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한국과 미국의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 분석

        김효남 ( Hyo Nam Kim ),박도영 ( Do Yong Park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09 科學敎育硏究誌 Vol.33 No.2

        과학교과서는 한국과 미국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교수 학습 자료이다. 과학교육목표와 과학교과내용의 특징을 분석하기 위하여 한국과 미국의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를 분석하였다. 한국과 미국의 1학년과 4학년 과학 교과서 각각100 쪽을 무작위로 선택하여 과학교육목표를 분석하였다. 1학년에서 6학년까지의 생명 영역의 과학 내용이 분석되었다. 한국의 1학년 과학내용은 슬기로운 생활 교과서를 분석하였는데, 슬기로운 생활 교과는 과학교과와 사회교과의 통합교과이다. 미국에서 많이 쓰이고 있는 초등학교 교과서 중 하나인 Harcourt Science의 1학년과 4학년 교과서를 분석하였다. 과학교육목표분석체계는 과학 지식, 과학적 탐구, 과학적 태도, STS, 그리고 과학 철학과 역사로 구성되어 있다. 한국과 미국의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의 내용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미국의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는 과학적 탐구 보다 과학 지식을 더 많이 포함하고 있었다. 한국의 과학 교과서는 과학 지식 보다는 과학적 탐구를 더 많이 포함하고 있었다. 미국의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는 생명 영역의 일부 주제에 대하여 한국 보다 더 어려운 내용을 다루었고, 세포나 생태계의 종류에 대해서는 여러 학년에 걸쳐 반복적으로 다루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Science textbook is the most frequently used teaching material in elementary schools of the United States and Korea.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of the United States and Korea are analyzed to find out the educational objectives and characteristics of contents shown in textbooks. About 100 pages each in the first grade and fourth grade science textbooks each nations are selected randomly for educational objective analysis. Life science contents of 1st to 6th grade are analyzed from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of the United States and Korea. The analyzed textbooks in Korea are `Wise life,` an integrated subject with social studies and science, and `science.` The analyzed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of the United States are Harcourt Science, which is one of the frequently used textbooks. The educational objective framework used includes science knowledge, scientific inquiry, scientific attitude, STS, and philosophy and history of science. The results show science textbooks of the United States emphasize scientific knowledge more than scientific inquiry. Korean science textbooks emphasize scientific inquiry more than scientific knowledge.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of the United States present some life science topics redundantly and expose more difficult topics than Korean.

      • 수리ㆍ과학 탐구 교과 관련 철학교육 방안

        윤용택 한국철학교육학회 2009 철학ㆍ윤리 교육 연구 Vol.25 No.41

        오늘날 사회는 민주화, 정보화, 세방화 사회로 되고 있고, 새로운 과학과 기술은 우리의 의식과 삶의 방식을 많이 바꿔놓고 있다. 그리고 각 나라마다 성장위주의 개발 정책으로 지구적인 환경파괴와 기후온난화가 가속화되면서 인류의 생존마저 위협을 받고 있다. 고등학교 교양 선택과목인 ‘생활과 철학’은 이 러한 상황을 반영하면서 정치․경제, 사회․문화, 지리․역사, 과학․기술 등의 영역에서 보다 근원적인 물음을 제기할 수 있어야 한다. ‘생활과 철학’이 학생들에게 좀 더 가까이 다가가려면 그들에게 적절한 수준 과 필요한 내용으로 기술되어야 한다. 그런 점에서 이번 개정시안에서 “일상적인 예화들을 먼저 제시하고 그와 관련된 철학적 이론들을 교육하는 방식을 취하고, 고등학교의 교과서들에서 언급되는 내용과 학생들이 일상에서 고민할만한 주제들로 철학 교과내용을 구성하라.”는 주문은 설득력이 있다. 그러한 목표에 도달하기 위해서 “수리ㆍ과학탐구 교과 관련 문제” 영역에서는 수학, 과학(기술) 등을 중심으로 제기되는 여러 철학적 문제들을 폭넓게 다루어야 하고, 현재 여기에 포함되어 있는 ‘지리’와 ‘역사’ 교과는 “사회 탐구교과 영역”으로 재배정해야 한다. 그리고 ‘생활과 철학’은 단순히 인문학으로 서의 한 교과목이 아니라, 언어, 문학, 예체능, 사회, 역사, 수학, 과학 등 전과목의 내용을 포괄하는 통합 교과목의 성격을 띠고 있다. 따라서 통합교과인 ‘생활과 철학’ 담당교사를 위한 철학회 차원에서의 충분한 교사 연수가 있어야 하고, 동료 철학교사들끼리의 정보교환뿐만 아니라 다른 교과 교사들과도 다양한 공동연구의 장이 필요하다.

