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HP 분석을 통한 지역성 표현 요소에 대한 전문가 가치구조 연구

        홍성민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8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3 No.1

        (Background and Purpose) Unlike the architecture of modern regionalism, which has emerged to overcome the problems of modernism, it is difficult to draw consensus on the specificity of regionality in the field of the modern city, architecture, and public design. Nonetheless, it is becoming an important topic in urban architecture. Despite this interest, however, there are not much objective data and evaluation criteria to which design experts can refer when trying to design something that reflects regionality.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structuralize the various thoughts of local experts through the AHP technique, analyze the difference of importance between priorities and items, and conduct a basic analysis to identify objective criteria. (Method) First, by analyzing the extant scholarship, AHP research in the field of urban architecture and that related to the regionality were collected, and regionality expression elements to be surveyed were extracted and classified into two hierarchical structures. Next, the AHP questionnaire was applied to the top five items related to regional design experts and the 18 sub-items related to them. The contents of the questionnaires was then collected and analyzed through statistical analysis and AHP analysis programs. The priority values and importance values (weight value) between each item were obtained as a result. (Results) The results of the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regionality related elements of the extant studies were applied to the hierarchy structure of the AHP survey in order to analyze the value structure of the experts. The results of the survey were analyzed using the AHP program, and the relative importance values (weights) of the five primary and the 18 secondary hierarchy structures in each hierarchical structure were quantified, and priorities were obtained. The results of the AHP analysis of the primary hierarchy items showed that the experts have a value structure that is important in order of: placeness, community, endemism, traditionality, and symbolism. In the secondary hierarchy structure item, the significance of the subordinate items of symbolism was considered in relation to: natural form, abstract-urban form, abstract-social form, abstract-human form, and abstract. The importance of subordinate items of placeness was considered in relation to: value context-consider, urban context-consider, natural context-consider, city image-insider, and monumentality. The importance of subordinate items of endemism was considered in relation to: local colors-consider, local material-consider, local climate. The order of subordinate items of traditionality and the importance of traditional space was considered in relation to application, including the application of traditional architectural elements; while the application of traditional human elements appeared in the order of subcategories of community, consideration of community, consideration of community participation, consideration of local industry. (Conclusions) In analyzing the importance and priority of the expert's value structure for regionality expression factors, the results can be used for constructing evaluation criteria related to regionality, its application at the design stage, as well as in regional study in other fields. (연구배경 및 목적) 모더니즘 건축의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나타났던 근대의 지역주의 건축과 달리 현대 도시, 건축, 공공 디자인 분야에서의 지역성은 많은 선행연구에서 그 구체성에 대한 합의를 도출하기가 어려운 상황임을 이야기하고 있으나, 여전히 도시건축에서 중요한 화두가 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관심에도 불구하고 실제로 디자인 전문가들이 지역성을 반영한 디자인을 하려고 하거나, 지역성을 고려한 심사를 하려고 할 때 참고할 만한 객관적 자료나 평가기준은 많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역성에 대한 지역 전문가들의 다양한 생각들을 AHP 분석을 통해 구조화하고, 우선순위와 항목간의 중요도 차이를 분석하여 객관적인 기준을 만들기 위한 기초자료 제공에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먼저 문헌 조사를 통해 도시건축 분야에서의 AHP 연구와 지역성 관련 연구들을 종합하여 설문의 대상이 되는 지역성 표현 요소들을 추출하고, 2개의 계층구조로 분류하여 위계화 하였다. 다음으로 지역성과 연관된 디자인 전문가 중 건축디자인 전문가를 대상으로 5가지 상위 항목과 이와 연관된 18가지 하위 항목으로 분류된 위계화 항목들에 대한 AHP 설문을 시행하고, 회수된 설문지의 응답내용을 통계분석프로그램과 AHP 분석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하여 각 항목들 사이의 우선순위와 중요도 값(가중치)을 구하고 지역성 표현 요소들에 대한 전문가들의 가치 인식 구조를 알아보았다. (결과) 선행 논문의 지역성 관련 요소들을 종합 분석한 결과를 AHP 설문의 계층구조로 적용시켜 상징성, 장소성, 풍토성, 전통성, 지역사회의 5개 항목을 상위 위계로 하는 전문가의 가치구조 분석틀을 제작할 수 있었다. 또한 설문 결과를 AHP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여, 1차 계층구조 5개 항목과 2차 계층구조 18개 항목이 각 계층구조 내에서 가지는 상대적인 중요도 값(가중치)을 정량화하고 우선순위를 구할 수 있었다. 1차 계층구조 항목의 AHP 분석 결과 전문가들은 장소성-지역사회-풍토성-전통성-상징성의 순서로 중요하게 생각하는 가치구조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차 계층구조 항목에서 상징성의 하위 항목 중요도는 자연형태고려-도시형태고려-사회형태고려-인문형태고려의 순서로 나타났고, 장소성의 하위항목은 가치맥락고려-도시맥락고려-자연맥락고려-도시이미지고려-기념비성고려의 순서로, 풍토성의 하위 항목은 지역색채-지역재료-지역기후의 순서로, 전통성의 하위 항목은 전통공간응용-전통건축요소응용-전통인문요소응용의 순서로, 지역사회의 하위 항목은 공동체고려-주민참여고려-지역산업고려의 순서로 나타났다. (결론) 이렇게 지역성 표현 요소에 대한 건축디자인 전문가들의 가치구조를 구조화하고, 각 항목의 중요도와 우선순위를 분석함으로서 지역성과 관련된 평가기준의 설정이나 설계단계에서 응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만들 수 있었다.

