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적(地籍)분야 공공데이터의 이용 활성화 방안

        박춘수(Park, Chun Su),홍성언(Hong, Sung Eon) 한국지적학회 2016 한국지적학회지 Vol.32 No.2

        정부의 공공데이터 제공 정책으로 인하여 각 기관이 보유하고 있는 데이터들을 행정자치부에서 구축 하고 있는 공공데이터 포털 및 기관 홈페이지를 통해 등록 공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행 지적분 야에서 생성되는 공공데이터의 공개 및 활용 현황에 대한 문제점을 조사 검토하고 이를 기반으로 이용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공공데이터와 지적분야 공공데이터에 대한 등록 및 활용 현황에 대해 조사하고 이에 대한 문제점으로 지적공공데이터의 공개 항목의 제한, 공개 기준 마련의 미비 등을 도출하였다. 문제점의 개선하고 지적분야 공공데이터의 이용 활성화 방안으로서 공개 및 비공개 기준의 마련, 공공데이터의 확대 공개, 지적데이터와 관련 공공데이터의 융 복합 주제도 구축의 확대, 기관 홈페이지를 통한 상시 조사 체계 구축 방안을 제시하였다. Due to the government policy to provide the public data of the government, each data possessed by each government agency has been made public on the public portal sites-established and operated by Ministry of Government Administration and Home Affairs-and the official web sites of the relevant agencies.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roblems on the current use and release of the public data as well as cadastral public data in order to find out the method of usage activation. Therefore, this examined the number of both data that has been released and used so far; as a result, it reveals that the problems are attributed to the limit on the items to open and the incomplete standard of choosing released items. To tackle these problems and promote the use of the public data in the cadastral field, several alternatives are suggested such as establishing robust standards for selecting items to release; expanding the way of releasing the public data and establishing the convergence thematic map of cadastral public data and related public data; building a regular monitoring system available on each agency’s official web site.

      • KCI등재

        공공데이터 활용 활성화를 위한 법적 개선방안 : 데이터 기본법 제정을 통한 법적 개선방안을 중심으로

        이보옥(Lee, Bo-oK) 성균관대학교 법학연구원 2021 성균관법학 Vol.33 No.2

        지능정보사회로 진입하면서 인공지능 등 신기술의 핵심 기반이 되는 데이터는 기업 경쟁력뿐만 아니라 국가 전반을 혁신할 수 있는 국가 경쟁력의 주요 수단으로 작용하고 있다. 특히, 방대한 양의 데이터가 축적되고 있는 공공 부문 데이터는 활용에 있어 무한한 잠재성을 가지고 있으나 법적 한계가 존재하여 이와 관련한 개선이 필요하다. 대표적으로 현행법상 공공 부문 데이터에 대한 상이한 개념 정의로 인하여 기준 데이터 개념의 부재 문제는 공공 부문 데이터 활용 활성화의 주요한 저해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처럼 국내 법제상 공공 부문 데이터 활용 활성화를 저해시키는 다양한 법적 한계를 도출하고 이에 대한 법제 개선 방안을 도출하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고에서는 공공 부문 데이터의 체계적이고 범국가적인 활용 활성화를 위하여 공공 부문 데이터 개념과 관련하여 국제적 논의와 국내 법제상 개념을 살펴보고 공공 부문 데이터 활용의 근본이념과 의의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공공 부문 데이터 활용과 관련한 현행법상 한계와 해외 입법례의 비교를 통하여 현행법상 개선방안과 데이터 기본법 제정을 통한 개선방안을 중심으로 법제 개선방안을 모색하였다. As we enter the 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 data, which is the core foundation of new technologies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is acting as a major means of national competitiveness that can innovate not only corporate competitiveness but also the entire country. In particular, public sector information, in which a vast amount of data is accumulated, has infinite potential for utilization, but there are legal and institutional limitations and improvement is needed in this regard. The absence of a standard data concept due to different definitions of public sector information under the current law is a major impediment to the vitalization of public sector information utilization. As such, it is considered important to derive various legal limitations that hinder the activation of information utilization in the public sector in the domestic legal system and to draw up measures to improve the legal system. In this reseach, to promote the systematic and national utilization of public sector information, international discussions and domestic legal concepts related to the public sector information concept were reviewed, and the fundamental philosophy and significance of public sector information utilization were examined. In conclusion, by comparing the limitations of the current law related to the use of information in the public sector and overseas legislative examples, the method for improving the legal system was sought.

