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주간 이상고온이 부지화 감귤나무의 수체 생육과 과실품질에 미치는 영향

        강석범 ( Seokbeom Kang ),문영일 ( Youngeel Moon ),이혜진 ( Hyejin Lee ),최영훈 ( Yeonghun Choi ) 한국환경농학회 2017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대회집 Vol.2017 No.-

        부지화는 고온을 좋아하는 감귤나무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온난화가 진행됨에 따라 재배지의 온도 는 높아지고 생육 중에도 이상고온이 발생되어 다양한 문제가 일어나고 있다. 특히 시설내에서 주로 재배되는 부지화는 고온에 대해 제대로 검토가 되어 있지 않아 재배 중 생리적 장해 발생이 우려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상고온 환경에 대응하여 부지화 감귤을 안정적으로 재배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해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시험을 위해 천창과 측창을 개방한 무가온 온실을 대조온실로 오전 9시부터 오후 8시까지 대조 온실을 기준으로 +5℃와 +10℃를 높인 이상고온 처리구를 설정하여 각 시험구에는 4주의 6년생 부지화를 이용하여 2016년 4월부터 2016년 12월까지 시험을 수행하였다. 발아기부터 이상고온 처리를 한 결과 대조구 대비 고온 처리로 들어갈수록 발아기가 늦어졌다. 꽃수에 있어서는 대조구에 비해 고온이 심해질수록 유의하게 착화량이 감소하였으며 그 결과 화엽비는 대조구의 0.93에 비해 +5℃에서는 0.35였으며, +10℃에서는 0.17로 뚜렷하게 감소하였다. 반면 생리적 낙과가 진행된 이후 착과량은 고온구에서 감소하여 엽과비가 대조구의 89에 비해 +5℃에서는 204였 으나 +10℃에서는 743으로 높아졌다. 반면 신초의 신장에 있어서는 가온 초기에는 처리간 차이가 없었으나 생육기에 들어서면서 고온구에서 신초의 신장량이 뚜렷하게 커지는 결과를 나타냈고 가을철에 들어서면서는 고온 처리구간에 차이가 없었다. 수체의 생육에 있어서는 대조구에 비해 생육기에 고온 이 될수록 수체 생육량을 높여 수고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일소에 있어서는 고온으로 갈수록 고온 피해잎 발생이 증가하였으며 기형잎 발생도 늘어났다. 생육기 중 광합성 조사에서는 대조구의 온도가 24℃일때는 +5℃ 증가에서 광합성에 차이가 없었으나 +10℃로 증가하였을 때는 광합성이 대조구에 비해 유의하게 낮아졌다. 그러나 생육기 대조구의 엽온이 30℃ 내외의 고온일 때는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광합성량은 매우 심하게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냈다. 수량에 있어서는 대조구에 비해 고온이 심 해질수록 주당 수량은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과실은 커지는 결과를 나타냈다. 그러나 과실의 당함량에 있어서는 처리간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산함량은 고온으로 갈수록 다소 낮아지는 결과를 나타냈고 과실의 착색도는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 KCI등재

