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자의 전문성 및 온라인 언론 활동에 대한 인식과 평가 : 기자와 뉴스 수용자로서 대학생 간의 인식·평가 비교 연구

        이상기(Lee, Sang-Khee),김주희(Kim, Joo-Hee) 문화방송 2013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Vol.14 No.2

        본 연구는 인터넷, SNS 등으로 저널리즘 환경이 변화하고 있는 현실에서 기자의 전문성 및 온라인 언론 활동(SNS 등을 활용한 비공식적 저널리즘 활동을 포함한)에 대해 기자들과 대학생들이 어떻게 인식하고, 평가하는지를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환경 변화에도 불구하고 기자의 ‘전문성’은 여전히 유효한 가치로 인정받고 있는 것을 확인했다. 기자의 전문성 강화 요인에 대해 기자와 대학생 모두 전반적으로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그렇지만 기사/뉴스에 대한 책임 소재에 대해서는 기자와 대학생 간 다른 인식을 보였다. 즉, 대학생들은 ‘조직의 책임’이라는 인식을 보였으나 기자들은 ‘기자 스스로의 책임’이라고 인식했다. 온라인 언론 활동에 있어서는 시민기자 및 이들이 생산한 뉴스의 신뢰도에 대해 기자들이 대학생들보다 더 부정적인 성향을 보였다. 반면 전·현직 기자들의 온라인 언론 활동에 대해서는 기자와 대학생 모두 긍정적으로 인식했다. 결론적으로 정보와 뉴스가 넘쳐나는 새로운 저널리즘 환경에서도 기자의 전문성은 여전히 유효한 가치를 가지고 있음을 재확인했으며, 언론인들의 직업역량과 전문성이 더욱 신장되어야 함을 제시했다. This study compares journalists with undergraduate students in terms of understanding about journalistic professionalism and journalists" activities in web 2.0.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both journalists and undergraduate students are recognize that it is necessary to reinforce factors in journalist"s specialities. Second, there were some perception differences between journalists and undergraduate students in understanding citizen reporters, credibility of internet news and activities of journalists in web 2.0. In some contents, journalists were more conservative than undergraduate students.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it is worth keeping the speciality of professional journalism in the web 2.0 and undergraduate students feel a need of reliable information in the internet news. Therefore, journalists have to receive a pragmatic recognition of the changing media environment and find new roles in the age of web 2.0.

      • KCI등재후보

        여기자의 위상에 대한 인식과 평가 연구: 전북지역 여기자들의 심층인터뷰를 중심으로

        허명숙 ( Myung Sook Hur ) 한국지역언론학연합회 2006 언론과학연구 Vol.6 No.4

        본 연구는 언론사 구조에서 오래 지속되어온 그러나 드러나지 않았던 성차별적 관행들과 여기자들의 대응 태도를 통해 여기자의 위상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전북지역 신문사와 방송국에 종사하는 경력 여기자의 심층 인터뷰를 통해 여기자의 성장을 제약하는 환경·구조적 요인 등을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조직 내 배제와 소외 등 차별현상을 점검했다. 또한 여기자들이 이러한 배제와 소외를 벗어나기 위해 어떠한 저항을 거쳐서 또는 어떠한 순응 형태를 거쳐서 현재의 위상에 이르게 됐는지를 살펴봤다. 분석 결과 전북지역 언론사 여기자들은 여성에 대한 사회문화적 편견, 남성중심의 파워구조, 밀실의 취재관행, 권위주의적 남성문화와의 갈등을 겪고 있으며 그리고 기혼의 경우 육아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취재보도 현장에서는 남성적·권위적 정보 수집 관행, 비공식적 커뮤니케이션과 취재망, 비공식적인 연줄과 연고, 남성적 게임에서의 상대적 배제, 성차별적 고정관념이 성장을 막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 안에서는 문화(여성)부 또는 경제부 유통 담당기자가 쓰는 소프트뉴스에 대한 평가 절하, 여기자에게 주변적인 부서만 맡기는 관행, 여기자에 대한 정형화, 남성적 유대에서의 소외 등으로 많은 여기자들이 일에서 보람을 느끼지 못하고 자조적이며, 이직을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구나 언론사 경영의 어려움에서 오는 각종 능력 동원, 구독 부수 증대 등에서 심적 압박을 크게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북지역 언론사 여기자들은 무엇보다 부서의 순환 배치와 여기자 수의 증가가 여기자 위상을 높이는 데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전북지역 여기자들은 부당한 인사와 처우, 성희롱 등을 당했을 때 과거엔 침묵하거나 자포자기하거나 순응하는 식의 자세로 일관해온 것으로 분석됐다. 그러나 여기자들의 경력이 쌓이면서 ``제대로 된 기자`` 또는 관리자로서의 장기적인 안목을 가지고 부서 배치 등에서 자신들의 목소리를 공식적 혹은 사적으로 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언론사 내외적인 변화의 움직임이 보이는데도 여기자의 위상에 관한 연구는 극히 드물며, 특히 지역 언론사의 여기자에 관한 연구는 거의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전북지역 여기자들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함으로써 자칫 전북지역만의 특성에 한정될 수도 있는 한계점이 있는데도 불구하고, 지역 뉴스 생산자로서의 여기자 위상을 짚은 데 그 의의가 있다. The present study aims to examine how social factors affect the status of female journalists working in newspaper and broadcasting companies in Jeon-buk area. Based on interviews with female journalists, existing discrimination against them was analyzed. Furthermore, this study tries to reveal how female journalists conform to or defy existing discrimination such as the exclusion them from the news production process. The findings show that female journalists in Jeon-buk area have struggled to overcome androcentric practice and deep-rooted prejudice against them. The persistent sexism does exist in news coverage activities. For example, female reporters tend to be in charge of soft news and gossips and their works are relatively underestimated compared to male journalists`. They are also under pressure to increase the circulation of newspapers. As a result, many female journalists are not satisfied with their job. Female reporters in Joen-buk area suggest that to entrust themselves with important tasks and to increase the number of female journalists would help to enhance the social status of themselves. Recently, they, who have careers in particular, started to express themselves to become "real reporters" who write articles correctly and objectively. Despite this noticeable change, studies on the status of female journalist are rare. For this reason, although this study is limited to Jeon-buk area, it can contribute to the better understanding of social status of female journalists.

