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退溪의 敬 공부 고찰

        신창호,이동윤,홍기표 동양고전학회 2010 東洋古典硏究 Vol.39 No.-

        퇴계 철학의 핵심은 경(敬)이다. 퇴계를 비롯한 동아시아 성리학자들에게서 ‘경’ 공부는 일상생활의 모든 차원에서 조심하는 태도를 기르는 작업이다. 이는 삶의 전반적인 일 처리의 측면에서 진정성을 갖고 노력할 것을 강조하며, 마음을 다잡고 긴장의 끈을 놓지 않는 일종의 주의(注意)와도 통한다. 그것은 유교의 궁극적인 공부로 연결된다. 퇴계는 「경재잠도」에서 경(敬)을 성학(聖學)의 처음과 끝이 된다고 언급하며 자신의 학문이 유교의 전통에 의거하고 있음을 밝혔다. 본고는 이러한 퇴계의 사유를 경(敬) 공부의 측면에서 재해석한 것이다. 경(敬)은 성(誠)과 더불어 성리학의 시종(始終), 이른 바 알파와 오메가이다. 성은 우주의 본질로서 인간 수양의 근거가 되고, 인간은 이 근거를 바탕으로 경 경부를 실천하며 자기실현과 완성을 도모한다. 조선의 유학자들은 보편적으로 성과 경을 통해 삶을 영위하고, 공부를 심화해 나갔다. 본고에서는 유교에서 제시하는 경(敬)의 의미를 검토하고, 퇴계가 강조하는 경의 의미맥락을 성찰한 후, 그것이 삶에서 어떤 의미를 갖는지 고찰하였다. 물론 퇴계가 주장하는 경(敬)도 그 내용상 정주학자(程朱學者)들의 주장과 다르지 않다. 중요한 것은 퇴계의 사상이 사유에 머무르지 않고 실천적 특징을 지닌다는 점이다. 무엇보다도 일상에서 자세를 가다듬고 마음을 엄숙하게 가지는 정제엄숙(整齊嚴肅)을 제일 먼저 내세우고 있다는 점에서 그렇다. 그 다음으로 자주적인 의식의 각성을 강조하였는데, 이는 양심의 자각과 통하며 도덕적 자아의 구현으로 이어진다. 요컨대 퇴계는 경(敬)의 역할을 심학(心學), 즉 마음공부의 차원에서 이해하였다. 그리고 의복과 용모를 가지런히 하여 단정한 몸가짐을 갖고 행동과 태도를 엄숙히 하며 예절을 지키는 정제엄숙의 자세와 의식의 각성을 통해 경을 최고의 실천 덕목으로 자리매김한다. 이런 점에서 퇴계는 경(敬)의 실천학을 구현하였다. The core of philosophy of Toe Gye(退溪) is Gyeong(敬). The learning of Gyeong from neo-confucians including Toe Gye is an careful attitude in all levels of daily life. It emphasis endeavoring faithfully in the side of dealing with most of living things. This is a kind of caution with regulating oneself very carefully. It is linked to the final goal of confucianism. The purpose of confucianism is simply not theoretical composition such as treatise of human nature and universal essentialism but practice of governing and education, cultivating realized upon these. Toe Gye announced that his study is rooted in tradition of confucianism saying that Gyeong is the first and last one of sage learning(聖學, Seong Hak) in Kyung Jae Jam Do(敬齋箴圖). This paper re-interprets the thought of Toe Gye in the side of learning. Gyeong with Seong(誠) is the first and last one, alpha and omega, in neo-confucian. Seong is essential of universe which roots on cultivating human beings. Human beings endeavor self-realization and perfection practicing about learning Gyeong upon this theory. Neo-Confucians of Joseon dynasty generally deepen learning and manage life through Seong and Gyeong. This study reviews the meaning of Gyeong showed in confucianism, reflects the meaning of context of Gyeong, and considers what meaning it has in life. Above all, Gyeong of Toe Gye keeps practical character. First, it is to be solemn mind and calm oneself in daily life(整齊嚴肅, Jeong Jae Um Suk). Second, it emphasizes awakening of self-consciousness. This leads to awakening of conscience. Third, it is realization of ethical self. In the final analysis, Toe Gye understood the role of Gyeong in the level of learning for mind(心學, Simhak). Gyeong is placed in the best practical virtue through awakening of consciousness and attitude of solemn mind, calm oneself, and keeping manner in daily life which is neatly attired and prudent to one's conduct. As this point, Toe Gye realized practical learning of Gyeong.

