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불교정화운동 연구, 회고와 전망

        김광식 대각사상연구원 2014 大覺思想 Vol.21 No.-

        본 고찰은 한국 현대불교사에서 중요한 역사성을 갖고 있는 불교정화운동에 대한 연구 성과를 정리한 글이다. 불 교정화운동은 1950∼60년대 불교계의 핵심적인 사건, 운동, 이념, 활동이었다. 그리고 정화운동은 1970∼80년대 불교사를 규정짓게 하였고, 94년 종단변혁의 저변이 되었다. 때문에 정화운동에 대한 연구는 중요성, 다면성을 갖는다. 이런 측면에서 정화운동의 연구 성과를 점검하고, 지금까지의 연구 문제점을 성찰하고, 새로운 연구 주제 를 도출함은 의미가 있다. 이런 측면에서 본고에서는 정화운동의 연구 성과를 우선적으로 점검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정화운동의 이해, 성 격, 이념, 배경, 전개, 주역, 계승, 자료집 등으로 살펴보았다. 이런 바탕하에서 정화운동 연구의 성격과 전망을 제 시하였다. 필자는 여기에서 정화운동 연구에 관철된 것으로 첫째, 기초․전문성․당위성 연구가 혼재되었음을 둘째, 긍정성이 많았음을 셋째, 객관성 유지가 필요함을 넷째, 고승 중심으로 경도되었음을 다섯째 사례 연구가 요청됨 을 지적하였다. 그러면서 추후 이 방면 연구에서 참고할 점으로 첫째, 식민지 불교와 함께 연구할 필요성을 둘째, 정화운동과 종단개혁과의 비교 연구를 셋째, 1980년 10.27법난부터 1994년까지의 과도기에 대한 연구가 중요함 을 넷째, 호국불교․민족불교․정화불교․민중불교 등 불교개념에 대한 연구가 필요함을, 다섯째, 국가와 불교와의 상 관성에 대한 연구 필요성 등을 역설하였다. 필자의 이 연구가 불교정화, 한국 현대불교사, 종단개혁운동사 등의 연구에 참고가 되길 기대한다. This dissertation is for the thesis on the result of research for the Purification Campaign of Buddhism which has an important historical meaning in modern Korean Buddhism history. The Purification Campaign of Korean Buddhism was a salient event, campaign, theology, and activity in the Korean Buddhism during 1950~60. And the Purification Campaign regulated the history of Korean Buddhism during 1970~80, it settled the base of the reforming religious order in 1994. So, the research of the Purification Campaign has the importance, various facets. From this aspect, it is meaningful to check the result of research on the Purification Campaign, to reconsider for the problems of researches so far, and to draw a new research subject. With this point, I preferentially examined the result of research on the Purification Campaign in this dissertation. In detailed, I looked over the understanding, characteristic, ideology, background, development, leaders, succession, and source books of the Purification Campaign etc. In such a background, I suggested the characteristic and outlook of the research on the Purification Campaign. I pointed out that, as the related for the research of Purification Campaign here, first, Basic·Professionalism· Appropriateness researches were mixed together, second, there were positive aspects, third, there was a need to keep objectivity, forth, it was leaning to have a focus on the Old Masters, fifth, there was a requirement to have case researches. And also, as the part to have a reference for the research in this field hereafter, I suggested that, first, there be a need to do a research with colony buddhism, second, there be a comparative research with purification campaign and reforming religious order, third, there be a need to do the research for the buddhism concept, Buddhism for the country, ethnic Buddhism, purification Buddhism, and civil Buddhism etc, fifth, there be a need to do a research for the interrelationship with the country and Buddhism. I look forward to seeing that this research I wrote could give some help as a reference for the researches on the Purification of Korean Buddhism, the history of modern Korean Buddhism, and the Campaign history of reforming Korean religious order etc.

      • KCI등재

        정금오(鄭金烏)의 불교정화운동

        김광식(Gwang Sik Kim)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1 佛敎學報 Vol.0 No.57