      • KCI등재

        기자동래설의 성립 과정에 대한 검토

        조원진 한국고대사학회 2023 韓國古代史硏究 Vol.- No.109

        This paper examines the process in which the Kija (箕子) was extended and the theory that Kija came to Korea(箕子東來說) was established, based on the literature, published from the Seonjin era to the Early Han dynasty. In the Seonjin era, Kija appeared as a sage who predicted the tyranny of King Ju and the extension of descendants from Dangsuk(唐叔) dynasty, where the Kija, the last loyal subject of the Sang dynasty, was pressed by King Ju. Kija, therefore, might be grown into an compiler of Hong Fan. The establishment of Hong Fan and the formation of an idea regarding the northeast as Ki(箕) in the Age of the Warring states might be the primary background from which the theory that Kija came to Korea could emerge. In particular, Qin(秦) might provide a ground for connecting Kija with Joseon, as it recognized the Old Joseon as an Eastern country after the unification, and then, as the Northeastern area during the Han Dynasty. It was necessary to set the founder of the Old Joseon area as the figure who went to it from China, as Chinese people(漢人) was identified as the founder of the neighboring foreign races in the period of Hanwudi. Kija was highlighted, probably because Shang Shu was recovered in the early Han dynasty and 『Shang Shu』 Hong Pan was emphasized in the period of Hanwudi. It is not certain whether the theory that Kija came to Korea, appearing in 『ShangShudaeseon』 and 『Shiji』, was derived from the original text. Above all, the context about theory that Kija came to Korea is not found from 『Yantielun』 edited based on the Yantielhoiui in the Soje dynasty immediately after the period of Hanwudi. The theory that Kija came to Korea is therefore understood to be established in the late Pre-Han Dynasty, after the period of Soje(昭帝代). It was a period when Nakranggun completed so-called Daenakranggun system commanding 25 districts. The theory that Kija came to Korea, appearing in 『Shiji』 『Shang Shu Daejeon』and the topography of 『Hanseo』 was an ambiguous recognition that Kija went to Joseon, indicating that the theory began to be generated not from local residents, but from a historian from the Han dynasty, who attempted to set Han-jen as the beginning of the foreign races. 본고는 선진시대~전한대 문헌을 중심으로 箕子 전승의 확산과 箕子東來說이 성립되는과정을 살펴보았다. 선진시대 기자 전승은 상나라의 마지막 충신인 기자가 주왕에게 핍박받는 전승에서 점차 주왕의 폭정과 당숙의 나라가 커진 것을 예견하는 현인의 모습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과정에서 기자는 홍범의 찬자로 확대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전국시대 홍범이 성립되고 동북방을 箕로 보는 인식이 형성된 것은 기자동래설이 성립할 수 있는 1차 배경이었다. 특히 통일 후 秦은 조선을 동방의 국가로 인식하고 한대에는 동북방으로 인식하게 되면서 기자와 조선을 연결하는 근거를 제공했을 것이다. 한무제시기 주변 이민족의 시조를 漢人으로 설정하게 되면서 군현이 설치된 고조선 지역의 시조 역시 중국에서 건너간 인물로 설정할 필요성이 생기게 되었다. 전한대 『尙書』가 복원되고 한무제 시기부터 『尙書』 홍범편이 중요시된 것은 기자가 부각되는 계기가 되었을 것이다. 『尙書大傳』과 『史記』에 나타난 기자동래설이 원본에 있었던 것인지는 확실하지 않다. 무엇보다 한무제 시기 직후 昭帝代의 염철회의를 바탕으로 편찬된 『鹽鐵論』에도 기자 동래에 대한 내용은 확인되지 않는다. 따라서 기자동래설이 성립된 것은 소제대 이후 전한 말로 이해된다. 이 시기는 낙랑군이 25개의 현을 거느린 이른바 대낙랑군 체제를 갖춘 때이다. 『史記』와 『尙書大傳』에 나타난 기자 동래 기사는 기자가 조선에 봉해졌다는 막연한 인식을 담고 있다. 이것은 기자동래설이 현지 주민들로부터 시작된 것이 아니라 이민족의 시조를 漢人으로 설정하려는 漢 역사가에 의해 시작되었음을 암시하는 것이다.

