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제강점기의 한국 근대공예미학 형성에 관한 연구

        이선희(Sun Hi Yim),남화경(Hwa Kyung Nam)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1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7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일제강점기 한국공예미학 연구의 효시(曉示)를 밝힌 고유섭(高裕燮)의 이론이 ‘식민지’라는 시대적 상황 속에서 어떤 전개 방식으로 진행됐는지를 밝히고, 이를 통해 21세기 공예인이 가져야 할 ‘주체적 시각’은 무엇인가에 대한 자성의 시각을 형성하는 것이다. 고유섭의 이론에서 등장하는 ‘무기교의 기교’·‘무계획의 계획’은 ‘신앙·생활·미술이 분리되지 않은 민예(民藝)적 요소’를 우리 예술의 대표적 가치라고 보았던 야나기 무네요시(柳宗悅)의 시선과 맥을 같이 한다. 그러나 고유섭은 식민지적 한계에도 불구하고 야나기를 넘어 ‘한국미술의 초석’을 세우고자 노력했으며, 이런 노력은 그가 저술한 단행본의 내용을 통해 입증가능하다. 고유섭의 미학은 크게 두 각도에서 평가된다. 하나는 서구미학을 최초로 수용했다는 점이고, 다른 하나는 최초로 한국미학의 바탕을 일구어 놓았다는 점이다. 본고에서 논의의 대상으로 삼은 것은 후자의 입장이다. 서구화로 치달아가는 현실 속에서 ‘한국미술’의 초석을 세우고자 했던 고유섭의 노력은 식민지적 현실을 넘어서기에는 역부족이었지만, 짧은 연구기간에도 불구하고 세상에 내놓은 그의 업적은 놀라운 것이었다. 지금까지 행해진 고유섭 이론의 연구방법으로는 1960년대까지 그의 제자들에 의해 집대성된 단행본의 해석, 이후 발표된 학계의 비판적 결과물의 정리와 고유섭 미학의 재평가 작업이 그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재평가 작업의 일환으로 「고유섭 전집」에 등장하는 여러 내용 중 ‘공예’와 관련한 고유섭의 이론을 분석하여 야나기 이론의 영향과 비교·분석하였다. 연구범위는 1993년에 발간된 「고유섭 전집」의 내용가운데, 공예이론과 관련된 범위를 ‘사회·역사적 관점’과 ‘사상적 관점’으로 나누어 분석하고, 야나기의 비애미(悲哀美)적 요소를 긍정적 측면에서의 ‘확장된 민예(民藝)’로까지 소급한 결과를 다뤘다. 이는 고유섭이 타계한지 60여년이 지난 오늘의 시각에서 그가 찾았던 한국인 특유의 미의식과 그에 따른 미적 체험구조에 대해 밝히기 위한 시도이자, ‘식민지 지식인’이 놓칠 수밖에 없었던 ‘주체의식’에 대한 도전적인 물음이기도 하다. This study identifies how the theory of Go, Youseob who firstly delighted in the study of esthetics of Korean crafts during Japanese colonial rule developed in the condition as a colony. Technical skills of no technical skill and plans of no plan appearing in the theory of Go, Youseob are in the same line as the view of Yanagi Muneyoshi, which is that folk artistic elements that faith, life and arts have not been separated are the typical value of arts. Esthetics of Go, Youseob can be broadly evaluated from two angles. One angle is that it accepted Western esthetics for the first time and the other one that it cultivated the foundation of Korean esthetics for the first time. The focus of discussion in this study is the latter perspective. In the reality of reaching the flash point of westernization, Go, Youseob`s effects to build cornerstone of Korean arts was inadequate to overcome the colonial reality, but his achievements that he brought to the world are amazing although the time of research was short. Until recently, Go, Youseob`s study are three aspects. It is Go, Youseob`s disciples to analysis of books published in the 1960s, criticism of past research, re-evaluation of Go, Youseob`s aesthetics. As part of the re-evaluation, this paper is compared to Yanagi`s theory and the theory of Go, Youseob. A range of studies were divided into ‘socia·historical perspective’ and ‘ideological perspective’. And in the positive side, Yanagi`s ‘biaemi(悲哀美)’ has led to ‘the extended folk(民藝)’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esthetic theories of Go, Youseob and Yanagi Muneyoshi in order to identify unique Korean consciousness that Go, Youseob discovered and the structure of esthetic experience according to the unique Korean consciousness from the perspertive of today 60 years after he passed away. This is also a challenging question about the consciousness of subject that intelligent people can miss in the time of colony.

