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개인의 성격이 반영된 개인공간에 관한 연구 -TV드라마 주인공의 공간을 중심으로-

        김우현 ( Woohyun Kim ),이정교 ( Junggyo Lee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7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2 No.3

        (연구배경 및 목적) 공유의 중요성이 대두되는 사회 속에서 현대인들은 자의·타의로 인해 프라이버시를 보장받지 못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자신 스스로에 대한 갈망이 높아지며, 자기 존중감을 고취시키고자 하려는 모습이 보인다. 이러한 노력은 소득 수준이 향상되고, 삶의 여유(경제, 시간, 마음)가 생기면서 `나`에 대한 갈증을 충족시킬 수 있는 공간을 소유하고자 하는 형태로 사회 속에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현상을 배경으로, 본 연구는 다양화 된 개인의 욕구(Needs)를 충족시킬 수 있는 공간해석 프로그램 및 방법으로 개인의 성격이 반영된 개인공간의 개념 및 필요성을 해석하고, 개인공간의 특성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진행은 다음과 같다. (연구방법) 첫째, 개인공간의 개념을 이론적으로 고찰하고, 개인공간의 정의를 제시한다. 둘째, 개인공간에 대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개인공간의 특성 및 키워드(key word)를 도출하고, 각 특성에 대한 디자인요소를 정의한다. 셋째, 성격심리학의 대표 학자들(울포트, 아이젠크 등)의 이론을 성격의 개념을 정의하는데 사용하며, `성격5요인 이론`을 개인의 성격 분석 도구로 활용한다. 넷째, 상기 과정에서 도출한 개인공간의 특성과 `성격 5요인 이론`을 바탕으로 사례분석 모형을 제안한다. 다섯째, 개인공간을 규명하기 위하여, 최근 3년간 방영된 드라마 중 인물의 심리에 중점을 두고 있는 드라마 내 주인공의 개인공간을 사례로 선정하여 상기 분석 모형을 이용해 종합 분석한다. (결과) 개인공간은 `경계`, `개인화`, `상징성` 세 가지의 특성을 가진다는 결론에 도달할 수 있었다. 개인공간의 특성들은 모두 개인의 성격이 반영된 요소들로 공간에 표현됨을 사례분석을 통해 확인 할 수 있었다. 성격 5요인 중 가장 감정적인 요인인 `신경증`은 특히, 개인공간에서 `상징성`과 밀접한 관계를 보이며, 자아를 표현하는 상징물(오브제)로 공간에 두드러지게 표현됨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개인의 성격이 개인공간의 특성에 반영되어 시각화될 때, 개인공간과 개인(사용자)과의 개연성이 매우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개인공간을 디자인하고 구성하는 데에 있어 더욱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 이를 통해, 개인공간의 특성에 공간 사용자의 성격이 중요한 인자로 적용되며, 개인공간 디자인에 핵심적 디자인 인자로 활용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현대사회에서 개인공간이 특별한 개념과 경향으로 다양성을 갖고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래서 향후 개인공간 특성에 대한 연구를 통해서 더욱 다양한 콘텐츠로 진화되는 개인공간의 연구에 가이드라인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Today, the importance of public ownership is becoming an issue as more people report a lack of privacy in their surroundings. Having a private space set aside for relaxation can dramatically increase one`s happiness and sense of fulfillment. Based on this, the current study will analyze the concept of and need for personal spaces that reflect the individuality of the user, using a space analysis program and methodology addressing diversified personal needs. (Method) Firstly, this study examines the theoretical concept of “personal space” to suggest an appropriate definition for this term. Second, this study, based on previous research on this topic, seeks to determine the key physical characteristics of personal spaces, define design factors for each characteristic, and examine how people talk about such spaces. Next, the theories of major scholars in personality psychology, particularly Wolford and Aisen, are consulted in order to define the concept of personality, after which the “personality 5 factor theory” will be tested as a tool for analyzing each personality type. Fourth,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personal space and the personality 5 factor theory derived from the above process, this paper will suggest a case model for use by future scholars. Fifth, in order to identify personal space, limit drama that focuses on person`s mind shown in the last 3 years and select by case of drama`s main character`s personal space, and proceed with a comprehensive analysis using the above framework. (Results) The authors concluded that personal space has three characteristics: boundary, personalization, and symbolism. Case analysis confirms that each characteristic is expressed in relation to personality factors. Among these three characteristics of personal space, boundary came out to be the space user`s `openness` and `extroversion`, and symbolism reflects largely on `neurosis` among the personality five factors. Lastly, we found out that an ideal personal space reflects the user`s personality while also balancing all three of the characteristics presented above. (Conclusions) From these results, the authors determined that the user`s personality is the main design factor in creating a personal space. This indicates that contemporary personal spaces are diverse in both concept and design, depending on the individual. Finally, this study aims to serve as a guideline for future studies on the characteristics of personalized spaces, even as these spaces are becoming more evolved and containing more diverse contents than ever before.