      • KCI등재

        신문기자의 유튜브 1인 방송 콘텐츠 생산의 특징과 저널리즘 역할 인식 연구

        양형모,박주연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2020 커뮤니케이션학연구 Vol.28 No.1

        The rapid changes in the media environment drove the newspaper industry into crisis. In the meanwhile, journalists’ YouTube one-person broadcast has been increased as of 2018. This research is focused on one-person broadcasting by newspaper journalists who experience the upheaval of moving platforms from ‘traditional’ press to digital media environment. Through journalists’ YouTube one-person broadcast, the text also aims to offer a theoretical reflection on the characteristics of broadcasting contents and the changes on the role of journalists participating in the production process. The research will be worthy of focusing on journalists who want to realize journalistic values and their one-person broadcasting. It will also motivate journalists who produce and consider making one-person broadcast. For media companies that progress new media strategies, it provides opportunities to consider the journalistic and economic values of one-person broadcast. Ultimately, the research is not only explaining the reason why the legacy media producing journalists’ YouTube one-person media, but also encouraging and supporting journalists’ efforts. 이 연구는 지면, 활자로부터 온라인, 동영상 플랫폼의 이동이라는 격변을 경험하고 있는 신문기자들 중 유튜브에서 1 인방송을 제작하고 있는 현직 신문기자를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실시해 그들의 1 인방송 제작에서 나타나는 특성과 기자의 역할 변화에 관한 인식을 살펴보았다. 인터뷰 대상자들은 1 인 방송 콘텐츠를 제작하는 동기와 목적을 저널리즘의 확장에 두고있다는 점에서 다른 유튜버들과 차별되는 특징을 나타냈으며 장기적인 기자 경험을 통해 획득한 전문성을 차별화 전략으로 내세우고 있었다. 신문기자들은 저널리즘의 확장, 영향력 증대 외에도 1 인 방송을 통한 경제적 수익 역시 기대하고 있었으며, 1 인 방송을 제작하면서 기자로서의 역할및 조직에 대한 인식의 변화와 함께 직무만족도의 변화도 파악할 수 있었다. 본 논문은 언론 매체 중에서도 뉴미디어 적응에 가장 소극적이고 뒤처져 온 신문사 조직에소속된 신문기자들과 이들의 1 인 방송을 통해 콘텐츠 생산과정에서 나타나는 특성과 기자 역할의 변화, 직무만족도, 지원과기여로 연결되는 조직과의 관계를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저널리즘 영역에서 업무를 행하고 있는 현직 기자들의 1 인 방송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는 점에서 기존 인터넷 개인방송 연구와 다른 의미를 제시한다. 이는 특히 1 인 방송에 대한 전통매체 기자들의 인식과 변화를예측하는 데에 기여하는 한편 신문기자를포함한 기자들에게 1 인 방송의 제작 동기를 부여할 수 있을 것이다. 전통 언론사에게는 기자 1 인 방송이 지닌 저널리즘적, 경제적 가치를 고려할 수 있게 하는 실용적 의미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나아가 1 인 미디어와 저널리즘 연구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시하는 데에 기여할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17-18세기 箕子 유적의 정비와 기자 인식

