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후기 경상도 省峴驛의 운영과 驛馬 확보-⌈省峴道驛誌⌋ 및 ⌈省峴道邸吏役價釐正節目⌋을 중심으로-

        조병로 동국역사문화연구소 2011 동국사학 Vol.51 No.-

        이 논문은 조선후기 경상도 지방 성현역(省峴驛)의 운영과 역마확보 문 제를 구체적으로 규명하고자 ⌈성현도역지⌋와 ⌈省峴道邸吏役價釐正節目⌋이나 ⌈성현역사례(省峴驛事例)⌋ 및 ⌈성현도장계직사신정절목(省峴道狀啓直使新定節目)⌋을 분석하였다. 성현도란 여러 개의 역을 묶어 관할하는 역도(驛道)체계로서 고려시대 의 전주도(金州道)와 경주도(慶州道)에 소속된 역이 포함되어 무을이역(無 乙伊驛), 영안역(永安驛), 용가역(用家驛) 등 13개역이 소속되었다. 조선시 대에 이르러 역의 신설과 이역(移設) 등으로 통폐합되어 성현역·범어역 등 19개 속역으로 재편되었다. 성현역의 역사(驛舍)는 아사(衙舍) 16칸, 수월정(受月亭) 10칸, 현산루 (峴山樓) 6칸, 형지안고(形止案庫) 3칸, 창고 14칸, 창사청(倉舍廳) 6칸, 이청 (吏廳) 10칸, 양마청(養馬廳) 5칸, 고사(庫舍) 3칸, 관주(官廚) 8칸, 고사(庫 舍) 4칸, 민고(民庫) 6칸, 접빈관(接賓館) 4칸, 사창고사(社倉庫舍) 6칸,사창 사(社倉舍) 4칸, 형리청(刑吏廳) 4칸, 외양간(?養間) 5칸 등 모두 114칸 규 모의 건물이 건립되었다. 성현역의 역속(驛屬)은 일정한 역역(驛役)을 부담하며 역에 본적을 두고 있는 역인(驛人)의 총칭으로 ⌈성현도역지⌋에 따르면 역리(驛吏: 時仕) 15명, 지인(知印) 10명, 사령(使令) 10명, 관노(官奴) 12명, 관비(官婢) 9명이 배치되었다. 역마(驛馬)는 왕명 및 공문서의 전달, 사신 및 복물(卜物: 소나 말 따위 에 실어나르는 짐)의 운송 등 역의 기능을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한 교통수 단이다. 성현도속역(省峴道屬驛)은 대마(大馬). 중마(中馬). 복마(卜馬)로 나 누어 146필을 보유하였으나 순조 2년(1802) 100여필이나 감소하고 있다. 주 요 원인은 일차적으로 역마의 남기(濫騎: 절차를 밟지 않고 함부로 역마를 타는 일)와 역마가의 앙등, 마위전(馬位田)의 사상매매(私相賣買-사사로운 매매)와 豪勢家의 침탈 등으로 인해 역마를 대지 못했기 때문이다. ?성현 도저리역가이정절목?에 의하면 공문서를 전달하기 위해서 서울에 오가는 경주인(京主人)들의 자의적인 역마의 남기와 이병방(吏兵房) 입마전(立馬 錢)의 폐단을 들고 있다. 이러한 마폐(馬弊)의 개혁을 위해서 1)역마가 궐액 (闕額: 미리 정한 액수보다 모자람)되어 개립(改立)할 경우 결복

      • KCI등재

        역서(曆書)의 네트워크: 왕의 시간과 일상생활

        김혁 ( Hyok Kim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10 嶺南學 Vol.0 No.18