      • KCI등재후보

        차세대 과학 교과서와 기존 과학 교과서의 STS 교육내용 비교 분석 : 지구과학 영역을 중심으로

        현지영,박신규,김중욱,정원우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08 科學敎育硏究誌 Vol.32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제7차 교육과정에 따라 편찬된 고등학교 과학 교과서와 차세대 과학 교과서를 STS적 교육내용을 중심으로 비교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STS의 내용들은 Yager의 STS 토픽과 Piel의 기준 그리고 학생들의 SATIS 활동 유형 등에 의해 분석 되었다. 연구결과, 차세대 과학 교과서는 Yager의 기준에 의한 STS 포함 비율은 20.9%로 기존 교과서의 평균인 11.3% 보다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STS 구성요소 분석 결과 차세대 교과서의 경우 ‘지역사회와의 관련성’(59%), ‘과학의 응용성’(18.2%), ‘실제 문제에 대한 협동 작업’(13.6%) 순이었다. 차세대 과학 교과서는 ‘지역사회와의 관련성’요소가 기존 과학 교과서 보다 증가하였고 ‘과학과 관련된 직업에 대한 인식’ 요소가 감소한 것이 큰 특징이다. ‘과학의 다차원성에 대한 인식’, ‘정보의 선택 및 이용에 대한 평가’ 등의 요소에 대해서는 차세대 과학 교과서는 포함되지 않은 반면에 기존 과학 교과서의 경우 낮은 비율이지만 어느 정도의 내용을 포함하는 것을 알 수 있다. Piel의 기준에 의한 STS 주제 영역에 관한 비교 분석에서 차세대교과서는 ‘환경의 질’ 문제와 ‘우주개발과 국방’ 문제를 다루고 있는 반면 기존 교과서의 경우 ‘기술발달의 영향’, ‘천연자원’ 등을 다루고 있다. SATIS 교수-학습 활동 영역에서 차세대 과학 교과서의 주된 활동은 ‘조사 연구’, ‘모의실험’, ‘자료 분석’등이며, 기존 교과서에서는 ‘역할 놀이’, ‘연구 고안’, ‘모의실험’등의 활동은 거의 찾아 볼 수 없다. 따라서 차후 개발될 교과서에서는 ‘역할 놀이’, ‘연구 고안’, ‘모의실험’등의 활동이 포함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bout STS contents in the next generation science textbook for 10th grade according to curriculum revision 2007 and high school science textbooks focused on the Earth Science which were published according to the 7th curriculum. The contents of STS were analyzed by the STS topics of Yager(1989), Piel’s standard(1981), and student activities by SAT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the same as follows: ‘The next generation science textbook’ was shown that 20.9% is STS material amount in average by Yager’s standard. ‘High school science textbooks’ were shown that 11.3% is STS material amount in average. Based on the STS topics by Yager’s standard, most of STS content is focused on ‘Relativity with local community’, ‘Application of science’ and ‘Cooperative work on real problems’. However, there is rare contents such as ‘Multiple dimensions of science’, ‘Practice with decision-making strategies’ and ‘Evaluation concerned for getting and using information’ in the next generation science textbook. In high school science textbooks were shown that ‘Applicability of science’ is the highest and ‘Relativity with local community’ is the next high contents. Based on the STS topics by Piel’s standard, most of STS contents are focused on ‘Environmental quality’, ‘Space research’ and ‘National defence’ in the next generation science textbook. But high school science textbooks are focused on ‘Natural resources’ and ‘Technology development’. The activities were analyzed by SATIS student activities. The major categories of activities included in the next generation science textbook were ‘Investigation’, ‘Simulation’ and ‘Data analysis’. But, there were rare activities like ‘Roleplaying’, ‘Research design’ and ‘Simulation’ in high school science textbooks.