        신주엽 대구사학회 2022 대구사학 Vol.148 No.-

        This article attempted to examine the perception of Gija(箕子), which had previously been analyzed mainly in historical books, through the process of maintaining the remains of Gija in the 17th and 18th centuries. The name of the country, Joseon(朝鮮), comes from Gija Joseon. Therefore, Joseon revered Gija as the progenitor of the country. Gijajeon(箕子殿), a space to revered Giza, began to be maintained in the early 15th century. The perception of GiJajeon changed when the envoy of the Ming(明) Dynasty of China visited there. The connection between the place and China was considered a lot when the envoy of the Ming Dynasty visited GiJajeon. A visit to the Confucian shrine, where Confucius(孔子)'s memorial service was held, was recommended first to the Chinese envoy, and GiJajeon was next. In the 15~16th centuries, Gija's status fell short of Confucius. In the early 17th century, GiJa's shrine was renamed from Gizajeon to Soonginjeon(崇仁殿). ‘Soongin(崇仁)’ means to worship In(仁), which Confucius claimed. However, the name of Gija's shrine was given to Gija, not Confucius, as a symbol of In(仁). It also shows that the status of the GiJa has changed to a position equivalent to Confucius. This change can also be found in the term ‘Gisung(箕聖)’, which describes a Gija as an saint. The Joseon intellectuals who visited the ruins of Gija in the 17~18th centuries did not leave a record of what they thought of linking this place with China. Through this, it can be proved that the process of maintaining the remains of Gija is not the result of loyalty and respect for China. This process and perception is also confirmed in the process of building a seowon(書院) and a shrine to store the Gija's paintings. During the Joseon Dynasty, six spaces were built to store Gija's paintings. The painting, which was kept at Inhyeonseowon(仁賢書院) in Pyongyang, disappeared through the Chinese Invasion of Joseon in 1627(丁卯胡亂). As the original disappeared, many regions began to build a shrine for Gija, claiming that their paintings were genuine. The people who built these spaces raised a problem with the fact that Gija's shrine was less than Confucius's. They needed to build a shrine for Gija, which was superior to Confucius, and hoped that the state would recognize this shrine. In the 18th century, the public opinion of intellectuals to establish a shrine for Gija nationwide was conveyed to the state. Unlike the 15~16th centuries, the maintenance of the remains of Gija in the 17~18th centuries and the recognition reflected in them were carried out in the process of making Gija in China into a Gija in Joseon. 이 글은 기존에 역사서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던 조선시대의 箕子 인식을 기자를 제향하는 사당과 서원, 祠宇 등 기자와 관련된 유적이라는 장소를 중심으로 다시 살펴보고자 하였다. 17~18세기에 기자 유적의 정비가 진행되는 과정이 기자를 어떻게 인식하고 기억하고자 하는가를 상징적으로 보여준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특히 평양의 기자 유적은 조선의 국왕과 지식인뿐만 아니라 명나라의 사신도 한 번쯤 방문하고자 한 장소였다. 고려시대에 세워진 기자의 사당은 조선 태종대에 箕子殿으로 명칭이 정해지고 세종대에 祀典에 등재되면서 정비가 일단락되었다. 15세기의 기자 인식을 보여주는 유적은 기자전에 세워진 箕子廟碑이다. 卞季良이 작성한 碑銘에는 箕子受封說, 中華와 東夷 등 기자를 중국과 연결하여 인식하는 내용이 담겨있었다. 이는 기자의 사당을 방문한 명나라 사신의 記文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이 시기에 기자전과 箕子墓를 정비하는 과정은 기자와 중국의 연관성, 명나라 사신의 기자 유적 방문 등이 고려되었다. 한편 이러한 인식은 임진왜란을 겪은 직후인 17세기 광해군대부터 변화하기 시작하였다. 기자전의 명칭은 崇仁殿으로 바뀌었다. 기존 연구는 임진왜란을 계기로 조선의 再造之恩 및 명나라와의 同類 의식이 강화된 결과로 기자 유적이 정비되었다고 파악하였다. 그러나 평안도 유생과 李廷龜 등이 기자 제사의 禮를 높이고 후손인 鮮于氏가 대대로 제사를 잇도록 요구한 글에서는 기자와 중국을 연결 짓는 내용이 확인되지 않는다. 이정구가 작성한 箕子廟碑를 보면 15세기의 箕子受封說과 기자의 敎化에 대한 해석은 보편적인 현상으로 변화하였다. 그는 기자를 箕聖으로 표현하며 하늘이 단군을 잇도록 하였다는 내용의 詩를 지었다. 17세기에 변화한 기자 인식은 평안도와 황해도에 기자를 제향하는 서원과 사우를 건립하고, 18세기에 기자를 제향하는 장소를 전국적으로 확대하려는 움직임에서도 찾을 수 있다. 평양의 仁賢書院에 봉안되었던 기자 그림이 정묘호란으로 인하여 사라지자, 평안도와 황해도 각지에서 그림의 진본을 주장하며 기자의 院宇를 건립하고 사액을 요구하였다. 18세기 영조 · 정조대에는 한양의 文廟와 전국 8도에 기자의 사당을 별도로 만들 것을 요구하는 유생의 공론이 제기되었다. 이들은 모두 기자가 조선에 끼친 功德이 孔子보다 작지 않음에도 기자의 사당이 공자를 제향하는 공간보다 적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이처럼 17~18세기 기자 유적의 정비는 17세기를 기점으로 기자를 ‘중국의 기자’에서 ‘조선의 기자’로 만들어가고, 변화한 기자 인식을 확립하여 나가는 과정으로 이해할 수 있다.

