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도로표지판의 결로 방지 대안별 효과 분석

        박재홍,윤덕근,성정곤,강원의 한국도로학회 2012 한국도로학회논문집 Vol.14 No.2

        도로표지는 운전자에게 정보제공의 역할을 하는 도로시설물로서 주행경로에 대한 운전자의 판단을 도와준다. 그러나, 주₩야간의 온도, 습도 변화로 인한 도로표지판에 결로발생 시, 정보전달의 결함이 발생하여 교통사고 가능성을 높이는 원인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도로표지판의 결로발생을 예방하기 위한 기술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도로표지판의 결로발생을 예방하는대안의 효과를 비교하기 위해 단열소재가 삽입된 시편, 결로방지필름이 부착된 시편을 선정하고 결로방지처리가 되지 않은 일반시편과 비교하였다. 분산분석과 사후검정(Tukey HSD)을 통해 각 시편에 발생한 측정시간에 따른 결로량을 비교 했으며, 결로량과 재귀반사도의 관계를 Pearson의 상관분석으로써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결로방지필름이 부착된 시편에서 결로량이 적게 나타났으며, 결로발생 90초 후에는 결로방지필름의 부착 시편과 단열소재가 삽입된 시편에서 나타나는 결로량은 결로방지처리가 되지 않은 시편에서 발생한 결로량과의 통계적인 차이가 존재하였다. 또한, 상관분석결과로써 결로량과 재귀반사도는반비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도로표지판에 발생된 결로량과 재귀반사 변화율에 대하여, 결로방지필름의 부착과 단열소재의 삽입은 결로방지에 효과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Road signs are important facilities in terms of providing information to driver, they are helpful for driver's judgment as deliver it's own information. However if there is occurrence dew on the road sign because of the change of temperature and humidity, it can be cause of acciden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ti-dew or dew resistance technology. In this research the anti-dew technologies such as insulation road sign and anti-dew film were compared with normal road sign, and the effectiveness analysis was conducted for each alternatives. The quantity of dew on the road sign was check using ANOVA and Tukey HSD and the relation between the retro-reflectivity and quantity of dew on the sign was check using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s a result, the sample of anti-dew film attached road sign showed lesser quantity of dew compared with normal road sign. After 90 seconds, the difference of dew quantity for anti-dew film and insulation road sign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 The relation of between quantity of dew and retro-reflectivity was inverse correlation. As a result,when analyzed the quantity of dew and retro-reflectivity a point of view anti-dew effectiveness, the anti-dew film and insulation road sign showed meaningful result.

      • KCI등재

        창호 결로방지 성능평가 및 개선안 제안

        박소희,박헌준,이정재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4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6 No.3

        본 연구는 공동주택과 오피스텔에 많이 사용되는 시스템 창호를 대상으로 시스템 창호부 온도 및 열류 시뮬레 이션을 통한 결로 발생 예측 부위를 검토하였다. 현재 국내에는 창호 결로방지성능에 따른 기준이 없기 때문 에, 노점온도를 이용하여 ISO규준에 맞는 온도차이비율(TDR)로 기준을 정립하였다. 실내최저표면온도는 이 차원 정상상태 열전달 시뮬레이션에 의해 계산되었으며, 이 같은 여러 온·습도 조건에서의 시뮬레이션을 통해 각 부위별로 온도차이비울(TDR) 기준에 맞도록 결로 방지성능을 보완하여 개선안을 도출하였다.

      • 목업 테스트를 통한 공동주택 세대현관문의 결로방지성능 분석

        조선호(Sun Ho Cho),김영탁(Young Tag Kim),최경석(Gyeong Seok Choi) 대한설비공학회 2017 대한설비공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7 No.6

        기존에 공동주택 세대현관문은 내화성능 및 단열성능이 주요 관심사였지만, 삶의 질 향상에 따른 거주자의 주거환경에 대한 관심 증가로 결로로 인한 하자 및 민원은 계속 증가하고 있다. 이에 결로방지성능 개선을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만, 복합적인 성능(내화, 단열, 결로, 기밀 등)을 만족해야 하는 세대현관문 및 방화문의 특성상 기술개발이 여전이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결로방지성능 개선 측면에서, 대표적인 공동주택 세대현관문 및 방화문의 결로방지성능 평가를 통해 부위별 TDR값 분석하여 향후 공동주택 세대현관문 및 방화문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총 9가지 Case에 대한 결로방지성능 평가를 수행하였으며, 문짝 및 문틀 모두 좌우측 하단부의 TDR값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추후 취약부위에 대한 성능개선을 통해 결로방지성능과 함께 복합성능을 만족하는 공동주택 세대현관문 및 방화문 개발이 필수적이다.

