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온라인게임에서 나타나는 경험적 가치가 온라인게임 참여도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구동모 한국전략마케팅학회 2008 마케팅논집 Vol.16 No.1

        온라인게임산업은 성장 잠재력이 높은 산업의 하나로 자리잡아 가고 있다. 온라인게임만이 가지는 독특한 오락지향적 특성은 온라인게임 참여자들에게 다양한 형태의 경험적 가치를 제공할 수 있다. 대부분의 기존 신기술수용이론은 실용적 가치에 초점을 두고 연구를 해왔으며 오락지향적 신기술이 가지는 감정적, 오락적 동기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빈약하다. 본연구는 기존 폴로우와 쇼핑경험 연구에서 밝혀낸 경험적 동기를 온라인게임에 적합한 형태로 변형한 다섯 가지의 경험적 동기를 중심으로 연구한다. 온라인게임의 경험적 동기에는 주의집중, 즐거움지각, 일상탈출, 지적호기심, 사회적 소속감 등이 있으며 이들 경험적 동기가 온라인게임 참여도에 영향을 미치며 게임참여도는 다시 온라인게임 사용행동에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을 설정해 연구하였다. 본연구는 374명 온라인게임 사용자를 대상으로 수집한 자료로 구조방정식모델을 이용한 가설 검증을 실시하였다. 구조방정식모델 검증 결과 즐거움지각을 제외한 네 가지의 경험적 동기가 게임참여도에 영향을 미치며 게임참여도는 다시 온라인게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단점, 실무적, 이론적 시사점 등은 결론부분에 논의하고 있다. Online games represent a burgeoning market sector of increasing economic importance. The distinctive entertainment-oriented features of such games provide various experiential values for users. However, most previous studies have focused on the utilitarian perspectives of the technology. The affective motivational aspects of entertainment technologies have been relatively neglected. The present study therefore identifies five experiential motives from studies of flow and shopping experiences such as concentration, perceived enjoyment, escape, epistemic curiosity, and social affiliation, and postulates that these motives influence customer’s engagement with online games, and engagement in turn affects customer usage of online games. The model is tested using data gathered from 374 current online game user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confirms that four of five experiential motives with the exception of enjoyment have positive effects on customers’engagement, which subsequently affects online game usage.

      • KCI등재

        인스타그램 이용 및 동기가 브랜드 태도와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경험적 가치의 조절효과 중심으로

