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시편 23장의 개념적 은유

        염철호 한국가톨릭신학학회 2012 가톨릭신학 Vol.0 No.20

        인지 언어학에서 은유란 구체적인 어떤 개념을 토대로 추상적인 개념을 체계적으로 구조화하는 것이다. 레이코프와 존슨에 따르면 우리가 사용하는 모든 언어적 표현들은 기본적으로 은유적인데, 그 이유는 우리가 생각하고 행동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바탕이 되는 우리의 일상적 개념체계 자체가 은유적이기 때문이다. 여기서 일상적으로 사용되는 은유 표현을 언어적 은유라 부르고, 그 은유적 표현들을 묶어 주는 상위 개념의 은유를 개념적 은유라고 부른다. 본고는 레이코프와 존슨이 제시하는 개념적 은유 이론을 바탕으로 시편 23장에 사용되는 은유들을 분석하고 있다. 이 작업을 통해 본고는 시편 23장의 히브리어 본문에서 다양한 존재론적 은유, 지향적 은유, 구조적 은유를 이용하고 있음을 발견했다. 그리고 여기서 사용된 개념적 은유들은 시편 저자가 직접 고안해 낸 것이 아니라 대개 민족 공통 체험인 ‘탈출과 광야 체험’을 토대로 한 민족 공통의 유산들로 이미 일상 언어 속에 고정되어 버린 것임을 알 수 있었다. 시편 23장은 저자가 이러한 개념적 은유들을 이용해서 자신의 고유한 종교적 체험을 시라는 형태로 표현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고는 시편 23장에 나오는 두 가지 구조적 은유, 곧 「하느님은 목자」, 「하느님은 주인」이 서로 아무런 연관성 없이 사용된 것이 아니라 ‘탈출과 광야 체험’을 토대로 서로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아울러 시편 저자가 「하느님은 목자」를 통해서는 ‘여정’이라는 측면을, 「하느님은 주인」을 통해서는 그 여정의 끝, 곧 ‘기쁨의 잔치’라는 측면을 강조하고 있음도 보게 되었다. 이 결론을 통해 우리는 시편 23장에 나타나는 두 은유가 서로서로 연결되지 않는 상이한 것으로 보고, 통일된 은유를 만들어 내기 위해 본문을 수정하려는 시도가 그릇된 것임을 지적할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를 진행해 가면서 본고는 개념적 은유 접근법이 성경 연구, 특별히 시어 연구에 도움이 된다는 사실을 확인하게 되었다. According to cognitive linguistics, a metaphor is understood to be a systematic structualization of an abstract concept, based on the basic logic of a concrete concept. Lakoff and Johnson say that all everyday languages are basically metaphorical because the conceptual system that we use in thinking and acting is metaphorical. Our everyday metaphorical language is called “linguistic metaphor” while a “conceptual metaphor” is reflected in our everyday language by a wide variety of linguistic metaphors. This paper analyzes metaphors in Psalm ⅩⅩⅢ, based on the Conceptual metaphor theory of Lakoff and Johnson and shows that there are various metaphors used in the Hebrew text of Psalm ⅩⅩⅢ such as ontological metaphors, orientational metaphors and structural metaphors. These conceptual metaphors were not those invented by the psalmist himself, but were already known because they were in common usage, based on the national common experience of the Exodus and the Wilderness and, thereafter, fixed in everyday language. In Psalm ⅩⅩⅢ, the psalmist expresses his proper religious experience through these common conceptual metaphors. In addition, this paper shows that two structural metaphors, namely, GOD IS A SHEPHERD and GOD IS A LORD, found in Psalm ⅩⅩⅢ, are not unconnected metaphors seperately inserted in the psalm. They are coherently connected, based on the common experience of the Exodus and the Wilderness. The former metaphor emphasizes JOURNEY while the latter emphasizes JOYFUL BANQUET. Therefore, it is a mistake to think that the two images of Psalm ⅩⅩⅢ are not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o modify the text in order to give consistency to Psalm ⅩⅩⅢ. This research shows that the conceptual metaphor theory is a very useful method to study biblical texts, especially poetic texts.

