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退溪『論語』解釋의 經學的 特徵과 그 繼承樣相

        이영호 慶北大學校 退溪硏究所 2005 退溪學과 韓國文化 Vol.- No.36

        『논어』는 유가의 비조인 공자의 언설이 기록되어 있는 경전이기에 동아시아 각국의 수많은 경학자들이 주석을 내곤 하였다. 이 중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친 『논어』 주석서는 朱子의 『論語集注』인데, 주자는 이 책에서 경전해석학의 중요 방법인 義理와 훈고를 반영해내었다. 그런데 주자 이후 중국의 주자학파는, 양명학과의 사상 투쟁 과정에서 그 자신의 정체성을 확립하고자 노력했기 때문에 자연히 주자의 경전해석방법 중 의리에만 치중하고 훈고는 소홀히 하였으며, 이러한 학문적 태도는 그들의 『논어』 해석에도 그대로 반영되었다. 한편 조선의 退溪는 『論語釋義』를 저술하면서 주자의 『논어』 주석을 준거로 삼았다. 때문에 그는 『논어』를 해석할 때 기본적으로 주자학적 의리에 충실하였지만, 때로는 經典의 本旨를 찾고자 노력했으며, 또한 경문의 자구를 조선어로 풀이하는 훈고에도 매진하였다. 퇴계 이후 영남 퇴계학파와 근기 퇴계학파는 주자와 퇴계의 영항 아래 각기 다른 경학적 특징들을 내포하는 『논어』 주석서들을 집필하였다. 영남 퇴계학파의 李德弘은 『論語質疑』를 통해 스승의 『논어』설을 준수하는 방향에서 『논어』를 해석했으며, 柳長源은 『論語纂註增補』에서 중국 주자학파의 『논어』설을 집성하였고, 柳健休는 『東儒論語集解評』에서 조선 주자학파의 『논어』설을 집대성하였는데 그 공통적 특징으로 주자학적 의리에 대한 정치한 분석을 들 수 있다. 한편 근기 퇴계학파의 종장인 李翼은 『論語疾書』에서, 주자의 의리정신을 높이 평가하였지만, 주자학적 의리와는 다른 새로운 의리-예컨대 현실과 이익의 중시-를 그의 『논어』해석에 투영시켰다. 또한 동아시아 『논어』 주석사에서 특기할 만한 『논어』주석서인 『論語古今註』를 남긴 丁若鏞도, 훈고만을 고집하는 한학을 배척하고 의리를 중시하는 주자학을 존숭하였다. 그러나 그 역시 이기심성론이 중심에 놓여있는 주자의 『논어집주』와는 달리, 『논어고금주』에서 경세치용을 지향하는 해석체계를 수립하였다. 주자가 『논어집주』에서 이룩한 훈고와 의리의 종합이라는 경학적 성과는 중국주자학파에서는 계승이 되지 않고, 조선의 퇴계에 와서야 계승이 되었다. 이후 퇴계학파는 의리를 중시하였다는 점에서는 중국의 주자학파와 별반 차이가 없다. 그러나 영남 퇴계학파의 경우는 주자학적 의리를 정치하게 파고들었고, 근기 퇴계학파의 경우는 조선후기 역사적 상황에 부합하는 새로운 의리를 그들의 『논어』 주석에 투영시켜 놓았다는 점을 차이점 내지 특색으로 들 수 있다. Many scholars in East Asian countries have written numerous annotations of <the Analects of Confucius> since <the Analects of Confucius> is the scripture that wrote down the remarks of Confucius who is a founder of Confucianism. Among all those annotations, the most influential annotation of <the Analects of Confucius> is the <NoneoJipJu> written by Chu Hsi. Chu Hsi reflected the scholia and trend of focusing on contents in the context which are important methods for the studies of scripture interpretation. The Chu Hsi school in China after Chu Hsi, however, had tried to establish its identity during the philosophical dispute with the Wang Yangming school. The philosophical dispute with the Wang Yangming school made the Chu Hsi school to focus on not scholia but trend of focusing on contents in the context. The Chu Hsi school's attitude towards trend of focusing on contents in the context had been reflected on their interpretation of <the Analects of Confucius>. Meanwhile, ToeGye in Choson used the Chu Hsi's annotation of <the Analects of Confucius> when he wrote <NoneoSukEui>. He was basically loyal to the way of focusing on the contents in the context. But sometimes he tried to make an effort to find out the original meaning of the scripture. He also made an effort to scholia that translated the sentences of the scripture in Choson language After ToeGye, YoungNam ToeGye school and KeunKi ToeGye school had written several annotations of <the Analects of Confucius> that included different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study of Confucian Classics under the influence of Chu Hsi and ToeGye. Lee, DukHong in YoungNam ToeGye school interpreted <the Analects of Confucius> with the accordance of his master's theory in his book, <NoneoJilEui>. In his book, <NoneoChanJuJeongBo>, Yoo, JangWon compiled the theories of <the Analects of Confucius> of Chinese Chu Hsi school. Yoo, KeonHyu collected the theories of <the Analects of Confucius> of Korean Chu Hsi school in his book, <DongYuNoneoJipHaePyung>. Their common characteristics were based on finding out the contents in the context of the scripture. Meanwhile, the master of KeunKi ToeGye school. Lee, Ik had a different view of the trend of finding out the contents in the context of the scripture from that of Chu Hsi although he highly evaluated Chu Hsi's spirit for finding out the contents in the context of the scripture. He developed a new way of finding out the contents in the context of the scripture - for instance, putting on the importance of reality and profit - in his annotation of <the Analects of Confucius>. Chong, Yagyong who wrote <NoneoKoKeumJu>, that was a special annotation of <the Analects of Confucius> in the history of annotation of <the Analects of Confucius> in East Asian countries, excluded exegetical studies and showed his respect to the studies of Chu Hsi classics. Having Difference from Chu Hsi's <NoneoJipJu> that focused on less practical issues, he, however, built on the interpretational system that pointed to practical usage of running the state in his <NoneoKoKeumJu>. Chu Hsi's scholaristic outcome that combined scholia and the way of focusing on the contents in the context had been succeeded not in Chinese Chu Hsi school but in Choson Chu Hsi school. The ToeGye school made little difference with the Chinese Chu Hsi school in terms of putting on the importance on the way of focusing on contents in the context of the scriptures. YoungNam ToeGye school, however, was different from the Chinese Chu Hsi school in terms of studying the way of focusing on contents in the context of the scriptures in detail. KeunKi ToeGye school was different from Chinese Chu Hsi school in terms of developing new theory of seeing the way of finding out the contents in the contexts of the scriptures. That new theory corresponded to the historical situation in the late era of Choson dynasty.

