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공감각 연구 사례분석을 통한 디자인 활용방안

        정현원,오정아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문화와예술연구 2015 문화와예술연구 Vol.6 No.-

        공감각의 최초 표현은 인류 언어 발달과 그 역사를 함께 하 고 있으며, 현대에 이르기까지 시․문학 작품과 언어 사용에서 인간 감성의 표현 수단으로 다양한 공감각 표현이 활용되어왔 다. 또한, 인간의 감성표현의 장르인 예술 분야에 있어서도 모 든 감각을 총동원하여 대상을 느끼고 그 느낌을 시각예술로 표 현하려고 했던 작품들, 시각 예술과 청각예술이 상호 교류 하 면서 얻어진 영감으로 표현된 작품들, 현대 멀티미디어 시대의 영상음악으로 맥을 이어갈 수 있는 총체예술의 개념과 시각음 악․색채음악이라는 새로운 장르의 출현 등 인간의 공감각 현 상을 바탕으로 한 예술 활동을 찾아볼 수 있다. 한편, 과학적 측면에서는 공감각 현상에 대한 인간의 생리적․심리적 작용에 대한 메카니즘을 밝히고자 하는 연구를 공감각자(共感覺者, Synesthetes)를 대상으로 진행하고 있다. 이렇듯 공감각 연구는 심리학, 생리학, 미학, 문학, 과학 등 다양한 학문분야와 관련된 흥미로운 연구대상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학제적 관점에서 정의하고 있는 공감각 의 개념과 공감각 연구의 경향을 파악해 보고자 하며, 국내 공 감각 디자인 연구를 중심으로 연구 방법과 내용을 분석해 보고 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감성디자인 연구의 분야로서 공감각 연구의 의미를 밝히고, 다양한 공감각 감성 디자인 연구의 활 용방향의 가능성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가진다. The earliest expression of synesthesia is as old as the development of human language, and it has been used as a means of expression for human sensibility in the fields of poetry, literature, and language. Besides, it is not difficult to find artworks using synesthesia as the expressive media such as the visual arts trying to deliver all the human senses, the composite arts inspired by the mutual exchange of both visual and aural arts, the concept of intermedia art that can remain in existence of visual music in the era of modern multimedia and the appearance of new genre of art like visual music and color music. On the other hand, even in the field of science, the analysis to find out mechanism in respect of synesthesia phenomenon based on human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action is progressed targeting synesthetes. As indicated above, synesthesia is interesting subject for the research related with various academic fields including psychology, physiology, esthetics, literature, science and e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the concept of synesthesia defined from the multidisciplinary point of view and the tendency of synesthesia research, and analyze research method and contents of national synesthesia design. Moreover, this study is meaningful as trying to clarity meaning of synesthesia research as one of the emotional design research fields, and suggest the possibility of application method for various research fields of synesthesia and emotional design.

      • 공감각 연구 사례분석을 통한 디자인 활용방안

        정현원,오정아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문화예술콘텐츠연구소 2015 문화와예술연구 Vol.6 No.-

