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복게재의 유형과 판단 기준

        이인재 ( Lee In Jae ) 한국감정평가학회 2021 감정평가학논집 Vol.20 No.3

        우리는 연구자가 연구 성과를 발표 및 게재하는 과정에서 잘 모르고 한 것이든 의도적으로 한 것이든 연구윤리를 위반하는 대표적인 것으로 표절과 함께 중복게재(redundant publication)가 있다는 것을 알고 있다. 연구윤리의 중요한 하위 영역으로서 출판윤리(publication ethics)가 있는데, 출판윤리에서는 표절과 함께 중복게재 및 저자 자격(authorship)에 관한 쟁점이 핵심적으로 논의되곤 한다. 연구자들 중에는 표절과 함께 중복게재에 대해 많이 궁금해 하는 사람들이 많다. 특히 중복게재의 의미나 그것이 왜 문제가 되는지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 알고 있지만 구체적으로 어떤 때에 중복게재에 해당되는지에 대해서는 쉽게 판단할 수 없다고 말한다. 그만큼 중복게재를 둘러싼 논의에서 학문 분야, 연구의 방법이나 특성에 따라 중복게재를 판단하는 요소나 기준에서 차이가 크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중복게재를 둘러싼 여러 쟁점과 관련하여 연구자들이 보다 명확하게 알고 싶어 하고 또 구체적인 설명이 필요하다고 느끼고 있는 질문들을 모아 이에 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필자는 평소 대학의 교수나 대학원생 그리고 연구소의 연구자를 대상으로 연구 윤리 강의를 했을 때 나왔던 질문들과 이메일이나 학술 행사 등에서 개인적으로 받았던 질문들을 몇 가지로 유형화하여 이에 대한 필자의 견해를 밝히는 방식으로 기술하였다. We know that plagiarism and redundant publications are typical examples of violating research ethics, whether done intentionally or unknowingly in the process of announcing and publishing research results. Publication ethics presents itself as an important sub-area of research ethics. In publication ethics, issues related to plagiarism, redundant publication and authorship are often discussed as core issues. Among researchers, there are many people who are curious about redundant publications along with plagiarism. Researchers say that they want to know to some extent the meaning of redundant publication and why it is a problem but cannot easily determine when specifically the term redundant publication is applicable. This is because, in the discussion related to redundant publications, there is a large difference in judgment criteria of redundant publications depending on the academic field and the method or characteristics of research. Therefore, this paper analyzes the issues of redundant publication and suggests desirable publication practices which researchers should understand and comply with. To this end, I have collected the most pertinent questions from audiences and researchers who have attended my research ethics lecture and respond them. I usually categorize the questions I received when I lectured on research ethics for university professors, graduate students, and researchers at research institutes, as well as the questions I received personally via e-mails and at academic conferences, and here I describe my views on them. Researchers should present the sources adequately and clearly when they use their previously published papers. It is recognized that when researchers publish their paper whose content was the same or substantially like that of a previously published one without adequate cross-referencing and then take advantage of it unduly, that is unjustifiable redundant publication.

      • KCI등재

        웹툰 맥락과 광고형태 및 게재위치에 따른 웹툰 속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

        유승엽,김은희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2019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Vol.20 No.1