      • KCI등재

        퇴계학파(退溪學派)와 『심경부주(心經附註)』, 시기별 문제의식과 특징

        김기주 東洋哲學硏究會 2008 東洋哲學硏究 Vol.55 No.-

        이 논문은 퇴계학파의 『心經附註』 주ㆍ해석사의 전개과정을 개괄하고, 각 시기별 특징을 전체적으로 이해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것은 퇴계학파가 『심경부주』에 어떻게 접근하고 이해했는지를 통일적 시각에서 바라보기 위한 노력이며, 동시에 『심경부주』와 퇴계학파, 혹은 조선성리학의 상관관계를 분명하게 파악하기 위한 시도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먼저 이황과 그 直傳 제자들의 『심경부주』에 대한 이해와 異見들에서 시작하여, 『심경강록간보』를 중심으로 중기 퇴계학파의 『심경부주』 이해, 그리고 마지막으로 후기 퇴계학파, 특히 심경관계를 중심으로 『심경부주』에 대한 관점이 어떻게 전개되었고 율곡학파에 대응하였는지를 개괄할 것이다. 퇴계학파는 비록 그 시기에 따라 문제의식에 있어서 약간의 차이를 보여주고는 있지만, 『심경부주』를 이해하는 기본적인 논점이나 접근 태도는 크게 변하지 않는다. 퇴계학파의 『심경부주』에 대한 기본적인 시각은 이황의 직전제자들이 제시한 이견에 대해 이황이 『심경후론』을 지어 관점을 확정한 부분, 곧 존덕성과 도문학 공부의 관계, 인심과 도심의 관계, 정민정과 그의 저서인 『심경부주』에 대한 평가에서 확인된다. 퇴계학파는 이 세 가지 문제에 대해 대부분 이황의 관점을 충실하게 계승하며 후대로 내려 갈수록 그것을 더욱 강화하고 있다. 這一篇論文之目的, 在於槪括退溪學派『心經附註』註釋史之展開過程, 以及全般地了解各時期之特徵. 這是爲了整體的觀點來看退溪學派, 如何接近而了解『心經附註』, 而且爲了確實把握『心經附註』, 與退溪學派或朝鮮性理學之間的互相關係. 所以首先自從對於『心經附註』, 李滉與其直傳弟子們之了解和異見開始, 經過以『心經講錄刊補』爲中心的中期退溪學派之『心經附註』的了解, 而最後到後期退溪學派, 尤其是以『心經관啓』爲中心, 要確認他們如何了解『心經附註』, 又對栗谷學派之批判如何對應. 雖然在退溪學派展開過程中之各時期, 有不同的問題意識, 但是了解『心經附註』之基本的論點與接近態度, 沒那마變化. 對於『心經附註』退溪學派之基本的觀點, 就是李滉對於直傳弟子們之異見回應, 而作「心經後論」以確定的. 而且那是確認在於以下三個問題, 就是尊德性與道問學之關係, 人心與道心之關係, 對於程敏政以及他的『心經附註』之評價. 對於這三個問題, 退溪學派基本上充實之繼承李滉之觀點, 還有越來越强化其觀點.

      • 한주(寒州) 경학(經學)의 특징(特徵)과 그 경학사적(經學史的) 위상(位相) -『논어차의(論語箚義)』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이영호 ( Young Ho Lee )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2006 퇴계학과 유교문화 Vol.38 No.-

        寒洲 李震相은 19세기 후반 영남 퇴계학파의 저명한 사상가이자 경학자였다. 그는 주자학도였음에도 불구하고 ‘心卽理’설을 주장하여 조선후기 사상계에 파란을 일으켰으며, 경학 방면에서도 주목할 만한 저술들을 남겼다. 한주가 남긴 論語箚義를 분석한 결과, 논어차의에는 주자학적 경학의 요소라 할 만한 내용들이 있었다. 그렇지만 한편으로 주자학파의 경학에서 보기 드문 自得的 經學의 양상도 존재하고 있었다. 조선 전기 주자학파의 경학은 주자학의 經世的 이념의 發揚에 노력한 흔적이 다분하다. 이에 비해 퇴계 이후 조선 주자학파-특히 영남 퇴계학파-의 경학은, 주로 주자학파 또는 퇴계학파의 經說의 수집과 정리 그리고 이에 관한 심층적 분석과 부연 설명이 그 주된 내용을 이루고 있다. 그런데 한주의 논어차의를 보면, 주자학파와 퇴계학파의 경설에 관한 수집과 분석보다는, 本性과 天道를 매우 중시하고 이러한 形而上的 가치를 자기 경설의 근간으로 삼고 있다. 한주 경학의 이 같은 특징은 영남 퇴계학파에서 오랫동안 보이지 않았던 자득적 경학의 면모를 새로이 보여주고 있으며, 이는 결국 조선후기 경학의 다양화에 일조를 하였다고 할 수 있다. The Characteristic of HanJu KyungHak(the Study of Confucian Classics) and Its Status in the History of KyungHak HanJu, Lee, Jin-Sang was a prominent confucius philosopher and scholar in the late nineteenth century in Korea. Although he belonged to the JuJa school, he introduced the theory called ‘SimJeukLi(the mind itself is the absolute truth)’, which brought controversial discussions among confucius scholars of the time. His writings are worthy to be paid attention to. Analysis of HanJu’s book titled <NonEoChaEui> tells that he created original thoughts in his theories different from JuJa school’s KyunHak although he still used some part of JuJa school’s ideas. The JuJa school’s KyungHak in the early Choseon dynasty emphasized the aspect of political affairs in KyungHak. In contrast to this, The KyungHak of Choseon JuJa school after Toegye-especially Youngnam Toegye school-put an effort to collect, analyze, and amplify the theories of JuJa school or ToeGye school. Meanwhile, HanJu’s <NonEoChaEui> rather than focusing on collecting and analyzing given theories, developed its own theory based on metaphysical values that emphasized absolute truth and original nature of self. The characteristic of Hanju KyungHak was that it introduced the creative thoughts which were neglected in the philosophical works in YoungNam Toegye school. This characteristic of HanJu KyongHak contributed to diversify discourses in KyungHak in the late Choseon dynasty.