      • KCI등재

        R을 이용한 집단의사결정 계층화 분석과정(AHP)처리 방안에 대한 연구

        윤철호,최광돈 한국엔터프라이즈아키텍처학회 2019 정보기술아키텍처연구 Vol.16 No.4

        본 연구는 R을 이용하여 집단의사결정과 관련한 계층화 분석과정(AHP)을 수행하는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AHP 개념 및 집단의사결정 분석절차들을 설명하고, AHP 분석을 위한 주요 함수들을 개발하여 제시하였다. 또한 예시 AHP 모형을 제시한 후 집단의사결정과 관련한 계층화 분석과정을 수행하는 것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 결과물로 AHP 분석을 위한R 함수들과 이를 이용한 집단의사결정 AHP 분석을 위한 R 스크립트가 제시되었다. 본 연구는 계층화 분석과정을 처음 접하는 연구자들에게는 AHP 분석을 수행하는데 유용한 가이드가 될 것이며, 이미 AHP 분석에 익숙한 연구자나 실무자들에게는 R을 이용한 새로운 집단의사결정 AHP 분석방안제시를 통하여 기존의 도구보다 빠르고 유연하며, 확장 가능한 AHP 분석 환경을 제공할 것이다. This study presents an approach to perform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of group decision-making using the R. For this purpose, this study explained the AHP concept and the analysis procedures of the AHP, developed R functions for the AHP analysis, and demonstrated that the AHP analysis related to a group decision-making, which are carried out with an examples of an AHP model. As a result, this study presents the R functions for AHP group decision-making analysis and the R script using an AHP analysis. This study will be a useful guide for researchers who are new to the AHP analysis and will provide researchers or practitioners who are already familiar with the AHP with a faster, more flexible, and more scalable AHP analysis environment than traditional tools by presenting a new AHP method using R.

      • KCI등재

        특수교육연구에 있어 계층분석적 의사결정기법(AHP)의 적용가능성 탐색

        박상희,홍성두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11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54 No.3