        The purpose was to investigated the effect of contextual agreement, ad type, and placement on advertising effectiveness of webtoon which is emerging as an advertising platform. The context was classified as context match /inconsistency condition, and the webtoon ad was classified into real and webtoon type, and the ad place was classified into position of insertion and ending of webtoon and 2×2×2 factorial design was us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d recall was high in the webtoon context agreement condition, and the real ad type showed higher ad recall than the webtoon type. Second, the webtoon context matching condition showed the high level of advertisement attention, and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advertisement context and advertisement form and advertisement attitude between advertisement form and advertisement place appeared. In other words, the attention of the real advertisement was high in contextual inconsistency condition, and the lower placement position of the webtoon advertisement showed high attention. Third, ad attitude was favorable in the context of webtoon context. In addition, the interaction between the webtoon context and the placement appeared. In other words, the advertisement attitude was favorable in context matching condition in the middle placement, whereas the ad attitude was favorable in the bottom case. Interaction effects between ad format and placement appeared. In other words, in the case of the real advertisement, the bottom placement is favorable, whereas in the case of the webtoon type advertisement, the middle insertion position of the webtoon shows favorable advertisement attitude. Fourth, advertising intrusiveness was high in the context of webtoon context disagreement, and advertisement penetration was high in insertion condition of webtoon. In addition,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 webtoon context and the ad intrusion perception according to the ad type appeared. In other words, in case of real advertisement, ad invasion is highly perceived under contextual inconsistency condition. The results show that there is academic value that experimentally verifies context effect, advertisement expression and placement effect on the webtoon platform and suggest practical value of advertising strategy for webtoon advertisement to practitioners. 본 연구는 최근 광고 플랫폼으로 부상하고 있는 웹툰을 대상으로, 맥락일치여부와 광고형태 및 게재위치에 따른 광고효과를 알아보았다. 웹툰맥락은 맥락일치/불일치조건으로, 웹툰광고는 실사형과 웹툰형 광고로, 광고게재위치는 웹툰 내 삽입과 웹툰 종료 후 하단위치로 구분하여 2×2×2 요인설계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첫째, 웹툰 맥락일치조건에서 광고회상이 높게 나타났으며, 실사형 광고가 웹툰형보다 광고회상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웹툰 맥락 일치조건이 광고주목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광고맥락과 광고형태 간에 또한 광고형태와 광고 게재위치 간에 광고주목도에서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났다. 즉, 맥락 불일치조건에서 실사형광고의 주목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웹툰형 광고의 경우 하단 게재위치가 주목도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웹툰 맥락 일치조건에서 광고태도가 호의적으로 나타났다. 또한 웹툰 맥락과 게재위치 간에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즉, 중간게재위치의 경우 맥락 일치조건에서 광고태도가 호의적으로 나타난 반면 하단의 경우에는 맥락 비일치 조건에서 광고태도가 호의적으로 나타났다. 광고형태와 게재위치 간에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즉, 실사형 광고의 경우 하단게재위치가 호의적인 반면 웹툰형 광고의 경우 웹툰 중간삽입 게재위치가 호의적인 광고태도를 나타냈다. 넷째, 웹툰 맥락 불일치조건에서 광고 침입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웹툰 내 삽입 조건에서 광고 침입성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웹툰 맥락 일치여부와 광고형태에 따른 광고 침입성 지각에서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났다. 즉, 실사형 광고의 경우 맥락 불일치조건에서 광고 침입성이 높게 지각되었다. 본 연구는 웹툰 플랫폼에서 맥락효과와 광고표현 및 게재위치효과를 실험적으로 검증했다는 학술적 가치가 있으며, 광고실무자들에게 웹툰 광고에 대한 매체전략을 제시했다는 실무적 가치를 갖는다.

      • KCI등재

        대한척추외과학회에서 구연된 논문에 대한 추적 관찰

        김주오,최병완,김주한,송경진,이광복 대한척추외과학회 2011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18 No.1