      • KCI등재

        ‘지구와 달’ 주제와 관련된 초등학교 2009 개정 과학교과서와 2015 개정 과학교과서 내용 분석

        임청환,채동현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 2018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Vol.11 No.3

        이 연구는 ‘지구와 달’ 주제와 관련된 초등학교 2009 개정 과학교과서와 2015 개정 과학교과서 내용을 분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를 위해 우리나라의 2009 개 정 과학교과서와 2015 개정 과학교과서의 ‘지구와 달’ 관련 단원의 내용을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2009 개정 과학교과서에 2015 개정 과학교과서 로 개정되면서 교육과정의 성취기준 상에서는 큰 변화 는 없었다. 둘째, 두 교육과정의 구체적인 교과서 내용 진술이나 전개는 별다른 차이가 없었으나, 탐구활동면 에서는 교육과정의 탐구활동 제시에서는 물론 교과서에 제시된 구체적인 탐구활동에서도 많은 변화를 보였다. 셋째, 2009 개정 과학교과서에 비해 2015 개정 과학교과서에서는 사진과 삽화를 많이 사용하고 있었다. 넷째, 실험관찰과 관련된 변화는 거의 없었으나, 단원 정리하는 활동이 2015 개정에서는 2009 개정에 비해 강화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tents related to a subject ‘Earth and Mooon’ from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of the 2009 revised curriculum and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For the research, the team selected and analyzed the contents of the 'Earth and Moon' unit in the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of the 2009 revised curriculum and 2015 revised curriculum. As a result of the research, first, there has been no significant change in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curriculum as the science textbook revised from 2009 curriculum to 2015 curriculum. Second, the two curriculum did not differ much in specific textbook contents statement or development, but they showed much change in presentation of exploration activities in curriculum as well as the specific exploration activities presented in the textbooks. Third, compared to science textbooks of the 2009 revision, the 2015 revision used more pictures and illustrations. Forth, there have been few changes related to experimental observation, but the activities to organize the unit in 2015 revision have been strengthened compared to the 2009 revision,

      • ‘과학 글쓰기’에 대한 비판적 고찰과 교과 융합적 쓰기 방안 연구

        고상훈,전제응,신애경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19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학술대회 Vol.76 No.-

