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8세기 北方 여행의 배경과 申光河의 白頭山 기행

        김동준 이화어문학회 2014 이화어문논집 Vol.32 No.-

        This paper studied change of traveling subject and its value, using as main materials Buk-yu-rok (a record of journey to north) and Baek-du-rok (a record to Mt. Baekdu), left by a writer Jintaek Shin Gwang-ha in the 18th century. In the introduction of this paper, I suggested that trip to Mt. Baekdu was a very rare case until the 18th century, that Shin Gwang-ha can be interpreted as a new type of man as a traveler in the century, and further that his trip to Mt. Baekdu can enlighten us true meaning of traveling. In the second chapter of this paper, I summarized political, social background of Shing Gwang-ha’s trip to Mt. Baekdu, appearance of a new type of man, and impression and memory of the then persons given by Shin Gwang-ha’s trip to Mt. Baekdu. The main points are that realizing ‘true play’ via traveling represented as trip to Mt. Baekdu, that national attention to northern territory was a social base supporting his traveling, and that an intellectual facing the border line of bureaucratic system could emerge as a new type of man. In the third chapter of this paper, I divided the change processes of traveling subject resulted from Shin Gwang-ha’s travel into the intellectual and emotional categories and examined them. For the examples generated from the intellectual category, I illuminated expansion of materials into the local topography and geography, specialties, and animals and plants, the informational description, the formation of political opinion through in-site survey, and the expansion of intellectual horizon. For the change generated from the emotional category, after reviewing changes in the form and contents of poetry (becoming long and narrative), I explained the special value of Shin Gwang-ha’s trip to Mt. Baekdu. The part where going to the ‘end’ of the northern border of Joseon Dynasty and climbing up to the ‘top’ of Mt. Baekdu, he went into ecstasy and fall into despair at the same time gave me a deep impression. This is that he shows us if we reach the apex of the ground, there is no place we can go further, by embodying it literally. Above all, he faced reality of extreme poverty in a town named Musan, where he visited first descending Mt. Baekdu. Thus, he experienced an ascensional trip reaching the peak of the ground and a descending trip towards the terrible bottom of the world at once. By leaving this polar opposite trip as poetry and prose, he testified the distance between the peak of the world and its bottom is never far. This can be his own feature that we can not find in the trips to Mt. Baekdu ever, and the unforgettable scene presenting metaphorically what is the true traveling. 본고는 18세기 문인 震澤 申光河가 남긴 「北遊錄」과 「白頭錄」을 주자료로 삼아 기행을 통한 여행 주체의 변화와 그것의 가치를 탐구한 것이다. 서론에서는 신광하의 백두산 기행이 18세기까지 매우 희귀한 사례였다는 점, 여행가로서의 신광하가 18세기의 새로운 인간형으로 해석될 수 있다는 점, 나아가 그의 백두산 기행이 여행의 진정한 의미를 일깨워줄 수 있음을 제기하였다. 본론 2장에서는 신광하의 백두산 기행을 둘러싼 정치사회적 배경과 새로운 인간형의 출현, 신광하의 백두산 기행이 당시의 인물들에게 남긴 인상과 기억을 개괄하였다. 여행을 통로로 삼은 ‘참된 노님’[眞遊]의 실현이 백두산 기행으로 나타났다는 것, 북방 영토에 대한 국가적 관심이 신광하의 여행을 뒷받침하는 사회적 기반이었다는 것, 관료체제의 경계선에 처한 지식인이 기행을 통해 새로운 인간형으로 떠오를 수 있었다는 것이 그 요지이다. 본론 3장에서는 신광하의 백두산 기행이 불러일으킨 여행 주체의 변화 과정을 지적인 범주와 감성적 범주로 나누어 살폈다. 지적 범주에서 생성된 변화의 예로서는 현지의 지형과 지리, 풍토와 민속, 특산물과 동식물에 대한 素材의 확장과 정보적 묘사, 현장 답사를 통한 정책적 견해의 형성과 지적 시야의 확충을 조명하였다. 이어 감성적 범주에서 발생한 변화로서 시의 형식과 내용에 나타난 변화[장편화, 서사화]를 검토한 다음, 신광하의 백두산 기행이 지닌 특별한 가치를 설명하였다. 조선의 북쪽 국경 그 ‘끝’으로 가서 백두산의 절정 그 ‘끝’에 올라 무한한 희열과 아득한 절망을 동시에 느끼는 대목은 매우 인상적이었다. 이는, 지상의 꼭짓점에 도달하면 더 이상 한 발도 더 나아갈 곳이 없게 된다는 逆說을 그가 문학적으로 형상화해서 보여준 것이다. 무엇보다 그는 백두산에서 하산하는 길에 들른 첫 번째 고을 茂山에서 극심한 기아에 처한 현실과 직면하였다. 그리하여 그는 예상치 않게 국토의 절정에 오르는 상승의 여행과 세상의 처참한 밑바닥으로 향하는 하강의 여행을 한꺼번에 경험하게 되었다. 그는 이 극과 극의 대조적 여행을 시문으로 남겨, 결과적으로는 세상의 가장 높은 절정과 가장 낮은 바닥이 결코 멀지 않음을 증언하였다. 이는 역대의 백두산 기행에서 찾을 수 없는 그만의 특색이자 진정한 여행이란 무엇인가를 은유적으로 제시한 잊지 못할 장면이라고 할 만하다.