        Study Design: A review of all presentations at the Korean Society of Spine Surgery(KSSS) congress from 2001 to 2005. Objectives: To determine the presentation to publication rate in peer-reviewed journals of abstracts presented at the KSSS congress and evaluate the consistency between the presented abstract and published full-text counterpart.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The rate of publication for presentation at international meetings has been determined but there has been no study for the KSSS. Material and Methods: This study reviewed all podium presentations of the past KSSS Spring and Fall meetings from 2001 to 2005. A computer search for each abstract was performed. The final published journal, time to publication and publication rate were evaluated according to subspecialty. The published full-text article was compared with the original abstract and evaluated for consistency with respect to the author, material and method, and result. Results: A total of 288 free-papers were identified, of which 167 of them were published as full-text articles. The mean time to publication was 12.15 months. The publication rates according to the subspecialty were basic 67%, lumbar 68%, cervical 64%, deformity 50%, trauma 53%, minimal 14% and others 51%, respectively. Conclusion: The presentation to publication rate of the Korean society of spine surgery podium presentations was lower than other international meetings but the articles showed a high consistency rate. Key Word: Korean Society of Spine Surgery congress, Presentation, Publication 연구계획: 2001년부터 2005년까지 대한척추외과학회에서 구연된 논문을 검토하였다. 목적: 대한 척추 외과 학회에서 구연된 논문의 게재 여부 및 그 내용의 변경 정도를 분석하고 외국의 경우와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선행문헌의 요약: 주요 국제학회의 경우 구연된 논문의 출간 여부에 대한 연구가 있었으나 국내 척추학회에서는 그 시도가 없었다. 대상 및 방법: 2001년 춘계부터 2005년 추계학회까지 총 10번의 연례 학회에서 구연된 288편의 논문을 분석하였다. 출간 여부는 온라인상으로 확인하였으며 최종 게재된 학술지와 출간 소요 기간, 분야 별 게재율을 분석하였고, 게재된 논문에 대하여 학회에서 발표된 초록을 기준으로 게재 논문 상 저자의 변경여부, 대상 및 결론의 변경 여부를 확인하였다. 결과: 총 288편 중 167편(58%)이 게재 확인되었으며 게재까지의 평균 기간은 12.15개월이었다. 각 분야 별로 기초, 요추, 경추, 변형, 외상, 미세 침습,기타의 게재율은 각각 67%, 68%, 64%, 50%, 53%, 14%, 51%이었다. 최종 게재 시 초록의 내용을 일부 변경한 경우는 저자가 35편, 대상이 32편, 결론이 28편이었으며 모두 일치하는 경우는 국내논문 92편, 국외논문 17편이었다. 결론: 대한 척추외과 학회의 구연 논문은 동일 기간의 외국 학회에 비해 최종 게재율은 낮았으나 내용의 일치율은 높았다. 색인 단어: 대한척추외과학회, 구연, 게재약칭 제목: 대한척추외과학회 구연 논문

      • KCI등재

        Q/A를 통해 본 중복게재의 쟁점

        이인재 한국피부과학연구원 2016 아시안뷰티화장품학술지 Vol.14 No.2

        목적: 본 논문은 출판윤리의 중요한 영역을 차지하고 있는 중복게재와 관련하여 연구자들이 잘 모르거나 오해하고 있는 점들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함으로써 연구자가 실천해야 할 바람직한 방안을 탐구하고자 하였다. 방법: 필자가 대학이나 연구 기관의 연구윤리 강의를 통해 얻게 된 중복게재와 관련하여 궁금해 하는 내용을 질문으로 구성하고 이에 대해 필자가 답변을 하는 형식으로 기술하였다. 결과: 중복게재와 관련된 주요 질문 10개의 항목에 대해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설명을 함으로써 중복게재와 유사한 용어들의 의미와 차이점을 규명하였고, 중복게재에 대한 연구자들의 오해와 궁금증이 해소되도록 하였다. 결론: 연구자는 자신의 이전 저작물을 활용하여 후속 논문을 게재할 때 반드시 출처를 정확히 밝혀야 하며, 특히 동일 내지 실질적으로 유사한 연구를 적절하게 출처를 밝히지 않고 마치 새로운 연구인 것처럼 게재하고 이를 부당하게 활용할 때 ‘부당한 중복게재’ 로서 연구부정행위에 속한다는 점을 인식하여야 한다. Purpose: This paper analyses the issues of redundant publication which have been the hot topic in publication ethics and suggests a desirable publication practices which researchers should understand and comply with. Methods: I have collected the hot questions from audiences and researchers who would attend on my research ethics lecture and respond them. Results: It was identified meaning and differences in similar terms related redundant publication and was trying to solve the questions and misunderstandings of researchers by describing the main 10 questions of redundant publication with specific examples. Conclusion: Researcher should present the sources adequately and clearly when they use their previously published papers. It is recognized that when researchers publish their paper whose content was same or substantially similar to that of a previously published one without adequate cross-referencing and then take advantage of it unduly, that is unjustifiable redundant publication.

