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연구윤리 확립에 있어서 정부개입에 대한 미국 사례 분석및 한국에의 시사점

        이송호(Lee, Song-Ho),정일환(Chung, Il-hwan) 한국비교교육학회 2019 比較敎育硏究 Vol.29 No.6

        [연구목적] 본 연구는 미국의 연구윤리 확립과정에서 정부개입의 주요 쟁점들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에서 연구윤리 확립을 위한 정부개입 범위, 정부개입 방법, 정부개입의 수준 등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있다. [연구방법]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미국에서 발표된 관련 법령, 보고서, 언론보도 자료 등 문헌과 사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주요 연구결과는 첫째, 정부개입의 범위는 정부지원 연구는 물론 민간 부문에 대한 연구로 확대되어야 하며, 윤리뿐만 아니라 법적문제가 될 수 있는 사안에 대한 예방적 규제에 대해서도 정부개입이 필요하다, 둘째, 정부개입의 방법은 1차적인 책임을 대학 및 연구기관에 부여하는 간접적인 방식이 바람직하며, 학문분야별로 개입의 방식에 차별화를 두고, 규제와 지원의 균형일 이룰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셋째, 정부개입 수준은 규제와 지원의 기본틀 마련까지만 개입하고 구체적인 세부 규제와 지원은 대학과 연구기관에 맡겨야 한다. 즉 목표및 원칙 제시에만 정부가 직접 개입하고 이행 기준 설정, 윤리위반 감시, 비윤리성 판단, 제재수준 결정 등에는 간접 개입해야 한다. [결론] 한국내 연구윤리 확립은 연구의 가치와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기본적인 장치로 볼 수 있다. 연구윤리 확립 정책으로 정부의 단기적 획일적 개입은 지양되 어야 한다. 연구윤리의 범위와 정부개입의 적정성을 결정하는 데는 국제표준과 학문분야별 특성을 반영하여 연구자 및 연구기관의 참여를 확대해야 하며, 연구윤리 확보를 위해서는 연구자 및 연구기관의 자율적인 관리풍토의 조성에 초점을 두고 심각한 연구윤리 위반 사항에 대해서는 정부차원에서 대응해야 할 것이다. [Purpose] This study attempted to search for adequate span, methods and degree of government intervention in academic society in order to secure research ethics. [Methods] or this purpose, it examined an American Case in depth and suggested directions of Korean government intervention on the basis of American experience. [Results] First, the span of government intervention needs to expand beyond government-sponsored researches into private organizationsponsored and independent researches. Second, the government needs to intervene in researcher’s activities, indirectly via university and institutes and discriminately on the basis of characteristics of academic disciplines. And the government intervention should maintain balance between regulations and assistances. Third, the government regulation should be confined to setting principles of regulation. The authority to set criteria of regulation, identify violations of them, and decide the kinds of sanction should be relegated to universities and institutes. The government assistance should be extended from compliance with regulation to fostering an atmosphere of ethical research, and be complementary to the efforts of universities and institutes. term and uniformed intervention. The government should not only consider international standards and characteristics of academic discipline, but also guarantee the participation of universities and institutes.

      • KCI등재

        청소년 성폭력 위기개입 관련 국내 연구 동향 분석 : 학교에서의 위기개입 방향을 중심으로

        유형근(Yu, Hyung-Keun),박선하(Park, Seon-H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22