      • KCI등재

        箕子朝鮮과 小中華

        박대재(Park, Dae-Jae) 고려사학회 2016 한국사학보 Vol.- No.65

        기자조선 전승이 중국 전한~삼국 시기에 성립되는 과정은, 漢의 朝鮮4郡설치 및 낙랑지역 호족들의 기자 선조의식을 계기로 전개되었다. 고구려는 낙랑군을 점령한 이후 그 지역의 箕子神을 제사하였다. 이것은 기자조선 전승이 고구려에 수용된 것을 의미하며, 이를 계기로 고구려는 箕子國(朝鮮)의 후신으로 인식되었다. 8세기에 들어 唐은 신라를 동방의 君子國으로 인식하였는데, 9세기 이후 崔致遠등의 신라 지식인들은 신라를 군자국으로 자부하였다. 이러한 신라의 군자국 의식은 기자 전승에서 비롯된 것이지만, 현실적 소중화 의식이라기보다는 발해에 대한 경계심‧적대감과 함께 신라의 말세적 현실에 대한 좌절감의 역설적・복고적 표출에 가깝다고 이해된다. 11세기 고려에서 나타난 기자 계승 의식과 소중화 의식이 12세기 초 箕子祠제사를 통해 제도화되고, 『三國史記』를 통해 기자조선이 삼국시대 이전의 중심 시대로 설정되었다. 기자조선이 국사에서 고조선사의 중간 단계로 체계화된 것은, 13세기 후반 李承休의 『帝王韻紀』에 이르러서였다. 『제왕운기』에서는 前朝鮮(단군)과 後朝鮮(기자)의 체계를 세우면서, 기자조선을 소중화의 표상으로 제시하였다. 고려 중~후기에 기자조선이 국사화되는 과정은 고려와 宋・거란(遼)・여진(金)・몽골(元) 사이의 다원적 국제관계 속에서 등장한 소중화 의식의 성장과 궤를 같이 하는 것이었다. The process that the legend of Kija-Chosŏn(箕子朝鮮) came into existence during the Former Han dynasty to Three Kingdoms periods was related to the Han dynasty"s establishment of the Lelang Commandery and the awareness of ancestors from the local groups such as Han(韓) or Wang(王) families. After occupying the Lelang Commandery, Koguryŏ(高句麗) began to perform ancestral rites for Kija(箕子, Qizi), a god of the region at that time. This signifies that the legend of Kija was accepted by Koguryŏ"s society, which was connected to the fact that Koguryŏ was considered to be Kijaguk(箕子國; Kija State, refers to Old Chosŏn)"s later self. In the eighth century, the Tang dynasty recognized Silla as a ‘state of Junzi(君子; noble man)", and Silla"s intellects such as Ch"oe Ch"wŏn (崔致遠) were proud of Silla being a ‘state of Junzi(君子國)" after the ninth century. The perception of the ‘state of Junzi" was originated in the legend of Kija, a phenomenon which could be understood as a paradoxical and retro expression of the consciousness of ‘little China(小中華)". During the 11th century, the perception of the succession and worship for Kija appeared in the Koryŏ dynasty, which was institutionalized through the rite of Kijasa(箕子祠; a shrine for Kija) in the early 12th century. In the end, Samguk Sagi(三國史記) defined Kija-Chosŏn as the central historical stage in the pre-ancient period. Then, in the end of the 13th century, the Kija-Chosŏn period was systemized as an intermediate stage of Old Chosŏn’s history by the time when Yi Sŭnghyu(李承休)’s Chewang-un"gi(帝王韻紀) was published. In this book, which has the chronological system of the Former Chosŏn(前朝鮮; refers to Tangun-Chosŏn) and the Later Chosŏn(後朝鮮; refers to Kija-Chosŏn), suggested Kija as an emblem of little sinocentrism. The courses that the national history includes Kija-Chosŏn in the middle of the Koryŏ dynasty period was linked with the development of the perception of the little sinocentrism; that is, little sinocentrism reappeared and grew in the dynamic international relationship among Koryŏ, the Song dynasty, the Kitan(Liao), and Jurchen(Jin) in this period.

      • KCI등재

        기자(箕子) 전승의 확대 과정과 그 역사적 맥락 ―중국 고대 문헌을 중심으로

        오현수 ( Hyun Su Oh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2 大東文化硏究 Vol.79 No.-