      • KCI등재

        개인주거공간의 공간 특성별 컬러선택과 개인 선호컬러와의 관계

        박태욱 ( Park Tae Wook ),최미영 ( Choi Mi Young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6 기초조형학연구 Vol.17 No.6

        현대주거공간에서 컬러는 중요한 디자인 요소로서 물리적 분석대상으로 뿐 아니라 인지적 분석대상으로의 접근이 요구된다. 특히 개인주거공간에서의 컬러는 공간 사용자의 컬러선호도와 공간의 기능, 용도, 특성 등의 다양한 요소들로 인해 복잡한 선택 프로세스를 거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공간특성별 컬러선택 행동의 특성과 공간 사용자의 연령에 따른 차이를 컬러차트를 통한 실험연구를 통해 정량적으로 밝히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선호 컬러 측정을 위한 컬러 자극물을 개발하였고 4가지 유형의 개인 공간에 대한 인테리어 선호컬러와 개인 선호컬러를 설문을 통해 조사한 후 공간특성과 응답자 특성을 고려하여 이에 대한 관계를 통계적으로 검증하였다. 개인주거공간의 공간구분은 공간특성을 고려하여 사적공간과 공용공간, 위생공간으로 구분하였고, 공간의 기능성을 요구하는 작업공간과 정서적 효과를 중요시하는 생활공간으로 나누었다. 실증적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응답자들이 가장 선호하는 컬러는 파랑, 빨강, 흰색의 순이었고, 난색보다 한색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개인주거공간의 공간 특성별로 선호되는 컬러 계열과 컬러 톤이 존재하였다. 3) 개인 선호컬러와 인테리어 선호컬러의 일치율은 정서적 효과가 중요한 사적생활공간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공용생활공간은 기능적 효과가 중요한 사적작업공간보다 개인선호컬러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4) 개인주거공간의 공간특성별 컬러 영향력은 사적공간, 공용공간, 위생공간의 순으로 나타났고, 기능적 공간인 작업공간보다 정서적 공간인 생활공간이 컬러의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20대가 30대, 40대보다 개인선호컬러에 민감한 것으로 밝혀졌다. 실무적으로는 공간 특성과 공간 사용자 특성을 고려한 인테리어 컬러 기획을 토대로 공간의 가변적 마감재와 디자인의 개발 및 적용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보다 개성적인 공간연출을 기대하고 이로 인한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임으로써 인테리어 공간 디자인 기획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As color is an important design element in modern residential space, it requires access to cognitive analysis as well as physical analysis. Especially, the color of personal residential space goes through a complex selection process caused by diverse elements like space users` color preference, spatial function, use, and characteristics. This paper aims to quantitatively reveal the characteristics of color-selecting behaviors in each spatial characteristics, and also differences in accordance with space users` age through the experimental research with color chart. For this, the color stimulus was developed to measure preferred colors. After surveying the preferred personal color and the preferred interior color according to the four types of personal space, the relations were statistically verified by considering the spatial characteristics and respondents` characteristics. The personal residential space was divided into private space, public space, and sanitary space considering the spatial characteristics. It was also divided into work space demanding the spatial functionality and living space emphasizing the emotional effect. 1) Colors most preferred by respondents were blue, red and white, in order, and cold colors were preferred than warm colors. 2) There were color group and color tones preferred by the space characteristics of the personal living space. 3) The rate of correspondence between the personal preferred colors and interior preferred colors was found to be highest in the private life space where the emotional effect was important, and the public living space, 4) It was found that the color influence of space characteristics in personal residential space was the private space, public space and sanitary space, in order. The living space, which was the emotional space, was affected by colors more than the work space, which was functional space. Respondents in their 20s were more sensitive to the personal preferred colors than those in their 30s and 40s. It is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planning interior spatial design by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individual space display and also users` satisfaction by developing/applying variable finishing materials and design through the practical planning of interior color considering the spatial characteristics and space users` characteristics.