        본 연구 목적은 청소년 성폭력 위기개입에 관한 국내 연구들을 총체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학교에서의 위기개입 방향을 제안하는 데 있다. 본 연구는 체계적 문헌고찰을 활용하여 총 51편의 연구들을 수집 및 분석하였다. 연구 시기, 대상, 방법, 내용에 따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시기에 따라 주제와 개입방법이 점차 다양해졌다. 둘째, 연구 대상은 학생, 성폭력 피해 청소년, 성별 구성이 혼성인 연구들이 가장 많이 이루어졌다. 셋째, 연구 방법은 양적 연구, 질적 연구, 혼합 연구, 문헌 연구 순으로 많이 사용되었다. 넷째, 연구 내용을 개입 목적에 따라 예방적 개입과 치료적 개입으로 분류한 결과, 치료적 개입 연구가 예방적 개입 연구보다 더 많이 수행되었다. 위기개입 방법으로서 심리치료, 교육, 기타, 교육 및 심리치료, 활동 순으로 연구들이 많이 이루어졌다. 본 연구는 주요 개입 요인을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학교에서의 청소년 성폭력에 대한 위기개입 방향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direction for crisis intervention that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school scenes by comprehensively exploring the research trends and contents of adolescent sexual violence crisis interventions and analyzing them with a focus on the main intervention factors and effectiveness factors of crisis interventions. For this purpose, relevant literature was collected using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and a total of 51 studies were select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based on the research period, subjects, methods, and research contents are as follows. First, it has been shown that research subjects and methods of intervention gradually vary according to the research period. Second, the study targets were mostly students, teenagers affected by sexual violence, and mixed gender studies. Third, research methods were found to have been widely used in the order of quantitative research, qualitative research, mixed research, and literature research. Fourth, as a result of classifying research contents as preventive intervention and therapeutic intervention according to the purpose of crisis intervention, therapeutic intervention research was carried out more than preventive intervention research. Many studies were conducted in the order of psychological treatment, education, other, education and psychological treatment, and activities as methods of crisis intervention.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main intervention factors and effectiveness factors of each study, this study suggested the direction of crisis intervention for sexual violence in schools.

      • KCI등재

        진로 개입 성과 연구의 동향과 향후 과제

        최윤정,이지은 한국상담학회 2014 상담학연구 Vol.15 No.1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suggest future research directions toward integration of career intervention research and practice through an overview of the career intervention outcome studies on the basis of the Evidence-based practice model in Korea. We analyzed 106 journal articles regarding career intervention outcome designated in the KCI (Korea Citation Index) between 2000 and 2012. We used frequency analysis to examine outcome research trends across participant, research design, career intervention types, career intervention outcome variables, and outcome measurement in career interventions. First, research showed that college student(31.2%) in research participant, quasi-experimental design betwee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84%) in research design, convenient assignment(52.8%) in sampling method, pre-post measurement(94.3%) and follow-up assessment (5.7%) in outcome measurement, and self-reported measurement(98.1%) in measurement sources were respectively the most frequent. Counselor and observer measurement sources were 1.9%. Second, the frequency result of career intervention type indicated that group counseling was 80.2%, career curriculum was 17.0%, and career workshop was 1.9%. It is worthy of notice that there was no individual career counseling type and very little frequency in career inventory type(0.9%). Third, career related emotional domain was the most frequent in terms of outcome content of career intervention based on Whiston(2001)'s categorization of career intervention outcome contents. The most frequent outcome variable of career intervention was career maturity. Forth, CMI(Crites, 1978) was used the most in measurement tools of outcomes. Discussion also focuses on future directions and implications for career intervention outcome research to acquire specialty of career intervention based on the EBP model. 본 연구의 목적은 증거-기반 실제(EBP)의 과학적 연구 논리에 기초하여 국내의 진로 개입에 대한 성과 연구의 동향을 살펴봄으로써 향후 진로 개입의 실제와 연구의 통합을 위한 성과 연구의 방향을 제안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는 2000년도에서 2012년도에 출판된 진로 개입 성과 논문 중 KCI 등재 이상의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 106편을 대상으로 연구대상, 연구설계, 진로개입양식, 진로개입의 성과변인, 성과 측정 도구에 따라 연구 동향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대상에서는 대학생이(31.2%), 연구설계에서는 준실험설계(84%), 표본추출방법은 임의배정(52.8%), 성과측정은 사전-사후 측정(94.3%), 측정의 평가자는 자기보고(98.1%)가 (각각) 가장 높게 나타났다. follow-up 평가는 5.7%이었으며, 이러한 측정의 평가자는 내담자의 자기보고가 98.1%로 가장 많았고, 상담자(상담교사)와 관찰자에 의한 측정은 1.9%로 나타났다. 둘째, 진로개입 양식에 따른 성과 연구의 동향을 살펴본 결과, 집단상담 양식이 가장 많았으며(80.2%), 그 다음은 진로 교과목(17.0%), 진로 워크샵(1.9%) 순서로 나타났으나, 개인상담 양식은 전혀 없었으며 심리 검사 양식은 극히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0.9%). 셋째, 진로개입의 성과 측정 내용은 Whiston(2001)이 제안한 네 가지 영역을 기준으로 분석한 결과, 진로관련 정서 영역이 가장 많이 연구되어졌고, 진로 개입 성과 변인으로는 진로성숙도가 가장 많이 연구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이러한 진로 개입 성과를 측정한 도구의 현황을 살펴본 결과 Crites(1978)의 진로성숙도검사가 가장 많이 사용되어졌다. 끝으로 본 연구의 결과에 기초하여 진로 개입 성과의 연구 방향에 대한 논의 및 제언을 하였다.

