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비주얼 스토리텔링 교수방법을 적용한 정신전력 강화 방안 연구 (군인정신-군인의 가치관 정립 및 확립을 중심으로)

        이정구 국방정신전력원 2022 정신전력연구 Vol.- No.70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to develop teaching methods(Visual-storytelling) for strengthening mental power education considering changes in enlisted soldiers’ values and the new paradigm brought about by globalization, information technology,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development, and the current security situation. As a result of the research, the military mental education for effect-oriented mental power education proposed a practical method of implementing the 'Visual-storytelling Teaching Method' while taking into account the character of the education subject, the target person, and other educational environments. First, in the preceding stage, instructor should gain basic knowledge about the characteristics of mental power education subjects (military spirit, military values) and how to understand and apply Visual-storytelling. Second, in the preparatory stage, the instructor should set goals to achieve supervision, reaction, valorization, organization, and personality in order to establish individual values and beliefs. Third, at the educational stage, it is necessary to use a variety of audiovisual materials to allow learners to see, feel, and settle into their own representations. We should properly use questioning and questions to induce 'self-reflection' at the final stage of learning process. Fourth, during the evaluation and feedback phase, the learner should be closely observed and shown what has changed. If necessary, the diagnosis method should be carried out with the assistance of external evaluation. In this study, 'Visual-storytelling' is integrated and synthesized with teaching methods in the education field such as questioning and questions, discussion and debate, so that learners' understanding, empathy, commitment, interest, motivation, mutuality, and voluntary participation will be promoted to establish the spirit of soldiers (the values of soldiers), which is the core of intangible power and the driving force of tradition, and ultimately contribute to the achievement of the national defense goal. In the future, it is required to develop a diagnostic program for evaluating mental power education, diversifying military enlistment members, and redefining soldier spirit at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본 연구는 세계화와 정보화, 과학기술의 발전, 그리고 최근의 안보정세 등의 변화에 따른 입대 장병들의 가치관과 새로운 패러다임을 고려한 정신전력교육 강화를 위한 교수방법(Visual-Storytelling)에 대한 발전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각종 문헌연구(Literature Review)와 군 정훈업무 담당자들과의 면담(Interview)을 통해 의견을 수렴하는 방법을 병행하였다. 연구결과 효과 지향의 정신전력교육을 위해 군인정신 교육은 교육과목의 성격, 교육대상자, 기타 교육환경 등을 고려하여 ‘비주얼 스토리텔링 교수방법’을 교육현장에 실천적으로 적용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첫째, 선행단계에서는 교수자가 교육과목의 특성과 교수방법에 대한 선행연구와 준비가 필요하다. 즉, 정신전력교육 과목(군인정신, 군인의 가치관)의 특성과 비주얼 스토리텔링에 대한 이해와 적용방법에 대한 기본 지식 습득을 해야 한다. 둘째, 교육준비 단계에서 교수자는 목표를 장병 개개인의 가치관과 신념을 세울 수있도록 감수, 반응, 가치화, 조직화 및 인격화를 달성할 수 있도록 설정해야 한다. 셋째, 교육실시 단계에서는 각종 예(例)를 통해 학습자의 호기심과 흥미, 학습동기부여, 심리적 공감(몰입),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과 상호성 증대와 기억유지를 할 수 있도록하고, 특히 각종 시청각 교보재를 적극 활용하여 학습자가 보고, 느끼고, 자신의 표상(表象)으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학습의 마무리 단계에서는 ‘자기성찰’을 유도할 수 있도록 발문(發問)과 질문(質問)을 적절히 활용하여야 한다. 이는 학습자가 자신의 상태를 인식(認識)하여 무엇을 개선해야 할 것인가를 스스로 느끼도록 하는 것이다. 넷째, 교육평가 및 환류단계에서는 학습자를 면밀히 관찰하고, 학습자가 어떠한 변화가있었는지를 살펴보아야 한다. 진단 방법은 필요시 외부평가의 도움을 받아서 실시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비주얼 스토리텔링’을 교육현장에서 발문 및 질문, 토의 및 토론등의 교수방법과 통합적·융합적으로 적용함으로써 학습자의 이해와 공감, 몰입, 흥미및 동기유발, 상호성 증대, 그리고 자발적 참여를 도모하여 무형전력의 핵심이자 전승의 원동력인 군인정신(군인의 가치관)을 정립시켜 궁극적으로는 국방목표 달성에 기여할수 있을 것이다. 향후 군인정신교육을 포함한 정신전력교육 평가 진단 프로그램 개발과군 입대 구성원의 다양화, 그리고 장병 의식의 변화에 따른 국방부 차원에서 군 가치관(군인정신)에 대한 재정립이 요구된다.