        야간온도에 따른 토마토 생육 및 생산성 변화

        강윤임,권준국,박경섭,최경이,노미영,조명환,김대영,강남준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12 농업생명과학연구 Vol.46 No.6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night temperature on the productivity, growth, and fruit characteristics of tomatoes and set the optimal night air temperature. Tomatoes (Solanum lycopersicum Mill. cv. Superdoterang and cv. Rapito) were grown at 5, 10, 15, and 20℃ during night time and ventilation temperature point during day time set 27℃. Depending on night air temperature, plant height, leaf area, fresh and dry weight of each organ, leaf, stem, and root were changed. Condition of high night temperature resulted in promotion of tomatoes growth with high dry weight and fresh weight. However, the dry weight under night temperature 20℃ decreased, especially, in ‘Superdoterang'. On changes of yield, ‘Rapito’ showed higher productivity than ‘Superdoterang’ and the highest productivity point for nigh temperature is 13.32℃ for ‘Superdoterang’ and 14.25℃ for ‘Rapito’. Although the total yield decreased from the point, the daily productivity increased with increasing night temperature, the highest point for nigh temperature is 14.45℃ for ‘Superdoterang’ and 16.46℃ for ‘Rapito'. High temperature deceased the fruit weight and increased total soluble solid content in fruits. It is concluded that the night air temperature changes productivity of tomato and the temperatures between productivity and growth velocity have differences depending on different cultivars. scores than the other beef jerky samples (p<0.05). 이 연구는 야간기온이 토마토의 생산성, 생육, 과실의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토마토의 적정 야간기온을 설정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토마토(Solanum lycopersicum Mill. cv. Superdoterang and cv. Rapito)는 야간기온 5, 10, 15, 20℃에서 재배되었으며 주간환기점은 27℃으로 설정하였다. 야간기온에 따라 토마토의 초장, 엽면적, 생체중 건물중이 달라졌다. ‘슈퍼도태랑’과 ‘라피토’ 품종 모두에서 야간온도가 높아질수록 토마토의 생체중과 건물중이 증가하였으나 ‘슈퍼도태랑’의 경우 20℃에서는 약간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실 생산성에 있어 ‘라피토’ 품종이 ‘슈퍼도태랑’에 비하여 고온에서 생산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회귀식을 통해 추정한 결과, ‘슈퍼도태랑’의 경우 13.32℃, ‘라피토’의 경우 14.25℃에서 수량이 가장 높게 나타냈다. 그 이상의 온도에서 총 수량은 감소하였으나 일일생산량은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증가하여 ‘슈퍼도태랑’은 14.45℃, ‘라피토’는 16.46℃에서 최고 일일생산량을 보였다. 과실 특성은 온도가 올라갈수록 과실 무게가 감소하였고 당도는 야간기온 15℃에서 높게 나타났다. 이 연구 결과 야간 기온은 토마토의 생산성을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이며 토마토의 생육속도 및 생산성을 좌우하는 온도 수준은 품종에 따라 다른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후지’ 사과나무 세장방추형에서 하단측지수가 수체생육에 미치는 영향

        박우용(Moo-Yoo Park),양상진(Sang-Jin Yang),박정관(Jeng-Kuan Park),최동근(Dong Geun Choi),강인규(In-Kyu Kang) (사)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07 시설원예‧식물공장 Vol.16 No.3

        ‘후지’/M.9에 대한 세장방추형에 적합한 하단측지수 구성을 위하여 하단측지수를 달리하여 수체생육, 광환경, 수량 및 과실품질을 조사하였다. 하단측지수준별 생육은 하단측지수를 5개로 유지했을 때 수폭은 넓었고, 신초장 및 정단신초장은 증가하였다. 수관위치별 수광률은 하단측지수가 5개인 처리구에서 수관상부(지상 150 ㎝)와 수관중부(지상 100 ㎝)에서는 높은 경향을 보였다. 총 단과지 화이수는 측지수에 따라 차이가 없었으나, 수관위치별로 보면 수관하부(지상 120㎝이하)에서 하단측지수가 5개 처리에서 가장 많았으며, 화아의 횡경도 커지는 경향이었다. 과실수량은 하단측지수가 5개에서 가장 많았고, 과중은 하단측지수가 5개와 8개에서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과실특성은 과형지수, 경도, 산함량, Hunter L, b값은 수관위치와 측지수준에 따라 차이가 없었으나, 가용성고형물 함량은 하단측지수가 5개일 때 높았다. 과실의 착색도를 나타내는 Hunter a값은 수광률이 가장 높은 하단측지수를 5개로 유지한 처리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number of the lower scaffold limbs on tree growth, light penetration, fruit yield, and fruit quality in slender spindle in 6-year-old ‘Fuji’/M.9 apple trees. With regard to the growth by the numbers of the lower scaffold limbs, the width of the tree was wide and the growth of new shoots was increased when the number of the lower scaffold limbs was five. Compare with other treatments, five lower scaffold limbs showed high light-interception on the upper (150 ㎝ above the ground) and middle (100 ㎝ above the ground) canopy.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total number of the flower buds of the spurs according to the number of scaffold limbs, but the number and cross section area of flower bud on the lower canopy (120 ㎝ above the ground) were increased where the number of the lower scaffold limbs was five. Fruit yield was highest in the treated with five lower scaffold limbs and fruit weight tended to increase where the number of the lower scaffold limbs was five or eight. With regard to fruit quality, showed no difference in fruit shape index, firmness, acid content, Hunter Land b value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canopy and the number of the lower scaffold limbs, but the content of soluble solids was highest treated with five lower scaffold limbs. Hunter a value indicating fruit color was found to be highest treated with five lower scaffold limbs whose light interception was highest.