        본 연구는 2007 과학과 교육과정에서부터 꾸준히 강조되고 있는 ‘과학 글쓰기’를 중심으로 범교과 쓰기에서 활용되고 있는 ‘쓰기 활동’의 적합성에 대하여 국어과의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검토해보고 현행 과학 글쓰기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들을 유형화해본 후 대안으로서의 ‘교과 융합적 쓰기’를 설계하여 적용한 결과를 검토해보는 것에 목적이 있다. 과학 글쓰기를 분석하기 위해 ‘주제’, ‘목적’, ‘상황’, ‘독자’, ‘방법’, ‘기타 요소’를 중심으로 분석틀을 구안하였다. 분석틀에 따라 2009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5~6학년 1학기 과학 교과서에 등장하는 과학 글쓰기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와 학생 필자들의 실제 과학 글쓰기 결과물들을 종합한 후 현행 과학 글쓰기에 대해 국어과의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고찰해보고, 현행 과학 글쓰기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유형화하였다. 현행 과학 글쓰기는 첫째, 과학 글쓰기에서는 글쓰기 유형을 명확하게 제시하지 않는 과제들이 대부분이었다. 둘째, 과학 글쓰기에서는 구체적이거나 실제적 상황을 설정하는 과제들은 찾을 수 없었으며, 가상 상황을 설정하는 과제의 경우에도 지나치게 높은 수준의 가상 상황 설정으로 학습자들의 수준에 맞지 않았다. 셋째, 과학 글쓰기에서는 특정한 독자를 설정하지 않는 글쓰기를 하도록 하는 과제들이 대부분이었다. 넷째, 과학 글쓰기에서는 쓰기 전-중-후 과정이 드러나지 않는 쓰기 과제가 대부분이었다. 다섯째, 과학 글쓰기에서는 글쓰기 과제가 항상 단원의 마지막 차시에 요약과 정리를 위한 활동으로만 등장하고 있었으며, 쓰기 시간 역시 충분하지 않았다. 현행 과학 글쓰기의 문제들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교과 중심 사고에서 벗어나 새로운 차원의 범교과 쓰기로서 ‘교과 융합적 쓰기’를 제안하고 실제 학습자들에게 투입하였다. 그 결과, 과학 교과와 국어 교과가 교과를 넘어 통합되어 서로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필자로부터의 글쓰기 상황 도출을 통해 글쓰기 동기를 제고할 뿐만 아니라 과학 학습 동기가 곧 글쓰기 동기로 이어지도록 할 수 있었다. 둘째, 쓰기 후 활동을 실제적으로 꾸려나감으로써 과학 글쓰기에 대한 애착과 책임감을 심어줄 수 있었다. 셋째, 실제 독자를 설정함으로써 과학 학습 내용을 매개로 독자와 소통하는 과정을 통해 자신의 과학적 개념, 사고력 등을 정교화, 명료화 해나가는 등 과학 글쓰기 활동을 더욱 풍성하게 만들 수 있었다. 넷째, 과학 글쓰기뿐만 아니라, 국어의 다른 영역을 함께 포함시킴으로써 과학 글쓰기를 역동적 의사소통으로 기능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었다. 다섯째, 과학 글쓰기에서 과학 교과와 국어 교과가 불가분의 관계로 존재함으로써 국어 교과와 과학 교과 두 교과간의 상호성을 증대하여 시너지 효과를 만들어 낼 수 있었다.

      • KCI등재

        질적 연구에 의한 고등학교 생명과학 교과서 생명과학의 이해 단원에 내포된 과학의 본성 분석

        이영희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과교육연구소 2013 교과교육학연구 Vol.17 No.1

        과학의 본성(NOS)에 대한 이해는 과학 교육에서 중요한 과학적 소양의 요소 및 학습 목표가 되어왔다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1993; Millar & Osborne, 1998; National Research Council, 1996, 2000). 이 과학 교육의 목표를 이루기 위해서는 교과서를 포함하는 교과 과정에서 과학의 본성에 대한 적절한 견해를 포함하고 있어야 함이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2009년 개정 교육과정의 생명 과학 I 교과서 첫 단원에 포함되어 있는 과학의 본성을 질적 내용 분석함으로써 일반적으로 과학이란 무엇이며 과학이 어떻게 발달되어 왔는지를 설명하는 도입단원에 적절한 수준의 과학의 본성 측면들이 포함되어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는 일반적으로 교과서 분석에 많이 이용되는 양적 분석이 아닌 연구자의 통찰과 직관에 많이 의존하는 질적 내용 분석 방식을 도입함으로써 양적 분석으로는 찾기 어려운 숨어있는 의미를 발견하기 위한 시도를 하였다. 분석 결과는 전반적으로 대부분의 생명 과학 I 교과서들은 다양한 과학의 본성을 제한된 수준으로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구체적으로 생명 과학 I교과서들은 도입 단원에서 과학 지식의 가변성이나 다양성과 같은 지식으로서의 과학의 본성보다는 생명 과학의 대상인 생물체에 대한 내용 설명에 치중하고 있었다. 또한 본문에서 다양한 과학사례와 과학자들의 소개를 포함하고 있으나 그 속에 내포된 과학적 사고의 특징이나 태도보다는 사회 속에서 과학사의 발달을 강조하였다. 특히 대부분의 교과서들이 여러 과학의 본성 중에서 주로 '과학과 기술, 그리고 사회와의 관계 (STS)'적인 과학의 본성 측면을 "STS코너"라는 별도의 분류 등으로 강조하고 있었다. 또한 탐구 방법을 묘사하는데 있어서 구체적 실험 사례를 통해 "보편적 과학의 방법 (단계적 실험 과정)"을 강조하고 있었다. 이것은 다양하고 복잡한 과학과 탐구의 본성을 이해하기에 매우 제한적인 모습이라고 할 수 있다. Understanding the nature of science (NOS) has been a major component of scientific literacy and an important learning goal in science education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1993; Millar & Osborne, 1998; National Research Council, 1996, 2000). To achieve this goal, it is necessary to include appropriate views of the nature of science in science curriculum including a textbook.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nduct a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of the first chapter of four Korean high school life science I textbooks, which typically discusses what life science is and how it works. Examination using a qualitative analysis reveals that most of life science I textbooks limited to include a variety of views of the nature of science in the introductory chapters while some textbooks have included more aspects of the nature of science than others. Specifically, high school life science I textbooks have focused on the content knowledge itself relating with living organisms rather than the nature of scientific knowledge such as tentativeness and diversity of knowledge in the chapters. Also, although the textbooks have introduced a variety of scientific episodes in history as well as scientists, generally they emphasized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science in society not the nature of scientific thinking and attitude of scientists. Significantly, most of life science I textbooks emphasized on the STS (Science, Technology, and Society aspects of the nature of science and focused on the steps of “the scientific method” to explain the inquiry process. This is deficient to show an authentic view of the nature of science.

