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사지구제술에서 언제 재활용 자가골 이식술이 유용한가?

        김재도,장재호,조율,김지연,정소학,Kim, Jae-Do,Jang, Jae-Ho,Cho, Yool,Kim, Ji-Youn,Chung, So-Hak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08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14 No.2

        목적: 악성 근골격계 종양의 치료로 재활용 자가골 이식술을 이용하는 사지구제술에서 종양의 절제 및 재건 방법과 자가골의 재활용 처치 방법에 따라 그 유용성과 임상적 적용에 대하여 후향적 조사를 통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본원에서는 1995년 12월에서 2006년 2월까지 재활용 자가골 이식술을 시행한 58례의 악성 근골격계 종양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나이는 평균 36.5세(5~74세)였고, 성별은 남자가 34례, 여자가 24례였다. 58례 중 47례는 체외 방사선 조사(extracorporeal irradiation)를 시행하였고 11례는 저온 열처리(pasteurization)를 하였다. 재활용 자가골의 절제 및 재건 방법은 조각삽입(fragmentary) 3례, 분절삽입(intercalary) 8례, 골연골 삽입(osteoarticular) 18례, 자가골-종양대치물 복합체(recycling-autograft-prosthesis composite) 23례, 전 관절(total joint) 5례, 아킬레스건(achilles tendon) 1례였다. 결과는 절제 및 재건 방법과 자가골의 재활용 처치 방법에 따라 방사선학적 유합과 기능적인 평가(Musculoskeletal Tumor Society)에 따른 결과를 분석하였고 각각의 합병증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결과: 접합부의 유합은 체외 방사선 조사에서 15.0개월, 저온 열처리에서 12.6개월로 관찰되었다. 절제 방법에 따라 분절삽입 12.8개월, 조각삽입 6.0개월, 자가골-종양대치물 복합체 10.0개월, 골연골 삽입 23.3개월, 전 관절 15.6개월로 관찰되었다. 기능적 결과 점수는 체외 방사선 조사에서 59.6%, 저온 열처리에서 63.5%였고 절제 방법에 따라 분절삽입 60.8%, 조각삽입 65.5%, 자가골-종양대치물 복합체(골반제외) 62.8%, 골연골 삽입 66.0%, 전 관절 이식 66.6%였다. 저온 열처리에서 합병증은 2례(18.1%)로 감염 1례, 비구 돌출 1례가 관찰되었고 체외 방사선 조사에서 22례(46.8%)의 합병증(심부 감염 3례, 불유합 8례, 골절 2례, 성장판 문제 2례, 관절 불안정성 5례, 국소 재발 2례)이 발생하였다. 절제 및 재건 방법에 따라 분절삽입에서 불유합 3례(37.5%), 자가골-종양대치물에서 합병증 9례(50.0%, 불유합 4례, 심부감염 1례, 종양대치물 주위 골절 1례, 성장판 문제 1례, 국소재발 1례, 비구 돌출 1례), 골연골 삽입에서 합병증 6례(33.3%, 심부감염 2례, 불유합 2례, 성장판 문제 1례, 병적 골절 1례), 전 관절 이식에서 합병증 5례(100%, 관절 불안정성 5례), 아킬레스건에서 국소재발 1례(100%)가 발생하였다. 결론: 재활용 자가골 이식술의 유용성은 절제 및 재건 방법에 따라서 조각 및 분절 재건술이 사지의 기능이 우수하고 접합부의 빠른 유합을 보여 가장 좋은 적응증으로 사료되며, 자가골-종양 대치물 복합체의 재건술에서는 절제 후 남은 골이 부족할 때 종양 대치물의 안정성을 위해 고려해 볼 만하다. 자가골의 재활용 처치 방법에서는 저온 열처리법이 체외 방사선 조사법보다 더 우수한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o identify which is the best procedure in recycling autograft according to the resection & reconstruction type and recycling methods, and so when the recycling autograft is used in limb salvage surgery. Materials and Methods: We have treated fifty-eight patients (34 male, 24 female; age range 5 to 74 years, mean age 36.5 years), who had the malignant musculoskeletal tumors, with recycling autograft (47 patients with extracoporeal irradiation, 11 patients with pasteurization) from December 1995 to February 2006. The resection and reconstruction type was 3 cases with fragmentary, 8 intercalary, 23 rAPC (recycling-Autograft-Prosthesis composite), 18 osteoarticular, 5 total joint and 1 soft tissue (achilles tendon). The result was evaluated by the radiologic union at junctional site, the functional score by musculoskeletal tumor society score and complications according to the resection & reconstruction type and recycling methods. Results: The junctional union was obtained at 15.0 months in extracoporeal irradiation and 12.6 months in pasteurization. Also the mean radiologic union was shown at 6.0 months in fragmentary, 12.8 months in intercalary, 10 months in rAPC, 23.3 months in osteoarticular and 15.6 months in total joint. The functional score was 65.5% in fragmentary, 60.8% in intercalary, 62.8% in APC (except pelvis), 66.0% in osteoarticular and 66.6% in total joint. We have experienced 1 infection, 1 prutrusio acetabuli in pasteurization (18.1%) and other 22 complications (3 deep infections, 8 nonunions, 2 fractures, 2 epiphyseal problems, 5 joint instabilities, 2 local recurrence) in extracoporeal irradiation (46.8%). Also we have experienced 3 complications (3 nonunions) in intercalary (37.5%), 9 complications (4 nonunions, 1 deep infection, 1 periprosthetic fracture, 1 epiphyseal problem, 1 local recurrence, 1 protrusio acetabuli) in rAPC (50.0%), 6 complications (2 deep infections, 2 nonunions, 1 epiphyseal problem, 1 pathologic fracture) in osteoarticular (33.3%), 5 complications (5 joint instabilities) in total joint (100%) and 1 complication(1 local recurrence) in soft tissue (100%). Conclusion: In our experience, according to the resection & reconstruction type fragmentary and intercalary may have several advantages such as good radiologic and functional result and low rate of complication. And it seems that rAPC was available in case which have no sufficient residual bone stock. Also the pasteurization may have more advantages than that of the extracorporeal irradiation.