      • KCI등재

        申光河 作 「竹西樓夜讌贈諸妓」의 존재양상 연구

        이은주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5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3 No.2

        “Poems for gisaeng at Jukseoru's night banquet” written by Gwangha Shin is contained only on the three kinds copies in a differently. This work is regarded as series poetries made up of 21 quatrains and one octonary in two copies, while as series poetries made up of 22 quatrains in one copy. This is the aspect of the question which we must consider. Only 4 poems of this series poetries are included in his collection of literary works, but the turns were mixed up in these copies. Therefore, there will be a strong chance that it is not written by writer, but is combined by transcribers (readers) being transcribed by hand. In other words, he was out of this work, it was joined together by several poems, his series poetries of “Jukseoru's night banquet” and his poems written for gisaeng. In those days many books had to be transcribed by hand, so these things happen. In this context it reflects contemporary reader's taste to put emphasis on banquet, gisaeng and entertainment in this work. 본고의 논의는 申光河의 「竹西樓夜讌贈諸妓」가 3종의 필사본에 相異한 형태로 수록되어 전하고 있다는 점에 착안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한 편의 연작시처럼 보이는 이 시가, 2종의 필사본에는 律詩 1수와 絶句 20수로, 1종의 필사본에는 절구 22수로 다르게 처리되어 있는데, 그 의미가 무엇이며 당대 문학적 환경을 이해하는 데에 어떠한 시사점을 주는 것인가를 논의하였다. 申光河의 「竹西樓夜讌贈諸妓」 시 전체를 문집에서 찾을 수는 없다. 그러나 그 중 4수는 「竹樓夜讌」 시 중 일부로 申光河의 문집 『震澤文集』에 수록되어 있다. 따라서 「竹西樓夜讌贈諸妓」는 申光河가 한 편의 시로 쓴 것이 아니라 시가 傳寫되는 과정에서 수용자들이 申光河의 시들을 조합한 결과물일 가능성이 높다. 이 시는 창작자의 의도와는 무관하게 「竹樓夜讌」과 申光河가 쓴 贈妓詩를 결합시킨 것이며, 「竹西樓夜讌贈諸妓」에서 잔치, 기생, 유흥성을 부각시키는 면모는 당대 독자의 취향과 요구를 반영하여 선택된 결과라고 이해할 수 있다.