      • KCI등재

        경영자의 사업 가치관과 교육훈련 투자에 관한 탐색적 연구

        김봉곤(Kim Bong Gon),이을터(Lee Eul Teo)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015 인적자원관리연구 Vol.22 No.3

        본 연구는 경영자의 사업에 대한 가치관을 경제적 가치관과 사회적 가치관으로 구분하고, 두 가치관이 교육훈련 투자(교육훈련 총액, 교육훈련 방법 다양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경영자의 사업 가치관과 교육훈련 투자의 관계에서 불확실한 환경과 전년도 경영성과를 조절변수로 설정하여 환경 및 재정적 여건들 하에서 교육훈련 투자에 대한 경영자 사업 가치관의 영향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조사는 군산 소재 500여 개의 중소기업 경영자들을 대상으로 사업 가치관과 교육훈련 투자(금액 및 방법)에 대해 설문조사하였다. 설문조사는 우편, 이메일, 그리고 직접 방문 등을 통해서 이루어졌으며, 총 153개 업체의 자료를 통계 처리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소기업 경영자의 사회적 가치관은 교육훈련 투자액과 교육훈련 방법 다양성 모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나타냈다. 이 결과는 경영자가 기업 운영을 통해 사회에 기여하고자 하는 신념이 강할수록, 보다 고품질의 제품과 서비스를 양산하기 위해 교육훈련 투자액을 높이고, 다양한 교육훈련 방법들(현장 OJT, 멘토링, 직무 관련 교육 프로그램, 관리자 승진 교육훈련, e-Learning, 외부 강사 초청 교양교육 등)을 동원함을 보여주는 것이다. 둘째, 경영자의 경제적 가치관과 교육훈련 방법 다양성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의 영향을 나타냈다. 즉, 경제적 가치관의 중소기업 경영자는 필수적인 교육훈련 이외의 다양한 교육훈련에 부정적임을 알 수 있었다. 셋째, 환경 불확실성과 전년도 경영성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며, 그 이유를 논의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시사점과 한계점을 토론하였다. This study, facing up to the fact that the training in the rapidly changing business environments of the 21 century makes an organization secure its competitiveness, has tried to find key influence factors to training investment from CEO's business value. To put it concretely, with CEO's business value being largely classified into economic business value and social business value, it has appreciated the effect of those two values on the amount invested in training and the variety of training. In addition, in terms of the correlation between CEO's business value and investment in training, the firm performance of the previous year and the environmental uncertainty have been employed as moderating variables. Theoretical background were reviewed those preceding researches on CEO's business value, investment in training and its method and environmental uncertainty. The conceptual relationship models of research variables have been established for research model so that the concrete correlation might be appreciated for hypothesis establishment. The research objects of about 500 small and medium businesses located in Gunsan City were surveyed on CEOs' values and their different training conditions (amount, methods and time). The total 163 copies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153 out of which, those with insincere answers excluded, have been analyzed by means of SPSS Statistical Package. The research results are suggesting the verification of hypotheses and the outcome of statistical analysis on training states. The followings are the key outcomes. First, among CEOs' business values, the social business value showed a positive effect of statistical significance on the invested amount in and the variety of training, which means that the more a CEO's belief for contribution to the society by managing his/her business is, the more the invested amount in training for better quality and service gets and the more variously the training methods are carried out. Second, the economic business value showed a positive effect on the variety of training. On the other hand, it was revealed that there is no relationship between CEOs' economic value and their investment in training. Third, the environmental uncertainty and the firm performance of the previous year, which were employed as moderating variables in respect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business value and training, did not show any statistical significance. On the contrary, the higher environmental uncertainly of an organization was found to have the trend of decreased investment in training. This finding, reflecting the unique environmental features of small and medium businesses in Gunsan City, makes it possible to assume that it is because they, ow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small and medium businesses, put more special stress on the improvement of short-term internal performance factors rather than try to overcome the environmental uncertainty via any long-term plan through training. Fourth, the following shows the training status of those small and medium businesses in Gunsan City. The investigation of valid samples revealed that the total amount and the total time spent on the training in 2014 were 7,236,088 won (median = 3,000,000 won) and 172 hours (21.5 days) (median = 16 hours ( two days)) on average respectively. Out of the total 7 training methods (training for new staff, OJT (on-the-job training), training program related to duties, training program for managers' promotion, mentoring, e-learning and liberal education by invited instructors), 2.5 on average were being carried out. Lastly, the implications of and limitations to this study have been discussed.