      • KCI등재

        "경(經)" 개념의 성립과 경서화(經書化) 과정

        김경천 중국어문연구회 2011 中國語文論叢 Vol.0 No.49

        這篇文章是要探討儒家所謂的"經"這一詞通過즘마樣的過程最最終得以代表經典古籍的。其結論如下。 1。"經"的原義是織布上的縱線,不過因爲縱線在織布過程中一被掛起來就不必나動,所以"經"就有了"常"的引申義。 2。"經"的引伸義"常"再引申爲"法","準則","綱紀"的意思。 3。到了戰國後期,"經"往往用來表達"細目","細目"的意思。 4。到了戰國後期,出現了些以"經"爲題目的著作,例如≪墨子≫中的<經上>·<經下>·<經說上>·<經說下>,≪孝經≫,≪管子≫經言。在這裡"經"的意思不是某種書,而是"法","準則","綱紀"或是"細目","細目"。 5。戰國諸子百家以"經"做題目的著作可以表示新的著述體裁之出現。其特征就是第一是都是個人創作的,第二是都把內容集中在一定的主題,第三是各個句子采取命題的形式,內容則是有原理性的。 6。儒家援引諸子百家的"經"槪念,將六種核心古籍稱作"六經"。 7。儒家"六經"本來不符合"經"的著述體裁,但儒家的這樣決定意味著他們要把六經看做儒家思想的淵源。以後,"六經"變成爲具有權威性和神聖性的尊崇對象,儒家經學從此就開始了。對六經的這樣看法改變不能不算是儒學史上一個重要環節。

      • KCI등재

        조선 후기 경아전(京衙前) 서리(書吏) 가계 사례 연구:신득린(申得麟)(1734~?) 가계

        김두헌 ( Doo Hean Kim ) 한국고문서학회 2013 古文書硏究 Vol.42 No.-

        본고에서는 申得麟 가계 출신들이 남긴 30장의 준호구를 주된 연구 자료로 사용하여, 이 가계의 경아전 서리 가계로 들어서기 직전의 신분, 경아전 서리 세전 시기, 가계 기록 편찬 여부, 혼인 양상, 문무 관직 진출과 이로 인한 신분 상승 여부 등을 탐구하였다. 그 결과, 이 가계가 영·정조 연간에 장악원 전악에서 경아전 서리로 직역을 전환하였다는 것, 이 가계에서 경아전 서리를 세전한 시기가 18세기 말이나 19세 초 무렵이었다는 것, 이 가계에서는 조선시대에 가계기록을 편찬하지 않았다는 것, 이 가계 출신들은 주로 같은 경아전 서리 출신들과 혼인을 하였다는 것, 이 가계 출신들 중에 문무 관직이나 官階에 진출한 자들이 있었지만 그렇다고 하여 이들이 양반으로 신분 상승하지는 못하였다는 것 등을 확인 또는 추정하였다. 그리고 이상의 연구 결과를 근거로, 경아전 서리 가계에서 경아전 서리를 세전하기 시작한 시기가 각 가계마다 달랐다는 것, 경아전 서리는 기술직 중인과 다른 신분으로 존재하였으며 이들의 사회 신분적 지위는 기술직 중인에 비해 낮았다는 것, 경아전 서리들은 주로 같은 신분끼리 신분 내 혼인을 하였다는 것, 영·정조 연간에 경아전 서리, 장악원 전악, 시전 상인 중에 사회 신분적 지위가 같은 부류들이 상당 수 존재하였다는 것 등을 유추하였다. 아울러 조선후기 사회가 능력과 명분을 동시에 중시한 곧, 유교의 인본주의와 성리학의 명분론이라는 두 개의 사회 이념이 현실에서 적절하게 융합, 적용된 사회였다고 판단하였다. This paper studied on the Sin Dug-Lin(申得麟, 1734~?)`s lineage by analyzing their thirty-page JunHoGu(準戶口).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followings: the status of Sin Dug-Lin`s lineage before entering GyeongAJeon(京衙前) Seoli(書吏) was JangAgWon(掌樂院) JeonAg(典樂) during the late 18th century; Sin Dug-Lin was JangAgWon(掌樂院) JeonAg(典樂) and his descents was GyeongAJeon(京衙前) Seoli(書吏); This lineage started to hand down Seoli posts(書吏職)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in the late 18th century or the early 19th centry. From that time on, the family married with other Seoli family members. They didn`t compiled records of their family lineage such as JogBo(族譜) during the Choson(朝鮮) dynasty. Although there was a few those whom proceeded the official post in this family, their status can`t mobile upward to YangBan(兩班). From the above facts, following explanations on the GyeongAJeon Seoli society can be possible: first, the periods of keeping Seoli posts(書吏職)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in the GyeongAJeon Seoli society was different from each families. Seconds, GyeongAJeon Seoli was distinctive themselves from technical post of JungIn(技術職 中人) and their social status was a little bit lower than technical post of JungIn. Thirds, the marriage of the GyeongAJeon Seoli was made only among themselves. Forth, there were similar social ranks such as GyeongAJeon(京衙前) Seoli(書吏), the JangAgWon(掌樂院), JeonAg(典樂), and the SiJeon(市廛) merchants during the YungJo(英祖)-JeongJo(正祖) peorids. And finally, in the Choson(朝鮮) society both ability and MyungBun(名分) were high esteemed by two confucian ideas in the reality.

