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39~1945년 경북 지역의노동력 강제동원

        이수환,이광우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14 민족문화논총 Vol.58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rganize the development of compulsory labor mobilization in Chosun from 1939 till 1945 and the cases of it in Gyeongbuk area based on advanced research and also anticipate how follow-up research on compulsory labor mobilization in Gyeongbuk area will be going on. After the 1930’s, Japan’s imperialistic invasion started genuinely, and a lot of human and materialistic resources failed to avoid its mobilization. Only with the recourses located in its own land, Japan could not manage to carry out the extended battle. Under its National Mobilization Law institutionalized in 1938, Japan performed human and materialistic exploitation in colonized Chosun from 1939 till 1945. Up to 8 million Chosun people including laborers, soldiers, civilians attached to the military, and comfort women were mobilized compulsorily then, and among them, over 7 million fall under compulsory labor mobilization. After the institutionalization of its National Mobilization Law, Japan continued to add articles to it in order to conduct its compulsory labor mobilization more favorably. Based on that, Japan developed its compulsory labor mobilization on Chosun people in the forms of recruiting, public collection, and requisition. Particularly with the regulations of requisition added in 1944, Japan, in fact, included all Chosun adult males as the subjects of its compulsory mobilization, and the form of its mobilization became even more violent and coercive. At that time, Chosun people were compulsorily mobilized not just in Korea but in Japan, Sakhalin, or the South Sea Islands, too, and they had to go through the pain resulted from inhumane treatments such as labor management accompanied with poor labor environment and violence, wages lower than what was promised, and forced lengthening of the contract term. However, we still cannot figure out the scale or actual situation of the damage resulted from the compulsory mobilization clearly on account of the limited primary materials, Japanese government’s unwillingness to cooperate, lack of research manpower, and Korean government’s passive coping with it. Gyeongbuk area is regarded as one of the regions where compulsory labor mobilization was performed the most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Although there is a limitation in figuring out the native places of the victims accurately due to the shortage of materials, the lists of the victims and the dead reported by the Korean government and also Japanese government tell us that the most are reported in Gyeongbuk area. Research on compulsory labor mobilization in Gyeongbuk area has been conducted mainly with the oral reports of the victims alive or resistant cases against the compulsory mobilization up until now. Oral data show us the inhumane aspects of the compulsory labor mobilization vividly. Also, some of the resistant cases against the compulsory labor mobilization are noticeable as they opposed to it systematically in Gyeongsan and Andong. 본 논문은 기존의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1939~1945년 사이 진행된 조선인 노동력 강제동원의 전개 양상과 경북 지역의 노동력 강제동원 사례를 정리하고, 향후 진행될 경북 지역 노동력 강제동원 연구·조사를 전망한 것이다. 1930년대 이후 일본의 제국주의 침략이 본격화되면서 많은 인적·물적 자원이 동원되었다. 그러나 일본 본토의 자원만으로는 확대된 전선을 감당할 수가 없었다. 이에 1938년 제정된 국가총동원법에 의거하여 1939년부터 1945년까지 인적·물적 수탈이 식민지 조선에서 이루어졌다. 8백만 명에 달하는 조선인이 노무자, 군인, 군속, 위안부 등으로 강제동원 되었는데, 그 중 노동력 강제동원 인원만 7백만 명을 초과한다. 일본은 국가총동원법 제정 이후 원활한 노동력 강제동원을 위해 추가로 각종 법적 조항을 제정해 나갔다. 이에 따라 조선인에 대한 노동력 강제동원은 모집, 관알선, 징용의 형태로 전개되었다. 특히 1944년 확대된 국민징용령은 사실상 모든 조선인 성인 남성을 강제동원의 대상으로 포함시키는 것으로, 동원의 형태도 한층 더 폭력적이고 강압적이었다. 이때 조선인들은 국내뿐만 아니라 일본, 사할린, 남양군도 등으로 강제동원 되었으며, 열악한 노동 환경, 폭력이 동반된 노무관리, 약속보다 적은 임금, 그리고 계약 기간 연장 강요 등 반인륜적 대우에 고통을 겪어야 했다. 하지만 1차 자료의 한계와 일본 정부의 비협조, 연구 인력의 부족, 그리고 우리 정부의 소극적인 대응으로 인해 강제동원의 피해 규모와 실상을 명확하게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경북 지역은 일제강점기 가장 많은 노동력 강제동원이 이루어졌던 지역 중 하나로 판단된다. 자료의 한계 때문에 피해자의 출신지를 정확히 파악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지만, 우리 정부와 일본 정부가 작성한 피해자 신고 명부, 사망자 명부 등을 살펴보면 대체로 경북 지역에서 가장 많은 피해자가 보고되었음이 나타난다. 그간 경북 지역의 노동력 강제동원에 대한 연구·조사는 생존 피해자들의 구술, 강제동원에 저항한 사례 등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구술 자료는 노동력 강제동원의 반인륜적 실상을 생생하게 보여주고 있다. 또한 노동력 강제동원에 대한 저항 사례 중에서는 경산과 안동에서 전개된 조직적인 대응이 주목된다.