      • 골종양에서 탈륨 스캔의 정량적 분석

        신덕섭,조인호,Shin, Duk-Seop,Cho, Ihn-Ho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03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9 No.1

        목적: 골종양이 의심되는 환자들에게 탈륨 스캔을 시행하여 섭취 정도를 정량적으로 측정하고 비교 분석하여 탈륨 스캔의 악성 골종양 조직에 대한 판별 능력을 규명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골종양이 의심되는 82명의 환자에 대하여 조직 생검 전에 다른 영상검사와 함께 전향적으로 탈륨 스캔을 시행하였다. 스캔의 결과는 정성적 판독과 정량적 탈륨 섭취율을 측정하였으며, retention index(delayed/early phase의 탈륨 섭취량)를 구하였다. 결과의 분석을 위하여 고등급 악성 골종양 군, 양성 골종양 군, 거대세포종 군 및 저등급 악성 골종양 군으로 나누고 각 그룹간의 통계적 유의성을 조사하였다. 결과: 탈륨 섭취율의 정량적 측정에서는 고등급 악성 골종양 군에서는 early phase에 평균 4.14, delayed phase에서는 평균 2.26였으며, 양성 골종양 군에서는 각각 1.16과 1.09, 거대세포종 군에서는 3.15와 1.94, 저등급 악성 골종양 군에서는 1.41과 1.31이었다. Retention index는 고등급 악성 골종양 군에서는 평균 0.62, 양성 골종양 군에서는 0.97, 거대세포종 군에서는 0.66, 저등급 악성 골종양 군에서는 0.93이었다. 고등급 악성 골종양 군은 early phase와 delayed phase의 탈륨 섭취율이 거대세포종을 제외한 양성 골종양 군 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p<0.001), retention index는 유의하게 낮았다(p<0.001). 결론: 탈륨 스캔은 악성 골종양과 대부분의 양성 골종양을 구분 할 수 있는 유용한 검사라고 사료되지만, 거대세포종의 경우 악성 골종양 같이, 저등급 악성 골종양의 경우 양성 골종양 같이 나타나는 특성에 유의하여 사용하여야 할 것이다. Purpose: This study was designed to know the ability of thallium-201 scintigraphy to discriminate malignant bone tumor from benign by analysing the quantitative thallium uptake ratio. Materials and Methods: We took thallium-201 scintigraphy prospectively with other imaging studies in 82 bone tumor suspecting patients. The results of scintigraphy were read qualitatively and calculated quantitatively, and retention indexes were estimated.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the patients were divided as four group; high grade malignant bone tumor, benign bone tumor, giant cell tumor and low grade malignant bone tumor. Results: The mean thallium uptake ratio was 4.14 in early phase and 2.26 in delayed phase in high grade malignant bone tumor group, 1.16 and 1.09 in benign bone tumor, 3.15 and 1.94 in giant cell tumor, and 1.41 and 1.31 in low grade malignant bone tumor. Retention indexes were 0.62, 0.97, 0.66, 0.93 in same order. The thallium uptake ratio and retention indexes were statistically correlated in high grade malignant bone tumor and benign bone tumor group(p<0.001). Conclusion: Thallium-201 scintigraphy proved as useful imaging study to discriminate malignant bone tumor from benign, but had exception in giant cell tumor and low grade malignant bone tumors.