        曆書는 조선시대 최고의 베스트셀러였다. 이 글에서는 역서를 발간자인 國王과 수요자인 臣民과의 관계를 직접 연결시켜 이해할 수 있는 해석의 장소로 간주한다. 당시 수직적 신분 위계에 속하였던 수요자들의 역서 네트워크를 분석하여 국왕의 권력이 기원하는 곳과 일상생활에 침투하여 전개되는 양상을 해명하는 것이 이 논문의 궁극적인 목적이다. 역서는 조선국왕에게 兩價적인 함의가 있었다. 중국과의 책봉관계를 인정하는 상징물인 동시에, 자신의 주권 하에 있는 時空間을 조직하는 정치도구였다. 특히 정치 도구로서 역서를 이용하고자 하였던 국왕의 의도는, 중국의 통제에도 불구하고 조선의 현실에 맞는 독자적인 측후를 반영한 鄕曆을 계속 발간하고자 하였다는 데에서 드러난다. 이와 같이 조선 국왕이 역서를 맺는 새로운 네트워크 방식을 통해 그는 관료제의 기반이 되는 통일성과 소통을 위한 국가의 표준적인 시간체계를 제공하고, 독자적인 시공간의 주권을 확보할 수 있었다. 조선후기까지 국왕은 농민들에게 正時를 알려준다는 觀象授時의 이념아래 역서의 발간량을 계속 증대시켰다. 그 결과 역서의 생산량은 초기에 비해 60배나 되었다. 이때 역서는 본래의 자리로부터 흘러넘쳐 (overflowing) 발간자인 국왕의 의지와는 무관하게 수직적인 신분 위계에 따라 서로 다른 새로운 네트워크를 구성하였다. 이 글에서는 이와 같은 역서의 네트워크를 분석하여 국왕과 여러 사회적 신분 위계들 사이에서 역서를 사이에 두고 나타난 同床異夢을 확인하였다. 조선후기에 이르러 대두된 이런 다양한 네트워크의 불일치는 역서를 통해 실현하고자 하였던 중앙집권화를 위한 국왕의 마술로부터 백성들이 점차 벗어나고 있었으며, 그에 따라 역서의 성격도 ``국왕의 역서``(王曆)로부터 ``백성의 역서``(民曆)로 점차 변모하여 갔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역서를 통해 농민을 ``農時`` 아래에 묶고자 하였던 국왕의 의도가 사실상 좌절된 것을 뜻하며, 농민은 그 네트워크의 자리에서 새로운 주인으로 등장한다. 그런 점에서 국왕의 농민에 대한 이념적 영향력이 점차 쇠퇴하고 있었다는 것을 반증하는 것이기도 하다. Calender books in Joseon Dynasty consist of two parts: (1)``the study of calender(yeokhak 曆學)`` and (2)``the annotation of calendar(yeokju 曆註)``. Yeokhak refers to the first and the fifteenth day of the lunar month (sakmang), the first and the last quater of the moon (sanghahyun),the twenty-four solar terms (yisipsa julki), solar and lunar eclipses (ylyeolsik) and so on. Yeokju is a study of the principles of yin and yang (陰陽書), identifying misfortune and fortune as well as taboo in daily lives during the year. Yeokhak cannot be understood without susi(授時), one of the examples of the rule of monarchy. susi is the abbreviation of kwansangsusi(觀象授時), which means that the ruler provides his people with a proper knowledge of agriculture by casting a horoscope. Since the ancient time, it was strongly believed that the ruler needs to offer an accurate timetable for agriculture in order to buttress his authority. In this context, it is important to remember that the social life of calendar books was shared by all the people - from the king to ordinary peasants. Ritualistically, the king in Joseon Dynasty granted his ministers the Chinese calendar which he had received from the emperor of China. Nevertheless, the king attempted to monopolize the production and circulation of calendar books. This is the very evidence that he actively intervened in regulating time for his rule. Agriculture was not the only reason the king attempted to predominate over time. By controlling time, the king also tried to intervene in daily events of ordinary people by linking them to his own time. yeokju served for this purpose. It covered a wide scope of everyday lives such as marriage, trade, and movement. By doing so, yeokju incorporated the lives of the king, officials, noble classes, and peasants in to the frame of the sovereign time. Today the linkage between yeokhak and yeokju is considered to be arbitrary. Such linkage seems to be irrational and outdated. The magic of calendar books, which had been still effective in the early Joseon dynasty, fell in to a decline in the late period. As Jung Yakyong(丁若鏞), the famous scholar in the late Joseon period, pointed out, calendar books failed to function in domain of offering correct time, agricultural calender(農曆), and the choice of an auspicious day(擇日). They were nothing but cheap, trivial gifts that people used only once in a while. Although some scholars still emphasize their one-time significance, calendar books were as trivial as scratchbacks or nailclippers. Nevertheless, it is intriguing that the supply of calendar books expanded from one per 400 households in the early Joseon to one per 6 households in the 19th century. Such expansion had little to do with the functional utility of calendar books. Rather, it resulted from the mixture of different ideas and intentions. On the one hand, the king attempted to buttress the rule of monarchy while actualizing the expansion of calendar books through the market device. Given the time sensitive nature of calendar books, the king had to provide more people with more books as quickly as possible, encouraging market trades. On the other hand, people in his time system situated the use of calendar books in different ways according to their different life styles. The rapid spreading of a Confucian ritual in the late Joseon period had made the productive amount of the calendar.

      • 공간스토리텔링과 인문건축 : 서울역 북부역세권 스토리텔링 작업을 중심으로

        김세익(Kim Seilk),최혜실(Choi HyeSil) 세계한국어문학회 2011 세계한국어문학 Vol.6 No.-

        근대 이후 급속도로 불어 닥친 사회변화 속에서 서울은 급격한 도시공간구조의 통합과 팽창 변화를 겪어왔다. 서울의 관문으로 기능한 서울역 역시 이러한 흐름 속에서 숱한 증축과 개축의 과정을 거치며 현재에 이르고 있다. 그러나 서울역의 증·개축은 수도 서울로 유입된 유동인구가 최초로 맞닥뜨리는'서울의 얼굴'로서의 가치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 채 단지 기능적 필요성과 경제논리를 우선하여 이뤄졌다. 때문에 연담화가 이루어진 거대한 매스들은 구 서울역사가 지니는 역사성·장소성과는 어떠한 연결고리도 지니지 못한'무가치의 정체성' 속에서 존재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코레일은 지난 2009년 4월 이후로 서울역 북부의 선로부지를 활용한'서울역 북부역세권 개발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이 사업은 향후 추진예정인'서울역 남부역세권 개발사업'과 함께 기존 서울역 공간은 남-북으로 확장하는 사업의 일부로서 향후 서울역의 정체성을 재규정할 대규모의 사업이자 서울역 공간을 중심으로 한 도시 구조적 맥락을 일신할 역사(役事)다. 이 시점에서 본고는 기능성과 경제성의 논리에 경도되기 쉬운 건축적 맥락의 사각(死角)을 채울 수 있는 서사적 방법론의 개발에 대하여 실제 수행된 연구용역 작업을 바탕으로 논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코레일과 삼우종합건축사사무소가 발주한'서울역 북부역세권 개발사업 스토리텔링 개발연구' 용역을 바탕으로 기술되었다. 한국 근현대사의 주요 배경이자 역을 오가는 수많은 사람들의 이야기가 얽혀있는 서울역 공간(Space)의 특성을 고려할 때 서울역 북부역세권 개발사업 스토리텔링의 개발에서는 대상지가 지니고 있는'장소의 혼' 개념이 주요하게 사용되어야 한다. 또한'장소의 혼' 개념을 토대로 창조된 장소(Place)는 지속가능한 향유가치를 지녀야 한다. 이와 관련하여 본고는 서울역의 과거·현재·미래적 가치를 유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는 단지 전체의'중심서사'를 창출하는 과정을 전개하는 한편 도출된'중심서사'를 세부 공간에 적합하게 적용시키는'보조서사'로서의 세부 공간 스토리텔링을 개발하는 과정을 제시하였다. After modern times in raging social changes at speed Seoul has been experiencing rapid integration expansion and alteration of urban spatial structure. Seoul Station functioned as the gateway of Seoul also went through number of extension and reconstruction process in this flow til now. However this process didn't properly reflect the value as the'Face of Seoul' which floating population entering capital of Korea first encounters and has done only giving priority to functional necessity and economical logic. On account of this giant masses in conurbation are existing in'identity of worthlessness' keeping no links between historicity and placeness which Old Seoul Station bears, Under the circumstances Korail is promoting'The Northern Area Development of the Seoul Station' using track site of Seoul Station's Northern Area since April 2009. This project is as part of business extending the existing Seoul Station's space to north and south with'The Southern Area Development of the Seoul Station' scheduled to be carried forward it is a large-scale project which will redetermine Seoul Station's identity henceforward and also a construction which will renew urban structural context focused on Seoul Station's space. At this point this study tried to discuss about the development of narrative methodology able to fill the blind spot of architectural context which easily devotes at logic of functionality and economics based on actually fulfilled research service. This study is described based on'Research on Storytelling Development of the Northern Area Development of the Seoul Station' service ordered from Korail and Samoo Architects & Engineers. Considering the quality of Seoul Station's Space as the main background of Korean recent and contemporary history and involved in numerous people's stories passing the station the'genius loci' concept that site carries is needed to be used leadingly in storytelling development of Seoul Station Northern Area Development Project. Also the created Place based on'genius loci' concept must have sustainable enjoyable value. In this context this study developed the process creating'main narrative' of the whole complex able to organically connect of Seoul Station's past present and future value at the same time proposed the developing process of detail-space storytelling as'adjuvant narrative' which suitably applies deducted'main narrative' in detail-space.