      • KCI등재

        포르투갈어와 한국어의 개념적 은유 대조 연구 - ‘인기’와 ‘인터넷’을 중심으로

        성효정 한국 포르투갈-브라질 학회 2023 포르투갈-브라질 연구 Vol.20 No.1

        This study aims to identify how the abstract concepts of ‘fame’ and ‘internet’ is structured in Portuguese in the scope of cognitive linguistics and contrast them to Korean ones. To that aim, the study presents Conceptual Metaphor Theory which explains how metaphor is present in the way we think about the world and how it this way of thinking can vary according to a culture of language. A parallel corpus was constructed with metaphors from the dialogue in two Brazilian movies and with its legends in Korean and complemented with existing metaphoric expressions in case the translation had not been effectuated into a metaphor. The analysis shows that the notion of ‘fame’ is structured in the following metaphors for both Portuguese and Korean: FAME IS RESULT OF VITORY IN A WAR, FAME IS PUMP, FAME IS POWER. Meanwhile, for Korean, CHARM CAUSES DEATH, FAME CAUSES DEATH and FAME IS HOT metaphors. Metaphors about ‘internet’ for both Portuguese and Korean were INTERNET IS SPACE, INTERNET IS A ENTITY, INTERNET IS A BOARD, INTERNET IS TOOL and A SPACE IN THE INTERNET (BLOG) IS POSSESSION. INTERNET IS A POSTAL PACKAGE metaphors is coherent only in Portuguese and INTERNET IS GOSSIP, INTERNET IS UP and INTERNET IS A COMPANY are valid only in Korean. Despite the contribution this study may have in the field of Portuguese-Korean studies, it was held with a small corpus extracted from two Brazilian movies and limited to conceptual metaphors, without discerning metonymies or metaphoric expressions. 본 연구의 목적은 인지언어학적 시각에서 ‘인기’와 ‘인터넷’ 개념이 포르투갈어에서 어떠한 개념적 은유 체계를 갖는지 살펴보고, 한국어의 체계와 대조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은유가 일상적 개념체계의 근본이 된다고 설명하는 개념적 은유이론을 소개하여 인간이 어떻게 사고하는지, 어떠한 방식으로 세상을 바라보는지, 그리고 사회 문화적 맥락의 차이점 등으로 인해 생각하고 행동하는 방법이 문화마다 다를 수 있음을 이론적 배경으로 제시한다. 연구 방법으로는 포르투갈어와 한국어 병렬코퍼스를 대상으로 양 언어를 대조 분석한다. 브라질 영화 <오늘부터 로그아웃>과 <러브닷컴>에서 ‘인기’와 ‘인터넷’과 관련된 은유를 추출하여 소규모 포르투갈어-한국어 병렬코퍼스를 구축하여 ‘인기’와 ‘인터넷’에 대한 포르투갈어 개념적 은유를 한국어와 대조하여 살펴보는데, 본 연구를 위한 병렬코퍼스는 포르투갈어 대사와 해당 대사의 한국어 자막으로 구성된다. 분석 결과, 포르투갈어에서 ‘인기’는 [인기는 전쟁 승리의 결과물], [인기는 펌프], [인기는 권력] 은유로 이해하여 개념화하는 것을 보았다. 이와 달리, 한국어에서는 [매력은 죽음], [인기 많음은 죽음], [인기는 뜨거움] 은유가 사용되는 것을 보았다. ‘인터넷’에 대한 [인터넷은 공간], [인터넷은 개체] [인터넷은 게시판], [인터넷은 도구] 은유는 포르투갈어와 한국어에서 모두 사용되고 있음을 찾아냈다. [인터넷 공간(블로그)은 소유물]은유는 포르투갈어에서 발견되었고, [인터넷 게시물은 우편물] 은유는 한국어와 정합하지 않아 포르투갈어에서만 사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반대로 한국어에서만 정합하여 포르투갈어 개념체계에서 발견되지 않는 은유는 [인터넷은 소문], [인터넷은 위에 위치함], [블로그는 기업]이다. 본 연구를 통해 포르투갈어-한국어 언어쌍의 개념적 차이를 부분적으로 조명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를 하지만, 분석 대상이 영화 두 편이라는 소규모에 그쳤다는 점과 개념적 은유만을 살피는 연구로써 환유, 은유적 표현 등으로 세부적으로 다루지 못한 점 등을 본 연구의 한계점으로 밝힌다.

