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김석출 구송 〈바리공주〉 연구

        홍태한(Hong Tea-han) 한국무속학회 2002 한국무속학 Vol.0 No.4

        본고는 동해안 지역에서 전승되는 서사무가 〈바리공주〉의 각편이라 할 수 있는〈방심굿〉무가를 연구한 것이다. 이 글에서 논의된 사항은 다음과 같다. 〈방심굿〉무가는 오구대왕의 일대기를 다룬 전반부와 바리공주의 일대기를 다룬 후반부로 구성되어 있다. 후반부에 대한 관심은 있었지만 전반부까지 포함한 연구 성과는 아직없다. 이러한 〈방심굿〉 무가는 3대기적 구성을 가지고 있어서 건국신화와 그 성격을 같이 한다. 특히 고구려 건국신화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있어 한국 신화 문학에서도 〈방심굿〉이 차지하는 비중이 있다. 한국 서사무가의 유형 중 하나인 〈창세무가〉는 독립된 유형이었지만 전승 과정에서 하나의 삽화로 변모되어 〈당금애기〉를 비롯한 몇몇 서사무가에 흔적을 남기게 된다. 이 변모된 〈창세무가〉와 건국신화의 영향을 받아 형성된 것이 〈방심굿〉 무가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aning of the shamanic epic 〈Bangshimgut〉. 〈Bangshimgut〉 is the version of 〈Barigongju〉 which is handed down in the east coat region. The following are the detailed problems and the findings of the study. 〈Bamgshimgut〉, shamanic-epic, is composed of two parts. the former part is related to the great King Ohgu's life time and the latter part is related to the Barigongju's life time. 〈Bangshimgut〉 has 3-generational structure, so it's characteristic has common with the Mythology of National Foundation. 〈Chansaemuga〉 is an originally independent typem but it is changed into an episode in the procedure of transformation. This transformed 〈Changsaemuga〉 and "the Mythology of National Foundation" affect the formation of 〈Bangshimgut〉.

      • KCI등재

        『맹자』 <우산지목장>의 ‘심(心)’에 대한 연구 - 『맹자집주대전(孟子集註大全)』을 중심으로 -

        신예진 ( Shin Ye-jin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20 儒學硏究 Vol.52 No.-

