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또래괴롭힘 참여역할에 따른인지적·정서적 공감의 차이

        김혜리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13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26 No.4

        This study examined the differences in cognitive and affective empathy in six types of participant roles in bullying. Cognitive and affective empathy was measured using three self-report questionnaires on empathy, Korean version of EQ-C (Cha, et al., 2011), BEI (Bryant, 1982), and IRI (Davis, 1983), on a sample of 299 Korean children in the fifth and sixth grade. Based on the results of a peer nomination questionnaire on participant roles (Sutton & Smith, 1999), the children were assigned to one of six roles: “bullies,” “reinforcers,” “assistants,” “defenders,” “outsiders,” and “victims.” It was found that affective empathy scores were higher for defenders than for victims, outsiders, assistants, and reinforcers, whereas cognitive empathy scores were higher for defenders than for victims, but were not higher than those for outsiders, assistants, and reinforcers.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defenders displayed both aspects of empathy, affective and cognitive, but victims displayed neither. In contrast, bullies displayed cognitive but not affective empathy. 아동의 인지공감과 정서공감이 또래괴롭힘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알아보기 위해, 또래괴롭힘 상황에 참여하는 역할 유형에 따라 인지공감과 정서공감에 차이가 있는지 연구하였다. 299명의 초등학교 5, 6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아동의 공감능력을 인지공감과 정서공감으로 구분하여 평가하기 위하여 자기보고형 한국어판 EQ-C, IRI와 BEI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또래괴롭힘 참여역할 척도를 또래거명 방식으로 사용하여 아동을 가해자, 동조자, 강화자, 방어자, 방관자 및 피해자의 6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공감척도의 정서공감 점수는 방어자가 피해자, 방관자 및 괴롭힘에 직․간접적으로 가담하는 동조자나 강화자보다 유의하게 더 높았다. 이에 반해 인지공감 점수는 방어자가 피해자보다 높았으나 방관자나 괴롭힘에 직․간접적으로 가담하는 가해자나 동조자보다 더 높지는 않았다. 이는 괴롭힘 당하는 아동을 방어해주는 방어자 집단은 정서공감과 인지공감이 모두 높고, 괴롭힘을 당하는 아동은 두 측면의 공감능력이 모두 낮으며, 괴롭힘에 가담하는 아동은 정서공감은 낮지만 인지공감은 높다는 것을 보여준다.

      • KCI등재

        공감적 자기화에 영향을 미치는 소비자 공감의 다차원적 구조에 관한 탐색적 연구

        옥정원(Ock, Jung-Won) 한국문화산업학회 2021 문화산업연구 Vol.21 No.4

        최근 소비자들이 생산하는 콘텐츠 재생산시대에서 기존에 주장되어 온 다차원적 소비자 공감의 구조가 보다 발전적 형태로 변화하는 것을 확인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소비자 공감이 단일차원이 아닌 다차원적 구조로 형성된다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자기공감의 영역으로 확장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하고 관련 개념들을 도출하고 영향관계를 탐색적인 차원에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소비자 공감의 다차원적 구조(인지적-동일시적-감정적-행동적-창조적) 간의 측정항목을 관련연구들을 바탕으로 정제하고, 이들 간의 인관관계를 탐색적 차원에서 살펴보자 하였다. 이를 통하여 소비자 공감을 공감적 이해, 공감적 동일시, 공감적 감정이입, 공감적 자기화 등의 5가지 구성개념을 도출하고 이들 간의 영향관계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탐색적 실증분석 결과 소비자 공감을 형성하고 있는 주요 5가지 구성개념들은 인과관계가 형성될 수 있음이 밝혀졌다. 하지만 감정적 차원(공감적 감정이입)과 창조적 차원(공감적 자기화)의 영향관계는 통계적 유의성이 검증되지 못 하였으며, 동일시적 차원(공감적 동일시)와 창조적 차원(공감적 자기화)의 영향관계는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본 연구의 수행과정에서 제기된 여러 가지 한계점 및 후속연구 방향이 추가적으로 연결된다면 소비자 공감의 중요성과 함께 마케팅 전략적 활용에 있어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t can be seen that it is very important to identify the multidimensional structure of consumer empathy suitable for the recent era in which consumers produce content on their own.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derive related concepts and examine the influence relationship from an exploratory dimension, noting that consumer empathy can be expanded to the realm of self-sympathy based on previous studies that form a multidimensional structure rather than a single dimension. Specifically, the measurement items between the multidimensional structures of consumer empathy (cognitive-identical-emotional-behavioral-creative) were refined based on related studie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was examined from an exploratory level. Through this, five constituent concepts such as empathic understanding, empathic identification, empathic empathy, and empathic self-creation were derived and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them was confirmed. As a result of exploratory empirical analysis in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five dimensions of consumer empathy can form a causal relationship, but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the emotional dimension (empathic emotion) and the creative dimension (empathic self-creation) has not been verified. In the future, if various limitations and subsequent research directions raised in the process of conducting this study are additionally linked, it is expected to provide a new paradigm for marketing strategic use along with the importance of consumer empathy.