        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교육연구에 있어서 계층분석적 의사결정기법의 적용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이다. 계층분석적 의사결정기법은 의사결정의 계층구조를 구성하고 있는 요소간의 쌍대비교에 의한 판단을 통하여 평가자의 지식, 경험 및 직관을 포착하고자 하는 하나의 새로운 의사결정 방법론이다. 현재까지 계층분석적 의사결정기법은 주로 우선순위 선택, 벤치마킹, 전략적 기획, 자원배분, 비용편익/분석, 협상/갈등의 해결, 투자계획의 평가, 인력자원의 채용 및 평가, 프로젝트 선택과 같은 마케팅 분야에서 활용되었으나 최근에는 교육학 분야에서도 많이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특수교육분야에서는 계층분석적 의사결정기법에 대한 이론적 탐색 조차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의사결정기법의 문제점을 약술하고, 계층분석적 의사결정기법을 소개하며, 교육학 영역에서 이루어진 계층분석적 의사결정기법 활용 연구를 소개하여 특수교육분야에서의 적용가능성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앞으로 연구자들이 계층분석적 의사결정기법이 가지는 몇 가지 제한점에 대한 인식만 바르게 한다면, 특수교육 연구 분야에서도 중요한 분석틀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applicability of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AHP) in the area of special education. The AHP is a structured technique for making decisions that are unstructured, unpredictable, and complex. The AHP has been commonly used in forecasting, business process,re-engineering, healthcare, quality function deployment ,military personnel promotions, hiring decisions, data mining, benchmarking, and public policy decisions, Recently, the use of the AHP has been expanded in the are of education. If researchers in the area of special education pay efficient attention to the use of the AHP, we expect that the methodology of the AHP would be considered as a meaningful tool for special education.

      • KCI등재후보

        교육연구에서 계층분석과정의 활용가능성 연구

        이훈병(Lee, Hun Byung),운건호(Yoon, Kun Ho)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학회 2008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2 No.4

        본 연구는 의사결정이 요구되는 교육연구에 있어 계층분석과정의 적용 가능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계층분석과정은 쌍대비교를 통해 요인들의 상대적 중요도를 계산하고 대안을 선택할 수 있는 유용한 의사결정도구이다. 계층분석과정은 이미 다양한 분야에 성공적으로 적용되고 있으며, 최근 유아, 초등, 중등, 고등교육 분야관련 연구에서도 그 적용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교육연구에서 계층분석과정의 활용 가능성은 다음과 같다. 교육은 고도의 의사결정 분야로 개인과 집단의 의견을 과학적으로 종합할 수는 계층분석과정의 적용이 요구된다. 또한 계층분석과정은 교육관련 의사결정결과의 신뢰성을 확보해줄 수 있는 중요한 도구이다. 계층분석과정을 적용할 수 있는 교육연구는 각급학교 행정, 교사, 수업, 그리고 학교 평가, 평가준거의 가중치분석연구, 교구교재 선정, 교육방법의 선택 등 다양한 교육문제에 활용이 가능하다. This study were to research for an application of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AHP) in educational research. The AHP model is a very useful decision-making model designed to compute the relative weights for factors and to select alternatives through “pairwise comparison” in the context of hierarchical structure. The AHP has already been successfully applied in a variety of fields, and it is recently that using the AHP in educational research increased gradually. Applicabilities of the AHP in educational research are as follows. Education is decision-making, therefore, an application of the AHP in educational research is reasonable. And the AHP is a powerful decision-making method designed to ensure the reliability of educational decision-making results. The AHP can be applied to select educational administration, to evaluate teacher, instruction, and school, to analysis weights for evaluation criteria, and so on.

      • KCI등재

        교회건축물의 디자인 의사결정 요소에 대한 사용자 인식에 관한 연구

        홍성민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9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4 No.1