      • KCI등재

        우현(又玄)과 이경(怡耕)의 한국미(韓國美) 인식

        신응철(Shin, Eung-Chol) 숭실대학교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16 한국문학과 예술 Vol.18 No.-

        한국미에 대한 인식을 서양인의 눈이 아닌 동양인의 눈, 더 구체적으로, 우리 한국인의 시각에서 담아내려고 시도한 최초의 인물은 바로 우현(又玄) 고유섭(高裕燮1905-1944)이다. 고유섭은 ‘무기교의 기교’, ‘무계획의 계획’, ‘구수한 큰 맛’ 등의 수식어를 통해 한국미를 비로소 체계적으로 담아내는데 성공하였다. 우리는 고유섭의 그와 같은 미(美) 인식을 한마디로 〈질박(質朴)의 미학〉이라 이름 붙인다. 한국미에 대한 고유한 인식을 고유섭의 질박의 미학에서 그 시발점을 찾을 수 있다면, 최근 들어 한국 예술철학계 및 미학계에서는 그 종착점으로 이경(怡耕) 조요한(趙要翰1926-2002)의 이름을 한결같이 언급하고 있다. 조요한의 한국미의 인식을 간명하게 말하자면 〈고졸(古拙)의 미학)〉이라 부를 수 있다. 이런 그의 미 인식의 방식은 물론 고유섭의 생각을 터 삼아 진척된 것이라 할 수 있다. 필자는 본 논문에서 한국미를 주체적으로 인식하고자 한 고유섭의 논의를 확인해 보고, 이를 토대로 고유섭의 한국미 인식의 방식이 어떤 방식으로 한국 미학사에 영향을 미치게 되었는지를 규명하고자 한다. 그리고 이 부분에서 조요한의 美 인식의 특징을 고유섭의 그것과 상호 비교함으로써 한국미 인식의 계보를 확인하고자 한다. 끝으로 고유섭과 조요한이 한국 미학사에 기여한 바를 근대미술의 담론이라는 관점, 우리 미학의 정체성의 관점, 미적 가치의 관점에서 논의하면서 마무리하고자 한다. The first man who was grasped a concept of the Korean Beauty not western viewpoint but oriental viewpoint in discourse of the korean aesthetic is Woohyun(又玄) Ko Yu-Seup(1905-1944). He described the Korean Beauty as an untechnical technic, unplanned plan, and excellent savory taste. We called his concepts as an Aesthetic of Simplicity. On the other hand, the last man who was creatively grasped a concept of the Korean Beauty is Yikyung(怡耕) Zo Yo-Han(1926-2002). He described the Korean Beauty as a beauty of folk arts, beauty of simplicity, and things of shamanism. We called his concepts as an Aesthetic of Naivety. In this context, we will deal with Ko Yu-Seup and Zo Yo-Han’s viewpoint about the Korean Beauty and compare with the way of perception about the Korean Beauty among them. And we will elucidate status of them in terms of identity of korean aesthetic, aesthetic value, and history of korean aesthetic.

