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속적인 비스포스포네이트 제제 사용으로 발생한 대퇴부 부전 골절의 치료 및 경과

        안기찬 ( Ki Chan An ),박대현 ( Dae Hyun Park ),공규민 ( Gue Min Gong ),김주용 ( Ju Young Kim ),김상범 ( Sang Bum Kim ),사공승엽 ( Seung Yeob Sakong ) 대한골절학회 2014 대한골절학회지 Vol.27 No.1

        목적: 지속적인 비스포스포네이트 제제 사용 후 발생한 대퇴부 부전 골절 환자 분석을 통해 골절에 대한 적절한 치료법을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5년 이상 비스포스포네이트 제제를 복용한 과거력을 가진 환자 중 대퇴골 전자하 및 대퇴골 간부에 특징적인 방사선적 소견을 보이는 골절 혹은 임박 골절이 있는 10명의 13 증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전구 증상 및 양측성, 술 후 통증 소실 기간 및 독립 보행 가능 시점, 술 후 합병증에 대해 조사하였다. 결과: 13예 중 7예에서 전구 증상으로 서혜부 및 골반 통증을 호소하였고(53.8%) 3명에서는 양측성 골절로 나타났다(30%). 총 6예에 있어 전구증상이 있는 임박 골절이 관찰되었으며(46.2%) 3예에 대해 골수강 내 금속정을 이용한 예방적 고정술을 시행하였고 임박 골절이 있던 3예 중 2예에서 평균 11개월(3-19개월)만에 완전 골절이 발생하였다. 예방적 고정술을 시행했던 3예에는 술 후 합병증이 발생하지 않았고 술 후 1년 이내 모두 방사선적 유합 소견을 관찰할 수 있었다. 골절 후 수술을 시행했던 9예에서는 불유합이 2예 있었으며 수술 부위 통증 소실은 술 후 평균 4.7개월(3-9개월)이었고 독립 보행은 술 후 평균 5.2개월(3-9개월)로 조사되었다. 결론: 장기간의 비스포스포네이트 제제 복용 환자에서 전구 증상은 대퇴골 전자하 골절 및 간부 골절 발생의 유용한 지표가 될 수 있다. 임박 골절의 경우 완전 골절 발생 가능성이 매우 높으며 이에 대한 예방적 고정술 시행은 우수한 임상 경과를 보인다.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and identify an appropriate fracture treatment method by analyzing patients in whom a femoral incompetence fracture occurred after receiving a long-term bisphosphonate administration. Materials and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3 cases out of ten patients among those who had a history of receiving bisphosphonate for more than five years and had a fracture or an imminent fracture with a characteristic radiological finding in the femoral subtrochanteric region and the interfemoral region. The period of the drug administration, bone density, the existence of a prodromal symptom, and bilateral fracture were investigated. Results: In seven out of the 13 cases, the patients complained of painat the femoral and pelvic parts as a prodrome (53.8%), and three of them showed a bilateral fracture (30%). An imminent fracture with a prodrome was observed in six cases (46.2%); for three of these cases, a prophylactic fixture pexis was performed by inserting a metal nail into the medullary cavity, and in two out of these three, a complete fracture was found within 11 months on average (3 to 19 months). In the three prophylactic fixture pexis performed cases, no postoperative complications were found, and a radiological finding of concrescence was seen within one year after the operation. Among the nine operation performed cases after the fracture, non-union was found in two. Conclusion: In the patients who have received bisphosphonate for a long periodof time, a prodome may be a useful indicator of a fracture in the femoral subtrochanteric region and the interfemoral region; therefore, a careful observation is necessary. A prophylactic internal fixation is recommended for patients with imminent fracture with a prodome since they have a high risk of a complete fracture is high in them.

