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교류분석 집단상담프로그램이 보호관찰 위기청소년의 자아상태와 분노조절에 미치는 효과 -보호관찰 여자 위기청소년 중심으로-

        김다윤(Da yun, Kim),김미례(Mi Rye, Kim) 한국교류분석상담학회 2019 교류분석상담연구 Vol.9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교류분석 집단상담프로그램이 보호관찰 위기청소년의 자아상태와 분노조절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G광역시에 소재한 보호관찰 중인 여자 위기청소년 22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 11명과 통제집단 11명으로 나누어 실험집단 11명에게 교류분석 집단상담프로그램을 2018년 8월 30일부터 2019년 2월 8일 동안 주 1회 90분씩 8회기를 총 3회 실시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류분석 집단상담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 보호관찰 위기청소년이 통제집단보다 자아상태가 기능적으로 활성화 되었다. 둘째, 교류분석 집단상담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 보호관찰 위기청소년이 통제집단보다 더 효과적으로 분노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교류분석 집단상담프로그램이 보호관찰 위기청소년의 자아상태와 분노조절에 효과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들에 대한 함의와 추후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transactional analysis group counseling program on ego state and controlling anger of Youth at a Crisis in Probation To that end target 22 youth at a women crisis in probation in G Metropolitan City probation. into 11 experimental groups and 11 control groups. to 11 experimental groups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exchange analysis was conducted three times, 90 minutes per week, from August 30, 2018 to February 8, 2019.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probation crisis youth who participated in the transactional analysis group counseling program has a ego state became more functionally active than the control group.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probation crisis youth who participated in the transactional analysis group counseling program had a higher degree of anger control than the control group. this suggests the exchange transactional analysis group counseling program of probation crisis youth is effective in controlling the ego state and controlling anger. finally, we discussed th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 KCI등재

        교류분석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양육시설 아동의 자기효능감과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효과

        모지희(Ji Hee Mo),김정은(Jung Eun Kim) 한국교류분석상담학회 2024 교류분석상담연구 Vol.14 No.1

        본 연구는 양육시설 아동을 대상으로 교류분석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자기효능감과 의사소통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 대상은 경상북도 양육시설에 거주하고 있는 초등학생 10명을 모집하여 실험집단 5명, 통제집단 5명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는 대상자의 자발적 참여와 생명윤리위원회의 사전승인을 받아 2023년 5~6월 5주간 총 10회기, 주 2회 50분씩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효과성 검증은 측정변수에 대해 동질성 검정을 위하여 비모수 검정인 맨-휘트니 U 검정(Mann-Whitney U Test)을 실시하였으며,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집단 간 사전․사후검사의 변화량의 차이는 비모수 검정 방법인 윌콕슨 부호 순위 검정(Wilcoxon’s signed-rank test)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효과성 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대한 동질성을 검증한 결과 두 집단은 동질한 집단으로 나타났다. 둘째, 프로그램 실시 후 실험집단 평균과 통제집단 평균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자기효능감과 의사소통능력에서 모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언과 한계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s of an Transactional Analysis group counseling program on self-efficacy and communication ability of children in foster care facilities. Ten elementary school children living in foster care facilities in Gyeongsangbuk-do were recruited and selected as five experimental and five control groups. The study was conducted for a total of 10 sessions for 50 minutes twice a week for 5 weeks from May to June 2023, with the consent of the subjects' voluntary participation and prior approval of the Institutional Review Boar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is study, the Mann-Whitney U Test, a non-parametric test, was used to test the homogeneity of the measured variables, and the Wilcoxon's signed-rank test, a non-parametric test, was used to test the difference in the amount of change from pre- to post-test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The results of the study's effectiveness verification were as follows First, the homogeneity of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was verified, and the two groups were found to be homogeneous. Seco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means after the program was implemented was compared, and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both self-efficacy and communication ability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Finally, sugges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presented.