      • 고유섭의 한국미학, 미술사학 제 해석

        김명숙 ( Myung Sook Kim ) 전남대학교 예술연구소 2015 藝術論集 Vol.16 No.-

        우현 고유섭(1905-1944)은 일제 암흑시대를 살다간 한국 최초의 미학자이자 미술사학자였다 그는``조선미술사``를 기술하는 일을 평생의 과제로 삼았다. 우리는 그가 남긴 학문적 탐구 성과 속에서 한국적인 미적 직관의 정신적 원리 및 그 속에 내포 되어 있는 형이상학적 이념을 발견한다. 한국미술의 미적 특색을 「그 현상적 근본]에서 찾고자 했던 고유섭의 방법 론적 시각은 우리 고유의 미의식의 전제와 아울러 미적 가치 이념의 문제를 토대로 하여 그것이 구체화된 한국미술의 미적 특색규명에 이르기까지, 한국 미술의 본질탐구를 위한 학문적 과제로서의 미학의 가능성을 보여주고 었다. 본 논고는 우리나라 최초의 미학 미술사학자 우현 고유섭을 기억하고자 쓰는 글이다. 우리 학계에서 진행되어 왔던 고유섭에 관한 연구 성과들을 검토해 보고, 고유섭의 업적이나 그에 관한 연구가 갖는 현재적 의미를 다시 조망하여 향후 한국미학, 미술사학의 연구 방향을 모색하는 데에 그 취지를 두고 있다. 한국에서 미학 미술사의 기원은 바로 고유섭으로 부터이다. 그의 존재 의미는 단지 첫 시작이라는 데에 있지 않다. 그의 학문적 성취는 깊고 두터 우며, 학계에 남긴 영향은 뿌리 깊다. 그런 점에서 고유섭은 "한국미술사학의 太頭",혹은 "한국미학의 正初者" 임에 분명하다. 그에 관한 연구 자체가 근현대기 한국 미국, 미술사학계의 성취에서 간과할 수 없는 부분이며, 고유섭 연구사와 관련된 영향 작용사에 관한 고찰은 사실상 우리 미학, 미술사의 기원과 그 성격을 규명하는 작업으로 이어지는 일이기 때문이다. Woohyun Koh Yu-sup (1905-1944) was the esthetician and art historian of Korea`s first Japanese lived the Dark Ages. He took the job that describes the ``Chosun Art History`` a challenge of a lifetime. We find Academic achievements in the result he left Mental principles of aesthetic intuition Korea and a metaphysical philosophy that is implied in them. The aesthetic features of art from Korea to clarify that it aesthetic features of art embodied in Korea on the basis of methodological assumptions and vision problems as well as the aesthetic value of our unique aesthetic philosophy of Woohyun Koh Yu-sup were looking at [its phenomenal root]It shows the potential of aesthetics as a scientific challenge for Korea`s art explores the essence. This specification is written to remember the country`s first post aesthetics, art historian Woohyun Koh Yu-sup. Reviewing the research on the progress that has been Woohyun Koh Yu-sup in our academic reporting, meaning having to re-view the current research on achievement or leave it in Woohyun Koh Yu-sup that effect on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to explore Korea Aesthetics, Art History . The origins of aesthetics, art history in Korea is from to Woohyun Koh Yu-sup. Its presence is not the only means for the start of the first. His academic achievements are deep Roasting thick and deep influence left by the roots in academia. In that respect, it is clear Woohyun Koh Yu-sup Im ``First head of Korea Art History``, or ``cornerstone laying of Korea aesthetic character``. The study itself is part of Korea-based that can not be overlooked in modern and contemporary aesthetics, arthistory academic achievement thereof,A study on the impact associated with the Company acting Woohyun Koh Yu-sup Researcher because in fact our aesthetics, art history and the origins of the days leading up to the task of identifying its nature.