      • KCI등재

        개인적 공간을 위한 파티션 가구디자인-공유공간인 스타벅스와 엔제리너스카페를 중심으로-

        이태경 ( Lee Tai-kyoung ),김정 ( Kim Jung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2 한국디자인포럼 Vol.35 No.-

        여가시간의 증대, 가치관의 변화 등으로 삶의 질이 높아지면서 다양해진 문화는 경제적, 감성적 측면으로 소비자들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공간을 요구하고 있는 상황이다. 현재의 소비자들의 욕구가 무엇인지, 미래의 욕구는 어떻게 변화해 갈 것인가를 분석하여 그 간격을 줄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개인의 심리를 고찰하고 공유공간 내에서 개인의 프라이버시(Privacy)를 위해 공간보호를 할 수 있는 공유공간의 개념과 그 공간내의 파티션 설치와 그에 따른 디자인을 연구하고자 한다. 특히 공간은 소비자들의 욕구와 생활패턴의 변화상이 가장 구체적으로 반영되는 곳으로 현대인들의 요구를 적절히 수용 할 수 있도록 변화가 필요할 것이다. 공간 이용자는 단순히 물리적 공간으로서만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개성과 아이덴티티 그리고 심리적 안정감을 느껴 그 공간에서 소비하는 시간의 여유와 즐길 수 있는 공간이 되어야 한다. 이 논문에서는 최근 들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는 카페(Cafe) 중에서 스타벅스와 엔제리너스 공간을 대상으로 하며 디자인은 자연친화적 소재인 나무를 이용하여 곡선과 직선 그리고 식물문양을 중심으로 시각적 차단을 주목적으로 높이인 1500mm가 넘지 않는 파티션디자인 연구를 제시하게 됨에 따라 개인의 프라이버시를 지켜주고 심리적 안정감을 느낄 수 있도록 파티션 디자인을 제시한다. The increases of the female participation and of the time for leisure and changes in spiritual values and in lifestyle result to improvement of quality in life. So the resulting makes the consumers economically and emotionally need the space to meet their requirement. What the current needs of consumers, how changing needs of the future will go to the effort to reduce the gap analysis is required. In this study, the partition design presented as for the protection of personal space against shared space will be conducted for the protection of privacy and psychological comfort of individuals. In particular, the space needs of consumers and changing patterns of living that reflects the phase where the most specific needs of modern people can be accommodated so that appropriate changes will be needed. Space users, rather than simply used as a physical space, their own personality and identity, and feel the peace of mind in that space of time spent in leisure and enjoy the space should be. This paper continues to grow exponentially in recent years is targeted at Starbucks and Angelinus. Use environment-friendly material for the design curves and straight lines, trees and vegetation patterns based on visual attention blocks do not exceed the height of 1500mm to partition the design as presented research to maintaining the privacy of individuals in order to feel peace of mind partition design is presented.

      • KCI등재

        집합주택 내 개인 및 공유 공간 규모에 대한 거주자 인식

        이주회 ( Lee Ju Hae ),박태욱 ( Park Tae Wook ) 한국기초조형학회 2024 기초조형학연구 Vol.25 No.2

        본 연구는 집합주택 내 개인 및 공유 공간의 규모에 대한 거주자 인식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여 향후 주거 공간 기획 및 설계 과정에서 각 공간의 적정 면적을 선정하는 데 거주자의 요구와 기대에 부응하는 객관화된 디자인 기준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두 차례의 실증 분석을 하였다. 1차 실증 분석에서는 1970년부터 2023년까지 강남·서초·송파구에 20평, 25평, 30평 집합주택 평면을 수집하였고, 각 사례의 개인 및 공유 공간의 시계열적 면적 변화를 분석하였다. 2차 실증 분석에서는 앞서 수집한 평면 사례와 동일한 지역 및 규모의 집합주택 거주자 1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 조사를 통해 집합주택 내 개인 및 공유 공간 규모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집합주택 내 개인 공간보다 공유 공간 규모에 대한 거주자 요구가 더 높게 나타났고, 이는 1인 또는 3~4인 가구 유형과 관계없이 현재 국내 거주자의 보편적인 인식 특성임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집합주택 평면 내 개인 및 공유 공간의 시계열적 면적 변화를 분석한 결과에서는 최근 공유 공간의 면적 비중이 오히려 감소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고, 이는 현재 집합주택 시장이 거주자의 실제 수요를 시기적절하게 반영하고 있지 못함을 보여준다. 또한, 공유 공간 내에서는 주방 규모에 대한 요구가 거실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는 과거 주방보다 높았던 거실 규모에 대한 요구가 현재 역전된 것이나, 하지만 아직도 집합주택을 선택하는 과정에서 거주자는 거실을 가장 중요한 공간으로 인식하는 특성을 확인하였다. 이는 거주자가 실제 공간에서 생활하는 동안 공간별 규모 인식이 유동적으로 변화한다는 점을 보여준다. 따라서 향후 주택 내부공간 설계 시 유동적으로 변화하는 거주자 요구를 정량적으로 측정한 객관적 데이터를 기반으로 평면을 개발한다면 거주자의 기대와 만족도를 높이는 효율적인 디자인 접근이 가능할 것으로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quantitatively analyze perceptions of the size of private and shared areas in multiple dwelling units, and to provide objective design criteria to meet the needs and expectations of residents in selecting the appropriate dimensions for each area in future residential planning. In this study, we collected multiple dwelling unit plans in Gangnam-gu, Seocho-gu, and Sonpa-gu developed between 1970 and 2023, ranging in size from 66.0m² to 115.5m², and analyzed the changes in the size of private and shared areas over time in each case. We then conducted an online survey of residents living in multiple dwelling units of similar size in the same residential areas as the previously studied unit plans.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Residents’ demand for the size of the shared area is higher than that for the private area in collective housing, confirming that this is a generally perceived characteristic of current domestic dwellers, regardless of whether they live in a one-, three- or four-person household. However, when analyzing the time-series changes of private and shared areas within the multiple dwelling unit plans, the proportion of shared area has been decreasing in recent years, indicating that the current housing market does not reflect the needs of residents in a timely manner. In addition, the demand for kitchen size within the shared area is higher than the demand for living room size. While this is a reversal of the past trend of higher demand for living room size than kitchen size, we found that residents still perceive the living room as the most important area when choosing a new home. This shows that the perception of the size of each space changes fluidly as people actually live in the space. Therefore, when designing the interior space of future housing, it is recommended to develop floor plans based on objective data that quantitatively measure the needs of the residents, which will enable an efficient design approach to increase the expectations and satisfaction of the residents.

