 적으며, 국가 단위의 교육과정이 존재하나 지역 교육청과 학교에 자율권이 많이 부여되는 영국의 경우 단계별로 성취수준에 따라 미술과 내용이 기술되어 있다. 새 교육과정의 개발을 위하여 교육과정 문서 체제에 대한 연구는 각 교과별 교육과정 목표를 구현하기 위하여 교과별 교육과정 문서 체제를 어떻게 구성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으로부터 출발하여야 할 것이다. The curriculum framework(or the structure) of the 7th Korean National Art Curriculum set out 5 categories, characteristics of art education as a subject, subject objectives, art contents(attainment targets and level descriptions), instructional strategies and methods, and assessment. This curriculum framework has been applied to the curriculums in every subjects since the 1st Korean National Curriculum was promulgated. Now it is time to think about a new National Curriculum and National Art Curriculum. However a general framework for the new one is not yet discussed, whether it is necessary or unnecessary for each subject including art education could be consider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a) to compare and analyze the curriculum frameworks of the current National Curriculum and the current National Art Curriculum of 5 different countries, The Republic of Korea,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The United Kingdom of Great Britain, Australia, and Japan, and 2) to consider whether we should maintain the curriculum framework which applied to every subjects so far.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curriculum frameworks of the National Curriculum and the National Art Curriculum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Japan were same, and 2) those of the two curriculum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the United Kingdom of Great Britain, and Australia were not same. In the latter three countries, curriculum frameworks were not easy to be found. It is expected that it is time to consider the curriculum frameworks of art subject itself for the development of the new Korean National Art Curriculum.

      • KCI등재

        교육과정 자율화에 따른 교육과정 문서 체제의 개선 방향 탐색

        이승미 ( Seung Mi Lee ) 안암교육학회 2013 한국교육학연구 Vol.19 No.3

        본 연구에서는 교육과정 자율화에 따라 교육 현장에서 활용될 수 있도록 국가 교육과정 문서 체제의 개선 방향을 탐색하고자 선행 연구 분석, 전문가 협의회, 델파이 조사 등을 수행한 결과, 국가 교육과정 문서 체제의 요건으로 ‘목표 제시’, ‘내용 제시’, ‘절차 제시 등의 교육과정 문서 체제의 역할과 ‘접근성’, ‘가독성’, ‘명료성’, ‘활용성’ 등의 교육과정 문서 체제의 적절성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교육과정 문서 체제의 요건을 교육과정 문서 체제로 구현하기 위해서는 교육과정 문서의 종류, 교육과정 문서 체제의 역할, 교육과정 문서 체제의 적절성이 서로 관련성을 가지고 구현되어야 하되, 우리나라의 국가 교육과정 문서 체제에서는 특히 가독성을 중심으로 명료성과 활용성을 제고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하며, 문서의 종류와 교육과정 문서 체제의 역할에 따라 지침의 상세화 정도가 결정되어야 한다는 점을 제언하였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research the improvement of the national curriculum documents which is suitable for the curriculum autonomy. The main procedure of this study was using the method of the analysis of the preceding studies, experts` meeting, and the delphi method.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like these. The requirements of the curriculum documents consist of the roles of the curriculum documents to help teachers` implementation and the requisites for the curriculum`s relevance as a document; The roles of the curriculum documents was deduced as ‘aims’, ‘contents’ and ‘procedure’, and the requisites for the curriculum`s relevance was deduced as ‘accessibility’, ‘readability’, ‘clarity’ and ‘usability’. To make the national curriculum documents with those requirements, the close linkage among the types, the roles and the relevance of the curriculum documents have to be considered. Moreover, the readability of the curriculum`s relevance has to be more stressed to intensify ‘clarity’ ‘usability’ of our national curriculum document, and the extend of the National Curriculum`s slimming should be decided according to the linkage among the types and the roles of the curriculum documents.

