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신덕섭,이성준,Shin, Duk-Seop,Lee, Sung-Jun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13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19 No.1
목적: 후족부에 발생하는 원발성 골종양은 다른 부위에서의 골종양과 비교하여 발생 빈도가 낮고 진단이 늦거나 오진되는 경우가 많은 반면, 이에 대한 대규모 연구 및 보고는 적은 실정으로 후족부의 원발성 골종양의 진단과 치료를 위해 그 임상적 양상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89년부터 2011년까지 본원에서 진단 후 최소 1년 이상 추시 가능하였던 후족부 원발성 골종양 환자 44명의 45예 종양을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들의 의무 기록과 영상 검사를 후향적으로 검토하여 후족부 원발성 골종양에 대한 역학적 조사와 임상적 특성, 치료 방법을 확인하였고, 병리학적인 특성을 조사하였다. 결과: 총 44명의 환자 중 남자가 26예, 여자가 18예였으며, 환자들의 평균 연령은 25.1세였고 평균 추시 기간은 33.1개월이었다. 양성 골종양이 44예, 악성 골종양은 1예였으며, 종골에 발생한 골종양이 36예, 거골의 골종양 9예였다. 전체적으로 양성 골종양 중에는 단순골낭종이 20예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이 골내지방종이 12예, 연골모세포종 4예 순이었고, 악성 골종양은 유잉 육종이 1예였다. 발생부위 별로 종골에서는 단순골낭종이 18예, 골내지방종이 12예 순이었고, 거골에서는 연골모세포종 3예, 단순골낭종 2예, 골내결절종 2예 등의 순이었다. 환자들의 임상 증상은 통증을 동반하는 경우도 있으나, 우연히 발견되는 경우가 많고 족관절 혹은 후족부의 염좌 또는 타박상으로 오인되는 경우도 많았다. 병적 골절을 동반한 경우는 2예였다. 수술 방법으로는 소파술 혹은 소파술 및 골이식술, 관혈적 정복과 금속고정술 및 골이식술, 종양 절제술, 슬관절 하 절단술 등을 시행하였다. 결론: 후족부에 발생하는 원발성 골종양은 빈도가 드물고 진단이 늦어지는 경우가 많으며, 대부분 양성 종양이었으나 악성종양을 배제할 수 없어 조기 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중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Primary bone tumors of hindfoot are uncommon compared with other locations, and there have been few large-group studies. This study was design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and the clinical results of the primary bone tumors of hindfoot. Materials and Methods: Forty five cases in 44 patients who have been diagnosed from 1989 to 2011 were reviewed. The minimum follow-up period was 1 year.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and images. Results: Twenty six cases were male and 18 cases were female. Mean follow-up period was 33.1 months and mean age was 25.1 years. Forty four cases were benign and 1 case was malignant. Thirty six cases occurred in calcaneus and 9 cases were in talus. The most common benign bone tumor was simple bone cyst (20 cases), followed by intraosseous lipoma (12 cases), and chondroblastoma (4 cases). In calcaneus, there were 18 cases of simple bone cyst, and 12 cases of intrasosseous lipoma. In talus, there were 3 cases of chondroblastoma, 2 cases of simple bone cyst, and 2 cases of intraossesous ganglion. Many patients with hindfoot bone tumors presented with pain, but some were found accidentally. Patients received surgical procedures, such as curettage and bone graft,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tumor resection, and below knee amputation. Conclusion: Primary bone tumors of hindfoot are rare and can be misdiagnosed as ankle sprain or contusion. Although most are benign, malignant tumors cannot be ruled out, so early diagnosis and appropriate treatment is important.
