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터 미디어 공간 기반의 감각행위 인터랙션 응답에 의한 상호응답반응 연구

        김일석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24 조형미디어학 Vol.27 No.1

        디지털 환경은 미디어의 인터랙션으로 다감각의 상호반응이 가능한 인터 미디어를 만든다. 인터 미디어에 의해 공간디자인은 물리적 상호반응체계를 넘어 디지털 정보와 전자적인 상호반응양상을 만들고 있다. 본 연구는 인터 미디어 공간의 상호작용에 의해 인터 미디어와 상호반응자 사이의 상호응답의 요인을 인터 미디어 공간의 상호작용 응답반응에 대하여 논증한다. 연구는 인터 미디어에 의해 나타나는 상호반응의 단계를 고찰하고 이에 따른 상호응답의 요인을 분석하여, 인터 미디어에 의한 공간디자인의 상호작용 응답반응을 구분한다. 본 연구는 인터 미디어가 공간에 적용되면서 상호작용과 상호응답의 요인을 파악하고, 상호응답의 요인으로 나타나는 공간디자인의 상호작용 응답반응 형식을 구분한다. 분석은 장치적인 인터 미디어로 매개된 공간을 감각 응답반응, 정보 응답반응, 행위 응답반응으로 구분하여 분석한다. 인터 미디어 공간이 감각상호응답, 인지상호응답, 행위상호응답의 요인이 있으며, 인터 미디어 공간이 감각응답반응, 정보응답반응, 행위응답반응으로 체계화되어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연구에 의하면, 인터 미디어 공간은 디지털 테크놀러지에 의해 상호작용이 일어나는 스페이스다. 이러한 인터 미디어 공간은 감각상호응답, 인지상호응답, 행위상호응답의 요인을 기반으로 감각적 응답반응, 정보적 응답반응, 행위적 응답반응의 형식을 갖는 공간임을 확인하였다. The digital environment create inter-media where multi-sensory interaction is possible through media interaction. Through inter-media, spatial design is creating digital information and electronic interaction patterns beyond the physical interaction system of multiple senses. This study demonstrates the interactive interresponse of inter-media experience space through the acceptance of the equivalence between inter-media and mutual responders generated by the interaction format of inter-media space design. Inter-media is generated by the interaction form of media inter-space design. Therefore, by examining the stage of mutual response shown by the inter-media is analyzing the factors of mutual response accordingly. The equivalent factor is analyzed to distinguish to the interaction response factors of space design by inter-media. This study classify the interaction response factors of spatial design by the inter-media. This study identifies the inter-media factors of sensorial interaction and equivalent inter-media factors as inter-media is applied to inter-media space. The inter-media space are centered on equivalent inter-media factors of sensorial interaction. For this purpose, inter-mediated space is divided into the sensory response, informational response, and behavioral response. This study was confirmed that the inter-media space is a inter-media factor of behavioral equivalence, sensory equivalence, and cognitive equivalence. The inter-media space is systematized as the sensory inter-response, informational inter-response, and behavioral inter-response by three interaction factors. This inter-media space based on factors of behavioral equivalence, sensory equivalence, and cognitive equivalence.