      • KCI등재

        16~17세기 퇴계학파의 학문적 특성과 전개양상 고찰 -"이학-심학" 상호 연관 체계의 예학적 귀결과 학파의 혼입-

        정도원 ( Do Won Jeong ) 한국사상사학회 2012 韓國思想史學 Vol.0 No.40

        본 연구는 16~17세기 퇴계학파(퇴계와 직전문인들)의 학문적 실체를 밝히고 이를 기반으로 학파의 변화 양상을 고찰하고자 한다. 이는 17세기 남인 혹은 영남학파 속에서 퇴계학파를 학문적으로 구별해냄으로써 17세기 이후 사상사의 전개, 특히 도학의 예학으로의 전개 과정을 사상의 자기 원인적 전개라는 측면에서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퇴계학은 주자학적인 틀을 가진 도학으로서, 太極으로서의 心을 확인하고, 動靜을 일관시켜 이를 자기 것으로 체득하는 것을 중시한다. 절대적 기준인 理와 그에 근거한 주체의 성숙을 추구하는 것이다. 외적 실천은 이렇게 획득된 인격의 사회적 전개이다. 따라서 퇴계직전제자들은 動靜을 일관시켜 태극으로서의 심을 확인하고, 禮를 기준으로 사회적인 참여의 기준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태극으로서의 심을 확인하는 과정에 대한 얼마간의 논쟁은 있었지만 학파의 분화로 이어지지는 않았고, 예학적 귀결에 대해서는 별다른 이견이 없었다. 다만 상당히 까다로운 사회적 실천 요건은 퇴계직전제자들이 객관적으로 확립될 수 있는 기준으로서의 禮에 보다 치중하게 하는 요인이 된 것으로 보인다. 퇴계는 禮를 矯俗의 차원에서 바라보았지만 제자들은 內聖과 실천의 기준으로 확보하고자 하였다. 그들에게 퇴계의 지침은 그 자체가 하나의 원칙이었고, 예학적인 귀결 역시 이러한 노력의 연장선에서 이루어진 것이었다. 학파 전체로 볼 때 퇴계 사후 학문적 단일성이 유지되어 학맥의 분화가 일어나지는 않았으나 도학적 자기화 과정에서 예학적 심화가 있었다고 하겠다. 학통의식이나 학문내용 등의 맥락에서 볼 때, 한강은 17세기 남인 예학을 대표하면서 퇴계학파의 수장으로 등장하였지만 퇴계의 적전이라고 하기는 어렵다. 한강이나 그의 친우 동강의 학문은 덕계-남명을 이은 것으로 파악되고, 퇴계학파에서의 위상은 당파가 고착되던 시기의 정치적 결과물이라고 볼 수 있기 때문이다. 한강이 기호남인의 수장이자 영남의 맹주였을 수는 있지만 학문적으로 퇴계학파를 대표할 수는 없는 것이다. This study pursues the academic truth and its variation of the 16-17th C Toegye School for investigating the self-evolution of Thoughs, especially focus on Xinxie(心學) and Lixue(禮學). Toegye School tried to make sure what Taiji(太極) or Xin(心), as the ultimate object, in me is. The mastery of it was their eventual goal. It is obtained by running through dongjing(動靜). But it is very difficult because it is depending on the unity of Ultimate Principle and the essential subject. So they want to get the standard for this goal. It is the Li(禮). Toegye consider it as tools for correcting social folkways, but his disciples regarded it as the standard or principle for Daoxue(道學). Lixue(禮學) was the end of their pursuit. Hankang(寒岡) is the leader of South party in 17C and he represented their Lixie(禮學), but he, including Dongkang(東岡), could not be the representative of Toegye school because he`s scholastic mantle and philosophy were from Nammyeong(南冥) and different from those of Toegye school.