      • KCI등재

        1930년 강제노동에 관한 협약과 일제 강제동원의 불법성

        서인원 한일군사문화학회 2022 한일군사문화연구 Vol.35 No.-

        We were analyzed the problems of Japan’s forced mobilization policy by analyzing the Forced Labour Convention in 1930 and the cases of illegal forced mobilization in Japan, The Forced Labour Convention was enacted for the purpose of abolition of forced labour, and ILO member states that ratify the Convention promise to abolish all forms of forced labor as soon as possible. This Convention promises to apply not only to the member states that ratify it, but also to the jurisdictions under its control, so this legal effect also extends to Korea. In the Japanese Constitution, treaties concluded by Japan and established international laws stipulate that they must be faithfully complied with, which has superior effect over domestic laws. It violates this Convention because the Japanese government managed the Korean labor force at the national level by enacting the National Mobilization Act and the mobilization management regulations for Koreans attached to it. For example,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were forcibly mobilized to the Organize Labor Service Corps., and workers were not compensated for overtime hours. It is also in violation of this Convention to demand compulsory savings from Koreans and to raise funds for the purpose of war by the state, even though wages must be paid individually to each worker. Although there is an agreement on working environment improvement and medical treatment, the Japanese government and companies did not take any measures to improve the working environment and medical treatment for Koreans, and the working environment was poor. It was enacted that it should not be used for underground work in mines, so it can be seen that forced mobilization and forced labor in coal mines are illegal. In the case analysis of the illegality of Japanese forced mobilization, it can be seen that Koreans were subjected to racial discrimination while being subjected to forced labor in coal mines in Japan and major coal mines in Hokkaido. The Japanese government, in solidarity with Japanese companies, widely and systematically discriminated against Korean forced laborers and violated human rights is a violation of international norms related to crimes against humanity or the prohibition of slavery. Currently, the Japanese government denies responsibility for the private sector’s employment of workers on the grounds that it has no employment relationship with the state. However, when you look at the National Assembly Act and related laws and regulations, you can prove that it was a wartime labor management system that forcibly mobilized Koreans using the state power. 「1930년 강제노동에 관한 협약」과 일본의 강제동원 불법 사례를 분석하여 일제 강제동원정책의 문제점에 대해 분석하였다. 강제노동에 관한 협약은 강제근로의 폐지를 목적으로 제정되었고 이 협약을 비준하는 국제노동기구 회원국은 가능한 조기에 모든 형태의 강제근로를 폐지할 것을 약속하고 있다. 이 협약은 비준하는 회원국은 물론, 지배하에 놓여 있는 관할지역에 대하여 이를 적용하기로 약속하고 있어 이런 법적 효력도 조선에도 미친다. 일본 헌법에서 일본이 체결한 조약 및 확립된 국제법규를 성실하게 준수하여야 한다는 규정이 있어 일본 국내 법률보다 우위의 효력을 지니고 있다. 일본 정부는 「국가총동원법」 등 부속 조선인 동원 및 관리 규정을 제정하여 조선의 노동력을 국가적인 차원에서 관리하였기 때문에 이 협약에 위반이 된다. 예를 들면, 초중학생들을 근로보국대에 강제 동원하고 근로자의 초과근로시간에 대한 보수를 지급하지 않았고, 조선인은 일본인보다 임금이 적었고 힘들고 위험한 탄광갱부의 노동에 처해졌다. 임금 지불에 대해서 각 근로자에게 개별적으로 지급하여야 하는데도 조선인에게 강제저축을 요구하고 자금을 국가에서 전쟁 목적으로 조달한 것도 이 협약에 저촉된다. 근로환경 개선 및 의료조치에 대한 협약이 있지만, 일본 정부와 기업들은 조선인에 대한 근로환경 개선 및 의료조치를 취하지 않았고 근로 환경은 열약했다. 광산에서의 갱내근로를 위하여 사용되어서는 안 된다고 제정되어 있어 탄광 내에서의 강제동원 및 강제근로는 불법임을 알 수 있다. 일제강제동원의 불법성에 대한 사례 분석에서는 일본 내 탄광지역, 홋카이도지역 주요 탄광 내에서 조선인은 강제노역을 당하면서 민족적 차별을 받았던 것을 알 수 있다. 일본 정부는 일본 기업과 연대하여 광범위하고 체계적으로 조선인 강제 노동자들을 차별하고 인권을 유린한 것은 모두 반인도 범죄 또는 노예 금지와 관련한 국제적 강행규범 위반이라 할 수 있다. 현재 일본 정부는 민간이 노동자 고용은 국가와 고용관계가 없었다는 이유로 국가 책임을 부정하고 있지만, 「국가총동법」과 그와 관련된 부속 법령들을 보면 국가 공권력을 사용해 조선인을 강제 동원했고 전시노무관리 체제라는 것을 증명할 수 있다.