      • KCI등재후보

        인(仁)의 개념에 대한 인권법적 접근 - 논어를 중심으로 -

        채형복 경북대학교 법학연구원 2022 법학논고 Vol.- No.77

        Benevolence(仁) is the basic ideology and core concept for understanding Confucianism. In the Analects, Confucius puts forth the principle of humanity (人倫) as a principle to be followed in life, and takes benevolence as its ultimate goal. In a word, Benevolence is a core theme that runs through the entire Analects, and the noble man(君子) is the subject of its practice. However, the concept of benevolence is not clearly revealed in the Analects, and Confucius never directly mentioned benevolence. In modern society, Confucianism is regarded as a pre-modern ideology. In particular, the lack of basic human rights is cited as the main basis for criticizing Confucianism. Human rights are a product of modern European political thought. Since Confucius was born and worked during the Warring States period, it is also true that Confucianism does not contain human rights ideology in the modern sense. However, this position is too difficult to represent criticism of Confucianism. Rather, it is necessary to actively accept this criticism in order to examine the limitations of Confucianism from the point of view of human rights. In this paper, this paper, the concept of benevolence is defined from the perspective of modern human rights law, and the possibility of studying Human Rights-Confucianism is proposed. To this end, we examine the meaning of the noble man and the inferior man, who are the subjects of human rights law practice of benevolence. And we consider the four practical methods of human rights; filial piety and brotherly love(孝悌), overcome selfishness and return to the rituals(克己復禮), do the hard work first, then take care of your own profit later(先難後得), and loyalty and forgiveness(忠恕). 인(仁)은 유학 혹은 유교를 이해하는 기본이념이자 핵심 개념이다. 논어에서 공자는 사람이 살아가면서 지켜야 할 도리로 인륜(人倫)을 내세우며, 인(仁)을 그 궁극적인 지향점으로 삼고 있다. 한마디로 仁은 논어 전편을 관통하는 핵심주제이며, 그 실천 주체는 군자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논어에는 정작 仁의 개념이 명료하게 드러나 있지 않으며, 공자도 仁에 대해 한 번도 직접적으로 언급하지 않았다. 현대사회에 접어들면서 유교는 전근대적 사상으로 간주되고 있다. 특히 기본적 인권의 부재는 유교를 비판하는 주된 근거로 원용되고 있다. 인권은 근대 유럽의 정치사상의 산물이다. 공자는 춘추전국시대에 태어나 활동하였으므로 유교가 현대적 의미의 인권사상을 포함하고 있지 않은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이 입장은 유교에 대한 비판을 대변하기에는 궁색하기 그지없다. 오히려 이 비판을 적극 수용하여 인권의 관점에서 유교가 가진 한계를 검토하고, 대안을 모색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현대 인권법적 관점에서 仁을 개념 정의하고, 인권유학의 성립가능성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仁의 인권법적 실천 주체인 군자와 소인이 가지는 의미를 검토하고, 효제(孝悌), 극기복례(克己復禮)·선난후득(先難後得), 충서(忠恕)를 仁의 인권법적 실천방법으로 제시한다.

      • KCI등재

        현대자동차 사례를 통해 본 성공적 인도 시장 진출을 위한 마케팅 고려 요인에 관한 연구

        안종배(Jong Bae, Ahn) 한국경영교육학회 2020 경영교육연구 Vol.35 No.2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인도 자동차 시장에 성공적으로 진출하여 높은 성과를 거두고 있는 현대자동차의 인도 진출 마케팅 성공 요인을 파악하고 이를 기초로 한국 기업이 인도 진출시 고려해야 할 마케팅 전략 요인에 대해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현대자동차의 인도시장 진출 성공 마케팅 전략과 성공 요인이 무엇이었는지를 분석하여 한국기업의 인도 시장 진출 시 성공적 마케팅 전략의 고려 요인을 제시하기 위하여 질적 연구방법인 심층 인터뷰와 전문가 패널 서베이인 델파이 기법을 활용하였다. 전문가 패널은 인도 시장 마케팅 전문가로서 현대자동차 글로벌 마케팅 전문가, 인도 현지 광고업계 전문가, 현대자동차 인도현지 마케팅 전문가, 인도 마케팅 연구자들로 선정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에서 현대자동차의 인도 진출 마케팅 핵심 전략과 성공요인으로 마케팅기본전략, STP전략, 제품전략, 가격전략, 유통전략, 프로모션전략으로 21개 마케팅 요인이 적합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인도 진출시 고려해야 할 마케팅 고려요인도 17개 분석되었다. [연구의 시사점] 인도 진출 시 기업은 첫째, 인도 시장의 특성과 인도 소비자의 특성을 반영한 현지 맞춤형 마케팅이 매우 중요하다. 둘째, 철저한 사전 조사 분석으로 인도 현지 맞춤형 제품을 개발하여 출시해야 한다. 셋째, 초기엔 수익성보다는 대량 판매를 통해 인지도를 높이고 품질의 우수성을 알리는 것이 중요하다. 넷째, 지역 거점의 유통망과 애프터 서비스망을 확보하고 구축하는 것이 중요하다. 다섯째, 스타마케팅과 스포츠마케팅을 전개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가족 이미지를 담은 광고 마케팅이 또한 효과적이다. 그리고 현지 밀착형 사회공헌 CSR 마케팅을 전개하는 것이 중요하다.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successful factors of Hyundai Motors’ successful marketing into India and to suggest marketing strategies for Korean companies to consider in entering India. [Methodology] We used in-depth interviews and Delphi method, an expert panel survey. The panel of experts is an Indian market marketing expert who has been selected as a global marketing expert by Hyundai, a local advertising industry expert in India, a local marketing expert by Hyundai Motors, and an Indian marketing researcher. [Findings] As a key strategy and success factor for HMI’s entry into India, 21 kinds of marketing factors were found to be suitable for the successful marketing strategy, STP strategy, product strategy, price strategy, distribution strategy and promotion strategy. In addition, 17 marketing factors to consider when entering India were analyzed. [Implications] When entering India, We should consider important for local customized marketing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dian market, customized products in India, mass sales price policy rather than profitability, establishing regional distribution and after-sales service networks, star marketing and sports marketing with family image and CSR marketing for indian.