        본 논문의 목적은 『맹자』, 「고자 상」 ‘우산지목장(牛山之木章)’과 이에 대한 주자의 주석 및 『맹자집주대전』에 편집된 소주(小註)를 분석하여 맹자의 ‘심(心)’에 대하여 고찰한 것이다. ‘우산지목장’ 전체를 관통하는 핵심 개념은 ‘인의지심(仁義之心)’이다. 그리고 양심·물욕·야기·평단지기·양기·조존과 구방심 등이 중요한 문제로 나타나있다. 주자는 인의지심과 양심을 ‘본연의 선한 마음[본연지선심(本然之善心)]’으로 규정하였는데, 본고는 바로 이 ‘본연지선심’을 중심으로 구성하였다. 고찰한 결과 본연지선심을 상실한 요인은 첫째, 물욕과 이욕이다. 이것은 모든 인간에게 생래적인 것으로서 없앨 수는 없으나, 절제를 통하여 조절이 가능하다. 둘째, 야기(夜氣)의 부족이 본연지선심 상실의 핵심적 요인이다. 주자는 야기를 최상의 기로 부각시켰는데, 야기의 함양과 소멸의 결과에 따라 본연지선심의 보존여부가 결정되기 때문이다. 본연지선심을 회복하는 공부 방법은 평단지기를 기반으로 설명할 수 있다. 평단지기는 야기와 연계된다. 그 핵심은 야간에 휴식을 통하여 대상과 접촉하지 않으면, 그 기운이 점차 맑아져서 평단지기가 회복이 되므로, 본연지선심도 회복된다. 둘째, 양기와 ‘충’인의지기(‘充’仁義之氣)이다. 인의지기는 지금까지 학계에서 주목하지 않았던 독특한 개념으로, 규명하기 쉽지 않다. 그러나 ‘심(心)’은 리(理)와 기(氣)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인의지심을 구성하는 기는 바로 인의지기라는 추론이 가능하다. 이것은 모든 인간이 공유하고 있는 도덕적 기(氣)이다. 주자는 인간이 생래적으로 호연지기를 갖고 있다고 보고, 호연지기를 잘 배양하는 것과 본연지선심을 회복하는 것이 긴밀하게 연계됨을 시사하였다. 셋째, 마음을 보존하는 방법, 즉 조존(操存)과 구방심이다. 조존의 대의는 ‘잡으면 보존되고 놓으면 잃는다’는 두 구절에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주자는 구방심에 대해 맹자의 견해에 공통점을 보이면서도 일부 내용에 대해 견해를 달리한다. 그는 방심을 한 사실에 대해 자각(自覺)·자성(自省)하는 순간이 바로 조존으로 연결된다는 것으로 정립시켰다. ‘우산지목장’을 근거로 볼 때, 인의지심과 양심, 즉 ‘본연지선심’에서 본성이 선(善)하다는 성선설뿐만 아니라 ‘마음이 선하다’는 ‘심선설(心善說)’이 가능하다는 점을 추론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Mencius’s thought of the heart-mind by analyzing the Mengzi (孟子) 6A8, hereafter the chapter of Niushanzhimu (牛山之木, the Trees of the Ox Hill)>,” and the commentary by Zhuzi and other commentaries in Mengzi Jizhu Daquan (孟子集註大全, the Great Compendium of Commentaries on the Book of Mencius). The core of the Zhuzi interpretation that penetrates the entire chapter of Niushanzhimu is ‘renyizhixin (仁義之心, the heart-mind of benevolence and rightfulness).’ And ‘liangxin (良心, proper goodness of mind),’ ‘wuyu (物欲, desire for material wealth),’ ‘yeqi (夜氣, the restorative influence of the night),’ ‘pingdanzhiqi (平旦之氣, the calm air of the morning),’ ‘yangqi (養氣, an incessant development of the good inside the heart),’ ‘caocun (操存, preserving and holding one’s heart-mind)’ and ‘qiufangxin (求放心, seeking for the lost mind)’ are shown as important issues. Zhuzi defined renyizhixin and liangxin as “benranzhishanxin (本然之善心, the natural good mind),” of which this paper was mainly composed. First, the factors that have caused the loss of benranzhishanxin are wuyu (物欲, greed) and liyu (利欲, desire for profit). All humans have them, so that they cannot be eliminated, but they can be controlled through moderation. Second, the lack of yeqi is a key factor in the loss of benranzhishanxin. Zhuzi highlighted yeqi as the best energy, as the result of yeqi’s cultivation and extinction determines whether benranzhishanxin is preserved or not. Based on pingdanzhiqi, the way of recovering benranzhishanxin can be explained. pingdanzhiqi is also linked to yeqi. The key point is that if a person is not contacted through night rest, his/her energy gradually clears up and pingdanzhiqi recovers, so benranzhishanxin is recovered. The second is yangqi and ‘chong renyizhiqi (充仁義之氣, filling the energy of benevolence and rightfulness).’ Renyizhiqi is a unique concept that has not been noticed in academia so far, and it is not easy to identify. However, it is possible to infer that the energy, which makes up renyizhixin, is renyizhiqi, given the fact that the ‘xin (心, mind)’ consists of ‘li (理, principle)’ and ‘qi (氣, energy).’ This is the moral qi whcin all human beings share. Zhuzi believed that humans naturally have ‘haoranzhiqi (浩然之氣),’ suggesting that cultivating haoranzhiqi well and restoring benranzhishanxin are closely linked. The third is the way to preserve the mind, namely, caocun and qiufangxin. It can be seen what the meaning of caocun is in two passages: “If caught, preserved; if left, lost.” Zhuzi shared a common ground with Mencius’s views on qiufangxin, but has different views on some of the contents. He made it clear that the moment of self-awareness and self-reflection of fangxin leads directly to caocun. Based on the chapter of Niushanzhimu, it can be inferred that not only the theory of “good nature” but also that of “good heart” is possible to be drawn from benranzhishanxin.