      • KCI등재

        전시총동원체제기 여성의 강제동원과 사실 규명의 과제

        강혜경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1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7 No.1

        일본제국주의는 1937년 중일전쟁을 일으키고 1938년 국가총동원법을 공포하면서 전시총동원체제를 구축해 나 갔다. 전시총동원체제기에 접어들면서 일제는 여성들의 노동력에 주목하여 국내뿐만 아니라 국외로도 여성들을 동원 하였다. 식민지 조선은 물론 국외의 여성들까지 근로보국대, 여자근로정신대 등으로 강제로 동원되었다. 여성들은 가 내 노동은 물론 이미 동원된 남성들의 노동을 대신해야 했으며, 동시에 강제로 전쟁을 위해 동원되는 열악한 상황에 처했다. 여자근로정신대의 동원은 관청의 알선, 모집, 자발적인 지원, 학교나 단체를 통한 선전, 취업 사기, 강제나 협 박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졌다. 일제강점기 강제적 여성 동원의 대표적 희생자였던 여자근로정신대 문제는 개별적 으로 소송이 진행되며 여전히 해결되지 않은 문제로 남아 있다. 전시총동원체제기 여성의 강제동원에 대한 실체를 밝 히기 위해서는 관련 기구를 통해 지속적인 연구와 사회적 교육이 필요하다. Japanese imperialism initiated the Sino-Japanese War in 1937 and promulgated the Total National Mobilization Act in 1938, establishing a wartime total mobilization system. In the beginning of the wartime general mobilization system, Japanese colonialism focused on women's labor force and mobilized women both domestically and abroad. Women were forcibly mobilized to the Labor Patriotism Unit and Jeongshindae(Korean Women Labor Corps). Women had to take the place of home work as well as the work of men who had already been mobilized, and at the same time faced a poor situation of being forced to mobilize for war. The mobilization of Jeongshindae took place in various forms, such as recruitment, voluntary support by government offices, propaganda through schools or groups, job fraud, coercion or threats. Jeongshindae which was a representative victim of the forced mobilization of wome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was individually litigated and remains an unresolved problem. In order to uncover the reality of the forced mobilization of women during the wartime general mobilization system, continuous research and social education through related organizations are required.