악성 골 및 연부조직 종양에서 $^{18}F$-FDG PET/CT의 임상적 적용
신덕섭,Shin, Duk-Seop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08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14 No.2
$^{18}F$-FDG PET/CT has led to advancement in diagnostic imaging, providing correlation of both physiology and anatomic information, and to new and innovative ways to utilize PET/CT imaging for the evaluation of musculoskeletal tumors. Recently, the most widely utilized musculoskeletal application of PET/CT imaging is for the detection and characterization of bone metastases, staging and restaging of primary malignant bone tumors and soft tissue sarcomas. And it is also useful in evaluating response to therapy for malignant musculoskeletal tumors and in detecting local recurrences or distant metastases during follow up. The future likely holds even more unique and potentially quite useful applications of PET/CT imaging for primary bone and soft tissue tumors. This article will review the useful applications of $^{18}F$-FDG PET/CT imaging for evaluating musculoskeletal tumors. $^{18}F$-FDG PET/CT는 해부학적 영상과 함께 생리적인 변화를 보여주는 영상을 동시에 제공함으로써 진단적 영상검사에 많은 발전을 가져왔고, 근골격계 종양을 평가하는데 새롭고 독창적인 방법으로 등장 하였다. 최근 PET/CT는 골 전이를 찾는데, 골 연부조직 종양의 시기 결정 및 재시기 결정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악성 근골격계 종양의 치료에 대한 평가와 치료 후 추시에서 국소 재발이나 원격 전이를 찾아내는 데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 향후 근골격계 종양에 대한 PET/CT의 연구 자료가 축적되고, 발전된다면 초기 진단에도 유용하게 쓰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이 논문은 근골격계 종양의 평가를 위한 $^{18}F$-FDG PET/CT의 효율적인 적용에 대하여 문헌 고찰과 함께 살펴보고자 한다.
신덕섭,나호동,박재우 대한정형외과학회 2019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4 No.6
Purpose: Lymph node metastasis is a very important prognostic factor for all skin cancers and some sarcomas. A sentinel lymph node (SLN) biopsy is the most useful technique for identifying SLNs. Recently, a new generation of diagnostic tools, such as single photon emission computed tomography/computed tomography (SPECT/CT) and positron emission tomography/CT (PET/CT) enabled the detection of SLNs. This study compared the efficacy of PET/CT for detecting lymph node metastases with a SLN biopsy in a single medical center. Materials and Methods: From 2008 to 2018, 72 skin cancers of sarcoma patients diagnosed with some lymph node involvement in a whole body PET/CT reading were assessed. Patients suspected of lymph node metastasis were sent to biopsy and those suspected to be reactive lesions were observed. The analysis was performed retrospectively using the medical records, clinical information, PET/CT readings, and pathology results. Results: The age of patients ranged from 14 to 88 years and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2.4 years. Twenty-two patients were suspected of a lymph node metastasis and confirmed. The sensitivity, specificity, positive predictive value and negative predictive value of PET/CT images in sarcoma and non-sarcoma tumors were increased significantly when the expert’s findings were considered together. Conclusion: PET/CT is effective in detecting lymph node metastases. 목적: 악성 종양 환자에서 림프절 전이를 발견하는 것은 초기에 정확한 병기 및 예후와 관련된 정보를 알 수 있고 수술 후 보조치료(adjuvant therapy)의 필요성을 평가해서 조기에 치료를 할 수 있도록 해주기 때문에 중요하다. 본 연구를 통해 정형외과 영역의 악성 종양 환자를 평가함에 있어 양전자 방출 컴퓨터 단층 촬영기(positron emission tomography/computed tomography, PET/CT)가 sentinel lymph node biopsy와 비교하여 유용한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8년부터 2018년까지 악성 근골격계 종양으로 진단받고 PET/CT를 촬영한 환자 251명 중 72명의 환자를 선별하여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림프절 전이가 의심되는 환자군은 조직검사를 시행하였다. 분석은 의무기록, 임상정보, PET/CT 영상 및 판독 소견, 병리 결과를 통해 시행하였으며, 임상경과 및 병리검사 결과를 PET/CT 결과와 비교하여 PET/CT의 정확도를 평가하였다. 결과: 환자의 나이는 14세에서 88세까지 분포하였고, 평균 추시 기간은 2.4년이었으며, 22명에서 림프절의 전이가 확인되었다. 육종 및 비육종 종양에서 PET/CT 영상의 민감도, 특이도, 양성예측도, 음성예측도는 전문가의 소견을 함께 고려할 경우 상당히 상승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론:
신덕섭,김범중,Shin, Duk-Seop,Kim, Beom-Jung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12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18 No.1
목적: 편평상피 세포암 환자의 치료 결과를 분석하여, 전반적인 생존율과 예상 가능한 예후인자들에 따른 생존율을 비교하고 분석하는데 있다. 대상 및 방법: 1999년 3월부터 2011년 2월까지 본원에서 병리학적으로 진단된 사지와 체부에 발생한 편평상피 세포암은 151예였고 수술적 치료를 시행한 환자는 51예였다. 연구는 이 중 12개월 이상 외래추적이 가능하였던 41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연령은 64.4세였고, 남자와 여자는 각각 31명, 10명이었다. 수술은 광범위 절제 및 재건술(29예)과 절제연을 얻기 힘든 사지 말단부나 신경, 혈관계를 침범한 경우에 절단술(12예)을 시행하였다. 수술적 치료만 시행한 환자는 33예이고, 절제 후 항암화학치료 또는 방사선 치료를 시행한 환자는 8예가 있었다. 병기는 AJCC 분류에 따라 나누었으며 생존율은 Kaplan-Meier 법으로 계산하였고 군간의 생존율 비교는 Log-rank test를 이용하였다. 생존율과 관련된 예후 인자들로 원발 병소의 위치, 병인, 조직학적 분류, 병기, 수술방법, 추가 항암요법 여부를 조사하여 각각 생존율을 비교하였다. 결과: 평균 외래 추적은 평균 65.2개월(12-132개월)이었고 최종 추시 상 생존은 30예(73.1%)이었고 Kaplan-Meier에 의한 5년 생존율은 77%이었다. 전체 환자에서 총 3예(7.3%)의 국소 재발과 7예(17.0%)의 전이가 있었다. 국소재발 3예에서 재발시기는 평균 27개월(18-43개월)이었다. 원발 병소의 위치, 병인, 조직학적 분류, AJCC 분류에 따른 병기, 추가 항암요법에서 생존율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절단술을 시행한 환자는 광범위 절제술을 시행한 환자보다 생존율이 낮았다. 결론: 41예의 편평상피 세포암의 치료결과를 분석한 결과 5년 생존율이 77%이었고 예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여러 인자 중에 수술 방법만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general survival rate and survival rate according to expectable prognostic factors by analyzing the result of treating a patient of squamous cell carcinoma. Materials and Methods: From Mar. 1999 to Feb. 2011, 151 patients were pathologically confirmed as squamous cell carcinoma of limbs and body in our hospital, and among those patients, 51 patients underwent the surgical treatment. This study included 41 patients who underwent the surgical treatment and were followed-up for more than 12 months. The mean age of population was 64.4 years. 31 males and 10 females were included. Wide excision with following skin grafts or flaps for reconstruction (29 cases) was mostly performed, but amputation (12 cases) was also performed for cases with extremities where resection margin was difficult to obtain and cases with neural or vascular invasion. 8 patients underwent chemotherapy or radiotherapy after resection, and 33 underwent the operation only. Stages were classified by AJCC Classification, survival rate was calculated by Kaplan-Meier method and survival rate of groups was compared by Log-rank test. For the expectable prognostic factors related to survival rate, location of primary lesion, cause of disease, pathologic grade, staging, surgical method, additional anticancer therapy were examined and each survival rate was compared. Results: The average follow-up period was 65.2 (12-132) months. Thirty patients survived out of 41 patients till last follow up. The overall survival rate in 5 years was 77%. Three cases (7.3%) had local recurrence, and 7 cases (17.0%) had metastasis. The average period of recurrence from operation was 27 (18-43) months. Possible prognostic factors such as location of primary lesion, cause of disease, pathologic grade, staging, additional anticancer therapy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urvival rates. However, patients with amputation showed significantly lower survival rate than those with wide excision. Conclusion: In analysis the results of treating 41 cases of squamous cell carcinoma, the overall 5-year survival rate was 77%. And, among the several prognostic factors, only the surgical method was significant statistically.