      • KCI등재

        치안공공데이터 이용 및 활용에 관한 법적 연구 : EU의 공공데이터 이용 및 활용에 관한 주요 지침의 내용과 비교를 중심으로

        류지웅(Ryu, Ji-Woong) 한국토지공법학회 2020 土地公法硏究 Vol.91 No.-

        국내외 주요 형사사법기관의 치안분야 공공데이터 수집과 데이터 활용에 대한 다양한 논의가 등장하고 있다. 치안분야 공공데이터의 수집 및 분석 통해 궁극적으로 이를 “국민의 생명・신체 및 재산의 보호, 범죄의 예방・진압 및 수사, 범죄피해자 보호 등 공공의 안녕과 질서유지”를 도모하고자 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2020년 현재 국민의 치안을 위해 경찰은 기존의 형사사법기관에서의 치안 및 범죄데이터의 활용과 관련해 과거와는 확연히 다른 노력들을 선보이고 있다. 예를 들어, 경찰청은 2016년부터 범죄발생 가능성을 예측하는 AI 시스템 ‘클루(CLUE; Crime Layout Understanding Engine)’를 연구하여 상용화를 꾀하고 있다. 즉, 이미 발생한 범죄의 발생패턴이나 특정 지역의 발생범죄, 지역적인 통계수치 등 여러 데이터를 통해 앞으로 어떤 조건에서 어떤 범죄가 유사하게 발생할 가능성에 대한 예측은 국민의 안전을 위해 필수적인 것이다. 그러나 치안을 담당하는 국가기관 등이 시도하고 있는 이러한 연구개발 사업들은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공공데이터 제공 및 이용 활성화와는 다소 상이한 방향성을 갖고 있다. 즉, 정부 및 공공기관이 보유하고 있는 공공데이터를 개방하기보다는 경찰 및 법무부 등의 내부 데이터를 활용하여 유의미한 정보를 도출하거나, 치안정책 및 수사실무에 활용하는 것에 더욱 중점을 두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현상의 근본적인 원인은 형사사법기관들에서 제공하는 치안 관련 공공데이터의 질이 낮아 그러한 정보들을 기반으로는 심화적인 분석이 불가능한 탓이라기보다, 경찰이 보유한 치안 데이터의 핵심은 범죄관련 정보로서 경찰관의 경우도 접근이 용의하지 못하고, 일반에 공개되는 것이 엄격히 통제되는 민감한 정보이기 때문이다. 경찰이 일반국민에게 범죄통계 원자료를 공개할 수 없는 법적 근거로 ‘공공기관의 정보공개에 관한 법률’, ‘형의 실효 등에 관한 법률,’ 그리고 ‘형사사법절차 전자화 촉진법’ 등을 들고 있다. 정부와 민간에서 적극 활용이 권장되는 공공데이터와 달리 범죄데이터를 소외시키는 것은 국민의 안전을 도외시하는 처사가 아닐 수 없다. 따라서 공공데이터로서 공개에 제약이 있는 범죄 및 치안데이터를 개방하기 어렵다면, 치안분야에 활용 가능한 민간 및 공공영역의 빅데이터를 경찰이 수집하여 활용하는 전략이 모색될 필요가 있다. 기존 치안데이터의 이용 및 촉진에 대한 법적 제한이였던 개인정보보호법, 정보통신망법, 신용정보보호법 등의 개정을 통하여 개인정보의 범위와 이러한 개인정보의 이용 및 활용에 관해서 가명정보의 개념 도입을 중심으로 개인정보처리에 대한 새로운 거버넌스를 구축하였다. 또한 이를 통해 치안데이터의 이용 및 촉진을 위한 법적 근거를 마련해 주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치안데이터의 이용 및 활용을 위해 현행 정보보호관련 법제의 개정 또는 특별법의 제정 등을 통한 치안데이터의 활용방안이 필요하다. Various discussions are emerging on the collection of public data on security-related public data and the utilization of data by major criminal and judicial agencies at home and abroad. The purpose of the project is to ultimately maintain public well-being and order, including the protection of people s lives, bodies and property, the prevention, suppression and investigation of crimes, and the protection of crime victims, through the collection and analysis of public data in the security sector. As of 2020, for the public s security, the police are showing a distinctly different effort than in the past regarding the use of security and criminal data in existing criminal justice agencies. For example, since 2016, the National Police Agency has been trying to commercialize the AI system called CLUE, which predicts the possibility of a crime. In other words, prediction of the likelihood of similar occurrence of certain crimes under certain conditions in the future is essential for the safety of the people through various data, such as patterns of occurrence of such crimes, crimes committed in certain areas, and local statistical figures. However, these research and development projects being attempted by the police have a somewhat different direction from the government s push to promote the provision and use of public data. In other words, rather than opening up public data held by the government and public institutions, the focus is on drawing meaningful information by utilizing internal police data or using it for security policy and investigation practices. The fundamental cause of this phenomenon is not because of the low quality of public data on public security provided by criminal law enforcement agencies, but rather because the core of the security data held by the police is crime-related information, which is not accessible to police officers and is strictly controlled from public disclosure. The police cite the Act on Information Disclosure of Public Institutions, the Act on the Effectiveness of Penalties, and the Act on the Promotion of Electronicization of Criminal Procedure as legal grounds for not being able to disclose criminal statistics raw materials to the general public. Unlike public data, which is encouraged by the government and the private sector to actively utilize it, alienating criminal data is a measure that neglects the safety of the people. Therefore, if it is difficult to open criminal and security data that are restricted to disclosure as public data, strategies for collecting and utilizing big data in the private and public sectors that can be utilized in the security field need to be sought. Through the revision of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Network Act, and the Credit Information Protection Act, which were legal restrictions on the use and promotion of existing security data, new governance for personal information processing was established around the introduction of the concept of alias information concerning the scope of personal information and the use and utilization of such personal information. It is also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d a legal basis for the use and promotion of security data. For the use and utilization of security data, measures to utilize security data through the revision of current information protection laws or the enactment of special laws are needed.