      • KCI등재

        국내 ADHD 청소년 상담개입 성과 연구의 동향과 향후 과제

        문효빈,최윤정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18 청소년상담연구 Vol.26 No.2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suggest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by analyzing the trends of research about counseling intervention outcomes for ADHD adolescents in Korea. We analyzed the general information and the trends in the use of outcome variables by intervention modes and outcome variable measurements with 22 interdisciplinary intervention outcome research papers(journals and thesis for a degree) published from 2010 to 2017. First, the results showed in the general status that the largest number of articles (27.3%) were published in 2014 by year and the pre–post design (40.9%) of more than two groups by random assignment, the publication of psychology and counseling associations (26.7%), males participants (77.7%), middle school students (66.7%), unreported rates of taking medication in the pre-post design (40.9%) of more than two groups by random assignment (88.9%), intervention periods in less than 10 sessions(33.3%), and none follow-up analysis (68.2%) were the highest respectively. Cognitive behavioral interventions have not been published since 2015, and intervention periods were less than 10 sessions and shorter compared to other interventions. Second, the trends of outcome variables according to the counseling intervention mode indicated that the first major symptoms and the academic fields were each 4 cases(33.3%) in the CBT, only the primary symptoms in the art therapies were 9 cases(64.3%). In the physical activities, the primary symptom was 6 cases(40.0%), problem behaviors and self concepts were 3 cases(20.0%). Other interventions were 6 cases of primary symptoms(50.0%) and diagnoses and functions were 3 cases(25.0%), respectively. Third, trends of the use of measurement of outcome variables indicated that self-report scale-short form and the teacher evaluation scale by Conners(1997, 1969) were the most to measure the first major symptom, and CBCL(Child Behavior Checklist) by the Achenbach(1991) were used the most frequently to measure the second life function.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the implications for research of counseling intervention outcomes for ADHD adolescents were provided. 본 연구는 국내의 ADHD 청소년의 상담 개입에 대한 성과 연구의 동향을 살펴봄으로써, 향후 상담개입 성과연구의 방향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는 2010년부터 2017년까지 출판된 상담 개입 성과 논문 중 학술지와 학위논문 22편을 대상으로 일반 현황, 개입양식별 성과변인, 성과변인 측정도구의 활용 동향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일반현황에서 연도별로 2014년에 가장 많은 6편(27.3%)의 논문이 출간됐으며, 연구 설계는 무선배치 두 집단 이상 사전사후 설계(40.9%), 학회지는 심리 및 상담 관련 학회(26.7%), 성별은 남학생(77.7%), 학교 급은 중학생(66.7%), 약물복용 제시여부는 무선배치 두 집단 이상 사전사후 설계에서 미제시(88.9%), 개입기간은 10회기 이하(33.3%), 추수분석은 미분석(68.2%)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개입양식별 현황은 인지행동 개입만 2015년 이후 출간된 연구가 없었으며, 개입기간은 10회기 이하로 다른 개입에 비해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상담개입 양식에 따른 성과변인의 동향을 살펴본 결과, 인지행동치료는 1차 주요증상과 학업영역이 각 4건(33.3%), 예술치료는 1차 주요증상 9건(64.3%), 신체활동은 1차 주요증상 6건(40.0%), 문제행동 및 자기개념 각 3건(20.0%), 기타개입은 1차 주요증상 6건(50.0%), 진단 및 기능 3건(25.0%) 순이었다. 셋째, 성과변인 측정도구의 활용 동향은 1차 주요증상을 측정하기 위해 Conners(1997, 1969) 의 청소년 자기보고 척도-단축형과 교사용 평가 척도가, 2차 생활기능을 측정하기 위해 Achenbach(1991)의 아동․청소년 행동평가 척도가 가장 많이 사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담 개입 성과의 연구 방향에 대한 논의를 하였다.