        여악양,김철중 대한경영학회 2022 大韓經營學會誌 Vol.35 No.9

        Recently, marketing using social media platforms has been actively carried out. SNS plays a role as an information market that can acquire and provide various information as well as social relationships with various people. In particular, the influence of Instagram among SNS platforms has increased, and it has been shown that users use various brand accounts. However, attitudes toward brand advertisements may differ depending on the motives of Instagram users. Users’ motives for use are diverse, and it is necessary to consider any differences in consumer behavior toward advertisement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rst examine the influence of Instagram users’ motivation to use on brand attitude. Second, it is to check how Instagram users’ motivation to use Instagram affects brand loyalty. Third, to check the effect of brand attitude on brand loyalty. Fourth, to check the mediating effect of brand attitud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stagram users’ motivation and brand loyalty. Fifth,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consumption valu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 Instagram users’ use motive and consumer behavior. The data for this study were collected through Micromill Embrain, an online specialized research agency. It was held for a total of 12 days from July 18 to July 29, 2022. A total of 395 copies of the data were obtained from individuals using Instagram, and 370 copies were finally selected and used for empirical analysis, excluding 25 questionnaires that responded inappropriately and insincerely.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it was found that personality pursuit motive, other obtaining in- formation motive, and mood change motive had a positive (+) effect on brand attitude, but economic pursuit motive and social interaction motive did not affect brand attitude. Second, it was found that individuality pursuit motive, mood change motive, and social interaction motive had a positive (+) effect on brand loyalty, but economic pursuit motive and others-oriented motive did not affect brand loyalty. Third, it was found that brand attitude had a positive (+) effect on brand loyalty. Fourth, as for the mediating effect of brandattitude, there was a fully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ity pursuit motive and brand loyalty, and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ood change motive and brand loyalty. On the other hand, the mediating effect of brand attitude did not appea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conomic pursuit motive and brand loyalty, the relationship between other-oriented motive and brand loyalty,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interaction motive and brand loyalty. Fifth, the moderating effect of Experiential value appear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ity pursuit motive and brand attitud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ity pursuit motive and brand loyalty.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motives of Instagram users to experience brand advertisements and show consumer behavior. This result means that the consumer’s Instagram usage motive acts as an important factor in the process of a company’s Instagram marketing strategy. In conclusion, this study can provide theoretical and practical indicators to achieve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for companies conducting marketing using Instagram. and By producing advertisements that can increase consumption value, it provides implications for corporate development and achievement of goals. Furthermore, it will be possible to provide a rich shopping environment to consumers who shop through Instagram. 최근 SNS 플랫폼을 활용한 마케팅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SNS는 다양한 사람들과의 사회관계뿐만 아니라 다양한 정보를 습득하고 제공할 수 있는 정보의 시장과 같은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특히 SNS 플랫폼 중에서도 인스타그램의 영향력은 높아졌고, 이용자들이 다양한 브랜드 계정을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인스타그램 이용자의 이용동기에 따라 브랜드 광고에 대해 받아들이는 태도는 다를 수 있다. 이용자의 이용동기는 다양하며, 이용동기에 따른 광고에 대한 소비자 행동에 어떠한 차이점이 있는지 고찰해야 하는 필요성이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인스타그램 이용자의 이용동기가 브랜드 태도 및 브랜드 충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 개인의 소비가치가 이용동기와 소비자 행동의 관계를 어떻게 조절하는지 검증하는 것이다. 가설검정은 AMOS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한 구조방정식으로 실시되었으며, 신뢰도, 타당성 및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개성추구 동기, 정보획득 동기, 기분전환 동기가 브랜드 태도에 양(+)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개성추구 동기, 기분전환동기, 사회적 상호작용 동기가 브랜드 충성도에 양(+)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브랜드 태도가 브랜드 충성도에 양(+)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브랜드 태도의 매개효과는 개성추구 동기와 브랜드 충성도의 관계에서는 완전매개 효과가 나타났으며, 기분전환 동기와 브랜드 충성도의 관계에서는 부분매개 효과가 나타났다. 다섯째, 소비가치의 조절효과는 개성추구 동기와 브랜드 태도의 관계, 개성추구 동기와 브랜드 충성도의 관계에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인스타그램 이용자의 이용동기가 브랜드 광고를 경험하고 나타나는 소비자 행동에 차이가 발생한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기업의 인스타그램 마케팅전략 과정에서 소비자의 인스타그램 이용동기가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개성추구 동기와 소비자 행동의 관계의 영향은 소비가치가 높을수록 높게 나타난다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인스타그램을 활용하여 마케팅을 실시하는 기업에게 인스타그램 이용자의 이용동기를 고려한 광고와 소비자의 소비가치를 높일 수 있는 광고를 제작함으로써 기업의 발전과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 KCI등재

        로컬푸드 체험이벤트 참가동기와 경험적 가치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강순화 ( Soon-hwa Kang ) 한국자치행정학회 2018 한국자치행정학보 Vol.32 No.2

        본 연구는 로컬푸드 고도화를 위한 융복합 다각화 관점에서 로컬푸드직매장를 방문한 소비자의 로컬푸드 체험이벤트 참가동기와 경험적 가치를 분석해 구매활동을 장려하고 소비자 관점에서 선호하거나 욕구에 맞는 상품을 개발하여 제공하는 데에 기초적인 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연구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로컬푸드 체험이벤트 참가동기와 경험적가치가 로컬푸드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체험이벤트 참가동기와 경험적 가치가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국내 로컬푸드 체험이벤트의 재수요 및 유효수요 동기 등을 파악하여 마케팅 전략에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또한 로컬푸드 융복합 다각화를 위한 로컬푸드 정책 및 제도의 개선방향에 대한 시사점 도출로 학문적 기여뿐 아니라 사회적으로도 지방정부 정책추진 과정에서 상당한 의미가 있으리라 기대한다. This study analyzes the motivation and empirical value of local food experience events for consumers who visited local food direct shopping area from the viewpoint of multifunctional diversification for local food enhancement and encourages purchasing activities and develops products suitable for consumers' As a basic dat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articipation motive and experiential value on local food purchase inten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motivation and experiential value of experiential events have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purchase inten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provides basic data for revitalization of the local economy, and it can be used for marketing strategy by grasping re-demand and effective demand motive of domestic local food experience event. It is expected that there will be meaningful not only scholarly contribution but also socially local government policy promotion process by deriving implications for the improvement direction of local food policy and institution for diversification.