      • KCI등재

        대구ㆍ경북지역 학생 강제동원의 군사적 특성과 국제법적 불법성

        김경남 ( Kim Kyung-nam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22 嶺南學 Vol.- No.81

        본고의 목적은 아시아태평양전쟁기 한반도 내 병참기지의 역할이 후 방병참기지로 변화함에 따라, 대구·경북 소재 학교의 학생들은 대구의 시가지계획과 대구 군사 기지의 노무 수요 발생에 따른 노동력을 감당하기 위하여 강제 동원되었다는 것을 분명히 밝히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일본정부의 학생 강제 동원 행위는 1932년 시행된 국제노동기구(ILO)의 규정, 즉 학생 강제노동 금지 조항을 명백히 위반하고 있다는 점을 분명히 밝히고 있다. 학생 강제 동원은 국가총동원법과 조선교육령이라는 법적 장치를 만들어 실시하였으며, 1938년 이후 노무동원 일수를 점차 늘려 1944년 4월 1일부터는 수업을 전면 근로 동원으로 대체하였다. 대구경북의 경우 학생들은 1938년부터 1941년까지 조선근로동원기구 하에서 학생근로보국대와 학교총력대로 편성되어 육군보병제80연대의 지휘를 받았고, 1943년부터는 경북24부대 대구사관구의 휘하에서 강제 동원되었다는 것을 밝혔다. 학생들은 주로 군사 도로와 군수 기업, 항공부대 확대를 위한 정지작업, 격납고 설치, 방공호 굴 파기, 수류탄 만들기 등에 투입되었으며, 학생들로서는 감당하기 힘든 작업을 감내하는 피해를 입었다. 따라서 한반도내 학생 강제동원 문제는 지금까지 한·일간의 외교 문제나 대일항쟁기 강제동원피해보상 문제에서 다루지 못한 사안으로서, 향후 학생 강제 동원에 대한 각 지역의 국제법적 위반 사례가 지속적이고 본격적으로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This article investigates the military characteristics of the forced mobilization enforced on students of the secondary schools in Daegu-Gyeongbuk regions by Japanese colonial authorities. After all, it reveals its illegality in terms of the internal laws in context that the role of Korean peninsula as a military supply base had changed and the role of Daegu-Gyeongbuk as a strategic military base had shifted into the rear supply base corresponding to the expansion of Imperial Japanese warfare into the wars with China and the Allied Powers in the Pacific War. In Korean peninsula, the forced mobilization of students was carried out by the legal devices of ‘National Mobilization Law(국가총동원법)’ and ‘Chosun Education Oder(조선교육령)’. For Daegu - Gyeongbuk regions, the students had been mobilized as the ‘Students Labor Patriotic Squad(학생근로보국대)’ under the supervision of the 80th regiment of Army infantry(육군보병 제80연대) from 1938 to 1941. After when they were forcedly mobilized as the organization of the ‘Student All-Out Force(학생총력대)’ under the direction of ‘Daegu Military Distict of Gyeongbuk 24th Army(경북24부대 대구사관구)’. The purpose of their mobilization was to build the military roads and munitions works and improve the facilities of air base for the expansion of air forces. This mobilization demonstrated that Japanese imperial government had violated the regulations of the International Labor Organization for the prohibition of student compulsory labor enforced from 1932 on. Given the above findings, the problem of the student forced mobilization has not been deal with so far in discussion of Compensation for Compulsory Mobilization Damage between Korea and Japan. And so, it is necessary to create a foundation for the continuous and full-fledged research of it in the future.

      • KCI등재

        일제의 부산·경남권 전쟁 시설 설치와 학생강제동원의 국제법적 불법성

        김경남(Kyung Nam KIM)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23 역사문화연구 Vol.85 No.-