        본 고찰은 한국 현대불교사의 중요한 사건이었던 불교정화운동의 주역이었던 정금오의 정화운동의 내용을 정리한 글이다. 지금껏, 불교정화운동은 일부 학자들에 의해서 연구되었으나 총체적인 연구까지는 들어가지 못하였다. 총체적·전면적인 연구단계로 나아가려면 정화운동의 개념·명칭·성격·원인·결과·영향 등 다방면에서 접근이 요청된다. 그리고 정화운동에 참여한 승려들에 대한 미시적인 연구도 동시에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본고찰의 대상인 정금오는 정화운동의 주역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는 연구자들의 손길이 미치지 않았다. 필자는 그간 정화주역에 대한 개별적인 연구를 수행하였으나 정금오에 대해서는 자료부족 등으로 인해 연구를 하지 못하였다. 그러나 최근 문도들이 자료집·증언집을 내는 등 연구 환경의 변화로 인해 정금오의 정화운동 전반적인 내용을 정리하였다. 정금오는 일제 불교하, 제방의 선원에서 수행을 하던 수좌이었다. 그러던 중 그가 1928년 무렵 서울 대각사에서 근대의 고승 백용성을 시봉하는 인연을 가지면서 불교정화운동에 대한 자극을 받았다. 그후 1941년 3월, 선학원에서 개최된 유교법회에 참가하였다. 이 법회는 식민지 불교의 극복, 계율정신의 수호라는 측면에서 중요한 역사적 의미를 갖고 있었다. 그가 이 법회에 참가한 것은 선학원, 조선불교선리참구원, 조선불교선종 등 일제하 수좌계 활동의 구도내에 있었기 때문이었다. 해방공간에서도 선학원, 팔달사에서 수행을 하던 정금오는 불교정화운동이 발발하였을 당시 불교 교단정화 대책위원회의 위원장으로 선임되었다. 이는 그가 불교정화운동의 최일선에 서 있었음을 상징적으로 대변한다. 그 이후 정금오는 하동산, 이효봉, 이청담 등 정화주역의 고승들과 다양한 정화활동에 동참하였다. 이후 그는 비구승단의 아사리, 부종정, 감찰원장, 총무원장 등을 역임하였다. 이렇게 그가 정화운동에 적극 참여함은 그의 수행관에서 비롯되었다. 그는 참선수행, 간화선 수행을 최고로 여기었는데, 일제불교 영향으로 수좌들의 수행풍토가 파괴된 것을 개탄하였다. 이에 그는 수행풍토 회복, 참선도량 회복, 정법불교의 지향을 위해서 불교정화는 당연한 것으로 여기었다. 그러나 그는 정화운동이 일단락 되었던 1962년 이후 조계종단에 대한 비판적인 인식을 갖고 있었다. 이는 불교정화운동의 산물이 당초 의도, 이념대로 나타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에 그는 재정화를 해야 한다는 소신을 개진하면서, 그를 위해 노력을 하였다. 그러나 그는 재정화의 기치를 들기는 하였지만, 그 실천 단계까지는 나가지 못하였다. 그런 과정에서 그는 입적을 하였기 때문이었다. 본고찰은 정금오의 불교정화운동에 대한 최초의 글이기에 부족한 측면이 적지 않을 것이다. 이점은 필자의 후속연구로 보완할 예정이다. This is a paper arranging contents of activities by Jung Gum-Oh who was the leading role in the Buddhist Purification Movement. I, as the author intended to arrange overall contents of purification movement of Jung Gum-Oh according to the material which was published by Gum-Oh disciple`s society and testimony. Jung Gum-Oh was Seon(zen) monk where he practiced meditation in the Seon temple in everywhere in Korea under the Japanese Empire. He attended the Dharma ceremony of maintaining teachings of the Buddha was held at Seonhakwon (Seon Study Institute) on March, 1941. His participation in this Dharma ceremony was reason that connected with Seonhakwon where was realized the principle of purification influenced from Baek Yong-Sung, as the flag bearer of purification. In space under liberation from the Japanese Empire, Jung Gum-Oh who had been practicing at Seonhakwon in Seoul and Paldal temple in Suwon was selected as chairman of Preparing Committee for Purification of Buddhist Order at that time Buddhist Purification Movement occurred. This is spoken to us that he was in the front lines of the buddhist purification movement. After that he served as vice patriarch, director of inspection and president of bhikkhu sangha as joining various purifying activities. His active participation in purification movement started with his view of practice. He deplored the destroy of natural practical characteristics for meditation monks influenced by the Japanese Empire his regarding to practice meditative and practice of Ganhwaseon most. Hereupon he considered Buddhist purification recovery of natural practical characteristics, recovery of mediative places and aim for righteous buddhism. However he had critical awareness about the Jogye Order after the year of 1962 of concluding purification movement. That is to say, because the result of the purification movement was not realized as ideology of purification. Thereupon he strived for its action as stating re-purification movement. But he could not advance to its active step even if he picked up the banner of re-purification.