      • KCI등재

        일제의 무단통치와 경학원

        정일균 ( Ii Guun Jeong ) 한국사회사학회 2007 사회와 역사 Vol.0 No.76

        이 논문은 일제 무단통치기의 경학원(經學院)의 제도적 연원, 그 제도적 구성과 주요사업, 경학원의 기능적 성격을 중심으로 그 주요내용을 소개하고 있다. 특히 경학원은 애초 “經學을 講究□ 며 風敎德化□ 裨補□을 目的”으로 하는 ’교화기관’ 을 표방하며 출범함으로써 조선총독부가 초기 식민체제를 구성하는 양대 통치기구, 즉 ‘형정(刑政)’과 ‘교화(敎化)’의 지배틀을 완비하는 데 있어 후자의 측면을 대표하였다. 이로써 조선총독부는 경학원을 통하여 ‘군사지배’로서의 무단통치의 본질에 대한 호도, 대한국(對韓國) 식민지 교육방침의 관철, ‘식민주의적 담론’의 생산 및 유포를 통한 식민 헤게모니의 창출, 식민초기 지방에 대한 통제력 및 치안의 확보 등에 실로 다대한 도움을 받았다. 이처럼 경학원은 일제의 대표적인’이데올로기적 통치기구’로기 초기 식민지배체제의 구축에 있어 일개 교화기관의 범위를 벗어나는 복합적 기능을 수행하였다. 이러한 점은 경학원이 결코 종래의 성균관을 단순히 관습적으로 계승한 소치가 아니라, 처음부터 조선총독부의 식민통치적 구상과의 긴밀한 관련성 하에서 완전히 새롭고도 치밀하개 구성된‘발명품’임을 의미하는바, 이는 또한 경학원이 총독의 특별‘직속기구’로서 출발했던 사실을 통해서도 잘 간취할 수 있겠다. 결국 이러한 사실은 일제의 경학원을 단순히 성균관을 계승한 기구로 인식하는 피상적 견해나, 일제의 무단통치를 단지‘억압적 통치기구’에만 의존한 폭력적 지배체제로 설명하는 일면적 입장에 대한 근본적 재고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다 할 것이다. In this paper, I introduce the institutional origin, the organizations, the main activities and the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Gyeonghakwon(經學院, The Academy of Confucian Classics Studies) in Korea during the military colonial rule of Japanese imperialism. Especially, Gyeonghakwon which at the outset was established as an ‘enlightenment apparatus’ by the Joseon government-general(朝鮮總督府) had taken important roles in putting a varnish on the military colonial rule, achieving colonial educational policy that aimed at obscuring Korean people, creating colonial hegemony through the production and dissemination of ‘colonial discourses’ and securing a bridgehead for public security and control over districts in Korea during the early Japanese colonial period. As mentioned above, Gyeonghakwon that was a representative ‘ideological domination apparatus’ of the Joseon government-general had carried out multiple functions which exceeded those of a simple enlightenment organ in the early Japanese colonial period. This means that Gyeonghakwon was a brand-new, finely worked-out ‘contrivance’ in relevance to the early colonial domination plans of the Joseon government-general rather than a result of inheriting Seonggyungwan(成均館, The National Confucian College of Joseon Dynasty) mechanically. And this can be supported by the fact that from the first Gyeonghakwon started as ‘a special organ’ belonging directly to the Joseon governor-general as well. In conclusion, all these facts imply that it is necessary to reconsider fundamentally a superficial view which recognizes Gyeonghakwon as an organ inheriting Seonggyungwan mechanically, or a one-sided view which perceives the military colonial rule of Japanese imperialism as a pure violent domination system only depending upon the ‘repressive domination apparatuses’ of the Joseon government-general.