        본 연구는 아시아 태평양전쟁시기 일제가 한반도 남부 지역을 후방병참기지로서 결정하게 됨에 따라 이 일대에 전쟁 시설이 시급하게 설치되는 과정을 밝히고, 일제의 ILO 국제법 불법 사례를 부산 경남권역의 학생 강제동원을 중심으로 규명하였다. 본고는 부산 경남지역 학생 근로 동원의 특징이 군사적으로 전략적 요충지라는 특수성 때문에 비행장 만들기 공사나 도로 공사, 전쟁시설용 임도 개설, 포대설치를 위한 공원 정비, 식량 증산과 학교시설 군부대 활용을 위한 교지 정비 작업 등에 집중되었다는 것을 밝혔다. 또한 학생동원은 전체 강제동원 카테고리 속에서 하나의 범주로 다루어야 한다는 것을 제기하였다. 그것은 두 측면에서 분명해지는데, 하나는 일본제국정부와 총독부가 학생들을 국가총동원법 체제하에서, 조선교육령 3차, 4차 개정을 통하여 법적으로 강제 동원하였다는 점이다, 둘째는 총독부는 ‘근로 동원’이 곧 ‘교육’이라고 은폐하면서 학생들을 근로보국대(1938-1943)와 학교총력대(1943-1945)로 개편하여 집단적으로 동원하였으며, 1943년 이후에는 초등학교 1학년 학생에서 대학생들까지 동원하였고, 1944년 이후에는 수업을 전폐하고 강제동원하였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나아가 본고에서는 부산·경남지역을 사례로 일본제국정부가 추진한 학생 동원이 ILO 국제법의 학생 근로 금지 조항을 명백히 위반하고 있다는 것을 밝히고 있다. 식민지 조선의 학생들은 ‘근로 교육’과 ‘신체 단련’이라는 미명 하에 일본의 전쟁에 총동원되었으며, 강제 동원된 조선인 중 가장 밑바닥에서 희생한 케이스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사실은 학생들도 별도의 조직체계에서 일상적으로 동원되었기 때문에 일제 강제동원 피해자로서 대일항쟁기 피해보상 범주의 하나로 추가되어야 한다는 것을 말해준다. This study explores the process of installing war facilities in Colonial Korea by the Japanese military when it designated the southern part of colonial Chosŏn as a rear base for its military actions during the Asia-Pacific War. Additionally, it investigates violations by Japan of international law, specifically ILO (International Labor Organization) principles, in its compulsory mobilization of students in Busan and other areas in Kyŏngnam Province into military service. After the United States entered the war., Pusan and Kyŏngnam Province became increasingly important as a strategic base for military operations. Students were forced to build aircraft bases and roads, including forest roads for war facilities, maintain park areas for constructing batteries, convert school playgrounds into agricultural plots to increase food production, and help in the recruitment of soldiers. Additionally, the study suggests that student mobilization should be treated as a category of forced mobilization. This becomes clear in two respects. First,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Chosŏn legalized the forced mobilization of students via a National Mobilization Act enacted through two revisions to the Chosŏn Education Ordinance. Second, the Government-General beautified the practice under names like ‘education in labor’ and ‘physical training’, and reorganized students into ‘National Labor Groups’ (1938-1941) and ‘General Student Forces’ (1941-1945) which were collectively mobilized. After 1943, students were mobilized ranging in age from elementary pupils to college students, and after 1944, all classes were abolished and students were instead forced to engage in wartime labor. Furthermore, the study reveals that the mobilization of student labor promoted by the Japanese imperial government clearly violated International Labor Organization principles, as seen in the specific cases of Pusan and Kyŏngnam Province. This fact suggests that those students should be classified as victims of Japanese forced labor because they were routinely deployed through a separate organizational system.

      • KCI등재

        구술로 보는 일제하의 강제동원과 ‘인천조병창’