      • KCI등재

        16세기 삼남의 虎豹皮 除役과 防納의 위상

        김동진(Kim, Dong Jin) 역사문화학회 2013 지방사와 지방문화 Vol.16 No.2

        본고는 실록과 문집자료, 『묵재일기』에 나타난 제역과 방납의 시행에 대한 자료를 분석하여 16세기 삼남에서 시행된 제역과 방납의 역사적 위상을 확인하고, 그 실상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조선의 공납제 운영에서 제역과 방납은 제역 민결(제역호) → (양호) → 담당 색리 및 수령 → 사주인(방납인) → 경각사와 같은 흐름에 놓여 있어 제역과 방납은 일련의 공물 수취 과정에서 각각 위상을 달리하였다. 16세기에 이르러 삼남에서 대부분의 군현은 제역을 시행하였고, 제역과 방납은 대납제에 기반을 두어 민호와 군현과 경각사 사이에서 톱니바퀴처럼 서로 연결되었다. 연대기와 각종 문집의 기록에 나타난 16세기 중엽 제역과 방납의 실상은 이문건의 『묵재일기』에 나타난 호표피의 제역에 대한 기록에 잘 부합 한다. 표피제역은 전결을 기준으로 시행되었고, 국역의 면제를 조건으로 값을 내는 행위였다. 除役戶는 養戶에게 값을 납부하고, 양호는 여러 제역호에게 값을 거두어 고가의 호피와 표피 등을 사들여 수령에게 혹은 수령을 대신해 중앙의 수납기관에 상납하였다. 그리고 방납의 시행과정에서 제역과 양호는 짝을 이루어 시행되었다. 16세기에 이르러 삼남 지역 대부분의 군현은 제역을 시행하고 있었다. 국법으로 엄격히 금지된 방납과 달리 제역은 수령권의 사적 자치가 이루어지던 영역이었으며, 17세기 대동법의 시행으로 수령의 자치권이 크게 제한되고 재정적 측면의 중앙집권화가 더욱 심화하였다. This paper was to confirm the phase of exemption from service and proxy tax payment performed in Samnam Region in 16th century by analyzing execution aspects of exemption from service and proxy tax payment appearing in true records, materials of collections of works, Mukjae-ilgi and to explore the real state of affairs. Following are the results summarized. In operation of tributary systemin Joseon, exemption from service and proxy tax paymentwere in a flow like Jeyeok Mingyeol (Jeyeokho) (Yangho) Saekri and Suryeong in charge Sajuin (Bangnapin) Gyeonggaksa. In 16th century, in three provinces of the lower half of the peninsula, most gun hyeon executed exemption from service, and exemption from service and proxy tax payment were connected between minho, gun hyeon and gyeonggaksa based on payment by proxy system. Appearing in records from chronicles and various collections of works, the realty in exemption from service and proxy tax payment in the middle of 16th century copes well with the records of tiger-leopard skin exemption from service shown in Mukjae-ilgi. Leopard skin exemption from servicewith the criterion of an arbitrary decision was executed, and it was executed as a behavior of paying the value on the condition of exemption from national service. Jeyeokho paid the value to Yangho, and Yangho collected the value from various Jeyeokho and purchased high priced tiger and leopard skins and delivered them to a local governor or to a receiver in the central government. And in the enforcement process of proxy tax payment, jeyeok and yangho were conducted as a pair. Reaching 16th century, most gun hyeon in Samnam region performed exemption from service. Different from proxy tax payment which was firmly prohibited under the national law, exemption from service that was self-governed in a boundary of Suryeong jurisdiction, and along with 17th century Daedongbeop enforcement, Suryeong self-government was greatly limited and centralization in power in terms of financial aspects was deepened the more.

      • KCI등재

        장수(長壽)는 진정 축복인가? 사회보장제도의 보완수단으로서의 역모기지론(reverse mortgage loan)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법적 연구 -미국의 경험을 중심으로-