        (Background and Purpose) Although the church architecture design is a problem for all of the protestant church building users, only architects, some pastors and church laymen have participated in the design decision process, and most of the members of the church have been neglected in this process. Therefore, this study analyzes the major decision making elements that should reflect the user's recognition in the church architecture design through the analysis of the previous research, analyzes the subjective thoughts of the members who are the users of these elements, and purpose to provide basic data that can reflect the general recognition of church architecture users about the major decision making elements of the church architecture design process. (Method) Firstly, we analyzed the major elements of decision making in the church architecture design process from the 90 's until recently by analysing previous research, and classify it into a hierarchical structure for AHP questionnaire method. Next, a total of 176 randomly selected church building users in Busan were classified into three hierarchically structured primary-level decision making elements, 10 secondary-level decision making elements, and 18 tertiary-level decision making elements conduct an AHP questionnaire method. (Results) First,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higher - level decision making elements showed that users are conscious of the order of functionality-publicness-symbolism when setting direction of church architecture design. Second, the importance of sub decision making elements of functionality appeared in order of worship function-education function-service function-society function.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ub decision making elements of publicness, the importance appeared in order of participating in community welfare-participating in community culture- participating in community education, and showed importance in the order of sub decision making elements of community welfare participation is local resident care-disabled care-homeless & teenage runaway care- multicultural family & north Korean defectors. Fourth,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sub decision making elements of symbolism, it appeared that the overall building expression-image expression-partial elements expression, and subordinate element of overall building expression was modern style-symbolic style-classical style-traditional style, in the image expression elements are familiar/comfortable image-elegant/beautiful image- refined/modern image-new/fresh image-solemn/strict image order, and in the partial elements expression elements are Bible verses elements-christianity art elements-symbolic emblem elements-symbolic color elements- symbolic number elements order. (Conclusion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importance of each factor through the AHP questionnaire analysis method and to provide the user 's recognition to refer to the design priority among the main elements in the decision making process of the church architecture design. (연구배경 및 목적) 교회건축 디자인은 교회건축 사용자 모두의 문제임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건축가와 일부 교역자, 중직자만이 참여하여 디자인 의사결정을 하여 왔으며, 대다수의 교회 구성원들은 이 과정에서 소외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선행연구의 분석을 통해 교회건축디자인에서 사용자의 인식이 반영되어야 하는 주요의사결정요소들을 추출하고 이 요소들에 대해 사용자인 교회 구성원들이 가지고 있는 주관적인 생각들을 분석하여 AHP설문 분석법을 통해 제시함으로서 교회건축디자인 과정의 주요의사결정요소들에 대한 교회건축 사용자의 전반적인 인식이 반영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먼저 교회건축디자인에 대한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90년대 이후부터 최근까지 부각된 교회건축디자인 과정에서의 주요의사결정요소들을 추출하고 AHP설문을 위한 계층구조로 분류한다. 다음으로 무작위로 선정된 부산지역 교회건축 사용자 176명을 대상으로 3개의 계층구조로 분류된 3가지 상위계층 의사결정요소, 10가지 2차 계층 의사결정요소 및 18가지 3차 계층 의사결정요소에 대한 AHP설문을 시행한다. 회수된 설문지의 응답내용을 분석하여 각 계층 의사결정요소들 사이의 우선순위와 중요도 값(가중치)을 구하고 이를 통해 교회건축디자인에서 주요의사결정요소에 대한 사용자의 인식을 알아본다. (결과) 첫째, 상위 계층 의사결정요소 분석결과 사용자들은 교회건축디자인의 방향설정 시 기능성-공공성-상징성의 순서로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외형보다는 본질에 충실한 것이 교회건축디자인의 방향설정에 중요하다고 인식하였다. 둘째, 기능성의 하위요소 중요도는 예배 기능-교육 기능-봉사 기능-교제 기능의 순서로 나타났고, 예배 기능이 나머지 3개 요소 전체 합과 비슷할 정도로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공공성의 하위요소 분석결과, 지역사회 복지참여-지역사회 문화참여-지역사회 교육참여의 순서로 중요도가 나타났고, 이 중 지역사회 복지참여 요소의 하위요소는 지역주민 배려-장애인 배려-노숙인․가출청소년 배려-다문화․탈북자 배려의 순서로 중요하다고 인식하였다. 넷째, 상징성의 하위요소 분석결과, 교회 건물 전체로 표현-이미지로 표현-부분요소로 표현의 순서로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고, 교회 건물 전체로 표현 요소의 하위요소는 현대적인 표현-상징적인 표현-고전적인 표현-전통적인 표현의 순서로, 이미지로 표현 요소는 친숙한/ 편안한 이미지-우아한/ 아름다운 이미지-세련된/ 현대적인 이미지-새로운/ 신선한 이미지-엄숙한/ 엄격한 이미지의 순서로, 부분요소로 표현은 성경구절-상징문양-성화-상징색채-상징 수의 순서로 나타났다. (결론) AHP설문 분석법을 통해 각 요소별 중요도 값을 제시하여 교회건축디자인 의사결정과정에서 주요 요소들 간의 디자인 우선순위 설정에 참고할 수 있는 사용자의 인식 특성을 제공했다는 것에 본 연구의 의의를 둔다.