      • KCI등재

        초기 세례 예식에서 사용된 인침의 의미와 그 표징들의 역할

        차명호 한국실천신학회 2016 신학과 실천 Vol.0 No.49

        본 논문은 기독교 입문 의식의 중심으로 여겨지는 물과 관련된 의식과 그 외의 부가적 의식들로 여겨지는 인침의 표징들의 관계를 다룬다. 먼저 본 논문은 성경에서의 인침의 의미를 알아보고, 인침에 사용되었던 표징들이 초기 교회의 세례 예식들 속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 알아볼 것이다. 본 논문이 다룰 초기 교회의 시간적 영역은 1세기에서 5세기까지이고, 다룰 자료들은 지역적으로 북아프리카, 로마, 알렉산드리아, 예루살렘 그리고 시리아의 안디옥과 에데사에 분포된 문서들이다. 비록 완전한 분리는 불가능하지만, 본 논문은 인침과 세례에 대한 관계성을 크게 통일성을 주장하는 전통과 분리를 주장하는 전통으로 나누고, 그 중에서도 통일성이 가진 유익한 점들을 알아볼 것이다. 본 연구가 현대 교회에 공헌할 수 있는 부분은 세례 예식이 가진 입수 외의 다양한 인침 표징들이 가진 풍부한 의미들을 초기 교회의 예식들에서 찾아내고 그 정당성을 확보하는 데 있다. 초기 교회의 세례 예식에서 인침이 보여주는 의미들은 그리스도의 의를 입는 것, 기독교 공동체의 지체가 되는 것, 깨달음을 얻는 것, 하나님의 자녀로 입양되는 것, 그리고 다양한 성령의 선물들을 받는 것 등, 단지 세례의 입수만으로는 전달하기 힘든 성례적 요소들을 보여준다. 현대의 교회들이 성경적이고 전통적인 세례 교육과 예식의 중요성보다는 개 교회 또는 특정 목회프로그램의 입문 과정을 더 중요시하는 현실에서 본 연구가 초기 교회의 영성을 회복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As we see in the modern baptismal theology, the whole baptismal ritual cannot be regarded as a death of the previous life, culminating in the Pauline baptismal theology, but separating from the early Syriac tradition. Baptism is always conceived of as a birth, and baptismal water is seen as a womb. And sealing plays a significant role in the early baptismal rites. This study will focus on the relation between baptism and sealing from both sacramental and scriptural point of view. First of all, this thesis will grasp the meaning of sealing from the Old Testament and New Testament, and describe the role of sealing which are placed in each baptismal rites. The range of historical search for this study is limited from the first century to the fifth century. And this study covers early documents from North Africa, Rome, Alexandria in Egypt, Jerusalem, and Antioch/ Edessa in Syria for supportive evidences. Sealing and baptism has had a twofold relation in each traditions since early church baptism began: unity and division. However this dichotomic approach cannot be exactly proved in real contents of documents because early fathers had various and ambiguous opinions regarding baptismal rites per se or baptismal theology. This study will provide the baptismal practice of modern church which has nearly lost spiritual vitality with abundant significance of baptismal sealing in the early church.