      • 후족부에 발생한 원발성 골종양

        신덕섭,이성준,Shin, Duk-Seop,Lee, Sung-Jun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13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19 No.1

        목적: 후족부에 발생하는 원발성 골종양은 다른 부위에서의 골종양과 비교하여 발생 빈도가 낮고 진단이 늦거나 오진되는 경우가 많은 반면, 이에 대한 대규모 연구 및 보고는 적은 실정으로 후족부의 원발성 골종양의 진단과 치료를 위해 그 임상적 양상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89년부터 2011년까지 본원에서 진단 후 최소 1년 이상 추시 가능하였던 후족부 원발성 골종양 환자 44명의 45예 종양을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들의 의무 기록과 영상 검사를 후향적으로 검토하여 후족부 원발성 골종양에 대한 역학적 조사와 임상적 특성, 치료 방법을 확인하였고, 병리학적인 특성을 조사하였다. 결과: 총 44명의 환자 중 남자가 26예, 여자가 18예였으며, 환자들의 평균 연령은 25.1세였고 평균 추시 기간은 33.1개월이었다. 양성 골종양이 44예, 악성 골종양은 1예였으며, 종골에 발생한 골종양이 36예, 거골의 골종양 9예였다. 전체적으로 양성 골종양 중에는 단순골낭종이 20예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이 골내지방종이 12예, 연골모세포종 4예 순이었고, 악성 골종양은 유잉 육종이 1예였다. 발생부위 별로 종골에서는 단순골낭종이 18예, 골내지방종이 12예 순이었고, 거골에서는 연골모세포종 3예, 단순골낭종 2예, 골내결절종 2예 등의 순이었다. 환자들의 임상 증상은 통증을 동반하는 경우도 있으나, 우연히 발견되는 경우가 많고 족관절 혹은 후족부의 염좌 또는 타박상으로 오인되는 경우도 많았다. 병적 골절을 동반한 경우는 2예였다. 수술 방법으로는 소파술 혹은 소파술 및 골이식술, 관혈적 정복과 금속고정술 및 골이식술, 종양 절제술, 슬관절 하 절단술 등을 시행하였다. 결론: 후족부에 발생하는 원발성 골종양은 빈도가 드물고 진단이 늦어지는 경우가 많으며, 대부분 양성 종양이었으나 악성종양을 배제할 수 없어 조기 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중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Primary bone tumors of hindfoot are uncommon compared with other locations, and there have been few large-group studies. This study was design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and the clinical results of the primary bone tumors of hindfoot. Materials and Methods: Forty five cases in 44 patients who have been diagnosed from 1989 to 2011 were reviewed. The minimum follow-up period was 1 year.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and images. Results: Twenty six cases were male and 18 cases were female. Mean follow-up period was 33.1 months and mean age was 25.1 years. Forty four cases were benign and 1 case was malignant. Thirty six cases occurred in calcaneus and 9 cases were in talus. The most common benign bone tumor was simple bone cyst (20 cases), followed by intraosseous lipoma (12 cases), and chondroblastoma (4 cases). In calcaneus, there were 18 cases of simple bone cyst, and 12 cases of intrasosseous lipoma. In talus, there were 3 cases of chondroblastoma, 2 cases of simple bone cyst, and 2 cases of intraossesous ganglion. Many patients with hindfoot bone tumors presented with pain, but some were found accidentally. Patients received surgical procedures, such as curettage and bone graft,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tumor resection, and below knee amputation. Conclusion: Primary bone tumors of hindfoot are rare and can be misdiagnosed as ankle sprain or contusion. Although most are benign, malignant tumors cannot be ruled out, so early diagnosis and appropriate treatment is important.

      • 양성 골 종양의 수술적 치료 후 발생한 골 결손에서 탈무기화 골 기질(DBM, Genesis$^{(R)}$)의 단기 결과

        서현제,정소학,Seo, Hyun Je,Chung, So Hak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13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19 No.2