      • 야간 이상고온이 부지화 감귤나무의 수체 생육과 과실품질에 미치는 영향

        강석범 ( Seokbeom Kang ),문영일 ( Youngeel Moon ),이혜진 ( Hyejin Lee ),최영훈 ( Yeonghun Choi ) 한국환경농학회 2017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대회집 Vol.2017 No.-

        고온 환경에서 생육이 왕성한 부지화 감귤나무는 대체로 하우스 형태로 시설내에서 재배되고 있다. 그러나 온난화가 진행됨에 따라 시설 재배 중 주간 뿐만 아니라 야간의 재배지내 온도도 높아 지는 경우가 발생되고 있다. 본 연구는 부지화 재배시 야간 이상고온 발생이 수체와 과실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여 부지화 감귤 안정생산을 위환 재배기술을 만드는 기초자료를 얻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 시험을 위해 천창과 측창을 개방한 무가온 온실을 대조온실로 오후 8시부터 익일 오전 7시까지 대조 온실을 기준으로 +5℃와 +10℃를 높인 이상고온 처리구를 설정하여 각 시험구 에는 4주의 6년생 부지화를 이용하여 2016년 4월부터 2016년 12월까지 시험을 수행하였다. 발아기부터 이상고온 처리를 하였으나 대조구 대비 고온으로 높게 온도를 유지하더라도 발아기에는 처리 간 차이가 없었다. 꽃수에 있어서는 대조구에 비해 고온구에서 착화량이 높은 경향을 나타냈으며 그 결과 화엽비는 대조구의 0.44에 비해 +5℃에서는 0.85였으며, +10℃에서는 0.63로 고온구에서 화엽비가 증가한 결과를 나타냈다. 반면 생리적 낙과가 진행된 이후 착과량은 대조구에 비해 +5℃ 에서는 차이가 없었으나 +10℃ 에서는 착과량이 증가하여 엽과비는 오히려 대조구에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냈다. 반면 가을에 들어서면서 이상고온 처리수준이 높을수록 낙과가 유의하게 증가하는 결과를 나타냈다. 수체의 생육에 있어서는 야간 고온처리로 생육량이 증가하지는 않았으며 +10℃ 에서는 오히려 생육이 다소 억제되는 경향을 나타냈다. 일소 및 기형과 발생에 있어서는 야간 고 온 처리로 유의한 차이가 발생되지는 않았으나 일부 일소피해 증상이 고온구에서 나타났다. 수량 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는 야간 고온 처리로 대조구에 비해 오히려 고온구에서 착과량이 증가하여 수량이 높아지는 결과를 나타냈고 과중에 있어서도 처리간 차이가 없었으며 과실의 품질에 있어서는 당함량과 착색에 있어서도 대조구와 차이가 없었다.