        김종호 ( Jong Ho Kim ) 고려대학교 법학연구원 2012 고려법학 Vol.0 No.64

        우리나라의 경우 저소득층 지원을 위한 사회안전망이 복지선진국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불충분하고 노년층에 대한 가족들의 경제적 지원도 축소되고 있는 것이 현재의 실정이므로 노년층의 복지증진을 위한 적극적인 정부지원이 필요하다. 그런데 이러한 정부의 공적자금에 의한 재정지원에는 일정한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으므로 결국은 당사자 본인이 노년기 생활을 대비하여야 하는 바 연금이나 보험이 그 수단이 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이것마저도 이용할 수 없는 경우라면 역모기지론 제도의 도입과 활성화는 유력한 대안이 될 수 있으니 이런 관점에서 정부가 적극 추진할 필요성이 있다. 역모기지론 이용 활성화를 위해서는 첫째, 정부기구의 공적보증을 통해 대출 금융기관의 담보주택 가격변동 등에 따른 채권회수 불능의 위험을 최소화하여야 한다. 둘째, 역모기지론 채권 중 정부가 보증한 채권에 대하여 유동화시킬 수 있는 장치를 마련하여 금융기관의 유동성을 확보를 하여야 한다. 셋째, 역모기지론 상품에 내재한 위험의 효과적 분담을 위해 정부보증을 통하여 대출 금융기관의 주택가격 하락ㆍ채무자인 차용인의 수명연장 위험 등을 제거하고, 금리변동의 상한선을 설정하여 금리변동에 따른 차용인의 변제액 확대 위험을 최소화하여야 한다. 넷째, 역모기지론을 신청한 이후 이를 제공할 금융기관이 필요한 정보를 수시로 제공받아 차용인을 접촉하여 상품판매를 하고 보증, 보험가입과 보험료의 납입, 대출금의 수령 등의 업무일체를 전자적으로 투명하게 처리 할 수 있도록 차용인과 금융기관 모두에게 적절한 전산시설 및 시스템을 확보하도록 하여야 한다. 다섯째, 역모기지론 제공계약 기간 동안 담보주택의 관리 소홀에 따른 담보가치의 하락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전문 관리기관이 주택상태를 주기적으로 점검하는 체계적인 시스템을 갖추어야 한다. 여섯째, 사전 대출상담을 통한 정확한 역모기지론 상품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대출승인 전 정부가 승인한 상담기관의 상담을 의무화하여 금융지식이 부족한 고령자가 충분한 정보를 제공받아 스스로 의사결정을 하도록 하여야 한다. 본고에서는 역모기지론의 위험관리를 통한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무엇보다도 역모기지론을 둘러싼 법률문제를 정확히 이해해야 활성화가 가능하다는 전제하에 역모기지론의 법적인 논의에 초점을 맞추었다. 본고의 주요한 논의 주제는 (i) 역모기지론의 일반론으로서 미국에서의 입법배경과 목적, 법적성격, 이용가능자, (ii) 역모기지론 법적 규제, (iii) 역모기지론의 지급과 정산방법, (iv) 역모기지론의 위험관리 필요성, (v) 역모 기지론 제도의 활성화방안 등이다. To activate silver financing, I explored development of U.S. reverse mortgage loan system. The reverse mortgage is a form of equity release or lifetime mortgage available in the United States as well as Korea. It is a loan available to seniors aged 62 or older, and is used to release the home equity in the property as one lump sum or multiple payments. The homeowner`s obligation to repay the loan is deferred until the owner dies, the home is sold, or the owner leaves. In a conventional mortgage the homeowner makes a monthly amortized payment to the lender; after each payment the equity increases within his or her property, and typically after the end of the term the mortgage has been paid in full and the property is released from the lender and becomes fully and solely owned by the homeowner. In a reverse mortgage, however, the homeowner makes no payments and all interest is added to the lien on the property. If the owner receives monthly payments, or a bulk payment of the available equity percentage for their age, then the debt on the property increases each month. A reverse mortgage lien is often recorded at a higher dollar amount than the amount of money actually disbursed at the loan closing. To qualify for a reverse mortgage in the United States, the borrower must be at least 62 years of age and must occupy the property as their principal residence. There are no minimum income or credit requirements because no payments are required on the mortgage. Reverse mortgages follow Federal Housing Affairs(FHA) standards for property types. Many seniors entering into reverse mortgages do not fully understand the terms and conditions associated with the loans, and it has been suggested that some lenders have sought to take advantage of this. Before starting the loan process, applicants must take an FHA approved counseling class and present a certificate of completion of the course. The counseling is meant to serve as a safeguard for the borrowers and to ensure they completely understand what a reverse mortgage is. The maximum lending limit varies by county, but may not exceed $625,500. The loan size a borrower qualifies for is determined by the borrower`s age, the value of the home, and the home`s location. The amount of money available to the consumer is determined by primary factors: (i) The appraised value of the property, whether any health or safety repairs need to be made to the house, and whether there are any existing liens on the house. (ii) The interest rate, as determined by the U.S. Treasury 1 year T-Bill. (iii) The age of the senior (The older the senior is, the more money he/she will receive). (iv) Whether the payment is taken as line of credit, lump sum, or monthly payments. Line of credit will maximize the money available, while lump sum provides the cash immediately, but the interest fees are the highest. Monthly payments may be set up as tenure payments, which are paid to borrowers for the rest of their lives, no matter how long they live, or term payments, which last for a predetermined period. The value of the property, and whether that value is higher than the national loan limit set by Department of Housing and Urban Development(HUD). Once the reverse mortgage is established, there are no restrictions on how the funds are used. The cost of getting a reverse mortgage from a private sector lender may exceed the costs of other types of mortgage or equity conversion loans. Exact costs depend on the particular reverse mortgage program the borrower acquires. Interest rates on reverse mortgages are determined on a program-by-program basis, because the loans are secured by the home itself, and backed by HUD, the interest rate should always be below any other available interest rate in the standard mortgage marketplace for an FHA reverse mortgage. Each month, interest is calculated not only on the principal amount received by the borrower but on the interest previously assessed to the loan. Since no monthly payments are made by the borrower on a reverse mortgage, the interest that accrues is treated as a loan advance. Several lenders now offer FHA HECM reverse mortgages that have fixed interest rates. Some fixed rate reverse mortgages limit the cash proceeds to half of that offered by adjustable rate reverse mortgages. To apply for an FHA/HUD reverse mortgage, a borrower is required to complete a counseling session with a HUD-approved counselor. The counselor will explain the legal and financial obligations of a reverse mortgage. After the counseling session, the borrower receives a certificate of counseling that is required before the loan application can be processed. The loan comes due when the borrower dies, sells the house, or moves out of the house for more than 12 consecutive months. Once the mortgage comes due the borrower or heirs of the estate will have an option to refinance the home and keep it, sell the home and cash out the equity, or turn the home over to the lender. If the property is turned over to the lender the borrower or the heirs have no more claim to the property or equity in the property. The lender has recourse against the property, but not against the borrower personally nor against the borrowers heirs, referred to as non-recourse limit. Once all borrowers on a reverse mortgage passes away the heirs are granted 6 months to sell the home, refinance it, or to make the decision to turn the home over to the lender. Home Equity Conversion Mortgages account for 90% of all reverse mortgages originated in the U.S. As of May 2010, there were 493,815 active HECM loans. As of 2006, the number of HECM mortgages that HUD is authorized to insure under the reverse mortgage law was capped at 275,000. Program growth in recent years has been very rapid. However, Korean policy makers should keep in mind that a drawback to reverse mortgages are the high upfront costs. Also, note that reverse mortgages have been criticized for three major shortcomings: (i) expensive cost, (ii) confusing to entering into them, and (iii) compound interest.

