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척골충돌증후군의 수술 중 관절경 소견

        이윤민,송석환,김동진,조완재 대한수부외과학회 2020 대한수부외과학회지 Vol.25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preoper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findings and intraoperative arthroscopic findings in ulnar impaction syndrome, and to assess the necessity of the arthroscopic evaluation in ulnar shortening osteotomy.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46 patients of idiopathic ulnar impaction syndrome, treated by ulnar shortening osteotomy and arthroscopic evaluation, from February 2012 to June 2018. In preoperative MRI and intraoperative arthroscopy, lunate, triquetrum, triangular fibrocartilage complex (TFCC) and lunotriquetral ligament were evaluated. Results: The chance to see the findings of chondromalacia of the lunate and triquetral cartilage in arthroscopy (58% and 2%) was less than the findings of abnormal signal intensity of the lunate and triquetrum in MRI (65% and 22%). The incidence of TFCC lesion in arthroscopy (89%) was almost equal with that of abnormal signal intensity of TFCC in MRI findings (87%). But there were 24 cases (52%) where the prediction of triangular fibrocartilage lesions in MRI was incorrect. In 19 cases (41%), arthroscopic findings were not appropriate with the disease stage of Palmer’s original classification. Conclusion: Although some recent reports say that arthroscopic surgery is not necessary in the treatment of ulnar impaction syndrome, we could confirm the value of arthroscopic evaluation for the identification of ulnocarpal pathologies. We would like to recommend the arthroscopic evaluation of ulnocarpal joint at the same time of the ulnar shortening procedure. 목적: 본 연구는 척골충돌증후군에서 수술 전 MRI 소견과 수술 중 관절경 소견을 비교하고 척골 단축술과 동시에 시행하는 관절경 술식의 효용성을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방법: 2012년 2월부터 2018년 6월까지 척골 단축술과 동시에 관절경 술식을 시행한 4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수술 전 자기공명영상검사와 수술 중 관절경에서 월상골, 삼각골, 삼각섬유연골복합체, 월상삼각골간 인대를 평가하였다. 결과: 월상골과 삼각골의 연골연화증은 관절경(60%, 2%)에서 자기공명영상검사(67%, 22%)보다 더 적게 관찰되었다. 24예(52%)에서 수술 전 자기공명영상검사와 수술 중 관절경에서 삼각섬유연골복합체 소견이 일치하지 않았다. 삼각섬유연골복합체의 병변은 관절경(89%)과 자기공명영상검사(87%)가 비슷하게 관찰되었다. 하지만, 19예(41%)에서 관절경 소견이 Palmer의 분류와 일치하지 않는 소견을 보였다. 결론: 최근 보고에서 척골 단축술과 동시에 시행하는 관절경 술식에 대한 논란이 있지만, 관절경 술식은 척수근관절의 병변에 대한 정확한 진단이 가능하여 척골 단축술과 동시에 시행하는 것이 진단과 치료에 보다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동종 반월상 연골 이식 후 이차 관절경 소견 및 MRI를 이용한 임상적 결과

        전재균 ( Je Gyun Chon ),송인수 ( In Soo Song ),김준범 ( Jun Beom Kim ),정현윤 ( Hyun Yoon Jeong ),이창수 ( Chang Soo Lee ) 대한슬관절학회 2009 대한슬관절학회지 Vol.21 No.1