      • KCI등재

        신광하(申光河) 기행시의 몇 가지 국면

        이은주 ( Yi Eunju ) 한국한문고전학회(구 성신한문학회) 2018 漢文古典硏究 Vol.36 No.1

        이 글은 신광하의 기행시에 나타난 몇 가지 측면을 살펴본 것이다. 전 생애에 걸쳐 여러 차례 여행을 떠났던 만큼 신광하는 여행으로 유명하고, 그의 시문 역시 주로 여행이라는 관점에서 연구되었다. 다만 그동안 신광하의 기행시에서 주목된 점은 주로 백성의 피폐한 삶을 고발하고 현실비판적인 서사시 창작의 맥락이었고, 논의대상은 주로 「북유록」과 「백두록」에 한정되었다. 그러나 신광하의 기행시권은 단일하지 않고 「사군록」, 「서유록」 등 다양한 관심사와 성격을 보여주는 시들이 많다. 이 글의 목표는 신광하의 기행시가 다양한 층위를 가지고 있다는 점을 밝히는 것이다. 그 과정에서 신광하가 맏형 신광수에게서 일정한 영향을 받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였다. 「북유록」과 「백두록」에 수록된 시는 주로 함경도 백성들의 피폐한 삶과 그 참상을 보여주는 데에 있지만, 여타의 시에 비해 좀 더 구체적이고 특수한 상황을 그리고 있다. 신광하는 이 일대를 다닌 뒤에 관료들에게 어떤 해결책을 제시하려고 했을 정도로 관의 수탈과 백성의 고통, 임금의 은혜를 전형적으로 보여주는 수준을 넘어서 구체적인 문제들을 다루고 있다. 「서유록」은 평양을 유람한 일반적인 시처럼 보이지만, 세상을 떠난 신광수의 흔적을 발견하려는 노력을 보이고 있다. 때로는 신광수의 시가 남아있는 곳에서 감회를 느끼며, 때로는 신광수의 예전 시를 염두에 두고 시를 짓고 있으며 때로는 신광수가 평양에서 지었던 시를 환기시키는 내용의 시를 지었다. 「사군록」의 경우에는 인문 경관보다는 기이한 장관을 형상화하는 데 역점을 두었다. 이렇게 신광하의 기행시는 다양한 편차를 가지고 있으며, 이것이 평생 여행에 몰두했던 신광하가 가지는 개성일 것이다. This article examines several aspects of Shin Kwangha's travel. He had traveled all over the country for many years, and he was famous for his trip, and his poems were also studied mainly from the perspective of travel. However, in the meantime, Many studies on Shin Kwangha's travel poems have been mainly focused on the "Bugyurok" and "Baekdur ok" in the context of the creation of epic poetry, which criticizes the life of the people. However, there are many poems that show various interests and personality, such as "Sagunr ok". The point of this essay is that Shin Kwangha has various levels of travel and Shin Kwangha is influenced by his older brother Shin Kwangsu. The poems in "Bugyurok" and "Baekdurok" mainly show the depraved life of the people of Hamkyung Province and their devastation, but they are more specific than other poems. Shin Kwangha has been dealing with concrete issues beyond the typical showing of the grief of the people, the suffering of the people, and the grace of the king so much that he tried to present a solution to the bureaucrats after attending this area. "Seoyurok" seems to be a general poem that traveled to Pyongyang, but it is trying to discover the traces of Shin Kwangsu, who left the world. Sometimes he felt relieved in the place where Shing Kwangsu's poetry remains, sometimes making poetry with Shin Kwang-soo's poe m in mind, and occasionally making poem that reminds us of Shing Kwangsu's Pyongyan g masterpiece. In the case of "Sagunrok", the use of natural products was prominent. In order to emphasize the rugged natural scenery, Shin Kwangha focused the poetic expressi on on maximizing this point.