      • KCI등재

        온라인 기사형 광고에 대한 소비자의 긍정적 반응 : 광고 유형(선 vs 악)과 게재 시점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조현권,조현영 한국마케팅관리학회 2024 마케팅관리연구 Vol.29 No.2

        기사형 광고는 기업이 자사의 신제품 또는 기술적 진보를 시장에 알리기 위해 사용하는 프로모션 수 단 중 하나이다. 광고가 기사의 형태로 제시되면 소비자의 설득지식이 활성화되기 어렵기 때문에 소비 자가 광고의 내용을 신뢰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이런 이유로 기사형 광고는 마케팅 도구로 자주 사용되 고 있으며, 이 광고의 특성과 효과에 대한 연구 역시 활발히 진행되었다. 본 연구는 기사형 광고가 다루 는 제품의 특성에 따라 이를 선(virtue)과 악(vice)으로 분류하여 소비자의 긍정적 반응을 살펴봄과 동 시에 이러한 광고 유형이 게재 시점과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 조사했다. 네이버 포털에 2019년에 게재 된 기사형 광고를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사용해 분류한 후, 오전과 오후 시간에 같은 제목으로 게재된 기사형 광고 406개를 선정했다. 소비자가 사용한 긍정적인 이모티콘의 수를 광고가 노출된 시간으로 나눈 값을 긍정적 반응의 지표로 사용했다. 긍정적 반응은 기사형 광고가 게재된 시점이 하루 중 오후 시간일 때 오전 시간일 때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광고 유형과 게재 시점의 상호작용은 유의하지 않 았으나, 게재 시점에 따른 효과가 악한 광고의 경우 한계적으로 유의한 반면 선한 광고의 경우 유의하 지 않은 방향성이 나타났다. 이는 악한 광고에서는 게재 시점을 더욱 중요하게 고려해야 함을 의미한다. 일상생활 속의 다양한 방면에 적용할 수 있는 선-악의 구분을 온라인 매체에 적용한 연구는 매우 드문 데, 본 연구는 이를 기사형 광고라는 매체에 적용하여, 기존의 기사형 광고 및 온라인 매체를 다룬 연구 와 구분된다. 또한, 기사형 광고를 추출하고 분류할 때 자주 사용되던 영어 기반의 BERT가 아닌 한글 텍스트 분류에 적합한 KoBERT 모형에 기반한 딥러닝 기법을 사용함으로써 분류에서의 좀 더 높은 정 확도를 획득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이론적 시사점과 함께 기사형 광고라는 촉진 도구에 대한 반응이 오후 시간일수록 긍정적이라는 결과는 실무적 시사점을 갖는다. 즉, 자사 제품 홍보를 위해 기사형 광 고를 사용할 때 소비자의 긍정적인 반응을 얻기 위해서는 기사를 오후 시간에 게재하는 것을 제안한다. The companies often employ advertorial as a promotional tool for promoting their new products or technological advancements to the market. When advertisements are delivered in the form of the news article, it becomes difficult to activate consumers’ persuasion knowledge, thus increasing the likelihood of consumers trusting the content of the advertisement. For this reason, advertorial is frequently used as a promotion tool, and research on its characteristics and effects has been actively conducted. This study classified products featured in advertorial as virtues or vices to examine the positive responses of consumers and investigated how the type of advertisement interacts with the timing of its placement. Advertorials posted on the Naver portal in 2019 were analyzed and classified using text mining techniques, and 406 advertorials published both in the morning and evening were selected considering the impact of the timing of placement on responses. The number of positive emoticons used by consumers was measured as an indicator of positive response, which was significantly higher when the advertorials were posted in the evening compared to the morning. The interaction between advertorials and the timing of placement was not significant, but the effect of timing was marginally significant for vice advertorials, while it was not significant for virtue advertorials. This implies that the timing of placement should be more carefully considered for vice advertorials. Applying the distinction between virtue and vice in various aspects of everyday life to online media is very rare, and this study is distinguished from previous research in that it applies this distinction to advertorials, and online medium. Furthermore, the use of a deep learning technique based on KoBERT, rather than the commonly used English-based BERT, for extracting and classifying advertorials, allowed for higher accuracy in classification. Along with these theoretical implications, the result that responses to advertorials as a promotional tool are more positive later in the day has practical implications. We suggest the firms to implement advertorials for products that are designed for immediate gratification and post them at the evening. Such strategy is expected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the advertorials.