      • KCI등재

        20세기 초 일제협력유림의 경학원 활동

        정욱재(Jung Uk-jae) 고려사학회 2014 한국사학보 Vol.- No.56

        이 글은 일제강점기에 경학원 直員으로부터 시작하여 부제학까지 올랐던 이대영(1874~1950)의 활동을 살펴보았다. 그는 19세기 후반에 태어나 20세기 중반까지 살았던, 우리 역사의 격변기를 겪은 인물이었다. 일본제국주의가 대한제국을 강점한 후, 이대영은 일제가 성균관을 폐지하고 설립한 경학원에 처음부터 참여하였다. 경학원은 조선총독부가 성균관을 폐지하고 총독부 정책과 지배이념을 홍보하는 것을 주된 기능으로 하여 설립한 조선총독부 직속기관이었다. 이대영은 1911년 9월 8일부터 1921년 7월 30일까지 경학원의 직제 중에서 가장 말단인 直員으로 근무하였다. 그 후 공로를 조선총독부에게 인정받아 그는 1921년 7월31일에 경학원 사성으로 승진하였으며 1936년 1월 17일까지 직무를 수행하였다. 경학원 사성은 경학원의 실질적인 업무를 담당하는 중추적인 직책으로 이대영은 『경학원잡지』 편찬주임을 맡았다. 아울러 그는 조선 유림의 동향을 관찰ㆍ보고하고 유교의 보편적 논리를 이용하여 일제의 식민통치를 합리화하는 강연도 하였다. 이대영은 그의 나이 63세인 1936년 1월 18일 경학원 부제학으로 승진하였고 동시에 명륜학원 강사까지 겸임하였다. 경학원 관계자 중에서 경학원 직원부터 시작하여 경학원 부제학까지 올라간 사람은 이대영이 유일하였다. 요컨대 이대영은 경학원 설립 때부터 일제강점기 말엽까지 경학원 말단인 직원에서 시작하여 경학원 이인자인 부제학까지 올랐던, 일제강점기 경학원의 역사와 함께 한 인물이었다. 그는 비록 당대의 일급 일제협력유림처럼 두드러진 활동을 남기지 못 하였지만 경학원의 직원으로서 일제의 식민통치와 침략전쟁에 충실히 협력을 다하였다. Yi Dae-young has witnessed the turmoil of Korean history until his death in mid-20<SUP>th</SUP> century. Born in late 19th century, he participated as ascribe to a pro-Japanese society of the Daedong Hakhoe(大東學會). Since then Yi showed his pro-Japanese tendency that was most evident when he joined the Japan Tourist Party hosted by a newspaper company, The Kyungsung Ilbo(京城日報) in 1909. After the Japanese imperial government occupied the Daehan Empire, Yi Dae-young joined the Kyunghakwon(經學院), a scholary organization that the Japanese government established after abolishing the Seonggyungwan. Kyunghakwon was a direct institution for promoting policies and ruling ideology of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in Korea. In such organization, Yi worked as a lowest ranking officer of Jikwon(直員) from September 8, 1911 to July 30<SUP>th</SUP> 1921. Then he was promoted to the Saseong(司成) of the organization on July 31<SUP>th</SUP> 1921, after his contributions were recognized by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and performed his duty until January 17<SUP>th</SUP> 1936. Yi’s job, the Saseong, The Saseong is a critical job that performed actual works in the organization. As the Saseong, Yi took the role of chief editor of the 『Kyunghakwon Japji(經學院雜誌)』, and at the same time, not only monitored status of traditional scholars, the Yulim, and gave several lectures that rationalized Japanese colonization using general logic of the Confucism. On January 18th 1936, Yi Dae-young was not only promoted to Bujehak(副提學) of the Kyunghakwon, but also began to give lectures in the Myungryoon Hakwon(明倫學院), and became the only officer who became the lecturer. Until his retirement in April 26th 1943, he cooperated to invasion and colonial policies of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for 32 years.