        The earliest expression of synesthesia is as old as the development of human language, and it has been used as a means of expression for human sensibility in the fields of poetry, literature, and language. Besides, it is not difficult to find artworks using synesthesia as the expressive media such as the visual arts trying to deliver all the human senses, the composite arts inspired by the mutual exchange of both visual and aural arts, the concept of intermedia art that can remain in existence of visual music in the era of modern multimedia and the appearance of new genre of art like visual music and color music. On the other hand, even in the field of science, the analysis to find out mechanism in respect of synesthesia phenomenon based on human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action is progressed targeting synesthetes. As indicated above, synesthesia is interesting subject for the research related with various academic fields including psychology, physiology, esthetics, literature, science and e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the concept of synesthesia defined from the multidisciplinary point of view and the tendency of synesthesia research, and analyze research method and contents of national synesthesia design. Moreover, this study is meaningful as trying to clarity meaning of synesthesia research as one of the emotional design research fields, and suggest the possibility of application method for various research fields of synesthesia and emotional design. 공감각의 최초 표현은 인류 언어 발달과 그 역사를 함께 하고 있으며, 현대에 이르기까지 시․문학 작품과 언어 사용에서인간 감성의 표현 수단으로 다양한 공감각 표현이 활용되어왔다. 또한, 인간의 감성표현의 장르인 예술 분야에 있어서도 모든 감각을 총동원하여 대상을 느끼고 그 느낌을 시각예술로 표현하려고 했던 작품들, 시각 예술과 청각예술이 상호 교류 하면서 얻어진 영감으로 표현된 작품들, 현대 멀티미디어 시대의영상음악으로 맥을 이어갈 수 있는 총체예술의 개념과 시각음악․색채음악이라는 새로운 장르의 출현 등 인간의 공감각 현상을 바탕으로 한 예술 활동을 찾아볼 수 있다. 한편, 과학적측면에서는 공감각 현상에 대한 인간의 생리적․심리적 작용에대한 메카니즘을 밝히고자 하는 연구를 공감각자(共感覺者, Synesthetes)를 대상으로 진행하고 있다. 이렇듯 공감각 연구는심리학, 생리학, 미학, 문학, 과학 등 다양한 학문분야와 관련된흥미로운 연구대상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학제적 관점에서 정의하고 있는 공감각의 개념과 공감각 연구의 경향을 파악해 보고자 하며, 국내 공감각 디자인 연구를 중심으로 연구 방법과 내용을 분석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감성디자인 연구의 분야로서 공감각연구의 의미를 밝히고, 다양한 공감각 감성 디자인 연구의 활용방향의 가능성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가진다.

      • KCI등재

        색-자소 공감각에서 자소 사용빈도와 공감각 색 간의 상관

        김예슬,김채연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2014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Vol.26 No.3

        Individuals with color-graphemic synesthesia experience idiosyncratic colors while viewing achromatic letters or digits. Despite the large individual difference in grapheme-color associations, several studies have tried to examine the determinants of grapheme-color synesthesia. For example, Beeli et al. (2007) found that the more a letter is frequently used in German, the more saturated was the synesthetic color induced by it, and Hermann et al. (2012) found the correlation between grapheme frequency and the wavelength of synesthetic color.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whether grapheme occurrence frequency is associated with hue, saturation, luminance (HSL) and dominant wavelength of induced synesthetic color. We also investigated whether the potential correlation between grapheme frequency and synesthetic color differs between the first and the second languages. Seven Korean multilingual synesthetes participated in a color-matching test where they picked their “colors” from the color palette on the color-calibrated monitor while viewing Korean consonants and Latin alphabets. The matched RGB values of those graphemes were converted into CIE xy coordinates on the CIE xyY color space. HSL value and dominant wavelength were extracted from the CIE xy coordinates. Two kinds of grapheme frequency - written and spoken - were considered. The results showed that graphemes used more frequently within written and spoken language tended to induce synesthetic colors with longer wavelength both for Korean consonants and for Latin alphabets. However, correlation between grapheme frequency and dominant wavelength was stronger for Korean consonants than for Latin alphabets. In terms of HSL, saturation and luminance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frequency in Korean consonants. No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found in Latin alphabets. Difference between Korean consonants and Latin alphabets in terms of saturation was found within written and spoken frequency and difference in terms of luminance was shown within spoken frequency. These results imply that grapheme frequency can shape synesthetic color perception and its’ influence can differ between the first and the second languages. The results from this study, therefore, suggest the possibility that synesthetic color experience is not only related to perception but broader ranges of cognitive processes including language, learning, and memory. 색-자소 공감각자들은 글자나 숫자를 볼 때 특정 색을 함께 경험한다. 큰 개인차에도 불구하고 공감각 색의 결정요인을 밝히려는 노력이 계속되어왔다. 예를 들어, 자소의 사용빈도가 공감각 색의 채도와 상관이 있다고 밝힌 연구가 있는가 하면(Beeli et al., 2007), 사용빈도가 파장과 상관을 보인다는 연구도 존재한다(Herman et al. 2013).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 다중언어 공감각자를 대상으로 자소의 빈도가 공감각 색의 파장과 색상, 채도, 명도(HSL)와 상관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빈도와 공감각 색 간의 상관관계가 모국어와 외국어에서 차별적으로 나타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7인의 한국인 다중언어 공감각자가 실험에 참여하였다. 이들은 한글 자음과 라틴 알파벳에 대해 경험하는 공감각 색을 모니터 상의 색 팔레트에서 고르는 과제를 수행하였다. 공감각 색의 RGB 값은 CIE xyY 좌표로 치환되었고, 이 좌표를 활용해 주파장과 HSL 값을 추출하였다. 자소 빈도는 표기빈도와 발화빈도 두 가지로 나뉘어 분석에 사용되었다. 주파장을 활용한 분석에서 한글 자음과 라틴 알파벳 모두 표기 및 발화에서 고빈도의 자소가 장파장을 가진 공감각 색을 유발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이러한 경향은 공감각자 개인에게서 라틴 알파벳에 비해 한글 자음에서 더 명확하게 나타났다. 채도와 명도 또한 한글 자음의 빈도와 정적 상관을 보였다. 라틴 알파벳은 색상, 채도, 명도에 있어서 어떠한 유의미한 상관도 보이지 않았다. 언어 간 비교에서 주파장과 빈도 간의 상관은 모국어와 외국어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은 반면, 채도 및 명도는 언어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는 경험을 통해 암묵적으로 학습된 자소의 빈도가 공감각 색 경험에 영향을 주고 이 상관이 언어 습득 시기, 유창성 등으로 인해 모국어와 외국어에서 차별적으로 나타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공감각 색 경험이 감각의 문제만이 아니라 언어, 학습, 기억 등 더 넓은 범주의 인지과정과 연합될 가능성을 제시한다.