      • KCI등재

        공공데이터의 개방·활용 촉진을 위한 법제도 개선방안 연구 - 공공데이터 제공거부 사례를 중심으로 -

        김은선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2023 정보화정책 Vol.30 No.2

        There are criticisms that, despite the proactive government policy on open government data (hereinafter “open data”), certain highly demanded data remains restricted due to legal constraints. In this study, we aim to analyze the factors that limit the opening and utilization of open data, focusing on cases wherein requests for open data provision have been denied. We will explore possible approaches that are in harmony with the Open Data Law while examining the constitutional value of open data, considering the foundational Open Data Charter that underpins the government's data policy. We will also examine cases wherein requests for data provision have been denied for institutional reasons, with nearly half of these cases involving open data that includes personal information. It is necessary to explore the potential for improvement in these cases. Furthermore, considering the recent amendment to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which allows for the processing of pseudonymous information without the consent of the data subject for limited purposes, it is an opportune time to consider the need for amending the Open Data Law to facilitate broader access and utilization of open data for the nation. Lastly, we will propose institutional improvement directions aligned with the opening and utilization of open data by examining the constraints of and need for improvement in the selected target laws. 정부의 적극적인 공공데이터 정책에도 일부 수요가 많은 데이터가 법률을 근거로 여전히 개방되지 못한다는 지적이 있다. 본고에서는 국민의 공공데이터 제공신청이 제공거부된 사례를 중심으로 개별분야 법률이 공공데이터 개방·활용에 제약으로 작용하는 요인을 분석하고 공공데이터법과 상호 조화되는 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공공데이터 정책의 근간이 된 오픈데이터 헌장과 함께 공공데이터의 헌법적 가치를 살펴보고, 헌법적 가치를 토대로 제도적 사유로 제공거부된 사례들을 검토한다. 개인정보가 포함된 공공데이터가 대표적인데, 제도적 사유로 제공거부 된 사례의 절반 가까이 차지하고 있어 그 개선 가능성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특히 개인정보 보호법이 개정되어 제한적 목적으로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가명정보 처리가 가능해졌으므로, 국민의 공공데이터에 대한 접근과 이용 확대를 위한 공공데이터법의 개정 필요성을 검토할 시점이다. 또한 선별한 개선 대상 법률들에 대하여 제약요인과 개선 필요성을 검토하여 공공데이터 개방·활용과 조화를 이루기 위한 제도적 개선방향을 제시한다.

