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유아교사의 과학교과교육학지식이 과학수업전문성에 미치는 영향: 과학수업에 대한 반성적 사고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정은 ( Lee Jeong-eun ),김경숙 ( Kim Kyung-sook ) 한국아동교육학회 2020 아동교육 Vol.29 No.1

        본 연구는 유아교사가 인식한 과학교과교육학지식이 과학수업전문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과학수업에 대한 반성적 사고의 매개효과를 밝혀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G시에 소재한 유아교육 기관의 만3-5세 담임교사 222명을 대상으로 과학교과교육학지식, 과학수업전문성, 그리고 과학수업에 대한 반성적 사고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PC+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Pearson 상관분석 및 중다회귀분석, 그리고 Baron과 Kenny의 3단계 매개회귀분석을 실시한 후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유아교사가 인식한 과학교과교육학지식과 과학수업에 대한 반성적 사고는 과학수업전문성을 설명하는 유의미한 변인이었으며 유아교사의 과학 교과교육학지식은 과학수업에 대한 반성적 사고를 매개로 과학수업전문성에 정적 방향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과학교과교육학지식 습득 뿐 아니라 과학수업에 대한 반성적 사고력을 길러줌으로써 유아교사의 과학수업전문성을 증진시킬 수 있을 것임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mediated effect of the reflective thinking within the effec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scienc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n their professionality in science teaching. A total of 222 teacher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grams located in G city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scienc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heir professionality in science lessons, and the reflective thinking about the science teaching were measured by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themselves. The analysis of the data were conducted with correlation analysis(Pearson) and 3 step mediation regression analysis(Baron&Kenny) using SPSS PC+ 21.0 program, and then Sobel Test was condu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ing.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scienc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nd reflective thinking about science lessons were variables that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teachers’ professionality in science lessons. Also,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scienc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has positive effects on their professionality in science lessons via reflective thinking.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s that we might enhance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professionality in the science teaching by improving not only their acquisition of the scienc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but also the reflective thinking about the science teaching.

      • KCI등재

        중등 공업계열 전문교과 교과서에서의 발명·지식재산 교육내용 반영 가능성 분석 연구

        이병욱,안재영,임유화 한국기술교육학회 2014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14 No.3

        This research analyzed contents of 101 industry specialized textbooks by2007 revised national-level curriculum based on core studying factors ofinvention intellectual property education so as to analyze possibilities to reflectcontents of invention intellectual property education in industry specializedtextbooks of specialized high school·meister high school, etc. Concrete results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total 754 factors of contents reflected by invention intellectualproperty education contents in industry specialized textbooks of secondaryvocational education, but total 2,943 factors of contents with possibilities toreflect invention intellectual property education contents. And, relative ratio ofreflecting situation and reflecting possibility was about 1:3.90. Second, for therelative ratio of reflecting situation by subject and reflecting possibility, therewere 1:5.81 of machine․metal subject, 1:2.98 of electronics․electricity․communication subject, 1:3.26 of construction subject, 1:1.36 of chemicalengineering․textile, 1:2.04 of other(broadcasting․media) subject and 1:3.26 ofcommon subject. Third, for the situation of possibility to reflect inventionintellectual property education contents by component areas, 1,495(50.80%) of‘main body’, 951(32.31%) of ‘others except for main body(various activitytasks)’ and 497(16.89%) of 'reading material’ showed possibilities of reflection. Relative ratio of reflecting situation and reflecting possibility was 1:4.40 of'main body', 1:4.40 of 'others except for main body' and 1:2.51 of 'readingmaterial'. Therefore, there are more possibilities to reflect invention intellectualproperty education contents in industry specialized textbooks than reflectingsituation, so it's expected to reflect more invention intellectual propertyeducation contents than the standard of current textbook. Also, there aresomewhat differences in reflecting possibility by subject and textbookorganizing sector, but it's expected to reflect more invention intellectualproperty education contents than the standard of current textbook to all thecomponent areas of all subjects and all textbooks. 이 연구는 특성화고·마이스터고 등 공업계열 전문교과 교과서에서의 발명·지식재산 교육내용 반영 가능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발명·지식재산교육의 핵심 학습 요소를 기준으로 2007 개정 국가수준 교육과정에 따른 공업계열 전문교과교과서 101권의 내용을 분석하였다. 구체적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등 공업계열 전문교과 교과서에서 발명·지식재산 교육내용이 반영된 내용 요소는 총 754개인 반면 발명·지식재산 교육내용이 반영될 가능성이 있는내용 요소는 총 2,943개였으며, 반영 현황과 반영 가능성의 상대 비율은 약1:3.90이었다. 둘째, 과목별 반영 현황과 반영 가능성의 상대 비율은 기계․금속 과목이1:5.81, 전기·전자·통신 과목 1:2.98, 건설 과목 1:3.26, 화공·섬유 1:1.36, 기타(방송․미디어) 과목 1:2.04, 공통 과목은 1:3.26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과서 구성 영역별 발명·지식재산 교육내용의 반영 가능성 현황은 ‘본문’에 1,495개(50.80%), ‘본문 외(다양한 활동 과제)’에 951개(32.31%), ‘읽을거리’에 497개(16.89%)가 반영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반영 현황과 반영가능성의 상대 비율은 ‘본문’이 1:4.40, ‘본문 외’가 1:4.40, ‘읽을거리’가 1:2.51로나타났다. 따라서 공업계열 전문교과 교과서에서의 발명․지식재산 교육내용의 반영 가능성이 반영 현황보다 높으므로, 현 교과서의 집필 내용 현황보다 발명․지식재산교육내용을 더 반영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과목별, 교과서 구성 영역별로 반영 가능성은 다소 차이가 있으나 전 과목의 모든 교과서 구성 영역에 현 교과서의 집필 내용 현황보다 발명․지식재산 교육내용을 더 반영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과학 교과교육학 지식의 본질과 발달

