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외상성 전방 불안정성 환자에서 Bankart 복원술 후 조기 능동 운동의 결과

        노행기 ( Haeng Kee Noh ),박종웅 ( Jong Woong Park ),이정일 ( Jung Il Lee ),박정호 ( Jung Ho Park ) 대한골절학회 2007 대한골절학회지 Vol.20 No.1

        목 적: 재발성 견관절 전방 불안정성에 대해 개방적 Bankart 복원술의 시행 후 조기 능동운동의 결과를 전향적으로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1년 1월부터 2003년 6월까지 본원에서 재발성 견관절 전방 불안정성으로 진단받고 개방적 Bankart 봉합술을 시행받았으며 최소 1년 이상 추시 관찰이 가능했던 26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의 평균 나이는 23.9세 (19∼43세)였으며, 남자가 24예, 여자가 2예였다. 결과의 판정은 견관절 기능 점수 (modified Rowe score, ASES score)와 견관절 운동 범위, 환자의 주관적 만족도, VAS 동통 점수, 일상 생활로의 복귀 가능 여부 등으로 평가하였다. 결 과: 견관절 기능 점수는 의미 있게 향상되었으며, 최종 추시상 견관절 운동 범위는 건측과 비교하여 5˚의 굴곡 감소, 10˚의 외회전 감소를 보였고, 내회전은 평균 제9흉추였다. 대상 환자의 81%가 결과에 만족하였으며, 23예 (88.5%)에서 정상 일상 생활로의 복귀가 가능하였고, 19예 (73%)에서 수상전 스포츠 활동으로의 복귀가 가능하였다. 합병증으로 각각 1예에서 견관절의 전방 아탈구, 1예에서 견갑하근의 근력약화 소견을 보였다. 결 론: 외상성 견관절 전방 불안정성 환자에서 개방적 Bankart 복원술 후 조기 능동 견관절 운동은 술 후 견관절 안정성을 저해하지 않고 견관절 기능 회복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된다. Purpose: To evaluate prospectively the results of early active exercise after open Bankart repair of traumatic anterior shoulder instability. Materials and Methods: From January, 2001 to June, 2003, 26 patients who were followed up at least 1 year after open Bankart repair for traumatic anterior shoulder instability were evaluated. Average age was 23.9 years old (range, 19~43) with 24 males and 2 females. We evaluated them using the functional shoulder scores (modified Rowe score, ASES score), range of motion, VAS pain scale, patient`s subjective satisfaction and return to unlimited daily living activity. Results: The shoulder functional scores increased significantly. At last follow up, the final range of motion were flexion in average 5˚ deficit in comparison to normal side, external rotation in average 10˚ deficit, and internal rotation in T9. The patient`s subjective satisfaction was good in 2l patients (81%). Return to unlimited daily activity was possible in 23 patients (88.5%), and 19 patients (73%) rejoined to sports activity before injury. There were complications including anterior recurrent subluxation in 1 case, weakness of subscapularis muscle in 1 case. Conclusion: In traumatic anterior shoulder instability, early active range of motion exercise after open Bankart repair does not decrease shoulder stability. Early exercise can be useful for returning to previous level of sports activity in young active patients.