      • KCI등재

        조선시대 양반가문 소장 曆書類의 현황과 가치

        정성희(Jeong Seong-Hee) 한국사학회 2007 史學硏究 Vol.- No.86

        이 글은 조선시대 양반가문의 역서 소장 현황 및 가치를 살펴보는 것으로서 조선시대는 중앙집권적 관료국가가 발달해온 만큼 시간의 통일, 즉 曆(calendar)의 통일을 위해 힘써온 시대로 이는 현존하는 많은 역서(曆書)를 통해 확인 할 수 있다. 역서의 발전은 여러 가지 배경 요인이 있지만, 이는 동아시아의 천문관이라 할 수 있는 觀象授時의 영향을 받아 역서의 편찬을 제왕의 중요한 임무로 여긴 탓이 크다. 한국사에서 조선시대는 I년 日辰의 계산, 24절기의 入氣 시각과 달의 위상 등을 측정하여 이를 바탕으로 정확한 역서를 만들고자 끊임없이 노력했던 시기였다. 조선시대 역서는 오늘날 대량으로 발행되어 I년이 지나면 버려지는 달력과는 다르며 우수한 과학기술과 문화적 역량의 산물이었다. 조선초기 불과 4천건 정도만 발행되어 특권층의 향유물이었던 역서는 18세기 말 이후 1만 5천축 이상 발행되어 지방 양반과 서민들도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현재 서울대학교 규장각 소장의 조선시대 역서나 한국학 중앙연구원 장서각에 소장된 역서는 조선시대 달력 발행이 국가적 사업이었음을 보여준다. 본 글에서 조사 대상으로 삼은 안동 순흥안씨 종택 소장의 역서를 비롯한 약 170여건에 달하는 양반가문 소장의 역서는 조선시대 천문학의 발달과 함께 이를 바탕으로 한 우수한 달력 문화의 소산이다. 조선시대 역서들은 이미 규장각이나 장서각에 상당량이 소장되어 있으나, 수량으로 보면, 전국의 양반 가문 문중에서 소장한 역서가 가장 많다. 현재 한국학중앙연구원서 오랜 기간 수집한 양반 가문 역서 가운데 가장 분량을 많이 차지하고 있는 것은 대전 은진송씨와 안동 순홍안씨 종택 소장의 역서이다. 이 가문 외에는 전체적으로 책수가 많다고 볼 수 없지만, 발행 연도의 중복이 비교적 적고 풍산유씨 종택 소장의 大統曆 같은 경우는 귀중본으로서 자료적 가치가 뛰어난 것도 있다. 현재 전통시대 역서는 1594년 대통력부터 1950년대의 양력까지 다양하지만, 역시 가장 많은 양을 차지하고 있는 역서는 조선후기 역서인 시헌서이다. 시헌서는 조선후기 일반적으로 사용된 상용력으로 가장 많이 발행된 역서이다. 기존의 규장각이나 장서각 소장 역서들은 대개 원 사용자를 알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필적이 없는 깨끗한 것들이 많은 반면, 조선시대 양반 가문에서 소장하고 있는 역서들은 대체로 원소장자를 알 수 있고, 필사 혹은 일기 등을 적어 놓은 것이 많아 일기류로서도 가치가 있다. 일기를 적어놓은 대표적인 역서를 소개해보면, 우복종택 소장의 1607년 대통력을 들 수 있다. 이 역서를 사용한 인물은 조선중기의 문신이었던 鄭經世(1563-1633)이다. 우복종택 소장의 1607년 역서를 보면, 정경세가 역서를 일기 혹은 오늘날의 수첩처럼 사용했음이 드러난다. 1607년에 정경세는 대구부사로 재직하고 있었는데 정경세가 사용한 역서를 보면 그날그날의 일기나 날씨, 대구부사로 가는 길에 숙박했던 곳, 지인 등의 왕래 등이 적혀 있어 역서로서의 가치 외에도 당시의 생활상 혹은 날씨 등을 살펴 볼 수 있는 생활사 자료로도 의미가 있다. 현재 전국에 흩어져 있는 양반가문 소장의 역서는 완전히 조사된 것은 아니다. 이 글에서 소개한 역서 자료 외에도 모두 조사하여 자료 목록화 한다면 그 양은 더욱 많아질 것이며 조선시대 역서의 전모가 드러날 것이다. 물론 이러한 작업은 연구자 혼자서 단기간 할 수 있는 작업은 아니다. 향후 연구자들이 조선시대 역서의 자료적 가치에 관심을 갖고 자료가 유실되고 파산되는 것을 막아야 할 것이라 본다. From the old dynasties of Korea as well of China the unification of almanac system had been pursued as the way of the centric governance. Even the duty of the prediction and interpretation of the movement of stars and the changes of weather was laid on the shoulders of sovereign power. The development of books of calender means the advancement of the scientific observation, facilities and system of the contemporary. In this sense Joseon period is the time of the marvelous advancement of the calender system including the calculation of one year, proper arrangement of the twenty-four seasonal divisions into the lunar calender in the history of Korea. Compared with the mass production and temporary consumption of calenders in these days, calender books or related documents in the Joseon period were the essential product of cultural and scientific advancement of the time. While the early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produced about four thousands copies of calenders and they were occupied only by the noble families, when it comes to the late 18th century, the product of books of calender increased over fifteen thousands copies, being used by noble families as well as partly by common people. The collection of books of calender contained by the Royal Library, Gyujanggak, present located in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and the library of the royal family, Jangseogak, present located in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proves that to print the books of calender was a national project in the Joseon dynasty. But the research of the collection of books of calender in the Joseon period has rarely been done despite the most collectors was from noble families. This paper will focus on the collection of book of calender collected by the descendant of noble families and raise a question to catalog and arrange the materials systematically for the initial step of related studies. The collection of Sunheung An Family in Andong, ranged one hundred and seventy copies, are micro-filmed in the purpose of conservation and easy access to the materials for related students. But the process of categorizing and arranging of the materials still are waiting to be done. Furthermore, there are a lot of books of calender scattered in the national-wide. Those materials should be collected under public project and arranged according to a certain standard category system. The conservation of the precious materials depends on the public interest and systematic endeavor to collect, catalog and make it to easy of access to researchers.