        임청환,Lim, Cheong-Hwan 한국지구과학회 2003 한국지구과학회지 Vol.24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evaluate the nature, role and development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science teaching. Two research questions were considered: 1) What are the nature and the components of th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science teaching? 2) What is the value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nd are there any routes and paths to develop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for science teachers? In order to answer these questions instead of analyzing empirical data, former research literatures are reviewed. The results indicate that scienc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s a special amalgam of science content knowledge and science method knowledge in a special context of science teaching that is uniquely the province of teacher based on their own special form of professional understanding. As a part of one's own distinctive bodies of knowledge, science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s an important basis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competent teachers. It is knowledge of how to teach specific content in specific contexts, also it depends on each teachers' distinctive knowledge structur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for science teaching is composed of five components: orientations toward science teaching, knowledge and beliefs about science curriculum, knowledge and beliefs about students' understanding of specific topics, knowledge and beliefs about assessment for teaching science, knowledge and beliefs about instructional strategies for teaching science. The development of scienc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does not start until teachers have acquired a deeply principled conceptual knowledge of content, also it is promoted by the constant use of subject matter knowledge in teaching situations. 본 연구의 목적은 과학 교과교육학 지식의 본질과 역할이 무엇이며 어떻게 발달하는가를 알아보는데 있다.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첫째, 과학 교과교육학 지식의 본질과 구성 요소는 무엇인가? 둘째, 과학 교과교육학 지식의 가치와 교사의 과학 교과교육학 지식은 어떻게 발달하는가? 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연구는 실증적이고 경험적인 데이터에 의한 문제해결보다는 문헌 연구를 통한 접근을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과학 교과교육학 지식의 본질은 첫째, 교사 개인이 특정한 과학 수업 상황 속에서 과학 교과를 가르치는데 사용하는 과학의 내용 지식과 과학 교수방법 지식의 합성체를 의미하는 것이다. 둘째, 교사 자신이 가지고 있는 교수를 위한 독특한 지식체로서 과학 교사 전문성의 요체가 되며, 자질 있는 과학 교사가 갖추어야 할 가장 핵심적이고 필수적인 사항이다. 셋째, 어떤 특수한 상황에서 특수한 내용을 어떻게 가르치느냐에 관한 지식으로서 이것은 각 교사마다 독특하게 구성된 지식 체계에 따라 달라진다. 과학 교과교육학 지식의 구성 요소는 과학 교수에 대한 지향, 과학 교육과정에 대한 지식과 신념, 특수한 과학 주제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에 관한 지식과 신념, 과학에서 평가에 관한 지식과 신념, 과학 교수를 위한 수업전략에 관한지식과 신념이다. 과학 교과교육학 지식의 발달은 교과 내용에 대한 개념적 지식이 충분히 형성되어야 하며, 이 내용 지식을 실제적인 교수 경험을 통하여 반복적으로 사용함으로써 발달한다.