        목적: 골 종양의 수술적 치료 후 발생한 골 결손에 대해 골 대체물의 하나인 탈무기화 골 기질(Demineralized Bone Matrix, Genesis$^{(R)}$)을 이용하여 치료하고 그 결과를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으로 분석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12년 2월부터 2013년 5월까지 골 종양의 수술적 치료 후 발생한 골 결손에 대해 골 대체물의 하나인 탈무기화 골 기질(Demineralized Bone Matrix, Genesis$^{(R)}$)을 이용하여 치료하였다. 총 25예의 양성 골 종양 환자에서 시행하였으며, 남자 15명, 여자 10명이었고, 평균연령은 30.3세였다. 양성 골 종양의 종류별로 보면 고립성 골낭종이 9예, 비경화 섬유종 5예, 섬유성 이형성증 5예, 동맥류상골낭종 3예, 내연골종 3예였다. 부위별로 원위 대퇴골 5예, 근위 경골 4예, 근위 대퇴골 3예, 근위 상완골 3예, 수지골 3예, 원위 요골 2예, 골반골 2예, 종골 2예, 견갑골 1예였다. 자가골을 함께 사용한 경우가 6예, DBM 단독으로 사용한 경우가 19예였다. 추시 기간은 최단 6개월에서 최장 14개월로 평균 8.7개월이었다. 주기적인 추시에서 관찰된 단순 방사선 사진에서 DBM의 이식물의 흡수 정도와 골 생성 정도를 술 후 사진과 비교하여 백분율로 표시하여 관찰하였다. 흡수 정도는 단순 방사선 사진에서 관찰할 수 있는 DBM의 부피의 변화로 측정하였고, 골 생성 정도는 결손부의 골 소주의 생성 정도로 측정하였다. 결과: 총 25예 중 23예에서 골 유합(Bone union)을 관찰 할 수 있었다. 골 유합을 보인 23예는 술 후 평균 4.3개월에 98% 이상의 DBM 흡수율을 관찰할 수 있었고 술 후 평균 6.9개월에는 98% 이상의 골 생성을 관찰 할 수 있었다. 골 결손의 양이 적은 경우 골 형성이 빨랐다(p=0.036). 하지만 그 외 환자의 성별, 나이, 자가골의 첨가 여부 등은 이식물의 흡수율이나 골 생성에 통계학적 유의성은 없었으며, 모든 경우에서 최종 추시 상 특이한 합병증은 없었다. 결론: 양성 골 종양의 수술적 치료 후 발생한 골 결손의 치료제로서 탈무기화 골 기질은 유용할 것으로 생각되나, 장기간의 추시 관찰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efficiency of demineralized bone matrix (DBM, Genesis$^{(R)}$) used for bone defect after operative traetment of benign bone tumors by clinical and radiological methods. Materials and Methods: DBM was used to treat bone defect after operative treatment of benign tumor from February 2012 to May 2013. Total 25 benign bone tumor cases (15 males, and 10 females) with mean age of 30.3 were studied. The diagnoses were solitary bone cyst in 9 cases, non ossifying fibroma in 5, fibrous dysplasia in 5, aneurysmal bone cyst in 3 and enchondroma in 3. In categorization by location of tumor, there were 5 cases of distal femur, 4 of proximal tibia, 3 of proximal femur, 3 of proximal humerus, 3 of phalanx, 2 of distal radius, 2 of hip bone, 2 of calcaneus, and 1 of scapula. Autogenous bone was used with DBM in 6 cases, and only DBM used in 19 cases. Mean periods of follow up were 8.7 months (range: 6 to 14 months). Amount of graft resorption and bone formation was observed with compare of post operation radiograph and the difference was shown by percentage. Resorption level was measured by DBM level which could be observed from simple x-ray, and bone formation level by bone trabecular formation level at impaired site. Results: Twenty three cases of total 25 cases showed bone union. In the 23 cases, more than 98% DBM resorption was observed after mean 4.3 months, and more than 98% bone formation was observed after mean 6.9 months. Lesser bone defect sizes showed faster bone formation and 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36). But other comparative studies on other factors such as, sex, age of patients and combination of autogenous bon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graft resorption and bone formation.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complication in periods of follow-up. Conclusion: Demineralized Bone Matrix (Genesis$^{(R)}$) is thought to be useful treatment for bone defect after operative treatment of benign bone tumor, however longer follow-up periods appears to be needed.

      • 족부의 종양

        신덕섭,박성혁,안종철,Shin, Duk-Seop,Park, Sung-Hyuk,Ahn, Jong-Chul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03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9 No.1