      • KCI등재

        불안정성 전자간 골절의 인공관절 치환술에서 골절된 대전자의 고정 방법

        최동혁 ( Dong Hyeok Choi ),허주영 ( Ju Yeong Heo ),장영재 ( Young Jae Jang ),정영률 ( Young Yool Chung ) 대한골절학회 2014 대한골절학회지 Vol.27 No.1

        목적: 불안정성 대퇴골 전자간 골절에서 시행한 인공관절 반치환술에서 대전자 골절의 골편 형태를 분류하고 고정 안정성을 조사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7년 1월부터 2009년 7월까지 본원에서 수술을 시행하고 추시가 가능한 43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대전자 골절은 골절의 위치와 모양에 따라 4가지 종류로 분류하였으며, 골절의 고정은 비흡수성 실 봉합술, 환형 강선 고정술, 금속판 고정술을 사용하였다. 결과: A형 골절 15예는 6예에서 환형 강선 고정술, 7예에서 금속판 고정술, 2예에서 봉합술과 환형 강선 고정술을 실시하였다. 환형 강선 고정을 실시한 6예의 A형 골절 중 3예에서 고정 실패가 발생하였다. B형 골절 11예 중 7예에서 환형 강선 고정술, 3예에서 봉합술과 환형 강선 고정술, 1예에서 금속판 고정술을 시행하였으며 고정 실패는 없었다. C형 골절 7예는 3예에서 금속판 고정술, 1예에서 봉합술과 환형 강선 고정을 시행하였으며 3예는 고정을 하지 않았다. D형 골절 10예 중 6예에서 환형 강선 고정술, 1예에서 금속판 고정술을 시행하였으며 3예에서는 고정을 하지 않았다. C형과 D형에서 고정 실패는 없었다. 결론: 대전자 골절편은 골절 형태에 따라 각기 다른 안정성을 가지고 있었으며, A형 골절은 좀 더 강한 고정이 요구되었다. Purpose: We classified fractures of the greater trochanter (GT) and evaluated fracture fragment stability according to GT type.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43 patients with an unstable intertrochanteric fracture treated between January 2007 and July 2009 with bipolar hemiarthroplasty were included in this study. GT fractures were classified as type A, B, C, or D and fixed using either cerclage wiring alone, cerclage wiring and non-absorbable suture or a greater trochanteric reattachment (GTR) plate. Results: Type A fractures were fixed using cerclage wiring with non-absorbable suture in two cases, cerclage wiring in six cases and GTR plate in seven cases. Failure occurred in three cases of type A fractures treated with cerclage wiring alone. A total of 11 type B fractures were fixed with cerclage wiring (7), cerclage wiring and non-absorbable suture (3) and GTR plate (1). There was no failure of type B fractures. Type C fractures were fixed using cerclage wiring with non-absorbable suture in one case and GTR plate in three. There was no fixation in three cases. Of 10 type D fractures, six were treated with cerclage wiring and one with GTR plate. Fixation was not performed in three patients. There was no failure in type C and D type fractures. Conclusion: Fracture fragment stability differed according to fracture types. Cerclage wiring alone was insufficient to fix type A fractures, so type A fracture required a stronger fixation method.

      • KCI등재

        20∼30대에서 발생한 대퇴 경부 골절에 대한 내고정술 후 결과

        윤의성 ( Ui Seoung Yoon ),김진수 ( Jin Soo Kim ),민학진 ( Hak Jin Min ),서재성 ( Jae Seong Seo ),윤종필 ( Jong Pil Yoon ),정주영 ( Joo Young Chung ) 대한골절학회 2010 대한골절학회지 Vol.23 No.1