      • KCI등재

        지하철역의 출입구 캐노피 디자인과 역명 감성반응에 관한 연구 - 대전광역시 지하철 1호선을 중심으로 -

        오성진,김태영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9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21 No.1

        This study is aimed to examine the local image in subway canopies focused on subway line No.1 Daejeon City in Korea by analysing subway canopy design and emotional response considering geographical language. For this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cases of 22 subway canopies of Daejeon City, and then the problems and solutions were presented through the four factors of forms, materials, colors, and lightings in design. As a result of questionnaire survey, the needs for canopy design are suggested and the sensitivity for canopy design related to local image is relatively high. The emotional response is higher to students and ordinary persons in natural geographical language such as 'Daejeon'(related to field), 'Gapcheon'(related to stream), 'Guam' (related to rock) subway, while higher in the busy subway stations to experts who are intensively interested in the canopy design considering geographical language. 본 연구는 대전 지하철 1호선 22개 지하철역 출입구 캐노피를 대상으로 역명의 유래와 입지특성, 기능 및 동선, 외관의 현황조사와 더불어 디자인의 인식 및 감성반영도에 관한 설문조사를 통하여, 지명유래와 캐노피 디자인의 상관성을 모색한 것으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학, 관청, 교통 및 유통의 중심지에 분포하고 있는 대전 지하철의 역명은 월드컵경기장역․현충원역․정부청사역․시청역 및 중구청역의 5개역을 제외하고는 17개역이 지명을 역명으로 사용하고 있었다. 주변 입지와 관련하여 ‘지족역’과 ‘월평역’이 비교적 양호한 환경을 갖추고 있으나, 대부분의 역에서 폭원이 좁고, 장애자와 자전거 시설이 미비하였다. 출입구 캐노피의 외관 디자인은 지명유래를 고려한 지역적 특성의 반영보다는 표준형의 보급에 머무르면서, 각진 형태에서 아치형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재료는 철골조 프레임에 폴리카보네이트 합성수지와 강화유리, 색채는 청록색과 회색조이다. 지역의 지명유래가 비교적 명확한 10개의 지하철역 캐노피 디자인에 대한 설문 결과, 입지적 여건에 따른 진출입시의 접근성이라든가 인지 및 식별성은 보통 이상의 수준이나, 외관 및 형태상으로는 매우 낮은 수준을 보여주었다. 현재의 캐노피 디자인에서 찾아 볼 수 없었던 지명유래와 캐노피 디자인의 상관성은 지명에 대한 설문자의 감성반영정도를 통하여 파악하였는데, ‘대전역’ 57.5%, ‘갑천역’ 50%, ‘구암역’ 49.5% 등 지연지명에서 유래된 곳이 절반을 상회하는 분포로 높게 나타나고, 이에 비하여 인공지명에서 유래된 곳은 비교적 낮았다. 이와 같이 현황조사에서 매우 낮은 수준을 보여준 지하철역 외관 디자인이 지명유래의 예시와 함께 캐노피 디자인의 상관성을 물어보는 설문조사에서는 감성반영도가 매우 높게 나타남으로 인하여, 지역 이미지를 반영한 새로운 개념의 캐노피 디자인 제안이 필요함을 보여주고 있다.