      • KCI등재

        근대초기신문의 전래 서사 수용 및 변전 양상 연구 -『한성신보』와 『제국신문』의 공통 게재 서사물을 중심으로-

        강현조 ( Hyun Cho Kang ) 한국문학연구학회 2013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51

        이 논문에서는 1906년 9월~11월까지 『제국신문』소설란에 연재되었던 서사물 4편과 사실상 동일한 내용의 자료가 1896년 7월~11월 사이에『한성신보』잡보란에 게재되었다는 사실을 밝히고, 해당 자료들이 전래서사를 수용하면서도 일정한 변형을 통해 근대적인 서사 양식에 가깝게 변전되어 갔다는 점을 논증한 후,이러한 사실이 갖는 소설사적 의미를 분석하였다. 먼저 『한성신보』잡보란에 게재되었던 <계이취거액금(計以取巨額金)>ㆍ<창녀지보은기모(娼女之報恩奇謀)>ㆍ<덕필유린(德必有린)>ㆍ<기곽생복습사(紀郭生復習事)>등 4편의 순국문 자료 4편을 새로 발굴하여 그 원문을 제시하였고, 이 자료들이 1906년에 발표된 「제국신문」초기 연재소설 중 <평양 외셩에>ㆍ<경상남도 문경군에>ㆍ<정기급인>1화ㆍ<살신성인>등과 사실상 동일한 내용으로 이루어져 있다는 점을 입증하였다. 이 자료들 중 특히 18세기의 한문단편인 <복수설>을 공통 원작으로 하고 있는 <기곽생복습사>와 <살신성인>의 사례는 전래 서사가 근대 초기신문에 수용되는 과정에서 어떻게 근대적 서사 양식에 가까운 형태로 변전되어 갔는가를 구체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복수설>은 교술적 경향이 강한 한문단편양식인 설(說)의 양식적 규정력으로부터 크게 벗어나지 못한 작품으로서 저작자의 견해를 표명하기 위해 추노설화 계열의 서사가 보조적 수단으로 활용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는 반면,<기곽생복습사>는 이러한 규정력으로부터 벗어나 서사 그 자체가 전면에 부각된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또한 순국문체로의 전환이 이루어졌고, 서사 내적 필연성의 부여를 위한 인과성의 강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는 점에서 전래 서사가 근대적 서사 양식으로 변전해 가는 양상을 구현하고 있다고 평가할 만하다. 그리고 <살신성인>은 <기곽생복습사>에서 나타난 전래 서사의 근대적 변전 양상을 한층 심화시킨 작품으로 볼 수 있으며, 그 근거로는 세부(detail)의 구체성 및 인물 간 대화 비중의 뚜렷한 증가, 다양하면서도 세련된 기법의 활용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기법적인 측면에서의 변화는 단순히 분량의 장형화를 넘어 질적 변화로 규정될 만한 측면을 지니고 있다고 판단된다. 이러한 <살신성인>의 특징은 위에서 언급한 『제국신문』의 다른 작품에서도 유사하게 구현되고 있다. 이와 같은 고찰 결과를 토대로 이 논문에서는 『한성신보』게재 서사물이 전래 서사와 구별되는 일정한 차별성을 지니고 있으며,서사의 근대적인 변전 양상을 보여주는 가장 이른 시기의 텍스트라고 보았다. 그리고 위의 『한성신보』게재 서사물들과 비교를 통해 『제국신문』초기 연재소설 또한 근대적 변전 경향을 직접적으로 계승함과 동시에 일정한 진전을 보이고 있다는 점에서 소설사적 의의를 인정할 수 있다고 판단하였다. 요컨대 『한성신보』와 『제국신문』의 공통 게재 서사물들은 소설사의 전개 과정에서 근대초기신문들이 어떤 역할을 수행했는지에 대해 보다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두 신문 모두 전래 서사의 수용 및 변전을 통해 근대적 서사 양식으로서 소설(novel)의 형성에 일정한 기여를 했다고 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결론을 보다 확실하게 뒷받침하기 위한 더욱 많은 사례의 발굴 및 작품 간 비교 고찰이 수반될 필요가 있다.그 이후에 비로소 『한성신보』와 『제국신문』을 포함한 근대초기신문 게재 서사물의 소설사적 위상과 각 작품들의 차별성이 제대로 파악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이 논문은 신자료의 발굴 소개를 통해 이러한 학문적 논의의 필요성을 제기하는 시론(試論)적 성격을 지닌다. In this article, it is proved that there is substantial sameness between the four miscellaneous news in『HanSungShinbo』during the July-November 1896 and the four short novels that was serialized in 『JeGukShinmun』until September to November 1906. The four narrations are <計以取巨額金>ㆍ<娼女之報恩奇謀>ㆍ<德必有린>ㆍ<紀郭生復習事> and <The outer wall of PyoungYang>ㆍ<At Munkyung in KyungNam>ㆍ<正己及人> the first episodeㆍ<殺身成仁>. Among these data, the case of the <紀郭生復習事> and <殺身成仁>show that the traditional narration has been accepted and changed in the newspaper of early modern. Their substantial narration is originated <復讐說>, the traditional narration has been formed in the 18th century. As <復讐說> has the character of the didactic literature, so it is concentrated on conveying a moral lesson and the narration is applicated as a assistant means. The other side, in <紀郭生復習事> the narration is embossed comparing the former. That is the proof of its modernity and progress. <殺身成仁> deepens them by strengthening of detail and polishing techniques. Based on the discussion results like this, in this article, has a discrimination of certain the four miscellaneous news in 『HanSungShinbo』are distinguished from the traditional narration, the text of the earliest to show the substation surface modern epic. And comparing 『HanSungShinbo』to the four short novels that was serialized in 『JeGukShinmun』, they are the above along with the direct inheritance of modern substation trend, that is showing some progress, allowing you a private significance of novel it is determined that it can be. In short the newspaper of early modern show that they plays what role from the deployment process of the history of novels offers more specific information, it can be made a certain contribution to the formation of novel as a modern form through substations and acceptance of ancestral newspapers both. However, in order to more reliably support these conclusions, must be accompanied by a comparative discussion of the work and excavation of the cases more. This paper is an essay to raise the need for academic discussion of these.