      • KCI등재

        견관절 운동 분율의 측정

        강영한(Yeong-Han Kang) 대한방사선과학회(구 대한방사선기술학회) 2006 방사선기술과학 Vol.29 No.2

          연구 목적 : 견관절 운동분율과 운동비의 측정과정을 이해하고, 견갑 흉곽관절과 관절와 상완관절의 운동비의 기준을 제시하고자 함이다.<BR>  연구대상 및 방법 : 100명의 건강한 대상자를 연령대별(20, 30, 40, 50, 60대)로 20명씩 나누어 각각의 견관절 촬영과 분율을 계산하였다. 견갑극에 수직이고 관절와 면에 평행인 상을 재현하기 위하여 상완이 자연지위  일 때 머리 방향 15°, 90도 거상 시 19°, 최대 거상 시 22°로 입사각을 적용하였고, 몸의 회전 각도는 40°, 36°, 22°로 시상면에서 외전시키며 촬영하였다. 관절운동 방향에 따른 운동 범위를 확인하기 위해, 측각도계(goniometer)를 이용하여 양측 견관절의 운동범위를 측정하였다. 전운동의 팔의 각도와 방사선 영상의 팔의 각도를 측정하여 상완관절 운동 각도와 견갑 흉곽관절의 운동 각도를 계산하였다.<BR>  결과 : 오른팔의 운동 분율은 90°에서 남자 1.22, 여자 1.70이었고, 최대 거상 시 1.63, 1.84였다. 왼팔은 90°에서 1.31, 1.54, 최대 거상 시 각각 1.57, 1.32였다.<BR>  오른 우세팔은 90°에서 1.58, 최대 거상 시 1.43이었고, 왼쪽 우세팔 각각 1.82, 1.94였다. 20대에서는 90° 거상 시 1.56, 최대 거상 시 1.52였고, 30대는 1.82, 1.43, 40대는 1.23, 1.16, 50대는 1.80, 1.28, 60대는 1.24, 1.75로 나타났다. 견관절의 운동 특성상 남녀에 따른 운동비, 우세팔과 비우세팔, 연령대에 따른 운동비를 측정하여 비교해 본 결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BR>  결론 : 견관절 운동 분율의 기준은 견관절의 운동장애를 확인하고 견관절 질환의 치료 후 정상적인 견관절 기능회복 여부를 확인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견관절 운동비 측정을 위한 운동 각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고, 실제 운동비를 계산할 수 있으면 방사선학적 자세와 입사각 설정에도 유용할 것이다.   Purpose :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about the measurement of shoulder motion fraction and motion ratio. We proposed the radiological criterior of glenohumeral and scapulothoracic movement ratio.<BR>  Materials and Methods : We measured the motion fraction of the glenohumeral and scapulothoracic movement using CR(computed radiological system) of arm elevation at neutral, 90 degree, full elevation. Central ray was 15°, 19°, 22° to the cephald for the parallel scapular spine, and the tilting of torso was external oblique 40°, 36°, 22° for perpendicular to glenohumeral surface. Healthful donor of 100 was divided 5 groups by age(20, 30, 40, 50, 60).<BR>  The angle of glenohumeral motion and scapulothoracic motion could be taken from gross arm angle and radiological arm angle. We acquired 3 images at neutral, 90°and full elevation position and measured radiographic angle of glenoheumeral, scapulothoracic movement respectively.<BR>  Results : While the arm elevation was 90°, the shoulder motion fraction was 1.22(M), 1.70(W) in right arm and 1.31, 1.54 in left. In full elevation, Right arm fraction was 1.63, 1.84, and left was 1.57, 1.32.<BR> In right dominant arm(78%), 90° and Full motion fraction was 1.58, 1.43, in left(22%) 1.82, 1.94. In generation 20, 90° and Full motion fraction was 1.56, 1.52, 30" was 1.82, 1.43, 40" was 1.23, 1.16, 50" was 1.80, 1.28, 60" was 1.24, 1.75. There was not significantly by gender, dominant arm and age.<BR>  Conclusion : The criterior of motion fraction was useful reference for clinical dignosis the shoulder instability.

      • KCI등재

        등속성 검사를 통한 견관절 전방 불안정 환자와 정상인의 회전력 비교

        이동기(Dong-Ki Lee),김태권(Tae-Kwon Kim),이진혁(Jin-Hyuck Lee),이대희(Dae-Hee Lee),정웅교(Woong-Kyo Jung) 대한견주관절의학회 2012 대한견주관절의학회지 Vol.15 No.2