        목적: 족부에 발생하는 종양의 임상적 특성과 병리학적 특성 및 분포 등을 조사하여, 족부 종양을 진단하고 치료하는데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족부 종양 환자 141명의 142 종양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환자들은 모두 조직검사를 통하여 진단이 된 환자들이었다. 대상이 되었던 환자들의 의무기록과 영상 검사들을 후향적으로 검토하여 종양의 역학적 조사와, 임상적 특성과 수술의 방법을 확인하였고, 병리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종양이 발생 위치는 Kirby 등이 제안한 구역(zone)에 따라 분류하였다. 결과: 여자는 75명이었고 남자는 66명으로 여자가 조금 많았다. 전체 환자들의 평균 나이는 33.2세였다. 양성 연부조직 종양이 68예로 가장 많았고, 양성 골종양이 57예, 악성 연부조직 종양이 12예, 악성 골종양이 5예의 순이었다. 양성 연부조직 종양 중에는 결절종이 36예로 가장 많았고, 양성 골종양 중에서는 조갑하 외골종이 18예, 악성 연부조직 종양 중에서는 편평 상피 세포암이 7예, 악성 골종양으로는 폐암의 전이 병소가 2예였다. 환자들의 임상 증상으로 통증은 악성 골종양 환자들이 가장 높은 비율로 호소하였고, 증상 발현 기간은 양성 연부조직 종양이 가장 길었고, 신경학적 증상은 양성 연부조직 종양에서만 3예가 있었다. 종양의 평균 크기는 악성 골종양이 가장 크고, 양성 골종양이 가장 작았다. 구역별 분포는 전체적으로 5 구역에 59예로 가장 많았고, 4 구역에 10예로 가장 적었으며, 양성 골종양에서는 5 구역, 양성 연부조직 종양에서는 1 구역, 악성 골종양에서는 1, 2 구역, 악성 연부조직 종양에서는 5 구역에서 가장 많았다. 수술 방법으로 병소내 혹은 변연부 절제술, 소파술 혹은 소파술 및 골이식 수술, 족지 절단수술, 슬관절 하 절단술과 사지구제술 등이 있었다. 결론: 족부에 발생하는 종양은 드물고 종류가 다양하면서 대부분(88%) 양성 종양이었으나, 진단 과정에서 환자의 나이, 통증 유무, 증상 발현 기간, 종양의 크기 및 발생 구역 등을 고려하여 악성 종양의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음으로써 올바른 치료를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his study was designed to provide the data base for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the foot tumor by investigation of the clinical and pat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distribution of the foot tumor. Materials and Methods: 142 foot tumors of 141 patients were studied. All patients were diagnosed with surgical biopsy. We investigated clinical and pat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epidemiologic distribution of the foot tumor by reviewing the medical records and imaging materials. The location of the tumors were classified with zone of Kirby et al. Results: 75 patients were female and 66 were male. The average age of the patients was 33.2 years old. Benign soft tissue tumors were the most as 68 cases, and followed by 57 benign bone tumors, 12 malignant soft tissue tumors and 5 malignant bone tumors. Ganglia were the most in benign soft tissue tumors as 36 cases, subungual exostoses in benign bone tumors as 18, squamous cell carcinomas in malignant soft tissue tumors as 7, and metastatic lung cancers in malignant bone tumors as 2. The rate of pain complaints was the highest in malignant bone tumors, the duration of symptom was longest in benign soft tissue tumors, and the size of the tumor was the biggest in malignant bone tumors. Neurological symptoms were found in only 3 benign soft tissue tumors. For the zonal distribution, zone 5 was the most in 59 cases and zone 4 was the least as 10. The most numbers of the benign bone tumors located in zone 5, of benign soft tissue tumors in zone 1, of malignant bone tumors in zone 1 and 2, and of malignant soft tissue tumors in zone 5. The methods of surgical treatment included intralesional or marginal resection, curettage with or without bone graft, toe amputation, below knee amputation and limb salvage. Conclusion: The tumors of the foot were rare and various, and mostly benign (88%), but we can do proper treatment of those tumors without excluding malignant tumors by considering the age of patients, pain, duration of symptom, size of the tumors, and zonal distribution.

      • 근위 상완골 골종양에서 골수강내 금속정과 골시멘트를 이용한 사지 구제술

        김한수,오주한,남우동,이태연,정진영,이한구,이상훈,Kim, Han-Soo,Oh, Joo-Han,Nam, Woo-Dong,Rhie, Tae-Yon,Jeong, Jin-Young,Lee, Han-Koo,Lee, Sang-Hoon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00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6 No.2