      • KCI등재

        경영자의 사업 가치관과 교육훈련 투자에 관한 탐색적 연구

        김봉곤,이을터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015 인적자원관리연구 Vol.22 No.3

        본 연구는 경영자의 사업에 대한 가치관을 경제적 가치관과 사회적 가치관으로 구분하고, 두 가치관이 교육훈련 투자(교육훈련 총액, 교육훈련 방법 다양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경영 자의 사업 가치관과 교육훈련 투자의 관계에서 불확실한 환경과 전년도 경영성과를 조절변수로 설정하여 환경 및 재정적 여건들 하에서 교육훈련 투자에 대한 경영자 사업 가치관의 영향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조사는 군산 소재 500여 개의 중소기업 경영자들을 대상으로 사업 가치관과 교육훈련 투자(금액 및 방법)에 대해 설문조사하였다. 설문조사는 우편, 이메일, 그리고 직접 방문 등을 통해서 이루어졌으며, 총 153개 업체의 자료를 통계 처리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소기업 경영자의 사회적 가치관은 교육훈련 투자액과 교육훈련 방법 다양성 모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나타냈다. 이 결과는 경영자가 기업 운영을 통해 사회 에 기여하고자 하는 신념이 강할수록, 보다 고품질의 제품과 서비스를 양산하기 위해 교육훈련 투자액을 높이고, 다양한 교육훈련 방법들(현장 OJT, 멘토링, 직무 관련 교육 프로그램, 관리자 승진 교육훈련, e-Learning, 외부 강사 초청 교양교육 등)을 동원함을 보여주는 것이다. 둘째, 경영자의 경제적 가치관과 교육훈련 방법 다양성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의 영향을 나타냈다. 즉, 경제적 가치관의 중소기업 경영 자는 필수적인 교육훈련 이외의 다양한 교육훈련에 부정적임을 알 수 있었다. 셋째, 환경 불확실성과 전년 도 경영성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며, 그 이유를 논의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시사점과 한계점을 토론하였다. This study, facing up to the fact that the training in the rapidly changing business environments of the 21 century makes an organization secure its competitiveness, has tried to find key influence factors to training investment from CEO’s business value. To put it concretely, with CEO’s business value being largely classified into economic business value and social business value, it has appreciated the effect of those two values on the amount invested in training and the variety of training. In addition, in terms of the correlation between CEO’s business value and investment in training, the firm performance of the previous year and the environmental uncertainty have been employed as moderating variables. Theoretical background were reviewed those preceding researches on CEO’s business value, investment in training and its method and environmental uncertainty. The conceptual relationship models of research variables have been established for research model so that the concrete correlation might be appreciated for hypothesis establishment. The research objects of about 500 small and medium businesses located in Gunsan City were surveyed on CEOs’ values and their different training conditions (amount, methods and time). The total 163 copies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153 out of which, those with insincere answers excluded, have been analyzed by means of SPSS Statistical Package. The research results are suggesting the verification of hypotheses and the outcome of statistical analysis on training states. The followings are the key outcomes. First, among CEOs’ business values, the social business value showed a positive effect of statistical significance on the invested amount in and the variety of training, which means that the more a CEO’s belief for contribution to the society by managing his/her business is, the more the invested amount in training for better quality and service gets and the more variously the training methods are carried out. Second, the economic business value showed a positive effect on the variety of training. On the other hand, it was revealed that there is no relationship between CEOs’ economic value and their investment in training. Third, the environmental uncertainty and the firm performance of the previous year, which were employed as moderating variables in respect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business value and training, did not show any statistical significance. On the contrary, the higher environmental uncertainly of an organization was found to have the trend of decreased investment in training. This finding, reflecting the unique environmental features of small and medium businesses in Gunsan City, makes it possible to assume that it is because they, ow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small and medium businesses, put more special stress on the improvement of short-term internal performance factors rather than try to overcome the environmental uncertainty via any long-term plan through training. Fourth, the following shows the training status of those small and medium businesses in Gunsan City. The investigation of valid samples revealed that the total amount and the total time spent on the training in 2014 were 7,236,088 won (median = 3,000,000 won) and 172 hours (21.5 days) (median = 16 hours ( two days)) on average respectively. Out of the total 7 training methods (training for new staff, OJT (on-the-job training), training program related to duties, training program for managers’ promotion, mentoring, e-learning and liberal education by invited instructors), 2.5 on average were being carried out. Lastly, the implications of and limitations to this study have been discussed.