      • KCI등재

        중등 직업교육 공업계열 전문교과 교과서에서의 발명·지식재산 교육내용 반영 실태 분석 연구

        이병욱,안재영,임유화 한국기술교육학회 2014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14 No.2

        This study analyzed the contents of 101 textbooks of industrial specialized subjects according to 2007 advised national curriculum based on key learning elements of invention intellectual property education to analyze the actual condition which reflects its educational contents in the textbooks of industrial specialized subjects including specialized․meister high schools. The concret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First, the educational contents of invention intellectual property in the textbooks of industrial specialized subjects of secondary vocational education have found that the contents related to invention intellectual property were reflected in order of A(understanding of invention), D(problem solving activities), E(invention fusion knowledge), C(problem recognition activities), B(understanding and activities of creativity) and the contents related to L(investigation of patent information), M(analysis of patent information) never were reflected. As these reflected contents have found that the educational invention intellectual property related to invention literacy and creation of intellectual property of creation, protection, utilization, and invention literacy are usually reflected, attempts to reflect the contents related to protection and utilization of intellectual property are needed. Second, subjects have found that the educational contents of invention intellectual property are very much reflected in order of common subjects, others(broadcasting & media), mechanical & metallurgical, electric, electronics & communication, construction, and chemical engineering․ fiber. And like the previous result, it was analyzed that the contents related to invention intellectual property were reflected in order of A(understanding of invention), D(problem solving activities), E(invention fusion knowledge), C(problem recognition activities), B(understanding and activities of creativity) and the contents related to L(investigation of patent information), M(analysis of patent information) never were reflected. These results showed the similar tendency by series. Third, subject areas have found that the educational contents of invention intellectual property were very much reflected in order of the body, areas except the body(activity tasks), and reading materials. 이 연구는 특성화고·마이스터고 등 공업계열 전문교과 교과서에서의 발명․지식재산 교육내용 반영 실태를 분석하기 위하여 발명·지식재산교육의 핵심 학습 요소를 기준으로 2007 개정 국가수준 교육과정에 따른 공업계열 전문교과 교과서 101권의 내용을 분석하였다. 구체적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등 직업교육 공업계열 전문교과 교과서에서의 발명·지식재산 교육내용은 A(발명의 이해), D(문제해결활동), E(발명융합지식), C(문제인식활동), B(창의성 이해와 활동) 등의 순으로 발명․지식재산 관련 내용이 반영되었고, L(특허 정보 조사), M(특허 정보 분석) 관련 내용은 전혀 반영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반영 내용은 발명·지식재산의 교육 내용 분류 영역인 창출, 보호, 활용, 발명 소양 중에서 주로 발명 소양 및 지식재산 창출과 관련된 발명․지식재산 교육내용이 반영된 것으로 나타나 지식재산 보호 및 활용과 관련된 내용 반영을 위한 시도가 필요하다. 둘째, 과목별로는 공통, 기타(방송·미디어), 기계·금속, 전기·전자·통신, 건설, 화공·섬유 계열 과목의 순으로 발명·지식재산 교육내용이 많이 반영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앞선 결과와 같이 A(발명의 이해), D(문제해결활동), E(발명융합지식), C(문제인식활동), B(창의성 이해와 활동) 등의 순으로 발명․지식재산 관련 내용이 반영되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L(특허 정보 조사), M(특허 정보 분석) 관련 내용은 전혀 반영되지 않았으며 이러한 결과는 계열별로 비슷한 경향을 나타냈다. 셋째, 교과서의 구성 영역별(본문, 본문외, 읽을거리)로는 ‘본문’, ‘본문외(활동과제)’, ‘읽을거리’의 순으로 발명·지식재산 교육내용이 많이 반영된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일반논문 : 수업 전문성의 기제로서 PCK와 내러티브의 관련성 탐구