        목적: 20∼30대에서 발생한 대퇴 경부 골절의 내고정술 후 결과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8년부터 2005년까지 대퇴 경부 골절로 내고정술을 시행한 20∼30대 환자 중 술 후 최소 2년 이상 추시 가능하였던 20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연령은 32.2세(범위; 21∼39세)였고, 평균 추시 기간은 26.3개월(범위; 24∼45개월)이었다. 골절의 양상은 술 전 시행한 단순 방사선 검사에서 Garden 분류 I형 6예, II형 10예, III형 4예였다. 골절의 해부학적 위치에 따른 분류는 골두하 골절 7예, 중간 경부 골절 9예, 하경부 골절 4예였다. 전례에서 수상 후 12시간 이내에 수술적 치료를 시행하였으며, 수술적 치료는 해부학적 정복을 얻은 후 유관나사를 이용하여 내고정술을 시행하였다. 추시 시 임상 및 방사선학적 검사를 바탕으로 수술적 치료 결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전례에서 수술 직후 시행한 단순 방사선 검사에서 Garden 정렬 지수에 만족하는 해부학적 정복을 얻었다. 술 후 4.5개월(범위; 3∼6개월)에 전례에서 골유합을 얻었다. 합병증으로 대퇴 골두 무혈성 괴사가 전체 환자 중 7예(35.0%)에서 발생하였다. 무혈성 괴사의 발생 시기는 술 후 평균 10.7(9∼15)개월이었다. 비전위성 골절(Garden I, II)에서 5예(31.3%), 전위성 골절(Garden III)에서 2예(50.0%)가 발생하였고, 골절의 해부학적 위치에 따라 골두하 골절 4예, 중간 경부 골절 3예에서 발생하였다. 결론: 20∼30대에서 발생한 전위성과 비전위성 대퇴 경부 골절의 수술적 치료 결과 두 군 간의 합병증으로 대퇴 골두 무혈성 괴사의 발생률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urpose: To retrospectively analysis of results of operatively treatment for femoral neck fracture occurred in twenties to thirties. Materials and Methods: 20 patients were selected whom we were able to follow up at least 2 years after internal fixation for femoral neck fracture in twenties to thirties from 1998 to 2005. Mean age was 32.2 (21∼39) and average follow up period was 26.3 (24∼45) months. According to preoperative X-ray, there were 6 cases for Garden classification stage I, 10 for stage II and 4 for stage III, and 7 cases for subcapital fracture, 9 for transcervical fracture, 4 for basicervical fracture. In all cases, operations were performed within 12 hours after the injury. The operations were done after satisfying reduction with the Garden alignment index, with three cannulated screws for internal fixation. Postoperative results were analyzed by clinical symptoms and radiological examinations during follow up periods. Results: In immediately postoperative radiological examination, satisfying anatomical reduction with Garden alignment index was obtained in all cases, and unions were obtained within 4.5 months after the operation (3∼6 month). Avascular necrosis of femoral head occurred in 7 cases of all patients (35.0%). The average time of occurrence of avascular necrosis of femoral head after operation was 10.7 months (9∼15 months). Avascular necrosis was occutted 5 (31.3%) in fracture without displacement (Garden stage I, II), 2 (50.0%) in fracture with displacement (Garden stage III) and 4 in subcapital fracture, 3 in transcervical fracture. Conclusion: The incidence of avascular necrosis of femoral head after the operation for displaced and nondisplaced femoral neck fracture between twenties and forty years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 소아 주관절 골절의 신경학적 합병증