      • KCI등재

        漢文敎育學과 傳統的 價値觀

        金王奎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18 漢字 漢文敎育 Vol.44 No.-

        이 글은 한문교육학 관점에서 전통적 가치관 영역 문제를 논의했다. 전통적 가치관의 原形, 繼承, 變奏와 관련된 문제는 다방면에서 논의를 전개할 수 있다. 필자의 이 글은 전통적 가치관의 원형, 계승, 그리고 변주를 교과 내용론, 방법론, 그리고 평가론의 統合 차원에서 수용하고자 했다. 바로 敎科敎育學的 變容의 과정에 대한 試論이다. 내용론의 관점에서 한문과에서 수용 가능한 언어 재료와 언어 재료를 통한 目的을 정리했다. 한문과의 교과적 특수성과 관련하여 전통적 가치관의 意味 資質을 고려하여 德目을 예시했다. 내용, 방법, 그리고 평가의 통합 운영의 실제를 예시하면서, 전통적 가치관의 원형, 계승, 그리고 변주 과제를 논의했다. 전통적 가치관의 원형을 확인하는 데 그치지 않고 원형과 연계하여 사고를 擴散하거나, 원형에 내재한 가치를 自己化하는 방안을 이론 차원과 실제 수업 층위에서 구안하는 작업이 필자를 포함한 한문교육학 연구자의 후속 과제이다. 이는 바로 한문학 곧, 내용의 한문교육학적 변용에 대한 학문적 탐구이다. This paper discusses the traditional values domain problem from the viewpoint of a study of classical Chinese education. Problems related to the prototype, inheritance, and variation of traditional values can be discussed in various fields. This paper intends to accept the prototype, succession, and variation of traditional values in the integrated level of the course content theory, methodology, and evaluation. This is an essay on the process of educational change of subject. In terms of content theory, This paper summarizes the acceptable language material at classical Chinese education and its purpose through it. This study exemplifies virtue by taking into account the specificity of classical Chinese education and the meaningful qualities of traditional values. I discussed the prototype, inheritance, and variation tasks of traditional values, illustrating the practice of integrated operation of content, method, and evaluation. The next task is not only to identify the original form of the traditional values, but also to expand the thinking in connection with the original form, or to create a method of making the inherent value of the original form theoretically and practically. This is an academic inquiry into educational change of subject. Key

      • KCI등재후보

        융·복합적 방법론을 활용한 가치관 및 소통 교육의 내용 제언―대학 교양교과목 <가치와 소통> 교수요목 개발을 중심으로

        김정숙,송지연 한국교양교육학회 2013 교양교육연구 Vol.7 No.2

        A wide variety of incidents have taken place in Korean society just for a short period of time such as occupation by a foreign country, war, the establishment of government, industrialization, democratization, the emergence of the powerful digital web market, the birth of unprecedented new generations, the discontinuity of cultural heritage and the indiscreet import of foreign culture. As a consequence, there is a coexistence of heterogeneous values at present, which must be taken seriously. However, no education has currently been provided in conjunction with values and communication for the younger generations who are thrown into confus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ake a theoretical design of a college curriculum of a general education course about value and communication in an attempt to facilitate the successful resolution and coordination of value conflicts through smooth communication. This course is expected to help college students to build well-balanced and creative values. The themes and phenomenological keywords presented by the curriculum of this course show the diverse appearances of society that are linked to each individual of the younger generations, and thereby pose a serious question related to moral responsibility and value judgment. A convergence attempt to link popular keywords of students, which reflect their phenomenological matters of concern, and classical education could be said to be an effort of combining what's variable and what's invariable in a vertical