      • KCI우수등재

        사건연구를 통한 국내 외환시장개입의 유효성 검증

        김남종 ( Namjong Kim ),박해식 ( Haesik Park ),장현상 ( Hyeonsang Jang ) 한국경제학회 2021 經濟學硏究 Vol.69 No.1

        본 연구는 국내 외환당국의 시장개입이 원/달러 환율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2000년 1월~2018년 12월을 표본기간으로 하여 언론 매체의 기사와 자금중개회사의 시황자료를 통해 일별 개입자료(실개입 및 구두개입)를 구축하였다. 개입자료의 군집성 등을 고려하여 시계열분석보다는 사건연구에 의존하여 개입의 유효성을 검증하였다. 사건연구는 개입자료에서 개입 이벤트를 선정한 다음에 개입 이벤트의 성공률을 추정하고 비모수부호검정 기법을 통해 개입 성공률의 유의성을 검증하는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국내 외환당국의 시장개입은 원/달러 환율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개입과 구두개입의 영향력을 비교한 결과, 구두개입보다는 실개입의 영향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일회성 개입보다는 반복적 개입이 더 유효하다는 결과를 발견하였다. We conduct an empirical analysi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foreign exchange market interventions in Korea. Daily data of both actual and oral interventions are constructed using information extracted from media articles and market reviews of the Korean Money Brokerage Corporation during the period from January 2000 to December 2018. We employ an event study approach to take into account the clustering feature of constructed intervention data. The event study is implemented by identifying intervention events from the intervention data, estimating their success rates, and verifying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success rates through a nonparametric test. Our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We find that interventions in the Korean foreign exchange market exert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won/dollar exchange rate. Actual interventions are estimated to have greater influence than oral interventions. Repeated interventions are found to be more effective than one-time interventions.

      • 국내 가출청소년 연구동향과 개입방안 : 2010년부터 2017년을 중심으로

        박수련(Su Ryeon Park),이주영(Ju Young Lee) 단국대학교 상담학연구소 2018 상담교육연구 Vol.1 No.1

        가출청소년은 심리적·정신적·신체적 위험이 크고 비행이나 범죄로까지 이어지게 될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가출의 주된 원인은 가족과의 갈등, 부모의 학대·방임이 지속적으로 보고되고 있는 것으로 보아, 가출청소년을 집에 돌려보내는 것만을 궁극적인 목표로 보기 어렵다. 즉, 가출이라는 동일한 환경에서 가정복귀 뿐만 아니라 사회복귀, 심리적건강이라는 긍정적 현상을 위한 연구자들의 다양한 접근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최근 국내 가출청소년 연구동향을 파악함으로써, 가출청소년을 이해하고 긍정적인 현상을 위해 필요한 연구와 개입에서의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먼저 2010년부터 2017년까지의 KCI등재, KCI등재후보지 총 72편을 대상으로 연구출현빈도, 연구분야, 연구대상, 연구방법, 연구주제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연구주제에 따른 연구내용을 구체적으로 살핌으로써, 가출청소년의 긍정적인 현상을 위한 보호요인과 위험요인을 파악하였다. 분석결과, 가출청소년 연구는 최근 들어 감소하고 있고, 상담, 심리분야에서의 연구가 다른 연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구대상은 일반청소년과 쉼터청소년이 전체의 3분의 2를 차지하였으며, 연구방법에서 설명적연구와 통계DB분석이 많이 사용된 반면, 실험연구가 매우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주제는 원인 33.3%, 특성29.2%, 개입16.7%, 경험15.3%로 나타나 상대적으로 개입연구가 적은 것을 알 수 있다. 연구주제에 따른 연구내용을 자세히 살펴봄으로써, 가출청소년의 긍정적인 현상을 위한 보호요인과 위험요인을 개인·가족·사회측면에서 정리하였고, 이를 통해 추후 필요한 연구의 영역을 제시하고 개입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Objectives: A runaway youth can be exposed to psychological and physical harm and the possibility of committing a crime is high. Because the main cause of runaway youth is family conflict, just returning them home is not the only ultimate goal. To improve their development, some need to go home and others need rehabilitating. Methods: With this goal, we analyzed recent research trends about runaway youth to understand them, and what should be researched more. We analyzed a total of 72 research results from the KCI, some are registered while the others, and the criteria is frequency, specialty field, research objects, methods and themes. Results: The number of the research on runaway youth has been decreased recently. Less research have been done in counseling and psychology field than the other research field. Conclusions: We focused on understanding the protective factors and risk factors related to runaway youth in view of individual, family, and society perspective. Through this study provided implications for the future research and intervention plans for positive phenomenon of runaway youth.