      • 중소제조기업 마케팅 역량 제고를 위한 공공데이터 활용에 관한 연구

        이강배,김두환,손강호 한국경영학회 2014 한국경영학회 통합학술발표논문집 Vol.2014 No.8

        오늘 날 많은 중소기업들이 기술, 자본, 인력, 마케팅 등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내수판매 부진``은 중소제조기업이 느끼는 가장 큰 경영상 어려움으로 중요한 문제점 중 하나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대안 중 하나로 공공데이터의 활용을 고려할 수 있다. 공공데이터 이용 활성화를 위해 정부는 많은 공공데이터를 개방하고 있으며, 산업의 공공데이터 활용에 대한 수요는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 공공데이터 포털(www.data.go.kr)에서 제공하고 있는 공공데이터는 정부기능분류체계에 근거하여 다양한 포맷으로 제공되고 있어 공공데이터를 활용하는 데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중소제조기업의 마케팅 역량 강화에 필요한 정보와 데이터를 조사하고 공공데이터 중 활용 가능한 데이터를 분석하였으며, 효과적인 공공데이터 제공 방법 및 활용 절차 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중소제조기업들이 공공데이터를 적극 활용하여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 공공데이터 이용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공공데이터의 이용과 통계 학술연구 목의 데이터 처리」에 한 연구