way. That will stimulate students to keeping on shifting their perspectives from a phenomenon to a theory and from a theory to practice. Also, the presentation of conflicting keywords makes it possible to create a symmetrical model of self vs. others, which will contribute to horizontal convergence that stirs up fierce conflicts and productive harmony between the two parties. Four self-related themes and four others-related themes were selected based on various theories that could possibly be generated by the symmetry between two different things in order to make the communication model of 'I' and 'you' cover the major key themes of value conflicts that might happen in the 21st century's Korean society. The selected self-related themes are 'beauty/ugliness,' 'man/woman,' 'desire/reason,' and 'family/I.' After the self-related themes are covered, a seminar will be held to talk about 'success/ happiness.' The selected others-related themes are 'individual/nation,' 'true/false,' 'region/world,' and 'man/nature.' And then the themes that are associated with the nature of human affairs are covered in the wrapping-up stage: 'life/death as life ethics' and 'good/evil as one's own ethics.' The effort of convergence by this study is expected to actualize vertical convergence between the actual life of students and their theoretical understanding and horizontal convergence between conflicting and symmetrical themes at the same time, which will lead to convergence education in a true sense, not just for exhibitionism. Students will be able to overcome stereotyped and authoritarian moral laws to build their own practical ethics instead of merely sticking to the fossilized good while they receive that education. And they also will gradually be able to improve their thinking faculty to make their standpoints clear about major principles necessary for the maintenance and development of society, and then to provide rationale on their standpoints. They will learn the best wisdom from this undergraduate general education course to foster their insight and judgment to build their own ethics in the 21st century's Korean society marked by the extreme confusion of values, and they will learn how to put it in practice from a perspective of humanities as well. 한국사회는 짧은 시간 내에 식민 지배 및 전쟁, 정부수립 후 산업화와 민주화, 강력한 디지털 웹 시장과 함께 완전히 새로운 세대의 탄생, 전통문화의 단절과 외국문화의 무분별한 수입 등을 경험함으로 인해 이질적 가치들이 혼재되어 있는 상태이다. 하지만 심각한 상황에 반해 현재 혼란에 빠진 젊은 세대를 위한 본격적인 가치관 교육 및 소통 교육은 부재하다. 본고는이처럼 극에 달한 가치갈등의 문제들을 소통을 통해 적극적으로 해결하고 조정하는 대학 교양교과목 <가치와 소통>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의 성격을 띤다. 바탕주제들을 중심으로 교수요목을 선정하고 제언하는 것이다. 이 교과목의 커리큘럼이 제시하는 세부 주제 및 현상적 키워드들은 청년 세대 개개인과 결부된 사회의 다양한 모습을 보여줌으로써, 도덕적 책임 및 가치판단과 관련된 치열한 질문거리를 제공한다. 학생들의 현상적 관심사가 반영된 유행 키워드들과 고전교육을 연결하는 융·복합적 시도는 곧 ‘변하는 것과 변하지 않는 것을 종적으로 결합하는 일’이라 할 수 있다. 그러므로 학생들의 관점은 현상에서 원론으로, 이론에서 실천으로 끊임없는 층위 간 이동을 하게 된다. 또한 대립되는 주제어들을 통해 자아 대 타자의 대칭 모형을 만들어 양자 사이의 치열한 갈등과 생산적인 조화를 유도해내는 ‘횡적 융·복합’을 보여주기도 한다. ‘무엇 vs 무엇’의 대칭적 모양이 보여줄 수 있는 다양한 원론적 바탕 위에서 자아관련 테마4개와 타자관련 테마 4개를 통해 21세기 한국사회에서 유효한 가치갈등의 굵직한 핵심주제들을 ‘나’와 ‘너’의 소통 모델 안에 엮는다. 자아-테마로는 ‘미/추’, ‘남/여’, ‘욕망/이성’, ‘가족/나’가 있고, ‘성공/행복’에 대해 이야기하는 중간세미나를 가진다. 타자-테마로는 ‘개인/국가’, ‘진짜/가짜’, ‘지역/세계’, ‘인간/자연’이 있고, 인간사 본질을 관통하는 바탕주제들인 ‘생명윤리로서의 삶/죽음’과 ‘자기윤리로서의 선/악’을 맺음 단계에 배치한다. 본 연구가 취하는 융·복합의 방향은 학생들의 현실적 삶과 원론적 이해 간의 종적 융·복합과 대립·대칭적 주제들 양자 간의 횡적 융·복합을 해냄으로써 융·복합 방법론의 전시적 활용이 아닌 진정한 융·복합적 교육의 방법으로 나아간다. 이 과정에서 학생들은 반복적이고 권위적인 도덕률을 이겨내고 생동하는 자기윤리를 품게 된다. 그리하여 사회의 유지와 발전에 필요한 주요 원칙에 대해 자신의 고유한 입장을 확립하고 그것을 체계적으로 정당화시킬 수 있는 사유능력의 점진적 향상을 해낼 것이다. 궁극적으로 <가치와 소통>은 대학생들이 균형적이고 창조적인 가치관을 정립하도록 돕는다.