      • KCI등재

        고유섭과 불교미술

        정우택(Chung Woothak) 한국미술사학회 2005 美術史學硏究 Vol.- No.248

        고유섭 선생은 짧은 기간이었다는 것이 믿어지지 않을 만큼 미술사와 미학에 관련된 수많은 글들을 남기었다. 고유섭 선생은 미술 작품이란 별개의 단순한 物質的 독립체가 아니고 사회, 경제, 정치 그리고 사상 등 당시의 모든 상황이 만들어낸 시대적 산물이라 인식하였던 것 같다. 고유섭 선생은 불교미술 전 분야에 걸쳐 관심을 가졌고 개별 작품의 고찰은 물론 교리적 배경과 영향, 그리고 도상과 양식의 변화에 대하여도 구체적으로 언급하였다. 특히 寺址와 같이 현장을 확인하여야 하는 힘겨운 작업의 결과물도 적지 않으며 무엇보다도 문헌자료의 탐색이 놀랍다. 고유섭 선생은 불교미술을 제외하고는 한국 미술을 말할 수 없다고 생각하였고 그만큼 불교관련 유물, 유적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그리고 불교미술은 교리를 바탕으로 형상화되는 것으로 도상학적 탐구가 필요하며 나아가 예술적 가치 즉, 양식의 규명 또한 미술사의 기본임을 지적하였다. 또한 고유섭 선생은 불교미술의 도상적, 양식적 변화 요인을 禪宗의 수용과 발전에서 찾으려고 하였다. 고유섭 선생은 실물자료의 부족으로 인한 미술사연구의 어려움을 문헌자료를 통하여 해결하고자 노력하였다. 그는 문헌자료를 통하여 미술사 全 分野에 걸친 사례들을 찾아내었고, 특히 121개 사찰의 창건 등 각 사찰의 중요 史實들을 밝혀낸 것은 놀라울 뿐이다. 고유섭 선생은 끊임없이 현장을 찾아 실물을 확인하고 문헌을 통하여 보충하는 실증적 연구방법론의 필요성을 이미 실천하고 있었다. 이는 불교미술 연구의 기본은 형식변천의 외적 탐구가 아니라는 인식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In his short life, Go Yuseop left incredibly profuse writings on art history and aesthetics. He seems to have recognized a work of art not just as an independent and separate material from the time but as a product of the times which bears every influence from its society, economy, philosophy and all. His interests spread out to all the fields of Buddhist art. His study on each art work not only shows the background and influence from Buddhist doctrines but mentions its iconographical and stylistic changes in the concrete. Particularly, there are not a few outcomes which were only be able to be brought about after a hard work of corroborating an actual site of a temple. Above all, it is amazing to see how he delved into literatures and documentary records. He thought that Korean art could neither be explained nor understood without Buddhist art. So much so that he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Buddhist relics. Also, since Buddhist art has been formed based on the doctrines of Buddhism, he pointed out that a study on iconography is a must and further artistic value, that is, defining a style is one of the foundations of art history. Moreover, he tried to unfold that the factors of the iconographical and stylistic changes in Buddhist art lie in the adoption and development of Seon (Zen) Buddhism. He put a great effort to solve difficulties in studying art history due to the lack of real materials by researching literatures. Through literatures he discovered examples in every field of art history. Especially, his revelation of historical facts on 121 temples is stunning. He already acknowledged the necessity of positive research method and took an action by himself. He corroborated a real object by his ceaseless search for the actual spot with the complements of literatures. This appears that his cognition on the fundamentals of Buddhist art history did not come from an external study on stylistic changes.

      • KCI등재

        구수한 큰 맛: 번역된 자연미

        정혜린 ( Jung He-rin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20 民族文化硏究 Vol.88 No.-

        고유섭(高裕燮)은 우리나라 최초의 한국미술사학자이자 미학 연구자로서 한국 미술사를 구축했다. 이 논문이 주목하는 바는 그가 「조선미술문화의 몇 낱 성격」과 「조선고대 미술의 특색과 그 전승문제」에서 한국 미술의 가장 큰 특징이자 전통으로 제시한 ‘구수 한 큰 맛’, ‘무기교의 기교’를 대표로 하는 자연미 계열의 개념어들이다. 이 개념들은 그 질박한 뉘앙스와 달리 서양 미학과 미술사, 일본·중국의 미술과 긴밀한 비교 속에 조성된 것들이다. 고유섭은 문화과학, 진·선·미와 지·정·의의 분류법을 수입하여 한 국 미술문화의 모든 역사 구간을 아우르는 ‘보편타당한 가치 표준’을 탐색했다. 이미 우 리에게 잘 알려진 구수함·고수함·맵자·단색·적조미·우아·단아, 이들을 구수한 큰 맛이 그것이다. 문화과학, 진·선·미와 지·정·의 등의 개념은 신칸트학파의 산물로서 경성제국대학에서 고유섭의 재학 시절 철학·미학을 담당했던 아베요시시게는 빈델반트, 리케르트 등의 신칸트학파의 대표적 전달자이다. 고유섭은 당시 최신의 선진적 학문을 따라 자신의 학문의 방법론과 연구대상을 설정하고 이로부터 한국미술의 역사를 한국인의 손으로 서술하는 길을 걸었다. 그러나 근대 유럽의 학문 체제와 가치로 한국 미술문화를 재단하고 번역함으로써 그의 한국미술사에는 시서화일치를 추구하는 회화가 제외되고 공예만 남았다. 한국근현대사에서 구수한 큰 맛과 같은 자연미를 한국 고유의 아름다움으로 제시하는 발언은 수없이 이어져 왔는데 시기상으로 볼 때 고유섭 이야말로 이러한 논란을 학계로 끌어들인 근원으로 짐작된다. 그리고 그가 제시한 공예 미로서의 자연미는 근현대 한국 문화계에 커다란 영향을 끼쳤지만 그 개념들이 한국 자생의 것이 아니라는 점은 한번도 명확히 지적되지 않았다. 이제 구수한 큰 맛이 근현대라는 시대의 산물임을 밝혀 이 개념이 지시하는 과거, 이 개념에서 시작한 현재가 고유섭의 시대로부터 보다 자유로워질 새로운 계기를 마련해야 할 것이다. Ko Yu-seoup, the first Korean scholar on Korean art history and aesthetics suggested some concepts including ‘Earthy and Generous Taste’ and ‘skillfulness of noskill’ as Korean original beauties. Ko imported Neo-Kantianism though Japanese Neo-Kantianism in Keijō Imperial University and applied its famous cultural science as method for studying Korean art history and ideas of values, the Truth, Good and Beauty as its values. The result he got as Korean original art was just craft art and its natural beauty, for traditional Korean art lacked the idea of Beauty and fine arts of modern Europeans. He should have deduced Earthy and Generous Taste from traditional Korean art works and texts not from Modern European thoughts. Though Ko intended describe the history of Korean art with the criteria of newest and advanced academic view and methods, he reduced the history to craft arts and natural beauty, which continues at some corners of academic fields and art world wide as well as Korea until now never criticized.