      • KCI등재

        인간, 자연, 생명력: 퇴계의 仁을 중심으로

        이정란 한국체육철학회 2016 움직임의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Vol.24 No.4

        인(인간다움)이란 자기를 극복하고 예(禮)로 돌아가는 것이다. 인간과 자연은 인(仁)이라는 근원적 동일성을 공유하고 있다. 인은 인간과 자연을 소통하게 하는 공감의 원리로 작용하기에 인의 회복은 인간뿐 아니라 자연의 생명력 회복과도 연결된다. 생명의 본성(體)인 인이 구체적으로 작용할 때는 생명에 대한 측은지심(惻隱之心)이라는 도덕 감정(用)으로 발현되는데, 이 인(仁)의 본성이 막히지 않고 잘 발휘되는 것이 중요하다. 인의 개념을 운동하는 몸에 적용해 보았을 때 다음과 같은 의미를 도출할 수 있다. 첫째, 욕망은 인의 실현을 방해하기 때문에 수양이 필요하다. 퇴계는 인간다움(仁)을 회복하기 위해 몸의 수양을 강조했다. 그에게 있어 몸의 공부(體得)는 덕(德)과 연결 가능하다. 둘째, 퇴계는 요산요수(樂山樂水), 즉 자연과 함께 수양을 실천하고자 하였다. 자연이 주는 즐거움(樂山樂水)은 인간의 본성뿐 아니라 자연의 이치에서도 발견할 수 있는 생명력을 근거로 한 인(仁)과 연결된다. 셋째, 운동하는 몸을 통해 획득되어지는 것은‘극기복례(克己復禮)’의 도덕정신, 정신의 자유를 누리게 해주는‘유희(樂)’의 도덕정신 그리고‘생명외경(生命畏敬)’의 도덕정신이다. Ren (humanity) refers to overcoming the self and returning to courtesy. Human and nature share the original equivalence of benevolence. Since benevolence acts as a principle of empathy that allows communication between human and nature, the recovery of benevolence is connected to the life force of nature as well as human. When the nature of life, benevolence acts specifically, it is expressed as a moral emotion of natural compassion for life, and it is important that the nature of this benevolence is well exhibited without being blocked. When the concept of benevolence is applied to the sporting body, the following meaning can be drawn. First, since desire disturbs the realization of benevolence, discipline is needed. Toegye emphasized the discipline of the body to restore humanity. For him, the learning of the body (An embodiment) can be connected to virtue. Second, Toegye would practice Lèshān Lèshuǐ (A wise man likes mountains and a benevolent person likes water), that is, discipline with nature. The pleasure given by nature (yosan yosu) is connected to benevolence based on the life force found in natural principle as well as human nature. Third, what is obtained through the sporting body includes: the moral spirits of Kejifuli (Exercising self-restraint and conforming to the rules of etiquette and formality),‘play’that allow the enjoyment of the spirit of freedom and‘reverence for life.’