      • 정신지체 특수학교 고등부 과학 교과교육 실태 조사

        신종갑,허유성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2013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Vol.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actual status of educational curriculum on science subject in the high schools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o provide foundational data that would be needed for the improvement of science education in special education. A total of 88 science teachers from 31 high schools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swered the survey. According to the key findings, many of teachers were not satisfied with science education partly due to lacks of science facilities, teaching skills, and students’ understanding and improving levels. Second, many of teachers perceived science education could improve students adaptational skills for daily life. Third, there were limited numbers of teachers who were specialized in science. Fourth, teachers were not satisfied with science textbooks which were not fit for individualized instruction. Fifth, they used both whole class lecture and individualized instruction. Finally, science teachers asked for more modernized science classrooms which are well equipped with safe facilities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본 연구는 정신지체 특수학교 고등부의 과학 교과교육 전반에 대한 과학 교사의 인식, 운영 실 태, 그리고 개선방안을 탐색하였다. 본 연구는 정신지체 특수학교에서 과학을 가르치고 있는 총 88명의 과학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보면, 첫째, 과학 담당교 사 대부분은 과학 교과교육에 대하여 다소 불만을 갖고 있었는데, 불만의 주요 이유는 과학교육 시설의 부족, 학습 지도력의 부족, 학생들의 낮은 이해력과 향상도 등을 들었다. 둘째, 대부분의 교사들은 과학교과가 정신지체 학생의 일상생활에서의 적응 능력을 길러주는 데 도움이 되는 필 요한 교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과학교과를 지도하고 있는 교사 중 과학만을 전공 하거나 가르치는 교사는 소수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정신지체 특수학교에서 사용하는 과학교과 교과서의 만족도가 낮은 편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과학교과 지도에 주로 사용하는 교수 -학습 방법으로는 일제 수업과 개별화 수업을 적절히 병행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마 지막으로 현대적 과학실을 갖추고 있는 학교는 소수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들은 특히 학 생들의 안전을 담보할 수 있는 시설을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과학교과에서 본 국어교과와의 만남과 융합

        이선경,김시정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2018 국어교육연구 Vol.41 No.-