      • KCI등재

        槪念的 隱喩의 相對性 -19~20世紀初 古小說을 중심으로-

        김진해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09 어문연구(語文硏究) Vol.37 No.1

        This study is to show how conceptual metaphor in cognitive linguistics is used in Korean old novels of early 19~20C.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the way conceptual metaphor was used is dif- ferent from that of modern data. For example, a well-known metaphor, [TIME IS A RESOURCE AND MONEY], is language-specific rather than universal. Another metaphor, [EMOTION IS A VEHICLE] is also hard to find in data from old novels. Besides, it was easy to find cases that expressions of abstract conceptual domain were expressed through not metaphor but through non-metaphoric expressions, and an explanation based on conceptual metaphor theory is needed. These cases support that expressions of conceptual metaphor reflect western thought and language system. I agree that the metaphor is so much central role for the conceptualization of the world in principle. But at the same time I have a doubt that the metaphor is a unique method for the conceptualization of the world. 이 硏究의 目的은 19세기초~20세기초에 걸쳐 간행된 古小說 資料를 대상으로 認知言語學의 槪念的 隱喩가 한국어에 어떤 방식으로 具顯되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그 결과 고소설 자료에서는 槪念的 隱喩가 現代語와는 다른 양상을 보인다. ‘시간’을 事物化하여 槪念化하는 것은 普遍的이지만 根源領域과 目標領域 모두 풍부하게 構造化된 구조로 寫像되는 構造的 隱喩의 경우에는 時代的․文化的 영향을 받게 된다. 예컨대 [시간은 자원과 돈이다]와 같이 잘 알려진 개념적 은유도 실제로는 보편적이라기보다는 言語 特定的임을 밝혔다. 또한 [감정은 容器이다]라는 은유도 발견하기 어려웠다. 추상적 개념 영역을 隱喩가 아닌 非隱喩 통해 표현하는 예가 많은데 이에 대한 개념적 은유 이론 측의 說明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旣存의 槪念的 隱喩에서 제시되는 몇 가지 隱喩 命題들은 西歐的 思惟의 反映이자 西歐 言語體系의 反映임을 주장하였다.

      • KCI등재

        한·중 확장 개념적 은유 대조 연구 - 코로나19를 중심으로 -

        축일남(Zhu Yinan ),김성주(Kim, SeongJu) 돈암어문학회 2021 돈암어문학 Vol.40 No.-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와 중국어에서 코로나19를 어떻게 개념화하고 있는지, 즉 한국인들과 중국인들이 현재 이 새로운 질병을 어떻게 이해하는지를 밝혀내어, 이 두 언어 사용자들의 코로나19에 대한 개념화 양상을 대조하는 것이다. 이 목적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Kövecses(2020)의 확장 개념적 은유 이론을 바탕으로 하고, 자료는 뉴스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였다. 확장 개념적 은유 이론에서 제시한 네 가지 위계에 근거하여 해당 위계에 나타난 의미 요소의 사상 관계와 빈도수로 은유의 실현 양상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질병과 같은 주관적이고 민감한 경험의 개념적 은유를 통해 한국어와 중국어에서 같은 화제를 표현할 경우 나타나는 인지적 기제의 이질성을 찾을 수 있다. 한국어는 중국어보다 전염병의 개념화에서 여행 은유를 선호한다. 중국어는 한국어보다 전쟁 은유를 선호한다. 본 연구는 개념적 은유에 대한 가장 최근 성과를 토대로 한국어와 중국어의 개념화 양상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시도한 논의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conceptualization patterns of Korean and Chinese speakers by identifying how they conceptualize COVID-19, that is how Koreans and Chinese currently understand the new disease. To this purpose, this study uses the extended conceptual metaphor theory of Kövecses(2020) and studies practical use cases using the news database. According to the four bit orders proposed by the theory of extended conceptual metaphor, we try to analyze the implementation with the ideological relationship and frequency number of the meaning elements appearing in this bit order. The results show that the heterogeneity of the cognitive mechanisms could be found when expressing the same topic in Korean and Chinese through conceptual metaphors, like disease, which is subjective and sensitive. Based on the latest results of conceptual metaphor theory, we try to overcome previous studies on the composition of metaphor meanings and propose new comparative analysis, which can find the originality of this study.