      • KCI등재후보

        사과나무의 수체생장 및 과실품질에 미치는 관비의 효과

        박무용(Moo-Yong Park),강인규(In-Kyu Kang),양상진(Sang-Jin Yang),정재권(Jai-Kwon Cheung),변재균(Jae Kyun Byun) 한국원예학회 2004 원예과학기술지 Vol.22 No.2

        본 실험은 1996년부터 1999년까지 4년동안 ‘후지’/M.26 4년생을 이용하여 시비량을 추천시비량의 1/3로 줄여 관비로서 공급하였을 때 수체생장과 과실의 수량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농촌진흥청 표준시비량을 요소, 용성인비, 염화칼륨으로 추천 시비방법에 따라 시비한 구를 대조구로 하였고, 관비는 N:P:K의 비율을 10:5:7.5로 한 조제액비(RF) 관비처리구와 N:P:K의 비율이 17:8:26인 시판용 액비 Polyfeed-52(PF-52) 관비처리구를 각각 두었다. 대조구로는 10a당 시비량을 농촌진흥청 추천시비량인 N:P:K=10:5:7.5㎏으로 하고, N과 K는 기비 60%와 추비 40%로 나누어 시비하였고, 인산은 전량 기비로 사용하였다. 수체생육 상태는 관비처리구들에서 절간장과 평균 신초장이 대조구보다 짧았으며 정단신초장과 신초발생수에는 차이가 없었다. 평균 과중은 관비처리구들이 대조구에 비해 다소 큰 경향이었으나, 수량에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가용성 고형물 함량과 경도는 관비처리구들이 대조구에 비해 높았다. 착색의 정도도 관비처리구들이 대조구에 비하여 Hunter a값이 높고 b값은 낮아 보다 선명한 착색을 보였다. 엽내 인산 함량은 관비처리구들이 대조구에 비하여 높았으며, 그 밖의 N, K, Ca, Mg 함량은 처리간에 차이가 없었다. 토양내 질소와 칼리 함량을 보면 관비처리구들에서는 시기별변화가 적었으나 대조구에서는 6월에서 9월까지 관비처리구들에서 보다 훨씬 높은 함량을 보였다. 따라서 농촌진흥청 추천시비량의 1/3로 줄인 관비처리가 토양에 추천시비량을 시용하는 것보다 사과나무의 수체 안정과 고품질의 과실을 생산하는데 더 우수한 방법임을 확인하였다. The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effects of fertigation on the tree growth, fruit quality and yield in 4-year-old ‘Fuji’/M.26 apple trees for four years from 1996 to 1999. The treatments were prepared with liquid refining fertilizer (RF, N:P:K=10:5:7.5 ㎏/10a) and commercial liquid fertilizer, Polyfeed-52 (PF-52, N:P:K=17:8:26 ㎏/10a). The control (N:P:K=10:5:7.5 ㎏/10a) was prepared with nitrogen, potassium and phosphate. Nitrogen and potassium were applied 60% basal fertilizer and 40% side dressing. Phosphate was applied with 100% basal fertilizer for this experiment. The length of internode and the average length of shoot were shorter in RF and PF-52 treated apple trees, but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number of shoots and length of the terminal shoot. The average fruit weight was slightly heavier in the treatments than the control, but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fruit number among treatments. In addition, the content of soluble solids and hardness were higher in RF and PF-52 treatments. Fruit coloring in the treatment was much brighter than the control as Hunter ‘a’ value was higher and ‘b’ value was lower. Phosphate content in leaves was higher in RF and PF-52 treatment, and nitrogen, potassium, calcium and magnesium contents were not different. Nitrogen and potassium content in soil were a little bit changed through RF and PF-52 treatment, but those of the control was higher between June and September. The results indicated that fertigation seemed to be useful for the better coloration and increase of nutrient uptake efficiency in the production of fruits with high quality and stabilization of tree growth in ‘Fuji’/M.26 apple trees.