      • 팔당수질정화검증단지 사전타당성 검토

        문수호(Su-Ho Moon),김영래,최두선,하동윤,주용남,주영훈,이숙희,최윤미,강호근,박일건,이기영(Ki-Young Lee) 경기연구원 2008 위탁연구 Vol.2008 No.3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최근 국내에서는 자연친화적 수질정화기술로 인공습지가 각광을 받고 있으나 관련 연구 및 기술축적 수준은 선진국과 비교하여 낮고, 수처리 효율 저하, 식재 식물의 생육 저하, 겨울철 식재 식물 고사 등과 같은 다양한 문제점들이 대두되고 있다. 그러나 이를 해결하기 위한 시설이나 시스템은 매우 빈약한 실정이다. 특히 팔당유역의 경우 양질의 상수원 확보 및 수질오염총량제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팔당 수질개선사업에 최적의 수질정화기술의 적용이 필수적이며, 이를 위해서는 수질정화기술에 대한 기술검증ㆍ진단, 현장 적용성 평가 그리고 장기적인 관리ㆍ운영방안의 수립을 위한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수질정화기술들에 대한 기술검증ㆍ진단, 현장 적용성 평가 그리고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관리ㆍ운영 방안 수립 등의 체계적인 연구를 위한 수질정화 단지인 팔당 수질정화단지를 조성하는데 있다. 팔당수질정화단지 조성의 효용성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단지의 도입시설, 운영주체, 운영방안, 수질정화단지의 적정 부지와 관련한 사전 타당성 검토를 실시하였다. 또한 팔당수질 정화단지가 단순한 기술의 검증 및 현장 적용성 평가 등을 위한 실험단지가 아닌 생태학습장 및 환경기술에 대한 교육, 홍보의 역할을 할 수 있는 복합기능을 지닌 물환경 관련 종합연구 테마단지로 조성하고자 한다. 연구요약 본 연구에서는 팔당유역의 기본현황 조사, 관련법규 검토 그리고 국내ㆍ외 자연친화적인 수질정화기술들에 대한 실태 및 사례 조사ㆍ분석 등을 통해 팔당지역에 적합한 수질정 화단지의 조성을 위하여 도입시설, 적정부지, 운영주체 및 운영방안과 관련된 사전 타당성 검토를 실시하였다. 팔당수질정화단지는 복합적인 기능을 지닌 물환경연구 종합 연구 테마단지로 조성하는 것을 최종목표로 하였으며, 주요 역할 및 기능은 크게 수질정화기술의 현장 적용성 평가 및 지원, 정책 및 기술의 연구개발, 교육ㆍ홍보의 3가지로 설정하였다. 도입시설로는 상수원보호구역과 개발제한구역인 팔당유역의 지역적 특성을 고려하여 자연친화적인 수질정화실험시설 위주로 우선 도입하며, 점오염원 처리와 관련된 장치형 실험 시설은 팔당유역 주변의 환경기초시설 부지 내 유휴 부지를 이용하고 향후 물환경교육센터 및 물환경 체험 교육장 시설은 단계별로 도입하는 것으로 계획하였다. 팔당유역의 총 15개 후보지 중 팔당수질정화단지의 적정 부지로 선정된 남양주시 능내리와 광주시 정지리에 대하여 주변 자원과의 연계성, 부지매입의 연계성, 단지 조성시 공사의 난이도, 접근의 용이성, 단지조성과 관련된 물리적 적합성 등에 대한 분석결과 남양주시 능내리가 광주시 정지리에 비하여 팔당수질정화단지의 사업대상지로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수질정화기술 개발의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 팔당수질정화단지는 조사ㆍ연구 결과에 대한 신뢰성 확보와 열린 연구 단지를 지향하여야 할 것이며, 운영초기에는 수질정화 관련 연구 및 기술지원 기능에 집중하며 향후 물환경정책 개발ㆍ제안, 환경교육ㆍ홍보, 컨설팅 기능으로 그 영역을 확대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팔당수질정화단지의 관리ㆍ운영은 팔당물환경센터가 중심이 되거나 재단을 설립하여 독립기구로 운영하는 두 가지 방법이 있으며, 독립기구 설립을 통한 운영보다는 팔당물환경 센터가 주축이 되어 관리ㆍ운영하는 것이 관리ㆍ운영의 효율성, 정책수립 및 인력활용 측면에서 유리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결론 팔당호 수질개선과 국가적인 물환경 정책의 상황변화에 신속하고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정책 및 기술개발 지원시스템 구축을 위해서는 팔당수질정화단지의 조성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다양한 요인들을 고려한 분석결과 팔당수질정화단지는 남양주시 조안면 능내리 일원에 조성하며, 단지의 관리ㆍ운영은 팔당물환경센터가 주축이 되어 운영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팔당수질정화단지는 수질정화기술 및 정책 개발, 물환경 교육ㆍ홍보의 공공성을 띤 종합 테마단지로 물환경과 관련한 경기도의 랜드마크 역할을 담당하도록 조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며, 이를 위해 사업추진은 조성준비 및 건설, 운영 및 활성화를 위한 추가시설 도입 그리고 종합테마단지 완성 등 단계별로 시행하여야 할 것이다. 팔당수질정화단지의 조성으로 깨끗하고 생태적으로 건강한 물환경 조성을 위한 정책 및 기술개발의 기반이 구축되어 경기도민의 삶의 질 향상이 기대되며, 수질개선에 소요되는 경제적 비용절감 효과, 환경기술의 개발ㆍ보급 촉진으로 인한 지역경제 활성화 그리고 경기도가 물환경 관리에 있어서 선도적인 입지를 구축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Application of optimum water purification technology was essential to Paldang water quality improvement activity for the conservation of water resource and preparation of the TMDL(total maximum daily loads) in the Paldang province. From these reasons, it was necessary to systematic research for verification of water purification technologies, field applicability evaluation and establishment of operation program.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construction of the Paldang water purification complex(PWPC) for verification of water purification technologies, field applicability evaluation and establishment of long-term operation program. For this purpose, feasibility study was conducted about experimental facilities, appropriate building site, central operating body and operation program. Construction of PWPC was needed to establish the supporting system for water policy and technology development. Neungnae-ri(Namyanju-si) regions were suited to construct the PWPC. It is desirable that Paldang water-environment center operate the PWPC. The ultimate goal of PWPC is establishment of integrated water environment research theme complex. The functions of PWPC were as followings : (1) field applicability evaluation and support, (2) research and development and (3) education and publicity activity. Natural water purification experimental facilities will be constructed preferentially in the PWPC and then other facilities will be constructed stage by stage. It will be desirable that PWPC expands the operation area from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area to water policy development, environmental education- publicity and consulting area. PWPC will play an important part as a landmark of water environment research in Gyeonggi-do. Therefore, construction plan will be conducted stage by stage as follows : construction preparation and construction, construction of additional facilities and completion of integrated theme complex. Construction of PWPC is contribute to improve the life quality of residents in Geyonggi-do, save the money consumed to water improvement, revitalization of regional economy by environmental technology development and promotion of technology distribution, and help that Gyeonggi-do take the leading position in water environment management.