        목적: 동종 반월상 연골 이식술 후 이차 관절경 소견 및 자기공명영상을 통해 이식물의 변화를 관찰하고 그 임상적 결과를 보고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7년 7월부터 2007년 2월까지 동종 반월상 연골 이식술을 시행 받은 환자에서 이차 관절경 검사와 자기공명영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25 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 중 남자는 16명, 여자는 8명이었다. 3예는 자기공명영상 추시 없이 이차 관절경 검사만 시행하였다. 평균 연령은 36.1세, 평균 추시기간은 28.0개월(6.0개월∼7.0년)이었다. 이차 관절경 검사 시 2예에서는 조직검사를 시행하였다. 환자의 기능적 평가는 Lysholm score, Knee society score (KSS) system, The hospital for special surgery (HSS) knee score를 이용하였다. 결과: 이차 관절경 검사상 25예 중 23예에서 이식물이 변연부와 완전한 치유소견을 보였다. 25예 중 5예에서 후각부의 크기가 감소되어 있었다. 자기공명영상에서는 전 예에서 이차 관절경 검사와 일치된 소견을 보였다. Lysholm score는 술 전 평균 65.4점에서 술 후 평균 80.6점, Knee society score (KSS) system에서는 슬관절 점수가 평균 64.6점에서 평균 82.6점, 기능적 점수가 평균 70.2점에서 평균 85.6점, The hospital for special surgery (HSS) knee score에서는 평균 66.4점에서 평균 82.5점으로 향상되었다. 모든 기능 테스트에서 수술 후에 기능이 향상되었고, 이는 paired t-test로 평가되었다(p=0.000). 결론: 동종 반월상 연골 이식술은 이식된 연골이 주변조직과 함께 완전히 치유되었고 임상적으로도 호전되어 반월상 연골 결손환자의 치료에 유용한 방법이라고 생각되고, 임상적으로 문제가 있는 환자의 평가에 있어서는 MRI 검사 후 관절경술을 통한 확인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linical results and the changes of allogenic meniscal transplantation by using the second look arthroscopic findings and the MRI changes after surgery. Materials and Methods: From July 1997 to February 2007, among the patients that underwent allogenic meniscal transplantation, we chose 25 patients who underwent secondary arthroscopic evaluation. 16 of these 25 patients were men and 8 were women. Secondary arthroscopic evaluation was done without MRI in 3 cases. The mean age was 36.1 yr and the average follow up period was 28 months. Biopsy by the secondary arthroscopic evaluation was done in 2 cases. We evaluated the clinical results by the Lysholm knee scoring scale, the Knee Society Score (KSS) system and the Hospital for Special Surgery (HSS) knee score. Results: Second-look arthroscopy after allogenic meniscal transplantation revealed that 23 cases seemed normal at the probing procedure. 5 cases showed a decreased posterior horn size. The MRI findings and secondary arthroscopic findings matched in all cases. The clinical Lysholm score improved from preoperative 65.4 points to postoperative 80.6 points, the Knee Society Score (KSS) improved from preoperative 64.6 points to postoperative 82.6 points, the functional score improved from preoperative 70.2 points to postoperative 85.6 points and the Hospital for Special Surgery (HSS) knee score improved from preoperative 66.4 points to postoperative 82.5 points (p=0.000). The function after surgery improved on all the tests and this was proved by paired t-tests. Conclusion: Allogenic meniscal transplantation showed good results on the second look arthroscopy and the follow-up MRI and according to the clinical functional outcome. We think that confirmation through arthroscopy after follow-up MRI for the patients with clinical knee problems seems to be necessary.

      • KCI등재후보

        수근관절 골간 인대 손상이 요수근 및 중수근 관절경 소견

        김병성(Byung-Sung Kim),최원식(Won-Sik Choy),이광원(Kwang-Won Lee) 대한정형외과학회 2004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39 No.1