        ``朝鮮``을 기재한 고대 문헌에서 殷·周 교체기에 箕子朝鮮 조문은 14회라는 많은 회수가 기재되어 있지만, 西周代에는 단 1회도 기재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箕子와 朝鮮을 연계시키고 있는 기사들이 역사적 사실을 보여주고 있는지에 대한 문헌 고증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우선 箕子朝鮮說 등장 이전의 기자 전승을 분석해 보았는데, 기자 전승의 원형은 기자와 紂王의 대립이었다. 이것이 ``囚箕子說`` → ``釋箕子說`` → ``箕子來朝說`` → ``洪範敎授說``의 순으로 확대되었다. 그리고 이로부터 기자와 조선을 연계시킨 전승이 새로이 추가되어 간다. 『尙書大傳』은 기자를 조선과 연계한 최초의 문헌으로, 前漢 武帝代 伏生의 문도가 스승의 가르침을 바탕으로 저술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후 기자 전승은 『史記』 단계에 ‘麥秀之詩作者說’이, 『漢書』에서는 ‘箕子敎化說’과 ``犯禁八條`` 항목이, 또 『魏略』에서는 ``朝鮮侯=箕子之後孫說``이, 『三國志』와 『後漢書』에서는 ``犯禁八條制定說``이, 마지막으로 『隋書』와 『太平환宇記』에서는 ``箕子朝鮮⇒高句麗說``이 새로 등장한다. 이러한 기자 전승이 확대된 역사적 배경은 前漢 武帝의 조선 정벌과 樂浪郡의 효율적 통치, 그리고 隋·唐代 고구려 침략시에 침공의 명분을 얻기 위해 필요했던 사상과 역사 방면에서의 조치로 보인다. 따라서 箕子朝鮮說은 해당 전승이 필요했던 시대의 역사적 산물로서 실제 역사를 반영하고 있는 것은 아니라 할 수 있다. Among the ancient documents which record ``Joseon``, the Kija Joseon article appears as many as 14 times during the Yin-Zhou transition. However it does not appear even once during the following Western Zhou.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verify whether the passages linking Kija and Joseon reflect historical fact. Firstly, the Kija legend before the appearance of the Kija Joseon theory was analyzed, the original form of the Kija legend was that of antagonism between Kija and King Zhou. This was expanded in the following sequence: ``Kija being imprisoned by King Zhou`` → ``King wu freeing Kija`` → ``Kija visiting King wu`` → ``Kija explaining the Hongfan to King wu``. From this, a legend linking Kija and Joseon was newly added. The first document to link Kija with Joseon was the Sangseodaejeon, which was written during the period of Emperor Wu of the Former Han Dynasty by a disciple of Fu Sheng, who recorded his master`s teachings. Afterwards, new elements were added to the legend of Kija in the following sequence: the Shiji records that ``Kija composed a poem called ``maixiu`` `` → the Hanshu records that ``Kija civilized the people of Joseon`` → the Weilue records that ``Joseonhu was a descendant of Kija`` → the Sanguozhi and Houhanshu records that ``Kija enacted the eight forbidden behaviors`` → the Suishu and Taipinghuanyuji records that ``the ancestors of Goguryeo was Kija Joseon``. The historical background to the expansion of the Kija legend was ideological and historical measures taken to grant moral justification to Emperor Wu of the Former Han Dynasty`s invasion of Joseon and the need for efficient rule of Lo-lang Commandery and the Sui-Tang Dynasty`s invasion of the Goguryeo Dynasty. Therefore, the Kija Joseon theory was a result of the historical needs of the time and does not reflect historical fact.

      • KCI등재

        栗谷의 華夷論 硏究

        유성선(You Sung-Seon)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2 인문과학연구 Vol.0 No.34

        본 논고는 栗谷의 『栗谷全書』에 기록된「箕子實記」를 중심으로 율곡의 華夷論을 기술하였다. 華夷論의 근거는 고대 중국인들이 사회적 세계를 인식했던 方法論이자, 21C에도 여전히 적용가능한 世界觀이다. 본 논고의 목적은 『율곡전서』의 「기자실기」를 통해 율곡이 華夷論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기자와 기자동래설 등의 진위문제를 사상사적으로 규명하는데 있다. 한국에서는 대체로 고려시대부터 정착되어 조선시대에 들어와 조선이라는 국호의 선택과 조선 후기 小中華라는 신념의 실체가 되고, 한민족 역사와 실체 인식의 중요한 뿌리가 되었던 것이 바로 箕子東來와 그에 의한 교화라는 역사적 사실인식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인식은 사학계의 비판적 고찰에 의해 그 진위여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거나 기자와 관련된 기존의 인식의 부당함을 밝히게 됨으로써 이제는 오류 신념에 불과한 것으로 이해되고 있다. 중국학계는 東北工程의 일환으로 箕子와 箕子朝鮮은 商周史의 일부로서 殷과 商의 후예가 조선반도에 세운 지방정권으로 중국사로 편입하였다. 또한 기자는 실재한 철학가, 정치가로서 기자조선에서부터 중국 동북사가 시작된다고 보고 있다. 기자동래를 설명하는 논리는 기자동래설 자체가 허구이며 중화적 우위성을 부각하기 위한 역사적 가공이란 사실을 알아야 할 것이다. 따라서 율곡이 제기했던 기자의 殷人 문제, 기자동래설, 기자조건의 위치 문제 등의 虛와 實은 우리 철학계에서도 고고학적·역사적 검토처럼 진위의 문제를 분명하게 검토할 때이다. 이에 논자는 율곡의 「기자실기」는 21C 화이론의 성격규명에 다각도로 검토될 수 있으며, 이제 사상계에서 기자조선의 虛/實 진단과 검토가 절실하게 필요한 시점이라고 제기하는 바이다. This study described Hwayiron of Yulgok focusing on 「Gijasilgi」 recorded in Collected Works of Yulgok 『栗谷全書』. Hwayiron is a methodology with which Chinese people recognized social world. And Hwayiron is a view of the world, which is still applicabl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Yulgok recognized Hwayiron through 『Collected Works of Yulgok』 and 「Gijasilgi」. Furthermor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truth of Gija and Gija’s ruling over Gojoseon in the aspect of thoughts. Gija’s ruling over Gojoseon was established in Goryeo dynasty and entering Chosun, it became real entity for selection of the country name called Chosun and belief for small China in later Chosun. And it also became important root for history of Korean people and its recognition of real entity. Thus, in Korean there was recognition of historical fact for Gija’s ruling over Gojoseon and edification by Gija’s ruling over Gojoseon. But such recognition was questioned by criticism from historical circle if it is true, or it was figured out that existing recognition related to Gija is unreasonable. As a result, now it is understood as only false belief. As part of China’ s Northeast Project, Chinese academic circle included Gija and Gija Chosun into Chinese history- Gija Chosun was local government that descendent of Shang dynasty established in Chosun peninsula. And Chinese academic circle says that Gija is real philosopher and politician, and Chinese Northern and Eastern histoy began in Gija Choslill. It would be necessary to know that logic to explain Gija’s ruling over Gojoseon is fiction and historical manipulation to clearly show superiority of China. Accordingly, like archeological and philosophical study, now is time for our philosophical circle to clearly investigate if Gija Chosun etc. are true - Yulgok raised issues on Gija’s nationality, Gija’s ruling over Gojoseon, location of Gija Chosun etc. Accordingly, the author emphasized that ‘Gijasilgi」 of Yulgok can be reviewed in exploring character of 21c Hwayiron and now it is urgent for the world of thoughts to check and review truth and falsehood of Gija Chosun.