      • KCI등재

        소비자 관여 이론에 의한 인스토어 미디어의 경험 구조에 관한 연구

        유석환 ( Seoukhwan Yu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7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2 No.4

        (연구배경 및 목적) 인스토어 미디어의 무분별한 노출은 소비자로 하여금 정보의 혼잡성과 미디어 회피 현상을 증가시키고 나아가 구매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따라서 인스토어 미디어의 효과적인 사용을 위해 소비자 구매행동의 특성을 고려한 소비자 중심의 효과적인 미디어 배치가 무엇보다도 중요하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인스토어 미디어의 특성과 소비자 구매 행동 간 상관관계에 주목하고 소비자가 미디어에 어떻게 신체적 또는 심리적으로 몰입 하는지를 경험 내용을 체계화시킨 인스토어 미디어의 소비자 경험 구조를 제시하고 한다. (연구방법) 인스토어 미디어의 소비자 경험 구조에 대한 근거를 마련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연구가 진행되었다. 첫 번째, 구매 환경에서 소비자 행동의 주요 변수는 인스토어 미디어 경험에 있어서도 매우 중요한 영향을 준다. 따라서 소비자 행동에 주요 변수로 작용되는 소비자 관여 이론을 선행연구를 통해 고찰하고, 구매 환경에서 소비자 행동의 특성과 유형을 분류하였다. 두 번째, 인스토어 미디어의 개념과 특성을 살펴보고, 제조사, 판매자, 소비자 측면에서 인스토어 미디어의 범위와 특성을 유형화 하였다. 그리고 구매 공간에서 정보를 전달하는 미디어의 다양한 재현방법을 살펴보았다. 세 번째, 인스토어 미디어의 경험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분석지표를 구성하고, 대표적 사례를 선정하였다. 그리고 전문가 그룹을 대상으로 FGI(Focus group interview)를 실시해 빈도 분석을 진행하였다. 마지막으로 빈도 분석의 결과를 토대로 인스토어 미디어 경험의 유형 간 특성의 상관관계를 해석하고 구조를 제시하였다. (결과) 인스토어 미디어의 경험 분석결과 소비자 관여 유형에 따라 다음과 같은 상관관계를 도출하였다. 첫 번째, 감성적 고관여 영역의 스토어는 소비가치 측면에서 `감성적 가치` 경험이 가장 높은 것으로 검증되었다. 그리고 미디어 재현 방법에 따른 신체적 반응 측면은 모든 감각이 통합된 `다중 감각적` 경험이 높은 것으로 검증 되었다. 두 번째, 감성적 저관여 영역의 스토어는 `감성적 가치`경험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검증되었다. 그리고 미디어 재현방법에 따른 신체적 반응 측면은 `단일 감각적` 경험이 높은 것으로 검증되었다. 세 번째, 인지적 고관여 영역의 스토어는 `감성적 가치`와 `인지적 정보` 경험이 모두 높은 것으로 검증 되었다. 그리고 미디어 재현방법에 따른 신체적 반응 측면은 모든 감각을 동원한 `다중 감각적` 경험이 높은 것으로 검증되었다. 네 번째, 인지적 저 관여 영역의 스토어는 소비가치 측면에서 `인지적 정보` 경험이 가장 높은 것으로 검증 되었고, 미디어 재현방법에 따른 신체적 반응측면은 `단일 감각적` 경험이 높은 것으로 검증되었다. 따라서 소비자 관여 유형에 따른 인스토어 미디어 경험의 상관관계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최종적으로 소비자 경험의 구조를 제시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사례분석 과정에서 참고 문헌 및 영상 자료에 근거한 모의 검증이라는 점에서 연구의 한계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보다 실증적인 검증을 위해 다양한 표본을 대상으로 소비자의 인구 통계학적 변수를 고려해 지속적으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Background and Purpose) Widespread exposure to in-store media has led to information congestion and media avoidance by consumers. These have, in turn, had led a negative impact on purchasing. The most effective use of in-store media is an arrangement based on consumers that takes into consideration the characteristics of consumer purchasing behavior. This study focuses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in-store media and consumer purchasing behavior to determine how the consumer experience structure of in-store media that systemizes characteristics of the content of the experience as to how the consumer experiences the physical or psychological immersion in the media. (Method) To study the basic consumer experience with respect to in-store media, research was conducted as follows. First, to establish a framework, the study examined past studies on consumer involvement theory, which provides the main variables of consumer behavior and classified characteristics and types of consumer behavior in a purchasing environment. Second,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in-store media were examined, and the scope and characteristics of in-store media were typified in terms of manufacturers, sellers, and consumers. The study also examined various ways of reproducing media that transmit information in the purchasing environment. Third, to analyze the experience characteristics of in-store media, the study constructed analysis indicators and selected representative cases. The study also conducted focus group interviews (FGIs) and conducted frequency analysis on an expert group.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frequency analysis, the interrelationships between types of in-store media experiences were analyzed and the structure was presented. (Results) The in-store media experience analysis derived the following correlations according to type of consumer involvement. First, the store of high emotional involvement area was shown to have the highest emotional value experience in terms of consumption value. Second, the store of low emotional involvement area was shown to have relatively high emotional value experiences. Third, the store of high cognitive involvement area was shown to have both high emotional value and cognitive information experience. Fourth, the store of the low cognitive involvement area was shown to have the highest cognitive information experience in terms of consumption value; furthermore, the physical response according to the media reproduction method was proven to be highly single sensory. Therefore, the study analyzed the correlation of in-store media experience according to consumer involvement type and finally presented the structure of consumer experience. (Conclusion)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is that it is a mock verification based on references and image data in the case analysis process. Therefore, for more empirical verification, it is necessary to continue the study with consideration of consumer demographic variables for various samples.