        목적: 수근관절 골절 및 병변의 진단에서, 중수근 관절경과 요수근 관절경에서 관찰되는 주상 월상 인대 및 월상 삼각인 대소견을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수근관절 골절 및 병변으로 진단된 환자 중 중수근 및 요수근 관절경 검사가 동시에 시행 된 41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원위 요골 골절이 31예였고, 삼각 섬유연골 복합체 손상 10예였다. 요수근 관절경과 중수근 관절경상 주상 월상 인대 및 월상 삼각 인대 소견을 Geissler분류에 의거, 등급을 분류해 비교하였다. 결과: 주상 월상 인대 이완은 요수근 관절경상 14예인데 비해 중수근 관절경시 20예가 진단되었고, 월상 삼각 인대 이완은 요수근 관절경시 13예인데 비해 중수근 관절경시 19예가 진단되어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1). 결론: 수근관절 관절경 검사시 중수근 관절경 시행 없이 요수근 관절경 검사 단독으로 시행할 경우에 비해, 중수근 관절경 검사를 추가로 시행하면 주상 월상 및 월상삼각 인대 손상유무와 그 정도를 판단하는 데 더욱 유리할 것으로 판단된다. Purpose: To analyze the findings of midcarpal and radiocarpal arthroscopic examinations in the diagnosis of wrist trauma and pathology focusing on interosseous ligament laxity. Materials and Methods: Forty-one midcarpal arthroscopic examinations were performed in conjunction with radiocarpal arthroscopic examinations. Thirty-one wrists with distal radius fracture and ten wrists with triangular fibrocartilage complex tear were included. Scapholunate and lunotriquetral ligament laxity was graded by using the Geissler classification and radiocarpal and midcarpal arthroscopic findings were compared. Results: For scapholunate findings midcarpal arthroscopy confirmed radiocarpal findings in 14 cases and provided a diagnosis in 6 cases. For lunotriquetral findings midcarpal arthroscopy confirmed radio-carpal findings in 13 cases and provided a diagnosis in 6 cases. Conclusion: Midcarpal arthroscopy added mo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ormation to the results of radio-carpal examination than wrist arthroscopy performed without a midcarpal examination.

      • 급성 전방십자인대 손상의 진단에 있어 관절경 소견과의 비교분석을 통한 자기공명영상의 유용성

        최종혁,윤한국,김보람,윤춘식,Choi, Chong-Hyuk,Yoon, Han-Kook,Kim, Bo-Ram,Yoon, Choon-Sik 대한관절경학회 2005 대한관절경학회지 Vol.9 No.1

        목적 : 급성 전방십자인대의 손상에 있어 자기공명영상의 진단적 정확성 및 파열양상에 대한 유용성을 관절경 검사소견과의 비교연구를 통해 알아보았다. 대상 및 방법: 2002년 1월부터 2004년 6월까지 급성 슬관절 손상을 받고 임상적으로 전방십자인대 손상이 의심되어 자기공명영상검사를 시행한 후 이어서 관절경검사를 시행받은 환자 60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급성 전방십자인대의 손상에 있어 자기공명영상의 진단의 정확도, 파열양상에 대한 유용성에 대하여 관절경검사소견을 기준으로 양성예측도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자기공명영상에서 불연속성을 보인 52례 모두에서 관절경검사상 전방십자인대 손상이 확인되었다. 파열양상에 있어서는 파열부위, 전반적인 부종, 국소 부종의 확인에 있어서는 관절경검사소견과 자기공명영상소견이 모두 일치한 결과를 보였고 원위부 허탈, 복합파열의 확인에 있어서는 정확도가 떨어지는 결과를 보였다. 결론: 급성 전방십자인대 손상의 자기공명영상의 소견은 관절경적 소견과 대체로 일치하였으며 특히 파열 양상에 있어서는 파열부위, 전반적인 부종, 국소부종의 확인에 있어서 매우 정확한 것을 갈 수 있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accuracy of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in the diagnosis of acute anterior cruciate ligament (ACL) injury and its tear pattern in comparison with arthroscopic finding. Materials and Methods: Sixty consecutive patients with acute ACL injury were taken NRI followed by arthroscopic examination between January 2002 and June 2004. MRI findings were reviewed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ACL discontinuity, diffuse swelling or thickening, focal edema, collapse on distal end, and any combined tear. The pathologic findings were then confirmed arthroscopically. The diagnostic accuracy of MRI on ACL tear pattern was analyzed by obtaining its positive predictive value. Results: All fifty two cases with presence of discontinuity on MRI showed ACL rupture arthroscopically. The location of ACL tear, diffuse swelling and focal edema on MRI also corresponded with arthroscopic findings respectively. However, the diagnostic accuracy of MRI was relatively lower in the presence of other ACL patterns such as collapses and combined tear. Conclusion: Preoperative MRI findings seem to be in accordance with arthroscopic findings and is significantly accurate in detection of location and diffuse swelling and focal edema of ACL tear.