        주석규,박규원 대한골절학회 2002 대한골절학회지 Vol.15 No.4

        목 적 : 소아 주관절 골절에서 신경학적 합병증을 분석하여 골절의 종류와 골편의 전이에 따른 신경손상, 각 신경손상의 빈도 및 자발적 신경 회복에 대한 치료 결과를 평가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9년 12월부터 본원에서 소아 주관절 골절로 신경학적 합병이 있었던 환자 17명 20예를 1년 이상 추시하여 골절의 종류와 골편의 전이에 따른 신경손상의 차이점, 각각 신경손상의 빈도, 수술후 정복 상태와 자발적 신경회복의 기간 등을 분석하였다. 결 과 : 전체 소아 주관절 골절은 148예였으며 그 중에서 신경손상을 보인 경우는 17명 20예로 11.5%에서 발생하였으며 주관절의 여러 형태의 골절중에서 과상부 골절 14명(9.5%), 내상과 골절 3명(2.%)에서 발생하였다. 신경손상은 요골신경 6예, 척골신경 8예, 정중신경 3예, 전골간신경 3예였다. 이중 3명에서 척골신경과 정중신경의 동반 손상을 보였다. 과상부 골절의 수술 후 정복 상태는 모든 경우에서 정상측에 비교하여 Baumann 각이 5도 이내 (평균 3.4도)로 측정되었다. 내상과 골절의 수술 후 정복은 절제 수술을 한 1예를 제외한 2예에서 전위없이 완전 정복되었다. 모든 경우에서 자발적 신경손상의 회복을 보였으며, 평균 기간은 7.3주였다. 요골신경이 평균 6.5주였고, 정중신경 7.0주, 전골간신경 7.6주, 촉골신경 7.8주에 회복되었다. 과상부 골절 14예 중 후내측 전위 11예, 후외측 전위 1예, 후방 전위 2예로 대부분이 후내측 전위였다. 결 론 : 신경 손상은 과상부 골절과 내상과 골절에서 발생하였으며, 대부분 완전 회복되었다. 과상부 골절은 단순한 골절보다 전위된 골절에서 신경손상이 발생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으며 요골신경은 모두 후내측 전위에서 발생하였다. 2개의 신경이 동반 손상된 경우가 단독 손상보다 늦게 회복되었으며 각각 신경손상은 비슷한 정도로 회복되었다. 소아 주관절 골절에서 신경손상이 있을 경우 즉각적인 수술적 시험절개보다 우선 추시 관찰하여 자발적 회복을 기다리는 것으로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Purpose : We analyzed neurologic complications of the elbow fractures in children and evaluated clinical results of type of fractures, frequency of nerve injuries and displacement of fracture fragments and spontaneous recovery of each nerve injuries. Materials and Methods : We analyzed 17 child-patients (20cases) with nerve injuries who were treated conservatively and follewed up for at least 1 years since December 1999. and we analyzed type of fractures, differences between fracture type and nerve injuries, frequency of each nerve injuries and periods of spontaneous recovery of each nerves. Results : There were all 148 elbow fractures in children. Children with neurologic complications were 17(20 nerves) and 14 in supracondylar and 3 in medial epicondylar fractures. There were 6 in radial nerve, 8 in ulnar nerve, 3 in median nerve and 3 in anterior interosseous nerve. Both ulnar and median nerve injuries were 3 patients. They were recovered spontaneously and mean periods of recovery was 7.3 weeks, 6.5 weeks in radial nerves, 7.0 in median nerves, 7.6 in anterior interosseous nerves, 7.8 in ulnar nerves and radial nerve recovery was most fast than any others. One patient with ulnar nerve injury who was diagnosed medial epicondylar fracture recovered 2 weeks after excision of nonuioned fragment. Among 14 supracondylar fractures, there was 11 posteromedial displacement, 1 posterolateral and 2 posterior. Most of them was displaced posterimedially. Conclusion : All nerve injuries happened in supracondylar and medial condylar fractrure and almost recovered. Nerve injuries in the supracondylar fractures was displaced fractures than nondisplaced simple fractures and displacement of fracture gragment and nerve injuries was not agreed with previous published books or papers. We recommand that observation is the appropriate way to manage these nerve injuries in most cases than immediate operation for excision.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대다각골 골절의 수술적 치료

        강호정 ( Ho Jung Kang ),설남헌 ( Nam Heon Seol ),허만승 ( Man Seung Heo ),한수봉 ( Soo Bong Hahn ) 대한골절학회 2009 대한골절학회지 Vol.22 No.4