악성 골 및 연부조직 종양에서 Tl-201 SCAN의 진단적 효능 - Tc-99m-MIBI 및 Tc-99m-MDP scan과의 비교 -
신덕섭,조인호,안종철,안면환,이상호,Shin, Duk-Seop,Cho, Ihn-Ho,Ahn, Jong-Chul,Ahn, Myun-Hwan,Lee, Sang-Ho 대한근골격종양학회 1996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2 No.1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know the ability of detecting malignant tumor tissue by Tl-201 scan, and to compare with that of Tc-99m-MIBI and Tc-99m-MDP scan. MATERIAL AND METHODS : Between February 1994 and December 1995,38 unselected patients with various bone pathologies were studied prospectively. Eighteen had malignant bone and soft tissue pathologies, while twenty had benign. All patients were studied with Tl-201, Tc-99mMIBI and Tc-99m-MDP scan prior to surgical biopsy. PICKER Prism 2000 gamma camera with high resolution parallel hole collimator was used for scanning. To avoid the interaction of isotope, the early(30min.) and delayed phase(3hrs.) of Tl-20l scan was performed first and Tc-99m-MIBI scan was performed after 30 minutes, and then Tc-99m-MDP scan 48 hours later. The scan images were visually evaluated by a blinded nuclear medicine physician. We could find true positive, true negative, false positive and false negative by the comparison of results with those of biopsy. We calculated positive and negative predictive value(%), sensitivity(%), specificity(%) and diagnostic accuracy(%) of each scan. RESULT : The results of each scan were 85.7, 100, 100, 85, 92.1% in Tl-201, 81, 94.1, 94.4, 80, 86.8% in Tc-99m-MIBI and 50, 66.7, 88.9, 20, 52.6% in Tc-99m-MDP scan. As a conclusion, Tl-201 scan was the most specific and accurate method for detecting malignant tumor tissue. Tc-99m-MIBI scan was also good for malignant tumor searching. CONCLUSION : With our results, we can use Tl-201 scan to differentiate benign from malignant tumor, and to evaluate the response of preoperative chemotherapy or radiotherapy, and to determine the residual tumor or local recurrence. For the better result, we need to have a more detail information about false positive cases and a more objective and quantitative reading technique.
신덕섭,양한석,나호동,류승민 대한정형외과학회 2018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3 No.1
Purpose: There have been a few reports of bizarre parosteal osteochondromatous proliferation (BPOP) in Korea to dat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tiology, diagnosis, treatment, and prognosis of BPOP and to report the clinical outcomes from a single institution.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1999 and 2016, six patients who were diagnosed and treated operatively at Yeungnam University Medical Center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The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medical records, simple radiographs,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and pathology results, based on clinical and oncological results. All patients underwent surgical treatment for complete resection. We also analyzed one patient who was initially diagnosed with BPOP, showing different clinical features during the follow-up period. Results: The age of patients ranged from 17 to 60 years. All patients did not show a history of trauma. All patients showed localized edema on the tumor lesion, and three patients also showed tenderness. The tumor lesions were distributed to the femur, tibia, and humerus. All patients underwent marginal resection or wide resection.