      • KCI등재

        정부 사업 평가에 AHP 적용

        조임곤(Im Gon Cho) 경인행정학회 2021 한국정책연구 Vol.21 No.4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예비타당성 조사와 AHP 활용 연구에서 Saaty가 제안한 방법론에서 소홀히 된 점을 요약한 후에, 우리나라 예비타당성 조사에서의 AHP 활용은 Saaty가 제시한 AHP 활용 예의 극히 일부이기 때문에, 정부사업 평가에서 보다 분석적이고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위해 9점척도를 사용하지 않은 절대등급을 활용한 AHP 적용을 제안하고, 지방정부 재정사업 평가에서의 활용, 정량지표의 활용 등의 예를 설명하였다. 또한, 정량지표와 정성지표를 모두 활용하는 평가도 물론 가능하기 때문에 AHP가 정부의 다양한 사업 평가에 적용될 수 있음을 지적하였다. 특히 AHP에서의 9점 척도를 활용하지 않고서도 등급과 같은 절대평가를 하는 경우에도 전문가가 새로운 쌍대비교 행렬을 작성하여 가중치를 설정할 수 있다는 점은 일관성 비율이라는 제약 조건 없이 다수의 대안을 비교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많은 정부 사업에 대한 우선순위 평가가 가능할 것이다. The preliminary feasibility study and AHP related study in Korea often neglect AHP methodology issues proposed by Saaty. This study claims more broader application of AHP, since the use of AHP in the preliminary feasibility study in Korea is only a small part of the examples of AHP application suggested by Saaty. This study shows AHP can be used more extensively in government project evaluation. For example, AHP can prioritize alternatives by including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indicators. Often the Consistency Ratio (CR) decreases with the number of alternatives. To compensate for this weakness, AHP can use the absolute evaluation method. After evaluating alternatives using absolute evaluation, experts can determine the AHP weight.

      • KCI등재

        국립공원관리공단 핵심기능의 상대적 중요도 및 우선순위 분석 : 계층분석법(AHP)의 적용

        주효진,정준호 한국자치행정학회 2013 한국자치행정학보 Vol.27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국립공원관리공단이 추구하는 추진목표에 대한 상대적 중요성과 우선순위를 분석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국립공원관리공단의 중장기 추진목표에 대해서 전문가집단을 대상으로 계층분석법(AHP)을 활용한 상대적 중요도 분석을 통해 추진목표의 우선순위를 도출함으로써 공단이 추구해야 할 핵심기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공단은 생태계보전 및 복원과 자연가치 창출에 핵심적 역량을 집중해야 하며, 자연공원 관리효율성의 강화와 탐방 및 휴양서비스의 제공을 위해서 지속적으로 노력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하위사업 수준에서의 상대적 중요도 및 우선순위에서는 자연생태가치의 확대, 특별보호구역 지정으로 핵심지역 보호, 자연생태계 복원 및 회복 등 자연생태계의 보전 및 복원 등이 가장 중요한 핵심기능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앞으로 국립공원관리공단은 생태계의 보전과 복원이라는 기본적 임무의 달성을 최우선적 가치로 추구하는 것이 필요함고 동시에 자연생태자원의 효율적 활용을 통한 친환경적인 사회경제적 가치를 창출하기 위해서도 노력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AHP 분석의 문제점과 수정가중치모형의 개발

