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척수 원추 주변에 발생한 경막내 추간판 탈출증 - 증례 보고 -

        이재원,박예수,서완식,오영하 대한척추외과학회 2014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21 No.3

        Study Design: A case report. Objectives: To report a rare case of intradural disc herniation (IDH) around conus medullaris.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IDH is rare with an incidence of less than 1% of all lumbar disc herniations. It is important todifferentiate IDH from other condition with accurate diagnosis and subsequent surgical treatment. IDH has a higher risk of neurologicdeficit, like conus medullaris syndrome and cauda equina syndrome. Materials and Methods: A 62 year-old male was affected by lumbar back pain radiating to the anterolateral aspect of the right thighfor 5 days. MRI showed a mass that existed on the anterior portion of the conus medullaris. We performed partial laminectomy at the L1-L2level. The mass located anteriorly in the intradural space was eliminated after durotomy by a posterior approach. Results: We confirmed the IDH for histopathology. Conclusions: IDH usually needs accurate differential diagnosis. Preoperative MRI scans are necessary to differentiate IDH from otherintradural lesions. The confirmative diagnosis can be done only in the operative field. Key Words: Intradural disc herniation, Conus medullaris 연구 계획: 증례 보고목적: 척수 원추 주변에 발생한 경막내 추간판 탈출증에 대하여 보고한다. 선행 문헌의 요약: 경막내 추간판 탈출증은 매우 드문 질환으로 전체 추간판 탈출증 중 1% 미만으로 보고되고 있다. 다른 경막내 종물과 감별진단이 필요하며 본 증례에서와 같이 척수 원추 주변에 발생하는 경우는 매우 드물고, 또한 병변의 위치로 인해 척수 원추 증후군(conus medullaris syndrome)이나 마미 증후군(cauda equina syndrome)등의 신경학적 손상을 초래할 수 있어 정확한 진단과 수술적 제거가 필요하다. 대상 및 방법: 62세 남자가 내원 5일 전부터 시작된 요추부의 통증과 우측 대퇴부 전외측으로 저린 감각을 호소하였다. 자기 공명 영상 검사에서 척수원추 부위에 발생한 종물을 발견하였다. 후방 접근법으로 제1-2요추간 추궁판을 일부 제거하고 경막에 절개를 하여 경막내 공간(intradural space)으로돌출되어 있는 종물을 제거하였다. 결과: 종물은 병리 조직 생검을 통해 퇴행성 추간판으로 확진하였다. 결론: 경막내 요추부 추간판 탈출증은 정확한 감별 진단을 요한다. 수술 전 자기 공명 영상 검사는 다른 경막내 병변과 감별하기 위하여 반드시 필요하며 확진은 수술 중 가능하다. 색인 단어: 경막내 추간판 탈출증, 척수 원추약칭 제목: 경막내 추간판 탈출증

      • KCI등재

        경막내 종양으로 오인된 요추부 경막내 거대 추간판 탈출증 - 증례 보고 -

        신충식,최병열,김경태 대한척추외과학회 2016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23 No.2

        Study Design: A case report. Objectives: To report a case of cauda equine syndrome due to a lumbar intradural disc herniation.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IDH is rare but there is a higher incidence of neurologic deficit in IDH. Therefore, it should be treated immediately. Materials and Methods: A 34-year-old male patient was presented with cauda equina syndrome due to a lumbar intradural mass and underwent surgical excision. Results: Operative findings and the histologic study revealed an intradural disc herniation. Conclusions: IDH is very rare lesion but should be considered in a differential diagnosis if preoperative MRI demonstrates an intradural lesion. 연구 계획: 증례 보고. 목적: 요추부 경막내 추간판 탈출증(Intradural disc herniation, IDH)에 의해 발생한 마미 증후군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선행문헌의 요약: IDH는 매우 드물게 발생하나 신경학적 손상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아 즉각적인 치료가 필요하다. 대상 및 방법: 34세 남자 환자로 요추부 경막내 종괴에 의한 마미 증후군 발생하여 수술적 제거를 시행하였다. 결과: 수술 소견 및 조직 검사상 IDH로 진단되었다. 결론: IDH는 매우 드물게 발생하지만 수술전 자기 공명 영상 검사상 경막내 병변이 확인된 경우 가능한 원인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 요추부 척추관 협착증과 동반된 경막내 신경초종: 증례 보고

        소재완,김태헌,권세원,Soh, Jae-Wan,Kim, Tae-Heon,Kwon, Sai-Won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11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17 No.2