      • KCI등재

        해병대 부적응 병사의 개인역량과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연구 : 교류분석 집단상담 중심으로

        서혜석,김정은 한국군사회복지학회 2014 한국군사회복지학 Vol.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해병대 부적응 병사를 대상으로 교류분석(Transactional Analysis; TA) 집단상담을 활용하여 개 인역량과 의사소통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참가신청자 30명을 실험집단(15명), 통제집단(15명)에 각각 무선 배정하여, 사전․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실험집단은 각 회기별 120분씩 1일 8시간 3일 동안 총 12회기로 제공되었다.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을 위해 Wilcoxon Matched-Pairs Signed-Ranks Test와 Mann-Whitney U Test가 활용되었다. 연구 분석결과, 집단상담 에 참여한 실험집단 대상자들은 개인역량과 의사소통에 긍정적으로 효과가 나타났다. 이것은 여러 가지 급변하는 어려운 한계 속에서 해병대 병사의 개인역량과 의사소통의 갈등과 정서적, 심리적 부분을 다루는 관련 임상실천 현장에서 활용가능성을 제시하는 데에 의의와 큰 성과라 할 수 있다.

      • 교류분석이론을 적용한 집단상담이 직장인의 각본변화에 미치는 효과성에 관한 연구

        송희자,이명재 한국교류분석학회 2010 교류분석연구 Vol.1 No.1

        이 세상에 부정적인 환경을 사는 것은 빠른 변화와 맹렬한 경쟁이라는 특색을 지니며, 사람들은 쉽게 좌절하고, 자신만의 진가와 가치를 잃어버린다. 그래서 연구원(필자?)은 이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TA를 이용한 집단 상담의 효과를 조사하기로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OK gram과 각본검사의 점수는 사전 검사를 실시할 때에 실험집단과 통제 집단의 유의미한 차이가 없을 것이다. 연구문제 2. TA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에는 실험집단에서는 OK gram과 각본 검사의 점수에 유의미한 변화가 있을 것이다. 이 진술에 따라 교류분석이론에 의한 집단상담의 실제적인 측정을 위해 연구자는 실험 에 참가한 연구 대상자들을 2004년 10월부터 12월까지 실시한 ‘직장인을 대상으로 한 정 신훈련프로그램(원고에는 ’인간관계훈련‘)’에 참가한 참석자 6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모 형 연구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만들어졌다. 실험대상은 조직에서 하위직에 위치한 직장인 60명 중 무작위로 실험 집단의 30명과 통제 집단의 30명으로 구분하였다. 실험집단은 TA 이론에 따른 각 집단상담프로그램에 대하여 6시간 내에 5회기의 프로그램을 가졌다(진행했다). 반면에 통제집단은 어떠한 유 형의 프로그램도 갖지 않았다. 그 훈련프로그램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실험집단과 통 제집단의 프로그램 실시 전과 후에 OK-gram과 각본 검사의 평균 점수를 t 검증하였다. 또한 참가자들이 지각하게 된 프로그램 참가자의 변화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소감문을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과 처리는 SPSS(V11.0)을 이용하였다. 또한 마지막 세션에 소감문을 쓰게 하였으며 수집, 분석했다. 프로그램 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유의수준 p<0.05의 점수는 어떤 의미 있는 차이도 없었기에 두 그룹이 동질 집단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더욱이 각본에 있어서 실험 집단 프로그램의 사전, 사후를 비교하여 본 결과 실험집단에서 프로그램 전에 패자각본을 갖 고 있던 사람이 프로그램 이후 성공 각본을 갖는 효과가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리고 그 차이는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인생의 태도를 측정하는 OK-gram에서도 'I - OK'(자기긍정) 와 'Others - OK'(타인긍정)의 명확한 증가와 'I-not-OK'(자기부정)와 'Oth

      • KCI등재

        교류분석상담 이론을 활용한 집단상담이 성폭력 가해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자율성 및 대인관계 변화에 미치는 효과