      • KCI등재

        퇴율학통의 경학 논변과 경설 회집

        이영호(Lee, Young-ho) 대동한문학회 2018 大東漢文學 Vol.54 No.-

        다양한 양상을 지닌 중국경학은 대부분 조선으로 전래되었다. 그 결과 조선의 경학은 주자학, 실학, 양명학(강화학), 금문학 등의 색채를 가지게 되었다. 이 가운데 조선의 주자학적 경학은 당대에 가장 큰 영향력을 지녔다. 조선전기에도 주자학적 경전주석서가 등장하였지만, 후대의 영향력의 측면 에서 보자면 조선경학의 개산조는 퇴계 이황이라고 할 것이다. 퇴계의 경학은 퇴계학파 뿐 아니라, 율곡학파에도 일정 부분 영향을 미쳤기 때문이다. 퇴계의 경설은 그의 제자들 뿐 아니라, 율곡학통의 대유인 송시열과 박세 채에 의하여 비판적으로 수용되었고, 이후 18세기에서 20세기 초까지 이어진 조선주자학파 경설의 회집에서도 단연 중심축이었다. 퇴계 이후, 조선주자학파 경학의 선집은 18세기에는 권상하(율곡학파)와 유건휴(퇴계학파)에 의해, 20세기 초에는 서석화(퇴계학파)와 이해익(율곡학파)에 의해 이루어 졌다. 그 선집의 양상을 보면 대체로 퇴계를 중심에 두고 퇴계학파에서는 이상정이, 율곡학파에서는 김창협이 자파를 대표하는 경학자로 부상하였 다. 이처럼 퇴계에서 발원된 조선의 주자학파 경학은 20세기 초까지 자파의 경설을 계승 발전시켰다는 점에서, 이를 두고 곧 조선적 경학의 탄생과 성장이라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Chinese Kyunghak which had various aspects was mostly transferred to Joseon. As a result, the Kyunghak of Joseon had colors of Jujahak, Silhak, Yangmyeonghak(Kanghwahak), and Keummunhak. Among these, Chu-tzu School’s Kyunghak had the greatest impact in the Joseon dynasty. Commentaries of Confucius Scriptures understood from the perspective of Chu-tzu School were appeared in early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However, when considering the impact of their influences in the late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Toegye Yi Hwang could be called as the founder of the Joseon Kyunghak. Because Toegye’s Kyunghak had influenced not only on Toegye school but also on Yulgok school. Toegye’s commentaries were accepted not only by his disciples but also critically accepted by great scholars of Yulgok school, Song Si-yeol and Pak Se-chae. Afterwards, they had become decisively central axis among a collection of Chu-tzu school’s commentaries between the eighteenth century and the early twentieth century. After Toegye, selected collections of Kyunghak commentaries of Chu-tzu school in the Joseon dynasty were made by Kwon Sang-ha(Yulgok school) and Yu Keon-hyu(Toegye school)in the eighteenth century and by Seo Seok-hwa(Toegye school) and Yi Hae-ik(Yulgok school) in the early twentieth century. The selection of commentaries show that while putting Toegye at the center, Yi Sang-jeong from Toegey school and Kim Chang-hyup from Yulgok school became representative scholars. Chu-tzu School’s Kyunghak originated from Toegye had succeeded and developed commentaries of both Toegye and Yulgok school. This shows that it can be evaluated as the birth and growth of Kyunghak in the Joseon dynasty.

      • KCI등재

        16세기 善山(선산)지역 서원 건립에 나타나는 道統意識(도통의식) -金烏書院(김오서원)과 吳山書院(오산서원)을 중심으로

        임근실 ( Geun Sil Lim ) 퇴계학연구원 2015 退溪學報 Vol.137 No.-

        16세기 善山지역에서 서로 다른 도통의식이 반영된 松堂學派의 金烏書院과 退溪學派의 吳山書院이 건립되었다. 이 시기 선산에서 朴英을 스승으로 모시는 송당학파가 성립되었다. 1570년대 송당학파는 ‘정몽주-길재-김숙자-김종직-김굉필-정붕-박영’으로 이어지는 도통 의식이 반영된 금오서원을 건립했다. 금오서원은 선산이 고향인 길재를 주향으로 하고 김종직, 정붕, 박영이 배향되었다. 1580년대 柳雲龍은 길재의 묘소가 있는 仁同의 縣監으로 부임하면 서길재를 추숭하는 작업에 착수했다. 류운룡의 스승인 李滉은 조선 유학의 도통이 ‘정몽주-길재-김숙자-김종직-김굉필-조광조-이언적’으로 이어진다고 파악했다. 이황 사후에 퇴계학파의 학자들은 오현 (김굉필, 정여창, 조광조, 이언적, 이황)의 문묘종사를 추진하면서 이황을 도학의 계보에 연결하였다. 이와 같은 의식을 지닌 류운룡은 송당학파의 도통의식에 공감할 수 없었다. 류운룡은 퇴계학파의 도움을 받으며 길재를 모시는 오산서원을 건립하고, 오산서원의 서원지인 『吳山志』를 편찬했다. 특히 류운룡은 『오산지』에서 ‘정몽주-길재-김숙자-김종직-김굉필-조광조’로 이어지 는 도통을 명시하였다. 이는 오산서원이 퇴계학파의 도통의식을 바탕으로 건립되었고, 송당학파의 도통의식이 반영된 금오서원과는 차이가 있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즉, 류운룡은 송당학파의 금오서원에 대안적 성격으로 오산 서원을 건립하였다. 이처럼 선산지역의 대표적인 두 서원이 서로 다른 도통의식을 가지고 건립된 사실은 이 시기 서원의 사상적 역할을 살펴볼 수 있게 한다. In 16th-century Seonsan(善山), Geumoseowon(金烏書院) of Songdang School(松堂學派) and Osanseowon(吳山書院) of Toegye School(退溪學派) were constructed, which reflected different consciousness of Neo-Confucian orthodoxy, Dotong(道統). At this time, Songdang School that respected Park Yeong(朴英) was established in Seonsan. In the 1570s, Songdang School built Geumoseowon showing their consciousness of Dotong, which was passed down from Jeong Mong-ju(鄭夢周), Gil Jae(吉再), Kim Suk-ja(金叔滋), Kim Jong-jik(金宗直), Kim Goeng-pil(金宏弼), Jeong Bung(鄭鵬) and Park Yeong. Geumoseowon mainly enshrined Gil Jae who was born in Seonsan; Kim Jong-jik, Jeong Bung and Park Yeong were additionally kept in the shrine. In the 1580s, assigned to a local governor of Indong(仁同) where the tomb of Gil Jae was located, Ryu Woon-ryong(柳雲龍) began work on posthumous admiration for Gil Jae. Yi Hwang(李滉), the teacher of Ryu Woon-ryong, figured out that Dotong in Joseon confucianism was succeeded by Jeong Mong-ju, Gil Jae, Kim Suk-ja, Kim Jong-jik, Kim Goeng-pil, Jo Gwang-jo(趙光祖) and Yi Eon-jeok(李彦迪). After Yi Hwang’s death, conducting the enshrinement of the five confucian sages─ Kim Goeng-pil, Jeong Yeo-chang, Jo Gwang-jo, Yi Eon-jeok and Yi Hwang─, scholars of Toegye School considered Yi Hwang as a heir to Neo-Confucianism, Do Learning(道學). Therefore, Ryu Woon-ryong could not agree with Songdang School, having such consciousness. Supported by Toegye School, Ryu Woon-ryong built Osanseowon which enshrined Gil Jae, and compiled Osanji(吳山志), the records of Osanseowon. Ryu Woon-ryong particularly stated his consciousness of Dotong, which was in succession to Jeong Mong-ju, Gil Jae, Kim Suk-ja, Kim Jong-jik, Kim Goeng-pil and Jo Gwang-jo. It shows that the construction of Osanseowon was based on the consciousness of Toegye School orthodoxy; moreover, there were differences with Geumoseowon of Songdang School in Dotong. In short, Ryu Woon-ryong established Osanseowon in response to Geumoseowon. Accordingly, the fact that the two representative Seowon of Seonsan were founded on the different Dotong proves the ideological role of Seowon in this period.