      • KCI등재

        한국 고전문학교육 연구 동향과 전망 - 1980년대 이후 박사학위 논문을 중심으로

        한창훈 ( Han Chang-hun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13 고전문학과 교육 Vol.25 No.-

        이 논문에서는 지금까지 산출된, 고전문학교육 연구 관련 박사학위 논문을 주 검토 대상으로 삼았다. 이어 논점이 제기되는 경우는, 학술지의 특집이나 관련 일반 논문들도 그 검토 대상을 확장했다. 지금까지의 연구 흐름으로 보았을 때, 우선 고전문학교육 연구에서 ‘고전’에 주목하는 경우와 ‘문학’에 주목하는 경우로 우선 크게 양분할 수 있었다. 문학 연구가 상정할 수 있는 최종의 단계는 교육에 있다. 따라서 문학교육은 문학 연구의 완성이라는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먼저 이른 시기 고전문학 교육 전공자들은 고전문학 연구와 고전문학 교육 연구를 구별하고, 교육적 의의가 있는 즉 일반성과 보편성을 갖춘 원리 탐구를 지향하는 논문들이 고전문학 교육 연구의 결과물이라 보았다. 더불어 고전문학의 교육철학으로 ‘문화로서의 고전문학’을 말하면서, 오늘날 우리가 사용하는 문학이라는 용어의 개념과는 달리 우리 선조들이 사용했던 문학이라는 용어는 역사와 철학을 포괄한 의미를 가졌음을 강조했다. 이 때문에 고전문학 교육 연구의 방향은 고전 작품의 사유 체계와 표현에서 그 보편적인 원리를 추출하고, 이의 현대적 의미와 문화적 효과를 밝히는 것이 된다. 이런 입장은 가면 갈수록 ‘고전’ 보다는 ‘문학’ 쪽으로, ‘문학’ 보다는 ‘문학적’인 것으로 발전하고, 새로운 텍스트의 발굴이나 새로운 해석보다는 교육의 대상으로서의 텍스트의 성격을 강조하는 쪽으로 발전한다. 그리고 이런 면을 최근 수행된 일군의 학위 논문들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고전문학은 그 자체의 존재론적 가치 이외에도 교육될 만한 교육적 가치나 속성을 가지고 있다. 이는‘고전’에 중심을 둔 것으로, 당대의 삶의 모습을 담지하는 자료로서 문화의 원형을 보여준다는 점에 주목한다. 이는 고전문학 교육이 역사적 사실에 기반하여 이루어져야 하며, 따라서 작품이 하나의 교육 자료로서 기능한다는 것을 말해준다. 고전문학 교육 연구의 다른 방향은 이 점에 주목하여 이루어졌다. 다음으로는 실제적인 연구들이 있다.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하는 문제는 실제 수업 방식과 관련한 것으로, 교육학적 시각과 실제 현장 경험이 유용하게 응용되는 부분이라 할 수 있다. 그런데‘왜, 무엇을 가르칠 것인가’하는 문제의 경우, 연구가 상대적으로 부족하다. 이 두 영역은 가르치는 목적에 따라 내용이 선정될 수 있기 때문에 서로 맞물려 있다. 그런데 이 본질적인 부분의 연구가 다른 부분의 연구 성과보다 빈약한 상태에 있다. 앞으로의 과제는 우선 상대적으로 부족한 영역에 대한 연구가 보충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그리고 사회과학적 방법론을 포함한 새로운 고전문학 교육 연구 방법론에 의거한 연구들이 많이 나오기를 기대한다. Doctoral dissertation papers related to the research on Korean classical literature education produced until now were reviewed in this paper. Then, if any issue was raised, the review was extended to special editions of academic journals or general research papers. On the basis of research trends so far, research on Korean classical literature education can be divided into two groups focusing on 'classic' and 'literature'. The final step of introducing the study of literature is education. Thus, an education in literature education is important for the completion of the study of literature. First, early classical literature education majors distinguish classical literature research from classical literature education research and evaluate the research papers, which explore the principals and have characteristics of generality and universality, as the results of classical literature education research. In addition, they mentioned 'classical literature as culture’and emphasized that the terms of literature which our ancestors used contain comprehensive historical and philosophical meanings in contrast to the terms of literature used today. Because of this, the purpose of the study of classical literature education is to extract universal principles from the systems of thinking and expression found in classical literature and to identify contemporary meanings and cultural effects. This position has developed from 'classics' to ' literature' and is becoming more 'literary' rather than 'literature' as time passes. In addition, it there has been a shift towards more emphasis of the nature of the text as an object of education rather than the excavation of new texts or new interpretations. These aspects, too, can be seen in the dissertation papers reviewed for the purposes of this study. Classical literature has an educational value or property which can be used for education in addition to its own ontological value. This is based on 'classics' and it should be noted that it shows the archetype of culture as a material impregnated with the appearances of the life of the times. It also demands that classical literature education should be performed based on historical facts; thus, it functions as one of the sources of educational material and studies of classical literature education aiming in different directions should therefore pay attention to this point. Next, there is actual research. The problem of 'How to teach' is related to actual teaching methods. There is a point where pedagogical perspective and actual experience in the field can be applied usefully. But, relatively speaking, there are not enough studies on research into 'Why? and what to teach?'. These two areas are interconnected because content can be selected depending on the purpose of the teaching. But, this essential part of the research contains weaker points than any other areas of the study results. In the future, it will be necessary to supplement with a study on the relatively weaker areas. It is expected that many studies will be conducted in accordance with the research methodology of new classical literature education including social scientific methodologies.