      • KCI등재

        신자료를 통해 본 18세기 백두산(白頭山) 여행과 그 의미 ― 신광하(申光河)를 중심으로

        정우봉 ( Chung Woo-bong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7 大東文化硏究 Vol.100 No.-

        조선시대 백두산 산수유기 작품은 지금까지 대략 10여 편 정도 알려졌다. 이 논문에서는 그동안 학계에 알려지지 않았던 신자료 세 편을 새로이 발굴하였다. 우선 주목해야 할 작품은 震澤 申光河(1729~1796)의 『遊白頭山記』이다. 이 작품은 奇人型 인물로 전국의 산천을 여행하였던 震澤 申光河가 1783년에 쓴 것이다. 『震澤文集』 내 「北遊錄」과 「白頭錄」에 실린 한시를 위주로 연구가 진행되어 오던 것에서 벗어나 산문 형식으로 쓰여진 백두산 산수유기를 통해 보다 더 다양한 논의가 펼쳐 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 논문에서는 신광하 관련 신자료를 소개하고 새로 발굴한 『유백두산기』를 중심으로 작품에 투영된 백두산의 표상과 그 의미에 대해 집중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앞으로 백두산 산수유기 신자료 발굴을 계기로 백두산 및 북방 지역에 관한 다각적인 연구, 백두산을 포함하여 조선시대 산수유기에 관한 연구 등이 보다 더 활성화되기를 기대한다. 신광하의 작품 이외에 또 하나 주목할 자료가 洪重一(1700~?)의 『白頭山日記』이다. 현재 독립기념관에 소장되어 있는 洪重一의 『白頭山日記』는 1712년 백두산 정계비 설치 이후 백두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시대적 분위기 속에서 1740년에 창작된 것이다. 백두산 정계비 사건 이후 쓰여진 백두산 산수유기 중에서 가장 이른 시기의 작품이라는 점에서 백두산 정계비를 둘러싼 논란에 대해 작가가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지에 관한 인식의 추이를 살필 수 있는 자료이다. 한편 金肇彦이 쓴 『白頭山記』 또한 학계에 많이 알려져 있지 않은데, 이 자료는 李圭景의 『五洲衍文長箋散稿』에 일부 인용되어 전한다. In this paper, I explored and showcased travel journals covering Mt. Baekdu in the 18th century. So far, about 10 types of travel journals covering Mt. Baekduhave been reported. The paper uncovered three new documents that were unknown to the academic world. It is written by three people, Namely Sin Gwang-ha, Hong Jung-il, Kim Jo-won. Among them, the paper intensively analyzed the travel journals of Shin Kwang-ha. Before analyzing the travel journal to Mt. Baekdu, I introduced new materials related to Shin Gwang-ha. These new materials will greatly benefit from Sin Gwang-ha’s research in the future. I analyzed the symbols of Mt. Baekdu, which appeared in the travel journal of Mt. Baekdu. For Sin Gwang-ha, the shape of Mt. Baekdu is the extensiveness and the origin. I believe that analyzing prototypes of wrting style in landscape essays can contribute to understanding the literature history of landscape essays in the late Choson dynasty. Also, I expect that this kind of approaching could play a role in creating another methodology to analyze landscape essays.