        목적: 대다각골 골절은 그 빈도는 낮지만 진단이 쉽지 않으며, 적절한 치료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에 무지의 기능 제한이 생길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드물게 발생하는 수근골의 대다각골 골절의 수술적 치료 결과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5년 1월부터 2005년 12월까지 내원한 수근골 골절 환자 중 대다각골 골절을 진단받고 수술적 방법으로 치료 후 평균 18개월 (12개월~3년) 동안 추시 관찰하였던 7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외래 내원 시 통증, 일상생활의 제한, 수술 후 만족도 등을 조사하였으며 이학적 검사는 손목 및 중수지 관절 운동 범위 및 악력, 압통 여부 등에 대해 시행하였다. 또한 방사선학적 검사를 통해 퇴행성 관절염의 변화 여부 및 수근중수관절 아탈구 여부를 확인하였다. 결과: 상기 기간 중 수근골 골절의 수술적 치료를 시행한 122예 중 7예에서 대다각골 골절로 진단되었으며 모두 대다각골의 수근중수관절의 관절 내 골절이었다. 5예에서 동측 수부의 동반 손상이 관찰되었으며 엄지의 수근중수관절 탈구가 4예, 베넷 골절이 1예, 유구골갈고리 골절이 1예, 네 번째 근위지골 골절이 1예에서 있었다. 수술적 치료는 6예에서 관혈적 정복 후 내고정술을 시행하였으며 1예에서는 한달간 간과된 후 내원하여 일차 수술로 무지의 수근중수관절 유합술을 실시하였다. 내고정술을 시행한 6예 중 1예에서는 일차수술 후 골절의 정복이 유지되지 않아 추가로 외고정술을 시행하였다. 임상적인 결과는 6예에서 기능적으로 불편함이 없었으며 유합술을 시행한 1예에만 무지 대립의 부분적 운동 제한이 관찰되었다. 결론: 대다각골 골절에서 수근 중수관절의 불안정성이 동반되거나 주변 중수지골 기저부 분쇄골절 (베넷 골절), 함몰 혹은 전위된 관절 내 골절로 골편의 함몰이 2 mm 이상인 경우, 해부학적 정복술이 필요하다. Purpose: Fractures of trapezium are uncommon carpal bone fractures and often unrecognized lesions. We investigated about operative treatment of trapezium fracture. Materials and Methods: Seven patients with fractures of trapezium were evaluated after surgical treatment with a mean follow up time of 18 months (12 months~3 years). Functional assessment (pain, limitation in activities of daily living, satisfaction), physical examination (range of motion, grip strength), and radiographic evaluation were performed. Traumatic arthritis and carpometacarpal joint subluxation were confirmed by radiograph. Results: During study period, 122 cases were carpal bone fractures, and seven of 122 cases were fractures of trapezium. All cases were intra-articular fractures of trapezium. 1st carpometacarpal joint dislocation at 4 patients, Bennett`s fracture at 1 patient, hamate hook fracture at 1 patient, and base of 4th proximal phalanx fracture at 1 patient were associated with fracture of trapezium.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were performed at 6 cases and 1st carpometacarpal joint arthrodesis was performed at 1 case because of neglected fracture. One of 6 cases which were performed to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was reoperated to external fixation due to reduction loss. Clinically 6 patients revealed good results. one of 7 patients experienced limitation of thumb opposition. Conclusion: Based on the good results obtained with surgical intervention, we advocated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for fractures with intraarticular depressed more than 2 mm or combined with Bennett`s fracture or carpometacarpal subluxation.

      • KCI등재

        족근관절 후과 골절의 방사선학적 분석과 치료

        이재성,이한준,고영봉,강수용 대한골절학회 2009 대한골절학회지 Vol.22 No.2

        목적: 족근관절 후과 골절을 골절편의 위치에 따라 분류하고, 각 형태별 특징을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1월부터 2007년 12월까지 후과 골절이 있는 4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주 골절선을 따라 후과 골편을 위치별로 나눈 후 (후외과 골절, 후내과 골절, 후연 골절) 그에 따른 전위 정도, 족근관절의 아탈구 유무, 관절 침범 정도, 감입골절편 여부를 분석하였다. 결과: 골편의 위치에 따라 후외과 골절 (33예, 72%), 후내과 골절 (8예, 17%), 후연 골절 (5예, 11%)로 분류되었고, 후내과를 침범하는 골절 중 7예는 Grade II 이상의 전위를 보였으며, 아탈구도 4예에서 발생하였고, 관절면의 침범 정도도 35% (15∼65%)로 그 정도가 심하였고 감입골절편도 3예 (38%)에서 발견되었다. 결론: 후내과를 침범한 골편이 있는 경우 전위가 심하고 관절면을 많이 침범하여 족근관절의 안정성에 영향을 줄 수 있어 수술적 치료가 필요한 경우가 많아 수술 전 컴퓨터 단층 검사로 보다 정확한 평가와 적절한 수술적 접근법 선택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 대퇴 간부 골절 치료에 사용된 골수강내 금속정의 피로 골절