      • KCI등재

        보온부직포 재료가 참외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신용습(Yong Seub Shin),이지은(Ji Eun Lee),연일권(Il Kweon Yeon),정종도(Jong Do Cheung),최성용(Seong Yong Choi),이기도(Ki Do Lee) (사)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09 생물환경조절학회지 Vol.18 No.2

        참외 보온부직포 종류가 참외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뚝심토좌호박에 오복꿀 참외를 접목하여 정식 전부터 MD부직포, PE부직포 처리구와 대조구인 관행 12온스를 4월 25일까지 덮어서 재배하였다. 2009년 2월 6일 17시부터 익일 08시 까지 야간 평균 온도의 일변화를 조사한 결과, 관행 12온스 부직포는 13.1℃ 였으나 MD솜 부직포 처리구는 14.7℃, PE솜 부직포 처리구는 13.3℃로 관행 12온스 부직포에 비하여 PE솜 부직포 처리구에서는 비슷하였으나 MD솜 부직포 처리구에서 1.6℃ 더 높았다. 정식 31일 후 참외의 초기 생육은 관행처리구에 비하여 MD솜 부직포 처리구에서 온도가 높아 활착이 빨라 초장이 길고 잎이 커 초기생육이 우수하였다. 참외 첫 수확은 관행 처리구에서는 정식 89일후에 수확하였으나 PE솜 부직포 처리구는 88일후, MD솜 부직포 처리구는 78일후 수확하였다. 따라서 첫 수확은 관행처리구에 비하여 MD솜 부직포 처리구에서 11일 단축되었다. 관행처리구에 비하여 MD솜 부직포 처리구에서 과중이 무겁고 당도가 높고 과피색도가 우수하고 상품과율이 높았다. 수량비율은 관행 및 PE솜 부직포 처리구에서 초기, 중기 및 후기가 4:3:3으로 비슷하였으나 MD솜 부직포 처리구에서는 초기, 중기 및 후기의 비율이 5:3:2로 특히 초기수량이 많았다. 10a당 총수량은 관행 처리구의 1,844㎏에 비하여 PE솜 부직포 처리구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MD솜 부직포 처리구에서는 9% 증가하였다. To study the effect of nonwoven fabric materials on growth and yield of korea melon, Medium denier nonwoven fabrics (MDNF), Polyster nonwoven fabrics (PENF) and 12 ounce nonwoven fabric (control) were used. Mean temperature at night was 13.1℃ at control, 14.7℃ at MDNF and 13.3℃ at PENF from Feb. 6~7, 2009. Because of higher temperature, early growth of korea melon of MDNF was better than control at 30 days after transplanting. Days required to harvesting (DRH) of control was 89, those of PENF and MDNF were 88, 78, respectively. First harvesting of MDNF was 11 days earlier than control. Harvested fruit of MDNF had higher weight, soluble solid and marketable fruit ratio than control. Yield ratio of control and PENF was 4:3:3 (early:middle:late harvesting season), but MDNF was 5:3:2. Using of MDNF provided earlier harvesting. Total yield of PENF was similar to control, 1,844㎏ per 10a, MDNF was increased by 9%.

      • KCI등재

        공기순환 덕트를 이용한 근권부 냉방이 고온기 파프리카 재배에서 온도와 생육에 미치는 영향

        최기영(Ki Young Choi),장은지(Eun Ji Jang),이한철(Han Cheol Rhee),여경환(Kyung-Hwan Yeo),최은영(Eun Young Choi),김일섭(Il Seop Kim),이용범(Yong-Beom Lee) (사)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15 생물환경조절학회지 Vol.24 No.3