      • KCI등재

        지리정보체계를 활용한 상대정화구역 설정방식 연구

        박용운(Yong Woon Park),김정훈(Jung Hoon Kim) 한국정부학회 2014 한국행정논집 Vol.26 No.3

        현행 상대정화구역은 그 획일적인 설정방식으로 인해 학교환경위생정화위원회와 행위시설자와의 끊임없는 분쟁이 일어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행위시설에 대한 지리적·공간적으로 발생하는 분쟁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GIS를 활용한 공간분석기법을 활용하여 보다 합리적인 상대정화구역 설정방식을 찾고자 하는데있다. 이를 위해 대구시 남부·동부 교육지원청의 학교환경위생정화구역도를 대상으로 1985~2014년 3월까지의 기존 심의자료 5,474개와 상대정화구역 200m에 걸치는 지적 30,787개를 GIS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분석한 결과에 대한 합리성과 신뢰성을 높이고자 관련 업무 담당자에게 면접방식의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t-검증, 분산분석을 병행하였다. 설문조사결과 현행 상대정화구역 설정방식보다 본 연구에서제시하는 세분화된 상대정화구역 설정방식이 보다 더 유용함이 도출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상대정화구역설정방식 세분화를 현행 업무에 적용할 경우 학교환경위생정화위원회와 행위시설자와의 분쟁을 최소화하고학교주변의 교육환경도 보호하고 행위시설자의 영업의 자유와 재산권도 보호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In the present Relative Cleanup Zone, there has been a constant dispute between ‘School Environmental Sanitation and Cleanup Zone’(hereafter referred to as the ‘Cleanup Zone’) and Facilities due to the undifferentiated syste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a rational way of establishing a Relative Cleanup Zone using GIS and Spatial Analysis Techniques to minimize existing geographical and spatial disputes over the facilities. To do this, this study analyzed 5,474 review results of ‘Cleanup Zone’ in Education Offices of Nambu and Dongbudistrict in Daegu from 1985 to March 2014 and 30,787 cadastral maps within 200m in Relative Cleanup Zone using GIS. To increase the rationality and reliability, we conducted a survey of the related officials and used t-test and variance analysis at the same tim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e system of Relative Cleanup Zone suggested that this study is more rational than the current one. Thus, the system of Relative Cleanup Zone suggested by this paper is the rational and appropriate way formulated for all. This way can be utilized in current work to minimize the conflicts between School Environmental Sanitation and Cleanup Committee and Facilities Builders to protect both the educational environments near School Areas and the freedom of business and the property right of people.

      • 장기운영 인공습지의 수질정화특성

        김형중 ( Hyung Joong Kim ),함종화 ( Jong Hwa Haam ),홍대벽 ( Dae Byuk Hong ) 한국농공학회 2010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0 No.-

        수질정화를 위해 설치하는 인공습지의 장기운영에 따른 수질정화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충남 당진군 석문수질개선연구단지에 인공습지를 조성하고 2005년부터 2009년까지 정화효율을 분석하였다. 인공습지에는 갈대, 애기부들을 식재하였고, 식재를 하지 않은 것을 대조구로 하여 수질정화효율을 비교·분석하였다. SS는 식생이 있는 애기부들구와 갈대구에서 2005년부터 2007년까지 정화효율이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2007년 이후에는 78% 이상의 비교적 높은 정화효율이 유지되고 있다. COD의 경우 미식재구와 애기부들구에서 유입수보다 유출수의 COD 농도가 높게 나타나는 마이너스 정화효율을 보였다. 습지가 장기간 운영됨으로서 식물 및 조류 고사체의 퇴적 및 분해 작용으로 수층부가 혐기화됨에 따라 유기물이 산화·제거될 수 없고, 고사체로부터 분해 용출되어 유출수의 COD농도가 증가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TN의 경우 갈대구와 애기부들구는 2005년부터 정화효율이 증가되나, 2007년도 이후에는 정화효율이 큰 변화없이 유지되고 있다. 식물체별 TN정화효율은 갈대구와 애기부들구가 각각 평균 51.4%, 51.9%로서 큰 차이가 없었다. TP정화효율은 갈대의 경우는 2005년부터 2008년도까지 정화효율이 높아지다가 2009년도에 다소 감소하고, 애기부들구에서는 2005년부터 2007년까지 낮아지다가 그 이후에는 다시 증가되어 일정한 경향을 보이지는 않았으나, 갈대구가 평균 25%, 애기부들구가 평균 40%의 정화효율을 보였다. TP정화효율은 용존산소농도에 영향을 받는데 식재구간의 경우 미식재구간에 비해 용존산소농도가 낮다. 용존산소 농도가 낮으면 호기성미생물 활동이 억제되고 인의 용출이 촉진되어 처리효율이 낮아지게 되므로 습지 전체에 식재하는 것 보다는 부분적으로 개방구간을 확보하는 것이 유리하다.