      • KCI등재

        범죄피해자 전담경찰관 대상 ProQOL(공감피로 및 공감만족)척도에 대한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 연구

        장현석 ( Jang Hyun Seok ),이상훈 ( Lee Sang Hun ),양소남 ( Yang So Nam ),박소연 ( Park So Youn ) 한국경찰학회 2017 한국경찰학회보 Vol.19 No.3

        갑작스런 재난이나 사고로 인해 고통을 겪는 사람들을 전문적으로 도와주는 직업을 가진 사람들이 경험할 수 있는 정서적 상태 중에서 최근에 주목을 받고 있는 개념이 공감피로 (Compassion fatigue)와 공감만족(Compassion satisfaction)이다. 이들 개념은 Figley(1995)에 의하여 제안되었는데, 공감피로는 트라우마를 경험한 사람들을 도와주는 전문가들이 겪는 부정적 증상으로서 원조대상이 경험한 충격적 사건을 인지하면서 간접적인 트라우마를 경험하고 또한 업무로 인한 소진도 더불어 경험하는 상태를 말한다. 반면에 공감만족은 원조 전문가들이 남을 도와줌으로 인하여 느끼는 보람을 의미한다. 이러한 공감피로와 공감만족을 측정하는 도구가 ProQOL이다. 일반적으로 경찰관들은 범인을 체포하고 범죄를 예방하는 업무를 주로 하는 것으로 인식되어져 공감피로와 공감만족과는 거리가 먼 것으로 생각 할 수 있다. 하지만, 범죄피해자들을 가장 먼저 접하는 전문가가 바로 경찰관이고, 최근 경찰청은 범죄피해자에 대한 원조를 강화하기 위해 범죄피해자 전담경찰관제도를 시행하였고, 성폭력피해자를 전문적으로 상대하는 해바라기센터 수사관제도 또한 운영하고 있다. 따라서 범죄피해자 전담경찰관들의 경우 범죄피해자 원조 전문가라고 볼 수 있다. 공감피로가 국내 학계에 소개된 것은 최근의 일이다. 간호사나 특수교사를 대상으로 한 공감피로 연구가 있었고, 2016년에 정신건강전문가와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적용할 공감피로 척도에 대한 신뢰도와 타당화 연구가 학술지에 소개되었다. 하지만, 경찰관들을 대상으로 한 ProQOL 척도의 타당도와 신뢰도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Stamm(2009)의 ProQOL 척도를 범죄피해자 전담경찰관들에게 적용하여 공감피로와 공감 만족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정하였다. 본 연구의 신뢰도 평가결과와 타당도 분석 결과에 따르면, 한국어판 ProQOL척도는 범죄피해자 전담경찰관의 공감피로와 공감만족을 측정하기에 적합한 도구라고 할 수 있다. 연구대상으로 범죄피해자 전담경찰관에 대한 전수조사를 통하여 모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3요인을 가지고 있는 ProQOL 원척도와 다르게 2요인으로 하위 척도가 형성되는 결과를 얻었고, 이들 요인은 각각 공감만족과 공감피로로 명명되었다. Persons, who work professionally to provide assistance for people who are suffering from the sudden disasters or accidents, can experience various kinds of emotional status. Among them, compassion fatigue and compassion satisfaction have been recently received attention by the scholars. Those concepts were proposed by Figley(1995). Compassion fatigue can be experienced among professional helpers as a negative emotional status. While the professional helpers assist people with trauma condition, as the symptom of compassion fatigue they can indirectly experience the customer`s hardship as well as go through the burnout status. In the case of compassion satisfaction, it represents an emotional satisfaction experienced by the professional helpers by helping people who went through the tragic incidents. Generally speaking, police officers are known with arresting criminal and preventing crimes as their main duty. So, the compassion fatigue and compassion satisfaction are not related to police officers. However, the first responding professional on the crime victimization is a police officer. Also, recently the Korean National Police Agency established the crime-victim support police officer system(victim officers). There are special police officers who support victims of sexual violence. Therefore, those police officers, who specialized in supporting victims of crimes, can be considered professional helpers. The concept of compassion fatigue was introduced very recently in South Korea. Few studies examined the compassion fatigue of nurses and special teachers. In 2016, several studies on the validation and reliability of the ProQOL scale for social welfare professional and mental health professional were published in domestic journals. However, there is no validation and reliability study on the ProQOL for the police officers. The current study examined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K-ProQOL 5 scale applied to the victim officers.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Korean ProQOL scale for the police officer was appropriate to measure compassion fatigue and compassion satisfaction. Differently from the original 3 factor ProQOL, current study found 2 factor structure was better for the victim officers. Each factor was named as compassion fatigue and compassion satisfaction respectively.