      • KCI등재

        싱가포르와 호주의 지리과 교육과정 분석을 통한 우리나라 역량기반 교과 교육과정 문서 체제의 대안적 방향 고찰

        김선영(Kim Sun-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23

        본 연구는 우리나라 교과 교육과정이 역량기반의 접근을 취한다고 할 때, 교과 교육과정 문서 체제를 설계하는 대안적 방식을 사회(지리 영역)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찾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의 역량기반 사회과 교육과정 문서 체제의 현황과 문제점을 확인하고, 이후 우리나라보다 먼저 역량적 접근을 시도해온 싱가포르와 호주 지리과 교육과정의 문서 체제에 대한 분석을 통해 우리나라 역량기반 교과 교육과정 문서 체제의 대안적 방향을 탐색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역량기반 사회과 교육과정은 지향하고 있는 역량을 단순히 나열하는 항목이 아니라, 그것에 대한 충분한 설명과 이해가 이루어질 수 있는 항목을 도입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또한, 역량의 성취를 가능하게 할 수 있는 교육내용의 제시및 그러한 교육내용 사이의 연계성을 나타낼 수 있는 항목, 실질적인 교수·학습 속에서 역량이 성취되는 과정에 영향을 주는 항목을 마련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lternative ways of designing the document system for subject curriculum in order to achieve competency, and to focus on Social studies(geography domain) curriculum. To this end, this study identified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Korea s competency-based Social studies curriculum document system, and explored alternative directions of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document system by analyzing the document systems of Singapore and Australia geography curriculum that presents the competency-based approach. As a result, this study suggested that Korea s competency-based Social studies curriculum need to introduce an item that can be fully explained and understood, rather than simply listing he competencies it is aiming for. It also proposed that an item should be prepared that would present educational contents that could enable achievement of competency, but that items that could emphasize the link between such educational content, and items that affect the process in which competency is achieved in practical teaching and learning.

      • KCI등재

        The New task for the Preparation of Middle school teachers in Korea

        정영수 한국교원교육학회 2002 한국교원교육연구 Vol.19 No.1

        이 연구는 중등교사양성체제의 발전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논의의 틀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먼저 우리나라의 교사양성정책의 과거를 돌아보고, 다음으로 교사교육의 최근동향을 살펴본 후에, 교사양성체제의 주요 쟁점을 검토한다. 마지막으로, 교사양성체제 개편의 방향과 전문적 질 관리를 위한 추진과제를 밝히고, 교사양성체제의 새로운 방향에 관한 제언을 한다. 교사교육의 주요 동향은 교사교육과정의 책무성 강화, 교사양성프로그램의 표준개발과 평가, 현장학교와의 협력체제 구축 및 현장실습의 강화, 학습자중심의 전문성 개발, 탐구와 사고중심의 교사교육, 전문성 수준의 평가방법으로서 포트폴리오 활용, 교사교육프로그램의 효과적 모형개발을 위한 연구 활성화, 교사교육의 대안적 프로그램 모형, 교사양성과정의 다양한 모형, 그리고 성공적 교사교육프로그램의 특성 개발 등 10가지로 제시된다. 다음으로 교사양성체제 개편에 관한 주요 쟁점을 논의하고 있다. 이 논의는 독립변수로서의 교사양성기관의 유형이나 통폐합에 초점이 있는 것이 아니라 과정변인으로서의 교사양성과정의 질 관리 수준에 초점을 두고 있다. 즉 교육자원과 시설 활용의 효율화, 교육연구인력의 활용을 권장하는 컨소시움 체제로의 전환, 지역사회 중심의 교육센터로서의 기능과 역할 제고, 질 높은 교사양성체제 구축을 위한 지속적 지원, 교사양성기관 담당자들의 개혁을 위한 노력 등이 그것이다. 전문적 질 관리를 위한 추진과제로서 교사교육과정의 표준 설정, 교사양성교육프로그램의 재구성 및 전문연구팀, 교사양성기관의 평가인증 수준에 따른 정책지원의 차별화, 교사양성기관의 특성화 및 협력체제 구축, 전문적 개발을 위한 협력학교 육성 지원, 교사교육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지원기관의 확충 및 적극 지원, 우수교사양성에 초점을 둔 교원종합정책의 틀 마련, 교사임용통로의 이원화 등이 제시되고 있다.