      • KCI등재

        고유섭과 최순우의 한국미 담론과 미학 비교

        심영옥(Sim, Young Ok) 한국미술교육학회 2019 美術敎育論叢 Vol.33 No.4

        한국 미술문화 전반에서 한국미의 특색을 규명하는 일은 매우 중요한 일이므로 많은 학자들에 의해서 지속적으로 연구되어 왔다. 그런데 지금까지 한국미의 특색으로 규정된 용어들은 대체로 고유섭과 최순우의 담론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고 있다. 그만큼 한국미를 연구하는 데는 두 사람이 영향이 큰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고유섭과 최순우가 어떤 가치와 의미를 가지고 한국미의 특색을 도출하고 담론을 이끌어내었는지 두 견해를 비교 분석하였다. 두 사람의 견해를 살펴보면 사용한 용어는 비록 다르지만 본질적인 의미는 크게 다르지 않다. 그러한 의미에서 고유섭과 최순우의 견해가 유사한 용어들을 대입시켜 그 사례를 분석하고 한국미의 특색을 좀 더 정확하게 이해시키고자 하였다. 한국미의 특색에 대해 고유섭은 무기교의 기교, 무계획의 계획 , 민예적인 것 , 비정제성 , 무관심성 , 구수한 큰 맛 , 기술적인 면의 상감기술 을 꼽았으며, 최순우는 같은 맥락으로 은근의 미 , 담조의 미 , 고요와 익살의 미 , 순리와 분수의 미 , 백색의 미 , 청자비색, 곡선, 상감기법의 독자적인 아름다움 을 꼽았다. 하지만 두 사람이 말한 한국미의 특색은 각각의 특색이 개별적인 의미를 갖는 것이 아니라 서로 교집합을 이루며 결국 특색 하나하나가 합쳐져서 한국미의 특색으로 귀결됨을 알 수 있다. It is thought that because it is a very important matter to def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beauty of Korea, it has been studied by many scholars. However, those terms which are defined as the characteristics so far have never been contrary from the discourse of Yuseop Koh and Soonwoo Choi on the whole. Therefore, the present research has compared and analyzed the two s opinions to understand what value and meaning they have had in order to draw a conclusion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beauty of Korea. It is shown that we can realize after examining their opinions that the terms they used are different but that essentially they are not so different in meaning. In that sense, the writer tried to make the characteristics of the beauty of Korea more precisely understood by substituting those terms in which they have the similar opinions. Concern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beauty of Korea, Yuseop Koh pointed out technique with no techniques, planning with no planning , something that is folk art , no refining , indifference , delicate big flavor , and inlay techniques of technical aspect while Soonwoo Choi in the same context picked the beauty of secrecy , the beauty of serenity , the beauty of quietness and humor , the beauty of rationalism and discretion , the beauty of white , and the unique beauty of celadon s jade green color, its curve, and inlay . It is revealed, however, that what they talked about the characteristics of the beauty of Korea was, each characteristic did not mean individually, but that they compose the intersection of two sets and eventually each of the characteristics are gathered up, resulting in the characteristics of the beauty of Korea.