      • KCI등재

        취재 현장을 떠난 젊은 신문기자들의 직업적 삶에 대한 질적 연구 : 중앙일간지를 중심으로

        이석호(Seok Ho, Lee),이오현(Oh Hyeon, Lee)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019 언론과 사회 Vol.27 No.4

        이 연구는 한국 신문기자의 직업적 삶에 초점을 맞춰 젊은 기자들이 자발적으로 퇴사를 하는 원인을 심층적이고 입체적으로 밝혀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중앙일간지 취재기자로 근무하다 자발적으로 퇴사한 젊은 전직(前職) 기자 아홉명과 심층 인터뷰를 행하였다. 분석 결과, 젊은 퇴직 기자들은 입사 전 기자로서 명확한 목표나 비전을 갖고 있지 않았던 경우가 많았지만 기자를 정의롭고 윤리적인 존재, 사회적으로 중요한 일을 주체적·자율적·전문적으로 할 수 있는 직종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하지만 입사 후 수습기자 교육은 자아를 훼손당했다고 느낄 정도로 강압적이고 폭력적으로 다가왔고, 기자라는 직업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축적되기 시작하는 경험이었다. 편집국 내 권한과 권력이 데스크에 집중되어 있는 현실에서 젊은 기자들은 수습기자 교육 이후에도 주체적이거나 자율적인 존재로 자리매김하기보다 조직의 부속품처럼 취급되었다고 느꼈으며, 광고와 기사의 거래, 뉴스 생산 과정에서의 부적절한 관행 등을 통해 회의감, 죄책감, 배신감의 감정을 반복적으로 경험하였다. 젊은 퇴직 기자들은 불만족스러운 직업적 삶에 대해 함께 고민하고 동기 부여에 도움이 되는 역할 모델을 조직 안팎에서 찾지 못하였으며, 전문기자제도와 같은 커리어 개발을 통한 새로운 직업적 전망 또한 모색할 여건과 기회를 갖지 못한 채 결국 퇴사의 길을 선택하였다. 특히 여성 기자들의 경우 남성 중심적 기자 사회와 일ᐨ가정의 양립에 무관심한 조직문화 속에서 참고하거나 본받을 만한 여성 기자 역할 모델을 찾지 못하고 갈등하다 퇴직을 결정하기도 했다. 연구 결과를 고려할 때 젊은 신문기자들의 이탈을 막기 위해서는 저널리즘의 가치를 실현할 수 있는 조직문화의 혁신과 윤리의식이 필요하다. 과거의 뉴스 생산 관행과 시스템에서 벗어남으로써 젊은 기자들이 새로운 신문 저널리즘을 위해 도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동시에 젊은 기자들의 커리어를 체계적으로 개발·관리하기 위한 조직 차원의 노력이 요구된다. Focusing on the occupational lives of journalists, this study aims to reveal the reasons that young journalists voluntarily stop their job. For this purpose, it executes depth interviews with nine young ex-journalists who once worked for newspaper companies. As results, although they had not possessed an obvious goal or vision for their job before they joined newspaper companies, the young journalists recognized a journalist as a righteous and moral existence and a subjective, autonomous, professional job. However, they felt a sense of oppression and violence to the training programs for a junior reporter and then began to think negatively about their job. Since then, the young journalists consider that they were treated as spare parts not as subjective and autonomous existences with witnessing desk’s overwhelming power over an editorial office. They also felt skepticism, guilty, and betrayed by experiencing the exchanges between advertising and news reports and other inappropriate news production practices. Furthermore, the young journalists could not find, within their organization, the role model who co-ruminate on difficult occupational lives and provide them with motivation for continuing their job. Neither they had an opportunity to find a new occupational vision through developing a career such as becoming a specialist. In doing so, the young journalists eventually chose to stop their job. Especially, young female journalists made a decision to voluntarily resign their job because of the circumstances that they cannot find the role model for a female journalist who overcome the male-centered culture of a journalist society and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newspaper companies that are ignorant about building a system to encouraging the balance between work and child rearing.