      • KCI등재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조기개입 관련 연구 동향 분석: 국내 학술논문 중심으로

        문소영,이소현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23 유아특수교육연구 Vol.23 No.1

        The purpose of his study was to analyze research trends related to early intervention for infants and toddlers through keyword network analysis. To do thi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tendency of articles published in domestic journals by year and journal. The research conducted network analysis on the keywords that appeared in studies. Results First, 142 studies related to early intervention for infants and toddlers were published by 2022 since 1993. The largest number of studies were published in the journal of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Secondly, the main keywords were identified as ‘infants and toddlers’, ‘disabilities’, ‘early intervention’, ‘developmental delays’, ‘young children’, ‘autism spectrum disorder’ in order of high frequency. The result of keyword network analysis showed that ‘developmental delays’ and ‘autism spectrum disorder’ were identified as important group keywords having high connection centrality. This study’s implications for the research trends of domestic journals related to early intervention with infants and toddlers were examined through keyword network analysis. 본 연구는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방법을 활용한 국내의 장애 영아를 위한 조기개입 관련 연구 동향 파악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조기개입 관련 검색어를 조합하여 검색 수집한 국내 학술논문을 대상으로 학술지에 발표된 시기별 및 학술지별 경향을 파악하였다. 또한 선정된 논문에서 제시한 주제어에 대한 키워드 네트워크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1993년부터 2022년까지 총 142편의 조기개입 관련 논문이 게재되었으며, 관련 논문이 가장 많이 발표된 학술지는 유아특수교육연구로 나타났다. 둘째, 국내 학술지에서 조기개입 관련 키워드는 ‘영아’, ‘장애’, ‘조기개입’, ‘발달지체’, ‘영유아’, ‘지원’, ‘자폐범주성장애’ 순으로 높은 빈도를 보였으며, 키워드 중심성 분석 결과 조기개입 관련 주요 연구 주제는 ‘발달지체’, ‘자폐범주성장애’로 파악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장애 영아를 위한 조기개입 관련 연구 동향을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서 거시적 관점에서 연구 주제어 관계를 나타내 보았음에 의의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장애 영아를 위한 조기개입 관련 연구가 다양한 예방적 차원에서 접근이 이루어져야 함을 보이고, 다 학문 분야 간의 협력을 위한 효율적인 의사소통의 기반이 마련되어야 하는 등의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교사의 정신건강문제 예방 및 치료적 개입 관련 국․내외 연구 현황

        이혜은(Lee Hye Eun),김지혜(Kim Ji Hy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cent research trends of preventive and therapeutic intervention for teacher s mental health problems an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es. From 1991 to 2018, 67 articles were selected from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journals, and the criteria for analyzing the research trends were six categories: basic information, research subjects, research methods, analysis methods, measurement tools and research topics. As a result of the study, for trends by year bo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studies have been consistently in progress until now. Second, for the trends of study subjects, studies using a mixture of various teachers were 53.33% in domestic studies and 43.24% in international studies, but studies that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specific subject are insufficient. Third, quantitative researches were most used in bo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studies, and mixed researches, qualitative researches, and literature researches were very small compared with quantitative researches. Fourth, analysis methods were most frequently used in order of analysis of variance, t-test, and correlation analysis. Fifth, measurement tools have been used variously in bo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studies. In particular, domestic studies have been used measure tools translated from overseas studies, so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eacher scale suitable for domestic situation was requested. Lastly, research on coping-related research in domestic studies and therapeutic intervention research in international studies took a large part, and in Korea, interest in preventive and therapeutic intervention studies was need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suggest important implications and follow-up studies for preventive and therapeutic intervention for teacher s mental health problems.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 정신건강 문제를 위한 예방 및 치료적 개입에 관한 최근 연구 동향을 분석하여, 향후 연구의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있다. 1991년부터 2018년 까지 국ㆍ내외 학술지논문 총 67편을 분석대상 논문으로 선정하였고, 연구동향을 분 석하는 기준은 기본정보, 연구대상, 연구방법, 분석방법, 측정도구, 연구주제의 6가지 영역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연도별 동향은 국․내외 연구 모두 최근까지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왔다. 둘째, 연구대상별 동향은 다양한 교사들을 혼합한 대상을 적용한 연구가 국내 53.33%, 국외 43.24%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지만 대상별 특성을 반영한 연구는 미흡하였다. 셋째, 연구방법별 동향은 국․내외 모두 양적연구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고, 양적연구에 비해 혼합연구, 질적연구, 문헌연구는 매우 미미한 수준이었다. 넷째, 분석방법은 변량분석, t-검증, 상관분석 순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다섯째, 측정도구는 국내․외 연구 모두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었다. 특히 국내연구에서는 대부분 번안된 국외측정도구가 사용되고 있어서, 국내 상황에 적 합한 교사용 척도 개발과 타당화 연구가 요청되었다. 마지막으로, 연구주제별로 살펴보면, 국내연구는 대처관련 연구가, 국외연구의 경우 치료적 개입 연구가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 국내연구의 경우 예방 및 치료적 개입 연구에 대한 관심이 요청되 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교사 정신건강 문제를 위한 개입과 관련하여 주요 시사점 및 후속연구를 제안하였다.