      • KCI등재

        발명자 게재 및 발명자 정정에 관한 소고

        신상훈 ( Shin Sanghoon ) 한국지식재산연구원 2021 지식재산연구 Vol.16 No.2

        특허의 중요성이 날로 증대하는 요즘, 발명자로서 게재되는 것의 의의를 검토하였다. 발명자로서 게재되는 것은 일종의 인격에 해당하며, 그 근거는 파리조약에 기인하는 것을 재확인하였다. 특허증을 비롯한 등록특허공보 등에 발명자로서 게재는 단순한 명예를 넘어, 개인 경력의 포트폴리오로서도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발명자로서 게재되는 것에 관한 실체적인 권리로서, 동일 발명자의 특허 출원인 경우, 확대된 선원 규정은 적용되지 않는다. 한편, 특허출원서에 발명자를 기재하지 않은 경우, 보정 대상이 되는 의무적인 측면도 있다. 즉, 발명자로 게재되는 것은 실체적 권리와 의무가 함께 존재한다. 최근 특허법 시행령 제28조의 개정에 따른 발명자 정정 요건의 완화를 정정심판의 요건과 함께 검토하였다. 이 경우, 발명자 정정은 정정 대상의 확대에 해당하며, 그 결과 확대된 선원 규정을 다시 적용해야 할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추가적인 실체심사 후에 발명자 정정을 허여해야 한다. 한편, 발명자의 정정이 불가능하여 발생 가능한 발명자 명예훼손을 손해액으로 추정해 보면, 적게는 통상적인 특허출원 보상금에서 많게는 실시 보상액의 수 % 정도로 예상된다. 그 결과, 발명 보상금이 거액으로 산정되지 않는 경우라면, 금전적인 배상 또한 그 효과가 작게 나타날 것으로 사료된다. 끝으로 발명자 게재권의 선언적 규정으로 특허법 제42조 제1항을 개정하거나, 제33조 제3항을 신설할 것을 제안한다. 그 외 발명자의 명예를 높일 방안으로 특허등록원부에 발명자란의 신설 및 특허공보에 표시되는 복수의 발명자 중 주 발명자의 표시를 제안한다. As the importance of patent rights increases, the inventor’s right to be mentioned has been reviewed. It was reconfirmed that the inventor's right to be mentioned constitutes a kind of reputation, and the basis of the right was attributed to the Paris Convention. However, this right is not just an honor but also serves the inventor’s portfolio for his or her personal career. The expanded prior application status is not applied to the application by the same inventor(s). On the other hand, if the inventors’ names are not listed, the application is subjected to be corrected. This is because substantial right and obligation are mixed in the inventor’s right to be mentioned. The amendment to the correction of the inventors has been studied along with the requirements for the correction trial. In such case, the correction of the inventors should be granted after an additional substantive examination. In addition, the patent act shall be amended to include an article of the inventor’s right to be mentioned. Also, the inventors should be listed in the patent register for their reputation. Lastly, it is suggested that one of the inventors should be marked as a primary inventor in the patent publication.