      • KCI등재

        일제강점기 불교회화 인식과 우현 고유섭

        최엽 동악미술사학회 2022 東岳美術史學 Vol.- No.32

        As the first and only aesthetics and art history major at Gyeongseong Imperial University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Woo-hyun Go Yoo Seob had already decided to study Buddhist art history during his college years and had been steadily striving toward that goal ever since graduation. It is very meaningful that his first paper published after his undergraduate studies was “A Study on the Gilt Bronze Maitreya”, a Buddha statue representing the Three Kingdoms period. Since then, he studied with interest in various fields such as architecture, painting, and crafts but he achieved particularly remarkable results in his study of Buddhist pagodas.『The Study on the Joseon Pagodas』remains an important work until this day, outlining the various pagodas scattered across the country by era, deriving the style and formativeness of each era, and discussing those in a historical context. Furthermore, even after Go Yoo Seob had been appointed director of the Kaesong City Museum, he spent a long time thoroughly exploring ancient literature to fill the gaps in Korean art history, where few relics have been preserved. Based on this, he gradually restored the history of art in each field. He constantly tried to find a methodology for studying Korean art history with a critical awareness about Joseon art history written by foreigners. Before modern times, Buddhist cultural properties were created and recognized as objects of worship or for religious splendor. However, as they began to be re-considered as works of "art" in the modern era, Buddhist artworks such as Buddha statues were exhibited in museums and art galleries, and they were also subject to appreciation, collection, or sale. Go Yoo Seob particularly devoted himself to this field of Buddhist art, seeking a distinct methodology for Joseon's art history and trying to derive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Joseon art, rather than simply adopting Western methodologies for his new field of study. It is very significant that he thoroughly explored Korea’s old literature, examined and restored Buddhist artworks that were mentioned only in fragments in a historical context, and emphasized their importance in the history of Korean art. 우현 고유섭은 일제강점기 경성제국대학 최초이며 유일한 미학·미술사 전공생으로서 대학시절 이미 불교미술사의 연구를 결심하였고, 졸업 이후 꾸준히 그 목표를 향해 정진하였다. 그가 학부 졸업 후 쓴 첫 논문이 삼국시대를 대표하는 불상을 주제로 한 「금동미륵반가상의 고찰」이라는점은 매우 의미 깊다. 이후 그는 건축, 회화, 공예 등 다양한 분야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하였고, 특히 불교 탑파의 연구에 있어서는 기념비적 성과를 남겼다. 전국에 산재한 탑들을 시대별로 개관하고 시대별 양식과 조형성을 도출하여 史的 맥락에서 논의한 『조선탑파의 연구』는 현재에도 중요한저술이다. 또한 고유섭은 개성 박물관장으로 부임하고 나서도 연구를 위해 꼼꼼한 현장 답사는 물론이고 현전하는 유물이 적은 우리 미술사의 공백을 채우기 위해 오랜 시간 동안 철저하게 고문헌들을탐독하여 이에 근거하여 차근차근 각 분야의 미술사를 복원해나갔다. 그는 외국인들이 쓴 조선미술사에 대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우리 미술사를 연구하기 위한 방법론을 모색하고자 끊임없이 시도하였다. 고유섭의 연구 중 불교회화 분야는 매우 희소하다. 단독으로 불교회화를 주제로 한 글은 조선후기의 선묘불화인 「거조암 불탱」이 유일하다. 그러나 그가 고려시대의 회화 흔적을 논한 글인 「고려 화적에 대하여」에서 종교화를 따로 언급하며 당시로서는 거의 알려지지 않고 실물도 영세한 고려불화에 대해 중요한 문헌자료들을 소개하며 나름의 개관을 하고자 하였고 이는 역시 지금도 유효하고 귀중한 내용이다. 현전하는 유물들만을 중심으로 서술한 외국인이 쓴 조선미술사와 달리, 고유섭은 문헌 기록들을 통해 고려 불교회화의 미술사적 복원을 시도한 것이다. 물론 당시 그의불교회화를 다룬 글은 일제강점기라는 당시의 시대 상황과 역사관점의 영향이 엿보이기도 한다. 근대 이전에는 불교문화재들이 예배대상으로, 혹은 종교적 장엄을 위한 것으로 제작되고 인식되었지만, 근대기로 들어서면서 새롭게 ‘미술’의 영역으로 재인식되기 시작하면서 박물관·미술관에서 불상 등 불교미술품이 전시되기도 하였고, 감상의 대상이 되거나 수집과 매매의 대상이 되기도 하였다. 고유섭은 특히 이러한 불교미술 분야에 매진하며 신생 학문의 서구적 방법론에만 매몰되지 않고 조선의 미술사를 위한 방법론을 모색하였고 조선미술의 특징을 도출하려 하였다. 그가우리 옛 문헌 자료들을 철저히 탐독하여 단편적으로만 언급되었던 불교미술품들을 역사적 맥락하에 총체적으로 살펴보고, 복원하고, 한국미술사에 있어서 그 중요성을 부각시킨 점은 큰 의미가있다.