      • KCI등재

        중국어 공감각 어휘 교육 연구

        양영매(Yang, Youngmae) 한국아시아학회 2021 아시아연구 Vol.24 No.3

        ‘감각’은 인류의 기본적 경험 중 하나이다. 따라서 그것과 관련한 ‘감각어’ 또한 당연히 기초 어휘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의 주목적은 현대 중국어의 ‘공감각 어휘’, 즉 감각어의 의미전이로 타 영역의 감각까지 함께 촉발하는 어휘를 대상으로 삼아 그것의 음운론적·통사론적·의미론적 특성을 분석·설명하고, 그것이 ‘중국어 공감각 어휘 교육’이라는 목표 달성에 어떻게 기여할 수 있을지를 검토하는 데 있다. 그 특성을 더 구체적으로 보면, 첫째, 중국어 공감각 어휘는 1음절에서 4음절까지 분포되어 있으나 2음절 어휘가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는 음운론적 특성이, 둘째, 주로 합성어로 이루어졌으며 파생어도 일부 존재한다는 통사론적 특성이, 셋째, 한 감각 영역으로 의미가 전이되는 경우도 있지만 그것이 여러 감각 영역으로 확장하기도 한다는 의미론적 특성이 있음을 고찰할 수 있다. ‘중국어 공감각 어휘 교육’의 측면에서 보면, 감각어가 기초어휘이고 감각어의 공감각 현상 또한 보편적으로 공존한다고 할 수 있으므로, 의사소통 중심의 중국어 교육에 있어서 ‘공감각 어휘 교육’은 당연히 필수적인 것으로 간주, 시행되어야 마땅하다 할 것이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기존의 선행연구에서는 공감각 어휘 교육에 대한 고찰이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중국어 공감각 어휘 교육’의 체계적 확립을 위한 등급별 목표 설계를 시도하여 그 목표에 맞는 단계별 교육용 공감각 어휘를 선정, 향후 이뤄질 대상별·품사별·감각별 공감각 어휘 교육 연구를 포함한 중국어 공감각 어휘 교육 연구 전반의 토대를 마련한다. The ‘sense’ is one of the basic experiences of humankind, and therefore it can be said without any doubt that words related to it, ‘sense words’ so to speak, also belong fundamental vocabulary. Within such a context, this work is designed mainly both to analyze and explain phonological, syntactic and semantic characteristics of ‘synaesthetic vocabulary’, that which, in other words, triggers another sense due to the semantic transference of the sense word, and to examine the way in which the analysis and explanation can possibly contribute to accomplishing an aim of ‘the education of synaesthetic vocabulary in modern Chinese’. More specific evaluations of the vocabulary are as follows: first, as for the phonological one, it ranges from one to four syllables, but two-syllable vocabulary accounts for a large number of them; second, as for the syntactic one, it is composed predominantly of compound words and some derivatives also exist; and last, as for the semantic one, meaning is transferred to one sensory area in some cases, but in other cases, it extends to several sensory areas as well. From the viewpoint of the education mentioned earlier, since the sense word is the fundamental vocabulary and its synaesthetic phenomena also coexists in a universal fashion, the education must be considered essential and implemented in communication-oriented Chinese education. Having said that, however, there is almost no consideration for ‘the education of synaesthetic vocabulary in modern Chinese’ in existing precedent studies, which appears to be quite unfortunate. Thus, this work attempts to design goals for each grade to systematically establish the education, selecting step-by-step educational synaesthetic vocabulary that fits the goals. And by doing so, it lays the foundation for overall researches on ‘the education of synaesthetic vocabulary in modern Chinese’ including those based on different groups of vocabulary categorized by subjects, parts of speech, and senses.