      • KCI등재

        학교환경위생정화구역 제도의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2001~2011년간 정화구역 내 금지행위 및 시설 관련 심의현황 및 해제율 추이 비교분석

        손애리(Aeree Sohn),박은주(Eunju Park) 한국보건사회학회 2013 보건과 사회과학 Vol.0 No.33

        정부는 학교주변의 보건, 위생, 학습환경과 학생들의 원만한 정서적 발달을 도모하기 위한 제도의 필요성이 제기되어 정부는 1967년에 학교환경위생정화구역(이하 “정화구역”) 제도를 도입하여 시행하고 있다. 정화구역에서의 행위 및 시설 제한은 건전한 교육환경을 조성하는 데 필요한 법이기는 하나 다른 한편 직업의 자유나 재산권 등 국민의 재산권을 제한하는 문제를 가지고 있으므로 현행제도 의 문제점을 검토하고 최근 10년(2001년 2011년)간 정화구역 내 금지행위 및 시설 관련 심의현황 및 해제율의 추이를 비교분석하여 향후 정화구역 제도의 효율적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학교보건법」의 “학교환경위생정화구역” 제도와 “정화구역 내 금지행위 및 시설”에 대 한 관련 법규, 법제처 질의회신 자료, 교육과학기술부 발간자료 등의 다양한 문헌자료를 통해 관련 법 령의 문제점을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사례분석으로 최근 10년(2001년 2011년)간 정화구역 내 금지 행위 및 시설 관련 심의현황 및 해제율의 추이를 비교분석하여 정화구역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정화구역 제도의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정화구역 내 금지행위 및 시설을 획일적 거리로 설정하여서 하므로 업종별로 세분화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둘째, 정화구역 안에서 금지되고 있는 일부 행위나 시설이 학교급별과 관계없이 획일적으로 적용된다. 셋째, 학교환경위생정화위원회의 구성 및 운영에 있어서 법률전문가의 참여가 보장되어 있지 않고, 심사 시 일정한 기준이 있다기보다는 학교주변 지역의 사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형평성 논란이 제기되고 있다. 넷째, 학교환경위생정화구역의 관리가 부서 간 상호 긴밀하게 연계가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정화구역 제도의 근거가 되는 학교보건법이 ‘학교의 보건관리’와 ‘학교의 환경위생정화’라는 서로 이질적인 내용을 동시에 규정하고 있으므로 현재 학교보건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정화구역 제도에 관한 사항을 분리시켜 가칭 “교육환경보호법”을 제정할 필요가 있다. 교육환경보호법은 그 목적을 학교 주변의 교육환경 보전으로 분명하게 한정하고, 기존 학교보건법 중 정화구역 제도에 관한 사항을 포함하되, 정화구역 안에서의 금지행위 및 시설 기준을 좀 더 세분하여 구체적으로 명시할 필요가 있으며, 청소년보호와 관련되는 타 법률과의 상호관계도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 The government established School Environmental Sanitation and Cleanup Zone (hereafter referred to as the Cleanup Zone ) in 1967 to protect schools’ health, sanitation and learning environment. While restricting certain activities and facilities in the cleanup zone is necessary, it has also limited the freedom of business and the property right of people to some extent. This study therefore aims to explore wa ys to improve the Cleanup Zone system effectively by reviewing current problems of the system and analyzing trends in the cancellation rate and deliberation cases regarding the prohibited activities and facilities in the Cleanup Zone in the decade of 2001-2011. The problems in the laws related to the Cleanup Zone system and in the prohibited activities and facilities in the Zone were analyzed through a literature review including documents publish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replies to inquiries of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and laws related to the prohibited activities and facilities in the Cleanup Zone. In addition, ways to improve the Cleanup Zone system effectively were explored by reviewing current problems of the system and analyzing trends in the cancellation rate and deliberation cases regarding the prohibited activities and facilities in the Cleanup Zone for the decade of 2001-2011. The current problems of the Cleanup Zone system were as follows: First, the prohibited activities and facilities in the Cleanup Zone should be subdivided according to the type of business since they are not varied by the type of business. Second, the activities and facilities prohibited in the Cleanup Zone are all the same regardless of the school type. Third, the issue of equity is questionable as the participation of a legal expert is not guaranteed in the composition of the Cleanup Zone Committee and the criteriavary depending on the circumstances rather then being consistently applied in the deliberation. Fourth, the inter-organizational cooperation for the management of the Cleanup Zone has not been effective. Since the School Health Act, the legal ground for the Cleanup Zone system, prescribes the matters on both school health management and environmental sanitation cleanup zone, which are two different issues, these two should be separated. A new l w, tentatively titled ‘Educational Environment Protection Act’, a should be legislated with the specific goal of ensuring an educational environment around schools. While it should prescribe the matters related to the cleanup zone, it should also specify criteria for prohibited activities and facilities in the cleanup zone in detail by subdividing them, while simultaneously clearly defining relationships with other regulations on youth protection.