      • KCI등재

        『한국인구학』 게재물의 구성과 변화, 1977~2004

        김두섭(Kim Doo-Sub),박효준(Park Hyo-Joon) 한국인구학회 2005 한국인구학 Vol.28 No.2

        이 글은 1977-2004년의 기간 동안 한국인구학회의 공식학술지에 수록된 총 367편 게재물의 특성을 분석하여 그 동안 한국인구학의 발전과 연구경향의 변화를 살펴보고 있다. 초창기의 학회지에는 연구논문 이외에도 심포지엄 발표논문, 권두언, 특별기고, 동정 등 다양한 유형의 글이 실렸지만 점차 연구논문이 주류를 이루는 방향으로 변화되었다. 그리고 1985년부터는 연 2회로 발간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게재물의 수가 급격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인다. 게재된 논문들의 주제를 시기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초기에는 인구정책, 출산, 사망, 인구이동 등의 전통적 연구 주제들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으나 점차 인구규모와 특징, 노동력, 혼인, 가족, 노인, 고령화 지역연구 등 다양하고 복합적인 주제의 연구논문들이 많이 게재되고 있다. 또한 게재논문의 저자들을 분석한 결과, 초창기에는 연구기관과 통계 관련 국가기관에 속한 연구자들이 상대적으로 많았으나, 1980년대 중반 이후부터는 대학 소속의 연구자들이 급격하게 증가하는 추세를 보인다. 그리고 활동적인 몇몇 연구자들의 기여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분석에 사용된 자료는 각종 사회조사자료, 인구센서스와 문헌자료가 과반수를 점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초기의 분석방법은 주로 정책분석, 빈도와 교차표분석, 평균차분석이 주류를 이루었으나, 1980년대 중반 이후부터는 회귀분석이, 그리고 1990년대 이후에는 로지스틱분석, 생존분석 등 정교한 기법들의 비중이 급격하게 증가하는 추세를 보인다. This paper reviews research outputs in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KJPS) and the changes in their contents during the period of 1977-2004. In the early years of KJPS, various types of outputs were published, but changes have been made into a direction that research articles compose the main context of the journal. As the journal published twice a year, the total number of articles of the journal shows a trend of marked rise. An analysis of the themes of articles shows that the trend of research in Korean demography has changed hand in hand with transformations of the Korean society. The traditional topics such as population policy, fertility, mortality, and migration were popular before. Labor force, nuptiality, family, aging, regional studies are found to be more popular themes of research recently. Reflecting academic and social demands, KJPS has a broaden range of authors, such as professor, researcher, a government employee, post-doc, and graduate students. The articles written by those working in universities have increased continuously, while research outputs of research institutes have decreased recently. The data for analysis used in articles are varied from but concentrated in some materials - census, vital statistics and various survey data. In early years of KJPS, relatively simple techniques of analysis were adopted in the majority of articles. However, more sophisticated techniques including applied regression analysis, logistic analysis and analysis of survival ratio turn out to be more popular recently. Finally, several suggestions for the future research are presented in this paper.