      • KCI등재

        한국인 색-자소 공감각자의 공감각 경험에 대한 현상적 기술 및 실험적 입증

        김서경,김채연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2009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Vol.21 No.4

        Synesthesia is a condition under which a stimulus in one sensory modality induces unusual perceptual experience in another sensory modality. Here we report Korean synesthetes who experience colors when viewing alphanumeric characters. This study not only describes phenomenal aspects of synesthetic color experiences associated with graphemes including Korean alphabet (“Han-gul”) but also verifies authenticity and perceptual reality of synesthetic experience by exploiting a couple of experimental paradigms. Experiment 1 utilized a synesthetic version of the Stroop task to verify the automaticity of synesthetic experience. By presenting a Korean grapheme either in physical color matching the observer's synesthetic color experienced by the grapheme(the congruent condition) or in a “wrong” color(the incongruent condition), we observed increased reaction time when the physical color doesn't match synesthetic color, which reveals interference of synesthetic color in real color judgment. Experiment 2 exploited a visual search task to verify perceptual reality of syensthetic color. When a target inducing synesthetic color was located among many distracters inducing different synesthetic color, the set-size effect(i.e., increase in reaction time as the number of stimulus increases) from synesthetic observers was reduced compared to that from non-synesthetic observers. The result shows that synesthetic color improved search efficiency as real color does in ordinary visual search task. This study is by far the first report on Korean color-graphemic syesthetes integrating both phenomenal and experimental aspects of their synesthetic color experiences. 공감각은 한 종류의 특정한 감각을 경험할 때 다른 감각 경험이 동시에 일어나는 현상으로 최근 심리학 및 신경과학 분야에서 주목받고 있는 연구 주제 중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최초로 한국인 공감각자를 표집하여 알파벳, 숫자, 한글 자모음에서 보고되는 공감각 현상의 주관적 특성을 기술하였으며 실험에 의한 객관적 증명을 시도하였다. 실험 1의 공감각 스트룹 과제에서는 물리적 색과 공감각 색의 간섭 효과를 통해 공감각 경험의 자동성을 검증하였다. 한글 자모음을 자극으로 사용하여 제시된 자극의 물리적 색이 그 자극에서 야기되는 공감각 색과 불일치하는 경우, 일치하는 경우에 비해 반응시간이 길어지는 효과를 관찰하였다. 실험 2의 시각 탐지 과제에서는 인위적인 학습을 통한 연합이 재현할 수 없는 공감각 경험 고유의 지각적 실재성을 검증하였다. 서로 다른 공감각색을 유발하는 방해 자극과 목표 자극을 사용하여 탐지 과제를 실시했을 때, 자극 개수가 늘어남에 따라 반응 시간이 증가하였다. 이때 일반인 집단의 반응 시간 증가율에 비해 공감각자 집단의 증가율이 낮았다. 이는 공감각 색 경험이 시각탐지 과제에서 실제 색과 유사한 방식으로 탐지 효율을 증가시킨 결과로 해석된다. 본 논문은 표집된 한국인 공감각자들이 보고한 통계적이고 현상적인 특성과 실험의 결과를 종합하여 공감각 경험의 진위 여부를 입증한 최초의 보고로 그 의의를 지닌다.