      • KCI등재

        일제강점기 經學院 講士의 위상과 활동

        정욱재 호남사학회 2022 역사학연구 Vol.86 No.-

        This study gave an overview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lection and activity of the instructors (Gangas) of Kyunghagwo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by period. The instructor of Kyunghagwon was an honorary post that was not included in the official office organization of Kyunghagwon. And yet,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paid special attention to the selection of the instructors, attaching importance to those of Kyunghagwon. In the 1910s-1920s, the instructors of Kyunghagwon were selected unilaterally by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and those selected were figures with high reputation and study, who got strong persuasion and conciliation from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Some strongly resisted while others finally yielded and participated, some of whom were disciples of famous schools through the theory of Wijungchugsa (Defending Orthodoxy and Heterodoxy), and there were even figures who had done the independence movement. Since the 1930s, even the figures who could not be considered Confucian scholars were selected as the instructors of Kyunghagwon, and this flow was further strengthened in the 1940s, which was a state of war. The instructor of Kyunghagwon was an honorary position, who did not receive monthly pay except for annual allowance and travel expenses. In addition, until the 1930s, as the term in office was not prescribed for the instructor of Kyunghagwon, it was a tenured post unless the instructor resigned. Since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favorably treated the instructors of Kyunghagwon, those whose ability was recognized could become Kyunghagwon Boojehak and Daejehak, which belonged to its official office organization. Some instructors of Kyunghagwon were appointed as Jungchuwon officials, or Jungchuwon officials were appointed as the instructors of Kyunghagwon. Accordingly, the instructors of Kyunghagwon had a status that could not be regarded as a simple honorary position. The main missions of the instructors of Kyunghagwon were holding Seokjeonje, having a lecturing tour, and contributing poetry and prose, which continued throughout the Japanese colonial era. Especially, the lecturing tour of the instructors of Kyunghagwon was mostly concerned with the contents to justify and praise Japanese colonial rule, using the doctrine of Confucianism, which sometimes were published in Kyunghagwon Magazine. In addition, the instructors of Kyunghagwon acted as a mere tool of Japanese colonial rule, e.g. composing Sino-Korean poetry praising the Japanese emperor and the Japanese imperialist war of aggression. Especially, entering the 1940s, they coerced colonial Korean people into a voluntary human and material sacrifice for the Japanese invasion war, advocating the so-called ‘Whangdo Confucianism.’ Following ‘Whangdo Confucianism,’ they broke off from the high-level Confucian ideas achieved in the previous age while contributing to leaving the evil of cutting off from the developmental flow of Korean Confucian ideas. 이 글은 일제강점기 경학원 강사(講士)의 선정과 시기별 활동의 특징 등을 개괄적으로 살펴보았다. 경학원 강사는 경학원의 공식적인 직제에 포함되지 않은 명예직이었다. 그러나 조선총독부는 경학원 강사를 중요하게 생각하여 강사의 선정에 특별히 주의를 기울였다. 1910년대~1920년대 경학원 강사는 조선총독부에 의해 일방적으로 선정되었고, 선정된 사람들은 명망과 학문이 높은 인물들로 조선총독부의 강력한 설득과 회유를 받았다. 이를 강하게 저항한 사람이 있는가 하면 결국 굴복하여 참여한 사람들도 있었는데, 그들 중에는 위정척사론으로 유명한 학파의 제자와 독립운동을 하던 인물도 있었다. 1930년대부터는 유림이라 볼 수 없는 인물들도 경학원 강사로 선정되었고, 이 흐름은 전세체제기인 1940년대에 더욱 강화되었다. 경학원 강사는 명예직으로 월급은 없고 연수당과 여비만 지원받았다. 또한 1930년대까지 경학원 강사의 임기는 규정되지 않아 본인이 스스로 사임하지 않은 이상 사실상 종신직이었다. 조선총독부는 경학원 강사를 우대하여 능력을 인정받은 경학원 강사는 공식 직제인 경학원 부제학•대제학이 될 수 있었다. 일부 경학원 강사는 중추원 참의로 임명되거나 중추원 참의가 경학원 강사로 임명되는 등 경학원 강사는 단순 명예직으로 치부할 수 없는 위상을 가지고 있었다. 경학원 강사의 주 임무는 석전제 거행•순회강연•시문 기고로 일제강점기 내내 변함없이 지속되었다. 특히 경학원 강사의 순회강연은 유교의 교리를 이용하여 일제의 식민통치를 정당화하고 찬양하는 내용이 대부분이며, 그 내용이 경학원잡지 등에 실리기도 하였다. 또한 경학원 강사는 일본 천황과 일제의 침략전쟁 등을 찬양하는 한시를 짓는 등 일제의 주구로 활동하였다. 특히 1940년대에 이르러서는 이른바 ‘황도유학’을 주창하여 식민지 조선인에게 일제의 침략전쟁을 위해 자발적으로 인적•물적 희생을 하라고 강요하였다. 그들은 ‘황도유학’을 추종하여 전시대에 이룩한 높은 수준의 유학사상을 단절시키는 한편, 한국 유학사상의 발전적 흐름을 끊는 폐해를 남기는 데 일조하였다.