      • 퇴행성 슬관절염에서 미세 천공술후 재생된 연골의 임상 및 병리조직학적 연구

        배대경,윤경호,소재근,Bae, Dae-Kyung,Yoon, Kyoung-Ho,So, Jae-Keun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 2005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Vol.4 No.1

        목적: 퇴행성 슬관절염 환자에서 관절경을 이용한 미세 천공술 후 재생된 연골의 임상적, 방사선학적 그리고 조직병리학적 결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7년 10월부터 1998년 12월까지 관절경을 이용한 미세 천공술로 치료한 퇴행성 슬관절염 환자 46명, 48례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평균 연령은 56세이었고 평균 추시기간은 1년이었다. 이차관절경술은 수술 후 6개월에 22명, 24례에서 시행하였다. 임상적 평가는 최종추시 시에 Baumgaertner의 슬관절 기능 평가 방법에 의해 시행하였다. 이차관절경술을 시행한 24례에서 일반 조직학적 검사를 시행하였고 제2형 교원질의 존재를 확인하기 위하여 18례에서는 면역 조직화학적 검사를 시행하였으며 12례에서는 Western blotting test를 시행하였다. 정량화된 제2형 교원질의 양에 따라 세군으로 나누고 임상적, 방사선학적, 이차관절경 소견, 환자의 나이 그리고 체중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임상적 결과는 43례(90%)에서 우수, 5례(10%)에서 양호의 결과를 보였다. 이차관절경술을 시행한 24례중 21례에서 연골결손 부위의 80%이상이 재생된 연골로 덮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재생된 연골은 조직학적으로 초자연골과 섬유연골로 이루어진 혼합형 연골이었다. 면역 조직화학적 검사 및 Western blotting test결과상 정도의 차이는 있었지만 전례에서 제2형 교원질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었다. 정량화된 제2형 교원질의 양이 많을수록 수술 전 내반변형의 정도는 적었고 이차관절경소견상 재생된 연골의 범위가 넓었으며 이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요약 및 결론: 퇴행성 슬관절염 환자에서 관절경을 이용한 미세 천공술은 연골 결손 치료에 있어 유용한 치료방법으로 사료되며 이러한 재생된 연골이 지속적인 체중 부하에 의해서 생역학적인 변화를 일으키지 않고 얼마나 유지 할 수 있는지는 보다 장기적인 추시 관찰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clinical, radiological and histopathological results after microfracture surgery for degenerative arthritis of the knee. Materials and Methods: From Oct. 1997 to Dec. 1998, 48 knees in 46 patients were treated by microfracture technique. Their mean age at the time of operation was 56 years(range, 40-75 years) and mean period of follow-up study was one year(range, 7-20 months). For 24 knees in 22 patients, 'second-look' arthroscopies and biopsies were performed at 6 months following microfracture. At the last follow up clinical results were evaluated with Baumgaertner's scale. The specimens of 24 cases were stained with H-E, Safranin-O, and Masson's trichrome. Eighteen of 24 cases were stained immunohistochemically and the Western blotting test was performed on 12 cases for type II collagen. We analyzed the relationship of the Western blotting for type II collagen with clinical score, preoperative varus deformity, joint space widening in radiological result, extent of repaired articular cartilage in '2nd-look' arthroscopic findings, patient's age and weight. Results: Clinical results were excellent in 90% and good in 10%. Among the 24 knees, more than 80% of areas of chondral defect were covered with regenerated cartilage in 21 knees Histologically, the repaired tissue appears to be a hybrid of hyaline cartilage and fibrocartilage. Repaired cartilage contains variable amounts of type II collagen with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The results of the Western blotting test were similar. The amounts of type II collagen formation had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extent of repaired cartilage and preoperative varus deformity. Conclusion: 'Second-look' showed that the chondral defect areas were covered with newly grown grayish white tissue. Articular cartilage repair was confirmed with histological and immunohisto-chemical study qualitatively, and the amount of type II collagen was calculated with the Western blotting test quantitatively. The exact nature and fate of repaired cartilagenous tissues need further long term follow-up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the rationale to select osteoarthritic patients indicated for microfracture surgery.