      • 이청담의 불교정화 정신과 조선불교학인대회

        김광식 ( Gwang-sik Kim ) 경상국립대학교 청담사상연구소 2004 마음思想 Vol.2 No.0

        한국 현대불교사의 중심 사건이며, 조계종단의 재정비를 기한 것은 불교정화운동이다. 본 고찰은 불교정화운동을 상징하는 승려인 이청담의 정화정신의 실체를 찾아보고, 그 정신이 언제 구체화되었는가를 설명하였다. 즉, 그의 불교정화의 근본은 무엇이고, 왜 그는 불교의 정화를 치열하게 강조하였는가를 살펴보았다. 이청담의 불교정화는 교단정화, 신도정화, 사회정화라는 구도를 갖는다. 이 구도하에서 그의 불교정화 정신은 우리 민족의 역사와 얼이 담긴 불교의 정화 및 재건이었다. 이를 위해서 최우선적인 것이 수행자 중심의 승단을 만드는 것이었다. 그런데 이러한 그의 불교정화는 그가 승려 초기 시절인 1928년 3월, 각황사에서 개최된 전국학인대회에서 본격화되었다. 당시 그는 불교개혁을 위해 전국 강원의 학인들을 결집시켜 대회를 주도하였다. 즉 그는 불교정화를 위한 불교교육의 개혁을 강조 학인대회를 준비, 주관하였다. 요컨대 이청담이 입산 출가한 1925년부터 입적한 1971년까지 불교정화라는 정신이 그의 일생을 관통하였던 것이다. It was the Buddhist purification movement that was a central event of the Buddhist history in Korea and gave improvement in Jogye order. This study sought for the substance of venerable Chung-dam's purification mind or the symbol of Buddhist purification movement and explained when the mind was materialized. Namely, it deserves special emphasis on what is the foundation of Buddhist purification and why he emphasized it particularly. His Buddhist purification consists of a religious order, a Buddhist and a society purification. This is to say, His Buddhist purification was the purification and reconstruction of Buddhism containing our people's history and spirit. In order to do this, it was required to make the religious order leaded by Buddhists first of all. However, during the years of a Buddhist priest, his thought was really unfolded in the national conference for Buddhist students(people who are in the progress of practice) held in 1928, March in the Gakhwang temple. At the moment, he gathered Buddhist students from national temples for Buddhist reformation and supervised the national conference. In other words, he prepared and supervised it in order to emphasize the reformation of Buddhist education for Buddhist purification. After all, the spirit of Buddhist purification played an important roll in venerable Chung-dam's life from entering the Buddhist priesthood in 1925 to nirvana in 1971.

      • 고전요가와 하타요가 정화법의 현대적 적용

        김미경(Kim, Mee Kyung) 한국요가학회 2016 요가학연구 Vol.- No.16

        요가철학에서 정화의 개념은 수련 과정이나 수련으로 얻은 결과에 용해되어 있다. 그것은 특정한 수련에 한정되지 않고 모든 요가 이론에 편재하는 개념이며 폭넓게 적용되는 수련의 토대다. 현대사회에서 우리는 도덕관념이 희박해지는 현상을 흔히 목격한다. 학교나 직장에서의 따돌림은 인간관계에서 자기제어와 공감의 상실 등으로 도덕적 인지력의 문제점을 드러낸다. 본 논문은 흔히 현실성이 없는 것으로 인식되어 수련자의 관심에서 벗어날 수 있는 요가의 덕목을 정화의 관점에서 조명함으로써 다양한 기법으로 발전하고 있는 현대 요가수련에 적용할 수 있는 요가 정화법 의 본래 목적을 환기하는데 중점을 둔다. 고전요가의 정화법은 도덕적 훈련을 강조하는 10가지 수련덕목에서 시작된다. 이들 수련덕목이 잘 훈련되면 정화된 신체와 마음작용의 제어에서 비롯된 집중의 힘이 생긴다. 그 힘은 좌법과 호흡수련 등으로 이어지고 삼매를 위한 밑거름으로 작용한다. 하타요가 정화법은 신체적, 생리적 정화를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Hathapradipika(이하 HP) 4.25에서 해탈의 경지는 쿰바카를 통해 프라나와 마음이 소멸할 때 성취된다고 말한다. 요가의 도덕적 덕목들은 수련자가 해야 할 기초훈련이지만 요가자세나 호흡훈련에 비하여 그 중요성이 간과되는 경향이 있다. 본 논문은 고전요가의 8가지 요가수행법을 정화의 관점에서 고찰함으로써 요가수련이 부여하는 다각적인 정화의 개념을 부각시킨다. 한편 신체적, 생리적 정화의 중요성과 방법론을 밝힌 HP 정화법에서는 이들 정화법이 현대인의 일상적 질병을 예방하는데 기여하고 완전한 건강을 위한 디딤돌이 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In Yoga philosophy, the concept of purification has been dissolved in the process of the practices or the result of that practice. It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practices but widespread concept in all yoga theories and widely applied foundation of practice. We often observe the phenomenon that the moral sense has be-come diluted in the modern society. Ostracizing at schools and workplaces shows the problems in the moral cognition because of loss of self-control and sympathy in human relations. This study is focused on reminding us of the original purpose of yoga purification that can be applied to the modern yoga practice, which has been developing with various techniques by illuminating the virtue of yoga, which may be out of yoga practitioner’s interest as it is commonly considered not to be realistic. The purification of the classical yoga begins with 10 virtues of practice, which emphasize the moral training. If the virtues are well trained, the power of concentration is generated from the purified body and the control of mental factors. The power leads to asana and pranayama practices and works as a foundation for samadhi. The purification of hatha yoga is focused on physical and physiological purification. In Hathapradipika(Ⅳ.25), it is told that the state of nirvana is reached when prana and mind dissipates through kumbhaka. While the ethical virtues of Yoga are the basic training for the practitioners, it tends to overlook the importance compared with the yoga poses or breathing training. This paper emphasizes the multi-faceted concepts of purification given by yoga training through considering 8 yoga practice methods of the ancient yoga from the perspectives of purification. Meanwhile, the HP purification that identified the importance and method of physical and physiological purification suggests the possibilities that these purification methods will contribute to preventing general diseases of the modern people and can serve as a stepping stone for complete health.