      • KCI등재

        조선후기 『사근도형지안(沙斤道形止案)』의 내용과 성격

        조병로 ( Cho Byoung Lo ) 한국고문서학회 2017 古文書硏究 Vol.51 No.-

        沙斤道는 지금의 경상도 함양, 안음, 단성, 진주, 하동지역에 설치된 역을 관할하는 驛道로서 고려시대의 山南道에서 유래하였다. 조선시대에 이르러 沙斤道로 개편되어 沙斤(咸陽), 有麟(三嘉), 安澗(晉州), 臨水(安陰), 蹄閑(咸陽), 正谷(山陰), 新安(丹城), 新興(宜寧), 正守(晉州), 橫浦(河東), 馬田(河東), 栗元(河東), 碧溪(丹城), 小南(晉州), 平沙驛(晉州)을 관할하게 되었다. 사근도 속역의 현재 위치를 추정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근역은 함양군 수동면 화산리 내동마을, 제한역은 함양군 함양읍 구룡리 조동마을, 신흥역은 의령군 부림면 신반리(옛 신번), 유린역은 합천군 삼가면 동리 유린마을, 안간역은 진주시 미천면 안간리 내인마을, 소남역은 산청군 단성면 관정리 역동마을, 정곡역은 산청군 산청읍 정곡리 내정마을, 횡포역은 하동군 횡천면 남산리 원동(월곡) 마을, 마전역은 하동군 양보면 감당리 신전마을, 율원역은 하동군 진교면 송원리 율원마을, 평사역은 하동군 악양면 평사리, 정수역은 하동군 옥종면 정수리 영당마을, 신안역은 산청군 신안면 신안리 명동마을, 벽계역은 산청군 신등면 단계리 벽계마을, 임수역은 함양군 안의면 교북리 관북마을로 추정된다. 한편, 『沙斤道形止案』의 내용과 특징 둥 그 역사적 성격과 사료가치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근도 형지안』 은 영조 23년(1747)년에 작성된 경상도 沙斤道 속역인 沙斤驛(咸陽), 臨水驛(安陰), 蹄閑驛(咸陽), 安磵驛(晉州), 有?驛(三嘉), 碧溪驛(丹城), 新興驛(宜寧), 正谷驛(山陰), 新安驛(丹城), 正守驛(晉州), 召南驛(晉州), 馬田驛(河東), 栗元驛(河東), 橫浦驛(河東), 平沙驛(河東) 등 15개 속역의 호구대장이라고 할 수 있다. 둘째, 자료의 형태는 楮紙 筆寫本으로 크기는 가로 55.5㎝ 세로 51.6㎝이며, 四周單邊 30行(行間隔 2㎝)으로 모두 98枚이며 각 장마다 官印(찰방관인으로 추정)이 찍혀 있다. 셋째, 내용 구성과 특징을 종합해보면 ① 沙斤驛(咸陽), 臨水驛(安陰), 蹄閑驛(咸陽), 安磵驛(晉州), 有?驛(三嘉), 碧溪驛(丹城), 新興驛(宜寧), 正谷驛(山陰), 新安驛(丹城), 正守驛(晉州), 召南驛(晉州), 馬田驛(河東), 栗元驛(河東), 橫浦驛(河東), 平沙驛(河東)의 驛吏. 驛奴. 驛婢. 日守의 戶口 편성과 驛民(역리. 역노. 역비, 일수)의 성명, 나이, 4조 이름, 외조 이름 그리고 거주지명이 기재되어 있으며 雜?시기와 이유, 加現 등의 입역 상태를 기재하고 있다. 또한 역민들의 率丁(동거 가족)및 保人 현황 등이 기재되어 있다. 단, 역노비의 경우는 별도로 驛卒降奴秩, 驛奴婢秩, 娶私賤所生秩, 嫁私賤(所生)秩, 嫁公私賤秩, 驛女嫁私賤所生秩로 나누어 기재하고 있으며, 각 역의 末尾의 已上條에 元人丁 숫자와 역리. 역노. 역비별 老除. 逃亡, 物故, 病廢, 등의 雜? 내역과 인원수를 기재하고 있다. 또 맨 끝 말미에도 都已上條를 기재하여 사근도속역 전체의 역리. 역노. 역비, 일수, 보인 숫자 그리고 잡탈 현황을 상세하게 기재하고 있어 전체 역호와 인구 등 職役대상자를 파악하기 위하여 작성한 것으로 생각한다. ② 사근도 각 속역의 역리. 역노. 역비. 일수. 보인 인구를 집계해 보면 사근도속역 전체의 驛吏 인구는 3,460명중에서 老除, 物故, 逃亡 등의 雜?을 제외하면 실제 時存하는 實額은 2,378명이며, 驛奴는 1,170중에서 實額 671구, 驛婢는 489구중에서 實額 321, 그리고 日守 41명, 保人 435명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리고 雜?의 원인으로 노제, 물고, 도망, 병폐 외에 前弱과 加現弱과 加現壯이 있으며 그 외에도 역리가 군보나 양인 또는 역노로 還降하는 사례와 역노가 官奴로 바뀌거나 역리가 역노로, 또 역비도 사비, 양녀로 還降하는 사례가 보이고 있다. ③ 역민의 거주지는 원칙적으로 역 근처의 마을(驛里, 驛村)에 거주하면서 입역하는 것이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移動, 遊離, 逃亡 등의 이유로 역 이외의 마을에 분산 거주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④ 驛吏의 4祖와 外祖의 職役이 기재되지 않았으나 驛奴·驛婢의 父와 母의 직역이 기재되어 있어 驛奴婢의 직역변동과 良賤交婚을 통한 신분변동 관계를 파악할 수 있다는 점에서 역사적 의의와 사료 가치가 크다고 평가할 수 있다. This paper analyzed the content and character of Census Register of Sageundo Stations(沙斤道形止案) of Gyeonsang-do in the lately Chosun Dynasty. Chosun Dynasty establised station one of the traffic system, and the important role of station are delivery of king`s command and an official document, envoy reception, supply of post horse, transport of public supplies etc. Therefore, various station staffs(驛民)- station official(驛吏), station slave(驛奴婢), assistant post offcial(日守) etc-are arranged to station, took a census which is so called Hyoungjian (Census Register). The Census Register of Sageundo Stations(沙斤道形止案) is written census of station staff belong to sageun station (沙斤驛) and its branch station(屬驛)-jehan station(蹄閑驛),imsoo station(臨水驛), angan station(安磵驛), yurin station(有麟驛), byeogae station(碧溪驛), sinan station(新安驛), junggok station(正谷驛), sinheung station(新興驛), jungsoo station(正守驛), sonam station(召南驛), majun station(馬田驛), yoolwon station(栗元驛), hoengpo station(橫浦驛), peungsa station(平沙驛) which was located on Hamyang area of Geonsang -do province. and also recorded residence, sex, age of station staff(namely station officials(驛吏), station slaves(驛奴婢), station assistant(日守) as well as living together family(i.e soljung 率丁) Accordingly, This document is very important historical records to understand and clarify the human structure of station, status-role of station staff, social mobility in status and marriage pattern between station staff as well as the distribution of residence, sex, age.