        전응준 한국정보법학회 2019 정보법학 Vol.23 No.1

        공공데이터의 이용은 정보공개청구와 동전의 양면 관계에 있다. 공공데이터법과 정 보공개법은 데이터의 접근과 이용에 있어 거의 동일한 결과를 가져다준다. 특히 공공 데이터법은 원칙적으로 공공데이터의 영리적 이용을 허용한다는 점에서 특색이 있다. 정보공개법 자체가 정보공개청구의 목적을 제한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공공데이터 이용의 목적을 제한하는 것이 이론적으로 용이하지도 않다. 그러나 특히 공공데이터 를 영리적 목적으로 사용하는 과정에서 타인의 개인정보, 영업비, 저작권 등이 침해 될 수 있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공공데이터법은 이러한 여러 이해관계를 균 형적으로 조정할 수 있는 독립적인 수단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공공데 이터법은 이념적으로는 개인정보 보호법과 연계된 체계적인 데이터 거버넌스 메커니 즘을 구비하여야 하고, 구체적으로는 민감한 데이터의 경우 데이터의 성격, 이용계획 의 내용, 이용자의 신뢰성 등을 심의하여 개별 이용자 단위로 공공데이터를 제공하는 방식을 법률적으로 도입하고, 이를 위해 공공기관이 이용자와 데이터 이용계약을 체 결하거나 이용자에 대해 특수조건적인 이용요건을 부가할 수 있는 법률적 장치를 마 련할 필요가 있다. 또한 데이터 거버넌스의 핵심은 프라이버시 보호에 있으므로 데이 터 비식별화 조치, 개인재식별화 방지, 공공데이터 이용과정에서 투명성 제고 방안 등 이 아울러 확보되어야 할 것이다. 공공데이터법, 정보공개법은 공공데이터 내지 정보의 개념정의에서는 모든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지만 데이터의 이용⋅제공의 대상에서는 원칙적으로 개인정보 성 데이터를 제외하고 있다. 이와 같은 전제에서 공공데이법, 정보공개법은 개인정보 보호의 문제에 대해서는 아무런 언급을 하고 있지 않다. 그러나 공공데이터 분쟁의 상당 부분은 개인정보성이 강한 데이터에 관한 사안들이다. 공공데이터법은 공공데 이터의 원활한 이용을 위하여 개인정보 보호의 쟁점사항을 일정 부분 내부로 흡수할 필요가 있다.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처리한다는 관점에서 개인정보성이 염려되는 공 공데이터에 대해 익명화, 가명화 등의 적절한 안전성 확보조치(appropriate safeguards) 를 취한 후 일정 범위에서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이를 위해 개인정 보 보호법 제18조 제2항 제4호에서 말하는 ‘통계작성 및 학술연구 등의 목적’이 공공 데이터의 영리적⋅상업적 이용에까지 미치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다만 이 문제는 기본적으로 국내의 역사적, 정치적 경험을 고려하여 판단되어야 할 문제이므로 외국 의 이론적 논의를 그대로 수용할 것은 아니다. 또한 ‘통계작성 및 학술연구 목적의 데 이터 이용’은 가명정보 내지 비식별정보에 대해 적용되는 것이므로 이들 개념에 대한 분명한 이해가 요구된다. 마지막으로, 공공데이터 중 사회적 의미가 큰 데이터로는 민 감정보인 의료데이터를 꼽을 수 있는데, 현행 개인정보 보호법 체계상 다른 법률의 규정이 있거나 정보주체의 동의가 있는 경우에 한하여 의료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으 므로 공공데이터 이용의 관점에서 일부 개선의 여지가 있다. 가명정보처리에 대한 특 례 규정이 도입된다고 하더라도 해당 규정이 민감정보에 관한 규정인 개인정보 보호 법 제23조의 특칙이 되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The use of open government data under ‘Public Data Act(Open Government Data Act)’ and the request of information disclosure under ‘Freedom of Information’ are in a very close relationship in Korea. In regard to the access and use of the data, ‘Public Data Act’ and ‘Freedom of Information Act’ both provide us with almost the same result. Particularly, ‘Public Data Act’ has its own peculiarity of permitting the commercial use of open government data. It is not theoretically easy to restrict the purpose of the use of open government data, as ‘Freedom of Information Act’ itself does not limit the purpose of disclosure claims. However, ‘Public Data Act’ ought to have its own measures to manage various concerns in a balanced way. Because when using open government data commercially, there is a possibility to infringe one’s personal information, trade secrets, copyright, etc. For this, ‘Public Data Act’ shall secure a systematic ‘Data governance mechanism’, in line with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More specifically, it needs to legislate the measures such as when offering sensitive public data on an individual basi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 of the data, plan of the use and the requestor’s reliability. It is also required to make legal means where data providers could make data use agreements with the users or they could impose special conditions on the users dealing with the data which might infringe others’ privacy. Lastly, considering that the privacy protection is the key point of the data governance, additional measures should be prepared, including data de-identification, prohibition of re-identification of data subject and transparency improvement in the use of open government data. ‘Public Data Act’ and ‘Freedom of Information Act’ both incorporate all kinds of data into their definition of the data/information. But they prohibit personal information from the use and offering data. From the premise above, both ‘Act’ do not mention anything about the problems related to the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However, most of the disputes over the open government data are related to the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Therefore, for the amicable use of open government data, ‘Public Data Act’ must tackle several issues related to the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From the view of safe processing of personal data, it would be advisable to use open government data that would be likely to infringe others’ right, in limited scope, with appropriate safeguards such as anonymization or pseudonymization. To achieve this, we need to discuss whether “the purposes of statistics or scientific research” in article 18-(2)-4 under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could cover the commercial/profitable use of open government data. However, as the above issue depends on our society’s own historical or political backgrounds, it would not be appropriate to directly adopt the theories from the other countries. And since “The use of data for statistical results or scientific research” is the matter of ‘pseudonymization or de-identification information’, clear understanding of such concepts is also required. Finally, for health information, one of the most significant and sensitive data in our society, there is a room for improvement from the viewpoint of data use. Because under the current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one can handle the health information only with an approval from the data subject or the other law system. Even if some exceptional provisions for pseudonymization data are to be legislated, such provisions shall be the preemptive regulations for Article 23 in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which deals with sensitive information.