      • KCI등재

        震澤 申光河의 <東遊紀行> 硏究

        박우훈 어문연구학회 2014 어문연구 Vol.79 No.-

        震澤 申光河(1729∼1796)의 금강산 기행문 <東遊紀行>은 알려진 금강산 기행문중 最長이며 서술된 여행기간이 가장 길다. 그 구성은 '①준비→ ②路程→ ③유람→ ④回程→ ⑤마무리'로 되어 있다. ①∼③은, 漢陽에서 친구 등을 만나고, 길을 떠나 금강산에 도착하여, 內·外金剛과 海金剛을 유람한 부분이다. ④回程은, 네 부분으로 나뉘는데 襄陽에서의 旅程이 비중 있게 서술되어 있다. ⑤에서 여행기간과 왕복거리를 밝혔는데 출발지와 도착지가 다른 점이 남다르다. 신광하는 鐵原·金城 등을 거쳐 금강산에 도착, 내·외금강에서 長安寺·毘爐峰 등을 구경했는데, 접근이 쉽지 않은 곳을 모두 들렀다. 해금강에서는 三日湖·四仙亭 등을 둘러보고 襄陽에 도착해서는 丁範祖와 지냈다. 이후 양양을 출발하여 大關嶺·原州 등을 거쳐 한양에 와 果川 등을 거쳐 韓山에 도착한다. 여행은 56일, 왕복 거리는 2천여 리이다. 回程의 기일이 매우 긴 점이 특이하다. 오랫동안 금강산 유람을 갈망했던 신광하의 여행을 주위에서 극력 만류하는데 이를 그는 단호히 물리친다. 여행을 떠나며 지은 詩에는, 유람을 큰형님과 함께 떠나지 못하는 안타까움과 소망을 이루게 되었다는 감격이 담겨 있다. 금강산 여행에 대한 결의가 단호하기에 위험한 곳을 모두 둘러보았다. 금강산 유람은 외로운 여행길이었다. 주로 말을 이용한 신광하는 혼자 금강산 유람에 나섰는데 이는 이례적이다. 그는 '홀로 떠난다'는 사실을, 특히 두 형님과 함께하지 못함을 매우 안타깝게 생각했다. <東遊紀行> 서술의 대체적인 경향은 의론이 위주가 아닌 事象의 사실적 묘사에 주력했다. 경관을 대하며 그 경관에서 어떤 철학적 의미를 발견하려고 하기 보다는 그 모습을 사실적으로 혹은 느낌을 여실히 드러내려고 하였다. 이러한 경향은 17·8세기 김창협과 그 門下의 금강산기행문과 일맥상통한다. 대상의 모습 혹은 느낌을 효과적으로 드러내기 위한 표현법으로 우선 직유법을 사용한 참신한 비유적 표현이 눈에 띤다. 天逸臺에서 본 毘盧峰·望高峰의 기이한 모습을 그린 부분에서는 열거법을 적절하게 사용했다. 또한 생략을 수반한 반복, 抑揚, 謙讓語法 등의 표현이 사용되었다. 신광하에게 있어 금강산 여행의 의미는 고뇌의 해소와 자유로움의 謳歌이다. 여행은 그가 그동안의 오랜 떠돌이 생활로 인해 생긴 근심을 사라지게 했고 구속에서 벗어나게 해주었다. 都城의 門은 구속의 세계와 자유로운 세계를 구분 짓는 표상으로 생각할 수 있다. 그러므로 금강산은, 그동안 생활했던 고뇌의 공간 또는 구속의 공간과 구별되는 새로운 세계이다. 자유로움의 구가는 襄陽에서 丁範祖와 함께한 생활에 대한 서술에서 잘 드러난다. Jintaek Shin Gwang-ha's travel essay, DongyuGihaeng, is the finest amongst the known travel essays of Mount Kumgang and describes the longest journey. It consists of 1. Preparation, 2. The Journey, 3. Sight-seeing, 4. The Return Trip, and 5. Finale. 1. to 3. involves meeting with friends in Hanyang, going on the journey to Mount Kumgang, and touring the inner, outer, and sea Kumgang. The Return Trip is separated into four parts, with the journey through Yangyang described in detail. In 5. the time traveled and the distance to and from is described. What is notable is that the point of departure and the final destination are different. Shin Gwang-ha traveled through Cheolwon and Geumseong to arrive at Kumgang Mountain. In inner and outer Kumgang he toured Jangan-sa and Biro-bong, visiting all of the places that are difficult to reach. In sea Kumgang he visited Samil-ho and at Yangyang he spent time with JeongBeom-jo. After this he departed from Yangyang, traveling through Daegwallyeong and Wonju to Hanyang. He then passes through Gwacheon and arrives at Hansan. The trip took a total of 56 days, covering a distance of 2000 ri, or roughly 800 kilometers. It is interesting to note that the return trip takes a considerable amount of time. Others attempted to dissuade Shin Gwang-ha, who so desired to tour the Kumgang Mountain, in vain. The poem he wrote as he departed, describes his regret at not being able to go together with his oldest brother as well as the thrill at accomplishing his wish. His determination in visiting Mount Kumgang was such that he toured all the dangerous sites. The trip was a lonely one. Shin Gwang-ha went to tour the Kumgang Mountain alone, an unusual decision. On traveling alone, he greatly regretted not being able to go with his two older brothers. The overall style of the prose in DongyuGihaeng focuses on the realistic description of thoughts as opposed to opinions. Rather than trying to discover philosophical meaning behind the scenery, emphasis was placed on trying to reveal the feelings concerning the scenery or to describe the scenery as realistically as possible. This tendency falls in line with the travel essays written by Kim Chang-hyeop and his students in the 17th and 18th Centuries. The innovative use of similes to effectively convey the form and feel of the subject is especially noteworthy. Enumeration is used appropriately when describing the strange form of Biro-bong and Mango-bong as seen from Cheonil-dae. Other rhetorical devices include omission alongside repetition, accentuation, and honorifics. For Shin Gwang-ha, the trip to Kumgang meant the relief of anguish and the celebration of freedom. The journey alleviated the worries that came from a long life of wandering, freeing him from those shackles. The gate of the capital city can be thought of as a symbol of separation between the free world and the shackled world. Therefore Kumgang Mountain is a new world separated from the realm of anguish or shackles that one used to live. The celebration of freedom is revealed effectively in the description of the time spent with Jeong Beom-jo.