        목적: 견관절 전방불안정 환자는 탈구에 대한 불안감 및 탈구시의 통증 등 다양한 원인으로 정상적인 운동 및 활동을 하지 못할 것으로 예상할 수 있으나 이에 대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견관절 전방불안정 환자와 정상인 사이의 내회전 및 외회전력에 대해 등속성 근력 검사를 시행하여 전방불안정 환자에서 나타나는 회전력의 변화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9년 3월부터 2010년 2월까지 우측 우세수의 견관절 전방 불안정 진단 하에 수술적 치료를 시행한 환자 중 수술 전 등속성 근력 검사를 시행한 환자 13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견관절의 전방불안정 증상이 없는 정상 성인 15명을 대조군으로 설정하였다. 대상군 및 대조군 모두 남성이었으며 두 군간의 평균 연령, 신장, 체중, 체질량 등의 차이는 없었다. 등속성 근력검사는 Biodex system (Biodex Medical Systems, Shirley, NY, USA)을 사용하여 60 deg/sec, 180 deg/sec 의 각속도로 견관절의 외회전력 및 내회전력의 체중보정 최대우력 (peak torque)과 총 일량을 측정하였고, 외회전, 내회전 최대우력비율 및 운동피로도를 계산하였다. 두 군간에 각 측정치를 비교하여 전방 불안정 환자의 회전력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결과: 불안정증이 없는 좌측 견관절의 등속성 회전근력은 양군 사이에 모든 측정치에서 차이가 없었다. 우측 견관절의 등속성 근력 검사결과 내회전력은 전방 불안정환자와 정상 대조군 간 모든 각속도에서 최대우력 및 총 일량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외회전력의 체중보정 최대우력과 총 일량은 전방불안정 환자에서 60 deg/sec 및 180 deg/sec 두 각속도에서 모두 정상 대조군에 비하여 감소되었고, 외회전력/내회전력의 최대우력비율 역시 통계적 차이가 있었다. 운동피로도는 외회전력, 내회전력 모두 양 군간에 의미 있는 차이는 없었다. 결론: 견관절 전방불안정 환자는 견관절의 외회전력이 감소되어 있고 내회전-외회전력의 균형이 소실되어 있으나 근피로도는 정상으로 판단되며 이는 견관절 탈구 환자의 보존적 치료나 재활에 있어 고려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 It has been expected that patient with posttraumatic recurrent anterior shoulder dislocation might have limited daily life activity because of pain and apprehension of dislocation. But there have been only a small number of investigations regarding the rotator strength in this patien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characteristics about rotator strength of patient with posttraumatic recurrent anterior shoulder dislocation using an isokinetic testing. Method: We enrolled thirteen patients with posttraumatic recurrent anterior shoulder dislocation and fifteen sex, age-matched healthy nonathletic subjects in this controlled study. All participants were male 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n age, height, weight, BMI. Isokinetic internal rotator and external rotator strength was evaluated with a Biodex Isokinetic Testing machine (Biodex Medical Systems, Shirley, NY, USA), tests were performed at 60 deg/sec and 180 deg/sec for both sides. Peak torque normalized to body weight, external rotator to internal rotator ratio, total work and fatigue were calculated for each angular velocity. The association between internal rotator and external rotator strength and shoulder instability was analyzed by comparisons with a control group. Results: Any notable differences could not be found between the two groups given all data from no symptomatic left should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statistically in internal rotation strength of right shoulder. However, there has been a tendency that at all angular velocities, external rotator peak torque to body weight, total work and external rotator to internal rotator ratio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anterior instability group than the control group at all angular velocities. There was no substantial difference between those groups with respect to the fatigue of external rotator and internal rotator in our study. Conclusion: The prominent characteristics of posttraumatic recurrent anterior shoulder dislocation are external rotator weakness and loss of balance with external rotator and internal rotator. Therefore selective training using this information rotator might be helpful in conservative treatment and rehabilitation.