        요추부 척추관 협착증과 경막내 종양이 동반되어 있는 환자에서, 척추관 협착증에 대한 수술적 치료만 시행하였다가 수술 후 증상이 잔존할 수 있다. 본 증례는 척추 신경이 척추관 협착증으로 인한 외적인 압박과 함께, 종양의 공간 점유로 경막내 압박을 동반하였던 경우로, 신경 감압술과 경막내 종양의 제거를 동시에 시행하여 성공적으로 치료되었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71세 여자환자가 하부 요통 및 양측 하지로의 방사통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자기 공명 영상에서 제 4-5 요추부는 척추관 협착증 소견과 함께 제 5 요추-제 1 천추부에 경도의 척추 전방 전위증 소견이 관찰되었고, 제 4 요추체 부위에서 타원형의 경막내 공간의 대부분을 점유하는 종괴가 관찰되었다. 후방 도달법으로 감압술 및 유합술을 시행한 다음, 정중 경막 절개술을 통해 종괴를 제거하였다. 조직 검사상 신경초종으로 진단되었고, 수술 후 증상은 현저히 호전되었다. In the patient who has intradural mass associated with spinal stenosis, if the operation for spinal stenosis is performed alone, the symptom may remain. We report with literature review that we achieved the successful outcome after simultaneous decompression of spinal stenosis and space occupying mass removal in the case of intradural and extradural compression. A 71-year-old female patient suffering from low back pain and radiating pain of both lower extremities admitted. In magnetic resonance imaging, spinal stenosis on L4-5 and spondylolisthesis on L5-S1 compressed dural sac and intradural space occupying mass on L4 level compressed. By posterior approach, decompression and interbody fusion were carried out. Then mass was removed with median durotomy. Pathologic diagnosis was schwannoma and the symptom was improved remarkably.

      • KCI등재

        마미 증후군을 동반한 요천추부 광범위 경막내 유피낭종 - 1례 보고 -

        안태근,신동은,권영우,이상준 대한척추외과학회 2016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23 No.2

        Study Design: A case report. Objectives: To report a rare case of extensive epidermoid cysts in the lumbosacral spine.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The intradural epidermoid cyst with extensive involvement is rare, and previous reports have reported only extensive intramedullary epidermoid cysts. Materials and Methods: A 75-year-old male presented with progressive motor weakness of both extremities beginning 3 days prior. MRI showed extensive intradural extramedullary epidermoid cysts in the lumbosacral region. We performed total laminectomy from the L1 to the L5 level, and the cystic mass was removed. Results: We confirmed the epidermoid cyst on histopathologic examination. Conclusions: Extensive extramedullary epidermoid cysts are difficult to remove completely. Attempting complete removal may result in neurological deficit. Therefore, when surgical intervention is planned, the poor postoperative prognosis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연구계획: 증례 보고. 목적: 요천추 부위의 후천성 광범위한 경막내 수외 유표피낭종의 증례보고. 선행 연구문헌의 요약: 광범위한 경막내 유표피낭종의 사례는 매우 드물며 경막내 수내 유표피낭종의 경우에서만 보고되었다. 대상 및 방법: 75세 남자가 내원 3일전 급격히 진행된 양측 다리의 감각 이상과 근력 약화를 보였다. MRI상 요천추 부위의 광범위한 경막내 수외 유표피낭종이 확인되었고, 요추 1-5번의 추궁판 절제술 및 종양 제거술을 시행하였다. 결과: 조직병리학 소견으로 유표피낭종을 확인하였다. 결론: 광범위한 경막내 수외 유표피낭종은 완전 절제가 어렵고 완전히 제거하려는 시도가 신경학적 결손을 유발할 수 있다. 그러므로 수술적 치료를 함에있어 나쁜 예후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 KCI등재

        요추 천자 후 발생한 요추부 경막내 표피성 낭종 : 1례 보고 A case report

        김종관,이상국,황식,홍정기,박재규 대한척추외과학회 2000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7 No.2

        경막내 표피양 낭종은 모든 중추 신경계 종양 중 그 빈도가 2% 이하인 매우 드문 종양이며, 척추관내에서는 더욱 드문 것으로 알려져 있다. 1956년 Choremis 등이 반복된 요추 천자 후 발생한 척추관 내 표피양 낭종을 보고한 이래, 여러 저자들에 의해 표피양 낭종은 요추 천자 시 표피 세포가 척추관 내로 접종되면서 발생 가능한 것으로 보고되었다. 저자들은 요추 천자 후 발생한 경막내 표피양 낭종 1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Epidermoid tumo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are infrequent(2%) and can occur congenitally or iatrogenically. Since Choremis et. al. reporte intradural-extramedullary epidermoid tumor after repeated lumbar puncture, several cases have been reported. We experienced a case of epidermoid inclusion cyst after single lumbar puncture in a 7-year-old boy and report the clinical and radiologic findings with relevant literatures.