      • KCI등재후보

        조선시대 방심곡령(方心曲領)에 관한 연구(Ⅰ)-역사적 고찰을 중심으로-

        이영주,김효숙 한국니트디자인학회 2019 패션과 니트 Vol.1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historical review of the Bangsimgoglyeong used in the Joseon Dynasty. The research method is based on the the records of the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national liturgy, relics, and photographs and portraits of the king. In the Joseon Dynasty, Bangsimgoglyeong were put on the collar of the Myeonbok by the kings, princes, and on the collar of the Jebok(ritual robes) by government officials at the religious ceremony. Generally, Bangsimgoglyeong is composed of the Goglyeong(the shape is round) and the Bangsim(the shape is rectangular). Bangsim is connected by a straight cord to the center of the front of the Goglyeong. There are things with or without Bangsim , those with Naegong and those without. The shape of the Bangsim is trapezoid, rectangle, square and so on. In the figures of national liturgy, the Goglyeong appears as a perfectly round shape, but a result of studying the actual artifacts, it was made into an elliptical shape with a long U-shape on the front of the chest. There are two strings on the right and left sides of the Goglyeong, the left string is green and the right string is red. In the records of the national liturgy, materials are used mainly Baegla and Baegsa in Gillye and Galyei, and Baegcho in Hyunglye. There is a record that the strings on the right and left use Unmunsa. Various materials such as Baegju, Samjoghangla, Eunjosa, Mosi, Baegjeopo, Sunin and Dan, were used to produce Bangsimgoglyeong of government officials. Until the first half of the 18th century, a button was placed on the center of the back of the neck. From the second half of the 18th century, there was a change of putting a button on the right side and putting a Sim(collar string pad) on the inside of the Gongryeong.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한국 근대시에서 절망과 기교가 교섭하는 두 가지 방식 : 이상과 김춘수를 중심으로

        조강석(Cho Kang-sok) 한국근대문학회 2011 한국근대문학연구 Vol.12 No.1

        김춘수는 다작의 시인이었지만 동시에 한국 근현대시사를 통틀어도 드물게 손꼽을 수 있을 정도로 왕성하게 시론을 전개한 시의 이론가였다. 그는 공시적으로는 시란 무엇이며 어떠해야 하는가에 대한 답변을 시론에 대한 이론적 차원에서 모색했으며 이렇게 마련된 전거들을 통해 통시적으로 한국 근현대사의 다양한 작가들과 작품들을 평가하는 작업을 계속해서 수행한 시인이다. 그런 맥락에서 볼때 시론가이자 문학사가로서 김춘수가 이상에 대해 기울인 관심은 결코 소홀히 넘길 수 없는 것이다. 이상은 절망이 기교를 낳고 기교는 다시 절망을 낳는다고 말했다. 작품 「꽃나무」와 「절벽」은 이를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김춘수는 이상에 대한 여러 언급에서 바로 이 점을 주목했다. 그리고 김춘수는 절망이 유희를 낳고 유희가 위안이 된다는 시론을 제출한다. 두 시인의 시적 제작 기술(art, techne)은 공히 고통과 절망을 질료로 삼는 것이라고 할 수 있겠다. 두 시인에게 있어 시의 원천은 동일하다. 그러나, 고통을 우회하기 위해 발휘된 제작술이 마련하는 경로는 확연히 달라진다. 바로 여기에 이상과 김춘수의, 아니 좀 더 확대하자면 우리 근현대시가 현실의 절망과 시의 기교가 교섭하는 운동을 통해 마련하는 중요한 분기점이 놓여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상의 기교가 위안에 닿지 못한 까닭과 김춘수의 기교가 위안에까지 이르게 된 추이를 잘 살펴보면 우리 근현대시에서 내용과 형식이 가장 극적으로 길항하고 이반하는 한 현장을 적시할 수 있다. 이상은 시적 기교가 현실의 절망을 건사하지 못하는 지점에 이르러 생의 말년에 다시 산문 쪽으로 회귀했다. 김춘수는 시형식의 한 극단에 이르기까지 기교의 운동을 멈추지 않았지만 이를 통해 자신의 절망을 소산시킬 수 있었다. 청록파 시를 사사하다가 존재에 대한 관심 쪽으로 선회하고 다시 서술적 이미지를 거쳐 무의미시에까지 이르게 되는 김춘수의 시적 행보는 절망에서 비롯된 기교가 재차 절망으로 전락하지 않도록 끊임없이 ‘유희’를 부양하는 운동에 비견된다. 김춘수의 시적 행로의 저간에 이상이라는 대척점이 놓이는 까닭이 여기에 있다. Kim Choon-soo had written great volumes of poetry. Also, he himself was one of the eagerly working poetic theorist. He concentrated his efforts to explore such questions; 'What makes a good poem?' 'Who, in the modern korean literary history, could be the memorable poet who had left great legacy?" As an answer, there was Yi Sang. Yi sang said, "Despair engenders artistic 'techne' and 'techne' produces despair again." Kim Choon-soo tried to grasp the meaning of this aphorism. To Yi-Sang, art could be metaphorically understood as the self-referential movement of despair. In the context of "anxiety of influence"(Harold Bloom), Kim Choon-soo tried to overcome Yi Sang's literary legacy. He modified Yi Sang's aphorism, and he got another one. Kim Choon-soo said' "Despair engenders rewardless play and techniques of art, eventually, poetic 'techne' produces the comfort." Kim Choon-soo's two ways of poetic development-poetry of 'non-meaning' and the meaningful long verse 'Che Yong Dan Jang'-could be further understood in the context of action and reaction with Yi Sang's attitude.