      • KCI등재

        행위 가능성에 의한 개인외 공간의 시각 민감도 향상

        박정호,김효정,백종수,이도준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2015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Vol.27 No.3

        The physical space around an observer can be divided into the peripersonal space that immediately surrounds the observer and the peripersonal space that cannot be reached by the observer’s hands and other body parts. Actions are mostly executed in the peripersonal space, in which visual processing integrates with somatic perception and enhances visual representations of objects. Recent studies have provided evidence that similar multimodal integration takes place in the extrapersonal space as well if tool-use enables an observer to act towards objects there. Here, we tested if action capability can improve visual sensitivity in the extrapersonal space. Participants performed a task in a distant screen of a computer by using a keyboard. The effect of action capability on visual sensitivity was measured in terms of contrast threshold. Experiment 1 compared threshold changes in one group of participants, who manipulated the movement of a target ball with those in the other group of participants, who did not have a chance to manipulate the ball movement. The improvement in visual sensitivity was greater in the action group than in the observation group. Experiment 2 allowed individual participants to manipulate the movement of a target ball in a part of the screen but not in another part of the screen. Participants showed greater improvement in visual sensitivity only in the screen area in which they were capable of moving the ball. These findings suggest that action capability activates actor-centered coordinate systems in parietal cortex, which in turn enhance visual representations of the extrapersonal space. 관찰자를 둘러싼 공간 중 손이나 발이 닿을 수 있는 공간과 그 바깥 공간을 각각 개인주변 공간과 개인외 공간이라 한다. 관찰자의 행위가 집중되는 개인주변 공간에서는 신체 감각과 통합된 시각 정보처리가 물체에 관한 시각 표상을 향상시킨다. 최근 여러 연구들은 개인외 공간에서도 관찰자가 도구를 사용하여 행위를 취할 수 있으면 개인주변 공간과 유사한 다중 감각적 통합이 발생할 수 있다고 보고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개인외 공간의 시각 표상이 행위 가능성에 의해 향상될 수 있는지 검증하였다. 참가자들은 손이 닿을 수 없는 거리에 위치한 컴퓨터 화면 속의 과제를 자판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실험 전, 후에 대비역을 측정함으로써 시각 민감도에 미치는 행위 가능성의 효과를 측정하였다. 실험 1에서는 화면에 제시된 공의 움직임을 직접 조작했던 행위 집단과 조작할 수 없었던 관찰 집단의 시각 민감도 변화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행위 집단의 시각 민감도가 관찰 집단에 비해 더 향상되었다. 실험 2에서는 행위 가능성을 참가자 내 설계로 조작하였다. 각 참가자는 공을 한쪽 화면에서는 움직일 수 있었지만 다른 쪽에서는 움직일 수 없었다. 그 결과, 공을 조작할 수 있었던 위치의 시각 민감도가 다른 위치의 시각 민감도보다 더 향상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행위 가능성에 의해 활성화된 두정엽의 행위자-중심 좌표 체계가 개인외 공간의 시각 표상을 향상시켰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 KCI등재