      • KCI등재

        箕子전승의 형성과 단군 신화에의 편입 과정

        김남중(Kim, Nam-Jung) 고려사학회 2016 한국사학보 Vol.- No.65

        이 논문은 箕子전승이 언제 형성되었으며 『삼국유사』에 제시된 단군 신화 안에 기자 전승이 유입된 시기 및 배경을 고찰한 것이다. 먼저 고조선 지역에서 일어난 세력들의 자기 인식을 토대로 고조선인들이 천신이나 선인의 후예라는 인식을 지녔음을 살필 수 있었다. 반면 『고기』류 단군 신화상의 기자는 단순히 周王에 의해 봉건된 제후의 모습으로만 나와 토착 세력들이 지닌 王者의 조건을 지닌 인물로 묘사되어 있지 않다. 기자 전승은 고조선인들이 보편적으로 지니고 있던 시조 전승과는 거리가 멀다는 점에서 고조선 시기에 단군 신화에 편입되었다고 보기는 어렵다. 이러한 기자 전승은 漢代문헌에서 나오기 시작하는데, 고조선 시기에 존재했을 가능성을 배제하기는 어렵다. 『위략』에 기원전 4세기 말에 朝鮮侯가 稱王을 하고 燕과 군사적 충돌 직전까지 갔던 내용이 나온다. 이때 대부 禮가 연에 가서 燕王을 설득하여 전쟁을 막았는데, 기자전승은 이 과정에서 대부 예에 의해 각색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다만 기자동래설이 고조선 사회에 확산되어 있었던 것은 아니고 對燕외교를 이끌었던 대부 예로 언급된 세력 안에서만 언급된 정도로만 보인다. 『고기』류 단군 신화상에 나타난 기자의 모습에서 낙랑군 통치 시기나 고구려 시기에도 기자 전승이 단군 신화에 편입되었다고 보기 어렵다. 기자의 이주는 단군의 藏唐京이주와 연결되어 있다는 점과 황해도 信川[儒州] 지역에 거주하던 고조선 계승 세력의 전승이 반영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즉 고조선의 도읍으로 알려져 왔던 평양이 아닌 신천 일대가 단군의 도읍이 된 배경을 설명하기 위해서 기자 전승이 단군 신화에 편입된 것으로 보인다. 편입 시기는 고구려 멸망 이후 평양 일대는 황폐화되고 황해도 일대는 무정부 상태나 다를 바 없게 되었던 통일신라 시대로 보인다. This paper examined the Jizi(箕子) lore when was formed and how incorporated in Dangun myth of Samguk Yusa(三國遺事). First, studied the self-awareness of forces grew up in Old Joseon area, these led that Old Joseon people had been proud descendant of the heavenly gods(天神) or hsien(仙人). On the other hand, Jizi was depicted the feudal princes by king of zhou(周) in Dangun myth of Goki(古記), it was far from the image of king having had the Natives. It showed that the incorporation time of Jizi lore into Dangun Myth was not Old Joseon period. Jizi lore appeared for the first time in documents of Han(漢) dynasty, it could not rule out the possibility that the lore had existed in Old Joseon period. Weilue(魏略) had written the story that the head of Old Joseon was referred to the king himself, went until just cause military confrontation with Yan(燕) state in the late 4th century B.C. Then Daebu(大夫) Ye(禮) went to Yan and prevented a war to persuade the king of Yan, it is possible that Jizi lore was created by Daebu Ye at this time. However, it is estimated ‘the theory of Jizi’s migration to korea(箕子東來說)’ had not spread in Old Joseon, but only talked in the forces of Daebu Ye who led the Yan diplomacy. Seen from the image of Jizi in Dangun myth mentioned in Goki (古記), the incorporation time of Jizi lore into Dangun Myth was not Nakrang Gun(樂浪郡) or Goguryeo period also. Jizi’s migration to Old Joseon was connected with Dangun’s migration to Jangdanggyeong(藏唐京), it showed that the Jizi lore was related to a legend of Old Joseon descendants lived in Hwanghae-Do Shincheon(信川)[Yuju(儒州)] area. The record seems to be incorporated in order to explain why not Pyongyang but Shincheon area associated with Dangun. The incorporation time is estimated to be Unified Silla period when Pyongyang had been devastated and Hwanghae-Do area had been not different from the anarch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