      • 견관절 충돌 증후군에서 초음파하 견봉하 점액낭내 스테로이드 국소 주사의 임상적 결과

        김정만,남호진,라기항,박범석,Kim, Jung-Man,Nam, Ho-Jin,Ra, Ki-Hang,Park, Bum-Suk 대한정형외과초음파학회 2009 대한정형외과 초음파학회지 Vol.2 No.2

        목적: 견관절 충돌 증후군에서 초음파 영상을 이용한 견봉하 점액낭내 스테로이드 국소 주사의 임상적 결과를 후향적으로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6년 3월부터 2009년 4월까지 견관절 충돌 증후군으로 치료 받은 62명 66예의 견관절을 대상으로 하였다. 견관절 내회전으로 견봉하 점액낭을 앞쪽으로 위치하게 하는 변형 크라스 자세를 취하고 5~12 MHz 고해상도 초음파영상 감시하에 스테로이드를 점액낭내에 정확하게 주사 하였다. 주사 전과 후 1년 간의 임상적 결과를 평가 하였다. 주사 후 견관절 거상운동(shoulder elevation exercise)을 시행하였다. 1년 간 견관절의 운동범위와 동통 VAS 점수를 측정하였고 Neer/Hawkins 및 외전 내회전 충돌검사 등의 충돌 징후 검사를 하였다. 통계학적 검정은 SAS를 이용하여 ANOVA와 Tukey's post-hoc test로 유의성을 조사하였으며 유의 수준은 5%로 하였다. 결과: 시술 직 후, 6주, 3개월, 1년 후에 전 예에서 제한 없는 견관절 운동 범위를 나타내었다. VAS 점수는 시술 전 평균 6.47(2-10)점이, 시술 직 후 3.50(0-7)점으로 향상되었고, 6주째 평균 2.78(0-6), 3개월째 평균 2.83(0-6), 1년째는 평균 2.85(0-6)으로 시술 전 보다 의미 있게 향상되었다(p<0.0001). 1회 주사 직 후 전예에서 충돌징후가 나타나지 않았고, 6주 후 6예에서 다시 나타났으나 재주사 후 모두 사라졌다. 치료 초기와 1년 후 견관절 운동 범위, VAS 점수 및 충돌 징후 검사에서 임상적 결과의 향상을 나타내었고, 합병증은 발생하지 않았다. 결론: 초음파를 이용한 견봉하 점액낭내 스테로이드 주사로 치료한 모든 환자가 1년 추시 관찰한 결과 임상 증상이 호전되어 수술을 필요로 하지 않았으며, 견관절 충돌 증후군의 비수술적 치료로 매우 유용한 방법으로 생각된다. Purpose: We retrospectively studied the outcomes of the shoulder impingement syndrome for the treatment of the ultrasound-guided subacromial bursal steroid injection. Materials and Methods: Sixty-six shoulders of sixty-two patients with shoulder impingement syndrome treated from March, 2006 to April, 2009 were involved in this study. All cases underwent standardized, nonoperative treatment protocol consisting of 5~12 MHz high resolution ultrasound-guided local steroid injection into the subacromial bursa in modified Crass position. The shoulder range of motion, VAS score and impingement signs were evaluated during the initial and 1year visits. After injection, shoulder elevation exercise was encouraged. Statistical analysis with ANOVA model and Tukey's post-hoc test with the significance level at 5% were performed using SAS program. Results: All cases showed improved range of motion without limitation of shoulder function at immediate post-injection, 6-week, 3-month and 1year visits. The average VAS score at one year follow-up decreased to 2.85 from 6.47 before injection. In all cases the impingement signs became negative immediate after injection. However, 6 cases showed positive impingement signs after 6-week, which became negative after reinjection. The range of motion and VAS score were improved at one-year follow-up compared to initial visit (p<0.0001). No complication was noted at all follow-up period. Conclusion: Ultrasound-guided subacromial steroid injection alleviated the need of surgery, because it was successful in all our cases to improve pain and function of the shoulders until one year follow-up period.