        The issues of society in the 21st century are closely linked to various areas such as science, technology, culture, environment, politics and economy. Science education needs to enable future generations to make decisions through scientific and evidence-based thinking and to actively participate in the increasingly complex world of science and technology by promoting scientific knowledge and understand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meeting and convergence between science education and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to perform them more meaningfully. Science writing, communication as one of scientific inquiry process skills, and argumentation-related researches in science education were discussed as cases of the traditional way of meeting between science education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Convergence education’ cases (or ‘Yungbokhap education’ cases in other words) of ‘fast fashion’ and energy education camp for secondary students were also explored.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two subjects have met traditionally and frequently this process. However, this study can determine the possibility of convergence of the two subjects, identifying various approaches such as ‘Convergence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innovation of curriculum education at present. In the process of convergenc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science education, we suggested that the educational excellence can be improved by considering perspectives on the competency based curriculum and critical literacy. This study confirms the direction of discussion related to the convergence of science subject and language subject in the concrete way and broadens the mutual understanding for the fusion of the two subjects in the future. Furthermore, it is meaningful that this study seeks a proper direction for the convergence of science and language subjects beyond the existing schematized integration. 21세기 사회의 여러 문제는 과학, 기술, 문화, 환경, 정치, 경제 등 여러 영역과 긴밀히 연계되어 있어 고도의 복잡성과 맥락성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과학교육은 미래 세대가 과학적 사고와 증거에 기반한 사고를 통해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하고, 과학 지식, 기능과 자신감을 증진시켜 점점 더 복잡해지는 과학기술의 세계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해 줄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과학교육이 접점을 모색해야 하는 중점 교과로서 국어교과를 인식하고 이를 좀 더 의미 있게 수행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과학교육과 국어교과와의 융합 양상을 ‘전통’과 ‘혁신’이라는 키워드로 대변하고 각각을 구체적 사례를 통해 확인하며, 그 발전 방향을 모색하였다. 과학교육과 국어교과와의 전통적인 만남은 과학글쓰기, 의사소통, 과학 논변 등에서의 논의를 중심으로 고찰하되, 두 교과의 측면에서 양자가 융합될 수 있는 지점을 탐색하였다. 그리고 두 교과의 융합에 대한 혁신적 만남은 현재적 관점에서 융합 교육의 본령과 원리를 구현한 사례로 ‘패스트패션’과 ‘에너지’를 주제로 한 융복합교육 프로그램 사례를 탐색하였고, 미래 융합 교육의 개척 방향으로서 과학교과와 국어교과 사이의 융합을 역량과 비판적 문해력를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본고의 이러한 작업은 과학교과와 국어교과의 융합과 관련된 논의의 방향을 구체적으로 확인하여 향후 두 교과의 융합을 위한 상호 이해의 폭을 넓히고, 기존의 도식화된 통합을 벗어나 과학과 국어의 융합을 위한 타당한 방향을 모색해 본다는 점에서 의미를 지닌다.

      • KCI등재후보

        과학 학습 효과 증진을 위한 차기 초등 과학 교과서 개선 방안

        장신호,임희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0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6 No.2

        본 연구에서는 현행 제7차 과학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 교과서 사용에서 나타난 문제점을 고찰하고, 차기 과학과 교육과정의 기본 취지와 목표에 부합되도록 새로 개발될 초등 과학 교과서의 개선 방안에 대해 논의하고자 하며, 초등학생들의 과학 학습 효과 증진을 위하여 교과서 개발 시 고려하여야 할 사항들에 대하여 제안하고자 한다. 제7차 교육과정을 실현하기 위하여 개발된 초등 과학 교과서의 운영 과정상에서 여러 가지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특히, 학교 현장에서 과학 교과서로 지도하는 초등 교사들의 만족도가 학년별로 다르게 나타나고, 난이도와 학습량, 과학 탐구 활동 지도 측면에서 학생들의 효과적 과학 학습에 어려움을 준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조사된 선행 연구 결과들을 참고할 때, 차기 교육과정에 따른 새 과학 교과서를 개발, 운영 시 고려하여야 할 점들을 탐색할 수 있다. 초등학생들의 과학 학습 효과 증진을 위하여 교과서 개발 시 고려하여야 할 방안에 대하여 논의한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examine some problems found in the process of using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based on the 7th national science curriculum, to discuss the ideas for improving science textbooks to respond to the intent of the curriculum, and to suggest the possible ideas to consider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the new textbooks for elementary students\ effective science learning. According to the elementary teachers, who used the textbooks in their classrooms, their degree of satisfaction about the textbooks tend to be low. In particular, in terms of the degree of difficulty, the amount of science learning, and scientific inquiry activity, their perceptions were various. Considering the current problems appeared, we make suggest the feasible plan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textbook for improving students\ science learning.

