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자문화권 한문(古典文言文) 교육 연구의 필요성과 연구 영역에 관하여

        許喆(Heo, Chul) 대동한문학회 2021 大東漢文學 Vol.66 No.-

        漢文(古典文言文)은 漢字라는 문자체계와 고대 중국어에 기반한 어법형식을 공유한 文言을 가르킨다. 한문(고전문언문)은 중국에서 발생한 이후에 중세 시기를 거치면서 중국과 중국의 주변 국가에서 자국어문과 함께 사용되면서 관어(官語)이자 지식과 문화 교류, 축적과 생산의 도구였다. 이런 역사적 배경으로 인해 개별 국가들은 전근대 어문 개혁 이후에도 한문(고전문언문)을 死語化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교육으로서의 한문(고전문언문)의 가치와 필요성을 인정하고 유지하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의 ‘『한문』교과’라는 제한된 영역을 벗어나 현재 각 지역과 국가에서 시행되는 한문(고전문언문) 교육과 관련된 제 연구의 필요성과 그 구체적 연구 영역에 대해 논의하였다. 전통적 한자문화권에 속하였던 각 지역과 국가에서 시행되는 한문(고전문언문) 교육을 검토하는 것은 본 연구가 첫째, 개별 지역과 국가를 이해하는 또 다른 방법이며, 둘째, 한문 교과 내적으로 볼 때는 한국에서의 한문 교과교육에서 활용 가능한 새로운 교수-학습 방법이나 교재, 평가의 방법 등의 모색해 이바지해 볼 수 있을 뿐 아니라, 셋째, 한국 뿐 아니라 동아시아 전체의 한문(고전문언문) 교육이 추구해야 할 목표의 문제에 대한 근본적인 문제 제기와 더불어 그 해결 방안에 대해 고민해 볼 수 있으며, 넷째, 한문(고전문언문) 교육이 새로운 한자문화권의 고유한 특성 교과로 자리매김할 수 있는 기초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를 지니고 있다. Literary Sinitic refers to the Han-character system and to the form of grammar based on ancient Chinese. Literary Sinitic was a standard language and instrument of knowledge, cultural exchange, accumulation and production after the outbreak in China and its neighboring countries throughout the Middle Ages. Due to this historical background, individual countries recognize and maintain the value and need of Literary Sinitic as an education, despite the abolition of Literary Sinitic after the reform of the pre-modern language. This study discussed the need for my research and specific areas of research related to Literary Sinitic education currently implemented in each region and country, beyond the limited scope of Han Mun in Korea. Reviewing the Literary Seminary education in each region and country that belonged to traditional Sino-sphere is another way of understanding individual regions and countries, and secondly, within the Literary Semantic curriculum, we can not only explore new teaching-learning methods, textbooks, evaluation methods, etc. It is significant in that it is a fundamental study that can establish itself as a unique characteristic of the new Sino-sphere.

      • KCI등재

        古典文言文 기계번역의 현황과 과제

        김우정 한국중국어문학회 2021 中國文學 Vol.109 No.-

        This article examines the current status of machine translation in Classical Chinese and suggests future tasks. In order to understand machine translation, this article introduced the development process of machine translation technology from rule-based machine translation(RBMT) to neural machine translation(NMT), and also introduced techniques applied to improve the principles and performance of neural machine translation. There are two types of Classical Chinese machine translation: a translator provided by Baidu and a translator developed by Institute for the Translation of Korea Classics(ITKC). Various errors are found in Baidu translators, but overall translation performance is somewhat higher than that of ITKC translators, and ITKC translators perform better than Baidu translators in certain fields, but lags behind Baidu translators in various types of Classical Chinese translations. In order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Classical Chinese machine translation, it is necessary to build a cloud-based translation platform, expand high-quality parallel corpus, develop additional systems to improve machine translation performance, and develop reliable translation evaluation methods. 이 글은 한문(고전문언문) 기계번역의 현황을 살펴보고, 향후 과제를 제언한 것이다. 기계번역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규칙 기반 기계번역(RBMT: Rule-Based Machine Translation)부터 신경망 기반 기계번역(NMT : Neural Machine Translation)에 이르기까지 기계번역 기술의 발달 과정과 신경망 기계번역의 원리와 성능 향상을 위해 적용되고 있는 기법들을 소개하였다. 고전문언문 기계번역은 바이두에서 제공하는 기계번역기와 한국고전번역원에서 개발한 번역기 2종이 있다. 바이두 번역기는 다양한 오류가 발견되나 전반적인 번역 성능은 한국고전번역원 번역기에 비해 다소 높은 편이며, 한국고전번역원 번역기는 특정 분야에서는 바이두 번역기에 비해 나은 성능을 발휘하지만 다양한 유형의 문언문 번역에서는 바이두 번역기에 비해 뒤지는 성능을 보여준다. 문언문 기계번역의 성능 향상을 위해서는 클라우드 기반 번역 플랫폼 구축, 양질의 병렬코퍼스 확충, 기계번역 성능 향상을 위한 부가 시스템 개발, 신뢰도 높은 번역평가 방식 개발 등이 이루어져야 한다.