      • KCI등재

        골프용품 구매시 접촉욕구, 경험적 가치 및 온라인 구매경험의 구조적 관계

        정지명 ( Ji Myung Jung ),진지형 ( Ji Hyung Chin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10 체육과학연구 Vol.21 No.3

        이 연구의 목적은 골프용품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용품의 접촉욕구가 경험적 가치와 온라인 구매경험에 미치는 영향과 접촉욕구와 온라인 구매경험 간에 경험적 가치의 역할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전국 아마추어 골퍼를 모집단으로 선정하여 비확률표본추출 방법 중 편의추출법(convenience sampling method)을 이용하여 서울,경기지역 8개 골프연습장에 2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였으며,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한 193부의 설문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G*Power 3.0 프로그램을 이용한 통계적 검증력 분석을 통해 PLS 분석에 필요한 최소필요 표본수를 산출하였고 적절한 표본수임을 확인하였다. 연구자가 직접 방문하여 표집을 실시하였으며 자기평가 기입법(Self-administrated method)을 이용하였다. 자료처리방법은 SmartPLS 2.0 program을 이용하여 타당도 및 신뢰도 검증, 요인별 상관관계 검증 그리고 경로계수 값을 추정하였다. 이 연구의 절차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얻었다. 첫째, 접촉욕구의 내재적 동기는 온라인 구매경험에 직접 영향을 미치고 있지 않지만, 실용적 가치에 의해 매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온라인을 통한 골프용품 구매시 소비자의 경험적 가치 즉, 감각적 가치와 실용적 가치 모두 온라인 구매경험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 셋째, 온라인을 통한 골프용품 구매시 소비자의 내재적 동기는 감각적 가치와 실용적 가치를 거쳐서만이 온라인구매경험에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소비자의 경험적 가치가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need-for-touch(NFT), referring to the perceive motive or instrumental motive to touch golf equipments through the haptic system, on the experience of online-purchase. Also, the present study was to find out that NFT has an effect on the frequency of online-purchase experience and that the effect is mediated by the perceived utilitarian value and hedonic value of online shopping. To accomplish of the study, the data was collected from male and female(n=193) who were armature golfers from Seoul and Gyeonggi areas. G*Power 3.0 program was used for statistical power analysis and calculated the appropriate size of sample for PLS analysis. This study was analyed by SmartPLS 2.0 program to make sure validity and reliability test. Also, correlation,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cause and effect were analyed by PLS path modeling.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perceived motive of NFT didn`t influence on online-purchase experience. But, perceive motive was mediated by utilitarian value. Second, through online shopping for golf equipment, utilitarian value and hedonic value has a positive effect on online-purchase experience. utilitarian value and hedonic value were an important value found in this research because perceive motive influenced positively on online-purchase experience through experiential value(utilitarian and hedonic value).

      • KCI등재

        소매점내 상점절도 행위와 그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노정구 대한경영정보학회 2013 경영과 정보연구 Vol.32 No.2