      • 슬개대퇴관절 불안정성에서의 관절경적 All-inside 관절막 중첩술 및 외측 지대 유리술 (수술 술기)

        김재화,조덕연,윤형구,김정열,Kim, Jae-Hwa,Cho, Duck-Yun,Yoon, Hyung-Ku,Kim, Jung-Ryul 대한관절경학회 2006 대한관절경학회지 Vol.10 No.1

        목적: 슬개대퇴관절 불안정성에 대한 치료 방법 중 하나인 관절경적 all inside 관절막 중첩술 및 외측 지대 유리술을 소개하고자 한다. 방법: 슬관절의 관절경적 기본 검사 후, 관절경을 전내측 도달법을 개설하여 위치한 후, 외측 지대의 근위부에서 원위부까지 유리술을 시행하기 위하여 상외측 도달법을 개설하여 관절경 scissor를 위치한다. 슬개골의 가장자리부터 5 mm에서 1 cm정도에서 외측 지대 유리술을 시행한다. 외측 지대 유리술 후, 관절경을 전외측 도달법을 개설하여 위치한 후, 상외측 도달법을 개설하여 5 mm 배관을 삽입하고, 조작용 상내측 삽입구를 개설한다. 경피적으로 만곡 침을 상내측 삽입구를 통해 통과시킨 후 봉합사를 상외측 삽입구를 통해 회수하는, all inside 수기로 시행된다. 결론: 근위부 재정렬을 위한 여러 가지 관절경적 방법이 제시되었지만, 대부분이 내측 절개를 이용한 관절경 보조수기 방법들이었다. 관절경적 all inside 관절막 중첩술 및 외측 지대 유리술은 기존의 관절경 보조 수기 방법들에 비해 내측 절개를 피함으로써 내측 광사근에 손상을 주지 않는 점에서 장점을 가진다. 이 수기는 최소 침습적이면서 직접 관찰하면서 내측 슬개대퇴 인대의 긴장의 정도를 조절하기가 쉬운 수술 수기로 사료된다. Purpose: We introduce a technique of all inside arthroscopic capsular imbrication and lateral release used to treat patellofemoral instability. Methods: With the arthroscope in the anteromedial portal for best viewing, the arthroscopic scissor is placed through superolateral portal for proximal to distal release. The release performed 5mm to 1cm from the edge of the patella. After completion of the procedure, with the arthroscope in anterolateral portal, we inserted 5mm cannula in superolateral portal and made working portal from superomedial portal. Medial reefing was performed with all inside technique by using curved needle of the spectrum suturing system and No. 1 monofilament PDS suture is passed through the superomedial portal percutaneously and retrieved through a superolateral portal. Conclusion: Several methods for arthroscopic patella realignment have been proposed, but they have consisted primarily of arthroscopically assisted techniques using a medial incision. We believe that our procedure is preferable to arthroscopically assisted methods commonly used, in that an incision is avoided and the vastus medialis obliqqus is not violated. Our technique is minimally invasive and is easy to control the tightness of the medial patellofemoral ligament (MPFL) under direct vision.