      • KCI등재

        군내 성범죄 사고에 대한 예방적 고찰

        이만종(Lee Man Jong) 한국부패학회 2009 한국부패학회보 Vol.14 No.1

        Since the 2009, sex crimes in the military guardhouse that had generally recorded lower than speedy progress of industrialization and democratization, korea's traditional extended family system was replaced with nuclear family which brought in several changes to many women's way of thinking and values. The most insidious enemy is one that strikes from within, This sort of enemy could be present within your unit even now An enemy that chips away with readiness by breaking down mutual trust. An enemy that destroys teamwork by turning comrades into foes, and weakens an entire military unit, The enemy is sexual harrassment, just as the military constantly guards against external enemies, it`s vital that we confront this enemy that strikes from within, Fight sexual Harrassment. Therefore, a precise analysis on causes and factors of sex crimes in the military guardhouse, which is on the steep rise along with military changes of korea, is one of the most necessary steps to map out prevention measures to stop female crime from increasing.

      • KCI등재

        ‘求放心’에서 ‘心要放’으로 - 孟子 ‘求放心’의 일본적 변용

        김용훈,최영진 (사)율곡학회 2022 율곡학연구 Vol.48 No.-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Japanese martial arts and Confucianism. Among them, I would like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that Japanese martial arts want to pursue through the consideration of ‘simyobang’(心要放), a Japanese transformation of the Mencius ‘gubangshim’(求放心). In order to examine the philosophical meaning of Japanese martial arts, it should be discussed based on Confucian ‘Suyangron’(修養論, the theory of Self-Cultivation). Through these considerations, the ultimate goal and philosophical meaning of Japanese martial arts can be approached more easily. In the Edo period(江戸時代; Edo jidai, 1603–1867), Confucianism was designated as a government study, and In-ui-ye-ji(仁義禮智) became an essential virtue for samurai. That was because Toegyehak(退溪學) of Joseon was introduced to Japan by Kang Hang (姜沆: 1567-1618), a Joseon scholar who was taken prisoner by Japanese during the Imjin War. Senior samurai and bureaucrats adopted the ‘Oryun’(五倫) of Confucianism as their ideology of government. In the pre-existing concept of ‘Chung’(忠, loyalty) of Musado(武士道, An ethical code of the samurai), keeping the ‘Kun-sin-yu-ui’(君臣有義) has been also emphasized based on the fidelity idea of Confucianism. As a specific study in Confucian ‘Suyangron’(修養論, the theory of Self-Cultivation), the samurai accepted ‘gyeon’(敬) and ‘bu-dong-sim’(不動心, unmoving mind) and ‘gubangshim’(求放心, re-discover a lost heart) in Mencius(孟子). It refers to mental unification that concentrates the mind in one place so that it does not scatter elsewhere. However, Dakuang(澤庵) says that Mencius gubangshim is a lower-level training method and a higher stage is Sogangjeol(邵康節)’s ‘simyobang’(心要放, relaxing the mind). In other words, he thought that it is more important to release the mind than to hold it tight. Thus, the Japanese version of Mudojeonseo(武道全書) accepted ‘ but reinterpreted it in a Buddhist style. Japanese martial arts emphasize both technical and mental aspects, with particular emphasis on the mental aspect. This implies that the highest level of swordsmanship is that the mind and the sword become one. In the end, what Japanese martial arts ultimately pursue through the Confucianism is ‘composure’(平常心). Through the study of the body and mind inherent in the organic world view of Eastern philosophy, martial arts can establish a more mature view of life and values and achieve harmony in life. Martial arts is about giving your all and learning the true meaning of strategy with an upright mind and attitude. 본 논문은 일본 무도와 유학의 연관성을 탐색하는 데 있다. 그중에서도 孟子 ‘求放心’의 일본적 변용인 ‘心要放’의 고찰을 통해 일본 무도가 추구하고자 하는 특성이 무엇인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일본 무도의 철학적 의미를 고찰하기 위해서는 유학의 수양론을 토대로 논의되어져야 한다. 이러한 고찰을 통해 일본 무도가 궁극적으로 추구하는 수양의 목표와 철학적 의미를 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을 것이다. 임진왜란을 계기로 일본에 포로로 잡혀간 조선 선비 姜沆에 의해 조선의 퇴계학이 일본으로 들어가게 되었다. 이를 통해 에도시대에는 유학을 관학으로 지정하고 仁義禮智는 무사들의 필수 덕목이 되었다. 상급 무사이자 관료들은 유학의 오륜을 통치의 이념으로 삼았다. 기존 무사도의 ‘忠’개념도 유학의 의리사상에 기반하여 君臣有義를 지키기를 강조하였다. 구체적인 유학의 수양론으로 무사들은 ‘敬’과 孟子 의 ‘不動心’과 ‘求放心’을 받아들였다. 이것은 마음을 한 곳에 집중시켜 다른 곳으로 흩어지지 않게 하는 정신통일을 말한다. 그러나 다쿠앙(澤庵)은 맹자의 ‘구방심’은 낮은 단계의 수련법이고 더 높은 단계를 邵康節의 ‘心要放’이라 말하고 있다. 즉 마음을 붙잡아 두는 것보다는 ‘마음은 풀어놓는 것이 중요하다’고 보았다. 이처럼 일본의 武道全書는 유학의 수양론을 받아들였으나 불교식으로 재해석하였다. 일본 무도는 기술과 심리 양 측면을 모두 중요시하는데, 특히 심리 방면에 중점을 둔다. 이것은 검술의 최고 경지는 마음과 검이 하나가 되는 것(心劍合一)을 말한다. 결국 일본 무도가 儒學의 철학적 기반을 통해 궁극적으로 추구하는 것은 ‘平常心’이다. 이러한 동양철학의 유기체적 세계관 속에 내재해 있는 몸과 마음의 공부를 통해 무도는 좀 더 성숙한 인생관과 가치관을 확립시킬 수 있으며 삶의 조화를 획득할 수 있다. 무도란 자신의 모든 것을 바치고 바른 마음과 바른 자세로 병법의 참뜻을 몸에 익히는 것이다.