        경제상황이 악화됨에 따라 상점절도와 같은 생계형 범죄의 발생률이 크게 높 아지고 있다. 상점절도(shoplifting)란 백화점이나 대형마트, 슈퍼마켓 등의 소매점 내에서 발생하는 절도행위를 말한다. 상점절도의 경제적․사회적 위험성에도 불 구하고 아직 상점절도에 대한 학술적인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소매점내 상점절도 태도와 그 영향요인을 분석한 연구로서 이 분야에 대한 학술 적 연구의 기초를 제공하고, 상점절도행위의 감소 내지방지를 위한 시사점을 제 공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기존 연구들에서 상점절도 행위나 태도에 영향을 미치 는 것으로 나타난 경제적 동기, 친구관계, 자극추구성향, 경험적 동기, 강박구매성 향이 독립변수로 사용되었으며, 상점절도 태도를 종속변수로 사용하였다. 부산시 내 4년제 대학 재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실증분석 결과 친구 관계와 강박구매성향 이 상점절도 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경제적 동기, 자극추구성향, 경험적 동기는 상점절도 태도와는 유의적인 관련성을 발견할 수 없었다. 결론에서는 이러한 연구결과가 주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물류자동화 시스템의 도입에 사용되는 기업의 전략 유형과 이들이 기업의 운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서연정(Yun jung Suh),정재우(Jae woo Chung) 韓國生産管理學會 2015 한국생산관리학회지 Vol.26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물류자동화 시스템의 사용 실태를 조사하여 체계적으로 분류함으로써 구체적인 물류자동화 시스템의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증하는 것이다. 물류자동화 시스템의 도입에 어떠한 동기들이 있으며 이러한 동기들과 기업의 운영성과와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분석한다. 문헌연구를 통하여 물류자동화 시스템을 분류하고 이 시스템의 도입 동기와 기업의 운영성과에 대한 측정항목을 추출하였다. 우리나라 184개의 제조업체로부터 수집한 설문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신뢰성 및 타당성 분석,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한 확인적 요인분석, 회귀분석 및 Sobel test를 통해 연구모형을 검증하고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물류자동화 시스템의 도입 동기를 알아본 결과, 기업이 물류자동화 시스템을 도입할 때는 기업의 전략이 중요한 결정요소로써 고려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에 해당되는 기업의 전략으로는 원가지향 전략, 유연성지향 전략, 시장지향 전략으로 나타났다. 둘째, 3가지 기업의 전략 유형이 물류자동화 시스템의 도입에 정(+)의 영향을 주며 이러한 물류자동화 시스템은 기업의 운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시 말하면, 물류자동화 시스템은 기업의 전략에 맞게 도입되어 기업의 운영성과에 정(+)의 영향을 주었다. 셋째, 회귀분석과 Sobel test를 통하여 물류자동화 시스템의 매개효과를 입증하였다. 기업의 전략에 부합하는 물류자동화 시스템의 도입과 물류자동화 시스템의 수준으로 기업의 운영성과가 더욱 향상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기업은 성장과 이윤추구를 위한 전략 설정과 물류자동화 시스템의 투자에 대한 의사결정에 효과적인 방법과 방향을 제시함으로써 실무적 의사결정에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define and classify material handling systems and to examine empirically the impact of specific automation systems with the causal relationships among material handling systems, the motives of introducing automation systems, and operational performance. Survey-based data for this study was collected from 184 Korean manufacturing firms and the measurement scales were tested and validated using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test, structure equation modeling, and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motives of introducing material handling systems are correlated with firm's business strategy. The types of business strategy are low cost strategy, flexibility strategy and marketingintensive strategy. Second, the three types of business strategy have a positive impact on introducing material handling systems. And material handling systems also have a positive impact on operational performance. For the last, material handling systems mediate the impact between firm's business strategy and the operational performance. The mediating effect was proved through regression analysis, Sobel test, and the structure equation modeling. The result shows that the fit between firm's business strategy and material handling systems improves firm's operational performance. This study will offer guidance on how strategy and automation investment can be selectively matched to attain either profitability or growth.

      • KCI등재

        대학 교양 수업의 경험적 글쓰기 교육연구

        안희은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way for learners to have positive motivation in writing class which is taught in liberal arts at university. Writing is an activity that requires complex thinking and expression. Each university aims to develop critical thinking through writing lessons and to develop critical thinking. Establishing these logical thoughts and critical perspectives in a competitive societal society in Korea is essential. Therefore, it is important for learners to develop their own abilities by learning to write and to experience writing improvement. However, most of the existing classes are forced to use complex and mechanical lessons, so students are forced to increase negative perceptions such as tension and anxiety, and are limited to technical writing. There are various studies to overcome this, but practical methods are still lack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sponses and problems of writing before and after class. They will have a positive awareness of writing, and will make arrangements for continuing and possible in writing. 본 연구는 대학에서 교양으로 배우는 글쓰기 수업에 학습자들이 긍정적인 동기를 가질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데 목적이 있다. 글쓰기는 복잡한 사고와 표현이 필요한 활동으로 각 대학에서는 글쓰기 수업을 통해 주체적 시각을 기르고 비판적 사고를 증진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한국의 경쟁위주의 사회에서 이러한 논리적 사고와 비판적 시각을 확립하는 것은 핵심적인 것이 된다. 따라서학습자들은 글쓰기에 대한 학습동기를 가지고 스스로 역량을 개발하여 글쓰기 향상을 경험하는 것이중요하다. 그러나 기존의 수업들은 대부분 복잡하고 기계적인 수업을 강요하고 있어 학생들은 긴장, 불안감 등의 부정적 인식이 커 질 수밖에 없으며 기술적 글쓰기에 제한되어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들이 나오지만 실제적인 방법은 아직도 미미한 형편이다. 본 연구에서는 실제 대학 1 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글쓰기 수업 전·후 쓰기에 대한 반응 및 문제점을 살펴보고, 이들이 글쓰기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가지고 지속, 가능한 글쓰기를 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할 것이다.