        이상의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19 동방학지 Vol.188 No.-

        This paper examines the components of the Incheon Arsenal in the lat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the experience of its forced laborers based on 12 oral statements. The Incheon Arsenal was a facility built by the Japanese Army in Bupyeong, Incheon, and the only arsenal in Korea. It saw massive forced mobilization, which made it the most representative ground of forced mobilization. Koreans from around the Gyeonggi-do area were forcefully mobilized by the Incheon Arsenal in 1939 to build factories. People from all over the country were then mobilized again in 1941, after the factories opened, to manufacture weapons and carry out any related work. Most of the Koreans mobilized in the process were victims of forced mobilization. However, as the Incheon Arsenal was a military facility outside of Japan, it is very difficult to secure data about it, particularly as the related documents were destroyed by the Japanese Army. Immediately after the liberation of Korea, the Japanese Army stationed itself in the Incheon Arsenal for over 20 days, until it was occupied by the US Army. During that time, it incinerated any document that could not be brought back to Japan, making it hard to recover relevant data today. Therefore, the oral statements of those who actually worked in the arsenal and who can provide insider details of the place are deeply valuable. Using oral statements, this paper intends the following: first, to examine the mobilization process and structures of the Incheon Arsenal, including 1) the mobilization methods and process, and 2) the structure of the technical training school. Second, in order to examine the members and the working conditions of laborers, to look into 1) who made up the laborers and what their roles were at worksites, 2) the everyday lives of the mobilized laborers and their working environments, and 3) severance and regulations at worksites. Third, in order to examine laborers’ awareness of forced mobilization and their resistance, to investigate 1) how laborers were aware of forced mobilization and Japanese Imperialism, 2) laborers’ resistance and escape, and 3) the euphoria of liberation and the process of returning home. 이 글은 12명의 구술을 바탕으로 일제 지배 말기 인천조병창의 구성과 강제동원 노무자들의 경험세계에 대해 규명한 논문이다. 조선 내에서는 유일한 무기공장이었던 인천조병창은 아시아·태평양전쟁기 일본육군이 인천의 부평지역에 설치한 시설이다. 이곳은 대규모의 강제동원이 행해진 곳으로, 국내 강제동원의 가장 대표적인 현장이다. 인천조병창에서는 1939년부터 공장을 건설하면서 경기도 일대의 조선인을 강제동원한 데 이어 1941년 개창(開廠) 이후에는 공장에서 무기를 만들고 그에 관련된 일을 하는 데 필요한 사람들을 전국에서 강제동원하였다. 이 과정에서 인천조병창에 동원된 모든 조선인은 강제동원 피해자에 해당된다. 그런데 인천조병창은 드물게 일본 본토 밖에 있었던 군사시설로서 관련 자료를 확보하기가 매우 어렵다. 해방 직후 미군이 진주하기까지 20일이 넘는 기간 동안 인천조병창에는 일본군이 그대로 주둔하면서 일본으로 가져갈 수 없는 문서를 통째로 소각하였기 때문이다. 아직 관련 문서가 드러나지 않는 현재로서는 조병창에서 직접 강제동원과 노동을 경험한 사람들만이 실상을 전해줄 수 있으므로 그들의 구술은 인천조병창 연구에 소중한 가치가 있다고 하겠다. 본 논문에서 구술을 통해 고찰한 내용은, 먼저 인천조병창의 노무자 동원과정과 조병창의 구조로서, 1) 노무자 동원 방식과 과정, 2) 인천조병창과 기능자양성소의 구조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어 인천조병창의 노무자 구성과 노동실태를 고찰보기 위해 1) 노무자 구성과 노동현장에서의 역할, 2) 동원 노무자의 일상과 노동환경, 3) 노동현장의 단절과 통제양상에 대해 알아보았다. 그리고 인천조병창으로의 강제동원에 대한 노무자들의 인식과 그들의 저항에 대해 살펴보기 위해 1) 강제동원과 일제에 대한 인식, 2) 탈출을 통한 노무자의 저항, 3) 해방의 감동과 귀가 과정에 대해 알아보았다.