      • KCI등재

        경막내 수외 유표피 낭종 - 증례 보고 -

        정광환,조성도,고상훈,이채질,염윤석,김상우,강항기,차재룡 대한척추외과학회 2015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22 No.1

        Study Design: A case report. Objectives: To report a rare case of epidermoid cyst in the spinal canal.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Epidermoid cyst in the spinal canal is rare. Idiopathic epidermoid cyst in the spinal canal notassociated with a trauma or infection is even rarer. Material and Methods: A 73 year-old female presented with a 1 year history of progressive paresthesia and motor weakness of bothlower extremeties. MRI showed a cystic mass on the 7th thoracic canal. We performed total laminectomy at the T6 –T8 level. The cysticmass was excised after durotomy using a posterior approach. Results: We confirmed the presence of an epidermoid cyst for histopathology. Conclusion: Idiopathic epidermoid cyst in the spine is very rare and requires accurate differential diagnosis. Preoperative MRI scans arenecessary to differentiatie epidermoid cysts from other intradural masses. Confirmative diagnosis can be done by histopatholoty. 연구 계획: 증례 보고. 목적: 척추강내에 발생한 유표피 낭종에 대하여 보고한다. 선행문헌의 요약: 척추강내 유표피 낭종은 상당히 드문 질환으로서 외상이나 감염과 연관되지 않은 특발성 유표피 낭종은 더욱 드물다. 대상 및 방법: 73세 여자가 1년 전부터 서서히 악화된 양측 하지의 감각 이상과 무력감으로 내원하였다. 자기 공명 영상 검사에서 제 7흉추 부위로 척추강 내 낭성 종괴 소견을 발견하였다. 후방 접근법으로 제 6흉추부터 제 8흉추까지의 후궁 전절제술을 시행하고 경막에 절개를 하여 낭종 적출술을 시행하였다. 결과: 낭종은 병리 조식 생검을 통해 유포피 낭종으로 확진하였다. 결론: 특발성 유표피 낭종은 매우 드문 질환으로 수술 전 자기 공명 영상 검사는 다른 경막내 병변과 감별하기 위해여 반드시 필요하여 확진은 병리 조직 생검을 통해 가능하다.

      • KCI등재

        경막내 종양 절제를 위한 제 7경추 후궁성형술 및 재부착술- 증례 보고 -

        강성식,문성환,이환모 대한척추외과학회 2015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22 No.1

        Study Design: A case report. Objectives: To report laminoplasty and recapping procedure of C7 for intradural tumor excisionSummary of Literature Review: Various surgical techniques have been attempted to decrease postoperative axial neck pain. Material and Methods: Kurokawa laminoplasty of C7 was performed. Autogenous bone graft material was harvested from partial T1laminectomy. Intradural tumor was removed without any complications. Four mini plates were applied at hinge sites of laminoplasty andone lag screw was fixed at the longitudinally splitted lamina of C7. Results: Early range of motion without braces was possible following laminoplasty and recapping procedure. Solid union was achievedat the hinge sites of laminoplasty at the 3-month postoperative follow-up. No instability was observed at the 2-year postoperative followup. The visual analog scale of axial neck pain at the 2-year postoperative follow-up was 2. Conclusions: Laminoplasty and recapping procedure might be a good option for intradural tumor excision to facilitate early range ofmotion and decrease postoperative axial neck pain.

      • KCI등재

        경막내 요추간판 탈출증의 가능한 병인, 진단적 MRI 및 수술적 소견: 2예 보고

        박찬호,정성수,이광석 대한척추외과학회 2021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28 No.4