        근권부 공기순환 덕트 냉방이 온도 및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고온기 파프리카((Capsicumannum.L. ‘Veyron’)을 코이어배지에서 수경재배하였다. 냉방시간처리는 24시간 연속 가동한 연속냉방(All-day), 17시부터 다음날 1시까지 8시간 냉방한 야간냉방(Night), 대조구인 냉방 무처리(Control) 등 3 처리하여 온실 상·하부 온도, 근권온도, 엽온, 과실 특성 및 기관 분배율을 측정하였다. 근권부 덕트 냉방하였을 때, 고온기(6월 ~8월) 온실하부(바닥으로부터 40㎝)와 상부(바닥으로부터 180㎝) 온도, 근권온도는 하강되었다. 대조구와 비교하여 온실하부/상부 온도 차이가 연속냉방에서는 4.4~5.1℃/2.1~3.1℃ 하강을, 야간냉방 처리에서는 3.4~3.8℃/2.2~2.7℃ 하강되었다. 근권온도는 온실 하부 온도 결과와 유사했으며, 연속냉방(22.8℃) > 야간 냉방(24.1℃) > 대조구(27.7℃) 순으로 온도가 낮았다. 연속냉방 처리에서 덕트 위치(통로, 베드하단)와 송풍 방향(45°, 90°, 180°)에 따른 온도 변화를 측정한 결과 덕트의 위치가 통로에 위치하고 송풍방향이 상향(45o) 또는 수평(180°)인 처리는 지상부 100㎝까지의 수직 위치에 따른 온도 차이가 크지 않지 않으면서, 근권부위 온도인 지상 50㎝ 온도가 낮은 특징을 보였고 베드와 베드 공간 사이로 덕트 송풍 방향이 직각(90o)이였을 때는 바닥과 지상 50㎝ 부위의 온도가 높고, 지상 100㎝ 이상 200㎝ 부위 온도가 상대적으로 낮았다. 연속냉방 또는 야간냉방 처리했을 때 파프리카 엽온은 오후 7시가 오전 9시보다 엽온 하강이 컸다. 과실 분배율은 대조구(24.4%)에 비해 연속냉방(48.6%)과 야간냉방(45.6%)에서 높았으며, 평균과중, 과수 및 수량도 연속냉방 처리에서 가장 높았다. 한편 야간냉방 처리에서도 고온기 평균 지상부 및 근권온도를 낮추었으나, 누적된 평균온도가 가장 낮은 연속냉방처리에서 과실로의 동화산물 분배율을 높여 파프리카 수량을 증가시킨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root zone cooling using air duct on air temperature distribution and root zone and leaf temperatures of sweet pepper (Capsicum annum L. ‘Veyron’) grown on coir substrate hydroponic system in a greenhouse. When the air duct was laid at the passage adjacent the slab, the direction of air blowing was upstream at 45°. The cooling temperature was set at 20℃ for day and 18℃ for night. For cooing timing treatments, the cooling air was applied at all day (All-day), only night time (5 ㏘ to 1 ㏂; Night), or no cooling (Control). The air temperature inside the greenhouse at a height of 40 and 80㎝ above the floor, and substrate and leaf temperatures, fruit characteristics, and fruit ratio were measured. Under the All-day treatment, the air temperature was decreased about 4.4~5.1℃ at the height of 40㎝ and 2.1~3.1℃ at the height of 80㎝. Under the Night treatment, the air temperature was decreased about 3.4~3.8℃ at the height of 40㎝ and 2.2~2.7℃ at the height of 80㎝. The daily average temperature in the substrate was in the order of the Control (27.7℃) > Night (24.1℃) > All-day (22.8℃) treatment. Cooling the passage with either upstream blowing at 45° or horizontal blowing at 180o was effective in lowering the air temperature at a height of 50㎝; however, no difference at a height of 100㎝. Cooling the passage with perpendicular direction at 90° was effective in lowering the air temperature at the height between 100 and 200㎝ above the floor; however, no effect on the temperature at the height of 50㎝. A greater decrease in leaf temperature was found at 7 ㏘ than that at 9. ㏂ under both All-day and Night treatments. Fresh weight partitioning of fruit was in the order of the All-day (48.6%) > Night (45.6%) > Control (24.4%) treatment. A higher fruit production was observed under the All-day treatment, in which the accumulated average temperature was the lowest, and it may have been led to a higher proportion of photosynthate distributed to fruit than other treatments.