      • KCI등재

        일제강점기 구술자료를 통해 보는 노무동원 노동자의 몸 건강 : 전시체제기 강제동원과 의료체제의 제한성을 전제로

        김인덕 역사학연구소 2022 역사연구 Vol.- No.45

        일제강점기 강제동원은 신체에 가해진 일제의 압제를 보여주는 증거이다. 그 가운데 조선인은 존재했고, 일반 조선인의 신체에 건강의 문제가 생겼다. 이들은 물적, 인적 압제 속에서 다수가 죽기도 했다. 일제는 식민지 지배의 정책과 제도를 통해 그리고 일제의 전쟁 체제 속 조선인을 희생시겼다. 전시체제기 건강은 억지로 만들어진 몸의 상태였다. 이를 위해 보통 조선인, 국민은 제도화된 시스템 속에서 존재의 가치를 부여받고 동시에 제도적으로 만들어진 건강을 갖게 되었다. 그리고 이들 조선인은 노동현장과 전쟁에 강제동원 되었다. 구술자료로 본 강제동원된 조선인 노무동원 노동자는 최악의 조건에서 최악 의 생존만을 가능한 몸 상태를 유지했다. 구술자료는 강제동원된 조선인의 경우 먹을 것, 자는 곳에서 압제적 탄압을 받았다는 사실을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구 술자료는 노동현장, 부상자와 사망자에 대한 대처방식, 개별 노무동원 노동자의 정신 건강 상태 등을 확인하게 만들고 주었다. 사실의 파악이 아닌 학살에 가까 운 인권의 왜곡이 자행되었던 역사가 강제동원의 역사이다. 그런가 하면 전시체제 속 일제는 1938년 ‘의료 관계자 직업 능력 신고령’을 반포하여 의료인들의 지역적 분포상황, 국민의료와의 관계, 각 개인의 사정 등을 상세하게 조사했다. 그리고 일제는 후생국을 통해 강제로 건강한 국민을 만 드는 신체 정치를 일상 속에서 실현했다. 그것은 대상이었던 조선인의 죽음과 희생으로 귀결되었다. 강제동원 속 압제된 몸은 제도 속에서 의료체계와 무관하지 않다. 일제의 의료 체계 속 조선인 의료 관계자는 동원되었고 의료의 전선에서 그 역할을 해야 했다. 전선의 ‘간호부’는 전시체제기 의료 최전선의 치료 담당자였다. 일제강점기 강제 동원과 왜곡된 의료제도 속 조선인의 건강은 식민지 통치의 한가지 증거이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강제동원·강제노동 부정론 비판

        김민철 역사문제연구소 2020 역사문제연구 Vol.24 No.2

        Forced labor negatives argue that there was no institutional ethnic wage discrimination in colonial Joseon, and that they voluntarily went to Japan to make money. This article tries to criticize these arguments in two directions: understanding of colonial society and errors in historical analysis. Forced labor negatives deny that colonial Joseon society is a society operated by colonialism based on violence and discrimination, and argue that the difference in wages by ethnic groups is not ethnic discrimination but capacity differences. However, the colonial designers organized the difference in the national wages of the officials of the Joseon Governor-General's office at an average of 2:1, and this system of discrimination was applied to society as well. At the end of the colonial period, the basic pay system was unified to reduce the difference but to develop new measures to maintain the discriminatory structure. In addition, statistics show that the duration of service does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amount of coal mining due to the nature of coal mine labor. The forced mobilization of the Korean labor force, which led to recruitment, government recruitment, and conscription, was carried out by colonial powers as the main agents, and the coercion and violence of mobilization became stronger as the war ended. This is evidenced by the fact that on average more than 30 percent of the mobilized workers fled the workplace. But the essence of the issue of forced labor lies in forced labor, which the Japanese judiciary also acknowledged. 강제노동부정론자들은 식민지 조선에서 제도적인 민족별 임금차별은 없었으며, 돈을 벌기 위해 자발적으로 일본에 갔다라고 주장한다. 이 글은 이러한 주장을 식민지 사회에 대한 이해와 사료해석상의 오류, 두 가지 방향에서 비판하고자 한다. 강제노동부정론자들은 식민지 조선사회가 폭력과 차별에 기초한 식민주의에 의해 작동되는 사회임을 부정하고, 민족별 임금차도 민족차별이 아니라 능력차이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식민지 설계자들은 조선총독부 관료들의 민족별 임금차를 평균 2:1로 편성했으며, 이러한 차별 체계는 사회에도 적용했다. 식민지배말기에 기본급 체계를 단일화해서 차이를 줄이나 새로운 방안들을 개발하여 차별구조는 계속 유지되었다. 그리고 탄광노동의 특성상 근속기간이 채탄량에 큰 영향을 주지 못함을 통계로 확인하였다. 모집, 관알선, 징용으로 이어지는 조선인 노동력 강제동원은 식민권력이 주체로서 실행했으며, 전쟁 말기로 갈수록 동원의 강제성과 폭력성은 강화되었다. 동원된 노동자의 평균 30% 이상이 작업장에서 도망한 사실이 이를 증명한다. 그러나 강제동원 문제의 본질은 강제노동에 있으며, 이는 일본사법부도 인정했다.