      • KCI등재

        `인(仁)`자(字)에 대한 인성구의적(因聲求義的) 연구(硏究)

        신원철 한국중국어문학회 2012 中國文學 Vol.70 No.-

        본 논문은 仁이라고 하는 字에 대한 六書에 입각한 분석이 제각각이라는 점과 仁과 人이 서로 호환하며 쓰인다는 점에 착안하여, 仁에 대한 형태에 대한 논의가 어떻게 나뉘어 나타나고, 아울러 仁과 人이 혼용되는 양상을 살피고자 한다. 그리 고 이러한 혼용의 핵심적 원리가 형태에 얽매이지 않고 음성으로 뜻을 구해야 하는, 즉 因聲求義에 입각한 파악이고, 이와 같은 원리가 경전 해석에 도움이 되는 당시 상황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2장에서는 仁字를 전통적인 육서의 방식으로 분류할 때의 여러 양상과 그에 따르는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여러 관점 중에서는 人을 음성요소로 파악하는 부분이 더 설득력이 있음을 밝혔다. 그러나 이 또한 仁字를 설명함에 있어서 완전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3장에서는 상고시대에 仁과 人이 어떻게 통용되고 의미를 공유하는지에 대해서 경전 등을 통해 살펴보았다. 여러 경전에서 仁과 人은 서로를 훈석어로 사용하면서 필요에 따라 “사람”그리고 “사람됨” 등의 의미를 나타내고 있음을 보았다. 4장에서는 仁과 人의 의미가 분화하게 된 이유를 서술하였다. 그러지만 그러한 구분이 나타난 후에도 계속적으로 3장에서 언급했던 상황이 지속된 이유는 비록 형태가 상이하지만 이들이 동일한 발음으로 유지되었고, 이 속에서 의미적 연관성이 유지되었기 때문이라고 보았다. 이를 통해 仁字의 의미는 人과 발음적 유사성을 통한 의미적 연관성이 지속됨을 살펴보았다. 아울러 因聲求義와 유사한 개념인 聲 訓과의 비교를 통해서 그 차이가 어떻게 나타나는지 또한 언급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儒家의 기본 덕목 중 가장 중요한 仁字에 대해 因聲求義的 관점을 가지고서 해당 字의 의미와 해석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本論文著眼於對`仁`字的基於六書的分析的多樣性, 以及仁與人互用, 從而調査對`仁`字的分析過程, 幷且考察仁與人互用的情況。 筆者認爲其混用的核心原理是不拘字形, 以音聲求意, 卽“因聲求義”, 進而探討這一原理有助於當時經傳解釋的情況。 第二章主要考察以傳統的六書方式對`仁`字進行分類時所出現的情況及其問題。 這裡明確闡明在三種分析方式中“從二人聲”的把握方式最具說服力, 但這種方式幷非?完整。 第三章主要通過經傳考察在上古時代`仁`和`人`的通用及其共有含義的情況, 確認在諸經傳裡仁與人互爲訓釋語, 幷且呈現出“人”或“爲人”等含義。 第四章主要敍述仁與人的含義分化的理由。 卽便發生這樣的分化, 仁與人繼續得以互用, 其原因是二者形態雖異, 但是却維持相同的發音, 從中`仁`字的意思仍得到維持。 幷且通過這些能考察到仁字通過與“人”字的發音上的相似性, 能維持其含義的聯貫性。 而且比較“因聲求義”和“聲訓”, 探索二者的差距所呈現出的情況。 本文試圖以“因聲求義”的方法, 理解`仁`字, 從而有助於人們把握該字的意思和解釋。