      • KCI등재

        효과적인 견관절 재활을 위한 로봇의 설계

        이경섭(Kyoung-Soub Lee),박정호(Jeong-Ho Park),박형순(Hyung-Soon Park) 대한기계학회 2017 大韓機械學會論文集B Vol.41 No.8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견관절 장애 증상에 적용할 수 있는 보급형 상지 재활 로봇의 설계를 다룬다. 견관절의 회전에 수반되는 관절 중심의 위치변화를 추종하고, 사용자의 상지와 장치의 무게를 상쇄하는 3자유도 견관절 추종 및 중력보상 메커니즘을 구현하였다. 다양한 방향의 어깨 재활 동작을 구현할 수 있도록 구동축의 방향을 변환하는 메커니즘을 설계하여, 견관절에 대한 구동기의 상대적인 오리엔테이션을 변화시킴으로써 대표적인 5가지 견관절 동작을 수행할 수 있었다. 동시에 재활 운동 중의 견관절의 위치 변화를 추종하여 자연스러운 견관절 운동을 구현할 수 있었다. 최소의 구동기를 사용하는 보급형 로봇으로도 다양한 견관절 질환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This paper presents a low-cost robotic device for shoulder rehabilitation, which is capable of treating various shoulder disabilities. A 3-DOF passive shoulder joint tracking module was designed to allow for translational motion of the shoulder joint center during arm swing, which is essential for natural shoulder movement. The weight of the user"s arm and the device were compensated for by springs, to enable gravity-free shoulder motion. In order to reduce the device"s cost, only one actuator was used, which can be aligned with the user"s shoulder joint in various orientations. The device is capable of implementing five representative shoulder motions, including flexion/extension, abduction/adduction, horizontal abd/adduction, internal/external rotation, and oblique raise. The proposed low-cost shoulder rehabilitation robot is expected to provide effective rehabilitation for patients with various shoulder impairments.

      • SLAP 병변에서 회전근 개 부분층 파열의 빈도와 양상

        조덕연,윤형구,김형준,이승용,김재화,Cho, Duck-Yun,Yoon, Hyung-Ku,Kim, Hyoung-Jun,Rhee, Seung-Young,Kim, Jae-Hwa 대한관절경학회 2004 대한관절경학회지 Vol.8 No.2

        목적: 견관절의 미세 불안정성의 한 원인이 되는 상부 관절와 순 전후방 병변과 회전 근 개의 병소를 관절경적으로 관찰하고 견관절의 운동 범위와 관절와 순 전후방 병변 그리고 이와 동반 된 회전근 개의 관절면 측 부분층 파열의 빈도와 그 형태를 확인 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견관절경술을 시행한 113예 중 관절와 순 전후방 병변으로 진단 받은 환자 45명, 46례를 대상으로하였다. interscalene마취하에서 견갑골을 고정한 후의 견관절의 전방 거상 및 견관절을 90도 외전한 위치에서의 내회전 및 외회전 운동 범위를 측정하고, 관절와 순 전후방 병변의 형태와 회전근 개 부분 손상의 형태 및 빈도를 수술 기록지 및 녹화한 기록을 통해 분류하였다. 결과: 관절 운동 범위는 견관절 전방 굴곡이 평균 150$^{\circ}$, 견갑골 고정 및 견관절 90도 외전하에서 견관절 외회전은 평균 65.5$^{\circ}$, 견관절 내회전은 평균 61.7$^{\circ}$로 측정되었다. Snyder의 분류에 의한 관절와 순 전후방 병변의 형태는, 제 2형이 40례로 가장 많았고, 회전근 개 관절면 측 부분층 파열을 동반한 경우는 전체 환자에서 24례l(52%)를 관찰 할 수 있었다. 관절와 순 전후방 병변 제1형 손상에서 관절면 측 부분층 파열은 5례 중 l례, 제2형에서 41례 중 22례, 제4형에서 1례 중 1례에서 발생하였고, 전 예에서 관절면 측 분분층 파열은 극상건의 전방부, 즉 이두박 건 바로 뒤쪽에 위치 하였다. 결론: 관절와 순 전후방 병변이 있는 환자에 있어서 회전근 개의 부분층 파열, 특히 관절면 측 손상이 흔히 동반되었고, 또, 2형 이상의 상대적으로 불안정성이 높은 경우에, 손상의 빈도가 높게 관찰 되었다 그러므로 미세 불안정성의 한 원인인 관절와 순 전후방 병변은 회전근 개 관절면 측 부분층 파열의 한 원인으로 생각할 수 있겠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heck the range of motion of shoulder and inverstigate the frequencies and patterns of partial thickness rotator cuff tear in SLAP lesions. Materials and Methods: Forty-six patients, forty-seven cases who had SLAP lesions at shoulder arthroscopy were analyzed spectively using the medical records, intra-operative arthroscopic photo & video for SLAP lesions and rotator cuff articular side partial tear. Under the interscalene anesthesia, the range of notion of foreward elevation, internal rotation and external rotation was measured on fixed scapula and 90 degree abduction of the shoulder. Results: The rang of Motion are 150 degree on foreward elevation, 65.5 degree on external rotation, 61.7 degree on internal rotation. By Snyder's classification, type ll SLAP lesion is noted in 24 cases (five cases in type 1, one case in type IV). Rotator cuff articular side partial tear is noted in 24 cases ( one case in type I, 22 cases in type II, one case in type IV SLAP). All the rotator cuff articular side partial thickness tear were located in the anterior part of the supraspinatus. Conclusion: The rotator cuff partial thickness tear is mostly noted on the articular side and frequently found in the relatively more unstable type of SLAP lesions. So we consider that SLAP lesion may be a one of the causes for partial tear of the rotator cuff articular side.