      • KCI등재후보

        관절경을 이용한 관절내 원위 요골 골절의 치료

        박민종(Min Jong Park),하성한(Sung Han Ha) 대한정형외과학회 2004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39 No.3

        목적: 관절내 원위 요골골절의 치료 시 관절경을 사용하였던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적 결과를 평가하여 수술 시 관절경의 유용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원위 요골의 관절내 골절로 관절경을 이용하여 수술을 시행하고 1년 이상 추시 가능하였던 환자 2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모든 환자에게 관절경을 시행하였으며 14예의 1㎜ 이상 전위된 관절내 골절의 정복과 고정은 11예에서 관절경의 도움 하에서 정복을 시도하고 경피적 핀 고정을 시행하였고 3예는 제한적인 절개를 통한 관혈적 정복을 추가로 실시하였다. 수술 후 최종 기능의 평가는 방사선 촬영의 분석과, 관절운동 범위, 파악력 측정 등 객관적 자료와 동통, 기능 상태, 관절운동, 근력, 환자의 만족도를 통한 종합적인 평가 시스템인 Modified Mayo Wrist Scoring System을 이용하였다. 결과: 전례에서 방사선 촬영 결과 요골 단축, 요골 원위 관절면의 층형성과 간격은 모두 1㎜ 이하였으며 파악력은 정상 측에 대하여 평균 87.3%, 운동범위는 89.6%였고 Modified Wrist Score는 평균 91.8점(범위 75-100)이었다. 결론: 관절내 원위 요골 골절 환자의 치료에서 관절경을 이용한 수술은 합병증을 줄이고 기능을 보다 향상 시킬수 있는 좋은 치료 방법으로 사료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usefulness of wrist arthroscopy for treating intra-articular fractures of the distal radius. Materials and Methods: Twenty-two patients with intra-articular fracture of the distal radius received arthroscopic surgery. Fourteen patients with displaced intra-articular fractures were managed by arthro-scopically assisted reduction and fixation. Three patients were treated with limited open reduction and fixation. We analysed the radiologic results, and measured the ranges of motion and grip strengths. Fuctional results were evaluated using the Modified Mayo Wrist Scoring System. The postoperative follow-up period averaged 16.8 months. Results: All showed articular step-off of less than 1 ㎜ on wrist X-rays taken at the final follow-up (mean 0.3 ㎜; range, 0-1 ㎜). The mean arc of range of motion was 89.6% of that on the uninjured side, and the mean grip strength was 87.3% of that of the uninjured side. The average Modified Wrist Score was 91.8 (range, 75-100). Conclusion: Arthroscopic-assisted surgery is an useful method that provides excellent results with few complications in the treatment of intra-articular fractures of the distal radius.

      • 반월상 연골 동종 이식술 후 이차 관절경 소견

        최정기,손일진,이춘택,김성재,Choi Jeong-Ki,Son Il-Jin,Lee Chun-Tek,Kim Sung-Jae 대한관절경학회 2003 대한관절경학회지 Vol.7 No.2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rthroscopic findings of the transplanted human allogenic meniscus including MRI changes at follow up. Materials and Methods : From Oct. 1999 to Jun. 2002, nine patients underwent arthroscopic evaluation at follow-up. We used nonirradiated cryopreserved meniscus allograft for 6 cases and fresh-frozen for 3 cases. We used bone-plug method for medial meniscus and bone-bridge method for lateral meniscus to fix the transplanted meniscus. The average follow-up time was 13 months. We evaluated the result by lysholm score, MRI and second-look arthroscopic finding. Results : The second-look arthroscopy after allogenic meniscal transplantation revealed that grafts were well incorporated with surrounding capsular tissue. But one case showed wear on the post horn and the other case which was operated at other local clinic showed tear of the anterior hem due to non-anatomic placement of bone bridge. There was improvement of average Lysholm score form 64 to 87. Conclusion : Second-look arthroscopy revealed excellent incorporation of the allograft with firm attachment and early clinical results are satisfactory. But further studies are necessary to assess whether meniscal transplantation can prevent progressive degenerative changes. 목적 : 반월상연골 동종 이식술을 시행 후 2차 관절경적 소견 및 자기 공명 영상을 통해 이식물의 관절 내 변화를 관찰 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9년 10월부터 2002년 6월까지 반월상 연골 동종 이식술을 시행후 이차 관절경 검사를 9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6례에서 동결 보존(cryopreserved) 반월상 연골을, 3례에서 신선 동결(fresh-frozen)반월상 연골을 이식물로 사용하였다. 내측은 골편 고정술을, 외측은 골교 고정술을 사용하였다. 술후 평균13개월째 이차 관절경 검사를 시행 하였으며 임상적 평가는 lysholm score, 자기 공명 영상 및 이차 관절경 검사소견으로 평가 하였다. 결과 : 이식된 반월상연골은 변연부에 견고하게 고정되었고 혈관 증식 역시 양호하였다. 그러나 1례에서 후각부에 경도의 마모를 보였으며, 타원에서 시술 후 내원하였던 1례에서 비해부학적 위치에의 이식으로 인한 전각부에 파열소견이 관찰되었다. Lysholm score는 술전 평균64점에서 술후 87점으로 향상 되었다. 결론 : 2차 관절경검사상 이식한 반월상연골이 변연부에 견고하게 고정 되었음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임상적으로도 증상이 호전되었으나, 향후 관절염의 진행을 예방 할 수 있는지의 여부는 보다 장기간의 추시관찰이 필요하리라 사료되었다.