      • KCI등재후보

        震澤 申光河의 <四郡紀行>硏究

        朴禹勳(Park, Woo-Hoon) 동아인문학회 2011 동아인문학 Vol.20 No.-

        This piece of writing examined Four-Districts Travelogue, which is a travel essay written by Jin Taek Gwang-ha Shin after he had looked around Jecheon(堤川), Cheongpung(淸風), Danyang(丹陽), Youngchun(永春). The itinerary and content of Four-Districts Travelogue is as follows. 1) The travel of Gwang-ha Shin, which lasted for 11 days (Aug. 12-Aug. 22) and covered approximately 400 ri (400里), was done thanks in large part to the help of the older brother, Gwang-soo Shin(申光洙), who was Youngwol Busa (寧越府使,top government officer), and its itinerary covers ‘Youngwol(寧越)→Jecheon(堤川)→Chungju(忠州)→Cheongpung(淸風)→Danyang(丹陽)→Youngchun(永春)→Youngwol(寧越)’. Four-Districts Travelogue is recorded in order of date, and at the beginning of description, the starting point and the destination as well as the distance are indicated in the form of headword. Similes and enumerations appear often. 2) ① The purpose of travel for Gwang-ha Shin, whose life was in needy circumstances, was to enjoy the ‘realm of freedom without any restriction’, that is to say ‘Cheon-yoo (天游; celestial joy)’, which is revealed through the conversation between him and the old couple whom he met during his travel. ② Gwang-ha Shin believes that there are numerous capable scholars who are not in government positions because they have not been noticed by authorities just as the beauty spots of Danyang won a reputation only after Toigye(退溪) recognized its value. ③ It is unordinary that he met 2 buddhist monks everyday since he had met them by chance during his travel and that he described these 2 buddhist monks favorably and in detail. ④ Four-Districts Travelogue depicts the trip of Southern cave(南窟) in Youngchun with great detail and it is interesting to read unbelievably odd stories in relation to the southern cave. ⑤ Gwang-ha Shin treats the mysterious scenery of four districts as well as the richness and peace of villages with affectionate glances by using Chinese place names or ancient incidents. In addition, he compares and evaluates the scenery of four districts as well as the districts themselves. 3) Four-Districts Travelogue needs to be compared with other travel essays written about the four districts in order to reveal its characteristics. This is held over for the next task.

      • KCI등재

        기획논문: 문학의 통속화, 통속의 문학화 : 아속(雅俗)의 교차, 석북신광수가한시(石北申光洙家漢詩)에 나타난 "속(俗)"의 활용 방향

        김동준 ( Dong Jun Kim ) 근역한문학회 2014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Vol.39 No.-

        본고는 石北申光洙家[申光洙, 申光淵, 申光河, 申禹相등]에서 남긴 漢詩가운데 ‘俗’의 활용 양상을 검증할 수 있는 작품을 택하여 그것의 문학적 가공 방식과 예술사적 맥락을 탐색한 것이다. 제1장에서는 <문학의 통속화>라는 학회의 기획 논제가 한문학 영역에서는 적용되기 곤란함을 근거로 삼아 동아시아의 전통적인 雅-俗담론을 분석의 도구로 삼았다. 그리하여 ‘상층과 대비되는 민간의 삶과 언어적 유산, 그리고 범속한 사람이 욕망하는 통속적 정서’를 ‘俗’의 개념으로 설정하고, 제2장에서 신광수가의 한시에서 주목되는 俗의 성분과 현전하는 자료를 검토하였다. 제3~4장에서는 ‘속’의 성분을 활용하여 형상화된 신광수가의 한시를 두 갈래로 나누어 조명하였다. 첫째는 俗의 雅文學化경향에 초점을 맞추었다. 생활현장에서 취재한 속의 소재들을 활용하여 실감과 공감을 보유한 시 작품으로 전환해내었다는 것이 그 요지이다. 두 번째로는 艶情코드가 강화된 風流공간의 작품들을 대상으로 삼아, 그 속에 담긴 통속적 욕망과 향유층 확장의 시적 전략을 고찰하였다. 우아한 풍류로 포장된 채 출발했으나 결과적으로는 통속적 욕구를 형상화했다는 점에서 이는 雅의 俗文學化현상이라 간주될 수 있었다. 마지막 제5장에서는 신광수가의 한시가 俗의 雅化와 雅의 俗化를 모두 보여준 사례였음을 확인한 뒤에, 이들의 시도가 金弘道·申潤福의 풍속화와 미의식을 공유하고 있다는 점, 민간의 문학적 자산을 예술적 자산으로 활용한 결과라는 점, 나아가 민간의 삶과 욕망에 주의했던 이전 시대의 흐름을 반영한 성과일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This research chose works that can be verified about the application of ‘security’ among Chinese poems left by poets from the Seokbuk Shin Gwang-su’s family to explore its literary processing method, way of realization, and art historical context. In the first chapter, changing the society’s subject_‘popularization of literature’, discussion of grace-secularity was used as the tool for analysis. By doing so, ‘people’s life contrasted with the upper class and vulgar sentiment desired by the common crowd’ were set as the concept of ‘secularity’. In the second chapter, components of secularity notable in Chinese poems of the Shin Gwang-su’s family were reviewed. In the third and fourth chapters, aspects embodied by using components of ‘secularity’ were divided into two prongs to be illuminated. First, this researcher focused on the tendency of secularity’s turning into the graceful literature, whose gist is that they made use of materials in life to change them into the literary works that holds realistic and sympathetic feelings. Second, being targeted at the works in the space of having taste for arts where romantic feelings were strengthened, this researcher contemplated vulgar desire in it and poetic strategy of expanding the class enjoying it. Its substance is that they started by claiming to stand for grace, but resulted in embodying common desire. And in the last chapter, after diagnosing that Chinese poems of the Shin Gwang-su’s family that utilized secularity were sharing aesthetic sense with genre paintings of Kim Hong-do and Shin Yun-bok, it is suggested that they used folks’ literary asset as the artistic one and that they reflected the art historical flow of the former times when artists had paid attention to the people’s life and desire.