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50.3 months. There was a malignant change in one patient, but no recurrence or metastasis. Conclusion: In this study,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incidence of BPOP in accordance with sex. Moreover,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rauma and onset of BPOP. Unlike previous reports, no recurrence occurred after complete resection. If BPOP is diagnosed,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possibility of malignant change and distinguish it from other malignant tumors. 목적: 현재까지 국내에서 기괴 방골성 골연골종류 증식(bizarre parosteal osteochondromatous proliferation, BPOP)에 대한 보고는많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단일기관에서 진단하고 수술을 시행한 BPOP의 증례를 모아서 발생과 진단, 치료 및 예후 등을 조사하여 임상적 경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영남대학교병원에서 1999년부터 2016년까지 BPOP로 진단하고 수술한 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분석은 의무 기록, 단순 방사선 촬영, 자기공명영상 및 병리 결과를 통해 시행하였으며 임상적 결과와 종양학적 결과를 토대로 시행하였다. 모든 환자군에서 완전절제를 목표로 수술적 치료를 시행하였다. BPOP로 초기에 진단되었다가 추시관찰중 임상적으로 다른 양상을 보인 1예도 함께 분석하였다. 결과: 환자의 나이는 17세에서 60세까지 분포하였다. 모든 환자에서 병변부에 대한 과거 외상력은 확인할 수 없었다. 모든 환자에서병변에 국소적으로 부종이 있었으며, 3명의 환자에서는 압통도 있었다. 발생부위는 대퇴골 원위부, 경골 근위부 및 수족부의 지골 등다양하게 분포하였다. 모든 환자에서 변연부 절제술 또는 광범위 절제술을 시행하였다. 평균 50.3개월간 추시관찰하였으며 추시기간중 한 명의 환자에서 악성 변화가 있었지만 재발이나 전이가 있었던 환자는 없었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환자의 성별에 따른 발병 차이는 없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외상과 발병과의 유의한 관계를 발견할 수 없었다. 기존에 보고되었던 것과는 달리 절제술 후 재발은 1예도 발생하지 않았다. BPOP로 진단된 경우 악성변화 가능성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또한 다른 악성종양과 감별에 유의하여야 한다.
흉벽 연부조직에 발생한 전이성 거대세포종 -1예 보고-
신덕섭,정태은,이장훈,최준혁 대한흉부외과학회 2007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40 No.7
골조직에 발생하는 거대세포종은 국소적으로는 양성이지만 재발률이 매우 높고, 아주 드물게 원격전이를 일으킬 수 있다. 우측 요골에 발생한 거대세포종이 치료 후 재발되어, 요골을 제거한 후, 다시 동측 흉벽 연부조직에 전이된 29세의 남자환자를 보고하는 바이다. 종양은 흉벽의 골조직과는 연관이 없었다. 수술은 주위 연부조직과 함께 광범위 절제하였으며, 조직학적 검사상 악성 종양을 시사하는 소견은 없었다.
신덕섭,박성혁,안종철,Shin, Duk-Seop,Park, Sung-Hyuk,Ahn, Jong-Chul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03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9 No.1
목적: 족부에 발생하는 종양의 임상적 특성과 병리학적 특성 및 분포 등을 조사하여, 족부 종양을 진단하고 치료하는데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족부 종양 환자 141명의 142 종양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환자들은 모두 조직검사를 통하여 진단이 된 환자들이었다. 대상이 되었던 환자들의 의무기록과 영상 검사들을 후향적으로 검토하여 종양의 역학적 조사와, 임상적 특성과 수술의 방법을 확인하였고, 병리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종양이 발생 위치는 Kirby 등이 제안한 구역(zone)에 따라 분류하였다. 결과: 여자는 75명이었고 남자는 66명으로 여자가 조금 많았다. 전체 환자들의 평균 나이는 33.2세였다. 양성 연부조직 종양이 68예로 가장 많았고, 양성 골종양이 57예, 악성 연부조직 종양이 12예, 악성 골종양이 5예의 순이었다. 양성 연부조직 종양 중에는 결절종이 36예로 가장 많았고, 양성 골종양 중에서는 조갑하 외골종이 18예, 악성 연부조직 종양 중에서는 편평 상피 세포암이 7예, 악성 골종양으로는 폐암의 전이 병소가 2예였다. 환자들의 임상 증상으로 통증은 악성 골종양 환자들이 가장 높은 비율로 호소하였고, 증상 발현 기간은 양성 연부조직 종양이 가장 길었고, 신경학적 증상은 양성 연부조직 종양에서만 3예가 있었다. 종양의 평균 크기는 악성 골종양이 가장 크고, 양성 골종양이 가장 작았다. 구역별 분포는 전체적으로 5 구역에 59예로 가장 많았고, 4 구역에 10예로 가장 적었으며, 양성 골종양에서는 5 구역, 양성 연부조직 종양에서는 1 구역, 악성 골종양에서는 1, 2 구역, 악성 연부조직 종양에서는 5 구역에서 가장 많았다. 수술 방법으로 병소내 혹은 변연부 절제술, 소파술 혹은 소파술 및 골이식 수술, 족지 절단수술, 슬관절 하 절단술과 사지구제술 등이 있었다. 