        비언어적 스토리텔링을 적용한 체험 마케팅 기반 기업 복합문화공간 디자인 연구

        정가을,이정교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3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8 No.7

        (연구배경 및 목적) 초연결사회에 살고 있는 지금 Ai(빅데이터와 알고리즘)를 이용한 ‘개인화 서비스’가 사용자들에게 새로운 형식의 라이프스타일을 제공하고 있다. 그로 인해 사용자들은 언어적 형식에 제한된 소통 방식이 아닌 더 직관적으로 체화할 수 있는 차별화된 소통 방식을 원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배경에서 현대의 기업들은 사용자에게 초개인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매체를 활용한 체험 마케팅 전략에 관심을 쏟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인간의 감각을 자극하는 공간의 비언어적 요소를 통해 사용자 맞춤형 스토리텔링 수단을 도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극대화된 감각적 체험을 제공하는 기업 복합문화공간 디자인 방향성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사용자의 감각적 체험을 극대화하기 위한 비언어적 스토리텔링의 주요 개념을 이론적 고찰한 후 선행연구를 통해 공간적 요소 및 특성을 도출한다. 또한 빅데이터 분석의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해 사용자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기업 복합문화공간의 구성 요소를 도출한다. 사례의 선정은 공간을 통해 체험 마케팅 전략을 선보이고 있는 기업 복합문화공간 4곳으로 선정했으며, 자료조사와 선행연구를 토대로 분석하여 종합 결론을 도출한다. (결과) 분석결과 현대카드의 ‘현대 카드 뮤직 라이브러리’, 이도의 ‘이도 세라믹 스튜디오’, BMW의 ‘BMW 드라이빙 센터’, SKT의 ‘T 팩토리’ 모두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키는 기업 복합문화공간의 요소가 전체적으로 적용되어있는 것으로 분석되며, 특히 브랜드 아이덴티티 공간, 체험 프로그램 공간이 높은 척도로 나타났다. 또한 4개 사례 모두 감각적 체험 극대화를 위한 공간적 특성에서는 조형성과 정보성, 유희성의 요소가 높은 척도로 나타났으며 이를 통해 시각과 촉각, 운동 감각이 공간의 비언어적 요소를 인지하고 감각적 체험을 높이는 데 큰 영향을 미치는 감각 체계임을 알 수 있었다. (결론) 따라서 기업 복합문화공간에서 사용자의 감각적 체험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기업의 정체성인 브랜드 비전과 방향성이 담긴 공간 및 기업의 차별화된 체험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공간이 필수적으로 구성되어야 하며 이와 적합한 감각 체계인 시각, 촉각, 운동 감각의 자극을 높여주는 조형성, 정보성, 유희성의 공간적 특성 요소가 특히 중요하게 공간에 반영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비언어적 스토리텔링을 기업 복합문화공간에 적용함으로써 공간을 통한 초개인화 서비스 실현의 긍정적 가능성을 제시하는 데 의의가 있으며, 차후 기업의 체험 마케팅 기반 복합문화공간 디자인 전략 수립에 있어 발전적인 연구자료로 활용되길 바란다.