      • KCI등재

        데이터 시각화에서 시각적 은유의 개념적 은유에 관한 연구

        이지선 ( Lee Ji Sun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8 기초조형학연구 Vol.19 No.5

        데이터가 방대해지고 복잡해질수록 이를 이해하는 것이 쉽지 않기 때문에 적절한 데이터 시각화 구현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각 사례에 해당되는 제목의 소재들이 어떠한 시각적 형태로 보여줬는지를 확인하며 데이터 시각화의 콘셉트에 맞는 시각적 은유가 필요하다는 것을 제시하고자 한다. 즉, 데이터 시각화에 적용된 시각적 은유가 개념적 은유 범주에서 어떻게 적용되었는지를 파악해 정보 사용자의 이해증진을 위해 데이터 시각화 구현 프로세스에 은유적 표현이 필요하다는 것을 제시한다. 본 연구에서는 데이터 시각화 사례를 분류 분석하여 조사하였다. 분석의 요목은 크게 데이터 시각화 분석 항목, 표현의 특성, 데이터 시각화의 유형과 개념적 은유로 구성된다. 정보를 형성하고 추상적인 패턴과 관계를 이해하는 능력에는 은유가 있어 시각적 은유는 언어적 은유인 개념적 은유와 유사하다. 개념적 은유로 구현된 데이터 시각화를 분석한 결과, 존재론적 은유, 방향적 은유와 구조적 은유 순 분포로 나타났다. 첫째, 구조적 은유의 데이터 시각화 사례에서는 언어가 공통 분석 항목으로 나왔고, 이는 책에 등장하는 언어 구조의 흐름을 관계시각화로 매핑하였다. 둘째, 데이터 시각화 중에서 존재론적 은유가 가장 많이 활용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존재론적 은유는 한 개념을 어떤 콘테이너에 매핑하는 은유 과정이다. 데이터 시각화는 모두 제목에 등장하는 소재들을 사용해 사용자들이 연상하기 쉬운 시각적 형태로 표현해 데이터의 간의 차이, 유사성, 분포를 객관적으로 보여준다. 셋째, 방향적 은유는 모두 시계열 데이터의 시간시각화로 구현되어 표현의 특성 중에서도 방향이 공통된 항목으로 적용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획일화되어 보이는 데이터 시각화에 은유 중에서 개념적 은유에 대해 이해하고 시각적으로 표현하여 데이터에 정체성을 부여하는 것이 사용자의 이해를 높인다. 따라서 데이터 시각화에 적용된 시각적 은유가 개념적 은유 범주에서 어떻게 적용되었는지를 파악해 데이터 시각화 구현 프로세스에 은유적 표현의 가능성을 제시한다. As the data becomes vast and complex, it is not easy to understand its content, therefore a proper data visualization is requir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visual forms of the elements shown in the title for each case and suggest that a visual metaphor is needed based on the concept of data visualization. The study suggests that metaphorical expressions are required in data visualization process so users can understand the data. In the study, characteristics of expression, types of data visualization, and conceptual metaphor were set as the criteria for analyzing the examples. Metaphor can create information and aid in understanding the abstract patterns and relationships among data. Visual metaphors are similar to that of the conceptual metaphor which is mainly used in language. The results on the analysis of the conceptual metaphor patterns from data visualization examples came in the order as follows: ontological metaphor, directional metaphor, and structural metaphor. First, data visualization as structural metaphor showed language as the common analysis element mapping the flow of language structures from each chapter of the book. Second, ontological metaphor revealed as the mostly employed metaphor in the examples. Ontological metaphor is a metaphorical process by mapping a first concept to a second concept in a container form. Third, directional metaphor showed mainly in time series data visualization having direction as a common analysis element. Understanding conceptual metaphor among other metaphors, and employing them in visual forms gives an identity to uniformed data visualization as well increasing user's understanding. Therefore, metaphorical expression through conceptual metaphor is a possible method to employ in data visualization process.