      • KCI등재

        역사문화도시의 조성에 관한 고찰 : 안동시를 중심으로 하여

        손진상(Shon, Jin-Sang) 조선대학교 법학연구원 2011 法學論叢 Vol.18 No.3

        성적역사문화도시는 지난날 한 나라의 정치·문화의 중심지로서 역사적 가치가 있는 문화유산이 있는 옛 도시를 총칭하는 것이다. 21세기에 접어들어 도시이미지 자체가 하나의 브랜드로 인식되면서 문화도시, 역사도시라는 용어가 등장하였고, 사회적 패러다임의 전환에 따라 세계 각국은 국가의 정체성 확립차원에서 역사문화자원의 보전사업을 경쟁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안동시는 유교문화의 원형을 고스란히 간직한 전통도시로 문화유적이 자리잡고 있고 역사적·전통적 삶이 독특한 문화를 형성하고 있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역사문화도시로 자리매김할 수 있는 잠재력을 지닌 도시이다. 그러나 미흡한 점도 많다. 그것은 안동이 역사도시라고 자신할 만큼 다양한 시대의 역사유적을 보존·관리하지 못했고, 문화도시에 걸맞는 공간 및 시설과 활동이 아직 부족하다. 이는 역사문화경관을 문화재가 있는 지역으로 인식하는 편협한 시각이 지배적이었던 우리나라의 기존 문화재보존정책과 궤를 같이한다. 역사문화도시에 대한 제도적 장치는 역사성과 문화유산을 대상으로 오랫동안 문화재보호법에 의하여 관리되어 왔고, 문화재가 아닌 것은 모두 개발할 수 있다는 논리가 성립하여 문화재주변의 난개발을 막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안동시의 역사문화유적을 정비·보존하고 도시공간을 재정비하여 안동시를 역사문화도시로 조성하여 관리하는 데에는 문화재 보존정책에 대한 법적·제도적 보완을 필요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역사적 정체성을 확립하고 역사문화도시로서의 이미지를 제고하기 위한 계획적 역사문화도시 조성 및 관리방안을 검토하여 법적·제도적 보완방안을 제시하였다. 역사문화도시를 실현하여 지역발전을 꾀하기 위해서는 법에 의한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는 것도 중요 하지만, 지방자치단체의 의지와 주민참여가 더욱 중요하다. City of history & culture is a center of politics and culture of one country on the past including concept of ancient city that has cultural heritage of historic value. In 21st century city of history & culture is introduced as image of city become brand. With changing of social paradigm each country in the world try to forward a project about protecting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Andong city is a traditional city that has original form of confucian culture. Also it can be representative city of history & culture with cultural heritage and traditional life style. But Andong city has weekness that is problem of protecting and managing historical heritage in various period. This perspective go along with policy that has narrow minded cognition that consider historical & cultural scenery as place with cultural property. Systematic device for city of history & culture is managed by cultural property protection law and make historicity and cultural heritage an object. This kind of logiclet things that are not cultural property develop. Development thoughtless could be done around area of cultural property as the result of above reason. Therefore legal and systematic supplement for policy of protecting cultural property will be needed for managing and promoting Andong as city of history & culture. Managing and protecting historical and cultural heritage and fixing structure of city are also needed with above mentioned measure. In this research legal and systematic supplement is presented to establish historical identity with restoring historical frame and promote image of city of history & culture with reviewing systematic way of managing & promoting city of history & culture. Intention of local autonomous entity and community particapation are much important than applying systematic device through law to make a regional improvement through becoming city of history & culture

      • KCI등재

        『易學啓蒙』을 통해 본 易의 ‘數’개념과 수비학(numerology)

        홍수빈(Hong, Soo-Bin) 한국동양철학회 2010 동양철학 Vol.0 No.33

        역(易)’은 동아시아 전통의 과학사상과 서양의 그것을 비교하는 작업 속에서 흥미롭게 다루어지는 주제 중 하나이다. 니덤(Joseph Needham)은 易의 ‘수’이해와 피타고라스학파의 수비학의 유사성을 지적하면서, 초기에는 서양과 비슷한 단계에 있었던 중국의 원형과학이 관료제라는 사회 문화적 특질로 인해 근대과학으로의 이행을 저지당했다고 여긴다. 이 글은 󰡔역학계몽󰡕에 나타난 ‘數’개념과 피타고라스학파의 ‘數’개념을 비교하는 작업을 통해, 위와 같은 니덤의 관점을 반성해보는 글이다. 피타고라스학파는 우주가 수학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수’는 모든 현상 사물을 구성하는 본질적 원소, 즉 물리적 대상이라 여겼다. 「하도」와 「낙서」의 천지지수와 대연지수를 기본으로 전개되는 易의 수 개념은 우주의 요소들과 그것들의 자리, 작용·변화 과정을 그린다. 易과 피타고라스학파 두 체계에서 모두 ‘數’는 자연현상 및 사물들을 표현하고 있으며, 수리적 특성은 우주가 운행하는 원리를 보여준다는 점에서 유사성을 지닌다. 그러나 피타고라스학파의 수비학은 수가 지니는 ‘영원불변함’이라는 가치에 초점이 맞추어진 반면, 易의 數는 천지만물이 자연 그대로 변해가는 현상을 묘사하는 쪽에 초점을 두고 있다. 따라서 피타고라스학파의 ‘수’ 개념은 ‘형상(form)’ 개념을 형성하여, 플라톤을 거치고 르네상스를 거쳐 근대 과학의 전형을 형성하게 된다. 반면 易의 ‘수’ 개념은 우주를 구성하는 개인으로서의 정당한 자리와 마땅한 행위라는 의리적 요소를 포함하게 되며, 이것은 주체 내면으로 눈을 돌리는 사유를 진행시켰다. 이를 통해 易의 자연과학적 요소가 의리적 요소에 의해 근대과학으로 발전할 가능성을 손상당한 것이 아니라, 易의 ‘수’개념 자체에도 이미 의리를 추구하는 가치관이 내재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즉, 동일한 원형과학이 다른 문화에 의해 속박된 것이 아니라, 동일하다고 여겨지는 두 원형과학 자체에도 이미 매우 다른 함의를 내포하고 있었다는 것이다. In some studies about Yi(易), it is stated that Yi(易) reveals scientific thought of Ancient China. Joseph Needham insists that there are many similarities between a concept of number in Yi(易) and numerology of Pythagoreans. Then Needham insists that scientific thought of China had been comparable with that of Europe in an early stage, but it has been stagnant because of the social and cultural character of bureaucracy. In both systems - Yi(易) and ‘numerology of Pythagoreans’, ‘Numeric’ reflects natural phenomenon, and reveals principle of the universe. But Pythagoreans' system regarded ‘numeric’ as primary essence of all things. In this system, ‘numeric’ stands for concept of ‘form’, which has been developed into modern science characterized by quantifiable law of nature, experimental attitude, and clarity of mathematical evidence. On the other hand, in system of Yi(易), ‘numeric’ focused on describing the changes of nature. It included concept of ‘ideal behavior’ as a part of the universe. Through this comparison, it would be found that scientific thought of Yi(易) wasn't damaged by cultural character, but already implied the character in its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