        목적 : 상완골 근위부의 악성 골종양에 대한 골수강내 금속정과 골시멘트를 이용한 사지 구제술을 시행한 환자에서 수술 후 기능적 결과 및 종양학적 추시 결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본 연구는 1992년 8월부터 1998년 4월까지 상완골 근위부의 악성 골종양으로 수술을 받은 18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골육종이 7례, 연골육종이 3례, 재발성 거대세포종이 3례, 전이성 악성 골종양이 3례, 다발성 골수종이 1례, 악성 섬유성 조직구증이 1례였다. 평균 연령은 38세이며, 추시 기간은 평균 26개월이었고, 수술은 병소 절제후 상완골두 모양으로 성형한 골시멘트와 골수강내 정을 이용하여 관절 성형술을 시행하였다. 술후 환자의 기능 평가는 국제 사지 보존 회의(ISOLS)의 기능 평가 방법을 이용하였으며, 또한 국소 재발, 원격 전이, 합병증 및 생존 기간 등을 분석하였다. 결과 : 기능 평가 점수는 평균 21.1(70.3%)이었다. 3례에서 국소 재발이 있었고, 5례에서 원격 전이가 발생하였다. 합병증으로 1례에서는 견관절 불안정성, 1례에서는 심부 조직의 감염이 발생하였다. 현재 지속적 무병 상태 7례, 유병 생존 상태 7례이며, 4례는 원격 전이 등으로 사망하였다. 결론 : 상완골 근위부 악성 골종양에 대하여 골수강내 정과 골시멘트를 이용한 사지 구제술을 시행하여 비교적 만족할 만한 기능적 결과를 얻었다. 이 술식은 선택된 경우에 있어서 상완골 근위부 종양 치료에서 재건 방법의 하나로 고려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Purpose :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is to evaluate the functional and oncologic results of the limb salvage surgery with intramedullary nailing and cementization in malignant bone tumors of the proximal humerus. Materials and Methods : We reviewed 18 cases of limb salvage surgery of resection and reconstruction with an intramedullary nail and cement-molded humeral head for the malignant bone tumors of the proximal humerus, which performed between August, 1992 through the April, 1998. The diagnoses included the osteosarcoma in 7 patients, chondrosarcoma in 3, the recurrent giant cell tumor in 3, metastatic tumor in 3, multiple myeloma in one patient and the one patient with malignant fibrous histiocytoma. The mean age at the time of surgery was 38 years(range, 15-73 years).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26 months(range, 6-67 months). Results : Average functional score by ISOLS evaluation system was 21.1(70.3%). There were 3 local recurrences and 5 distant metastases. There were one case of shoulder instability and one case of deep infection. The seven patients are continuously disease free state and seven patients are alive with disease. Four patients died from the disease. Conclusion : The limb salvage surgery with intramedullary nailing and cementization in the bone tumors of the proximal humerus may be considered an option for the malignant bone tumors of the proximal humerus in selected patients.

      • 거골 체부에 발생한 양성 종양

        서성욱,이상훈,김한수,Suh, Sung-Wook,Lee, Sang-Hoon,Kim, Han-Soo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02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8 No.3

        목적: 거골 체부에 발생하는 양성 종양은 매우 드물어 치료 방법에 따른 결과를 비교하기 어렵다. 이 연구에서는 거골 체부에 발생한 양성 종양 8예를 후방 도달법과 후 돌기를 통한 소파술로 치료한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86년 2월부터 2001년 8월 사이에 저자들이 경험한 거골 체부에 발생한 양성 골종양 환자 8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종양의 발견 당시 평균 연령은 22.1세(10세~41세)이었고, 남자 4명, 여자 4명이었다. 종양의 종류는 거대세포종 2례, 유골 골종 2례, 연골모세포종 1례, 골내 모세혈관종 1례, 단순 골 낭종 1례, 골연골종 1례이었다. 모두 후방도달 법으로 접근하였고, 2례의 유골 골종과 1례의 골연골종 환자는 절제술을, 나머지 5례는 후 돌기를 통한 소파술을 시행하였다. 평균 추시 기간은 7.5년(1년~16년)이었다. 결과: 추시 기간 중에 재발한 환자는 없었고, 1례에서 감염증이 발생했다. 이 경우를 제외한 모든 경우에서 체중 부하시 통증은 없었고, 관절 운동 범위의 제한이 발생한 경우도 없었다. 결론: 거골 체부에 발생한 양성 종양은 후방 도달법으로 주위 조직의 손상 없이 안전하게 접근할 수 있으며, 거골의 후 돌기를 통한 피질골 창으로 만족할 만한 소파술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Purpose: Benign bone tumor of the talar body have rarely been evaluated according to the therapeutic methods because of the scarcity of their incidence. Here, we report our experience of 8 cases who were treated by using of posterior approach and curettage through the posterior process of the talus.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February 1986 and October 2001, we experienced 8 cases of benign bone tumor occurring in the talar body. They included two osteoid osteomas, two giant cell tumors, one capillary hemangioma, one chondroblastoma, one simple bone cyst, and one osteochondroma. Their mean age was 22.1 years (ranging from 10 to 41 years). Mean follow-up period was 7.7 years (ranging from 1 to 16 years). All patients were treated by using of posterior approach. Two osteoid osteomas and one osteochondroma were treated by excision of tumors. Other cases were treated with curettage through the cortical window on the posterior process of the talus. Results: There was no recurrence during the follow-up period. one infection occurred. Except this case, all patients had no pain in weight-bearing, and complete range of movement at the ankle joint was reserved in each case. Conclusion: In this study, we suppose that posterior approach to the talar body may be a safe method with minimal damage of normal tissues and sufficient of curettage is capable through the cortical window on the posterior process of the talus.