      • KCI등재후보

        공동주택 세대내 결로방지 설계를 위한 실내외 온습도 기준 수립 연구

        황하진,김종엽,이종성,Hwang, Ha-Jin,Kim, Jong-Yeop,Lee, Jong-Sung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2011 LHI journal of land, housing, and urban affairs Vol.2 No.3

        Recently, the chance of dew condensation in apartment buildings is increasing because of several reasons. For example, ventilation rate has been decreased because of high-insulations and airtightness for saving energy. Besides, the humidity has been made by drying washes, cooking and bathing inside of apartment buildings. However, there is lack of resonable design criteria for preventing condensation in real life and real surroundings. Therefore, this study is aimed at making a resonable design criteria of preventing condensation by measuring the indoor temperature and humidity in real life. In addition to this, it is aimed at making a resonable outdoor condition and classifying regions by using weather data.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The interior criterion for condensation was set up $25^{\circ}C$ and a relative humidity of 55%. The outdoor criterion for condensation was set up $20^{\circ}C$, $-15^{\circ}C$, and $10^{\circ}C$ respectively for the hard frost, middle, and southern areas. 최근 공동주택은 에너지 절약을 위한 단열 및 기밀화로 자연 환기량이 감소되고, 세탁물의 실내 건조, 취사 및 목욕 등으로 인해 세대내 결로 발생가능성이 점점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실제 생활실태나 환경조건을 반영한 합리적인 결로방지 설계기법이 부족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인식하고, 세대내 결로 방지 대처 방안을 강구하기 위해 실제 생활환경 하에서의 실내 온습도 상태를 측정하여 합리적인 결로방지 설계기준을 설정하고자 한다. 또한 기상데이터를 이용한 지역별 외기온의 분석을 통해 합리적인 지역구분 및 결로판정기준용 외기조건을 설정하고자 한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결로 판정을 위한 실내 기준은 기온 $25^{\circ}C$, 상대습도 55%로 설정하였다. 결로 판정을 위한 실외 기준은 지역을 혹한지, 중부 남부로 구분하고 기온을 각각 $20^{\circ}C$, $-15^{\circ}C$, $-10^{\circ}C$로 설정하였다.

      • KCI우수등재

        로이코팅 위치에 따른 이중창의 결로방지성능 평가 연구

        이한솔,최경석,이현화 대한설비공학회 2020 설비공학 논문집 Vol.32 No.11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 of condensation prevention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low-E coating on double-glazed windows. The test conditions and measurement locations were selected according to the “Design standard for preventing condensation in apartment buildings.” Testing was performed according to the test method of KS F 2295. The cases were selected according to the type of insulating spacer and the location of the low-E coating. The temperature difference ratio (TDR) was analyzed by measuring the inside and outside surface temperatures of the windows and the air temperature of the air cavity.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condensation prevention performance through a mock-up test, the condensation prevention performance of Case 6, which applied the outside low-E and the insulating spacer (TPS) was the best in region II (-15℃). Changing the low-E coating location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of the window was effective in improving the condensation prevention performance. In the case of applying outside low-E and an insulating spacer, the air temperature of the air cavity and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glass edge were increased, improving the condensation prevention performance and reducing the cost of the windows and doors. 본 연구는 복층유리 이중창호를 대상으로 로이코팅 위치 변화에 따른 결로방지성능 효과를 검증하고자 실제 거주조건을 모사한 실제 규모 성능평가를 수행하였다. 창호의 로이위치(내창/외창) 및 간봉 종류(AL/TPS) 에 따라 Case를 선정 후, 실내ᆞ․외측 표면온도 및 중공층 공기온도를 실측하여 온도차이비율을 비교․분석하였다. 실물대 Mock-up 실험을 통하여 실제 결로방지성능을 검증한 결과, 6가지 Case 중 지역Ⅱ 기준(-15℃)에서 로이외창 및 단열 간봉(TPS)의 결로방지성능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내창에서 외창으로의 로이코팅 위치 변경은 결로방지성능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중공층 공기온도 평균값은 Case 6(10.5℃), Case 5(9.8℃), Case 1(6.9℃), Case 2(6.7℃), Case 4(3.0℃), Case 3(2.6℃) 순으로 높게 나타났고 내창의 취약부위 온도차이비율 평균값은 Case 6(0.23), Case 4(0.25), Case 5(0.25), Case 2(0.28), Case 1(0.29), Case 3(0.30) 순으로 낮게 나타났다. 외창의 취약부위 표면온도 평균값 분석 결과, Case 6(2.6℃), Case 5(2.0℃), Case 1(0.1℃) Case 2(-0.5℃), Case 3(-1.1℃), Case 4(-2.1℃)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외창에 로이 및 단열 간봉(TPS)을 적용한 경우 중공층의 공기온도를 상승시키고 유리 모서리부위의 표면온도를 상승시켜 내창 및 외창의 결로방지성능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에너지 비용 절감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공동주택 강철제 방화문의 결로방지성능 평가방법 개선에 관한 연구

        여한승(Hanseung Yeo),이길용(Gilyong Lee),서보열(Boyoul Seo),최동호(Dongho Choi) 대한설비공학회 2018 대한설비공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8 No.6