결론: 족부에 발생하는 종양은 드물고 종류가 다양하면서 대부분(88%) 양성 종양이었으나, 진단 과정에서 환자의 나이, 통증 유무, 증상 발현 기간, 종양의 크기 및 발생 구역 등을 고려하여 악성 종양의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음으로써 올바른 치료를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his study was designed to provide the data base for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the foot tumor by investigation of the clinical and pat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distribution of the foot tumor. Materials and Methods: 142 foot tumors of 141 patients were studied. All patients were diagnosed with surgical biopsy. We investigated clinical and pat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epidemiologic distribution of the foot tumor by reviewing the medical records and imaging materials. The location of the tumors were classified with zone of Kirby et al. Results: 75 patients were female and 66 were male. The average age of the patients was 33.2 years old. Benign soft tissue tumors were the most as 68 cases, and followed by 57 benign bone tumors, 12 malignant soft tissue tumors and 5 malignant bone tumors. Ganglia were the most in benign soft tissue tumors as 36 cases, subungual exostoses in benign bone tumors as 18, squamous cell carcinomas in malignant soft tissue tumors as 7, and metastatic lung cancers in malignant bone tumors as 2. The rate of pain complaints was the highest in malignant bone tumors, the duration of symptom was longest in benign soft tissue tumors, and the size of the tumor was the biggest in malignant bone tumors. Neurological symptoms were found in only 3 benign soft tissue tumors. For the zonal distribution, zone 5 was the most in 59 cases and zone 4 was the least as 10. The most numbers of the benign bone tumors located in zone 5, of benign soft tissue tumors in zone 1, of malignant bone tumors in zone 1 and 2, and of malignant soft tissue tumors in zone 5. The methods of surgical treatment included intralesional or marginal resection, curettage with or without bone graft, toe amputation, below knee amputation and limb salvage. Conclusion: The tumors of the foot were rare and various, and mostly benign (88%), but we can do proper treatment of those tumors without excluding malignant tumors by considering the age of patients, pain, duration of symptom, size of the tumors, and zonal distribution.
신덕섭,조인호,Shin, Duk-Seop,Cho, Ihn-Ho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03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9 No.1
목적: 골종양이 의심되는 환자들에게 탈륨 스캔을 시행하여 섭취 정도를 정량적으로 측정하고 비교 분석하여 탈륨 스캔의 악성 골종양 조직에 대한 판별 능력을 규명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골종양이 의심되는 82명의 환자에 대하여 조직 생검 전에 다른 영상검사와 함께 전향적으로 탈륨 스캔을 시행하였다. 스캔의 결과는 정성적 판독과 정량적 탈륨 섭취율을 측정하였으며, retention index(delayed/early phase의 탈륨 섭취량)를 구하였다. 결과의 분석을 위하여 고등급 악성 골종양 군, 양성 골종양 군, 거대세포종 군 및 저등급 악성 골종양 군으로 나누고 각 그룹간의 통계적 유의성을 조사하였다. 결과: 탈륨 섭취율의 정량적 측정에서는 고등급 악성 골종양 군에서는 early phase에 평균 4.14, delayed phase에서는 평균 2.26였으며, 양성 골종양 군에서는 각각 1.16과 1.09, 거대세포종 군에서는 3.15와 1.94, 저등급 악성 골종양 군에서는 1.41과 1.31이었다. Retention index는 고등급 악성 골종양 군에서는 평균 0.62, 양성 골종양 군에서는 0.97, 거대세포종 군에서는 0.66, 저등급 악성 골종양 군에서는 0.93이었다. 고등급 악성 골종양 군은 early phase와 delayed phase의 탈륨 섭취율이 거대세포종을 제외한 양성 골종양 군 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p<0.001), retention index는 유의하게 낮았다(p<0.001). 