      • KCI등재

        근막 동통 증후군과 동반된 견관절 충돌 증후군

        박진영(Jin-Young Park),현정근(Jung-Keun Hyun),박홍근(Hong-Keun Park) 대한정형외과학회 2005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0 No.7

        목적: 근막 동통 증후군이 동반된 견관절 충돌 증후군 환자에서 근막 동통 증후군의 발생부위와 그 빈도를 알아보고, 충돌 증후군의 치료가 근막 동통 증후군의 동통 개선에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근막 동통 증후군으로 진단된 견관절 충돌 증후군 환자 중 외래에서 견갑골 주위 근육에 통증을 호소한 환자 5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치료 방법에 따라 대상 환자는 세 군으로 나누었다. 견봉하 주사를 시행한 군, 견갑골 주위 근육과 회전근 개의 등장성 근력강화 운동만 실시한 군, 보존적 치료에 실패하여 수술적 가료를 시행한 군. 대상 환자 모두 치료 전에 이학적 검사를 통해서 근막 동통 증후군의 위치를 확인하였고 관절 주위 동통 및 견관절의 운동범위를 측정하였으며 기능적 평가는 ASES 견관절 점수를 이용하였다. 결과: 근막 동통 증후군의 발생 부위, 연령, 성별, 충돌 징후, 관절 주위 압통은 운동범위 및 기능적 정도와 연관성을 보이지 않았다. 동통의 정도는 VAS가 치료 전 6.2±2.3에서 치료 후 1.2±1.5로 의미 있게 감소하였고(p<0.01), ASES 견관절 점수도 치료 전 32.1±15.3에서 치료 후 87.5±17.7로 의미 있게 증가되었다(p<0.05). 그러나 동통 및 ASES 견관절 점수 모두 치료 방법을 달리한 세 군간에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p>0.05). 결론: 견관절 충돌 증후군의 치료로 근막 동통 증후군의 증상이 호전되는 결과로 볼 때 견관절 충돌 증후군이 근막 동통 증후군의 원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In order to study the frequency and the site of pain with shoulder impingement syndrome accompanied by myofascial pain syndrome (MPS), and to see how the treatment of impingement syndrome effects the improvement in myofascial pain. Materials and Methods: Among patients diagnosed with shoulder impingement syndrome with MPS and who complained around of shoulder muscle pain 53 subjects were selected as subjects for this study. Patien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method of treatment; the first group was the cases who received impingement injection test, the second group were only carried out isometric strengthening exercise of the periscapular muscles and the rotator cuff, and the third group was the cases who failed conservative treatment and had a surgical operation. All subjects had a physical examination before treatment to see if the MPS was present in the muscles around the shoulder, the range of motion of shoulder, and the American Shoulder and Elbow Society (ASES) shoulder score were measured. Results: There was no relation to between age, gender, impingement signs, tenderness around the joints, the range of motion and ASES shoulder score. The VAS was reduced from 6.2±2.3 to 1.2±1.5 (p<0.01), and ASES shoulder score increased from 32.1±15.3 to 87.5±17.7 (p<0.05). The differences among treatments of the three groups were not significant in pain and treatment outcome (p>0.05). Conclusion: Treatment of shoulder impingement syndrome reduced the symptoms of MPS, thus shoulder impingement syndrome can be the one of the causes of MPS.