      • KCI등재

        공간의 형성을 통해 본 식민지 지식인들의 몽상과 이상

        김우영(Kim, Woo-Young) 구보학회 2010 구보학보 Vol.6 No.-

        집과 같이 아주 작은 공간에서부터 대도시에 이르기까지, 구획된 공간은 그 안의 인간의 삶과 생각을 지배한다. 특히 근대적 공간이 탄생한 이후, 전통적 공간 안에서와 달리 그 안의 사람들은 다른 의식 세계를 형성할 수 밖에 없었던 것은 당연하다. 조선의 문인들은 근대적 공간이 갖는 양가성을 인식하면서, 공간 구획이 갖는 폭력을 다양한 방식으로 넘어서고자 했다. 온전히 사적이고 개인의 내밀성이 보장받는 새로운 공간의 탄생은 기존 전통제도, 사회와의 관계와 절연한 근대적 개인을 탄생시킨다. 이 과정에서 ‘문화주택’과 같은 주택 개량 움직임이 결부된다면 이는 더욱 가속화될 수 밖에 없으며, 이런 새로운 공간 안에서 개성을 지닌 개인은 『화분』에서의 미란처럼 예술가로 거듭날 수 있게 된다. 물론 『화분』에서의 ‘푸른 집’과, 별장은 한편으로 그곳에 거주하는 인물인 현마, 세란, 단주의 욕망이 들끓는 장소로 파멸의 공간이 되기도 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따라서 문화주택의 전형을 지닌 것으로 묘사되는 『화분』의 집들은 그 자체로 한계를 지닐 수 밖에 없었던 것이다. 이태준의 경우 ‘집’이라는 공간이 갖는 근대적 의미(실용주의, 기능주의)를 적극적으로 수용하면서도 파시즘적 논리에 포섭되지 않는, 주택과 마을의 건설을 꿈꾸는데, 이는 ‘조선적 미의식’과 연결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과정에서 ‘조선적 미의식’은 단순한 노스탤지어가 아니라 장소의 정체성, 나아가 조선의 ‘혼’을 담는다는 점에서 시대를 넘길 수 있는 힘을 가진 것으로 이해된다. From a very small space, like ‘house’, to such as cities, very large space, ‘compartmentalized space’ is dominant, human life and thinking. Especially since the birth of modern space, unlike in traditional spaces, of course, people were forced to form a new sense system. Intellectuals of colonial Korea recognized the ambivalence of ‘modern space’ so they tried to overcome the violences in ‘compartmentalized space’ in various ways. Creation of complete private and personal space, give birth independent modern individuals who insulated existing institutions and societies. In this process, the movement of ‘Culture housing(文化住宅)’, related ‘Improving housing’ can only accelerate this situations. Within this new space, individuals with personality, such as ‘Mi-ran’ in 『Hwa-bun(花粉)』(Lee hyo-seok’s novel) will be able to be reborn as an artist. Of course, we could verify that as the space ‘Blue House’ and ‘Villa’ in 『Hwa-bun』 are infested ruin of a peoples desire and destroyed thoroughly. Thus, depicted as the epitome of modern houses in the 『Hwa-bun』in the houses not only can have their own limitations. In the case of ‘Lee Tae Jun’s, he dreams of the construction of a particular space, ‘house’ with a modern sense of the space (pragmatism, functionalism), fascism is not subsumed. And we were able to verify it related with ‘Aesthetic of Korea’. ‘Aesthetics of Korea’ has the power to overcome the era, moreover that is not simple nostalgia for the past, but Korea’s ‘soul’, and identity of place.

      • KCI등재

        개인의 성격 5요인에 따른 프로덕션 디자인에 관한 연구-타임 슬립 드라마의 사례 비교를 중심으로-

        엽동주 ( Dongzhou Ye ),양지윤 ( Jiyun Yang ),김주연 ( Jooyun Kim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8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3 No.6