결론: 탈륨 스캔은 악성 골종양과 대부분의 양성 골종양을 구분 할 수 있는 유용한 검사라고 사료되지만, 거대세포종의 경우 악성 골종양 같이, 저등급 악성 골종양의 경우 양성 골종양 같이 나타나는 특성에 유의하여 사용하여야 할 것이다. Purpose: This study was designed to know the ability of thallium-201 scintigraphy to discriminate malignant bone tumor from benign by analysing the quantitative thallium uptake ratio. Materials and Methods: We took thallium-201 scintigraphy prospectively with other imaging studies in 82 bone tumor suspecting patients. The results of scintigraphy were read qualitatively and calculated quantitatively, and retention indexes were estimated.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the patients were divided as four group; high grade malignant bone tumor, benign bone tumor, giant cell tumor and low grade malignant bone tumor. Results: The mean thallium uptake ratio was 4.14 in early phase and 2.26 in delayed phase in high grade malignant bone tumor group, 1.16 and 1.09 in benign bone tumor, 3.15 and 1.94 in giant cell tumor, and 1.41 and 1.31 in low grade malignant bone tumor. Retention indexes were 0.62, 0.97, 0.66, 0.93 in same order. The thallium uptake ratio and retention indexes were statistically correlated in high grade malignant bone tumor and benign bone tumor group(p<0.001). Conclusion: Thallium-201 scintigraphy proved as useful imaging study to discriminate malignant bone tumor from benign, but had exception in giant cell tumor and low grade malignant bone tumors.
신덕섭,김의식,Shin, Duk-Seop,Kim, Ui-Sik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11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17 No.1
목적: 악성 흑색종의 치료 결과를 분석하고 예후 인자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6년 1월부터 2005년 12월까지 악성 흑색종으로 진단 받고 외과적 절제술 시행 후 추시가 가능하였던 31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추시 기간은 46.5개월이었고 평균 연령은 56.9세였다. 나이, 성별, 발생 부위, 종양의 두께, 림프절 전이유무, 면역화학 요법의 시행 유무에 따른 5년 생존율을 비교하였다. 결과: 전체 환자의 5년 생존율은 80.6%였고 발병 연령이 65세 미만인 경우 5년 생존율은 89.7%였고 65세 이상에서는 66.7%였다. 남자의 5년 생존율은 75%였으며 여자는 90.9%였다. 발생 부위에 따라 상지에 발생한 경우 66.7%, 하지에 발생한 경우 89.5%, 기타 부위에 발생한 경우 66.7%의 5년 생존율을 보였다. Clark level IV 이상에서는 62.5%의 5년 생존율을 보였고 III 이하에서는 100% 였다. 림프절 전이가 있었던 경우 5년 생존율은 53.8% 였고, 없었던 경우는 100%였다. 결론: 악성 흑생종 치료에 있어 조기 발견 및 광범위 절제술이 가장 효과적인 치료 방법으로 생각되며, 예후 인자에 있어서 나이, Clark level, 림프절 전이가 통계적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Purpose: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treatment results of malignant melanoma and to analyze the factors influencing prognosis. Materials and Methods: Thirty one cases of malignant melanoma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hey were treated in our hospital surgically, medically and immunologically from January 1996 to December 2005, and were followed more than 5 years. We compared 5 year survival rate (5YSR) according to the age, gender, anatomical site, depth of tumor, TNM stage, involvement of lymph node and immuno-chemotherapy. Results: Overall 5YSR was 80.6%. 5YSR of the age group below 65 years was 89.7% and 66.7% for the age group over 65 (p=0.033). 5YSR for men was 75% and 90.9% for women. 5YSR according to the site of occurrence showed 66.7% in upper extremities, 89.5% in lower extremities, and 66.7% in other site. 5YSR was 100% for the Clark level below III and 62.5% for the level above IV (p=0.032). 5YSR was 53.8% for lymph node metastasis group and 100% for non-lymph node metastasis group (p=0.021). Conclusion: We concluded that early diagnosis and wide excision was the most important in treatment of malignant melanoma. The prognostic fractors of malignant melanoma were age, depth of tumor (Clark's stage) and metastasis of lymph no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