      • KCI등재

        근대기 한국과 중국의 미술사 서술: 고유섭(高裕燮)과 텅구(滕固)를 중심으로

        정수진 한국미술연구소 2023 美術史論壇 Vol.- No.56

        20세기 초반의 우리나라와 중국은 사회의 각 분야에서 급격한 변혁을 겪고 있었으며 서구와 일본으로부터 도입된 새로운 학문 체계가 구축되기 시작하였다. 미학과 미술사학 역시 이 시기에 도입되어 소수의 한국과 중국 학자들에 의하여 조국의 미적 특질 규명과 자국미술사의 서술이 추진되었다. 이 학자들 가운데 양국에서 가장 주목받는 학문적 성과를 이룬 인물로는 각각 고유섭(高裕燮, 1905~1944)과 텅구(滕固, 1901~1941)를 들 수 있다. 이 두 학자는 자국미술사를 연구하고 서술함으로써 근대기의 과제였던 국민국가의 토대 마련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이들의 학문적 기초는 서구의 사상과 이를 선행하여 수용하고 변주한 일본의 영향으로 마련된 것이었다. 즉 이들은 19세기 서구의 철학과 사학 연구 방법론을 수용하여 신칸트학파의 영향으로 자국의 미학을 연구하였고, 뵐플린의 양식사와 리글의 정신사를 토대로 자국미술사를 정립하였으며, 불교를 문화의 핵심으로 본 고대 중심의 일본 관제 미술사의 시각으로 발전론적 미술사의 통사를 서술하였다. 그리고 바로 식민사관을 극복하지 못하였다는 이 점에서 비판을 받고 있다. 그러나 전통에서의 탈피를 근대화의 한 축으로 본다면 이들의 미술사는 전통적인 화론(畫論)에서 벗어나 신학문의 체계를 갖추었다는 점에서 근대성을 갖추고 있다고 할 것이다. 또한 20세기 초라는 시대적 한계는 그 근대성과 식민성을 분리할 수 없게 하였다. 연구자는 자신을 투명하게 비우고 연구대상에 접근하는 것이 불가능한 인식론적 존재로, 추정적이며 가변적인 인식의 패러다임을 통한 시각 등 당대의 인식론적 제약을 받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고유섭과 텅구는 기존의 연구가 전무한 상황에서 각국 미술의 독자성을 규명한 연구 성과를 이루었다. 이후의 한국에서는 민족주의와 반식민지주의 사관의 미술사가, 중국에서는 마르크스주의의 물질론적 미술사가 등장하였다. 그리고 각각 1960년과 1980년 이후부터 내재적 발전론의 미술사가 연구의 풍토를 이끌었다. 이러한 미술사학의 발전은 고유섭과 텅구가 이루어놓은 초기의 성과를 발판으로 가능한 전개였다. 즉 고유섭과 텅구는 동아시아 미술사학의 정초를 놓은 연구자이며 이들 연구 성과의 공통점은 20세기 초반 동아시아 미술사의 성격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일반논문 : 고유섭의 미학이론을 통해 본 인천시 도시경관의 구조적 특성과 발전 방향