      • KCI등재후보

        孔子 仁思想의 體用理論的 分析 : 朱子의 『論語集註』設을 中心으로

        尹用男 동양철학연구회 2003 東洋哲學硏究 Vol.32 No.-

        孔子의 仁은 '槪念'이 아니라, 東洋의 體用理論에 立脚한 '名稱'이다. 槪念은 本質的 屬性을 抽象한 것이지만, 名稱은 事物의 性이나 德을 爲主로 命名한 것이다. 名稱의 對象은 現實事物과 一致하며, 狀況에 따라 能動的으로 變身한다. 仁은 '心이 任務를 遂行할 수 있는 能力'에 대한 名稱이다. 心의 任務는 恒常 萬物에 理대로 對應하는 것이다. 따라서 仁은 理대로 對應할 수 있는 心의 能力이다. 여기서의 任務는 心의 全體任務이고, 能力은 心의 全體能力이다. 心이 全體任務를 遂行하고자 하면, 萬物을 두루 사랑할 任務, 그 사랑을 節制할 任務, 이 사랑과 節制를 節文할 任務, 주어진 狀況을 判斷할 任務가 竝行되어야 한다. 이 네 가지 任務를 遂行할 수 있는 能力을 각각 仁 · 義 · 禮 · 智라 한다. 즉 全體任務는 네 가지의 任務를 包括한 것이며, 全體能力인 仁은 仁 · 義 · 禮 · 智 四德을 包括한 것이다. 한편 理대로 對應하는 것은 결국 萬物을 두루 사랑하는 것이며, 또 理대로 對應하려면 먼저 사랑할 任務를 遂行해야 한다. 그러므로 全體任務 중 사랑하는 任務가 主要任務이고, 全體能力 중에서는 사랑할 수 있는 能力이 가장 먼저 發動해야할 主要能力이다. 즉 四德 中의 仁이 主要能力이다. 이제 이 仁이 發動하면, 그 사랑을 表現할 能力인 禮, 그 사랑을 節制할 能力인 義, 이 일을 갈무리할 能力인 智가 順次的으로 發動한다. 즉 主要能力인 仁은 順次的으로 禮 · 義 · 智의 發動을 誘發하며, 항상 그들 속에 貫流하고 있다. 仁은 心의 全體能力과 主要能力을 通稱하는 名稱이다. 孔子所謂仁者, 不是西洋邏輯之槪念, 而是朱子體用理論之名稱也. 夫槪念者, 抽出其對象之本質屬性槪括而成也. 名稱者, 以性與德爲主 而命名也. 故槪念之對象, 違於現實事物, 而超時空而不變焉. 然名稱之對象, 不違於現實事物, 而隨處而自變焉. 故孔子所謂仁者, 亦隨事而自變焉. 仁者稱心之行職事底能力也, 而心之職事, 以理應物者也. 故仁是以異應物之能力也. 換言之, 則仁也者, 以理處事之能力也. 謂之職事者, 指其心之全體職事而言之也. 謂之能力者, 指其心之全體能力而言之也. 蓋心欲行其全體職事, 則竝行此下四箇職事. 一則博愛萬物, 二則隨處制愛, 三則節文其愛與制, 四則知其所處之狀. 能行此四箇職事之能力, 仁義禮智是也. 故全體職事, 包四箇職事. 全體能力之仁包仁義禮智之四德也. 以理應物者, 乃博愛萬物之義也. 欲應物以理, 則必先行其博愛底職事. 故全體職事之中, 博愛底職事, 最爲先行者, 而卽爲主要職事者也. 且全體能力之中, 博愛底能力, 最爲先發者, 而卽爲主要能力者也. 四德之中, 仁是主要能力也. 而主要能力之仁재發, 則著愛底能力之禮, 制愛底能力之義, 知且藏底能力之智三德, 順次發矣. 且主要能力之仁, 引其禮義智而發見, 而仁恒在其中矣. 夫孔子之仁, 兼心之全體能力與主要能力者也. 又其能力之所有者, 名之曰仁者, 其力所爲之事, 名之曰仁事, 其力所欲行之道, 名之曰仁道也. 仁德人之生得者, 而爲私欲所蔽, 放心所失, 而不能發其全德也. 然去其沮害之因, 則能復其全德也.