      • KCI등재

        대학생 공감 능력 신장 수업 모델

        조용길 한국사고와표현학회 2023 사고와표현 Vol.16 No.3

        공감은 타인의 정서적 고통을 이해하고 그 결과에 대해 소통할 뿐만 아니라, 그 고통을 실질적으로 해결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실천하는 행위이다. 이를 위해서는 공감적 질문으로 시작하여 대답과 피드백으로 이어지는 정서적 경청 과정이 요구된다. 정서적 경청 과정은 자기 자신을 향하는 ‘자기 공감’, 타인을 향하는 ‘개인적공감’, 타 집단을 대상으로 한 ‘사회적 공감’에 적용되었으며, 각 경우에 상응하는 공감 학습 내용과 방법론이 제시되었다. 각 공감을 위한 수업은 단계별로 진행된다. 타인 및 타 집단에 대한 ‘정서인지’ 단계에서 시작하여 그 결과를 교감하고 나누는 ‘소통’ 단계, 나아가 문제를실질적으로 해결하는 ‘해결책 모색과 실천’ 단계로 이어지며 진행한다. 정서적 경청 과정에 중점을 둔 수업 모델은 공감을 좀 더 폭넓은 대화적 절차및 과정에서 파악했고, 공감 능력 신장을 위한 체계적이고 구체적인 방법론을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suggest a method of adequate instruction for the improvement of university students’ empathic ability. To this end, first, various methods of empathy education through the study of literature have been discussed and criticized. The existing methods of empathy education have two problems. First, empathy has been only considered as reaction phenomena, so that it was a essential interest to understand emotional pains of partners, or to express the emotional solidarity with them. However, they are only partial factors of empathy. Based on the macro perspective, empathy should be considered as dialog process which contains not only to express the emotional solidarity, but also to present actual alternatives of problem-solving. The second problem of the existing empathy education is the lack of systematic and concrete methods of instruction. A adequate model of empathy education should contain theories for the understanding of the human emotion. Moreover, it should present concrete instruction methods of practising. My study has reflected these demands. Specifically, it has suggested a model of empathy education through the process of emotional listening. This model will help students to deeply understand empathy and to solve various problems in human interactions. Nevertheless, this model is only a draft. It needs to be revised and supplemented through further research.