      • KCI등재

        타당한 어휘 사용 교육을 위한 개념적 은유 관련 교육 내용 연구

        김규훈(Kim, Kyoo-hoon) 우리말글학회 2022 우리말 글 Vol.93 No.-

        이 연구는 타당한 어휘 사용 교육을 위한 개념적 은유 관련 교육 내용을 탐색하는 작업이다. 이를 위해 먼저 현행 국어과 교육과정에서 어휘교육 내용을 검토하여 타당한 어휘 사용 교육의 현황을 파악한다. 그런 다음 개념적 은유가 국어교육 및 국어학에서 논의된 경향을 확인하여, 개념적 은유와 타당한 어휘 사용 교육의 접점을 강구한다. 이를 바탕으로 개념적 은유가 형성되는 원리인 은유의 개념화 과정을 바탕으로 타당한 어휘 사용 교육의 내용을 구성한다. 구체적으로 은유의 개념화 과정을 어휘 사용의 정확성, 적절성, 타당성 범주와 대응하는 내용 구성의 방향을 제시하고, 개념적 은유 기반의 어휘 타당성 탐구 학습 활동을 구안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educational contents about conceptual metaphor for valuable vocabulary use education.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is study reviews the vocabulary educational contents in a present Korean language curriculum, and understands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valuable vocabulary education. And then, this study considers the direction of an application the conceptual metaphor to valuable vocabulary use education, through looking at a tendency of researches about the conceptual metaphor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Korean linguistics. On a basis of these works, the contents system of the valuable vocabulary education is proposed by examining the conceptualization process of metaphor which is the principle of forming the conceptual metaphor. As a result, this study suggests a way for constructing contents of vocabulary education, from which the accuracy, appropriate, and valuable vocabulary use educational contents each respond the conceptualization process of metaphor. And a learning activity for inquiring validity of vocabulary use based on the conceptual metaphor is drawn up to sound out the possibility of these contents construction.

      • KCI등재

        개념적 은유를 활용한 영어 구동사 학습효과

        정세현,김현옥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1 교과교육학연구 Vol.15 No.4

        오랫동안 제2외국어 학습자에게 구동사는 암기의 대상으로 간주되어 왔으나, 인지의미론의 대두와 함께 불변사의 이미지와 영상도식을 활용한 교수방법론의 도입으로 깊이 있는 정보처리에 바탕을 둔 학습의 수월성을 기대할 수 있게 되었다. 본 연구는 고등학교 영어 구동사의 수업에 있어 개념적 은유를 활용한 인지전략의 훈련효과를 고찰하고자. 서울시내에 위치한 고등학교 2학년 101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다른 형태의 수업을 실시하고, 사후검사와 후속 장기기억 검사를 시행하였다. 학생들을 세 개의 반으로 분리하여, 통제집단은 기존의 암기전략에 따른 구동사 학습이 진행된 반면, 실험집단 1과 실험집단 2는 영상도식에 근거한 개념적 은유전략을 훈련하였고, 실험집단 2는 은유전략 외에도 해당 구동사와 의미가 같은 단어를 추가적으로 제시하였다. 사후검사 결과, 개념적 은유와 언어자료를 함께 사용한 실험집단 2의 학생들의 학습효과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이 단순암기를 훈련한 통제집단 그리고 개념적 은유만을 활용한 실험집단 1의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후속검증에서는 개념적 은유만을 활용한 실험집단 1의 학습효과가 가장 높게, 다음이 통제집단 그리고 개념적 은유와 언어자료가 함께 제시된 실험집단 2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제2외국어로서 영어 구동사의 학습에 있어서 가장 많이 활용되어온 암기전략의 수월성으로 인해 전략훈련이 크게 효과적이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한편, 본 연구의 결과는 개념적 은유에 기초한 인지전략의 훈련을 통한 장기기억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By enhancing an awareness of conceptual metaphors embedded in particles in the construction of phrasal verb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training effect of conceptual metaphors in learning English phrasal verbs. A total of 101 second-year, high school students were assigned to three different kinds of treatment groups in learning English phrasal verbs. The students in the control group received the conventional type of instruction in learning phrasal verbs using memorization strategies, while the students in the two experimental groups were given awareness tasks by enhancing conceptual metaphors. The second experimental group was also presented with additional linguistic support by providing a word, the meaning of which was identical with that of each phrasal verb.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tudents who received both conceptual metaphors and linguistic input outperformed the students in the control group, indicating that conceptual metaphors help students process the meaning of phrasal verbs. On the other hand, the students in the control group had higher scores than those who only had the image enhancement work; this needs corroborative support through further study. In the test for delayed effect, the students in the metaphor group outperformed those in the control and the second experimental group. When the effect of the instruction was compared with literal versus figurative phrasal verbs, the presentation and explanation of the metaphoric image was seen to be equally facilitative. The findings imply that grammar teaching needs to incorporate alternative approaches including conceptual metaphors and other cognitive strategies.