        서혜석(Hye Seok Seo),김희숙(Hee Suk Kim) 한국교정상담심리학회 2022 교정상담학연구 Vol.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교류분석상담 이론을 활용한 집단상담이 성폭력 가해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자율성및 대인관계 변화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는 데 있다. 참가신청자 20명을 실험집단(10명)과 통제집단(10명)에 사전과 사후 검사를 진행하였다. 실험집단 진행은 2021년 1월부터 2월까지 각 회기별 120분씩매주 1회 8주 간에 걸쳐 제공되었다. 집단상담 실시 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동질성 검증을 위해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으며, 집단상담 효과성을 측정하기 위해 먼저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각변인들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였다. 마지막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공변인을 사전검사로 하고, 종속변인을 사후검사로 하여 공변량(ANCOVA)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질적인평가로서 연구자와 관찰자 중심기법을 사용하였다. 연구 분석 결과, 교류분석상담 이론을 활용한 집단상담은 성폭력 가해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자율성 및 대인관계 변화에 미치는 효과가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본 연구는 여러 가지 급격하게 변화하는 어려운 한계 속에서 성폭력 가해 청소년의자아존중감, 자율성 및 대인관계 변화의 갈등과 정서적, 심리적인 부분을 다루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교정상담 관련 기관과 청소년상담 관련 임상 현장에서 본 집단상담의 활용 가능성을 제공하는 데에큰 성과와 의의라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s of group counselling using transactional analysis on self-esteem, autonom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of adolescent sexual offenders. 20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10 participants), the control group (10 participants), and pre- and post-tests were conducted. The group counselling took place from January 2021 to February 2021, The experimental groups did these tests for 120 minutes once a week for 8 weeks. The t-test an was performed on an independent sample to an test homogeneity for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before performing this program, and was mean and standard deviation calculated for each variable to test the effectiveness of group consultation after experimental treatment. ANCOVA analysis putting the pre-test score with the covariate variable and post-test with dependent variable was performed to verify whether the program was effective and consistent. Also for subjective evaluation observers and researchers focus techniques were used. The result revealed that group counselling by transactional analysis positively influenced on self-esteem, autonomy, and interpersonal relations change for adolescent sexual offenders. This study's great achievements and meaning revealed the possibility of using this program in practical and clinical fields related to counseling for adolescents and institutions related to correctional counseling, which deals with interpersonal relations and the troublesome, emotional and mental part of psychological well-being for adolescent sexual offenders where there are many kind of rapidly changing hard limits.

      • KCI등재

        교류분석을 활용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장희선 한국교류분석상담학회 2012 교류분석상담연구 Vol.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자활사업에 참여한 대상자에게 교류분석이론에 입각하여 자율성 회복을 위 한 집단프로그램을 제공함으로써 자율성 회복과 재결단을 통한 자활사업의 주체적 참여와 근 로의욕을 고취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상자들이 경험하는 다양한 환경적 맥락 속에서의 경험을 나타내는 언어적 표현들의 의미를 파악하기에 적합한 주제 분석(thematic analysis) 방법 을 이용하였다. 프로그램은 총 10회로 1회 240분으로 구성되었으며, 이고 그램을 통한 성격분 석, 집단토론, 집단상담, 동영상, 등 다양한 매체를 활용하여 진행되도록 설계하였다. 참여자들 의 집단 경험을 주제별로 범주화하면 14개의 소주제와 5개의 본질 주제로 범주화 하였다. 이 연구에서 소개된 자율성회복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자활사업에 참여한 대상자의 자존감을 적 극적으로 반영하여 개발된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교류분석(TA)상담 이론을 적용한 집단상담이 대학생의 대인관계 변화, 자율성,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효과성 연구