        지구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 대응차원에서 온실가스 저감을 위해 건물의 고단열․고밀화가 지속적으로 추진되고, 실내온열쾌적감을 높이기 위해 겨울철 공동주택 내 거실 온습도 환경은 25℃, 55% 수준에서 유지됨에 따라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세대현관문과 대피공간 방화문에 대한 결로방지성능도 주요 관심사로 부각되고 있다. 이에 따라, 국토교통부에서는 2013년 12월 27일에 공동주택 결로 방지를 위한 설계기준을 제정하고, 실내표면온도를 대상으로 온도차이비율 평가지표에 따른 지역별 성능기준만으로 결로 저감을 유도토록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위의 성능기준을 충족하더라도 세대현관문 등에 결로형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하고, 큰 물방울 등의 결로형상 육안 관찰에 의한 정량적 기준을 보완할 수 있는 결로방지성능 평가방법 개선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 공동주택 강철제 방화문 도어록 부위의 결로방지성능 특성

        여한승(Hanseung Yeo),이길용(Gilyong Lee),서보열(Boyoul Seo),최동호(Dongho Choi) 대한설비공학회 2018 대한설비공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8 No.11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세대현관문과 대피공간 방화문에 대해, 국토교통부에서는 2013년 12월 27일에 공동주택 결로 방지를 위한 설계기준을 제정하고, 실내표면온도를 대상으로 온도차이비율 평가지표에 따른 지역별 성능기준만으로 결로 저감을 유도토록 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해당 성능기준을 충족하더라도 결로형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1). 특히 세대 입주 시 디지털 도어록이 설치되는 도어록 부위는 결로가 발생할 경우, 입주자 안전과 방범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오작동의 개연성이 높아질 수 있어, 겨울철 마다 언론에 디지털 도어록 오작동에 따른 뉴스가 보도되고 있다(2).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결로방지 성능기준을 충족한 강철제 방화문을 대상으로 도어록 부위의 결로발생 여부를 확인하고, 도어록 부위에 대한 단열 보강과 디지털 도어록의 시험방법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 KCI우수등재

        드레스룸의 결로발생 환경 및 저감방안에 관한 연구

        김예진(Kim, Ye Jin),이준혜(Lee, June Hae),이창래(Lee, Chang Rae),여명석(Yeo, Myoung Souk),김광우(Kim, Kwang Woo) 대한건축학회 2017 大韓建築學會論文集 : 構造系 Vol.33 No.3

        According to living style in Korea changes, having a dress room in an apartment house become more common these days. In Korea, the dress room is often located next to the bathroom, which occurs highest risk of humidity increase and condensation. However, the design requirements for the reducing condensation risk at the dress room have been considering as the same standard as other living spaces, which makes the dress room space difficult to prevent condensation.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the condensation occurrence environment of the dress room and to evaluate the methods of reducing the condensation risk. According to result of this study, diminishing condensation of dress room with applying insulation or heating method was inappropriate due to excessive design. Controversy, ventilation, and dehumidification method were successful for reducing condensation risk. In addition, it was found to be particularly efficient to close the bathroom door and ventilate the bathroom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 공동주택 세대 출입문의 개폐방식에 따른 결로 방지 성능평가에 관한 연구

        서보열(Seo, Bo-Youl) 대한건축학회 2017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3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he evaluation of the condensation prevention performance in the entrance door(pivot hinge type and hinge type of multi-residential house. The indoor surface temperature and the temperature difference ratio (TDR) of the measurement position were measured. In both types, the indoor surface temperature of the door leaf(except the central point) was lower than the door frame. The mean indoor surface temperature of the central point of the door was 19.35 ℃(TDR: 0.12). It was confirmed that the condensation prevention performance was the best. The indoor surface temperature was measured at the lower measuring position(3, 4, 7, 8) among the door frame and door leaf measuring positions. The condensation prevention performance criterion is determined by the lowest temperature as the final temperature difference ratio(TDR).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estimation position focusing on the lower measurement position.

      • KCI우수등재

        표면 강화 시멘트계 결로방지 단열재의 단열 및 시공성능 분석

        김혜연 대한건축학회 2022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38 No.8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sulation performance and construction performance of the surface-enhanced cement-based insulation for condensation prevention(‘the developed composite insulation’) develop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insulation for condensation prevention constructed as substrate according to the finishing method. In order to analyze the insulation performance, a thermal conductivity test of the material and a heat transfer analysis of the part of apartment plane were performed. In order to analyze the construction performance, experiments were designed and conducted according to the finishing method.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it was confirmed that unlike the insulating mortar used on the tile substrate, the developed composite insulation has legal standard insulation performance. It was confirmed that the developed composite insulation has adhesion strength and construction stability to tiles. It was confirmed that the developed composite insulation also had adhesion strength of the wallpaper/putty and the adhesion strength against twisting.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developed composite insulation has waterproof capacity and construction stability. 본 연구에서는 마감방식에 따라 결로방지 단열재가 가진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표면강화 시멘트계 결로방지 단열재의 단열성능 및 여러 마감재의 바탕면으로서 시공성능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단열성능 분석을 위해 자재의 열전도율 시험과 전열해석을 실시하였으며, 시공성능을 분석하기 위해 마감방식에 따라 실험을 설계하고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 단열 몰탈과 달리 개발 단열재는 법적 열전도율 기준을 만족하며, 개발 단열재는 타일, 도배지/퍼티, 방수 시공 바탕면으로서 필요한 시공성능을 확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