        이윤복 ( Yun Bok Lee ),강현석 ( Hyeon Suk Kang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5 교육문화연구 Vol.21 No.4

        본 연구는 학교 현장에서 교사들에게 요구되는 가장 전문적이고 기본적인 지식이 교과 내용을 제대로 가르치는 데 관련된 지식(PCK)이라는 점에 주목하였다. 교사의 교수 행위 전문성은 다양하게 논의될 수 있는데, 그 중에서도 가장 핵심적인 사항은 학생들에게 제대로 교과의 내용을 전달하여 실질적으로 그 지식을 내면화하도록 하는 것이다. 최근 학생들에게 교과내용을 제대로 가르치기 위한 수단으로써 내러티브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였지만, 수업 전문성의 기제인 PCK 개발에서 내러티브를 활용하는 심층적인 연구는 부족하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의 주제인 교과교육학적 지식은 내러티브적인 형태로 표현이 된다는 점에서 PCK는 교사의 내러티브와 관련되어 있다. 그러므로 교사 전문성을 위해서 내러티브를 활용하여 PCK를 개발하는 일에 관심을 가져야 하며, 이는 교과 교육의 근본적인 목표인 교과 내면화를 실현하는 일이기도 하다. 교사들이 내러티브를 활용하여 PCK를 개발하는 것은 수업의 전문성을 제고하는 것이며, 학생들에게는 교육의 본질인 교과 내면화를 실현하는 방안이 될 것이다. 장차 이 양자 간의 관련성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of the realtion of PCK to narrative as tool of teaching professionalism. In schooling the basic and the most professional thing is knowledge about curriculum. What are the components and the nature of pedagogical knowledge in teaching? Shulman(1986) proposed the PCK as teaching professionalism. And recently the core of teacher`s professionality focus on PCK(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teaching a subject. In this thesis, we suggest the model for PCK through teacher`s narrative. The PCK model is composed of four dimensions : mode of narrative use, four narrative nature, elements of PCK, mode of PCK representation. The PCK model is utilizing a variety of teacher`s knowledge and experience with a narrative, and it is valuable tool for improving student`s learning.

      • KCI등재

        고등학교 미적분 수업에서 나타나는 초임교사의 교수를 위한 전문화된 수학 내용 지식(SCKT)

        고희정,고상숙 한국학교수학회 2013 韓國學校數學會論文集 Vol.16 No.1

        본 연구는 우리나라 고등학교 초임교사들의 교사지식(MKT) 중 거의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은 영역인 "교수를 위한 전문화된 수학 내용 지식"(SCKT)을 조사하여 우수한 교사를 양성하는데 시사점을 얻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경기지역에 서로 다른 학교에 근무하는 고등학교 초임교사 두 명을 연구 참여자로 그들의 미적분 수업을 중심으로 2011년 7월부터 2012년 2월까지 관찰과 면담을 실시하였다. SCKT는 수학적 개념과 성질의 문제를 설명할 수 있는 지식, 수학적 개념과 성질의 연관성을 설명할 수 있는 지식, 그리고 수학적 규칙과 절차를 설명할 수 있는 지식으로 분류되어 조사되었다. 미적분 영역에서 교사의 SCKT는 다양하게 발현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냈는데 그것은 학생의 질문에도 SCKT의 개별화된 수학지식을 제시하지 못하고 교과서의 내용을 그대로 반복하는 모습에서 알 수 있었다. 교사 스스로는 수학내용지식을 가지고 있으나 그 하위구조의 지식을 차별화하여 제시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사범대학의 교사교육에서 현장의 수학수업의 실제와 연계된 학교수학을 중심으로 하는 SCKT가 더욱 개발되고 실천될 수 있는 방안을 꾸준히 모색하여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집필자의 전문성에 따른 『한국사』 교과서의 서술 양상 -통일신라기 정치·사회경제사를 중심으로-