      • KCI등재

        퇴율의 「心學圖」상 求放心 논의와 공감교육 문제 연구

        김민선 동양철학연구회 2011 東洋哲學硏究 Vol.65 No.-

        This thesis aims to examine the correlation and possibilities between 'education focused on emotions' that has the purpose of 'empathy' and 'self-cultivation' which is said in Confucianism. It is lively discussed to concern about emotion and be educated through it. At this point, to say, that means that the theme of 'emotion' and 'empathy' have been avoided in the process of education regardless of Eastern and Western society. However, 'emotion' has crucial and significant status as the basic and standard language that have the characteristic of which one is able to understand the others and to respect the diversity. Education in Confucianism used to mean 'self-cultivation'. It is clearly represented over the letters between Teo-Gye(退溪) and Yul-Gok(栗谷) to discuss and debate about the position of 'to seek for the lost mind'(求放心) on the picture, 'XinXueTu'(心學圖). Yul-Gok regarded that position as lower level in the process of self-cultivation, and thus, 'emotion' of individual has been alienated. Toe-Gye, on the other hand, saw it as understanding of one's present mind and set it as the center of his learning. Hence, the view such as Yul-Gok has the matter of emotion avoided. In comtemporary society where one should respect the individualism and diversity, empathy for the others is important matters. Education focused on empathy gives us suggestions that help to comprehend the diversity. Yet, in our daily lives, it is often the case that the respect to the diversity is broken. Because the diversity is understood as the consensus to identify the others. Approving the diversity based on the ability of the empathy has the crucial meaning as the 'tolerance‘. In this dissertation, I would like to investigate the problem of learning and self-cultivation that cause emotional estrangement. Especially, in having attention to the debate between Toe-Gye and Yul-Gok, I would seek to know the possibilities of joining between 'self-cultivation' as of Confucian education and education focused on empathy. In investigating this theme, the insight of moral-sentiment of Adam Smith and the failure of empathy referred in social psychology could be needed. 본 논문은 목적은 ‘공감’능력의 함양을 위한 ‘감정교육’과 유학(儒學)에서 언급하는 ‘수양’과의 가능성을 고찰해보는 것이다. 감정에 대한 관심과 이를 이용한 교육은 최근 들어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다. 감정은 타인을 이해하고 다양성을 존중하는 기본의 언어로써 중요한 위치를 담당한다. 유학에 있어 교육은 ‘수양론’으로 말할 수 있다. 수양에 있어 감정에 관한 논의는 퇴계와 율곡의 서신에서 뚜렷하게 나타난다. 율곡은 ‘구방심’(求放心)의 위치문제를 핵심으로 하는 근거를 들어서 「심학도(心學圖)」가 잘못된 그림이라고 비판한다. 퇴계는 이에 대하여 현재 자신의 감정을 이해하는 것이 학문의 핵심이라고 보아 「심학도(心學圖)」를 단계로 나누어 위치시키는 것을 비판한다. 「심학도(心學圖)」에 관한 퇴율의 논의는 이전까지 서신의 내용을 소개하는 정도로만 다루어졌고, 왜 그러한 이견(異見)이 생기게 되었는지는 연구되지 않았다. 이 논문에서는 그러한 논의가 생기게 된 원인을 감정과 공감 교육의 문제와 결부시켜 연구하였다. 현대사회와 같이 개체성과 다양성을 존중하는 시대에서는 타인에 대한 공감이 중요한 문제이다. 타인과의 공감을 위한 감정교육은 다양성에 대한 이해에 시사점을 준다. 하지만 우리의 일상적 삶에서는 다양성에 대한 존중이 깨어지는 경우가 자주 발생한다. 왜냐하면 다양성이 계약과 같이 타인을 인정하는 합의로 이해되고 있기 때문이다. 공감능력에 기반한 다원성의 인정은 합의가 아닌 ‘포용’으로써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본 논문은 감정 소외를 일으키는 학문과 수양의 문제점을 알아본다. 특히 감정에 관한 퇴계와 율곡의 논의에 주목함으로써 유학적 교육인 ‘수양’과 감정 교육의 접합 가능성을 알아볼 것이다. 이에 있어 도덕 감정에 대한 아담 스미스의 논의와 사회 심리학에서 말하는 공감의 실패에 대한 연구 성과를 참조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