      • KCI등재

        景中情이 지향하는 境의 세계 : 정완영론 A View on Jeong Wan-yeong

        이정환 청람어문교육학회 2004 청람어문교육 Vol.28 No.-

        정완영의 시조문학을 ‘景中情이 지향하는 境의 세계’로 보고 그것을 어떻게 구체적으로 구현하고 있는가 하는 점에 논의의 초점을 맞추어 살펴보았다. 그의 시조는 景 속에 情을, 情 속에 景을 담고 있어서 실제적으로 景과 情의 엄밀한 경계를 긋기는 어렵다. 景情의 묘한 교직을 통해서 새로운 이미지 즉 境에 가 닿은 것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 이다. 그는 시조이론서『시조창작법』에서 3장 6구 12음보라는 정형의 틀을 가진 시조에서도 그 핵심이 되는 종장에 그 境이 있다고 보았지만 다른 장에서도 그러한 예는 찾아 볼 수 있었다. 그가 끊임없이 추구한 세계는 경중정의 지향을 통해 새로운 이미지 창출이 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그것은 한국인의 정서에 깊이 뿌리내린 것이기도 하다. 그의 작품에서는 자연과 교감하는 정서의 깊은 호흡을 감지할 수 있고, 근원적인 향수와 생명의 久遠性을 읽을 수 있다. 즉 생명에 대한 경이가 절묘한 비유와 가락에 실려 높은 문학성을 획득한 세계를 구축해 온 것이다. 이것은 자연과 사물에 대해 새로 보고 느끼기와 그 형상화 작업에 부단한 천착을 해왔기 때문에 가능했을 것이다. The sijo world of Jeong Wan-yeong is concerned with the world of Kyeong(景) highlighted by Mind in Landscape. This study is designed to take a look at how this comes to be materialized. It is hard to draw a line between Kyeong(landscape) and Jeong(mind) for his poems have landscape in the mind and have the mind reflected in nature. New images, or Kyeong(境) can be said to be created with the exquisite combination of landscape (景) and mind(情). According to his theory on sijo, "How to Create Sijo", the regular forms of the Korean poem, sijo had Kyeong(境) at the end of the last chapter, which could be seen in other chapters. He constantly looked for the creation of new images through pursuing Mind in Landscape(景中情), which takes a deep root in the spirit of the Kioreans. His works enable us to perceive harmony and communion with nature, original nostalgia, and the permanence of life. His works were filled with the wonders of life with the help of delicate metaphor and rhythm. This seems to have been made possible because of a new and fresh look at nature and things along with the constant efforts of the poet.

      • KCI등재

        景을 통한 情의 표출 방식에 따른 漢詩 해석

        구본현 국문학회 2013 국문학연구 Vol.0 No.28

        Examining tendency of researching into classical Chinese poetry[漢詩] so far, there are many cases of analyzing them by referring to the evaluation in the contemporary generation or future generation and to a traditionally classical poetic theory. By the way, the terms, which were used in criticism or poetic theory of the past, are not definite mostly in a concept or fail to be systematic in logic. Thus, this isn't easy to be utilized positively. This study was prepared under the aim of specifically analyzing significance and aesthetic sense of classical Chinese poetry by using Jeong[情] and Gyeong[景], which had been used as an important conceptual term in the traditional poetic theory of the past. ‘Gyeong’ signifies a paragraph that is composed of objective description on the sensually accepted object. ‘Jeong’ indicates a paragraph of containing a poet's emotion or thought. Gyeong becomes a cause of stimulating Jeong, too. Also, it becomes a result that a poet selected subjectively, too, sometimes according to Jeong that a poet has. Accordingly, Gyeong, which was shown in classical Chinese poetry, has very close relationship with Jeong. In case of being classical Chinese poetry in the form that Jeong and Gyeong are combined, the ultimate meaning of Gyeong needs to be analyzed on the basis of a character that Jeong has. In the face of being very diverse in objects and aspects available for being experiences sensibly, a poet needs to be always mindful of needing to making it poem by selecting only specific object and aspect. A poet needs to form Gyeong so that Jeong can be signified. Thus, examining which poetic diction was chosen and how Uigyeong[意境] was organized leads to being able to analyze a meaning that Gyeong was implied. In the meantime, a poet also uses a character as symbol and Jeongo[典故, authentic precedents] that an object has. Community of sharing spirit and culture gives a peculiar meaning to one object, thereby tending to secure internal homogeneity. Classical Chinese poetry is a branch of being well revealed this characteristic. Thus, there is a need of examining whether a thing or a case of forming Gyeong has a symbolic meaning or Jeongo-based character. Gyeong, which uses a symbol or was utilized Yongsa[用事], cannot help certainly suggesting Jeong behind it. Symbol and Yongsa are a rhetoric for making a meaning of a work, namely, the theme, more implicitly. Hence, motive and background of creation are very important to be grasped. Examining the poetic theme and the associated data closely leads to obtaining information on a creative situation. A meaning of Jeong, which is hidden in it, can be understood only when needing to analyze characteristic of Gyeong based on this. 지금까지의 한시 연구 경향을 살펴보면, 당대나 후대의 평가 및 전통적인 詩論을 참조하여 한시를 해석하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과거의 비평이나 시론에 사용된 용어들은 대부분 개념이 명확하지 않거나 논리가 체계적이지 못하여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기가 쉽지 않다. 본고의 목적은 과거의 전통적인 시론에서 중요한 용어로 사용되었던 ‘情’과 ‘景’의 형상화 방식을 고찰하는 것이다. 景은 감각으로 수용된 대상에 대한 객관적 서술로 이루어진 구절을 가리키며, 情은 시인의 감정이나 생각을 담은 구절을 가리킨다. 景은 情을 불러일으키는 원인이 되기도 하며, 때로는 情에 따라 시인이 주체적으로 선택한 결과가 되기도 한다. 따라서 한시 속에 나타난 景은 情과 밀접한 관련을 지닌다. 情과 景이 결합된 형태의 한시일 경우, 情이 지니고 있는 성격을 기준으로 삼아 景이 함축하고 있는 의미를 해석해야 한다. 감각으로 경험할 수 있는 대상과 측면이 매우 다양함에도 불구하고 시인은 특정한 대상과 측면만을 선택하여 詩化한다는 것을 염두에 두어야 하는 것이다. 시인은 情을 함축할 수 있도록 景을 구성해야 하므로, 어떤 시어를 선택하였고 어떻게 意境을 조직하였는지 살펴본다면 景이 함축한 의미를 해석해낼 수 있다. 한편, 시인은 대상이 지닌 상징성과 典故로서의 성격을 이용하기도 한다. 정신과 문화를 공유하는 공동체는 하나의 대상에 고유한 의미를 부여함으로써 내부적 동질성을 확보하려는 경향이 있다. 한시는 이러한 특징이 잘 드러나는 갈래이므로, 景을 이루고 있는 사물이나 사건이 상징적 의미나 典故로서의 성격을 지니고 있는지 살펴보아야 한다. 상징을 이용하거나 用事가 활용된 景은 반드시 그 이면에 情을 함축할 수밖에 없다. 상징과 용사는 작품의 의미, 즉 주제를 보다 함축적으로 만들기 위한 수사법이므로 창작의 동기 및 배경을 파악하는 것도 매우 중요하다. 시의 제목 및 연관 자료를 면밀하게 검토함으로써 창작 상황에 대한 정보를 얻어내고, 이를 기준으로 삼아 景의 특징을 분석해야만 그 속에 감추어진 情의 의미를 파악할 수 있다.