      • 관절경을 이용한 대퇴골과 박리성 골연골염에 대한 치료

        김성중,경희수,인주철,이성만,Kim Sung-Jung,Kyung Hee-Soo,Ihn Joo-Chul,Lee Seong-Man 대한관절경학회 2000 대한관절경학회지 Vol.4 No.2

        목적 : 관절경 소견을 기준으로 슬관절 대퇴골과의 박리성 골연골염에 대한 치료를 시행하여 그 결과를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으로 분석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대퇴골과의 박리성 골연골염 환자 17면 19례에 대해 관절경을 시행하고 그 소견을 토대로 치료방법을 결정하였다. 관절경 관찰후에 특별한 조작을 가하지 않은 경우를 1군, 다발성 천공술을 시행한 경우를 2군, Herbert 나사로 고정을 시도한 경 우를 3군, 유리체 제거나 기저부 소파술을 시행 한 경우를 4군으로 분류하여 그 결과를 Hughston등의 방법에 의한 분석으로 우수, 양호, 보통, 불량, 실패 등으로 분류하였다. 결과 : 총 19례 중 14례$(74\%)$에서 양호 이상의 결과를 얻었다. 치료 방법에 따른 분류상 1군 중 3례(3/4)에서, 2군 중 3례(3/4)에서, 3군 중 7례(7/8)에서, 4군 중 1례(1/3)에서 양호 이상의 결과를 얻었다. Herbert 나사 고정군에서 다른 군보다 더 좋은 결과를 나타냈다. 결론 : 대퇴골과의 박리성 골연골염의 치료 방법 결정에 있어서 관절경 소견은 믿을만 한 지표로 판단되었으며, 이를 토대로 골성장판이 완전 폐쇄되기 전의 환자에서 Herbert 나사 고정술과 같이 병변부에 대하여 적극적인 재건을 시도하여 만족 할 만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Purpose : We analyzed clinical and radiological results of the treatment of osteochondritis dissecans in the femoral condyle under arthroscopic guidance. Materials and Methods : The study group consists 19 cases in 17 patients. Average follow up period was 34 months and average age was 16 years. The cases were classified by 4 different groups, using the fellowing system: Group 1-stable lesion and no specific treatment after arthroscopic examination; Group 2-early separation and multiple drilling; Croup 3-unstable lesion and Herbert screw fixation; Croup 4-loose body removal and/or crater curettage.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the criteria of Hughston which including clinical and radiologic outcomes. Results : There were 14 cases$(74\%)$ of good and excellent results in 19 knees in which, $75\%$(3/4) in Group 1, $75\%$(3/4) in Group 2, $86\%$(7/8) in Group 3 and $33\%$(1/3) in Group 4. The result of Herbert screw fixation group was better than that of other groups with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Conclusion : In the treatment of osteochondritis dissecans of skekletally immature patients, arthroscopic finding was reliable guidance in decision of treatment method and active fixation was recommended in patients with large, unstable lesion.