        (연구 배경 및 목적) 시대의 발전에 따라 대부분의 현대인들은 각자 바쁜 일상생활로 인해 가족 간 공유하는 시간이 줄어들면서 여가 시간을 가족과 함께 시간을 보내는 대신 다양한 방식으로 오락을 즐기고 있다. 그 중 드라마는 바쁜 현대인들에게 인기가 있는 오락거리 중 하나이다. 컴퓨터 그래픽 기술이 발달하면서 드라마도 다양한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타임 슬립 드라마가 유난히 사람들에게 관심과 사랑을 받고 있다. 그 이유는 타임 슬립 드라마의 판타지 특징상 과거로 돌아가 현재 세계에서 느낄 수 없는 인간적 따뜻함과 과거의 향취를 느낄 수 있기 때문이다. 이 논문의 연구 목적은 타임 슬립 드라마 내 프로덕션디자인이 현대 공간과 과거 공간을 통하여 인물의 성격을 표현하는 표현 방법의 차이를 분석하고 나아가 과거 공간과 현대 공간에서 나타나는 극 중 인물 성격의 표현법을 연구 제시하고자한다. (연구방법) 본 논문은 극중의 과거 공간과 현대 공간을 넘나들며 인물의 성격을 표현하는 방식을 고찰 연구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은 한국과 중국의 인기 타임 슬립 드라마를 선정하여 그 속 주인공들이 등장 하고 있는 공간의 배경을 분석하고, 구조, 색상, 소재, 장식, 효과 등 5개 공간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결과) 프로덕션디자인 공간의 구성요소는 구조, 색상, 소재, 장식, 효과 5개 위주로 나누어 된다. 성격의 5요인은 외향성 (E:Extraversion), 개방성(O:Openness), 친화성 (A:Agreeableness), 성실성 (C:Conscientiousness), 신경성(N:Neuroticism)의 5가지 유형이 있다. 사례 분석을 통해 나타난 결과는 과거 공간에서는 색채로 인물의 성격을 표현하는 경향이 높은 반면에 구조로 인물의 성격을 표현하는 경향이 비교적 낮다. 현대 공간에서는 장식으로 인물 성격을 표현하는 경향이 높은 편이며, 재질로 인물의 성격을 표현하는 경향이 비교적 낮다. 과거 공간과 현대 공간을 비교해 볼 때 과거 공간에서는 색채와 장식 요소를 통해 인물의 성격을 표현하는 경향이 현대 공간에서 보다 많지만, 구조, 장식, 효과 요소가 현대 공간 보다 적다. 과거와 현대의 공간에서 인물의 성격을 표현할 때 가장 많이 사용되는 공간 구성 요소는 바로 색채와 장식이다. (결론) 드라마에서 공간의 역할은 일반적으로 분위기를 돋우고 캐릭터의 성격을 부각시키는 기능이다. 사례 분석을 통해 나온 결과를 보면 과거 공간과 현대 공간에서 인물의 성격 표현 방식은 크게 다르지 않지만 과거 공간에서는 주로 색채로 인물의 성격을 표현하고 현대 공간에서는 장식으로 표현하는 차이가 있었다. 공간의 구성요소 중 구조는 인물의 지위와 재력을 더 많이 표현하고, 재질은 인물의 취향 뿐만 아니라 인물의 재력을 어느 정도 표현하고 있다. 효과는 주인공이 처해있는 그 당시의 심경과 전반적인 분위기를 표현하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타임 슬립 드라마의 프로덕션 디자인의 공간 구성요소에 따라 개인 성격 5요인을 고려한 인물의 성격을 표현하는 방식이 앞으로 더 다양해지기를 기대하며, 더 나아가 이런 공간을 잘 보존하여 사람들이 극중 생활환경을 관람하고 체험할 수 있는 테마 파크 공간으로 활용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In this fast-changing era, most people prefer filling their leisure time with entertainment activities rather than staying with their families. Watching television is one of these activities, and technological advancements have led to a prosperous television industry. Time-travel dramas are especially loved by viewers because in addition to the world of fantasy they create, they can revive past times and allow viewers to experience the warmth that is missing between people in the current era.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differences in the ways in which modern and historical settings display characters through the analysis of time-travel drama series. (Method) In order to have an overall analysis on the theme, the most well-known drama series in China and South Korea in recent years are adopted in this study. This study examines the settings and protagonists from five major space constructing elements, namely structure, color, material, decoration, and effect, and analyzes design differences that show the characteristics of protagonists. (Results) In the space setting design, there are five main constructing elements: structure, color, material, decoration, and effect. In addition, there are five prominent features of personality: extroversion, openness, agreeableness, conscientiousness, neuroticism. In historical space settings, color is frequently used rather than structure to demonstrate character, while in modern space settings, decoration is an important way to portray personality, and material is rarely employed. The comparison between modern and past settings tells us that in general, color and decoration is preferred by past settings and structure, decorations, and effects are more frequently used in modern settings. Both in modern and historical space designs, color and decoration are the most commonly used elements in character shaping. (Conclusions) In television dramas, space settings play a role in illustrating emotions and atmospheres and portraying characters. It has been concluded that although there is no major difference in the portrayal of characters in historical and modern settings, a difference can be observed in the deployment of space constructing elements: in historical settings, color is used to display personality, while in modern settings, decoration assumes this task. Structure mainly represents social status and property; material can be used to display a character’s taste and financial situation; and effects are usually used to express the mood of a character and the overall atmosphere at a certain time. This study shows that based on the five factors of personality, the ways to display personality through production space design in time-travel television series will tend to be more diverse. Moreover, it will be of great meaning if such kind of television drama settings can be saved and freed from destruction after shooting and subsequently developed into theme parks so that people can experience the lives of the protagonists.