      • KCI등재

        지자체 공공데이터 개방 현황 및 정책 제언

        서형준(徐亨準),명승환(明承煥) 한국지역정보화학회 2015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Vol.18 No.4

        2013년 박근혜 정부가 출범하고 정부 3.0을 내세우면서 공공데이터의 민간이용 활성화를 촉진하고 있다. 공공데이터는 스마트사회에서 부가가치창출의 요소로 부각되면서 주목을 받고 있다. 하지만 공공데이터의 민간이용 활성화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중앙정부만의 노력으로는 제대로 이행되기 어렵다. 우리나라의 경우 비교적 지방분권화가 늦게 이루어진 탓에 정책에 있어서 지자체가 상대적으로 제 목소리를 내기 힘들고, 중앙정부의 의지를 그대로 수용하는 형태로 이어져오고 있으나 공공데이터는 오히려 시민들과의 보다 가까운 접점을 지니고 있는 지자체가 유리한 측면이 많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공공데이터 민간이용 활성화를 위해서는 그동안 중앙정부의 공공데이터 개방현황이 아닌 지자체차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공공데이터 개방현황에 대해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특히 각 지자체의 공공데이터 포털사이트 운영 현황에 대한 조사와 평가를 통하여 향후 지자체의 공공데이터 개방을 위한 정책적 제언을 도출하고자 한다. Since Park Geun-hye government launched Government 3.0 in 2013, the government have promoted use activation of public data in private sector. The public data is considered as main factor of value added creation in smart society. But it is hard to achieve private use activation of public data by only central government"s effort. In Korea, because of short history of decentralized administration, so many local governments could not have their own initiative for the policy and local governments had to comply with instruction of central government. But local governments can have more advantage for public data policy because of closer contact point to citizens compared to central government. In this study, to promote use activation of public data in private sector, the researcher presume local government"s status of public data should be more scrutinized than central government’s. Especially, by reviewing and evaluating each local government"s public data portal site, we draw future suggestion for local government"s public data policy.

      • 데이터 기반 과학적 행정에 관한 연구

        윤충식 한국경영정보학회 2018 한국경영정보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8 No.11

        공공 빅데이터는 기존에 경험이나 직관이 아닌 객관적 데이터 또는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데이터 중심 정책수립을 지원하는 것이다. 공공 빅데이터는 국민의 정서를 반영하 고 지속 가능한 정책 수립을 지원하여 선제적 공공 서비스 를 개발함으로써, 국민의 삶의 질을 높이고 유능한 정부를 구현한다는 점에서 중요하다고 하겠다. 본 연구에서는 최 근 3년간 공공 빅데이터를 활용한 데이터기반 행정의 추진 현황을 살펴보고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도출하여 데이터 기반 정책 구현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제안함으로써 공 공 빅데이터가 사회현안 해결 및 공공서비스 혁신으로 연 결 될 수 있는 전략적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

        한국의 공공데이터 개방 정책의 효과에 대한 연구

        송석현(宋碩玄),이삼열(Samyoul Lee),신열(Yeol Shin),이재용(Jaiyong Lee) 한국지역정보화학회 2017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Vol.20 No.4