      • KCI등재

        국가교육과정기준 문서 체제 개선방안

        이병호 ( Byoung Ho Lee ) 한국교육과정학회 2009 교육과정연구 Vol.27 No.4

        국가교육과정기준 문서는 국가 교육과정의 기준과 토대를 설정·제시할 뿐만 아니라, 교육과정의 최종실행자인 교원들의 교육과정적 전문성과 자율성, 그리고 책무성을 향상시켜 교육의 효과성을 높이기도 한다. 그러나 우리나라 국가교육과정기준 문서는 개발자, 관리자 중심으로 개발되어 대부분의 교원들이 읽지 않고, 활용도 않고 있는 현실이다. 이에, 본 연구는 우리나라 교원들이 쉽게 읽고 자주 활용할 수 있는 국가교육과정기준 문서 체제의 개선방안을 탐구하는 데에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첫째, 국가교육과정기준 문서의 체제에 대하여 탐색하였다. 둘째, 좋은 국가교육과정기준 문서의 주요특성을 설정하였다. 셋째, 우리나라 국가교육과정기준문서체제의 현황과 문제점을 검토하였다. 끝으로 국가교육과정기준 관련문서와 국가교육과정기준 문서의 체제 개선방안을 탐색 제시하였다. 본 연구가 2009 개정 교육과정 개발 등, 국가교육과정기준 문서 체제 개선에 유용한 자료가 되기를 기대한다. The National Curriculum Standards Documents presents or establishes not only the national curriculum standards and the platforms, but also improves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 by elevating the curricular professionalism, autonomy, and accountability of the teachers who are the last executives of the education. However, the said documents have been developed only for the use of developers and managers. Thus, most Korean teachers neither read nor use them. For this reas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ways for the improvement of the National Curriculum Standards Documents so that Korean teachers can read and use them easil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n the first place, this study analyzes the structural system of national curriculum standards documents. Secondly, this study establishes the important traits of the good national curriculum standards documents. Thirdly, this study reviews the present situation and problems of Korea`s National Curriculum Standards Documents. Lastly, this study explores the ways of improvement of a manual of national curriculum standards documents and the guidelines for the composition and management of Metropolitan and Provincial Educational Authorities, and National Curriculum Standards Documents.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that Korea`s National Curriculum Standards Documents must reduces the volume and kinds of national curriculum standards documents, and must develop the system of documents that all teachers can read and use them easily for enhancing their professionalism, autonomy, and accountability of the curriculum literacy. Thes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of great use in developing the system of 2009 National Curriculum Standards Documents.