      • 양성 골 종양의 절제 및 소파술 후 사용한 신선 동결 동종골 이식의 결과

        정성택,배봉현,임근영,공일규,Jung, Sung-Taek,Bae, Bong-Hyun,Lim, Keun-Young,Kong, Il-Kyu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05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11 No.1

        목적: 양성 골종양의 치료 시 발생한 공동의 골 결손에서 신선 동결 동종골 이식술을 시행한 결과에 대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본원에서 양성 골종양으로 진단되어 종양 제거술 및 소파술 후 신선 동결 동종골 이식술을 이용한 재건술을 시행 받은 29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골 결손 부위의 크기는 술 전 단순 방사선 사진에서 병소 부위의 부피를 산출하였다. 최종 추시 상 이식된 동종골의 유합 여부 및 신생골 형성 및 재발 등을 조사하였다. 결과: 이식 골의 방사선학적 유합 소견이 관찰되기까지 소요되는 시간은 평균 11주였으며 순수하게 동종골 이식술만을 사용한 군은 11.4주, 동종골 이식술과 함께 자가골 이식술을 사용한 군은 10.7주, 동종골과 골대체물을 사용한 군은 13.6주 소요되었다. 술 전 방사선 사진상 병소의 면적이 40 $cm^3$미만인 군은 9.3주, 40 $cm^3$이상인 군에서는 12.9주에 유합 소견이 관찰되었다. 2례에서 동일 부위의 재발 소견을 보여 재수술을 시행하였으며 동종골 이식술로 인한 염증 반응 및 질환의 전파는 없었다. 결론: 저자들은 양성 골 종양의 소파술 후 신선 동결 동종골의 사용과, 동종골 및 자가골의 사용에 있어 비슷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으며, 양성 골종양의 소파술 후 결손부위의 치료에 대해 자가골 이식이 가장 이상적인 방법으로 사료되나, 자가골 이식이 여의치 않은 소아의 경우나 골 결손부위가 커서 적절한 자가골을 얻을 수 없는 경우 등은 골 획득 및 처리가 비교적 간단하고 다양한 형태를 얻을 수 있는 신선 동결 동종골을 이용한 치료가 좋은 치료 방법의 하나로 생각된다. Purpose: We compared the time how much time spent until the bone unions, when we grafted fresh frozen allograft during therapy of benign bone tumor depends on the degrees of bony unions. Materials and Methods: This study selected 29 cases, in which a curettage on the benign bone tumors was conducted and a fresh frozen allograft was transplanted. The area of the focus, the new bone formation, the recurrence of the focus and complications in the plain radiographs were observed. Results: The average time when we could find out bony unions in the radiographs is eleven weeks. The time when we could observe the unions in the radiographs are 11.4 weeks in allograft group, 10.7 weeks in allograft and autograft groups and 13.6 weeks in allograft and bone substitute. On radiologic findings, the average lesion size is 40 cm3. The time when we could find bony unions are 9.3 weeks in less than 40 $cm^3$ and 12.9 weeks in more than 40 $cm^3$. We could observe recurrences in two cases. Conclusion: The authors could get the similar results between fresh frozen allograft, allograft and autograft after curettage of benign bone tumor. We can think the ideal method which is the transplantation of autograft, but if we can’t get autograft enough, the best way which heal the defects is the transplantation of fresh frozen allograft.

      • 양성 골종양의 수술적 치료 후 발생한 골결손에서 시행한 Hydroxyapatite의 조기 결과

        정소학,권영호,박영균,김재도,Chung, So-Hak,Kwon, Young-Ho,Park, Young-Gyun,Kim, Jae-Do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08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14 No.1