        최민철 대한경영정보학회 2020 경영과 정보연구 Vol.39 No.2

        This study examines problems with using the conventional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method and proposes a method of weight adjustment as a modification of AHP. AHP is a method for transforming complex decision problems into a hierarchal structure, which is composed of elements in the upper and lower levels and then using pairwise comparisons to evaluate these elements and subsequently to obtain their relative weights. The elements' relative importance is reliable if the elements in the lower hierarchical levels (sub factors) that comprise each element in the upper hierarchical level (primary factor) are equal in number. In other words, if the number of sub factors is different for each primary factor, a serious error is expected as a result.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a modification of AHP that can avoid such an error when AHP is used. Specifically, an error that arises from different number of sub factors (matrix size) can be overcome by making the number of sub factors identical for each primary factor. The resulting model has been validated through the applications in different AHP hierarchical structures. 본 연구는 AHP 적용상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올바른 적용방법을 위한 ‘AHP 수정가중치모형’을 개발하는 연구이다. 여기서 AHP는 복잡한 의사결정 문제를 계층화 하여 상위수준요인과 하위수준요인들로 분해하고, 그 요인들에 대한쌍대비교를 통해서 요인들에 대한 상대적인 가중치를 도출하는 방법이다. 하지만 AHP 계층구조에서 각 상위수준요인(대항목)을 구성하는 하위수준요인(소항목)들의 개수가 같을 경우에는최종가중치가 바르게 나타나지만 각 대항목을 구성하는 소항목들의 개수가 다른 경우에는 심각한 오류가 발생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를 개선할 수 있는 ‘AHP 수정가중치모형’을 개발하였다. 구체적으로 AHP 분석의 오류가 소항목의 개수, 즉 규모가 다를 때 발생하는 것에 착안하여 소항목 개수의 규모를 상대적으로 같게 만들어서 그 오류를제거하였다. 그리고 개발된 모형을 다양한 AHP 계층구조에 적용하여 검증하였다. 구체적으로 첫 번째 모형검증에서는 4개의 대항목과 각각 개수가 다른 소항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대항목과 소항목의 중요도가 같다고 가정하였고, 두 번째 모형검증에서는 2개의 대항목과 각각 개수가 다른 소항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모든 대항목과 소항목의 중요도가 다르다고 가정하였다. 그리고 세 번째 모형검증에서는 실제 선행연구에 적용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된 ‘AHP 수정가중치모형’이 AHP 분석의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었다.