      • KCI등재

        교과 교육과정 기준 문서 체제의 개선에 관한 연구 - 한국, 미국, 영국의 과학과 교육과정 문서 비교를 중심으로

        이병호(Byoung-ho Lee),홍후조(Hoo-jo Hong) 한국비교교육학회 2008 比較敎育硏究 Vol.18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교과 교육과정 기준 문서 체제를 구성하는 주요 요소를 1) 성격ㆍ역할ㆍ기능, 2) 구성 체제, 3) 진술 및 제시 방식으로 보고, 선행 연구와 관련 문헌 고찰, 한국, 미국, 영국의 과학과 교육과정 문서 체제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우리나라 교과 교육과정 기준 문서 체제의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BR>  연구 결과, 우리나라 교과 교육과정 기준 문서 체제는 다음과 같은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 교과 교육과정 기준 문서의 역할과 기능을 현재의 교과용 도서의 집필과 제작의 토대에서 교사의 교과 교육과정 재구성과 실행에 필요한 지식과 정보 제공 등으로 확대할 필요성이 있다. 둘째, 교과 교육과정 기준 문서의 구성 요소를 현재의 성격, 목표, 내용, 방법, 평가의 5가지에서, ‘교과교육과정의 중요성’, ‘교과의 맥락’, ‘교육내용 기준’, ‘성취 목표’, ‘교사의 전문성 개발 및 교육’, ‘교과 교육과정의 계획과 평가’, ‘교수?학습 자료의 평가 준거’ 등으로 확대할 필요성이 있다. 셋째, 교과 교육과정 기준 문서의 진술 및 제시 방식은 교사를 주된 독자로 하고 교사가 이해하고 활용하기 쉬운 용어로 자세히 진술 및 제시할 필요성이 있다. 넷째, 교과 교육과정 기준 문서를 부연 설명하며 활용도가 낮은 현행 교과 교육과정 해설서를 교과 교육과정 기준 문서로 통합시켜 교과 교육과정 기준 문서의 역할과 기능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초등학교와 중등학교의 구성 체제 및 진술?제시 방식을 다르게 하고, 학교와 교사의 교과 교육과정 의사 결정권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mprove the system of subject curriculum standards by comparing the system of subject curriculum standards of Korea, the United States, and the United Kingdom. The comparison is focused on, 1) the character, role, and function of subject curriculum standards, 2) the component elements of subject curriculum standards, and 3) the presentation style of subject curriculum standards.<BR>  The study presents the following suggestions.<BR>  First, the role and function of subject curriculum standards of Korea should be changed from the presentation of educational purpose and contents to providing knowledge and information to the teachers for the reconstruction and implementation of subject education. Second, the component element of subject curriculum standards should be expanded and diversified into the content standards, assessment standards, standards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teachers, subject program standards and performance standards of teachers. Thirds, when the subject curriculum standards are stated and presented, teachers are supposed to be the main audience.

      • KCI등재

        국가 교육과정 총론 문서 장-절-항의 새로운 구성안 제안 연구

        한진호,홍후조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22 교육과정평가연구 Vol.25 No.3

        본 연구는 현행 교육과정에 대한 비판적 이해와 바람직한 교육과정에 대한 창의적인 개발이라는 교 육과정학의 탐구에 기초하여 더 나은 국가 교육과정 총론을 개발하기 위해 문서의 구성체제, 특별히 장-절-항의 새로운 구성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선행연구를 통해 개발의 주요 관점을 사회․학습자․교과의 균형적 고려, 요강화(要綱化), 단위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 자율성 확대 등으로 설 정하였다. 이후 우리나라의 역대 국가 교육과정 총론의 구성체제를 비교·분석하였고, 탐색적 차원에서 향후 과제를 ‘국가·사회적 측면의 반영, 학습자 발달 및 세대 특성에 부합하게 하고 진로와 연계, 교과 특성의 보장과 총론-각론 간의 안정적인 연계, 단위학교의 자율성 강화, 차별화된 특징 포함’ 등으로 제안하였다. 또한 핀란드와 영국의 국가 교육과정 총론과 질 높은 교육과정 프레임워크로 알려진 IB의 사례를 비교·분석하여 우리나라 국가 교육과정 총론에 주는 시사점을 ‘문서 구성체제가 문서의 성격을 드러낸다는 점, 단위학교의 교육과정적 자생력을 추동한다는 점, 미래지향적 교육 담론을 반영하여 문 서에 체계적으로 반영한다는 점, 활용도 면에서 확장성을 띤다는 점’ 등으로 도출하였다. 이러한 문헌연구와 비교연구를 바탕으로 국가 교육과정 총론 문서 장-절-항의 새로운 구성안을 제 안하기 위해 우선으로 연구자들의 기초 아이디어들을 명제화하여 교육과정 전문가 35명에게 설문조 사를 실시하고 내용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최종 개발된 구성체제는 크게 ‘교육의 방향과 목표, 각론 구 성, 교육과정 실행지침’의 대영역으로 총 3개 장, 19개 절, 60개 항으로 이루어졌으며, 이전과 차별화 되거나 특징적인 부분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그 연구 범위의 방대함과 면밀한 타당성 검증 작업이 후속되어야 한다는 측면에서 일정한 한계를 지닌다. 그러나 이러한 교육과정적 논의를 통해 ‘어떤 교 육과정 문서가 좋은 것인가?’라는 질문을 모든 교육과정 연구자에게 던지며 이들의 숙의를 촉발하는 계기가 되었으면 하고 기대하는 바이다. This study aimed to present the new document composition system, especially of chapter-section-paragraph for the development of better national curriculum frameworks. For this, this study established the major perspectives of development through preceding researches. After comparatively analyzing the composition system of previous national curriculum frameworks of Korea, this study proposed the future tasks in the exploratory dimension. Also, by comparatively analyzing the national curriculum frameworks of Finland and Britain, and the case of IB(International Baccalaureate) known as high-quality curriculum framework, this study drew the implications for the national curriculum frameworks of Korea. In order to propose the new document composition of chapter-section-paragraph of national curriculum frameworks based on such literature review and comparative study, first, the content validity was verified by conducting a survey on the researchers’ basic ideas targeting some experts in curriculum. The finally-developed composition system was composed of major areas such as Curriculum Platforms, Curriculum Frameworks, and Curriculum Guidelines including total three chapters, 19 sections, and 60 paragraphs, which presented the characteristic or differentiated parts from the past. This study has a bit of limitation as the close verification of validity should be followed up because of the enormous research scope. However, this discussion of curriculum could become a chance to trigger every researcher’s deliberation by questioning about ‘What kind of curriculum is good?’.