      • KCI등재후보

        대한부동산학회지 게재논문의 특성 연구

        이범관(Lee, Beom Gwan),김홍택(Kim, Hong Taek),이지은(Lee, Ji Eun) 대한부동산학회 2011 大韓不動産學會誌 Vol.29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학회 창립 30주년을 맞이한 현 시점에서 사단법인 대한부동산학회의 과거와 현재를 재조명하고, 지난 30년간 대한부동산학회지에 투고된 총 295편에 대한 게재논문을 중심으로 분석ㆍ평가해봄으로서, 대한부동산학회지의 위상제고를 위한 발전적 제언을 하는 것이었다. 연구범위로서 시간적으로는 학회지가 처음 발간된 1982년부터 2011년 10월 현재까지로, 내용적으로는 대한부동산학회지 게재논문의 특성을 살펴봄과 아울러 대한부동산학회지의 위상제고를 위한 발전적 제언을 하는 것으로 한정하였다. 연구방법으로서 조사방법은 문헌조사법과 인터넷조사법을, 분석방법은 사례분석 및 기술적 (記述的) 분석방법을 동원하였다. 연구 결과, 대한부동산학회지의 위상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첫째, 학회회원의 저변 확대가 필요하고 둘째, 학회지 게재논문의 양적ㆍ질적 수준을 보다 극대화 할 필요가 있으며 셋째, 독립된 별도의 공간에 학회 전용사무실을 시급히 확보하여야 함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past and present of Korea Real Estate Society that is celebrating the 30th anniversary, and to make suggestions for improving the status of Korea Real Estate Society by analyzing and evaluating 295 dissertations that have been published in the journal of Korea Real Estate Society for the last 30 years. As to the scope of the study, the time scope was limited from 1982 that the journal was first issued, to the present, October, 2011. The contents were limited to looking 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published dissertations, and making suggestions for improving the status of Korea Real Estate Society. As to the study methods, literature and internet research was used. Also, case analysis and descriptive analysis have been used.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in order to improve the status of Korea Real Estate Society, first,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member base. Second,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level of the published dissertations must be maximized. Third, it is necessary to have an office for Korea Real Estate Society in a separate space as soon as possible.

      • KCI우수등재

        『한국사회학』 게재물의 구성과 변화, 1964~2002

        김두섭(Kim Doo-Sub),은기수(Eun Ki-Soo) 한국사회학회 2002 韓國社會學 Vol.36 No.6

        이 글은 한국사회학회의 공식학술지인 『한국사회학』의 1964년 창간호부터 2002년 36집 5호까지 실린 연구논문의 분석을 통해 한국 사회학자들의 연구성과와 연구경향의 변화를 살펴보고 있다. 『한국사회학』의 초창기에는 다양한 유형의 글이 실렸지만 점차 연구논문이 주류를 이루는 방향으로 변화되었다. 그리고 연간 발간횟수의 증가에 따라 게재지면이 확대되면서 게재물의 수가 급격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인다. 게재된 논문들의 주제를 시기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한국사회학계의 연구경향이 한국 사회의 변동과 밀접히 관련을 맺고 변화하여 왔음을 알 수 있으며, 최근에는 경제사회학, 산업사회학, 사회복지, 사회운동, 문화 등의 분야에 연구가 집중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게재논문의 연구자를 분석한 결과, 아직도 한국사회학계에서는 미국 등 외국에서 훈련을 받은 사회학자들이 발표하는 논문의 수가 국내에서 훈련을 받은 연구자들의 연구결과보다 양적으로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서울과 지방의 구분 없이 대학교수들이 활발히 연구성과를 발표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아울러 연구기관에 재직하는 전문연구자의 논문의 수는 계속 늘어나는 반면, 안정된 직장을 갖지 않은 시간강사들의 연구결과는 최근에 올수록 줄어드는 추세를 보인다. This paper reviews research outputs in Korean Journal of Sociology(KJS) and the changes in their contents during the period of 1964-2000. In the early years of KJS, various types of outputs were published, but changes have been made into a direction that research articles compose the main context of the journal. As the number of issues published in a year increases, the total number of articles of the journal shows a trend of marked rise. An analysis of the themes of articles shows that the trend of research in Korean sociology has changed hand in hand with transformations of the Korean society. Economic sociology, industrial sociology, social welfare, social movements, culture, etc. turn out to be popular themes of research recently. The articles written by Korean sociologists with their academic degrees from the U.S. and a few advanced countries outnumber the articles written by those domestically trained. Regardless of the location(Seoul vs. provincial regions) of university, professors have been found to be very much active in their productivity. The articles written by those working in research institutes have also increased continuously, while research outputs of part-time lecturers have decreased recent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