      • KCI등재

        石北 申光洙家 신자료 소개

        장유승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2024 大東漢文學 Vol.78 No.-

        This thesis classifies 110 materials owned by Shin Kwang-soo's descendants into five categories: the king's handwriting and test paper, the scrapbook of writings and pictures, poetry and letters, manuscripts, and document, and examines their bibliographic characteristics and compilation background. Notable materials include the documentation of the king's writing and criticism. There are also many poems that are not included in the collection of writings. In Shin Kwang-ha's poem, Chae Jegong's criticism is recorded. In addition, Shin Kwang-soo's manuscripts are believed to have been used for the compilation of writings. The materials introduced in this thesis show the literary capabilities of this family for four generations since Shin Kwang-soo, and can be used to testify to the people and history of the local community.

      • KCI등재후보

        懶雲 申禹相과 그의 詩文에 대하여

        김동준(Kim Dong-jun) 돈암어문학회 2012 돈암어문학 Vol.- No.25

        이 논문은 申光洙의 첫째 아들인 申禹相(1730~1799)의 문집 『懶雲稿』?『懶雲集』 및 『槐景錄』을 학계에 알리는 것을 겸하여 그의 삶과 한시를 개략적으로 조망한 것이다. 신우상의 문학을 조망하기 위한 관점으로는 家風과의 관련성을 먼저 살펴보고 이에 기초하여 詩史的 의의를 가늠해보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제2장에서는 신우상의 생애를 개괄하고 ??懶雲稿?????懶雲集??의 구성과 주요 내용, 작품의 제작 시기 등을 정리하였다. 제작 시기를 기준으로 삼아 작품의 전체적 흐름을 재정리한 성과는 이후 신우상 연구에 밑바탕이 될 것으로 본다. 이어 제3장에서는 신우상 시문학의 실제와 특징적 면모를 ‘家風과의 관련성’, ‘風流의 시적 수용과 艶情化 경향’으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그 결과 그의 시에 나타난 緣情的이고 浪漫的인 경향, 풍류와 염정을 활용하는 경향, 음악성을 겸비한 악부 창작의 양상, 艶情風의 한시를 강화한 양상이 家風과 연속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나아가 이러한 특징이 18세기 前後의 漢詩批評史的 맥락에서 보건대, 擬古派의 자양분을 섭취하여 향토색과 지역성을 능동적으로 흡수한 사례로 평가될 수 있다고 보았다. 신우상의 저술과 시문학에 대한 본고의 성과를 통해 古樂府 정신의 토착화 방향이 얼마간 증명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paper’s purpose is to introduce Shin Guang-soo(申光洙)’s eldest son, Shin Woo-sang’s (1730-1799) literary collections?Nawoon Manuscripts(懶雲稿), Nawoon Anthology(懶雲集), and the Records of Guae-gyeong(槐景錄)?and to take a broad view on his life and his Chinese poetry. To examine Shin Woo-sang’s literary point of view, above all, it is necessary to observe the relationship between his literary works and his family tradition; then study the meaning of poetry history base on it. In the second section, Shin Woo-sang’s biography is summarized; then it describes the construction, main contents, and the period of poetry composition of Nawoon Manuscripts and Nawoon Anthology. An outcome which rearranging the whole course of his literary works base on the period of poetry composition will be the groundwork for later Shin Woo-sang’s research. In the third section, his poetry practice and its distinctive feature are separately considered with the relationship of the family tradition, the reception of pyungrhyu (風流), and an inclination for passion. As a result, we can perceive that his poetry’s tendency for passion and romance, an application of pyungrhyu and love, a creative aspect on arkbu(樂府), and intensifying Chinese poetry with passionate air are succeeded from his family tradition. Furthermore, perceiving these distinctions with the accordance of the eighteenth century Chinese poetry criticism history’s context, his works can be appraised as examples of adopting nourishments from the faction of composing in ancient style and absorbing the characteristics of native and regional nature actively. Through the paper’s result on Shin Woo-sang’s literary works, hopefully, prove a part of direction in how the spirit of ancient arkbu settled in Korean literature.