        정선화(Jeong, Sun-hwa) 신라사학회 2021 新羅史學報 Vol.- No.52

        본고는 고등학교 『한국사』교과서의 집필진을 대상으로 집필의 전문성에 따른 통일신라기의 서술 양상을 연구한 것이다. 조사 대상은 2007 개정 교육과정에 의한 6종 『한국사』, 2009 개정 교육과정에 의한 8종 『한국사』, 2015 개정 교육과정에 의한 8종 『한국사』 집필진 중에서 설문조사 및 심층면접에 응한 12명의 저자를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역사교과서는 본문과 다양한 형태의 학습자료로 구성되어 있다. 2007 개정 교육과정의 역사과 교과서의 집필기준에는 역사학계의 최신 연구 성과를 집필하도록 명시하였다. 이러한 교과서의 성격에 기초하여 『한국사』 통일신라기의 정치·사회경제 부분의 ‘본문 서술’과 ‘학습자료’에 대한 사실 관계 및 그 서술 변화를 살펴보았다. 먼저 Ⅱ장에서는 내용 지식에 따른 본문 서술의 집필 양상을 살펴보았다. 신라 중대 정치사 분야에서 ‘聖書’처럼 기술되었던 ‘전제 왕권’ 이라는 용어는 2015『한국사』 에서는 거의 사라졌음을 확인하였다. 상대등 권한에 대한 서술에도 변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Ⅲ장에서는 교수 내용 지식에 따른 학습자료의 활용 양상을 살펴보았다. 그래프, 도표 활용에 대한 오류 및 사료의 원문 해석이 잘못된 경우는 완전히 사라지지는 않았으나 다양성을 추구하고자 하는 변화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studied the descriptive aspects of Unified Silla according to the professionalism of writing among the writers of Korean history textbooks in high school. The survey was conducted on 12 writers who participated in surveys and in-depth interviews among by the 2007 revised curriculum, the 2009 revised curriculum, and the 2015 revised curriculum. History textbooks are composed of text and various forms of learning materials. The standards for writing history textbooks for the 2007 revised curriculum stipulated that the history community should write the latest research achievements. Based on the nature of these textbooks, we would like to examine the facts about "textual descriptions" and "learning materials" and their descriptive changes through the author"s expertise. Two main categories were reviewed to examine the professionalism of the writers. In Chapter II, we looked at the content knowledge based on the descriptions of the text, and in Chapter Ⅲ, we looked at the teaching content knowledge through the use of the study materials. Errors in graph, chart utilization, and misinterpretation of the original text of the feed did not completely disappear, but we could see the changes that wanted to pursue diversity. The analysis of the author"s perspective of the Unified Silla Period in Korean history can be summarized into four aspects. The first is the way the writers are organized. The second is the method for minimizing error generation. The third is the re-education of field teachers. The fourth is the diverse composition of Korean history textbook writers.

      • KCI등재

        초등교사의 정보교과 수업전문성 분석 및 개선 방안

        이재호,전상일 한국정보교육학회 2023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27 No.5

        이 연구는 교사의 수업 전문성이 교육의 질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바탕으로, 선행연구를 통해 개발된 초등교사의 정보교과 수업전문성 측정도구를 활용하여 교육현장의 실태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초등학교사의 정보교과 수업전문성의 정도와 개선에 대한 결론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초등교사들은 [학생이해], [유연성], [환경이해]에서 뛰어난 수업전문성을 지니고 있지만, [교육내용], [교육방법], [평가], [개발노력] 요인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평가 결과가 나왔다. 이에 대한 수업전문성 신장을 위한 대안이 필요하다. 또한 교사의 성별, 경력, 근무 지역, 학력 수준, 정보교육 전공 여부, 정보교육에 대한 선호도 및 정보교육 관련 업무경험 등이 수업전문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론을 토대로 교육 현장에서 초등교사의 정보교과 수업전문성을 더욱 향상시키고 학생 중심의 효과적인 교육을 실현하는 데 기여할 수 있는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This study analyzed the current state of education using a measurement tool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formation subject teaching expertise. The results showed that while elementary school teachers have excellent teaching expertise in student understanding, flexibility, and environmental understanding, they received relatively low evaluation results for educational content, teaching methods, evaluation, and development effort factors. Alternatives are needed to enhance teaching expertise in these areas. Various factors were found to influence teaching expertise, and based on these conclusions, we aim to propose alternatives that can further enhance the teaching expertis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information subjects and realize effective student-centered education in the field of education.