      • KCI등재

        스토리텔링의 교육적 의의와 활용 방안 탐색

        양미경(Yang, Mikyeong) 한국열린교육학회 2013 열린교육연구 Vol.21 No.3

        본 연구는 최근 사회 각 부면에서 각광을 받고 있는 스토리텔링이 지닌 교육적 의의와 활용 가능성을 이론적, 실천적으로 검토해보고자 하였다. 기존 선행 연구들을 개관한 결과, 대부분 교수자의 맥락에 치중하여 논의를 해왔고, 구체적으로 어떤 내용 특성을 다룰 때 특히 효과적인지에 대한 논의가 미흡하였으며, 주로 초·중등학교의 수준에서 적용되어 왔다는 점 등에서 제한점이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첫째, 스토리텔링의 교수방법적 의의와 효과를 분석하는 데 그치지 않고, 학생들이 스스로 스토리텔링을 구성하고 공유하는 과정을 거치도록 함으로써 그 효과와 의의를 보다 포괄적으로 검토해 보고자 하였다. 둘째, ‘가치갈등의 장으로서의 학교 교육과정’이라는 교육과정 분야의 핵심적인 이슈를 중심으로 적용해 봄으로써, 교육적 스토리텔링은 여러 관점들이 복합적으로 관련되고 학습자의 가치관 및 신념의 형성과 연계된 상황맥락적인 주제를 다룰 때 특히 효과적이라는 가정을 검증해보고자 하였다. 아울러, 셋째, 교직과정을 이수하는 대학생 및 교육대학원생들을 대상으로 한 강의에 이 방법을 적용함으로써 스토리텔링의 의의와 효과를 확장적으로 구현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스토리텔링이 지닌 교수-학습방법으로서의 의의와 효과가 생생하게 분석, 논의되었고, 특히 스토리텔링을 상호 공유하는 과정을 통해 ‘주제가 있는 공통의 스토리 목록’을 가지게 된 점과, 예비교사들의 입장에서 스토리텔링의 구성 및 활용 가치, 평가의 관점 등에 대한 실천적 지식을 가지게 된 점이 가지는 메타교육적 의의가 강조되었다. 아울러 통합적, 맥락적, 감성적인 특성의 스토리텔링이 지닌 교육적 가치가 더욱 적극적이고 다양하게 탐구되고 응용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explores the distinctive features and significance of storytelling as an educational method. During the last few years the number of references to storytelling has increased in a startling fashion. However, in the precedent studies, storytelling was discussed mainly as a teaching tool, and applied on the elementary or secondary school contexts. So, this study tries to expand the value of storytelling focusing on the learners' aspects and applying it to university students who are prospective teachers. The main theme of the lecture is the characteristic of the school curriculum as a value-conflict entity. The results highlight various effects of storytelling in education. Through this study, lots of impressive storytelling materials are developed and shared.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of storytelling is empirically presented along with participants' vivid comments. It is proved storytelling can function as a means of active learning as well as conveying the tacit knowledge from the teacher. Students can integrate their previous knowledge and get broader perspectives during their own story-making and sharing the stories with other students. The multiplicity and value-conflicts of the social demands for school curriculum are reflected from the different viewpoints through the actions and intentions of the characters in the various stories. Moreover, the benefits of sharing the story indexes within the community are emphasized, and several areas of research on storytelling worthy of further exploration are suggested.

      • KCI등재

        세계유산교육의 연구 및 실천 동향과 최근 쟁점

        한송이(Han, Song Yi) 경인교육대학교 기전문화연구소 2017 기전문화연구 Vol.38 No.2

        유네스코(UNESCO)는 탁월한 보편적 가치(OUV: Outstand Universal Value)를 가진 문화유산 및 자연유산을 세계유산목록에 등재시키고 보호·보 존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 노력의 일환으로 세계유산교육이 등장하였다. 세계유산교육은 세계유산을 보호·보존하기 위한 ‘목적으로서의 세계유산교 육’과 세계유산을 교육적 소재로 활용하는 ‘방법으로서의 세계유산교육’으로 분류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목적으로서의 세계유산교육을 첫째, 세계유 산의 교육적 가치, 둘째, 세계유산의 교육 콘텐츠화, 셋째, 세계유산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로 분류하고, 방법으로서의 세계유산교육을 첫째, 현장체험학습 장소로서의 세계유산교육, 둘째, 교과 교육 소재로서의 세계유 산교육, 셋째, 가치 교육의 매개로서의 세계유산교육으로 나누어 선행 연구를 고찰하였다. 세계유산은 풍부한 교육적 가치를 가지고 있지만 학교 현장 에서 다양하게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 이에 세계유산교육을 교육과정에 반영 하고자 세계유산교육의 최근 연구동향과 주요 쟁점을 살펴보았다. UNESCO is trying to list on and protect the world cultural and natural heritage which has Outstanding Universal Value. A way of these efforts, World Heritage Education(WHE) has started. WHE can be divide to ‘WHE as a purpose’ and ‘WHE as a means’. ‘WHE as a purpose’ is intended to protect World Heritage and ‘WHE as a means’ uses World Heritage as a means in the curriculum. This study considers precedent studies of WHE. In this study, ‘WHE as a purpose’ is categorized as Educational Value of WHE, Developing Educational Contents for WHE or Educational Program for WHE. And ‘WHE as a means’ is categorized as Field study location, Educational subject matter or Teaching materials of the value education. World Heritage has a wealth of educational values, but is not widely used in schools. Therefore this study is to cosider the current research trends and primary lssues of WHE to reflect WHE in curriculum.