      • KCI우수등재

        개인위치정보 보호권리를 고려한 개인모빌리티 데이터 활용에 관한 연구

        이원도(LEE, Won Do) 대한교통학회 2022 대한교통학회지 Vol.40 No.5

        사물인터넷 기술기반 스마트센서가 포함된 스마트 기기는 휴대가 간편하여 일상생활에 큰 영향을 끼치지 않으면서, 개인 일상생활에서 변화하는 공간의 시계열적 변화에 따른 다양한 환경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특히, GPS센서와 다양한 환경대기오염물질 측정센서와 결합된 휴대용 스마트 기기는 실시간으로 수집되는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대기질 정보를 연동하여, 개인별 통행에 따른 공간단위별 대기오염노출 위험도의 시계열적 변동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참여기반의 센싱 데이터 수집방식은 기존 시스템에서 다루지 못하는 사각지대를 해소하고, 공유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의 활용을 통해 향상된 정책의사결정과 삶의 질 제고에 기여할 수 있다. 하지만, 공공의 이익을 위해 작성, 공유되는 공간정보에는 민감한 개인위치 정보가 포함되어 있어 사생활 노출의 위험이 존재한다. 이에, 위치정보 수집, 이용, 또는 제공에 있어 법률 혹은 규제와 같은 안전한 이용환경 조성을 통한 개인위치정보의 보호와 권한설정에 대하여 익명화 및 비식별화 처리와 같은 새로운 노력이 요구되고 있다. 하지만 개인 모빌리티 데이터의 적절한 비식별화 방법 및 수준에 대한 연구가 거의 없는 것으로 보인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개인 모빌리티 데이터의 공간단위 집적을 통한 개인위치정보 보호권리의 평가를 공간정보의 정확도와 다양성 지수변화를 통해 살펴보았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참여기반의 데이터 수집 연구결과의 활용의 가이드라인으로서, 분석결과의 시각화를 위한 대시보드 작성 및 연구데이터 제공을 위한 적절한 비식별화 수준의 기초연구로서 활용될 수 있다. By leveraging smart-sensing technologies, personal exposure to air pollution is examined by integrating daily trajectories with measured pollutant concentrations across time and space. This novel approach can guide us towards a better understanding of how individual mobility patterns contribute to personal exposure. However, there is a lack of capable confidentiality-preserving methods to manage and disseminate personal mobility data. It raises serious concerns about the inferential disclosure of private information. This task is archived through assessing Geoprivacy. The research investigates the effectiveness of geomasking techniques for publishing personal mobility data. The balance point has been identified to establish the desirable trade-off between privacy protection and accuracy of geographic information. To this end, this study clearly shows the effectiveness of geomasking techniques for protecting the Geoprivacy of engaged volunteers in participatory sensing projects.

      • KCI등재

        공간정보 관련 법제도의 개선에 관한 연구

        허대원 ( Hur Dae-won ) 건국대학교 법학연구소 2016 일감부동산법학 Vol.13 No.-

        공간정보는 지상·지하·수상·수중 등 공간상에 존재하는 자연적 또는 인공적인 객체에 대한 위치정보 및 이와 관련된 공간적 인지 및 의사결정에 필요한 정보를 의미하며(국가공간정보기본법 제2조 제1호), 최근에는 단순한 위치에 관한 정보라는 의미를 넘어 다양한 정보와 결합하여 커다란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성장 동력으로 인식되어 이에 대한 관심과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공간정보에 대한 관심과 중요성이 증가하게 되었고, 정부는 국토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한 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률, 공간정보산업을 육성하기 위한 공간정보산업진흥법, 국가공간정보체계 기반 조성을 위한 국가공간정보기본법을 제정하여 관련 시장을 육성하고 체계를 강화하였다. 그 결과 오늘날 정부는 공간정보의 통합적인 관리체계를 기반으로 하여 유비쿼터스형 국토를 구축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고, 국토계획 및 이용·교통서비스 등 전통적인 공간정보의 활용 분야가 금융이나 보험과 같은 새로운 분야로 확대되고 있다. 그러나 구축된 공간정보의 비효율성, 개인정보보호 규정의 부재 등에 대해서는 아직 법제도적인 측면에서 보완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행 공간정보와 관련한 법제도의 개선방향의 제시에 목적을 두고 있으며, 이를 통해 체계의 신뢰성을 더욱 확보하고 관련산업 분야도 활성화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해 보고자 한다. The term “spatial data” means the locational data of natural or artificial objects existing in space, including the space above ground, space under ground, space above water and space underwater, and the data necessary for spatial identification and decision-making related thereto(National Spatial Data Infrastructure Act Article2 No1). Recently, spatial data goes beyond simple geo-information, it is recognized as a new growth engine for creating huge added value by convergence various informations. According to increase of interest and importance on the spatial data, the government established the “Act on the Establishment, Management, etc. of Spatial Data” constituting the efficient management of national land, the “Spatial Data Industry Promotion Act” rearing the spatial information industry, and the “National Spatial Data Infrastructure Act” constituting the national spatial data system basis in order to develop related market and systems. As a result, today, the government tries to construct Ubiquitous Country based on national spatial data infrastructure system, and the traditional application areas of spatial data such as national land planning and utilization traffic service are expanded to new service areas such as finance and insurance industry. However, several problems such as the disutility of constructed spatial data and the non-existing of provision on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led to the increased necessity for legislational and institutional aspect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improvement plans of legislational and Institutional structure about the spatial data in order to retain the reliability on spatial data system and revitalize related indust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