      • SCIESCOPUSKCI등재

        광합성세균 Rhodospirillaceae capsulatus의 배지 내 혼입처리가 양액재배 오이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김홍기(Hong Gi Kim),서범석(Beom Seok Seo),강종구(Jong Goo Kang),양승렬(Seung Yeul Yang),천상욱(Sang Uk Chon),부희옥(Hee Ock Boo) 한국원예학회 2009 원예과학기술지 Vol.27 No.1

        본 연구에서는 양액재배 오이(Cucumis sativus L.)의 생장촉진과 생육후기에 주로 나타나는 조기 노화현상의 지연과 회복을 검토하고자 위하여 광합성세균(Rhodospirillace capsulatus)을 배지 또는 양액 내에 여러 수준으로 처리하여 생장, 과실수량 및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광합성세균을 0.05, 0.1, 0.2, 0.4 및 0.6%의 농도로 각각 양액 내 첨가 및 배지 내에 관주하여 엽면적, 절간장, 과실수 및 중량 등을 비교하였다. 양액 내 첨가와 배지 내 관주의 경우 모두에서 5-25엽까지의 엽면적 증가량은 처리구간에 큰 차이가 없었으나 30엽에서는 광합성세균 처리구에서 400㎠ 이상의 크기가 유지된 반면 대조구에서는 약 230㎠ 정도로 낮아졌다. 절간장은 양액 내 0.4%, 배지 내 0.1% 처리구에서 가장 높았으며, 대조구에서는 상위 절위로 갈수록 점차 낮아져 가장 낮은 결과를 보였다. 과실 수와 중량은 양액 내 0.6%, 배지 내 0.1% 처리구에서 가장 높아 대조구에 비해 약 1.3배 증수되었다. This research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medium supplemented with a photosynthetic bacterium (Rhodospirillace capsulatus) on the delay of and recovery from premature senescence in hydroponically grown cucumber (Cucumis sativus L.) plants. The photosynthetic bacterium at concentrations of 0, 0.05, 0.1, 0.2, 0.4 and 0.6% were supplemented to the substrates or nutrient solutions. Vegetative growth, fruit yield and recovery degree from senescence of hydroponically grown cucumber plants was investigated. The leaf area indices of the 5th to 25th leaves were not affected by drenching treatment; however, the leaf area of the 30th leaf (400 ㎠) was greater than that of control (230 ㎠). On the other hand, when added with 0.4% bacterium into nutrient solution or drenched with 0.1% bacterium on substrate, the internode lengths of cucumber were higher than control. Number of fruits and fruit yield showed up to 30% increase at 0.02% extract concentration compared with the control when treated with 0.6% bacterium into nutrient solution or drenched with 0.1% bacterium in substrate. In conclusion, delay of or recovery from senescence in cucumber plants could be regulated by application of additives like photosynthetic bacterium into the nutrient solution or directly into substrates.

      • KCI등재

        ‘Fuji’/M.9 사과나무의 유목기 적정 착과량

        최석원(Seak-Won Choi),사공동훈(Dong-Hoon Sagong),송양익(Yang-Yik Song),윤태명(Tae-Myung Yoon) 한국원예학회 2009 원예과학기술지 Vol.27 No.4