      • KCI등재

        『주역』 「진괘(震卦)」에 담긴 경 사상 연구

        허진웅 한국동서철학회 2020 동서철학연구 Vol.0 No.96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larify the connection between Juyeok(周易) ‘Jin trigram(「震卦」)’ and ‘Gyeong(敬)’ theory. ‘Gyeong’ is a core concept that is indispensable in Confucian self-cultivation theory. ‘Gyeong’ presides over the human mind and regulates the body, penetrating the beginning and end of self-cultivation. The final goal of this ‘Gyeong’ is to bring a human being to the sage and harmonize the community. Fear is the origin mental attitude of the human that enables the cultivation of ‘Gyeong’. It means moral fear, not just fear. Human beings look back on their minds and behaviors with moral fear, and always guard against falling in the wrong direction. The Jin trigram of Juyeok speaks about the fear caused by thunder. Thunder is a natural phenomenon that threatens humans. Humans reflect on themselves by substituting the feelings of fear through natural phenomena with moral fear. Thunder’s role is to arouse human moral fear. As such, ‘Gyeong(敬)’ theory and ‘Jin trigram(「震卦」)’ use the common medium of 'fear' as the starting point for self-cultivation. If you follow the stern relationship, you will experience fear due to thunder, and keeping that fear will be the cultivation of ‘Gyeong’. This shows that awe of natural phenomena can be one of the causes of the cultivation of ‘Gyeong’. ‘Jin trigram’ says that the fear of thunder makes the human world peaceful. This is because the moral fear of humans cultivates human beings, and the human beings who complete the cultivation make a harmonious community. The same goes for ‘Gyeong’. ‘Gyeong’ begins with fear and careful mind, and completes self-cultivation through solemn action. And the completion of self-cultivation through the ‘Gyeong’ enables harmonious operation of human society. This is the part that confirms that ‘Jin trigram’ is the source of ‘Gyeong’ not only in terms of content, but also in the direction they are aiming for. 본 논문의 목적은 주역 「진괘(震卦)」와 경(敬) 사상의 연관성을 밝히는 것에 있다. ‘경’은 유가 수양론에 있어서 빠질 수 없는 핵심 개념이다. ‘경’은 인간의 마음을 주재하고 몸을 단속하여 수양의 처음과 끝을 관통한다. ‘경’의 최종 목적은 한 인간을 성인에 이르게 하고 공동체 사회를 조화롭게 만드는 것이다. ‘경’ 수양을 가능하게 하는 인간 본원의 마음가짐은 두려움이다. 그것은 단순한 공포심이 아닌 도덕적인 두려움을 뜻한다. 인간은 도덕적 두려움을 가지고 자신의 마음과 행동을 돌아보고, 잘못된 방향으로 빠지지 않도록 늘 경계한다. 주역의 진괘는 우레로 인해 발생하는 두려움에 대해서 말한다. 우레는 인간에게 위협적인 자연현상이다. 인간은 자연현상을 통해 느낀 공포의 감정을 도덕적 두려움으로 치환하여 자신을 반성한다. 우레가 인간의 도덕적 두려움을 일깨우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처럼 경 사상과 「진괘」는 ‘두려움’이라는 공통적인 매개체를 수양의 출발점으로 삼는다. 그 선후 관계를 따지면 우레로 인한 두려움이 발생하고, 그 두려움을 지켜나가는 것이 경의 수양이 된다. 이것은 자연현상에 대한 경외심이 경 수양을 가능하게 하는 원인 중 하나가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진괘」는 우레의 두려움이 인간 세상을 태평하게 만든다고 말한다. 이것은 인간의 도덕적 두려움이 인간을 수양하게 하고, 수양을 완성한 인간들이 조화로운 공동체를 형성하기 때문이다. 경 사상 또한 마찬가지이다. 경은 두려움과 삼가는 마음으로 시작되며, 엄숙한 행동을 통해 수양을 완성한다. 그리고 경을 통한 수양의 완성은 인간 사회의 조화로운 운용을 가능하게 한다. 이것은 「진괘」의 괘·효사가 내용적 측면뿐 아니라 그 지향하는 부분에서도 경 사상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는 부분이다.