        공공데이터 개방 정책은 2013년부터 공공데이터법 시행과 더불어 박근혜 정부의 국정과제에 포함되면서 정부차원에서 본격 추진되었다. 비교적 다른 국가에 비해 늦게 공공데이터 정책을 시작하였지만 한국은 OECD 공공데이터 개방평가 2회 연속 1위를 달성하는 등 각종 지표에서 빠르게 미국, 영국 등 공공데이터 개방 선진국을 앞질렀다. 이러한 성과에도 불구하고 공공데이터 개방 정책에 관한 학술적 논의는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학문적 공백을 매우기 위하여 2013년~2016년 사이에 추진된 공공데이터 개방 정책을 생태계 관점에서 평가하였다. 생태계 관점은 국내외 학계에서 최근 널리 활용되는 모형으로 단순 지표에 매몰되는 것을 지양하고 공공데이터의 창출, 개방, 활용, 성과 등을 일관적 관점에서 분석을 가능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Dawes et al., 2016). 한국의 공공데이터 개방정책을 생태계 관점에서 분석한 결과 전반적 우수하다고 평가되었다. 특히, 공공데이터 정책과 전략 부문은 법제도, 우선순위, 추진체계 등이 우수하였다. 또한, 데이터 이용과 서비스 부문에서 공공데이터를 활용한 창업 등 일자리 관련 부분에서 우수하다고 평가되었다. 하지만, 피드백과 소통부문, 정책부문에서 정책의 피드백 체계, 시민의 참여 및 커뮤니티 활동에 대한 정책기반은 개선될 부분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앞으로의 공공데이터 정책은 미진한 부분의 개선에 좀 더 집중할 필요가 있다. Korea’s open government data policy has been promoted at the government level since 2013 as well as the implementation of the Open Data Act and included in the national affairs of the Park Geun-hye administration. Although Korea started open government data policy later than other countries, OECD ranked first in the OECD open government data evaluation for two consecutive times. Despite these achievements, there has been almost no academic discussion on open government data policy. This paper evaluates the effectiveness of open government data policy on ecosystem perspective in the period from 2013 to 2016 in order to excel in this academic gap. The ecosystem perspective has recently been widely used in domestic and international academic circles. It has the merit of avoiding the burial of simple indices and making it possible to analyze the creation, opening, utilization, and performance of public data from a consistent perspective (Dawes et al. 2016). As a result of analyzing Korea "s open government data policy from the perspective of ecosystem, it was evaluated as excellent overall. In particular, the public data policy and strategy sectors were excellent in terms of legislation, priorities, and propulsion systems. In addition, it was evaluated as excellent in terms of job related matters such as start-up using open government data in data utilization and service sector. However, it is analyzed that there is an improvement in the policy base for policy feedback, citizen participation and community activities in the feedback and communication sector and the policy sector. Future open government data policies need to focus more on minor improvements.

      • 충청북도 공공데이터 개방 현황 및 이용활성화 전략 : 재난안전분야를 중심으로

        김보은,배민기 충북연구원 2017 지역정책연구 Vol.2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충청북도를 대상으로 공공데이터 개방현황을 고찰해보고, 특히 재난안전분야의 공공데이터 활용을 높이기 위해서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을 것인지를 제안하는 것이다. 분석결과, 1) 앞으로는 공공데이터의 품질 및 사용자 접근성 측면에 대한 개선에 초점을 두어야 한다. 2) 공공데이터 및 개방의 가치에 대한 인식수준이 개선되도록 지속적인 교육이 필요하다. 3) 공공데이터의 개방에 지자체의 역할을 증대하기 위한 인센티브 확대를 검토해볼 필요가 있다. 4) 공공데이터를 분석하여 맞춤형 정보로 변환하거나 재가공할 수 있는 전문 인력이 필수적이다. 5) 연구목적의 경우, 개인정보를 제외한 자료의 공개는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6) 지방자치단체나 공공기관이 구축한 플랫폼과 공공데이터 포털간에는 기능 및 데이터를 상호 연동할 필요가 있다. 7) 빅데이터와 공공데이터를 연계 활용할 수 있는 정책추진이 필요하다. 8) 향후 클라우드, 빅데이터, 사물인터넷 기반으로 현장 및 수요중심의 즉각적 재난대응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공공데이터 개방 정책방향을 결정하고 공공데이터 활용성 및 실효성을 높이는데 도움이 되는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ways to increase public data utilization in the areas of disaster protection after considering the status of public data opening in Chungbuk Province. As a result of analysis, 1) We should focus on improving the quality of public data and user accessibility. 2) Ongoing education was required to improve awareness of the value of public data and openness. 3) It was necessary to consider expanding incentives given to local governments to expand public data. 4) Professional manpower was is required to analyze and convert public data into tailored information. 5) For research purposes, it was desirable to open total data except personal information. 6) The platforms established by local governments or public institutions and public data portals should ensure that functions and data were interlocked. 7) Policies were needed to link big data with public data. 8) In the future, it is imperative to ensure immediate response based on the cloud, Big Data, and lo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able to provide information that will help guide future public data openness and help improve public data utilization and effectiven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