      • KCI등재

        퇴계학파(退溪學派)와 율곡학파(栗谷學派)의 《사서석의(四書釋義)》 간행(刊行)과 그 의의

        전재동 영남퇴계학연구원 2017 퇴계학논집 Vol.- No.20

        The book of SASESUKYEI(四書釋義) is understood to be Josun(朝鮮)’s Style, which is the name of Neo-Confucianism introduced in the early Joseon period, and it is evaluated as a text that faithfully reflects Lee's unique view. Lee Yulgok(李栗谷)'s SASESUKYEI(四書釋義) provided guidelines for the Joseon Dynasty' s Writings and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interpretation of the later scholars' accounts. However, the same two signatures were misleading because of the publishing process, compilation process, internal conflicts, and uncertain distribution channel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larify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oegye(退溪) school SASESUKYEI(四書釋義) and the books published in the Yulgok school and to illuminate the academic meanings of them. The order of the discussion is as follows: First, I analyze the data related to the interpretation of the Yulgok school of the Toegye school of the 16-17th century. Second, we trace the compilation process of books published in both schools. Third, the effects of the two data on the present and future periods were analyzed. There are five books on the interpretation of the Toegye school book. A SASESUKYEI(四書釋義) held in a national institute, TOEGUEYOUNGHAKSUKYI (退溪庸學釋義辨吳) held in a Sosoo Museum(紹修博物館), A SASESUKYEI(四書釋義) held in a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Library, SASEGILYEI (四書質疑) by GumBo(琴輔), SASEGILYEI(四書質疑) by YiDukHong(李德弘). Most of these materials were presumed to have been compiled by Yi Hwang, or were directly or indirectly involved in the compilation by the disciples just before the eruption. This book was published in the Toegye school and the Yulgok school in the same way, but its history and purpose of compilation started from different points. The book of Yiwang is the collection of the result of the old result which circulated in the present day. However, Lee 's book has no record of his involvement in the compilation of this text, and his point of view is the correct interpretation of the soju and the interpretation of the. Therefore, the two texts are only the same as the signatures, but they are different data for purpose of compilation, personality, history, and tradition. In addition, the two texts have different meanings within the school. 경학사에서 이황의 《사서석의》는 선초(鮮初)에 유입된 명(明)의 성리학을 조선식으로 이해한 것이자, 이황만의 독특한 견해가 충실하게 반영된 텍스트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이의 《사서석의》는 조선조 경서 언해의 지침을 마련하여 후대 학자들의 경서 해석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친 것으로 평가되었다. 그러나 동일한 서명의 두 텍스트는 간행 및 성서 과정에서 내부의 갈등, 확실하지 않은 유전(遺傳) 경로 등으로 인해 다소 오해의 소지를 남겼다. 본고는 퇴계학파와 율곡학파에서 동일한 서명으로 간행된 《사서석의》의 차이를 구명하고, 그것이 지니는 학술사적 의미를 조명해보기 위한 것이다. 논의의 순서는 첫째, 16-17세기 퇴계학파와 율곡학파의 경서 해석 관련 자료를 개략적으로 살펴보고, 둘째, 두 학파에서 간행한 《사서석의》의 성서 과정을 추적하는 과정을 거친 뒤 이 자료가 당대 및 후대에 미친 영향 등을 분석하였다. 퇴계학파의 사서 해석 관련 자료는 ①국립중앙도서관을 비롯한 여러 국학기관에 소장된 《사서석의》, ②소수박물관에 소장된 《퇴계선생용학석의변오》, ③경북대학교에 소장된 《사서석의》, ④금보의 《사서질의》, ⑤이덕홍의 《사서질의》 등 총 5종이 전존(傳存)한다. 이 자료들은 대부분 이황이 편찬한 것으로 추정되거나, 이황 직전제자들이 편찬에 직간접적으로 관여한 것이다. 율곡학파의 《사서석의》는 관본 언해의 오류를 수정한 16세기 기호학파의 대표적 경학 관련 자료이다. 《사서소주권평》은 이이가 직접 편찬한 것으로, 대전본 소주 가운데 의문이 있는 대목을 선정하여 권주와 권점으로 평한 것이다. 《사서소주권평》은 조선 중기 율곡학파 및 이후 우암학파-농암학파 계열의 주요 경서 해석 텍스트이자 대본이 되었다. 《사서석의》는 퇴계학파와 율곡학파에서 동일한 제명(題名)으로 간행되었지만, 그 내력과 편찬 목적 등은 상이한 지점에서 출발하였다. 퇴계학파의 《사서석의》는 당대에 유통되던 구결과 석의를 총집(總輯)한 것이다. 그러나 율곡학파의 《사서석의》는 후대 학자에 의해 서명이 부가된 것이며, 이이가 주안점을 둔 것은 대전본 소주와 언해의 올바른 해석 제시이다. 그러므로 두 텍스트는 서명만 동일할 뿐, 편찬 목적이나 성격, 내력, 전승 과정 등이 상이한 자료이다. 또한 두 텍스트는 학파 내에서 각각의 의미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중기 기호학파의 『심경부주』 이해