      • 청담의 불교정화운동과 정화이념 - 단계별, 총괄적 이해를 중심으로 -

        김광식 ( Kim Gwang-sik ) 경상국립대학교 청담사상연구소 2011 마음思想 Vol.9 No.0

        본 고찰은 한국 현대불교사의 중심적인 운동이었던 불교정화운동의 주역인 이청담의 불교정화운동의 총괄적 이해를 시도한 글이다. 그러면서 이청담의 불교정화운동에 담긴 정화이념의 추출을 시도하였다. 이런 전제에서 청담의 불교정화운동을 단계별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그는 1단계, 불교정화의 모색(1926~1929); 지성불교, 2단계, 불교정화의 준비(1930~1953); 수행불교, 3단계, 교단정화의 추동(1954~1962); 승단정화, 4단계, 불교근대화의 추진(1963~1971); 민족불교이었다. 이런 구분은 각 시대별 불교사 내부의 역사성을 고려한 것이다. 이런 분석을 통해 필자는 청담의 불교정화 이념이 지성불교, 수행불교, 승단정화, 민족불교로 변화되어 왔다고 보았다. 이와 같은 서술을 통하여 필자는 청담의 정화이념을 민족불교로 제시하였다. 그리고 청담의 민족불교론은 한국 불교, 조계종단을 바라보는 근원적인 흐름과 연결된다고 하였다. 때문에 조계종단의 불교정화 이념도 여기에 유래되었으며, 그의 승려로서의 일생도 이런 관점에서 바라볼 수 있다. 이런 배경에서 필자는 그의 마음사상, 선사상, 불교현대화방안이 민족불교론의 구도에서 나왔다고 보는 것이다. 본 고찰은 이청담의 불교정화운동을 거시적, 단계별로 이해하면서 그의 정화이념을 민족불교로 보는 것이 주된 초점이다. 이청담의 정화이념과 한국불교의 이념으로 이해된 종합불교와의 상관성은 필자의 연구 주제로 남겨두고자 한다. This consideration is a testing writing for general understanding of late monk Lee Cheongdam's Buddhist Purification Movement as the leading role for Buddhist Purification Movement which was central movement of the Korean modern buddhist history. In such assumption I presented dividedly Cheongdam's Buddhist Purification Movement as gradual step. He divided Buddhist Purification Movement in four steps: The first step was groping for Buddhist Purification(1926-1929); intellectual buddhism. The second step was preparation for Buddhist Purification(1930-1953); practical buddhism. The third step was impetus to buddhist community purification(1954-1962); Sangha community purification. The forth step was propulsion of buddhist modernity(1963-1971); national buddhism. This division was considered internal historical nature of buddhist history in each period. I viewed that the ideology of Cheongdam's Buddhist Purification was intellectual buddhism, practical buddhism, Sangha community purification and national buddhism through this analyzing into. I presented Cheongdam's purification ideology as national buddhism through such description of the treatise. And I mentioned that the theory of Cheongdam's national buddhism could be linked to the original flowing which was viewing on Jogye Order of the Korean Buddhism. In this view we could see his life as a monk because of the above fact, the ideology of buddhist purification of the Jogye Order of the Korean Buddhism was derived from here. In this background I thought that his mind thought, Seon thought and a plan of buddhist modernization came out the structure of national buddhist theory. The consideration of this treatise is main focus in viewing on his purification ideology as national buddhism with understanding macroscopically and gradually. I would like to leave interrelationship nature of total buddhism which was understood as Lee Cheongdam's purification ideology and Korean buddhist ideology in my further research subject.