      • KCI등재

        성리학의 경(敬)공부가 갖는 특수성에 관하여

        김기현(Kim Kee hyeon)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12 도덕윤리과교육 Vol.- No.37

        경(敬)은 공자 이래 유교의 윤리사상에서 어느 시대에나 중요시되어 왔다. 특히 송대(宋代) 에 성리학이 출현한 이후로는 필수적인 공부가 되었는데, 조선조의 윤리사상에서는 퇴계 이 황을 위시하여 남명 조식 및 율곡 이이에 이르기까지 주요 윤리사상가들 중에 경을 중요시하 지 않은 이가 거의 없다. 이 글에서는 유교 윤리사상의 경을 덕목으로서의 경과 공부방법으로서의 경으로 구분하고 서 중국과 한국의 윤리사상 역사에서 하나의 전통이 되어 있는 덕목으로서의 경과 북송(北 宋)시대 정(程)씨 형제에게서 시작된 공부방법으로서의 경을 종합적으로 조명하고자 한다. 공부방법으로서의 경은 성리학 이전에는 없었고, 성리학 이후에도 사실상 오직 성리학에서 만 필수적인 공부방법이 되었을 뿐 다른 체계에서는 공부방법이 되지 않았다. 또한 이것을 처음 제시한 정이(程頤)의 경공부론도 그 문하에서는 뚜렷하게 전승되지는 못하다가 남송의 주희(朱熹)에 이르러서야 비로소 확실하게 성리학의 공부방법으로 확정된다. 향후의 도덕윤리 교육에서는 이 두 가지 경에 대하여 어느 것을 어떻게 연구하고 어떻게 교육에 활용할 것인 지를 다 함께 논구해야 하겠다. Jing has been a noteworthy concept in Confucian ethics ever since Confucius‘ age. Especially in Neo-Confucianism of the Sung Dynasty, it became essential in Neo-Confucian moral self-cultivation. And it was considered very important by all the major Neo-Confucians of the Chosun Dynasty, such as Lee-T’oegye, Cho-Nammyeong, and Lee-Yulgok. Dividing Jing into the categories of virtue and a method of self-cultivation, this paper tries to shed light on Jing, which is an important virtue in the tradition of Chinese and Korean ethics and also has been a method of self-cultivation, which the Cheng brothers developed during the North-Sung Dynasty. There was no Jing as a method of self-cultivation before Neo-Confucianism arose. Even after the emergence of Neo-Confucianism, Jing, as a method of self-cultivation, did not belong to any Confucian thoughts, but was established as an indispensable part only present in Neo-Confucianism. And the theory of Jing proposed by the Cheng brothers scarcely passed from the masters to their disciples: it was determined by Chu Hsi of the South-Sung Dynasty. The author thinks that co-operation for ethics education is necessary to the study and use of these two kinds of J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