      • KCI등재

        한·중 개념적 은유의 보편성과 다양성: 빨간색/红 계열 색채어가 근원영역인 언어 표현을 중심으로

        주정정(ZHOU TINGTI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2

        전통적 수사학에서의 은유(metaphor)와는 달리 인지언어학에서는 은유를 인간이 세계를 인지하고 이해하는 중요한 수단으로 본다. Kövecses(2005)는 은유의 보편성과 다양성을 설명하기 위한 세 가지 요인을 제안하였다. 즉, 은유에서의 보편성과 다양성이 의존하는 이유는 신체화(즉 신경-신체적 기초), 사회-문화적 경험(문맥), 인지 과정(인지적 선호도와 스타일)이다. 본고는 Lakoff & Johnson(1980)의 개념적 은유 이론과 Köovecses(2005)의 이론을 기반으로 하여 한·중 붉다/红’ 계열 색채어와 관련된 은유적 언어 표현을 비교·대조하였으며 거기에 드러낸 보편성과 다양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 한·중 빨간색 의 공통된 개념적 은유는 다섯 가지가 있다. 이는 [부끄러움/화남은 빨간색이다], [경고/위험은 빨간색이다], [결손은 빨간색이다], [색정은 빨간색이다], [여자는 빨간색이다]이다. 그리고 중국어에만 있는 개념적 은유는 [혁명은 빨간색이다], [경사스러움/길상은 빨간색이다], [이득은 빨간색이다], [번영함은 빨간색이다], [성공/인기는 빨간색이다], [질투는 빨간색이다], [건강함은 빨간색이 다] 등 일곱 가지가 있고 한국어에만 있는 개념적 은유는 [전과는 빨간색이다], [터무 니없음은 빨간색이다], [공휴는 빨간색이다], [흥분/열중은 빨간색이다] 등 네 가지가 있다. From the perspective of cognitive linguistics, metaphor is a very important way to cognize and understand the world, which is different from the traditional rhetoric opinion. Kövecses(2005) suggested that there are three large systems that play an important role in an account of the universality and variation of metaphors. The systems are: bodily experience (embodiment), social-cultural experience (context), and cognitive preferences and styles. Based on the theory of conceptual metaphor proposed by Lakoff & Johnson(1980) and Kövecses(2005), this paper made a comparative study on metaphorical uses of ‘Red color terms in Korean and Chinese, and analyzed the universality and variation reflected in it. As a result, there are five same conceptual metaphors of ‘Red color terms in Korean and Chinese such as [shyness/anger is red], [warning/danger is red], [deficit is red], [eroticism is red], [woman is red]. And the conceptual metaphors only in Chinese are [revolution is red], [joy/luck is red], [benefit is red], [prosperity is red], [succeed/popularity is red], [envy is red], [health is red]. The conceptual metaphors only in Korean are [criminal record is red], [ridiculousness is red], [holiday is red], [excitement/absorption is red].

      • 개념적혼성에서 본 조선어은유적합성명사의 의미구성

        맹경흠(孟??) 길림성민족사무위원회 2016 중국조선어문 Vol.204 No.-

        본고는 조선어의 은유적합성명사를 연구대상으로 하여 론리적으로 결합할수 없는 두 구성요소가 어떻게 은유를 통해 합성되여있는가에 초점을 맞춰 인지언어학의 개념적혼성리론으로 해석해보았다. 먼저 은유가 구성요소에 작용하는가에 따라 조선어은유적합성명사의 류형을 크게 “은유적인 수식어+핵어”, “수식어+은유적인 핵어”, “은유적인 수식어+은유적인 핵어” 3가지로 나누고, 이어서 전형적인 례들을 들어 조선어은유적합성명사의 의미구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개념적혼성리론의 관점에서 볼 때 개념화자는 먼저 2개의 입력공간을 구축하게 되는데, 각 입력공간속에 있는 요소들은 부분적으로 사상되고 선택적으로 혼성공간으로 투사되며, 다음에 하나로 융합되여 새로운 발현구조를 창조함으로써 은유적합성명사를 이루어내고 그것에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게 된다.