        Study Design: Case report. Objectives: This study presents two patients with recurrent intradural lumbar disc herniation (ILDH) and discusses the specific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findings, potential pathogenesis, surgical findings, and characteristics of recurrent ILDH.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ILDH is a rare disease that can cause serious neurologic deficits. Surgical treatment is usually necessary to avoid further neurologic exacerbation. Materials and Methods: A 78-year-old male patient and a 63-year-old female patient presented with ILDH. Both patients underwent microscopic discectomy and experienced recurrence. The 63-year-old female patient underwent reoperation after the first surgery, but the 78-year-old male patient postponed reoperation due to the risk of surgery from an aortic aneurysm that had been found prior to his initial surgery. Even after reoperation, the 63-year-old female patient complained of newly discovered neurologic symptoms on the opposite leg. Results & Conclusions: Preoperative MRI findings can help diagnose ILDH and reduce the incidence of neurologic complications through early surgical treatment. They also can help discover recurrent ILDH. The timing of surgery and the time lapse between ILDH formation and detection seem to affect the prognosis of ILDH, and reoperation following recurrence may not yield as satisfying results as the primary surgery. 연구 계획: 증례 보고목적: 경막내 요추 추간판 탈출증이 있는 2명의 환자를 보고하고 이 질환의 특정 MRI 소견, 잠재적인 병인, 외과적 소견 및 재발의 특성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선행 연구문헌의 요약: ILDH는 심각한 신경학적 결손을 유발할 수 있는 희귀 질환이며 일반적으로 추가 신경학적 악화를 피하기 위해 외과적 치료가 필요하다. 대상 및 방법: 78세 남자와 63세 여자 환자가 ILDH로 내원하였다. 두 환자 모두 미세현미경하 추간판 절제술을 받았고 두 사례 모두에서 재발이 발생하였고 63세 여자환자는 첫 수술 이후 재수술을 받았으나 78세 남자 환자는 첫 수술 이전 발견된 대동맥류로 인한 수술의 위험성 때문에 재수술을 연기하였다. 재수술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63세 여자환자는 반대쪽 다리에 새로운 신경학적 증상이 발생하였다. 결과 & 결론: 수술 전 MRI 소견은 ILDH를 진단하고 해당 질환의 신경학적 합병증의 발생률을 낮추는 데 큰 기여를 할 수 있으며 ILDH의 재발을 발견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수술의 시기와 ILDH의 형성과 발견 사이의 시간 경과는 환자의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이며 재발 후 재수술은 1차 수술만큼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지 못할 수 있다.

      • KCI등재

        뇌경색으로 오인되었던 흉추부 경막내 척수외 종양에 의한 척수증 -증례보고-

        소재완,신병준,이재철,박성용,박종석 대한척추외과학회 2012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19 No.1

        Study Design: A Case report. Objectives: We report a case of thoracic intradural extramedullary tumor that has been misdiagnosed as the cerebral infarction.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Spinal meningioma is one of the common spinal tumors. Clinical symptoms were characteristically progressive myelopathy, rather than radiculopathy. Materials and Methods: A 66-year-old female patient who had a history of cerebral infarction admitted as suffering from progressive lower extremities weakness for 6 months. The patient was diagnosed and has been treated as the cerebral infarction at another hospital. However, the patient showed worsening symptoms. In magnetic resonance imaging, an intradural extramedullary space occupying mass compressing the spinal cord, between T8 and T9 level, was shown. By undergoing an operation, resected the mass. In a pathologic report, mass was confirmed to be meningioma. Results: After the operation, symptoms were improved. The patient was able to walk 2 weeks after surgery. Conclusions: We report the correct diagnosis and a successful surgical treatment of myelopathy, due to thoracic myelopathy that has been misdiagnosed as the cerebral infarction in another hospital. 연구 계획: 증례보고목적: 양측 하지 약화 및 보행 장해가 진행하는 것을 뇌경색으로 오인하여 치료받다가, 종양의 척수 압박으로 인한 척수증이 원인임을 발견하고 수술적치료하였던 1예를 경험하였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선행 문헌의 요약: 척추 수막종은 척추 종양중 비교적 흔한 종양으로, 신경근증보다 진행성 척수증 증상이 특징적이다. 대상 및 방법: 뇌경색의 과거력이 있던 66세 여자환자가 양측 하지 근력 약화를 주소로 타 병원에서 6개월 전부터 뇌경색이 악화된 것으로 진단받고 치료를 받았으나, 증상이 악화되어 본원으로 전원되었다. 자기 공명 영상에서 제8,9 흉추체 부위에 경막내 공간을 거의 다 점유하고 있는 타원형의 종괴가 척수를 압박하고 있는 소견이 관찰되었다. 수술적 치료로 종괴를 제거하였고, 조직검사상 수막종이었다. 결과: 수술 후 증상은 현저히 호전되어, 술후 2주째부터 보행이 가능하였다. 결론: 타 병원에서 뇌경색으로 오인하였던 척수증을,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통해 성공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