        이기훈(Lee Ki-Hoon) 대한철학회 2008 哲學硏究 Vol.106 No.-

        조선의 성리학사 및 경학사에 있어서 『心經附註』는 退溪 李滉(1501-1570)에 이르러서 본격적인 연구와 관심의 대상이 되었다. 栗谷 李珥 (1536-1584) 역시 이황이 살아 있을 당시 퇴계학단에 속했다고 볼 수 있는 인물이다. 이이도 「人心道心圖說」 등을 지어 『심경부주』에 관심을 표명한다. 그런데 이이는 이황이 인심은 곧 기발이자 칠정이며, 도심은 리발이자 사단이다”라는 관점을 부정하고, ‘氣發一途’의 관점에서 발하는 기의 淸濁 또는 消長에 따라 人心이 되거나 道心이 된다고 말하였다. 이후 이이의 견해를 따르는 일군의 학자들이 생겨나게 되었는데, 趙翼(浦渚, 1579-1655), 宋時烈(尤庵, 1607-1689), 朴世采(南溪, 1631-1695) 등이 그 대표적 인물이라 할 수 있겠다. 이들은 초기 기호학자들이다. 이들을 계승한 중기 기호학자들은 퇴계학파에 비해 오히려 활발하게 『심경부주』에 대해 연구 하였다. 이에 『심경부주』에 대한 논의와 연구는 오히려 퇴계학파 보다는 기호학파에서 더욱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특히 송시열이 왕명으로 『心經釋疑』를 지어 숙종에게 바친 이후, 『심경부주』에 대한 연구와 논의의 중심이 완전히 기호학으로 옮겨졌다고 해도 과언은 아니다. 중기 기호학자 들은 주자 절대주의적 관점에서 『심경부주』를 논의하였고, 오히려 이를 가지고 퇴계학파를 비판하였다. 논자는 자의적으로 기호 중기에 대한 시기를 결정하였는데, 이에 속하는 기호학자들은 13人이 쓴 17종의 글이다. 17종은 대부분 『심경부주』의 내용을 더욱 자세히 밝히거나, 이전에 있었던 주석에 대해 의심을 제기하면 자신의 입장을 개진한 것이다. 그리고 『심경』을 지은 眞德秀, 『심경부주』를 편찬한 程敏政, 그리고 吳澄과 李滉에 대한 비판이 들어 있는 글들도 있다. 중기 기호학파에서 『심경부주』가 독점적으로 해석되고 있음은 조선성리학사 및 경학사에 나타나는 중요한 특징 가운데 하나이다. 아울러 기호학파에서는 『심경부주』를 경연에서 강연하는 등 정치인 측면에서도 퇴계학파에 비해 우위를 점하였다. 이것은 중기 기호학파의 중요한 특색 가운데 하나이다. 이러한 특색은 학술적으로도 이어졌다. 퇴계학파에서는 퇴계가 정리한 『심경』에 대해 묵수하는 입장을 지킨다. 그러나 기호학파는 『심경』의 저자인 진덕수에 대한 비판에 서부터 『심경부주』의 저자 정민정까지 비판하고 있다. 아울러 이 비판은 이황에게도 미치는데, 그 주요 논점의 핵심은 人心과 道心, 尊德性과 道問學, 특히 『심경부주』 말미에 있는 吳澄의 언급 등에 두루 미치고 있다. 중기 기호학파는 일반적으로 진덕수는 인정하면서도 정민정은 인정하지 않았다. 그런데 이황이 정민정을 인정한 것은 육왕학쪽 특히 존덕성의 방향으로 기울었기 때문에 그러한 것이라 비판하였다. 인심과 도심에 대해서도 이이의 생각을 따르고 있기에 사단칠정 등의 의견에서도 퇴계학파를 비판하고 있다. 중기 기호학파는 『심경부주』에 대한 논의를 독점하였다고도 볼 수 있다. 이러한 독점은 이후 이황의 관점을 묵수하고 있던 퇴계학파들이 중기 기호학파의 비판에 대응하기 시작하였고, 조선 후기에 다시 『심경부주』를 논의하는 학술적 장을 만들었다고 볼 수 있다. Toegye Lee Hwang(1501-1570) was interested in Simkyungbuzu and firstly studied it earnestly in the history of Li-Philosophy and Kyunghak in chosun. It seems to me that Yulgok Yi I also was belonged to Toegye school while Toegye Lee Hwang was living. Yulgok Yi, who wrote Insimdosimdoseol, also was interested in Simkyungbuzu. But Yulgok Yi contradicted Toegye Lee Hwang"s arguments and his viewpoint that human-mind is manifestation of Gi and seven feelings and moral-mind is manifestation of Li and Four moral orgin. And Yulgok Yi insisted that Cheongtak and Sojang of Gi which rise according to the point of view Gibalildo can be human-mind or moral-mind. Thereafter, there are a group of scholars like Cho Ik(Po-jeo 1579-1655), Song Si-yeol(U-am 1607-1689), Pak Sae-che(Nam-gye 1631-1695). Kiho school of middle period studied Simkyungbuzu more seriously compared with Toegye school So Kiho school studies more actively about Simkyungbuzu rather than Toegye school After Song Si-yeol, especially, wrote Simkyungseokui for Suk-jong, it is believed that the study and argument about Simkyungbuzu was carried to Kiho school Scholars of Kiho school of middle period debated on Simkyungbuzu from point of view thar Zhu xi is absolute being in his thought and they criticized Toegye school The present writer has determined the period of Kiho school of middle period with my own will and Chosun seventeen writings which had been written by thirteen writers, Most of seventeen writings made the contents more clear in derail and doubted of previous comments and expressed their own points, And there are critical writing to lin Duk-su who wrote Simkyung, Ytong Min-jeong who compiled Simkyungbuzu, O-Zing and Toegye Lee Hwang. The fact that Simkyungbuzu was interpretared by only Kiho school of middle period in the his tory of Li-Philosophy and Kyunghak in chosun is very remarkable feature, In addition, Kiho school had an more dominant positionin political aspect than Toegye school because they gave a lecture about Simkyungbuzu at Kyungyeon. This is an remarkable feature Kiho school has. This feature has been succeeded in academic aspects. Toegye school has kept adherence in Toegye"s inrerprerarion abour Simkyungbuzu. But Kiho school criticized from ]in Duk-su who wrote Simkyung to ]eong Min-jeong who compiled Simkyungbuzu. In addition, these critical comments has influenced to Lee Hwang. The main points of that argurnent are human-mind, moral- mind and respecting ehe virtue and Domoonhak, especially, O-Zing"s statement which was in the end of Simkyungbuzu. Kiho school of middle period generally acknowledged ]in Duk-su but Ytong Min-jeong. And they criticized Lee Hwang because he acknowledged Ytong Min-jeong"s Yukyanghak and respecting the virtue. They criticized the viewpoint about four moral orgin and seven feelings of Toegye school because they supported Yulgok Yi"s viewpoint about human-mind and moral- mind. It is beliveded that Kiho school of middle period monopolized rhe argument about Simkyungbuzu. After that monopoly, Toegye school who kept adherence of Toegye"s viewpoint had begun to cope with criticism of Kiho school. And critical place for debating Simkyungbuzu was created in the later Chosun.