      • 신선 동결 동종 아킬레스건을 이용한 전방 십자인대 재건술 후 2차 관절경소견

        유재두,김성일,Yoo, Jae-Doo,Kim, Sung-Il 대한관절경학회 2007 대한관절경학회지 Vol.11 No.2

        서론: 전방 십자인대 손상 환자에서 신선 동결 동종 아킬레스건을 이용하여 관절경적 전방 십자인대 재건술을 시행 후 임상적 결과와 이차 관절경 소견을 평가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8년 3월부터 2003년 2월까지 전방 십자인대 손상 환자에 대하여 동종 아킬레스건을 이용하여 재건술을 시행 후 1년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28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연령은 3 1.2세였고, 평균 추시 기간은 16.6개월(범위: $12{\sim}26$개월)이었다. 수술 후 평가는 Lysholm 슬관절 점수, 관절 운동범위, Lachman 및 pivot-shift 검사, KT-1000 관절계를 통한 최대 도수 전위 검사상 차이를 측정하였다. 수술 후 1년 이상 경과 한 환자 중 8례에서 이차 관절경 검사를 하였다. 결과: 최종 추시 시 Lachman 검사는 정상 21례, 1등급 5례, 2등급 2례이었고, 3등급 1례가 있었다. Pivot shift 검사 상 정상 23례(82.1%), 1등급 4례(14.3%), 2 등급 1례(3.6%)로 호전을 보였다. 관절운동 범위에 제한이 있는 경우는 없었다. KT-1000 관절계를 이용한 최대 도수 전위 검사상 수술 전, 후 차이는 수술 전이 평균 6.75 mm였고, 수술 후 최종 추시 시 평균 2.46 mm였다. Lysholm 점수는 수술 전 평균73.5점에서 수술 후 평균 91.6점으로 호전되었다.(p<0.05). 합병증은 전방 십자 인대 재파열 1례, 경골부 이식건 고정부의 상처 감염 1례 있었다. 총 8례에서 이차적 관절경을 시행 할 수 있었으며, 검사에서 활액막 형성의 정도는 우수가 5례, 양호가 1례, 불량이 2례였다. 결론: 전방 십자인대 손상에서 신선 동결 동종 아킬레스건을 이용한 재건술을 시행하여 전방안정성을 회복할 수 있었으며, 2차 관절경 소견에서 양호한 활액막 형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Purpose: To assess the clinical results of ACL reconstruction with a fresh frozen Achilles allograft, retrospectively and the findings of the graft in second look arthroscopy. Materials and Methods: Twenty-eight ACL reconstructions using fresh frozen Achilles tendon allograft were included in this study between March 1999 and February 2003. The average age was 31.2 years old and the average follow-up was 16.6 months(range: 12-26 months). The clinical evaluation was done by KT-1000 arthrometer, Lysholm knee score, range of motion, Lachman and pivot-shift test. Results: In the last follow-up of Lachman test, 21 cases showed normal, 5 cases grade 1, 2 cases grade 2 and 1 case grade1. The results of pivot-shift test data, 23 cases(82.1%) were normal, 4 cases(14.3%) grade 1, 1 case(3.6%) grade 2. The mean maximum side-to-side difference was improved from 6.75mm preoperatively to 2.46mm in the last follow-up. Lysholm knee score was improved from 73.5 preoperatively to 91.6 in last follow-up. Re-rupture of the ACL graft was found in one case and one case of wound infection in the tibial incision was found. The 6 cases showed the good synovialization of the ACL graft. Conclusion: The anterior stability was restored with ACL reconstruction using fresh frozen Achilles allografts and the good synovialization was found in the second-look arthroscop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