        서혜석(Seo Hye Seok),김건숙(Kim Kun Suk),이윤형(Lee Yun Hyung) 한국교정상담심리학회 2016 교정상담학연구 Vol.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교류분석(TA)상담 이론을 활용한 집단상담이 대학생의 대인관계, 자율성,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참가신청자 20명을 실험집단(10명)과 통제집단(10명)에 각각 무선 배정하여,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은 각 회기별 120분씩 매주 1회 8주간에 걸쳐 제공되었다. 프로그램 실시 전 실험집단, 통제집단의 동질성 검증을 위해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으며 실험처치 후 집단상담의 효과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각 변인들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 여부와 지속성을 확인하기 위해 사전점수를 공변인으로 하고, 사후검사를 종속변인으로 하여 공변량(ANCOVA)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분석결과, 교류분석상담 이론을 활용한 집단상담은 대학생의 대인관계, 자율성,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효과가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여러 가지 급변하는 어려운 한계 속에서 대학생의 대인관계, 자율성, 심리적 복지감의 갈등과 정서적, 심리적인 부분을 다루는 실천 임상현장에서 본 프로그램의 활용가능성을 제시하는 데에 의의와 큰 성과라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that group counselling by transactional analysis influence on interpersonal relations` change, autonom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for university students. 20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an experimental group(10 students) and a control group(10 students) and pre and post test was performed. Experimental group and comparative group were given sessions during 8 weeks, which one session offered for 120 minutes` group counselling once a week. t-test on independent sample was performed to test homogeneity for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before performing program, and calculated mean and standard deviation for each variable to test effectiveness of group consultation after experimental treatment. ANCOVA analysis putting pretest score with covariate variable and posttest with dependent variable was performed to verify whether the program was effective and consistent. The result revealed that group counselling by transactional analysis positively influence on interpersonal relations` change, autonom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for university students. This study has a meaning and great achievements to present the possibility of using this program in practical and clinical field, which deals with interpersonal relations, autonomy, and the troublesome, emotional and mental part of psychological well-being for university students where there are many kind of rapidly changing hard limits.

      • KCI등재

        교류분석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자아상태, 자아존중감 및 대인관계 증진에 미치는 효과

        방소희,이동훈 한국상담학회 2013 상담학연구 Vol.14 No.4

        본 연구는 대학생의 자아상태, 자아존중감 및 대인관계 증진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적용하고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P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학생상담센터 홈페이지에 본 프로그램을 홍보하여 참가를 희망하는 학생 23명을 모집하였다. 프로그램 중도 탈락자를 제외하고 프로그램은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각 8명으로 구성되었다. 실험집단에는 교류분석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주 1회 3회기씩 총 10회기를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측정도구는 자아상태, 자아존중감, 대인관계척도를 사용하였고, 공변량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교류분석 집단상담에 참가한 대학생들의 지속적인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추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후검증 결과에서 실험집단의 대학생 자아상태에는 변화가 없었으나, 추후검증에서 어른 자아가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후검증 결과에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긍정적 자아존중감은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나, 추후검증에서는 효과가 지속적으로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사후검증 결과에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대인관계의 하위변인인 신뢰감이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 추후검증에서는 대인관계 전체 및 하위변인인 의사소통, 개방성, 이해성에서 유의미 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논의 및 시사점이 제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effects of transactional analysis group counseling program on the ego-state, self-esteem,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of college students.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for 16 participants in 2 group and 8 participants each were divided into the experiment and control group. The program was applied to the experiment group, consisted of total 10 sessions over 4 weeks, with 3 sessions a week. The employed statistical analysis was ANCOVA. The tests were comprised of 3 scales such as Ego-gram Check List(ECL), Self-esteem Scale,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Scale. The pre-, post-, and follow-up tests were implemented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In order to assess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he journals of participants and the levels of satisfaction were also analysed.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program did not provide any change for the activation of ego-state of college students. Second, the program was not effective on the increasing of total score of self-esteem on control group, while sub-variable of positive self-esteem was effective. Third, the program was not effective on the total score of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of while sub-variables of communication, openness, understandability were effective. In the one-month follow-up test of experimental group, adult-ego has been changed and the scores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were improved.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of self-esteem. The findings and implica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교류분석 집단상담이 육군병사의 우울, 무망감, 군 생활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이길구 한국군사회복지학회 2016 한국군사회복지학 Vol.9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육군 병사의 교류분석 집단상담이 우울, 무망감, 군 생활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를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육군 부대에서 의뢰 된 병사를 대상으로 각 15명으로 무선 배정하여 실험집단, 비교집단, 통제집단에 참여의사를 밝힌 병사를 선정하여 사전-사후-추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각 회기별120분씩 총 8회기로 이루어졌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1.0 통계 프로그램으로 사용 하였으며, 연구의결과는 다음과 같다. 교류분석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육군병사들의 우울, 무망감, 군 생활 스트레스 미치는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것은 급변하는 군사회복지 실천현장에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육군 병사의 정서적, 심리적, 정신건강을 다루는 관련 임상실천가들에게 활용가능성을 제시하는데 큰 의의와 성과라 할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transactional analysis group counseling on army soldiers’ depression, hopelessness, military life stress. For this purpose, random assigned with 15 people each, by selecting the soldiers said to the experimental group, the comparison group, the control group involved, pre-post-further test was carried out. Eight sessions were performed in 120 minutes each session, the collected data were used SPSS WIN 21.0 statistical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ransactional Analysis group counseling program was confirmed that the effect of depression, hopelessness effects, stress of Army soldiers’ military life . This can be referred to rapidly changing military social work in difficult environments and results in even greater significance given the chance to take advantage of relevant clinical practitioners dealing with the emotional, psychological and mental health of soldiers in the Army field to practice.