      • KCI등재후보

        지역적 소리의 공감각화를 위한 색채 연구

        정아람(Jung, Aram),박부미(Park, Boomee)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14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JIDR) Vol.13 No.3

        새로운 패러다임에 의한 창조산업(creative industry)은 차별적인 지역의 정체성의 정립과 함께, 미래에는 새로운 차원의 디자인 컨텐츠에 대한 연구와 방법에 대한 재고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지금까지 시각 중심으로 진행되어 오던 지역이미지에 대한 디자인방법의 영역을 확장하여 청각, 촉각, 미각, 후각의 오감과 연계된 다차원적인 공감각적 연구방향으로 발전되어가야 한다. 본 연구는 지각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시·청각의 공감각화를 위하여 소리와 색채의 호환 가능성을 확인하고, 이들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정량화시키고, 검증된 분석프로그램이나 색 시스템을 통하여 시각화 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지역의 대표하는 여러 소리 중에서 괭이갈매기의 3가지 행위별 음성신호를 분석하고 이를 색 공간에 적용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소리와 색을 중심으로 공감각적 활용가능성을 알아보고자 선행연구들을 분석하였다. 연구는 세부분으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첫째, 공감각의 개념과 소리와 색의 공감각적 지각에 대해 알아보았다. 둘째, 소리 분석프로그램인 ‘Cool Edit Pro 2.1’를 사용하여 소리의 세기(주파수), 소리의 크기(진폭), 소리의 음색(파형)으로 나누어 소리를 데이터화 하였다. 셋째, 소리를 색채로 변환하기 위해 색의 3요소인 색상, 명도, 채도를 최적화시킨 CIELCH(L*C*h)의 3차원적 원기둥을 채택하여 공감각적인 변환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넷째, 지역의 대표음성인 괭이갈매기 음성을 위험신호음, 공격음, 대화음의 3가지 행위별로 나누어 음성신호분석을 하고, 그 데이터를 최적화된 색 공간에 적용하였다. 마지막으로 색 공간에 적용된 지역의 소리에 의한 색채는 지역의 정체성을 나타내기 위한 디자인 컨텐츠 분야에 공감각적 연구나 실험을 위한 기초 자료로 제시하는 데 의의를 두고자 한다. For Creative Industry of a new paradigm, it is imperative for a local area to have a unique identity and for us to reconsider current status of study on design content. Deviating from a visual-based one, conducting a research on local images in auditory, kinesthetic, gustatory, and olfactory ways is also needed. This study is generally intended to inquire into the possibility of sound and color compatibility, to analyze and quantify the following data, and to visualize them via a guaranteed analyzing program or a color system. Thus, among a number of sounds representing the local region, three kinds of voice signals of a black-tailed gull were selected, and we applied them to the color space. To do so, we first analyzed previously conducted researches to look into its synesthetic practicality, mainly sound and color. The study comprises mainly three parts. First, overview on the concept of synesthetia and synesthetic perception in sound and color. Second, systemization of sounds into a set of data according to their strength(frequency), width(amplitude), and timbre(wave). Third, implementation of three-dimentional cylinder of CIELCH(L*C*h), which has the most optimized hue, value, and chroma, to render a synesthetic transformation of sound into color. Fourth, analyses on a black-tailed gull"s voice signal, a representative local sound, and application of the sound data, which are later divided into three groups (warning, attacking, and conversational), to the color space. Lastly, a brief conclusion on a consequent color from the local sound, and a suggestion of the color as a potentially fundamental data for future researches on synesthetia that will be further conducted in the content design field, where presenting the true identity of a local area is highly valued.