      • KCI등재

        ‘공감’ 개념의 발달과 공감 능력의 진화

        정연옥(Jeoung,Yeon-Ok);박용익(Bak,Yong-Ik) 한국의철학회 2020 의철학연구 Vol.30 No.-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empathy’는 19세기 말 독일 철학에서 각인된 ‘Einfühlung’의 영어 번역어로, 관찰자가 예술작품이나 자연의 모습에 자신의 감정이나 생각을 투사하는 것을 의미하였다. 그러나 20세기 중반 이후 공감은 상대방의 생각이나 감정을 그의 관점에서 이해하고 존중하며 비판단적으로 수용하는 것이라는 칼 로저스의 정의가 광범위하고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공감 개념의 역사와는 달리 공감은 인류의 발달과 더불어 시작되었다고 할 만큼 역사가 길며 상호 협력의 토대로서 인류의 진화 과정에 결정적인 영향을 끼쳤다. 인간이 공감 능력을 보유하게 된 첫 번째 핵심적인 요소는 오랜 시간 지속되는 육아 과정에서 형성된 유아와 부모 및 돌봄이 사이의 밀착 관계이다. 이 과정에서 상대방의 감정이나 생각을 이해할 수 있는 사회 인지 능력, 즉 공감 능력이 발달하게 되었다. 두 번째 요소는 인간 뇌의 전두엽과 두정엽의 발달로 인간이 고등 인지 능력을 갖게 됨으로써 언어를 사용할 수 있게 된 것과 관련이 있다. 인간은 언어 사용을 통해서 자신과 타자를 인식하고 이해할 수 있는 공감 능력을 발달시킬 수 있게 되었다. 공감에 대한 관심의 증대는 공감의 외연적 대상이 좁은 의미의 ‘우리’라는 경계를 넘어서 낯선 타자로 확장된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는 동시에 타자성, 이타성, 평등, 평화, 상호 연대 등과 같은 가치관에 대한 관심의 증대를 의미하기도 한다. 공감에 대한 보편적인 관심은 인간 정신이 진화하고 있고 삶의 질이 점차적으로 조금씩 개선되고 있음을 나타내는 징표일 수도 있다. 이 연구는 의료와 의학교육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공감에 대한 교육과 논의를 촉진하고 확장하며 구체적인 교육 목표의 설정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Empathy is so important that contemporary era is called as the era of empathy. The concept of empathy is an English translation of German Einfühlung coined in German philosophy at the end of the nineteenth century. This concept initially meant that the observer projected his (her) feelings or thoughts into a work of art or a shape of nature. By the mid-twentieth century, the concept of empathy has been defined as a term in understanding, respecting, and accepting the other s thoughts and feelings from his (her) point of view. There are mainly two factors influencing the evolution of empathy. The first factor leading the human being to have empathy is closely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social cognitive ability to understand the other s emotions and thoughts in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infants and caregivers during the long-lasting parenting process. The second factor is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neocortex in the human brain, resulting in higher cognitive abilities in human beings. With this development, humans have become capable of using language. Along with the use of language, the ability to recognize and understand oneself and others has been developed. Eventually this process resulted in the development of the ability of empathy. The recent increasing interest in empathy implies the expansion of the extension of empathy. It can also mean the increasing of th interest in values such as othering, altruism, equality, peace and solidarity. A universal concern for empathy can also be a sign that the human mind is evolving and the quality of life is slowly improving. This research can contribute to the reinforcement of education and discussions about empathy in medical training and to the reification of the goals of empathy education.