        김정렬,윤진호 대한골절학회 2003 대한골절학회지 Vol.16 No.2

        목 적: 대퇴 간부 골절의 치료에 사용된 골수강내 금속정의 피로 골절에 대해 임상적, 역학적 인자를 분석해 보고 피로 골절을 예방하기 위한 효과적인치료 방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대퇴 간부 골절을 골수강내 금속정 고정술 실시 후 피로 골절이 발생하여 치료한 후 1년 이상 추시 가능한 12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금속정의 피로 골절의 부위는 골절 부위에서 10예, 근위 교합 나사 삽입구 하방 1예, 원위 교위 나사 삽입구에서 1예가 발생하였다. 각예에 대하여 피로 골절을 일으킨 금속정의 종류와 직경, 수술 후 금속정 파손까지의 기간, 금속 부전의 원인적 인자 및 치료 결과를 분석하였다. 결 과: 피로 골절을 일으킨 금속정은 확공성 AO 정 4례, Grosse-Kempf 정 4례, Russel-Taylor 정 3례 Long Gamma 정 1례였다. 수술 후 금속정 파손까지의 기간은 평균 13.6개월이었다(6~30개월). 피로 골절 후 치료는 전례에서 금속정 고정술로 치료하였고, 3예에서는 자가곡 이식술을 병행하였으며, 전례에서 평균 7.5개월 (5~10개월)에 골유합을 얻었다. 결 론: 금속정의 피로 골절을 막기 위해서는 골유합을 관찰하면서 단계적인 체중 부하의 증가를 시켜야하며 골절부에 안정성이 없는 심한 분쇄 골절이나 골유합의 진전이 없는 경우는 반드시 자가골 이식술을 시행하여야 한다고 생각된다. Purpose: To analyze clinical and mechanical factors of the fatigue fracture of the intramedullary nail in the treatment of the femoral shaft fractures and to consider preventive methods of fatigue fracture. Materials and Methods: We reviewed 12 patients of fatigue fractures of the intramedullary and were followed for a minimum one year. The site of fatigue fracture of the intramedullary nail was at fracture site in 10 cases, just proximal to proximal locking hole in one, and the most proximal of two distal locking holes in one. We analyzed type and diameter of broken nail, time from injury to fatigue fracture, causes of metal failure, and treatment results. Results: Intramedullary nails which had fatigue fracture were reamed AO nail four cases Grosse-Kempf nail in four, Russel-Taylor nail in three, and long Gamma nail in one. Time to fracture of implant was average 13.6 months (range, 6~30 months). All cases were trated by intramedullary nailing, and additional autogenous bone grafting was done in three cases. At an average duration of follow-up of 7.5 months(range, 5 to 10 months), all of the fractures had healed. Conclusion: To prevent fatigue fracture of intramedullary nail, closed obervation for bony union, progressive weight bearing, and augmentation with autogenous bone grafting for comminuted fracture site should be needed.

      • KCI등재

        경골 분절 골절에서 교합성 골수강 내 금속정 내고정술 후 결과 및 골유합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분석

        박상수 ( Sang Soo Park ),이준영 ( Jun Young Lee ),하상호 ( Sang Ho Ha ),박성해 ( Sung Hae Park ) 대한골절학회 2013 대한골절학회지 Vol.26 No.4