      • KCI등재

        도시재생사업 성공요인 중요도 분석과 정책적 함의 - 전문가와 지역주민 인식 비교를 중심으로 -

        주상현 ( Ju Sang Hyeon ) 한국자치행정학회 2019 한국자치행정학보 Vol.33 No.1

        이 연구는 학술정보통합검색시스템(RISS)을 통해 도출된 도시재생 성공요인들에 대해 전문가 그룹과 지역주민 그룹 간 중요도의 인식차이 분석을 시도하고, 분석결과를 토대로 정책적 함의를 도출해 보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전문가용 설문지 25부 (지역주민 10명, 공무원 및 교수 15명))를 대상으로 계층분석법(AHP)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상대적 중요도는 각 지표를 2개씩 상호 비교하는 이원비교(pairwise comparison)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설문은 1차 수준 3개 분야, 2차 수준 9개 분야, 3차 수준 27개 지표들을 선정하였으며, 최종 표본에서 고유벡터 값을 구하는 데는 AHP 전문프로그램인 “Expert Choice 11.5"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전문가 그룹과 지역주민들 사이에 성공요인들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존재하고 있었다. 둘째, 도시재생사업 성공요인 중 1차 수준은 문화적 요인이, 2차 수준은 전통적 역사도시, 재정요인, 한옥문화 가치 등이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셋째, 3차 수준에 대한 요인들을 분석한 결과 500년 역사를 가진 왕조 도시 이미지가 가장 높은 중요도를 차지하였으며, 교육 및 문화콘텐츠와 같은 풍부한 볼거리, 전주시의 문화도시 이미지, 연계 역사문화자원 집중 등의 순으로 각 요소들의 중요도가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이 연구의 정책적 함의를 제시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도시재생사업의 성공을 위해서는 역사성과 문화적인 하드웨어적 요소를 갖추는 것이 중요하고 이러한 이미지를 적극적으로 표출시키는 전략적 방향이 필요하다. 둘째, 도시재생사업에서 주민들과 협조체계를 강화시켜 나가는 거버넌스적 노력이 중요하다. 셋째, 도시재생사업의 성공을 거두기 위해서는 젊은 층이 많이 찾도록 하기 위해 다양한 볼거리, 도시의 멋과 먹거리 등이 적극적으로 개발될 필요가 있다. 넷째, 지속가능한 도심재생사업을 위해서는 도심재생 사업이 성장하는 과정에서 극심한 상업화를 극복하며, 도시 자체의 정체성을 유지시켜 나가는 전략이 적극적으로 모색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fference of recognition between experts and local residents about the importance of success factors of urban regeneration extracted through RISS. The analysis method used in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25 questionnaires(10 local residents, 15 experts) were analyzed by applying the AHP. The questionnaires consisted of 3 levels in the first level, 9 levels in the second level, and 27 levels in the third level. The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Expert Choice 11.5". The results of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difference in perceptions of success factors between experts and local residents. Second, Among the success factors of urban regeneration, cultural factors were important in the first level of urban regeneration and traditional historical cities, financial factors, and Hanok cultural values were important factors at the second level. Third, the image of the dynasty city with 500 years history was the most important at the third level. In addition, rich attractions such as education and cultural contents, cultural city image of Jeonju city, and concentration factors of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were highly important. The policy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for the success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s, it is important to have historical and cultural hardware elements, and a strategic direction to actively display these images is needed. Second, governance efforts to strengthen cooperation with residents in urban regeneration projects are important. Third, in order to the success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s, it is necessary to actively develop diverse attractions, urban fashion, and food for young people and family tourists. Fourth, for sustainable urban renewal, it is necessary to actively seek strategies to overcome extreme commercialization and to maintain the identity of the city itself.

      • KCI등재

        AHP 기법에 의한 항만배후단지 물류센터 운영 직무분석

        박두진(Park Doo Jin) 한국국제상학회 2017 國際商學 Vol.32 No.3

        본 연구에서는 항만배후단지 물류센터 운영의 직무에 관한 평가 요인을 도출하여 상위계층과 하위계층으로 AHP 모형을 설계하였다. 선행연구에서 조사된 요인들을 분석하여, 공통되는 요인은 제거하고 비슷한 요인들을 계층으로 분류하여 항만배후단지 물류센터운영에 관한 요인을 도출하여 직무의 우선순위를 도출하였다. 상위계층에 따른 요인의 중요도는 물류센터 관리시스템 운영, 물류센터 관리계획, 물류센터 운영, 물류센터 사후관리의 순으로 우선순위가 도출되었다. 평가요인들의 종합적인 우선순위를 보면 창고관리시스템 운영능력, 물류운영 전략수립, 재고관리 운영, 수배송 계획수립 등의 순으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항만배후단지 물류센터 운영에 필요한 직무를 체계적으로 분석함으로써 물류센터 분야의 교육에 다양하게 활용되고, 항만배후단지 물류센터 재직자들의 직무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하여 우리나라 항만배후단지의 경쟁력을 높이고 물류센터의 고부가가치 창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mprove the job ability of the employees through analyzing operational works in logistics centers on the basis of the paradigm change in port logistics processes. Research design, data, methodology : AHP model is come from prior research, which was designed upper and lower hierarchies by grouping similar factors related to operational works of logistics centers in port hinterland. The priority of the factors was derived from comparing the factors to use AHP methodology. Results : The importance of the factors related to the higher hierarchies was derived by prioritizing the operation of the logistics center management systems, the logistics center management plans, the operation of the logistics centers, and the post-management of the logistics centers. The priority of comprehensive evaluation factors was analyzed by the order of WMS operational capability, logistics operation strategy, and inventory management operations. Conclusions : This study systematically analyzed works needed to operate a logistics centers. The results can contribute to educate employees of the logistics centers. In addition, it is possible that the results can contribute to improving the competitiveness of Korean port logistics industries and creating a high value in logistics cent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