      • KCI등재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과학사 교과서’의 과학의 본성(NOS) 반영 정도 분석

        주홍비,윤지현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9

        Objectives In the current situation where the existing science textbooks do not fully reflect the nature of science,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nature of science shown in textbooks on the history of science and effective use of it. For this purpose, in this study, the ratio of reflection of the nature of science reflected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high school science history textbook was analyzed. Methods The subject of analysis was two types of high school history of science textbooks that have been tested, and the analysis frame that adequately reflects the nature of science from the viewpoint of cultivating students' scientific literacy was comparatively reviewed and selected. The selected analysis framework consisted of four areas: the nature of scientific knowledge (area I), the nature of scientific inquiry (area II), the nature of scientific thinking (area III), and the nature of interactions among science, technology and society (area IV). And each area was again composed of detailed sub-areas. Then, the analysis of the history of science textbooks was carried out in the stages of ‘analysis training in the nature of science’, ‘determining analysis units and sampling’, ‘preliminary analysis and reliability measurement’, and ‘main analysis’. Resul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the textbooks on the history of science showed some differences in the reflection ratio for each area, but the four areas of the nature of science were evenly reflected. In particular, the nature of interaction among science, technology, and society (area IV) and the nature of scientific thinking (area III) showed high reflection rates in history of science textbooks. Second, as a result of analysis of each sub-area constituting each area of the nature of science, it was found that the detailed sub-contents were biased. Third, in the history of science textbooks,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reflection ratio for each area of the nature of science for each textbook unit, and finally, as a result of analysis by publisher, the two types of textbooks showed little difference in the reflection ratio by nature of science domain.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we discussed the implications on the use of history of science textbook in terms of educating the nature of science and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of history of science textbook reflecting the social trends of the times. 목적 기존의 과학 교과서들이 과학의 본성적 영역을 충분히 반영해 내고 있지 못하고 있는 현 실정에서, 과학사 교과서에 나타난과학의 본성적 특징과 이에 따른 효과적인 활용 방안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과학사 교과서에 반영된 과학의 본성의 반영 비율을 분석했다. 방법 분석 대상은 고등학교 과학사 검정 교과서 2종이며, 학생들의 과학적 소양 함양의 관점에서 과학의 본성 영역을 타당하게 반영하고 있는 분석틀을 비교 검토 및 선정하였다. 선정된 분석틀은 과학 지식의 본성(영역 Ⅰ), 과학 탐구의 본성(영역 Ⅱ), 과학적 사고의 본성(영역 Ⅲ), 과학과 기술 및 사회의 상호작용의 본성(영역 Ⅳ)의 네 개 영역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각 영역은 세부 하위영역들로구성되어 있다. 그런 다음, ‘과학의 본성 분석 훈련’, ‘분석 단위 결정 및 표본 추출’, ‘예비 분석 및 신뢰도 측정’, ‘본 분석’의 단계로과학사 교과서의 분석을 진행했다. 결과 분석 결과 첫째, 과학사 교과서는 영역 별 반영 비율에는 다소 차이가 있었지만, 네 개 과학의 본성 영역이 골고루 반영되어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과학의 본성 영역 중 과학과 기술 및 사회의 상호작용의 본성(영역 Ⅳ)과 과학적 사고의 본성(영역 Ⅲ)이과학사 교과서에서 높은 반영 비율을 나타냈다. 둘째, 과학의 본성 각 영역을 구성하고 있는 하위항목 별 분석 결과, 세부 하위 내용들이 편중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과학사 교과서는 단원 별로 과학의 본성 영역 별 반영 비율에 차이가 있었고, 마지막으로출판사 별 분석 결과, 2종의 과학사 교과서는 과학의 본성 영역 별 반영 비율에 차이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와 같은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과학의 본성 교육 측면에서 과학사 교과서의 활용 방안 및 시대사회적 흐름을 반영한 과학사교과서의 개선 방향에 대한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