        엄연석 ( Yeon Seok Eom ) 서울시립대학교 도시인문학연구소 2014 도시인문학연구 Vol.6 No.1

        본 논문은 고유섭(高裕燮)의 한국미에 관한 학설과 미학을 준거틀로 삼아 역사문화적 지리적 측면과 산업발전에 따르는 공업화와 도시화의 과정, 그리고 최근 국제화와 생태문화적 정책과정에서 이루어진 인천의 다층적인 도시경관에 대하여 미래지향적이고 심미적인 도시경관 구조를 재정립하고자 하였다. 고유섭은 서양미학을 연구하면서 수용한 ‘형태미’, ‘모방’, ‘무관심성’과 같은 여러 심미적 개념들을 수용하였는데, 이것들은 모든 인간의 삶의 여러 영역에서 만나는 사물들에 그대로 적용할 수 있다. 나아가 고유섭은 구체적으로 한국미의 특징으로서 애니미즘에 바탕이 되는 역동성(意力)을 강조하였고,‘무기교의 기교’, ‘무계획의 계획’, ‘비정제성’, ‘비균제성’, ‘민예적인 것,’구수한 큰 맛’ 등과 같이 기본적으로 인위적이지 않은 자연스러움과 질박한 실용성을 강조하였다. 이런 점에서 이들 개념은 바로 인위적으로 전체를 계획하지 않고 역사문화적 그리고 사회경제적으로 자연스럽게 이루어진 인천시의 도시경관을 그대로 받아들이면서 심미적으로 그 경관을 개선하는 데 적절하게 이용될 수 있다. 여기에서 도시경관을 개선하고자 한다면 그 대전제가 되는 방향은 첫째, ‘기존에 이루어진 계획적이지 않고 자연스럽게 형성되어 있는 경관을 그 영역상의 특징을 잘 살리면서 문화적 요소를 가미하는 방향이 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그리고 둘째는 ‘인천시의 도시 경관을 개선하는 중요한 요소는 시 안에 사는 시민들의 경제적 문화적 삶을 잘 이루어 주는 방향을 기준으로 삼아야 한다’는 점이다. 요컨대, 인천시 도시경관의 여러 영역이 생명과 실용, 정신적 가치향유를 표준으로 상호간에 유기적으로 소통하여 자연과 인간, 역사와 문화를 종합적으로 포괄하는 경관을 새롭게 구성하는 것이 고유섭의 심미적 가치 개념이 함축하고 있는 의미라고 할 수 있다. Incheon recently has been developed constantly through the historical and cultural aspects, the process of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according to the industrial development, and of late internationalization and ecological-cultural policy. Therefore, this essay intended to establish city identification of Incheon having the future-oriented and aesthetic characteristic again according to Go Yu-seob``s aesthetic theory and opinion about Hankuk beauty. While examining western aesthetic, Go Yu-seob accepted several sensuous concepts such as the beauty of form, imitation and nature of indifference, which can be applied to various affairs to be come across in the every sphere of human life as it is. Moreover, Go Yu-seob concretely emphasized dynamism which becomes a foundation of animism as characteristic of Hankuk beauty and accentuated the basic unartificial spontaneousness and simpleminded practicality such as technique of artless, plan of haphazardness, unrefinement, asymmetry, the peasant art, delicate great flavor etc. In this point, these concepts properly can be utilized in the improvement of urban scape and its identity of Incheon city, which is unplanned artificially and is composed of according to the historic-cultural and socio-economical motive naturally. Here, if one would improve urban scope of Incheon, its prerequisite and direction first would be that one revives well its demesnial peculiarity toward scope exposed unplanned and natural characteristic as what already composed and at the same time adds cultural elements to it. And second, it is that one must make stabilization of economic and cultural life of citizens within city as the most important assignment. Summing up, it can be said that the significance which Go Yu-seob``s aesthetic value concept implies is that one constructs aesthetic basis through which several realms of urban scope of Incheon make vitality, practicality, mental value enjoyment ultimate standard, communicate one another organically and compose scope that encompasses nature and man, history and culture synthetical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