      • KCI등재

        공감, 판단의 독자성, 창의적 인성의 관계

        하주현(Hah Ju hyun),박은희(Park Eun hee)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16 창의력교육연구 Vol.16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공감, 판단의 독자성, 창의적 인성의 관계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창의적 인성 수준별 공감에 차이가 있는가?, 2) 공감과 창의적 인성의 관계는 어떤가?, 3) 공감과 판단의 독자성 수준별 창의적 인성에 차이가 있는가? 이다. 충남 소재 대학교 학생 117명에게 공감 검사와 KEDI 창의적 인성 검사를 실시하였다. 공감 검사는 크게 인지적 공감과 정서적 공감으로 구분되며, KEDI 창의적 인성검사는 호기심, 과제 집착, 심미성, 위험 감수, 사고의 개방성, 판단의 독자성으로 구성되었다. 자료 분석을 위해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과 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창의적 인성(평균이상/평균이하)에 따른 공감 점수에 차이가 있었으며, 창의적 인성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보다 공감 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공감은 창의적 인성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었으며, 공감의 하위요인과 창의적 인성 하위요인의 상관분석결과 인지적 공감은 ‘판단의 독자성’을 제외한 창의적 인성의 모든 하위 요인과 유의미한 상관이 있었으며, 정서적 공감은 심미성, 사고의 개방성과 유의미한 상관이 있었다. 셋째, 공감(평균이상/평균이하)과 판단의 독자성(평균이상/평균이하)에 따른 창의적 인성 점수(판단의 독자성제외)에 주효과와 상호작용 효과가 있었으며, 공감과 판단의 독자성이 둘 다 높은 집단이 창의적 인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창의적인 인물들은 독립적인 개별적 성향과 타인을 배려하는 관계적 성향을 동시에 가지고 있다는 선행 연구 결과를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empathy, independent judgement and creative personality. The research questions were: 1) difference in empathy depending on creative personality, 2) relationship between empathy and creative personality, 3) difference in creative personality depending on empathy and independent judgement. 117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Empathy Test and the KEDI Creative Personality Scale. The Empathy Test had two parts, cognitive empathy and emotional empathy. The KEDI Scale was composed of curiosity, task commitment, aesthetic impression, risk-taking, openness of thought, and independent judgement. The data were analyzed by Pearson s correlations and ANOV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Empathy Test scor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y creative personalities(above average/below average). Subjects in above average group showed higher Empathy Test scores than in below average group. Second, correlations between empathy-creative personality, between cognitive empathy-other subfactor of creative personality except independent judgement, and between emotional empathy-aesthetic impression and openness of though were significantly positive. Finally, the KEDI Scale scor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empathy(above average/below average) and independent judgement(above average/below average). There were two main effects(empathy level and independent judgement level) and an interactive effect. Subjects with higher empathy showed higher KEDI Scale scores. Subjects with higher independent judgement showed higher KEDI Scale scores. Also Subjects who belong to the group of high level empathy-independent judgement showed higher KEDI Schale scores. The results are in accord with the previous research, which creative people have independent and attentive tendencies.