      • KCI등재

        공감각 경험디자인을 위한 공감각 모달리티 이론적 고찰

        이정선(Jung Sun Lee)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2023 한국디자인리서치 Vol.8 No.1

        유비쿼터스(Ubiquitous) 시대를 넘어 가상(Virtual) 환경의 시대가 되면서 보다 긴밀하고 인간 중심의 디자인을 필요로 하고 있다. 기술이 발전하고 사용자들의 경험의 질이 높아지면서 경험의 질이 높아지고 그 양과 범위도 넓어졌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경험에 대한 논의가 프레임 워크와 사용자의 경험과 직접 연결된 모달리티로 다감각적인 체험과 경험으로 확장할 수 있는 공감각 경험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를 통해서는 공감각 모달리티에 대한 개념을 정의하고 모형과 프레임을 살펴보는 이론적 기초를 다시고자 한다. 이 연구의 연구 방법은 모달리티에 대한 학문별 개념을 문헌연구를 통해 살펴본다. 이후 모달리티의 유형별, 기능별, 감각별 모형을 제시하여 공감각적 접근의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이를 통해 자극에 따른 물리적 현상과 생리적 현상의 공감각전이과정에 따른 메트릭스를 제시할 수 있었다. 인터랙티브 디자인 작품 사례를 선정하고 모형에 따라 분석하여 자극에 따른 물리적 현상과 생리적 현상의 공감각 전이과정에 따른 메트릭스를 제시하여 기능별, 수용 감각, 유형별에 따라 행동 영역, 자극 반응과 개념 반응을 공감각 전이과정에 따른 메트릭스를 검증하였다. 이를 통해 향후 인터랙티브 디자인뿐 아니라 공감각 경험을 위한 디자인 콘셉트를 설계하고 디자인할 때 방향점으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보다 깊이 있고 실제적인 경험을 위한 제품, 서비스의 발전된 경험 설계에 대한 연구를 기대해 볼 수 있다. Beyond the ubiquitous era, the era of virtual environments requires a more dense and human-centered design. This is because the quality of the experience has increased and the amount and scope of the experience have expanded as technology has developed and the quality of the experience of the users has increased.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study synesthesia experiences in which discussion of experiences can be extended to multi-sensory experiences and experiences with modalities directly linked to the framework and user experiences. To this end, this study aims to define the concept of synesthesia modality and redefine the theoretical basis for examining models and frames. The research method of this study examines the academic concept of modality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fter that, models for each type, function, and sense of modality were presented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a synesthetic approach. Through this, it was possible to present a matrix according to the synesthesia transition process of physical and physiological phenomena due to stimulation. Interactive design work cases were selected and analyzed according to the model, and metrics were presented according to the synesthesia transition process of physical and physiological phenomena according to stimulation, acceptance, and type to verify metrics according to the synesthesia transition process. Through this, it can be used as a direction point when designing and designing not only interactive design but also design concepts for synesthesia experiences in the future. In addition, research on the advanced experience design of products and services for more in-depth and practical experiences can be expected.

      • KCI등재

        공감각을 활용한 패션디자인 프로세스에 관한 연구

        권지현(Kwun, Jee Hyun)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5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20 No.-