      • KCI등재후보

        19세기말 서원 강회를 통한 학파의 분화와 학설의 형성과정 -주리사상을 중심으로-

        정순우 ( Chung Soon-woo ) 한국서원학회 2021 한국서원학보 Vol.12 No.-

        본 논문에서는 19말 조선의 강회(講會)가 사상의 분화(分化) 과정에 어떤 역할을 담당하였는지를 주리(主理) 철학의 흐름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한주(寒洲) 이진상(李震相)이 제기한 심즉리(心卽理) 이론은 그의 사상적 모태 역할을 하였던 퇴계학파(退溪學派)로부터 맹렬한 비판에 직면하였다. 이러한 미묘한 시점에 열린 산천재(山天齋) 강회(講會)는 한주 이진상의 주리론이 과연 남명학파(南冥學派)와 노사학파(蘆沙學派)의 중심부로 무난하게 진입할 수 있는지를 알려 주는 흥미로운 사례이다. 이 모임은 사상사적으로 중대한 의미를 지닌다. 이 모임에 주빈으로 참가한 박만성(朴晩醒)의 경우 이진상이 해설한 태극도설(太極圖說)과 심설(心說)에 대해 본격적인 비판을 제기하였다. 반면 조성가(趙性家)와의 토론은 이진상이 노사학파(蘆沙學派)와의 만남을 구체화할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하였다. 특히 이 강회에 참여하였던 후산(后山) 허유(許愈)는 스승인 이진상의 학설을 경상우도(慶尙右道) 지역에 뿌리내리고, 그의 사상을 남명 학파와 노사 학파 내부에 전달하는데 특별한 역할을 담당하였다. 이어서 열린 선석사(禪石寺) 강회는 그 동안 퇴계 학파의 강력한 영향권 내에 경상우도 지역의 학문적 지형도(地形圖)가 재편되는 첫 단서를 보여 준다. 도산서원(陶山書院)의 원장(院長)을 역임하였던 이종기(李種杞)가 퇴계의 전통적인 학설을 대변하였다면, 장복추(張福樞)는 퇴계학과는 사상적 성향을 달리하고 있던 여헌(旅軒) 학파의 주리론을 표방하였고, 이진상의 심즉리(心卽理) 설은 주리론의 또 다른 분화과정을 제시해 주고 있었던 것이다. 선석사(禪石寺)의 강회는 영남(嶺南) 주리론의 분화과정을 잘 알려 준다. 한편 도산서원(陶山書院)의 학자들이 주관한 오천강회(浯川講會)는 퇴계의 주리철학이 이진상의 학설에 대응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그리고 정치적 당파의 색깔을 뛰어 넘어 퇴계학파의 주리론(主理論)과 사상적 흐름을 공유하는 화서(華西) 학파의 장담강회(長潭講會)는 주리철학이 서양을 배척하는 척양(斥洋)의 논리로 전환하는 과정을 드러낸다. 이렇게 19세기 말 각각의 지역에서 진행되었던 강회는 서로 다른 이념적 지평을 유지하면서도, 상호간 서로 영향을 주고 받으며 새로운 시대정신을 모색하기 위한 토론과 공감의 장이었음을 알 수 있다. This thesis examines the role of Ganghoe(講會) in the late 19th century in the process of differentiation of ideas, focusing on the flow of Chu-li(主理) philosophy. The theory of simjeonri(心卽理) proposed by Han Ju(寒洲) Jinsang Lee(李震相) faced fierce criticism from the Toegye School (退溪学派), which served as the birthplace of his ideology. The Sancheonjae(山天齋) lecture(講會), held at such a delicate point, is a lecture that shows whether Hanju Lee Jinsang's theory of Chu-li(主理) can safely enter the center of the Nammyung(南冥) school and the Nosa(蘆沙) school. Although this meeting had a very peaceful atmosphere on the surface, it can be seen that there was a major conflict in ideology. In the case of Park Man-seong (朴晩醒), who participated in this meeting as a guest, he raised a full-fledged critique of the Taegeukdo theory(太極圖說) and the heart-seol (心說) explained by Jinsang Lee. On the other hand, the discussion with Seong-ga Cho(趙性家) provided an opportunity to materialize Lee Jin-sang's meeting with the Nosa School. In particular, Husan(后山) Huo Yu (許愈), who participated in this lecture, took a special role in establishing his teacher Jin-sang Lee’s doctrine in the Gyeongsang-u-do province and transmitting his ideas to the Nammyung School and the Nosa School. The lecture at Seonseoksa(禪石寺) Temple, which was held next, shows the first clue to the reorganization of the academic topographical map of Gyeongsang-Udo(慶尙右道), which had been within the strong influence of the Toegye School. Lee Jong-gi(李種杞), who served as the director of Dosanseowon (陶山書院), consistently represented the traditional doctrine of Toegye(退溪). In the case of Jang Bok-chu(張福樞), he argued for the Chu-li theory of the Yeoheon(旅軒) school, which had a different ideological inclination from the Toegye School. Now, Jinsang Lee's theory of Simjeonri(心卽理) became a clear sign suggesting another differentiation process of Chu-li theory. The lecture at Seonseoksa Temple contained the process of eruption of Chu-li thought in Yeongnam(嶺南) province. Meanwhile, the Ocheon Ganghoe(浯川講會) organized by the scholars of Dosanseowon(陶山書院) tells how Toegye's Chu-li philosophy responds to the theory of Lee Jin-sang. And the Jangdamganghoe(長潭講會) of the Hwaseo(華西) School, which shared the ideological flow with the Chu-li philosophy of the Toegye School beyond the color of political factions, turned the Chu-li philosophy into a logic that rejected Western ideology and culture. As described above, it can be seen that the lectures held in each region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were a forum for discussion and sympathy to seek a new spirit of the times while maintaining different ideological horizons and mutually influencing each other.