      • KCI등재

        견관절 재활훈련을 위한 기능적 전기자극

        전재현(Jae Hyeon Jeon),김진오(Jin Oh Kim) 대한기계학회 2013 大韓機械學會論文集B Vol.37 No.12

        본 논문은 인체 견관절의 재활훈련을 위하여 견관절 근육에서 근전도를 측정하고 기능적 전기자극을 인가하는 실험적 연구를 다룬다. 견관절 근골격계의 구성 및 운동형상과 주요 기능을 토대로, 시상면 운동에서 주요 역할을 하는 견관절 근육을 실험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첫 번째 실험으로 관절 각도에 따른 주요 근육의 표면근전도를 측정하였다. 관절 각도 변화와 표면면근전도 변화가 선형 비례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두 번째 실험으로 견관절 근육에 기능적 전기자극을 인가하면서 관절 각도를 측정하였다. 전기자극의 일정 범위에서 자극 전류 증가에 따라 관절 각도가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능동형 재활훈련의 방안으로, 근전도 측정에 의해 근육의 운동의지를 감지하고 기능적 전기자극으로 근육의 장력 발생을 보조하는 게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deals with experimental studies on electromyogram (EMG) measurements and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FES) for the rehabilitation of a shoulder-joint. Based on the structure, motion, and main functions of the musculoskeletal system in a shoulder-joint, the muscles playing a major role for the motion in the sagittal plane were selected for the experiment. First, the surface electromyogram of the main muscles was measured according to the joint angl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hange in the surface EMG was linearly proportional to the change in the joint angle. Second, the joint angle was measured during FES at shoulder muscl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joint angle increased as the FES current increased in a certain range of FES. It was confirmed that the willingness of muscles to move could be detected by measuring EMG and that the generation of muscle tension could be assisted by FES for active rehabilitation.

      • 양측성 상완이두장건 결손과 견관절 불안정성 - 증례 보고 -

        나중호,정회정,김두섭,Rah, Jung-Ho,Chung, Hoi-Jeong,Kim, Doo-Sup 대한관절경학회 2010 대한관절경학회지 Vol.14 No.3

        상완이두장건의 결손은 매우 드문 이상이다. 본원에 내원한 19세 남환은 우측 견관절 아탈구 증상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MRI 상 상완골의 얕은 결절사이고랑이 관찰되었으며 상완이두장건의 결손이 관찰되었다. 견관절 내시경술을 시행하였으며 관절와순 파열과 함께 상완이두장건의 결손이 관찰되었다. 5개월 뒤 좌측 견관절에도 우측 견관절과 같은 증상이 발생하였고 MRI 및 견관절 내시경 소견 상 상완이두장건의 결손 소견 및 관절와순 파열 소견이 관찰되었다. 양측 견관절 모두 내시경적 관절와순 봉합술을 시행하였으며 수술 후 위팔 외전 보조기를 이용하여 고정하였다. 상완이두장건의 결손이 견관절의 불안정성을 유발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Absence of long head of biceps tendon is a very rare anomaly. We encountered a 19 year-old male patient who had right shoulder subluxation. On magnetic resonance imaging, shallow intertubercular groove on right humerus was observed, and absence of long head of biceps tendon was discovered. Arthroscopically, labral rupture and absence of long head of biceps tendon were also evident. Left shoulder had a similar symptom as right 5 months after the initial development of the symptom on the right shoulder. Both MRI and arthroscopy revealed absence of long head of biceps tendon and labral ruptre. Arthroscopic labral repair was performed for both shoulders, and, postoperatively, they were fixated with abduction brace. In this case, it is considered that the absence of long head of biceps tendon triggered the instability of shoulder found in our patient.