      • KCI등재

        초등교사의 정보교과 수업전문성 측정도구 개발을 위한 델파이 연구

        이재호,전상일 한국정보교육학회 2023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27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교사의 정보교과 수업전문성 측정도구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사전연구로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수업전문성에 대한 요구를 파악하고, PCK와 OECD 교사 전문성 정도 측정 기반을 기반으로 예비측정도구의 요인, 하위요인, 문항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예비 측정도구를 전문가 패널의 도움을 받아두 차례 델파이 분석을 통해 수정 및 보완하였다. 그 결과 적합도, 내용타당도, 수렴도, 합의도, 변이계수 검증을통해 측정도구의 적합성, 타당성을 확보하였고, 최종 개발된 요인은 ‘교육내용, 교육방법, 평가, 학생이해, 환경이해, 유연성, 개발노력’ 등 7개로 확정되었고, 하위요인을 ‘개념적 지식, 기능적 지식, 수업설계, 교수·학습 자료개발 및표현, 학습 촉진, 결과 해석, 학생과의 의사소통, 학생 존중, 심리적 안전감 구축, 물리적 환경 구축, 수업에 대한유연성, 도구 및 환경에 대한 유연성, 전문역량 개발, 협업 네트워크’ 등 14개로 확정되었고, 문항은 35개 문항으로확정되었다.

      • KCI등재

        핀란드와 미국 자국어 교사용 지도서의 기능과 특징

        정혜승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5 교육과정평가연구 Vol.18 No.3

        이 연구는 교사용 지도서가 교과서 해설서로 교과서 종속적인 자료로 기능하는 데에서 나아가 교사 전문성 개발을 위한 교사 교과서로서의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고 전제하면서, 핀란드와 미국의 대표적인 교사용 지도서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두 나라 교사용 지도서는 다양한 교육 자료의 허브기능, 사용자 편의성을 고려한 체제와 편집, 교사의 전문가적 실천을 위한 교수내용지식(PCK)의 적시적 제공, 평가 체계 구축을 통한 다양한 목적의 평가와 학생 수준별 교수 지원 측면에서 우리나라 국어과 교사용 지도서 개발에 의미 있는 시사점을 줄 수 있다고 보았다. 특히, 기존의 교사용 지도서가 교사 독자를 학생에게 교과서를 가르치는, 고급 교과서 소비자로 보면서 교과서 지문에 대한 해설과 지도 방법을 제공하는 데 중점을 두고 개발되어 온 방식을 지양하고, 교사의 전문성 개발과 실천에 기여하는 교사 교과서로 질적 개선을 이루어내기 위해서 이들 교사용 지도서가 독자인 교사를 교육 전문가로 상정하고, 그의 전문가적 실천과 발전을 위하여 필요한 자원을 지원하는 방안을 구체적으로 보여주고 있는 점은 눈여겨볼 필요가 있다. The study assumed that teacher’s guidebooks must not only provide supplementary materials and resources as a curriculum guide for teachers but also perform the role as teacher’s textbooks for the development of teachers’ professionalism, and analyzed the typical teacher’s guidebooks in Finland and the United States. According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e teacher’s guidebooks of the two countries function as the hub of diverse education information, and are compiled in consideration of users’ convenience. They offer th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in a timely manner for teachers’ professional practices, suggest evaluation methods of diverse purposes, and provide teaching plans customized to various ability levels of students. Given this, the teacher’s guidebooks of the two countries offer the meaningful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guidebooks for Korean language teachers. Especially, the teacher’s guidebooks of Finland and the United States avoid the existing development method, which is focused on providing resources related to texts in a textbook and lesson plans for teachers, and instead have improved the quality of teachers’ guidebooks to help improve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practices, teacher’s guidebooks. And it is worth noting that the teacher’s guidebooks of the two countries presume individual teachers as education experts and offer substantial resources necessary for teachers’ professional practices and develop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