        이 연구는 공감각을 활용하는 패션디자인 프로세스에서 창의적 결과물을 얻기 위한 효과적인 적용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청각자극을 경험한 후 패션디자인을 전개한 패션 관련 전공 대학생 18명의 디자인 자료들을 분석하여 문제해결 방식에 따라 ‘공감각적 어휘 집중형’, ‘공감각적 내러티브 집중형’, ‘공감각적 연합형’, ‘과제 집중형’ 의 4가지 유형으로 패션디자인 프로세스들을 분류하였다. ‘공감각적 어휘 집중형’은 단일 어휘 형태로 지각한 공감각을 기반으로 디자인 문제를 해결하는 유형이며, ‘공감각적 내러티브 집중형’은 연속적인 내러티브 형식으로 인지된 공감각을 토대로 디자인 문제를 해결하는 유형이다. ‘공감각적 연합형’은 어휘 및 내러티브로 지각된 공감각을 결합, 변형, 재창조하는 방식으로 디자인 문제를 해결하는 유형이며, ‘과제 집중형’은 지각된 공감각보다 과업에 더 집중하며 디자인 문제를 해결하는 유형이다. 각 유형의 내용분석 결과, ‘공감각적 연합형’의 프로세스가 공감각과 유추의 빈도, 공감각의 활용 효과가 가장 높았고, 변형된 아이디어의 도출이 가능하였다. 피험자들의 최종 디자인은 창의성 수준에 따라 발전 단계, 활성 단계, 저활성 단계의 3그룹으로 분류되었는데, 창의성이 가장 높은 발전 단계 그룹의 대부분이 ‘공감각적 연합형’이었다. 그리고 창의성 평가가 두번째로 높은 활성 단계 그룹은 공감각적 어휘집중형이 대부분을 차지했고, 저활성 단계 그룹은 공감각적 내러티브 집중형과 과제 집중형이 해당되었다. 최종 디자인의 창의성과 디자인 프로세스에서 분석된 내용들을 종합적으로 검토한 결과, 공감각을 활용하는 패션디자인 프로세스에서 창의적인 결과물을 얻기 위해서는 감각 자극으로부터 가능한 많은 공감각을 지각하고, 과업을 명확히 이해하고 점검하며, 결합, 변형, 발산, 수렴, 정교화, 범주화, 유추 같은 창의적 사고 능력들을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였다. 따라서 감각 자극과 함께 창의적 사고를 적극 이끌어내는 패션 디자인 프로세스가 개발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was aimed at finding how to plan for the most creative outputs in fashion design process by use of synaesthesia. First, 18 students on fashion-related degree courses were exposed to auditory stimuli before developing designs. Their design processes were then classified according to each student’s adopted problem-solving style. Four types were identified: ① Synaesthetic word-focussed type: the design processes followed were inspired by synaesthesia perceived as single word forms; ② Synaesthetic narrative-focused type: the design processes followed were inspired by synaesthesia perceived as continuous narrative forms; ③ Synaesthetic combined type: the design processes followed were inspired by results from combining, modifying and reinventing synaesthesia perceived as word and narrative forms; ④ Task-focussed type: the design processes followed were inspired by concentrating on design tasks, rather than perceived synaesthesia. The results from content analysis of each type showed that the synaesthetic combined type had the highest frequency of synesthesia, the highest frequency analogy and the highest utilization efficiency of synaesthesia and drew modified ideas. Second, the levels of creativity for subjects’ final designs were classified as advanced-level, active-level and low-active-level. Most advanced-level results were obtained through the synaesthetic combined type, most active-level results through the synaesthetic word-focussed type, and most low-active-level results through the synaesthetic narrative-focussed and task-focussed types. The conclusion from a comprehensive review of the results was that as much synaesthesia as possible should be perceived from sensory stimuli, design tasks encountered should be clearly understood and constantly checked, and creative-thinking abilities such as combination, mutation, divergence, convergence, elaboration, categorisation and analogy should be available to the designer. Development of a fashion design process which gives sensory stimuli and greatly encourages creative-thinking abilities is therefore recommended.

      • KCI등재

        융합인재교육(STEAM) 관점에서 미술교과의 공감각(Synesthesia) 교육에 대한 논의

        김정희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012 미술교육연구논총 Vol.32 No.-

        본고에서는 ’공감각‘이란 용어가 미술과 교육과정에서 사용된 것이 지각 활동과 융합적 사고력 강화와 관계 된다는 전제 아래 미술교과에서의 ’공감각‘ 활동의 의미를 뇌과학과, 미학, 융합교육관점에서 논의 했다. 공감각 교육을 인간의 뇌를 보다 생산적으로 사용하도록 하는, 즉 뇌의 활성화 교육 측면에서 논의 하고, 다중 감각의 융합에의한, 즉 감각의 전이와 소통을 유도하는 공감각 미술품의 표현과 감상활동을 중심으로 논의 했다. 이러한 논의가 필요한 것은 공감각자들이 과학자와 예술가들에게서 많이 발견된다는 사실과 공감각자들이 높은 창의력을 요구하는 분야에 종사할 확률이 매우 높다는 사실 때문이다. 미래인재교육을 위한 융합인재교육이 강조되고 있는 현행교육에서 뇌 과학 이론과 미술 이론을 근거로 공감각을 해석하는 것은 미술교과측면에서 융합인재교육에서 미술교과 역할의 중요성을 설명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미래인재교육을 위한 융합인재교육 관점에서 미술교과에서 공감각적 경험, 공감각적 생각과 공감각적 표현 활동이 어떻게 해석되어야 하는가를 밝힘으로서 융합인재교육으로서의 미술교과의 교육적 가치를 논의하고자 한다. The experiencing sector of revised curriculum of art education of 2009 is consisted of ‘perceptioin’ and ‘communication’. The standard accomplishment according to this has been suggested as ‘To explore natural objects and artifacts using various sense’. Related activities to this include ‘To explore an object using five senses’, ‘To notice an object with synesthesia and discuss its feelings’. In the aspects of activating a brain, ‘synesthesia’ being related to sense in art curriculum can be discussed. Also, it could be examined in the aspects of synesthesia art field with the perspective of metastasis and communication of sense. The reason why such debate is necessary is because numerous ‘synesthesia people’ are found in scientists and artists. Moreover,it is highly probable for ‘synesthesia people’ to engage in a field which requires an outstanding level of creativity. We are now living in an era which stresses so much on STEAM. Thus, an interpretation of synesthesia on the grounds of theories of art and brain-science is essential. Along with this, suggesting specific ways to put this into action would enable novel perception of educational significance of synesthesia activities. Thus,throughout this study, I will reveal how synesthesian experience, thoughts and expression should be analyzed from STEAM’s viewpoint.