      • KCI등재

        영남지역 퇴계학파의 율곡학에 대한 두 시선

        이영자 (사)율곡학회 2022 율곡학연구 Vol.49 No.-

        This study discusses how the Yeongnam Toegye School recognized and responded to the critical glance sent by Yulgok to Toegye from two perspectives, exclusion and inclusion. First, from the aspects of exclusion, this author examines Lee Hyun-il’s fury and exclusive view about the Yulgok School as he regarded the Toegye School to be superior. This is because he considered the criticism of the Yulgok school as a threat to the academic and political status of the Toegye School. Next, although Lee Sang-jeong, too, criticized the Yulgok School placing the Toegye School above that, he maintained rather an objective view and responded to the Yulgok School from the perspective of difference, not discrimination. Meanwhile, in the aspects of inclusion, both Jang Hyun-kwang and Jeong Gyeong-se tried to approach the Toegye and Yulgok School rather fairly, from which we can find out about their standpoint to acknowledge the positions of both. The two scholars both still thought the Toegye School superior; however, Jang Hyun-kwang maintained a balanced view even to deny Toegye’s Hobal-seol and Jeong Gyeong-se paid respect to the opponents. From this, we can see that they showed matureness in reaction to it while respecting and accepting the opponents grounded on their own strong view of truth rather than blinded protection or criticism. Since all of them were affiliated to the Toegye School, it is undeniable that they put more emphasis on Toegye’s position. Also, we cannot overlook the fact that most of the scholars of the Toegye School in Yeongnam were in conflict with the Yulgok School through anger and exclusion. However, this method of exclusion and inclusion used by the Toegye School for reaction does greatly contribute to recognizing and establishing the identity of the Toegye School. In this way, the aspects of conflict bring anger and pain, but mutual criticism and checks rather allowed the theories of the Toegye School to be organized and diversified more logically and led to variations in ideas. 본 논문은 율곡이 퇴계에게 던진 비판적 시선에 영남 퇴계학파들이 어떻게 율곡학을 인식하고 응전하였는지를 배제와 포용의 두 가지 시선이라는 측면에서 논의해 보았다. 먼저 배제의 시선에서는 퇴계학을 우위에 두고 율곡학에 대한 이현일의 분노와 배타적 시선을 살펴보았다. 이것은 율곡학파의 비판을 퇴계학의 학적, 정치적 위상에 대한 위협으로 여겼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이상정 또한 퇴계학을 우위에 두고 율곡학을 비판하고 있지만, 비교적 객관적 시선을 유지하며 차별보다는 차이의 관점에서 율곡학에 응전하고 있었다. 반면 포용의 시선에서는 장현광과 정경세 모두 퇴계학과 율곡학을 비교적 동등한 입장에서 접근하고 상호간의 관점을 인정하려는 시선을 엿볼 수 있었다. 두 학자 모두 여전히 퇴계학을 우위에 두고 있었지만, 장현광의 퇴계의 호발설을 부정할 만큼의 균형잡힌 시선과 정경세의 상대에 대한 존중의 시선을 통해 맹목적 수호와 비판보다는 자신의 투철한 진리관을 통해 상대방을 존중하고 인정하는 성숙한 응전의 시선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들은 모두 퇴계학파이기 때문에 퇴계의 입장을 우위에 둔 것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그리고 영남 퇴계학파들 대부분이 분노와 배제의 시선으로 율곡학파와 갈등을 겪었음도 간과할 수 없다. 그러나 이러한 배제와 포용이라는 퇴계학파의 응전 방식은 퇴계학의 정체성을 인식하고 확립시켜 나가는 데 큰 기여를 한다. 이렇듯 갈등의 시선은 분노와 고통을 안겨주지만, 상호 비판과 견제가 오히려 퇴계학의 이론을 더욱 논리정연하게 정리하고 다변화될 수 있게 하였으며, 다양한 사상의 변주를 가져오게 할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