      • KCI등재후보

        『게란다상히따』(Gheraṇḍasaṃhitā)의 정뇌(Kapālabhāti) 정화법 연구 : 정뇌 정화법(GhS);나디 정화법(GhS, HP);풀무 꿈브하까(GhS, HP)의 비교

        박영길(Younggil Park) 한국요가학회 2021 요가학연구 Vol.- No.26

        ‘여섯 정화법’(ṣaṭkarma)은 15세기 문헌인 『하타의 등불』(HP)에 의해 처음으로 하타요가의 행법으로 편입되었다. 하지만 『하타의 등불』에서 정화법은 아사나(āsana), 호흡수련(prāṇāyāma), 무드라(mudrā), 삼매(samādhi)로 구성된 사지 요가의 정식 지분이 아니라 호흡수련(prāṇāyāma)을 돕기 위한 하나의 예비 작법(HP. II.36)이고 경우에 따라 생략해도 무방한 기법(HP. II.21, II.37)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타의 정화법과 달리 ‘정뇌(kapālabhāti) 정화법’은 특별한 중요성을 지니는데 그것은 하타요가에서 가장 중시되는 풀무(bhastrikā) 꿈브하까(kumbhaka)를 수련하기 전에 반드시 익혀야 하는 기법이기 때문이다. 『하타의 등불』에 따르면 정뇌 정화법은 ‘마치 대장장이가 풀무질하듯 신속하고 급격하게 양쪽 코로 숨을 내쉬고 마시는 것을 반복하는 것’이고 풀무-꿈브하까는 여기에 한 단계가 추가되어 ‘적당한 시점에 숨을 마시고 그 숨을 최대한 참는 과정’을 포함한다. 따라서 풀무-꿈브하까는 누구나 처음부터 위험을 무릅쓰고 배울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정뇌 정화법’에 숙달된 자격자만이 전수받을 수 있는 기법이다. 『하타의 등불』(HP)에서 설명된 정뇌 정화법은 그 이후에 성립된 백과사전적 대작인 『육따브하바데바』(YD)를 비롯해서 『하타의 보석 목걸이』(HR)에 그대로 인용되었으므로 정뇌 정화법은 17세기 말까지 동일한 형태를 유지했던 것으로 판단된다. 18세기에 성립된 『게란다상히따』는 여섯 정화법을 칠지 요가의 첫번째 지분으로 편입시키고 또 유례를 찾기 힘들 정도로 다양한 정화법을 설명하지만 기본적인 틀은 『하타의 등불』에 의거한다. 하지만 『게란다상히따』의 정뇌 정화법은 전대 문헌과 구별된다. 『게란다상히따』는 정뇌 정화법을 건식(바람을 이용하는 것), 습식(물을 이용하는 것), 싯-소리 법(입으로 ‘싯’이라는 소리를 내는 것)과 같은 세 종류를 설명하는데 이 중에 습식과 싯-소리법은 『게란다상히따』 특유의 기법이므로 논란이 될 것은 없다. 하지만 『게란다상히따』의 ‘건식 정뇌법’은 『하타의 등불』에서 설명된 ‘정뇌법’과 유사하면서도 구별될 뿐만 아니라 풀무-꿈브하까와도 무관한 행법으로 파악된다. 『게란다상히따』의 건식 정뇌법은 ‘신속하게 코로 숨을 마시고 내쉬는 것을 반복한다는 점’에서는 『하타의 등불』에서 설명된 ‘정뇌법’과 유사하지만 전자는 ‘좌우 코를 번갈아가며 숨을 마시고 내쉬는 것’이고, 후자는 양쪽 코로 동시에 숨을 마시고 내쉰다는 점에서 구별된다. 다시 말해서 『하타의 등불』의 정뇌법은 풀무-꿈브하까를 수련하기 위한 예비 행법이고 실제로도 하나의 세트처럼 실행되지만 『게란다 상히따』의 건식 정뇌법은 풀무-꿈브하까와 무관한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게란다상히따』의 건식 정뇌법은 ‘좌우 코를 번갈아가며 숨을 내쉬고 마신다는 점 에서 나디 정화 호흡법 (HP.II.7-10;GhS. V39-45)과 유사하지만 전자는 숨을 참지 않고 단순히 ‘날숨→들숨→날숨→들숨’을 반복하는 것이고 후자는 들숨 후에 반드시 그 숨을 참는 것, 즉 ‘날숨→들숨→멈춤→날숨→들숨→멈춤→날숨’을 반복한다는 점점에서 재차 구별된다. 본고에서는 『게란다상히따』에서 설명된 세 종류의 정뇌 정화법을 분석하고 『하타의 등불』 등에서 설명된 정뇌법, 나디 정화 호흡법, 풀무-꿈브하까와 비교 검토하고자 한다. The ‘Ṣaṭkarma’ was incorporated into the technique of Haṭhayoga for the first time in the Haṭhapradīpikā(HP, 15th-century). According to HP, Kapālabhāti is a technique of repeating breathing in and out through both nostrils rapidly like a smith’s bellows and the Bhastrikā-kumbraka is the same as the Kapālabhāti technique, but with one extra step: Inhale and hold the breath as much as possible (yathāśakti). Therefore, HP’s Kapālabhāti is not only a purification method, but also has importance as a preliminary technique for practicing Bhastrikā-kumbhaka. Gheraṇḍasaṃhita(GhS, 18th-century) is a work that incorporates ‘Ṣaṭkarma’ as a first aṅga of Saptāṅga yoga, and further developed the technique of purification. Unlike HP, which described one type of Kapālabhāti, GhS describes the technique of Kapālabhāti as three types: ① Vātakrama, a technique of using breath (vāta) ② Vyutkrama,a technique using water (vyud), and ③ Śītkrama, a technique of making thsound ‘śīt’As discussed earlier, the three types of Kapālabhāti methods described in GhS are summarized as follow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