      • KCI등재

        창의융합 뇌 교육을 기반으로 한 공감각 학습 지도방안에 관한 연구

        이지혜(Lee, Ji Hae)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7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3 No.1

        최근 뇌 기반 교육에 관한 관심이 사회적으로 크게 증폭되면서 효율적 학습을 위한 뇌의 구조와 기능을 활용한 연구가 활발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뇌 기반 학습이론에 기초한 창의성을 증진시키는 공감각 교육의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학습자의 특징과 기대효과를 분석함으로써 그 적용 가능성을 탐구하려 한다. 이에 따라 뇌의 구조와 기능, 뇌 교육의 선행 연구와 자료를 분석하여 토대로 삼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창의융합 뇌기반의 공감각 교육 학습 안을 개발하기 위해 뇌 교육 관련 선행연구에 기반을 두고 뇌 발달에 의한 감각기관 자극 학습이 창의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창의사고 과정에서 오는 뇌의 통합적 사고가 창의력을 증진 시킨다는 결과를 바탕으로 뇌 기반 창의력 구성요소인 공감각학습 구성요소를 추출하였다. 이 요소들의 타당성은 관련 전문가(뇌 관련전문가, 미술교육전문가, 유아교육 전문가, 심리학 전문가)들과 협의 검토하는 과정을 거쳐 적합성 부분 검증하였다. 공감각학습 프로그램은 전뇌의 교육적 기능요소와 공감각 학습의 구성요소의 교집합을 토대로 구체화 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한 학습 프로그램 안은 좌⋅우뇌 발달, 창의력공감각 증진의 학습지도 방법론에 이 될 수 있으리라 본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공감각 학습 프로그램은 창의성 교육은 체계적인 학습개발안의 기준으로써 뇌 기반 교육에 따른 창의성 인지단계의 정형화 되지 않은 부분과 공감각에 단계별 발달인지부분에 있어서 더 면밀한 검토와 검증, 나아가 실제 적용한 사례연구를 통해 앞으로 더 연구보완 해야 할 문제라 보여 진다. Recently, as interest in brain - based education has been greatly amplified in society, studies using brain structures and functions for efficient learning have become a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program of synesthesia education which promotes creativity based on brain - based learning theory and to explore its applicability by analyzing characteristics and expectation effects of learners. Therefore,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brain, brain research and data from previous studies were analyz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brain stimulation learning on creativity based on previous studies related to brain education in order to develop consensus education program based on fusion brain of this window. Based on the result that the thinking improves the creativity, we extract the component of synesthesia learning which is a brain - based creativity component. The validity of these factors was verified by consultation with relevant experts (brain experts, art education experts, early childhood education experts, and psychology experts). The synesthesia learning program is based on the intersection of the educational functional elements and the components of synesthesia learning. The learning program through this course can be a teaching methodology of brain development and creativity consensus. In this paper, the synesthesia learning program presented in this paper is a systematic study development standard for creativity education. In this study, more detailed examination and verification of the unstructured part of creativity cognition phase and the step of developmental awareness part of synesthesia The research suggests that the problem should be studied furth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