      • KCI등재

        초등학교 듣기말하기 교육의 실제화 연구 - 1,2학년을 위한 ‘발표하기’를 중심으로 -

        서현석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17 한국초등국어교육 Vol.63 No.-

        This study explores the direct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on developing practical Public Speaking(PS) skills for the lower grades students. To achieve this study’s purpose, researcher interviewed teachers about their PS teaching experience and considered preceding researches to found multidirectional improvement plan for PS education. In the lower grade learner’s daily life and learning situation, participative and self-expressive PS has a connection with learner’s ‘identity formation’. Also it have Educational Values because it is a cross-curricular communication skill. Teachers who responded to the interviews said that the lower grade learners feel more uncomfortable in speaking to express individual’s thought, feeling and opinion than speaking formally and handwriting. In the result of analyzing Korean Language curriculum and textbook, While written language acquisition in relation to beginning literacy guidance was emphasized, PS as a understanding and expression through oral language was briefly covered. In conclusion of this study, researcher suggested how to progress meaningful PS education for elementary learners. First, speaking education should be changed from emphasizing expressive methods to emphasizing the construction of meaning. Second, the conception of PS should be reestablished as a cultural and practical Basic Literacy. Third, PS activities should be considered learner’s personal narrative and intrinsic motivation. 이 연구는 초등학교 저학년의 실제적인 ‘발표하기’ 능력을 기르기 위한 국어 교육의 방향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초등학교 저학년의 학습자의 삶 속에서 그리고 교육 현장에서 실행되는 ‘발표하기’는 설득이나 정보 제공의 목적보다 ‘개인의 생각이나 느낌, 의견을 표현하는 말하기’라는 점에서 좀 더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 즉, 일상생활이나 학습 상황에서 참여적, 자기 표현적 ‘발표하기’는 학습자의 ‘정체성 형성’과 깊은 관련이 있으며 범교과적으로 요청되는 의사소통 역량이다. ‘발표하기’에 대한 학습자와 교사의 경험에 대한 면담과 선행 연구를 고찰한 결과, 초등 저학년은 형식적인 말하기나 글씨 쓰기에 비하여 자신의 의견이나 생각을 말하는 ‘발표하기’를 어려워하고 있었다. 또한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내용을 분석한 결과 기초 문식성 지도와 관련하여 문자 언어 습득은 강조되는 반면 구두 언어를 통한 의미 구성으 로써 ‘발표하기’는 매우 소략하게 다루어짐을 파악할 수 있었다. 결론에서는 초등 학습자에게 유의미한 ‘발표하기’교육을 위한 세 가지 방향을 제안 하였다. 첫째, 문화적, 실천적 ‘기초 문식성’으로써 ‘발표하기’의 개념을 재정립해야 한다. 둘째, 표현 방법 중심에서 의미 구성을 강조하는 학습 말하기로 전환해야 한다. 셋째, 학습자의 경험적 내러티브와 내재적 동기를 고려하는 ‘발표하기’ 활동이 국어 교실 에서 실행되어야 한다.

      • 구동용 PMSM 모터의 Semi-empirical 모델 기반 토크 제어

        백남철(NamChul Paik) 한국자동차공학회 2023 한국자동차공학회 부문종합 학술대회 Vol.2023 No.5

        The PMSM motor achieves the required torque by adjusting sinusoidal currents with specific phase differences. Since the phase current that satisfies the required torque has several solutions with different efficiencies, an optimal efficiency control system is needed. In this paper, we presented a control model that estimates the torque of the motor simply and effectively based on the amount of current (Imag) and the angle (β) at which the current is applied. For the torque model, a semi-empirical model was developed using the test data of the motor, and model optimization was performed using an optimal data calculation algorithm. The torque model that calculates the control current for the target torque is inverse transformed so that the actual torque can be calculated with the control current. Through this, a feedback control system based on two feed forward torque models that can be inversed are created. This paper confirmed that various advantages were feasible by adopting above torque control algorithms.

      • KCI등재

        학습된 무기력과 비자기결정성 진로동기의 관계성 탐색: 예비 초등특수교사의 학습상황을 중심으로

        오혜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18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pre-service elementary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learned helplessness and its effect on career motivation.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students enrolled in an elementary and special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 at a rural university in the K area of the Republic of Korea. Participants completed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including scales assessing learned helplessness in daily life (“helplessness”), learned helplessness in academic situations (“academic helplessness”), and career motivation based on self-determination theory. Data from 62 participants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analysis, correlational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and the Kruskal-Wallis H test. Results Descriptive analyses revealed the absence of learned helplessness (helplessness, academic helplessness) among participants. Levels of amotivation were low, while autonomous motivation, including identified regulation and intrinsic regulation, were high. Correlational analyses indicat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learned helplessness and non-regulation, external regulation, and introjected regulation, respectively. Regression analysis and the Kruskal-Wallis H test indicated that academic helplessness was the significant predictor of non-regulation and external regulation. Conclusion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negative responses to academic failures could result in a lack of initiation or persistence in career goal-directed behaviors, or in avoiding the adverse outcomes associated with career-related activities. This study provides valuable foundational data for understanding learned helplessness and undetermined career motivation, offering insights for interventions and future research in the fiel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