      • KCI등재

        공감화법 향상 프로그램 개발

        허순향,김항중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11

        이 연구의 목적은 효과적인 공감화법 향상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연구진행은 4단계로 이루어졌는데, 첫 단계는 공감에 중심을 둔 공감화법향상을 위한 강의모형을 개발하였다. 두 번째 단계는 요구조사를 통하여 집단상담기반 공감화법향상 모형을 구축하였다. 세 번째 단계는 설계된 모형을 실제 강의에 적용하여 효과를 검증하였다. 마지막 네 번째 단계는 최종적인 공감화법향상 프로그램을 완성하였다. 이 연구가 제안하는 공감화법향상모형은 긍정화법, 해결화법 및 소통화법의 세 가지 요소로 구성되어 있다. 모형의 세 가지 구성요소가 삼위일체를 이룰 때, 공감화법이 신뢰와 만족, 및 행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가정하였다. 이를 위하여 조사연구와 실험연구를 진행하였다. 조사연구는 대전/세종/충남에 거주하는 10대부터 60대까지 510명을 대상으로 공감화법, 신뢰 및 행복척도로 질문지를 구성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21을 이용하여 사용된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알아보고, 공감화법에 따른 신뢰와 행복의 차이를 분산분석을 통하여 검토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첫째, 사용된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가 우수하였다. 둘째, 공감화법을 잘 사용하는 사람들이 공감화법을 잘못 사용하는 사람들보다 신뢰가 더 높았다. 셋째, 공감화법을 잘 사용하는 사람들이 공감화법을 잘못 사용하는 사람들보다 더 행복하였다. 실험연구는 40명의 대학생과 24명의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공감화법향상프로그램에 참여한 전후의 삶의 만족도의 차이를 살펴보았는데, 연구결과는 프로그램에 참여한 후에 대학생들의 삶의 만족도가 더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끝으로, 연구의 제한점과 앞으로의 연구방향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e effective program of empathic talking improvement. The study consist of four phrases, first phase was development of lecture model for empathic talking improvement based on empathy. Second phase was building of model of empathic talking improvement based on group counseling through demand survey. Third phase tested effect of the model apply to lectures. Last phase completed final program of empathic talking improvement. As a suggestion, the empathic talking improvement model consists of positive talk, solution talk, and dialogue talk. When these components form trinity, the effects of empathic talking will be the highest and power to empathic talking will makes people more trustable, more satisfactory and happier. In order to test suggestions, survey and experiment were conducted. Survey was collected 510 people from 10 to 60 residents in Daejeon/Sejong/Chungnam province with the questionnaire including empathic talking, trust, and happiness. Reliability and validity of scales were analyzed and were tested differences of trust and happiness according to empathic talking using SPSS21.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cales used in this study are good in their reliability and validity. Second, those who have high empathic talking are at a higher level of trust than those who have low empathic talking. Third, those who have high empathic talking are happier than those who have low empathic talking. Also, experiment conducted 40 undergraduates and 24 graduates to participate empathic talking improvement program. Findings show participants feel more satisfactory in life than before participation. Finally, the limitations and future direc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영화 <변호인>의 선택과 누락 그리고 공감의 정치학

        정병기(Jung, Byungkee) 비판사회학회 2015 경제와 사회 Vol.- No.106

        <변호인>은 1980년대 초반 사회적 공포에 의한 공감을 2013~2014년의 스크린에 재현했다. 스크린 안에서 이 영화는 대중들의 수동적 공감과 지배 계층 핵심부의 적극적 공감 및 지배 계층 주변부의 소극적 공감을 재현했다. 그리고 스크린 밖에서는 ‘친노 대 반노’와 ‘민주 대 반민주’라는 오랜 구도에 편승해 영화 안에 선택된 집단들로부터는 열망의 공감과 페티시(fetish)적 공감을 동시에 불러일으키는 한편, 영화 안에 누락된 집단들로부터는 초월적 공감을 얻어 논란의 중심에 서게 되었다. 하지만 이 공감들은 인권의 이름으로 부르주아 민주주의와 정치적 민주주의에 머물러 사회 경제적 민주주의와 생산의 민주주의 및 일상성의 민주주의로 확대되지 못함으로써 민주주의의 보수성으로 연결되었다. <The Attorney> represented the empathy of the early 1980s due to social fear through the screen in 2013/14. On the screen it represented the passive empathy of the mass, the active one of the core of the ruling class and the half-hearted one of the periphery of the ruling class. Outside of the screen it mobilized the aspiring and fetishistic empathy from the selected groups by the film and the transcendental one from the omitted groups through going along with the old composition of ‘pro-Roh vs. contra-Roh’ and ‘democracy vs. anti-democracy’. But the empathies remain in the level of the political bourgeois democracy in the name of human rights. Therefore it did not extend to the socioeconomic democracy and the democracy of production and life-style and was connected, in turn, to the conservativeness of democracy.