      • KCI등재

        18세기 전반 홍중일(洪重一)의 백두산 기행문에 관한 연구

        정우봉 ( Chung Woo-bong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8 大東文化硏究 Vol.104 No.-

        백두산은 한반도와 중국의 경계이며, 문화와 사상과 경제가 만나는 접경지이다. 한국과 중국의 중심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변방 지역이며, 미지의 영역, 신비의 장소이다. 또한 백두산은 청나라와 국경을 접하고 있는 지역으로서, 국경을 넘나드는 위험을 감수하면서 척박한 환경 속에 살아갔던 邊境民들의 삶의 터전이기도 하였다. 이 시기 犯越의 문제는 조선과 청나라 정부의 심각한 현안의 하나였다. 이러한 점에서 백두산 山水遊記는 백두산에 대한 인식의 변화, 대중국 관계 및 邊境 지역민에 대한 인식의 변화 등을 살피는 데에도 유용한 가치를 지닌다. 이 점에 주목하여 이 논문에서는 洪重一(1700~1776)의 「白頭山日記」를 중심으로 작품에 나타난 타자 이해를 집중적으로 다루었다. 현재 독립기념관에 소장되어 있는 이 자료는 그동안 작가가 밝혀지지 않은 채 학계에 제대로 알려져 있지 않았다. 이에 따라 이 논문에서는 관련 문헌 자료들을 통해 작가를 풍산홍씨 추만공파의 후손인 洪重一로 고증하였으며, 그의 생애를 추적해 보았다. 홍중일에게 있어 백두산은 關防의 핵심적 기지이며 장대한 조망처로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 공간이었다. 關防의 핵심처로서 백두산을 바라보는 시각은 홍중일의 독특한 면모라고 하겠다. 국경을 맞대고 있는 청나라에 대해 작가가 어떠한 대외 인식을 가졌는가, 그리고 백두산 정계비 설치에 대해 비판적 견해가 어떤 것이었으며 그와 관련하여 조선 강역에 대한 영토 의식이 어떠하였는가를 살펴보았다. 아울러 청나라를 방어하기 위해 백두산 및 그 인근 지역의 지정적학, 전략적 중요성을 고려하여 방어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역설하였다. 또한 「백두산일기」에는 접경 시대를 살아가는 변경민들의 생활과 풍속에 대한 작가의 이해를 살필 수 있다. 백두산 지역의 변경민들은 때로는 낯설고 이질적인 존재, 국가에서 정한 법률을 어기는 존재로 비쳐지기도 하고, 때로는 척박한 자연 환경 속에서 힘겹게 살아가는 民의 존재로 그려지기도 하였다. 후자의 관련하여 작가는 하소연 할 곳 없는 변경민들의 참혹한 현실 앞에 무력할 수밖에 없는 자신의 모습을 대면하였다. 이를 통해 작가는 자신의 정체성을 새롭게 확인할 수 있었다. In this paper, I explored and showcased travel journals covering Mt. Baekdu in the 18th century. So far, about 10 types of travel journals covering Mt. Baekduhave been reported. The paper uncovered three new documents that were unknown to the academic world. It is written by three people, Namely Sin Gwang-ha, Hong Jung-il, Kim Jo-won. Mt. Baedu was the vorder between Chosun dynasty and Qing dynasty. Mt. Baedu Demarcation of Stone was established in 1712. Hong Jung-il climbed Mt. Baedu in 1740. He was interested a border area of Chosun and Qing dynasty. He argured that the difference in the pronuciation of Tuman River. He instisted that Gando region can be included as Chosun's territory. The idea of Chosun's old territory recovery was expressed in this Baedusanilgi. Among them, the paper intensively analyzed the travel journals of Hong Jung-il. Before analyzing the travel journal to Mt. Baekdu, I studied the writer of Baekdusanilgi in detail. As a result the writer of Baekdusanilgi was turned out to be Hong Jung-il. These new material will greatly benefit from studies on Mt. Baekdu in the future. I believe that analyzing prototypes of wrting style in landscape essays can contribute to understanding the literature history of landscape essays in the late Chosun dynasty. Also, I expect that this kind of approaching could play a role in creating another methodology to analyze landscape essay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