      • KCI등재

        일제하 조선인 ‘강제노역동원’과 손해배상청구소송

        송규진(Song, Kue-jin)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18 아시아문화연구 Vol.46 No.-

        조선인의 ‘강제노역동원’은 조선, 일본, 사할린, 만주, 중국, 남방 등 일본제국권 전역에서 이루어졌다. 일제는 군부 · 관헌 · 자본가들의 요구를 받아들여 ‘모집’, ‘관알선’, ‘징용’ 등으로 조선인들을 강제적으로 끌어 모아 노역을 시켰다. 일제가 조선을 강점한 이후 조선민중은 가혹하게 착취당하고 학대받았지만 특히 전시체제가 되면서 강제노역으로 큰 피해를 당했다. 끌려간 조선인 노역자는 감금상태에서 노역하면서 언어가 통하지 않은 상황에서 구타 등 만성적 폭력에 시달렸고 살인적 노동강도로 사망자가 속출했다. 그리하여 조선인들은 집단적으로 저항했으며 심지어는 미불금 받는 것도 포기하고 생명을 건 탈출을 시도했다. 억울한 희생을 당한 ‘강제노역동원’ 피해자들은 해방 이후에도 대부분 가슴에 한을 묻고 살았다. 이들은 1990년대에 들어와 소송을 제기했는데 이 가운데 ‘미쓰비시 사건’의 원고들은 일본에서 패소하자 한국에도 소송을 제기했다. 이들은 결국 한국 대법원에서 승소판결을 이끌어 냈다. 대법원에서 기존판결을 뒤엎은 것은 당시 법조계에서는 상당히 충격적인 사건이었지만 ‘역사학계’입장에서 당연한 판결이었다. 그러나 이에 대해 일본기업들은 한국의 대법원 판결을 거부하고 있어 여전히 해결되지 않는 과제로 남아 있다. ‘강제노역동원’과 관련한 현안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역사학계에서 축적된 연구를 바탕으로 법학계의 법리적 검토를 종합하는 학제 간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한일시민운동의 연대를 통해 한일 정치권에 영향력을 행사하고 국제사회의 지원을 받아 일제하 조선인 ‘강제노역동원’과 관련한 현실적인 문제들을 해결해야 할 것이다. The compulsory mobilization of Koreans was implemented throughout Korea, Japan, Sakhalin, Manchuria, China, and the southern regions of Asia. Under the plan of Japanese government, the interests among the military, the constitution, and the capitalists of Japan were coincided and they forced Koreans to the toil on the pretext of ‘recruitment’, ‘government recommendation’, or ‘requisition’. Koreans were subjected to chronic violence while working in detention, resulting in death due to murderous labor intensity. Thus, the Koreans resisted collectively and even tried to escape at the risk of life, giving up the unpaid wages. The victims of the forced labor mobilization had to live without any recompenses after liberation. They filed suit in the 1990s, among which the plaintiffs of “Mitsubishi case” filed suit in Korea after losing a lawsuit in Japan. They finally prevail in the Supreme Court. The verdict of Supreme Court overturned the existing ruling, which was a very shocking event in the legal profession at the time, but it was a fair judgment in the sense of “history academia”. However, the Japanese companies have refused to accept the Supreme Court ruling in South Korea, which remains an unresolved issue. Interdisciplinary research combining the judicial review of the legal system based on the researches accumulated in the history academia, is necessary to solve the problems related to the forced labor mobilization. In addition, the solidarity of the Korean-Japanese Citizens’ Movement could evoke the influence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nd help solving the real problems related to the forced labor mobilization of Korea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