      • KCI등재

        공감 능력 향상을 위한 도덕교육 방안 탐색

        이범웅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8 초등도덕교육 Vol.0 No.62

        Empathy is an important factor in transforming an organization by facilitating collaboration and teamwork. However, we either have neglected empathy or made light of empathy and ignored it. We did not devote much time and effort to fostering empathy in school or society. It is now considered that the educational efforts to suppress the epidermization of human relations individually and the advent of the social anger society socially are very important tasks in moral education. Under this presupposition, first of all this study explores moral meaning of empathy, necessity of empathy, problem of empathy deficiency, mechanism of empathy development. In the second place, this paper is going to seek for the methods of moral education to develope empathy capability. 공감은 협동과 팀워크를 원활하게 만들어 조직을 변화시키는 주요한 요인이다. 그동안 공감을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이거나 아니면 공감을 간과하고 무시하였으며, 학교에서나 사회에서 공감을 육성하는 데 시간도, 노력도 별로 기울이지 않았다. 이제 개인적으로 인간관계의 표피화와 사회적으로 분노사회의 도래를 억제하기 위한 교육적 노력은 매우 중요한 도덕과 교육의 중차대한 과제라고 여겨진다. 이런 전제하에 본고에서는 공감의 도덕적 의미, 공감의 스펙트럼과 공감의 필요성, 공감의 결핍시 나타나는 문제, 공감 발달의 매커니즘 등을 탐색한 후 공감 역량을 키우기 위한 도덕교육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 KCI등재

        초등학생의 공감 및 도덕판단력과 새로운 환경 패러다임 간의 관계

        권혜선(Kwon Hye Seon)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13 도덕윤리과교육 Vol.- No.39

        이 연구는 초등학교 5, 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학생들의 공감과 도덕판단력, 새로운 환경 패러다임의 특성을 알아보고, 공감 및 도덕판단력과 새로운 환경 패러다임 간의 관계에 대하 여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학생들의 공감능력은 연령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지만, 정서 공감과 사회기술 요소를 중심으로 여학생의 공감이 남학생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 났다. 도덕판단력과 새로운 환경 패러다임은 학생들의 연령과 성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공감의 하위 요소 가운데 정서공감, 인지공감과 도덕판단력 4단계, P(%)점수 는 새로운 환경 패러다임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도덕판단력 1단계는 유의미 한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나, 공감능력과 도덕판단수준이 높을수록 새로운 환경 패러다임이 강 함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정서공감과 인지공감, 도덕판단력 1단계와 4단계 중 새로운 환경 패러다임을 유의미하게 설명하는 요인은 인지공감, 도덕판단력 1단계와 4단계인 것으로 나타 났다. 초등학생의 환경세계관은 이후 청소년과 성인의 환경세계관 형성에 영향을 미치지만 아 직 확고하지 않은 상태로, 초등학생은 새로운 환경 패러다임의 형성에 있어 매우 중요한 시기 이다. 따라서 공감과 도덕판단력을 향상시키는 교육을 통해 초등학생의 새로운 환경 패러다임 을 촉진하고 강화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looked in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empathy, moral reasoning, and the new environmental paradigm of fifth and sixth grades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considered a relationship between empathy, moral reasoning, and new environmental paradigm. As a result, the empathy of student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ccordance with age; however, the empathy of girl students was discovered to b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boy students focusing on emotional empathy and a social skills elements. Meanwhil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age and sex of students. From among the sub-factors of empathy, emotional empathy and cognitive empathy, four stages of moral reasoning and P(%) score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new environmental paradigm whereas the first stage of moral judgments exhibit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new environmental paradigm. This means that the higher the empathy and moral reasoning level were, the stronger new environmental paradigm were. Also, among emotional empathy, cognitive empathy, and the first stage and fourth stage of moral reasoning, cognitive empathy and the first stage and fourth stage of moral reasoning were discovered to be factors that explain the new environmental paradigm of students significantly. The new environmental paradigm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have not been firmly determined yet; thereby, it is very crucial in that this fact affects the creation of the new environmental paradigm of teenagers and adults afterward.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promote and reinforce the new environmental paradigm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rough education which may enhance empathy and moral reason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