      • KCI등재

        인터넷 게임이용 장애 개입 프로그램에 관한 체계적 고찰 : 2001년~2021년 국내 학술지 대상으로

        신지연(Shin, Jiyeon),박신영(Park, Shin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6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인터넷 게임이용 장애 개입 프로그램에 대해 체계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효과적인 인터넷 게임이용 장애 개입 프로그램 개발 및 구성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방법 이를 위하여 2001년 1월부터 2021년 2월까지 국내에서 출간된 문헌 중 KCI 등재 후보 이상의 학술지를 대상으로 ‘인터넷 게임’, ‘중독’, ‘과몰입’, ‘과의존’, ‘문제적 사용’, ‘인터넷 게임이용 장애’, ‘치료’, ‘중재’, ‘프로그램’과 같은 용어들로 검색하고, 선정기준과 배제 기준을 바탕으로 최종 28편을 선별하여 인터넷 게임이용 장애 개입 프로그램 연구 동향과 프로그램 내용을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질적 근거는 Ⅰ수준이 19편(67.9%), Ⅲ수준이 7편(25%), Ⅳ수준이 2편(7.1%)이었다. 연구 동향은 2011~2015년 사이의 논문이 11편(39.3%)으로 가장 많았고, 개입 유형은 인지행동치료와 자기관리가 각각 6편(21.5%)으로 가장 많았으며, 인터넷 게임이용 장애를 평가하기 위해 인터넷중독 측정용 K-척도의 용어수정이 5편(17.9%)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둘째, 일반적 특성 및 개입 형태는 중등 대상이 13편(46.4%), 기간은 4주~8주 프로그램이 14편(50%), 8회기 프로그램이 8편(28.6%)으로 가장 많았고, 효과의 지속을 알아보기 위한 추후 평가를 진행한 연구는 7편(25%)이었으며, 부모를 참여시킨 연구는 6편(21.4%)이었다. 셋째, 내용 및 결과는 연구 별로 각각 정리하여 제시하였는데, 대부분의 연구가 개입 후 통제집단과 유의한 차이를 보고하였고, 자기통제력, 자기효능감, 게임조절동기 등의 긍정적인 요소는 증가하였으며, 우울, 불안, 스트레스, 게임사용 시간, 게임이용 장애 정도와 같은 부정적인 요소는 감소하였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가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가 되어 인터넷 게임이용 장애 개입을 위한 효과적인 도구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and composition of an effective intervention program for Internet Gaming Disorder(IGD) by systematically analyzing IGD intervention programs. Methods For this purpose, we analyzed the research trends and program contents of intervention programs in IGD by selecting them through systematic review among the literature published from January 2001 to February 2021 targeting academic journals with KCI registered or candidate for KCI registration. Results First, the qualitative evidences were 19 theses (67.9%) level Ⅰ, 7 theses (25%) level Ⅲ, and 2 theses (7.1%) level Ⅳ. As for the study trend, 11 theses (39.3%) were the most research theses between 2011 and 2015, and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and self-management were the most common types of intervention with 6 theses (21.5%). And 5 theses (17.9%) used the modified K-scale, that the most frequently used measure for IGD. Second, characteristics of studies and form of intervention, 13 theses (46.4%) for middle school student, 14 theses (50%) for the 4- to 8-week program, and 8 theses (28.6%) for the 8-session program were the most common. Also, 7 theses (25%) were conducted further evaluation to determine the continuation of the effect, and 6 theses (21.4%) involving parents. Third, the contents and results were summarized and presented for each study. And most of the studies reported significant differences from the control group after the intervention, and positive factors such as self-control, self-efficacy, and game control motivation increased, and negative factors such as depression, anxiety, stress, game use time, and game use disorder decreased. Conclusions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n effective tool as a basic data for program development for intervention in Internet Gaming Disorder.