      • 관절경적 전방 견봉 성형술을 이용한 만성 견관절 충돌 증후군의 치료

        박태수,김재영,Park Tae-Soo,Kim Jae-Young 대한관절경학회 2000 대한관절경학회지 Vol.4 No.1

        목적 :. 만성 견관절 충돌증후군에 대한 수술적 치료로서 사용한 관절경적 전방 견봉 성형술의 치료 결과를 분석하고 임상적 효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5년 7월부터 1997년 12월까지 만성 견관절 충돌증후군 환자 중 6개월 이상 보존적 치료에도 불구하고 증상이 호전되지 않아 관절경을 이용하여 전방 견봉 성형술을 시행한 26명의 환자, 27례의 견관절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심한 퇴행성 관절염 회전근 개 전층 파열 및 견관절 비출구 충돌증후군 (nonoutlet impingement) 등은 모두 연구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평균 추시 기간은 2년 3개월(범위, 1년 7개월-3년 11개월)이었다. 임상적인 결과 판정은 UCLA 견관절 평가지수를 이용하였다. 결과 : 27례 중 23례$(85.2\%)$에서 매우 우수 또는 우수한 결과를 보였으며, 4례$(14.8\%)$에서 양호의 결과를 나타내었다. 환자의 만족도는 27례 중 26례$(96.3\%)$에서 주관적인 만족을 나타내었고, 1례 $(3.7\%)$에서 불만족을 나타내었으며 이 경우 Parkinson 증후군과 경추 후종인대 골화증 및 제 5-6번 경추의 척추 협착증이 동반된 환자였다. 결론 : 관절경적 전방 견봉 성형술은 특히 술전 동통의 정도가 술후 현저히 개선되는 등 증상 완화에 우수한 결과를 예상할 수 있는 만성 견관절 충돌증후군의 효율적 치료법이지만, 견관절 및 그 주위의 병변이나 전신 질환 등이 동반될 경우 치료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clinical efficacy of the arthroscopic anterior acromioplasty for the treatment of chronic impingement syndrome of the shoulder. Materials and Methods : Between July 1995 and December 1997, twenty seven consecutive shoulders of 26 patients with chronic impingement syndrome of the shoulder were treated by arthroscopic anterior acromioplasty. The patients who had severe osteoarthritis of the shoulder full thickness tear of the rotator cuff, and nonoutlet impingement were excluded. The clinical results were evaluated by using UCLA shoulder rating scale. The average follow-up was 2years 3months(range, 1year 7months to 3years 1 11months). Results : Twenty three patients$(85.2\%)$ were rated as excellent or good results, while four patients$(14.8\%)$ were fair. Twenty six cases$(96.3\%)$ were satisfied with the results of the operations, while one case$(3.7\%)$, who had Parkinsonian syndrome, ossification of posterior longitudinal ligament(OPLL) of the cervical spine, and spinal stenosis of the 5th and 6th cervical spine was not satisfied. Conclusion : Arthroscopic anterior acromioplasty was an effective treatment method, especially for relief of pain, for the treatment of chronic impingement syndrome of the shoulder. If the patient has the combined lesions in the cervical spine and the shoulder, and systemic lesions, these lesions may influence the results of treatment after operation, and cause the unpredictable resul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