      • KCI등재

        전문어에서의 은유표현 연구 - 주식시장 분석에서 사용되는 은유표현을 중심으로

        방경원 한국독일언어문학회 2017 독일언어문학 Vol.0 No.78

        Der Zweck dieser Studie ist es, die Metaphern in der technischen Analyse der Börse zu beschreiben und die dabei verwendeten Kerzenmusternamen besser zu verstehen. In der Referenzliteratur, in der die Arten von Aktienkursschwankungen erklärt werden, wurden 32 repräsentative Kerzenmuster, die relativ häufig in der Aktienhandelspraxis auftreten, extrahiert und daraus die Bedeutung der konzeptuellen Metapher abgeleitet. Die metaphorischen Ausdrücke der Kerzenmusternamen haben eigene Bedeutungen jeweils nach der Aktienkursentwicklung. Zum Beispiel haben sowohl der umgekehrte bullische Hammer als auch die bärische Sternschnuppe die gleiche Kerzenform. Aber es wird gesagt, dass das Kerzenmuster des umgekehrten bullischen Hammers gilt, wenn die Aktienkursentwicklung sich nach oben bewegt. Hingegen gilt das Kerzenmuster der bärischen Sternschnuppe, wenn die Aktienkursentwicklung sich nach unten bewegt. Dabei sind konzeptuelle Metaphern wie DER KURS IST EIN DING und DER KURS IST EIN UNIVERSUM etabliert. Aber es ist schwer, irgendeine Korrelation zwischen den beiden konzeptuellen Metaphern zu finden. Auf der anderen Seite ist im Fall des Morgensterns und des Abendsterns eine gegenseitige Entsprechung innerhalb des Universums möglich, um den Aufwärtsübergang und den Abwärtsübergang zu signalisieren. Aus diesem Grund ist es vernünftig, zu sagen, dass eine bestimmte Gruppe der Kerzenmusternamen eine konzeptuelle Metapher bildet. Dies ist auch eine Eigenschaft des Aktienkurses selbst, denn die Entwicklung der Aktienkursen, die sich von Zeit zu Zeit ändern, kann nicht einseitig erklärt werden. Aber die metaphorischen Ausdrücke der Kerzenmusternamen haben eine kognitive Funtion und helfen daher teilweise, die Situation von Aktienkursschwankungen relativ gut zu vermuten. 주식시장의 기술적 분석에서 자주 등장하는 캔들 패턴의 명칭에는 은유적 표현이 많이 등장한다. 이 은유적 표현에 내포되어 있는 개념적 은유를 알아내어 주가변동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것이 연구목적이다. 주가변동의 유형을 해설하고 있는 참고문헌을 통해 주식거래 실무에서 비교적 자주 등장하는 대표적인 캔들 패턴명칭을 32개 추출하였고 이에 대한 개념적 은유의 의미를 유추하였다. 캔들 패턴명칭은 주가추세 별로 특유한 은유적 성격을 띤다. 예를 들어 역망치형과 유성형은 모두 캔들 모양은 같지만 상승전환 할 때는 역망치형이라 하고 하락전환 할 때는 유성형이라 한다. 이때 역망치형에 대해서는 <주가는 사물>, 유성형에 대해서는 <주가는 우주>라는 개념적 은유가 성립되는데 이들 개념적 은유 사이에 상호 연관성을 찾기 힘들다. 반면 샛별형과 석별형의 경우 상승전환과 하락전환을 암시하는데 이때 <주가는 우주>라는 개념적 은유 내에서 상호 대응이 가능하다. 이런 이유로 주가추세를 고려하여 캔들 패턴명칭 별로 은유의 의미를 이해해야 한다. 이는 수시로 변하는 주가를 한 방향으로만 설명할 수 없는 주가 자체의 특성이기도 하다. 하지만 캔들 패턴명칭들의 은유적 표현은 각각 인식기능이 있어 주가추세 별로 주가변동 상황을 적절하게 추측하는 데는 도움이 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