      • KCI등재

        성폭력가해자를 대상으로 한 개입 프로그램의 국내 연구동향

        김정내,이종연 한국교정복지학회 2017 교정복지연구 Vol.- No.5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on intervention programs for sex offender, in order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intervention programs and to set up future research direction. For the purpose, this study analyzed 15 theses and 34 journal articles from 1999 to 2017 which were classified into the following criteria: research time, publication journal, research subject, research method, development status, subject, operation and effectiveness factor.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research studies started to increase from 2006, and there were the most in 2014, and the most frequently published journal was 'correctional and probation field'(41.2%). In terms of the participants, there were many articles on probation(44.9%) and prison sentence(38.8%), and in terms of gender, articles of male subjects occupied the majority(87%). In terms of research design, 53.1% of one-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ere used more the half of them. In terms of data analysis method, quantitative analysis(53.1%) was used the most, followed by mixed analysis(32.7%) and qualitative analysis(14.3%). In terms of program development, the newly developed program(40.8%) was more than the programs that were approved or restructured, and in terms of theory, cognitive behavior therapy intervention programs were the most frequent with 24.5%. In terms of program operation type, most of them were closed-type group(48%). In terms of group leader composition, the ratio of the main and auxiliary leaders together was remarkably high at 71.4% and the ratio of only the main host was 14.3%. In terms of group size, less than 6-10 persons accounted for more than half of 57.1%, and in terms of operation time per session, the most were those with more than 90 minutes and less than 120 minutes with 46.9%. Finally, in terms of effectiveness factor, cognitive distortions and irrational beliefs(26.4%) were the most frequent, in particular, there were many articles that lowered rape myth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ications were discussed and further research studies were suggested. 본 연구의 목적은 성폭력가해자를 대상으로 한 개입 프로그램의 연구동향을 분석하여, 개입 프로그램의 현황을 살펴보고 향후 연구방향에 대한 설정과 발전적인 연구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1999년부터 2017년까지 발표된 학위논문 15편과 학술지논문 34편을 대상으로 연구시기, 게재 학술지, 연구대상, 연구방법, 개발여부, 주제, 운영, 효과성 요인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연도별로는 2006년도를 기점으로 연구가 증가하기 시작하여 2014년도에 가장 많이 이루어졌으며, 학술지별로는 교정‧보호관찰 분야(41.2%)에 가장 많이 게재되었다. 연구대상자별로는 보호관찰대상자(44.9%)와 교도소수형자(38.8%)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많았으며, 성별로는 남자대상의 연구가 98%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연구 설계별로는 단일집단 사전‧사후검사 설계가 53.1%로 과반수이상으로 현저히 많이 사용되었고, 자료처리는 양적 분석(53.1%), 혼합 분석(32.7%), 질적 분석(14.3%) 순으로 많이 사용되었다. 프로그램 개발여부별로는 새롭게 개발된 프로그램이 40.8%로 공인된 프로그램을 적용하거나 재구성한 연구보다 많았으며, 프로그램의 주제별로는 인지행동치료 개입 프로그램이 24.5%로 가장 많았다. 프로그램 운영에 따른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형태별로는 폐쇄형으로 운영된 집단이 48%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진행자 구성별로는 주진행자와 보조진행자가 함께 구성된 비율이 71.4%로 현저하게 높았고, 주진행자로만 구성된 비율은 14.3%였다. 집단크기별로는 6-10명 이하가 57.1%로 과반수이상을 차지하였고, 회기당 운영시간별로는 90분 초과에서 120분 이하가 46.9%로 가장 많았다. 끝으로 효과성 요인별로는 인지적 왜곡‧비합리적 신념의 수정(26.4%)이 가장 많았는데, 특히 강간통념이 낮아진 연구가 많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논의와 후속 연구에 대한 제안이 이루어 졌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