      • KCI등재

        발전교육론의 관점에서 본 흥부와 놀부의 인성

        박균섭 한국인격교육학회 2018 인격교육 Vol.12 No.1

        1960년대는 발전교육론의 시대에 걸맞게 경제성장과 산업발전을 우선적 가치로 삼는 교육을 표방하였다. 특히 1968년체제는 발전교육과 제2경제의 교육학적 성격과 의미를 성찰하는 중요한 계기로 작용하였다. 1968년 4월, 교육학자 정범모는 흥부-놀부 이야기를 초등학교 교과서에서 삭제해야 한다고 발언했는데 이는 한국 교육학의 전개 과정에서 특기할만한 사건이라고 말할 수 있다. 정범모의 발언을 통해 당시 교육학자들의 이론적 대응은 정치 친화적이었던 반면 교육학적 상상력은 빈곤했음을 보여준다. 최인훈의 소설 『놀부뎐』(1966)-정범모의 『흥부전』 삭제 발언(1968)-㈜놀부의 창업(1987)-고우영의 만화 『놀부뎐』(1988)으로 이어지는 계열은 흥부의 퇴장과 놀부의 귀환을 특징으로 삼는다. 이는 『흥부전』의 현대판 변용 과정에서 원전과는 달리 생성된 새로운 계열에 해당한다. 한국사회는 여전히 흥부-놀부 내러티브에 대한 교육학적 성찰이 필요한 시점에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우리는 아직도, 그리고 앞으로도 흥부의 가치를 배제하고 놀부의 가치를 추구하는 삶을 살아갈 가능성이 높다. 발전교육론의 시대를 지나 약한 결속력의 시대를 살아가고 있는 우리는 공생의 방법을 고민하고 미래 전망을 가다듬는 교육학의 세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In the 1960s, the age of development education theory, the priorities of economic growth and industrial development were preached in education. In particular, the 1968 system played an important role in reflecting on the pedagogical nature and meaning of development education and the second economy. In April 1968, the scholar Chung Bum-Mo remarked that the story of Heungboo-Nolboo should be removed from elementary school textbooks. This was a milestone in the course of Korean education. Through Chung Bum-Mo’s remarks, the theoretical responses of educators at the time were politically friendly, but the pedagogical imagination was poor. Choi In-Hoon’s novel Nolboojeon(1966), Chung Bum-Mo’s remarks saying that Heungboojeon should be deleted(1968), establishment of Nolboo Co., Ltd.(1987), and Ko Woo-Young’s cartoon Nolboojeon(1988) are characterized by the departure of Heungboo and the return of Nolboo. This shows a new line in the modern transformation process of Heungboojeon. Korean society can be said to stand at the point where pedagogical reflection on the Heungboo-Nolboo narrative is needed. We are still and likely continue to pursue the value of Nolboo in the future by excluding the value of Heungboo. We have passed through the era of development education and have been living in a time of weak cohesion. The more we do, the more we have to go to a world of pedagogy that worries about the way of coexistence and fosters the outlook for the future.

      • KCI등재

        교육서비스 가격책정 방법론의 개발과 적용

        안태식(Tae-Sik Ahn),곽수근(Su-Keun Kwak),이병희(Byung-Hee Lee),심호식(Ho-Shik Shim),최연식(Youn-Sik Choi) 한국관리회계학회 2008 관리회계연구 Vol.8 No.2

        본 연구는 최근 국내에 도입된 경영ㆍ의학계열ㆍ법학전문대학원 등의 서구식 교육체제를 갖춘 전문대학원을 대상으로 등록금 책정시 적용가능한 방법론을 개발하고, 이를 전문대학원의 등록금 책정에 이용한 사례를 제시한다. 본 연구는 전문대학원의 등록금 책정시 교육원가기준(cost-based pricing method)과 부가가치창출기준(value-added pricing method) 등을 종합적으로 이용하여 책정할 것을 제시하고 있다. 과거 등록금 책정과 관련한 연구들은 주로 교육원가 모형만을 이용하였으나, 특정 전문분야와 관련된 고도의 실무지식과 이론을 교육하여 학생들의 미래 경제적 가치를 높이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하고 있는 전문대학원의 경우 교육서비스의 품질을 보다 충실히 반영하기 위해서는 과거에 투입된 교육원가뿐만 아니라 그 교육을 통해서 학생들의 미래 경제적 가치를 얼마나 높일 수 있는지를 고려하는 것이 보다 합리적일 것이다. 본 연구는 과거 학부나 일반 대학원의 등록금 책정시 주요 근거로 제시되었던 교육원가 모형의 의의와 한계를 짚어보고, 전문대학원 교육이 창출해내는 부가가치를 반영하는 부가가치창출기준을 전문대학원 등록금 책정방안의 하나로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is paper develops alternative pricing mechanisms for educational services of professional schools, including the cost-based pricing method and value-added pricing method, which can be applied to professional tuition estimations. Most prior research has focused on educational costs and activities, and commonly used cost-based approach to compute tuitions for students. However, it is not likely that this practice properly reflects the purpose and function of education services offered by professional schools. These schools provide students with highly advanced expertise and practice-oriented theories as well as enhance graduates' future economic value. In this sense, we need to develop alternative methodologies that are more appropriate to the purposes and functions of educational services provided by professional schools. Therefore, we not only investigate the functions and limitations of the cost-based approach that has been widely used for determining the tuition levels of undergraduate and general graduate schools but also suggest a value-added pricing method that is more reflective of the economic value of the education provided by professional schoo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