      • 심리극프로그램이 자아상태에 미치는 영향 : TA의 이고그램(Egogram)을 토대로 하여

        김광조,박현경 한국교류분석학회 2006 교류분석과 심리사회치료 연구 Vol.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여자실업고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집단상담프로그램 중 심리극을 적용하여 성격의 성숙도에 이바지하는데 있다. 즉, 청소년들의 창의성개발, 자율성과 협동성을 조장하는 전인교육을 위하여 실시하는 심리극을 이용한 프로그램이 5가지의 자아상태(성격)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가정하였다. 연구대상은 대전에 있는 X여자상업고등학교 1학년 8명을 실험집단으로 구성하였으며, 같은 1학년 10명을 통제집단으로 하였다. 심리극프로그램은 그 효과성을 높이기 위하여 첫째, 참석한 학생들에게 필요한 사항을 중심으로 한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둘째, 참석한 학생들이 그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자율적이고 즐거운 프로그램 개발하고자 하였다. 또한 학생들의 집단장면에서는 어디든 적용될 수 있는 보편성을 띤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그 역점을 두었다. 본 프로그램은 심리극이 성격의 변화를 가져 올 수 있게 계획을 하였으며 짧은 시간에 최대의 효과를 얻기 위해 단계적으로 자아상태의 변화가 있도록 프로그램을 구성하려고 했다. 측정도구는 Dusay(1973)가 개발한 이고그램 50문항을 사용하였다. 프로그램실시 기간은 1997년 5월에서 7월에 걸쳐 실시되었으며 사전검사는 첫번째 모임을 시작하기 전에 실시되었고, 중간검사는 5회가 끝나고 실시되었으며, 사후검사는 10주의 모임이 끝난 후에 가졌다. 그리고 프로그램 평가를 위한 설문 조사도 병행하였다. 분석결과 심리극프로그램이 실험집단의 자아 상태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자신의 결점 또는 부족한 부분을 남에게 밝히는 것은 약점이 되는 것으로 생각하기도 하고 자존심과 연결이 되기도 하는 민족적인 기질, 동양적인 사고 때문에 어느면에서 상담이 우리나라에 정착되기 어려운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집단상담활동을 통한 심리극프로그램이 ‘짧은 시간에 학생들의 자아상태에 변화를 가져온다는 것은 청소년의 정서적인 면을 효과적으로 성숙시키는데 효과적인 방법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교류분석이론과 심리극프로그램을 잘 활용한다면 한창 예민한 시기에 있는 청소년들의 심각한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