      • KCI등재

        기조 발표(基調 發表) : 한자문화권(漢字文化圈)의 변화(變化)와 한자(漢字),한문교육(漢文敎育)의 새로운 방향 모색

        허철 ( Chul Heo )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11 漢字 漢文敎育 Vol.26 No.-

        본고는 1980년대 이후 새롭게 주목받고 있는 새로운 한자문화권의 특성을 밝히기 위해 중국의 한 대를 중심으로 형성되기 시작한 한자문화권의 생성과 변화를 서술하면서, 그 안에 중심하고 있는 의미를 살펴보는데 집중하였다. 이를 통해 한자문화권이라는 명칭의 문제와 더불어 근대 이후 생성된 한자문화권을 신한자문화권, "Han-character Culture sphere"라는 용어를 새롭게 제안하였다. 또한, 현재의 입장에서 한자와 한문교육의 의미를 각 국가만의 특수한 개별 교과라는 차원을 넘어 세계 한자문화권의 보편적이면서 기본적인 교양 교육으로 성장하기 위해 우리가 생각해 보아야 할 9가지를 제안하였다. 그 제안의 내용은 대부분 지금의 한자문화권에서 한자·한문교육이 보편 교양 과목으로 인식이 전환되기 위해서 기본적으로 갖추어야 할 형식적 요소와 내용적 요소의 선정과 조직 뿐 아니라 관련 연구자들의 상호 이해와 교류의 중요성 인식을 통한 공동 연구와 교재 이용, 개발에 관한 것들이다. This paper describes about the birth and change of Sinosphere which developed from Han Dynasty, China to disclose new characteristics of Sinosphere, which started to get attention after 1980s. Also this paper focuses on the meaning of the change of Sinosphere. Through these studies, the problem of terminology of Sinosphere and proposal of using new terminology "Han-character Culture sphere" by separating old and new Han-character Culture sphere which was born in modern era are raised. Also, nine issues that should be considered to make the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 system and old chinese sentence be universal and basic general education rather than the specific and separate courses for each country are suggested. I think in this "Han-character Culture sphere", the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 system" and "old chinese sentence" is basic art area. These suggestions include elements of form, system, contents and oraganization to change the understanding of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 system" and "old chinese sentence" as well as co-work and usage and development of course materials through the related scholars` recognition of the importantce of mutual understanding and interchanges.

      • KCI등재

        漢字文化圈의 變化와 漢字․漢文敎育의 새로운 방향 모색

        허철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11 漢字 漢文敎育 Vol.26 No.-

        This paper describes about the birth and change of Sinosphere which developed from Han Dynasty, China to disclose new characteristics of Sinosphere, which started to get attention after 1980s. Also this paper focuses on the meaning of the change of Sinosphere. Through these studies, the problem of terminology of Sinosphere and proposal of using new terminology "Han-character Culture sphere" by separating old and new Han-character Culture sphere which was born in modern era are raised. Also, nine issues that should be considered to make the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 system and old chinese sentence be universal and basic general education rather than the specific and separate courses for each country are suggested. I think in this "Han-character Culture sphere", the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 system” and “old chinese sentence” is basic art area. These suggestions include elements of form, system, contents and oraganization to change the understanding of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 system” and “old chinese sentence” as well as co-work and usage and development of course materials through the related scholars' recognition of the importantce of mutual understanding and interchanges. 본고는 1980년대 이후 새롭게 주목받고 있는 새로운 한자문화권의 특성을 밝히기 위해 중국의 한 대를 중심으로 형성되기 시작한 한자문화권의 생성과 변화를 서술하면서, 그 안에 중심하고 있는 의미를 살펴보는데 집중하였다. 이를 통해 한자문화권이라는 명칭의 문제와 더불어 근대 이후 생성된 한자문화권을 신한자문화권, “Han-character Culture sphere”라는 용어를 새롭게 제안하였다. 또한, 현재의 입장에서 한자와 한문교육의 의미를 각 국가만의 특수한 개별교과라는 차원을 넘어 세계 한자문화권의 보편적이면서 기본적인 교양 교육으로 성장하기 위해 우리가 생각해 보아야 할 9가지를 제안하였다. 그 제안의 내용은 대부분 지금의 한자문화권에서 한자·한문교육이 보편 교양 과목으로 인식이 전환되기 위해서 기본적으로 갖추어야 할 형식적 요소와 내용적 요소의 선정과 조직 뿐 아니라 관련 연구자들의 상호 이해와 교류의 중요성 인식을 통한 공동 연구와 교재 이용, 개발에 관한 것들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