      • KCI등재

        국제비교를 통한 국가교육과정기준 총론 구성 체제의 개선

        임유나 ( Yoo Na Lim ),홍후조 ( Hoo Jo Hong ) 안암교육학회 2014 한국교육학연구 Vol.20 No.1

        국가교육과정 총론은 우리나라 학교교육이 어떠한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 것인가에 대한 청 사진을 보여주고 길잡이 역할을 한다. 또한 교육과정을 어떠한 형식과 내용으로 구성하는가는 학생들이 받게 되는 “교육 경험의 질” 과 밀접하므로, “양질의 교육 기준”을 제공하기 위한 국가교육과정기준 문서의 구성 체제나 하위 내용의 중요성은 매우 크다. 그러나 현행 우리나라 국가교육과정기준 문서는 학교의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기준 제공 및 안내로서의 역할과 기능, 그리고 사용 측면에서 문제점이 많아 개선할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되어 왔다. 이에 본 연구는 우리나라 교육과정 총론의 구성 체제상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외국의 사례들로부터 시사점을 얻고 개선안을 제안하기 위하여 뉴질랜드, 핀란드, 영국, 싱가포르 국가교육 과정기준 총론 문서의 구성 체제를 비교·분석하여 보았다. 분석 결과, 4개국의 교육과정 총론 문서들은 약간의 편차는 있지만, 공히 구성 체제의 기본 뼈대라고 할 수 있는 문서 궁성의 축(대영역)이 “도입, 기본 방향, 각론 구성의 틀, 실행 지침과 지원, 부록”의 5가지로 이루어져 있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국가교육과정기준 총론을 개선하기 위한 관점을 “내용적 측면”에서는 “종합성·체계성”으로, “기능적 측면”에서는 “기준성·혁신성”으로, “사용적 측면”에서는 “가독성·편의성”으로 보고, 누구나 쉽게 접근하여 사용할 수 있고, 이해하기 쉽고, 보고 싶고 읽고 싶은 교육과정 문서로의 변화를 전제하여 국가교육과정기준 총론 문서의 구성 체제 개선안을 주요 연구 결과로 제시하였다. The National Curriculum Standards show a blueprint of what direction Korean school education should take as a guiding role. Since the constructional forms and contents of curriculum are closely related to the “quality of educational experience” received by students, the importance of the constructional format and sub-contents of National Curriculum Standards for providing “high-quality educational standards” is very huge. However, the current Korean National Curriculum Standards document shows many problems in the aspect of roles, functions and its use. In order to understand problems of the constructional format of Korean National Curriculum Standards, and also to suggest implications and improvement measures from foreign cases, this study comparatively analyzed the constructional formats of National Curriculum Standards of New Zealand, Finland, England and Singapore. As a result, the Curriculum documents of those four countries are comprised of five areas which are the basic frame of the constructional format, including introduction, curriculum platforms, curriculum frameworks, curriculum guidelines, and appendix. As measures to improve Curriculum Standards, “comprehensiveness and systematization” were viewed in the “aspect of contents”, “standardization and innovation” in the “functional aspect”, and “readability and convenience” in the “aspect of use”. And we suggested the improvement measures of constructional format of National Curriculum Standards.