        목적: 경골 분절 골절로 교합성 골수강 내 금속정 내고정술을 시행한 후 방사선학적 결과 및 합병증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3년 1월부터 2011년 5월까지 경골 분절 골절로 교합성 골수강 내 금속정 내고정술을 시행한 후 최소 1년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26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발생한 합병증에 대해 알아보았고 각 예에 대해 개방성 여부, 골절 부위, 확공 여부, 술 후 골절부의 각 변형 정도 및 골절부의 간격에 따라 골유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통계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19예(73%)에서 한 번의 수술로 골유합을 얻었으며 골유합의 평균 기간은 7개월(5-11개월)이었다. 불유합으로 진단된7예에서 추가적인 수술로 골유합을 얻었으며 그 외 합병증으로 불완전 비골 신경 손상 3예, 표재성 감염 2예, 구획 증후군1예가 발생하였다. 개방성 여부, 술 후 골절부의 각변형 정도, 술 후 골절부의 간격은 골유합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골절 부위, 확공 여부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경골 분절 골절에서 가장 많은 합병증은 불유합으로 이러한 합병증을 줄이기 위해서 골절부의 각변형이나 골절부의 간격이 발생하지 않게 골절부의 정확한 정복을 시행하도록 술식에 대한 충분한 이해와 골절의 평가 및 분석이 필요하다. Purpose: To evaluate the radiological results and complications of interlocking intramedullary nailing for segmental tibia fractures. Materials and Methods: Twenty-six patients (26 cases) who underwent interlocking intramedullary nailing for segmental tibia fractures between January 2003 and May 2011 were followed for more than one year. We evaluated the complications and statistically analyzed the factors influencing bone union, including open fracture, fracture site, reaming, postoperative angulation, and postoperative fracture gap. Results: Nineteen cases (73%) achieved bone union with one operation at an average of 7 months (range, 5 to 11). Seven cases had secondary procedures before achieving union. Complications included 7 cases of nonunion, 3 cases of incomplete peroneal nerve injury, 2 cases of superficial infection, 1 case of compartment syndrome. Factors showing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pen fracture, postoperative angulation, and postoperative fracture gap. Factors showing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ere fracture site and reaming. Conclusion: Nonunion is the most common complication in interlocking intramedullary nailing for segmental tibia fractures. To minimize this complication, comprehension of surgical techniques to reduce anatomically and careful evaluation of the fracture are required.

      • KCI등재

        경골 고평부 골절에서 자기 공명 영상을 이용한 골절 행태 및 연부조직 손상의 평가

        전지용 ( Ji Yong Chun ),박희곤 ( Hee Gon Park ),황성수 ( Sung Su Hwang ) 대한골절학회 2007 대한골절학회지 Vol.20 No.4

        목적: 경골 고평부 골절에서 단순 방사선 사진과 MRI에서의 골절 형태에 대한 정보를 비교하여 골절 형태와 동반된 연부조직 손상을 평가하여, MRI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경골 고평부 골절로 MRI를 시행하였던 68예를 대상으로 단순 방사선 사진과 MRI에서 Schatzker 골절형, 관절면의 함몰, 골절편의 전위를 비교하였고, MRI에서 슬관절부의 연부조직 손상을 조사하였다. 결과: 단순 방사선 사진의 Schatzker 골절형이 MRI에서 변경된 경우가 7예 있었으며 관절면의 함몰은 단순 방사선 사진에서 평균 2.93 ㎜, MRI에서 평균 4.28 ㎜로 1.35 ㎜ 증가되어 통계학적으로 의미가 있었다 (p<0.05). 골절편의 전위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p=0.168). MRI에서 인대 및 반월상 연골 손상은 58예 (85.3%)에서 발견되었다. 결론: 경골 고평부 골절에서 MRI는 추가의 골절선이나 함몰을 발견할 수 있어 골절 분류가 바뀔 수 있고, 관절면의 함몰과 연부조직 손상에 대한 정보를 제시하여 수술적 치료 계획을 세우는 데 많은 도움이 된다. 경골 고평부 골절 시 수술 전에 MRI를 시행하는 것이 보다 나은 골절 치료와 연부 조직의 치료를 위하여 반드시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Purpose: To compare information about fracture type in MRI with simple radiograph in tibial plateau fractures and evaluate tibial plateau fractures type and accompanying soft tissue injury, and evaluate usefulness of MRI in tibial plateau fractures. Materials and Methods: Compared MRI with simple radiograph about Schatzker classification, depression of articular surface and displacement of bone fragment from the 68 examples who checked MRI and we evaluated soft tissue injury around knee joint. Results: There were 7 examples of Schatzker type change after MRI check. Average depression of articular surface in simple radiograph was 2.93 ㎜ and 4.28 ㎜ in MRI. It in creased by 1.35 ㎜ and it was meaningful statistically (p<0.0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RI and simple radiograph of displaced bone fragment (p=0.168). There were 58 (85.3%) cases of soft tissue injury in MRI. Conclusion: MRI can find additional fracture line or articular depression that can`t be found in simple radiograph and gives more information about articular depression and soft tissue that is useful in surgical plans. I think preoperative MRI is necessary to better treatment of fracture & treatment of periarticular soft tissue injury in tibial plateau frac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