        3.5×1.5m로 심어 세장방추형을 목표수형으로 관리하고 있는 ‘후지’/M.9 사과나무에서 재식 3년 차와 4년 차에 주간 단면적(TCA, ㎠)당 착과 수를 4, 5, 6, 7개로 착과 수준을 달리하여 영양생장, 수량, 과실 품질 및 익년 개화율을 비교 하였다. TCA당 착과 수준이 낮을수록 신초생장 및 주간비대가 양호하였고 과실당 엽면적 비율이 높아지면서 과중이 크게 증가하였다. 주당 수량은 착과량이 적을수록 평균 과중이 현저히 증가하여 착과 수준간의 차이는 뚜렷하지 않았다. TCA ㎠ 당 착과 수준이 6, 7개의 경우 과중 300g이하의 과일비율이 현저히 높아지고 익년 개화율이 50% 미만으로 낮아 이듬해에 같은 수준의 결실이 어려웠다. 재식 3-4년 차에는 적절한 결실을 통해 수세를 안정시켜야 하면서 한편으로는 지속적인 영양생장을 통해 수관을 확대하여야 하는 시기므로 ‘후지’/M.9 사과나무의 경우 3년 차에는 TCA ㎠ 당 4-5과인 50-60개/주를 결실시키는 것이, 재식 4년 차의 경우 TCA ㎠당 4과인 70-75개/주 범위로 결실시키는 것이 적당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 경우 영양생장이 유지되어 수관이 확보되면서 350g 이상의 대과의 비율이 높아 착과 수준을 높여 수량을 올리는 것에 비해 소득 면에서 유리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Four different crop loads by hand thinning, 4, 5, 6 and 7 fruits per trunk cross-sectional area (TCA, ㎠), were established in the 3<SUP>rd</SUP> and 4<SUP>th</SUP> leafy years of ‘Fuji’/M.9 apple trees planted at 3.5 × 1.5 m spacing and trained as slender spindle. Tree responses to reduced crop load included increased trunk thickness, longer shoot and heavier fruits with higher leaf area per fruit. However, yield per tree among different crop load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y compensational fruit growth with less fruit set. The percentage of fruits heavier than 300 g increased significantly at the crop load of 6 and 7 fruits per TCA ㎠ and return bloom dropped to less than 50%; hence, it was not possible to keep the same levels of crop load in the next year. Achieving a balance between vegetative growth and cropping of the high-density orchard system in the 3<SUP>rd</SUP> and 4<SUP>th</SUP> leafy years is important for stable production of quality fruits. Not only for early tree calmness, but also for early fullness of the tree canopy in allotted space with some vegetative growth, it seemed to be recommendable to set 4-5 fruits per TCA ㎠ or 50-60 fruits per tree in the 3<SUP>rd</SUP> leafy year and 4 fruits per TCA ㎠ or 70-75 fruits per tree in the 4<SUP>th</SUP> leafy year. Economically, it is not disadvantageous with higher percentage of costly fruits heavier than 350g in spite of some low yield.

      • KCI등재

        연질필름의 장기사용이 참외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신용습(Yong-Seub Shin),연일권(Il-Kweon Yeon),이지은(Ji-Eun Lee),도한우(Han-Woo Do),정종도(Jong-Do Cheung),박종욱(Jong-Wook Park),최성용(Seong-Yong Choi),정두석(Doo-Seok Chung) (사)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10 시설원예‧식물공장 Vol.19 No.3

        참외 하우스 피복필름 장기사용을 위하여 필름두께, 적외선 흡수율, 자외선 투과율이 다른 polyolefin계 film(일본산, J-l, J-2, J-3)을 2006년 1월 16일 피복 하여 3년 사용한 처리와 우리나라의 참외 재배농가에서 관행으로 사용하는 polyethylene계 film(K-1)을 2009년 l월 16일 피복하여 l년 사용한 처리를 대조로 설치하여 피복필름의 장기사용 가능성을 검토한 결과, 보온성은 J-2 처리에서 가장 높았고 J-3, J-1 순이었으며, 초기생육도 J-2 처리에서 가장 좋았다. 개화 및 수확소요일수는 K-1 처리에 비하여 J-2 처리에서 15일 단축되었다. 과피의 색도 및 당도는 K-l에 비하여 J-2, J-3, J-1 처리에서 높았고 상품과 수량은 J-2, J-3, J-1 처리 순으로 높았다.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among 3-years-used polyolefin films which were J-I, J-2 and J-2 having differences in film thickness, infrared absorption and ultraviolet penetration from Jan. 16, 2006. And 1-year-used polyethylene film K-1 used from Jan. 16, 2009, for covering film of greenhouse for oriental melon cultivation. J-2, J-3 and J-1 films were better for keeping heat in order, and J-2 film was the best in plant growth at early stage. The first blooming and harvesting days in J-2 film were earlier 15 days than those in K-I film. Chromaticity and soluble solid of harvested fruit in J-2, J-3 and J-1 films were higher than whose in K-I film. Marketable yields in J-2, J-3 and J-1 films were higher in ord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