      • KCI등재

        역량기반 교육과정에서 가치와 태도를 담아내는 방법: 2015 개정 교육과정과 IBDP의 수학과 교육과정 문서 체제의 비교

        김빛나,조현영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8

        Objectives This study analyzes curriculum documents in order to consider a way to reflect not only knowledge and skill but also value, attitudes for the curriculum pursuing competency development. In particular, it was intended to examine the significance and implications of the document system establishment method in the curriculum to cultivate competency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the mathematics curriculum, which is a common high school subject, and IBDP. Methods Considering the similarity in content between the 2015 national curriculum and the IBDP's mathematics and curriculum documents, vision, subject goals, content,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evaluation were selected as analysis target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item was compared in a species system. Results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external and internal systems were presented and implications were drawn. Results The two curriculums were designed with the purpose of cultivating knowledge, skills, values, and attitudes in a balanced way. However, when comparing the structure of the two curriculum documents, each curriculum showed differences in the order of presenting the subject area, the method of connection, the tense and background context of the statement, and the definition of simplification and detailing to be delivered. In particular, it showed a difference in the way that values and attitudes were explicitly or implicitly understood through which areas and how they were dealt with. Conclusions In this paper, the 2015 national curriculum and the IBDP mathematics curriculum have similar goals and orientations, bu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way they deal with knowledge, skills, values and attitudes. Curriculum for capacity building should aim for a balanced development of values and attitudes as an affective aspect. Therefore, a comparison of the 2015 national curriculum and the IBDP curriculum document structure will give meaningful implications on how the curriculum document as a formal curriculum elicits different learning experiences. 목적 본 연구에서는 역량 함양을 추구하는 교육과정에서 지식과 기능 요소뿐만 아니라 가치와 태도 측면을 교육과정에 반영하기위한 방안에 대하여 교육과정 문서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특히 고등학교 공통과목인 수학과 교육과정과 IBDP의 수학과교육과정 문서와의 비교 분석을 통해 역량 함양을 위한 교육과정에서의 문서 체제 구축 방식에 대한 의의와 시사점을 고찰해 보고자하였다. 방법 2015 개정 교육과정과 IBDP의 수학과 교육과정 문서에서 내용적 유사성을 고려하여 비전, 교과 목표, 내용, 교수학습 방법, 평가 등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한 후 각 항목 간 관계를 종 체제로 비교하였다. 외적, 내적 체제 분석에 따른 결과를 제시하고 시사점을도출하였다. 결과 지식, 기능, 가치와 태도를 균형 있게 함양하는 것을 목적으로 설계를 시도한 두 교육과정의 문서 체제를 비교해 본 결과, 각각의교육과정은 영역을 제시하는 순서와 연계 방법, 진술어의 시제와 배경 맥락, 전달하고자 하는 바를 얼마나 구체화 혹은 대강화 하여제시하는지, 특히 가치와 태도 측면을 어느 영역에서 어떻게 다루는지를 통해 가치와 태도를 명시화하거나 암묵지화 하는 방식으로차이를 보였다. 결론 본 논의에서 비교한 2015 개정 교육과정과 IBDP 수학과 교육과정 문서 체제는 상호 유사한 목표와 지향점을 갖고 있음에도불구하고 지식과 기능, 가치와 태도를 다루는 방식에서 차이를 발견할 수 있었다. 특히, 역량 함양을 위한 교육과정이 가치와 태도라는 정의적 영역에 대한 균형적 발달을 지향한다는 점에서 2015 개정 교육과정과 IBDP 교육과정의 문서 체제의 비교는 형식적 교육과정으로서 문서 체제의 차이가 어떻게 서로 다른 학습의 경험을 유발할 수 있는지에 대한 의미 있는 시사점을 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