        목적: 골종양의 수술적 치료 후 발생한 골결손에 대해 골 대체물의 하나인 Hydroxyapatite ($Bongros^{(R)}$-HA)를 이용하여 치료하고 그 결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6년 09월부터 2007년 12월까지, 골종양의 수술적 치료 후 발생한 골 결손에 대해 골 대체물의 하나인 Hydroxyapatite를 이용하여 치료하였다. 총 17례의 양성 골종양 환자에서 시행하였으며, 남자 10명, 여자 7명이었고, 평균 연령은 28.5세였다. 양성 골종양의 종류별로 보면 섬유성 이형성증이 8례, 고립성 골 낭종이 5례, 거대 세포종이 4례였다. 부위별로는 근위 대퇴골 6례, 원위 대퇴골 3 례, 근위 경골 3례, 근위 상완골 4례, 골반골 1례였다. 자가골을 함께 사용한 경우가 4례, Hydroxyapatite 단독으로 사용한 경우가 13례였다. 추시 기간은 최단 3 개월에서 최장 15개월로 평균 7.5개월이었다. 주기적인 추시에서 관찰된 단순 방사선 사진에서 Hydroxyapatite의 이식물의 흡수 정도와 골 생성 정도를 술 후 사진과 비교하여 백분율로 표시하여 관찰하였다. 결과: 술 후 평균 4.5 개월에 98% 이상의 흡수율을 관찰할 수 있었고, 술 후 평균 6.2 개월에는 98% 이상의 골 생성을 관찰 할 수 있었다. 골 결손의 양이 적은 겨우 골 형성이 빠른 결과를 보였다(p=0.012). 하지만 그 외 환자의 성별, 나이 그리고 자가골의 첨가 여부에 따른 비교에서 이식물의 흡수율이나 골 생성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발견할 수 없었으며, 모든 경우에서 최종 추시 시 특이한 합병증은 없었다. 결론: 양성 골종양의 수술적 치료 후 발생한 골 결손의 치료제로서 Hydroxyapatite는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efficiency of Hydroxyapatite ($Bongros^{(R)}$-HA) what use for bone defect after operative treatment of benign bone tumor. Materials and Methods: Hydroxyapatite, was used to treat bone defect after operative treatment of benign bone tumor from September, 2006 to December, 2007. A total of 17 benign bone tumor cases (10 males and 7 females) with mean age of 28.5 was observed studied. The diagnoses were fibrous dysplasia in 8 cases, solitary bone cyst in 5 cases, and giant cell tumor in 4 cases. In categorization by location of tumor, there were 6 cases of proximal femur, 3 cases of proximal femur, 3 cases of proximal tibia, 4 cases of proximal humerus, and 1 case of hip bone. Autogenous bone was used with Hydroxyapatite in 4 cases, and only Hydroxyapatite used in 13 cases. Periods of Follow-up were from 3 months to 15 months, and mean period were 7.5 months. Amount of graft resorption and bone formation was observed with compare of post operation radiograph and the difference was shown by percentage. Results: More than 98% bone uptake was observed after mean 4.5 months, and more than 98% bone formation was observed after mean 6.2 months. Lesser bone defect size showed faster bone formation and 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 (P=0.012). But other comparative studies on other factors such as sex, age of patients and combination of autogenous bon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graft resorption and bone formation.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complications in periods of follow-up. Conclusion: Hydroxyapatite is considered as one of useful method of bone defect after operative treatment of benign bone tumor.

      • KCI등재

        악성 골종양의 진단적 접근

        신덕섭(Duk-Seop Shin),류승민(Seung-Min Ryu),박철현(Chul-Hyun Park) 대한정형외과학회 2015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0 No.6

        악성 골종양은 원발성 악성 골종양, 속발성 악성 골종양 및 전이성 골종양으로 나눌 수 있다. 골종양은 매우 드문 질환으로 성인의 원발성 악성 골종양은 전체 암의 1% 정도이고, 소아에서는 약 6% 정도를 차지한다. 통증이 없는 종괴를 주소로 하는 악성 연부조직 종양과는 달리 대부분의 악성 골종양 환자는 통증을 주소로 내원하게 된다. 과거 병력, 가족력 등에 대한 문진과 촉진 및 신체 검사를 한 뒤 증상과 관련된 방사선 사진을 먼저 촬영하게 되고, 경험이 풍부한 근골격계 종양의사는 진단에 대한 단서를 상당 부분 이 단순 방사선 사진에서 얻게 된다. 정확한 진단과 병기 결정을 위해 병리학적 진단, 종양의 국소 범위(local extent of tumor)와 원격전이 여부를 알아야 하며, 이를 위해 핵의학 검사, 전산화 단층촬영(computed tomography, CT), 핵자기공명영상(magnetic resonance imaging) 및 양전자방출 단층촬영(positron emission tomography-CT) 등의 영상검사와 생검이 필요하다. 만일 환자의 임상소견과 단순 방사선 사진이 공격적인 진행을 하는 양성 골종양이나 악성 골종양이 의심되면, 더 이상의 진단적 영상검사나 조직검사를 하지 말고 경험이 많은 정형외과 종양전문의에게 전원하여야 한다. Malignant bone tumors would be classified as primary malignant bone tumors, secondary malignant bone tumors, and metastatic bone tumors. Primary malignant bone tumors are rare diseases occupying 1% of adult cancers, and 6% of pediatric cancers. The chief complaint of malignant bone tumor patients is pain different from that of malignant soft tissue tumor patients. Diagnostic procedures start with clinical evaluation including current illness, past medical history, family history, and physical examination. Then we take a radiograph first and obtain important and diagnostic clues from it. However pathological diagnosis and information about the extent of tumor are required to obtain a more definite diagnosis and staging. Examinations for detection of local and systemic tumor extent are scintigraphy, computed tomography (CT), magnetic resonance imaging, and positron emission tomography-CT. If the clinical and radiographic information suggests aggressive or malignant bone tumor, the patient should be referred to a bone tumor specialist without further evalu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