      • KCI등재

        인과 구조 작동 방식이 인과 추론의 정확성에 미치는 효과

        박주화,도승이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2015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Vol.27 No.2

        The success of an individual, a business and even a country depends on the accuracy of judgments and predictions about the future. Reasoners, however, often fail to search for additional pieces of information to make an accurate prediction. Moreover, they tend to neglect a relevant piece of information even if it is available. Thus, it is critical to understand the cognitive process behind the neglect phenomenon in order to increase the accuracy of predictions. The present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process that underlies neglect of relevant information based on a newly emerging normative model, the causal Bayes nets. In Experiment 1, we constructed a situation where the three boundary conditions of the causal Bayes nets were satisfied: the sufficiency of a causal structure, parameters, and the clarity of the functional form of causal structure. The results revealed that participants did not neglect a relevant piece of information when they made a predictive inference. Experiment 2 was identical to Experiment 1, except for the functional form of causal structure. The causal structure in Experiment 1 was activated by itself while the structure in Experiment 2 was activated only when it was intervened. With the intervention-based causal structure, participants showed neglect of a relevant piece of information to make a predictive inference. Our results suggest that neglect of a functional form of events in question is responsible for the failure to consider relevant information. Our results also suggest that the assumptions that the causal Bayes nets make about representations of causal relations may not be consistent with the actual representations of reasoners. Our results suggest that a future study is necessary to investigate how understanding of the functional form of causal structures influences prediction accuracy. 개인과 기업 그리고 국가 정책의 성공은 판단과 예측의 정확성에 달려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하지만 사람들은 판단과 예측을 할 때 주어진 정보 외에 추가적인 정보를 탐색하지 않으며, 심지어 주어진 정보조차 무시한다. 판단과 예측의 정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이러한 정보 무시 경향성의 인지적 과정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이다. 본 연구는 고등 인지 과정의 새로운 규범적 모델로 떠오르고 있는 인과 베이즈 모형(causal Bayes nets)의 틀에서 정보 무시 현상의 인지적 과정을 연구하였다. 실험 1에서는 인과 베이즈 모형이 적용되기 위한 세 가지 경계 조건인 인과 구조와 파라미터의 충분성 및 인과 구조 작동 방식의 명확성을 만족시키는 상황을 구성한 후 인과 추론을 실시하였다. 선행 연구와는 다르게 실험 1에서는 정보 무시 현상이 관찰되지 않았다. 실험 2는 인과 구조가 작동하는 방식을 변경하였다. 실험 2는 인과 구조가 자발적으로 작동한 실험 1과는 달리 인과 구조가 실험 참여자의 개입에 의해서만 작동하였다. 실험 2에서는 정보 무시 현상이 관찰되었다. 이는 선행 연구에서 보고된 정보 무시 현상이 인과 구조 또는 관련 변인들이 작동하는 방식에 대한 인출이 되지 않아서 발생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또한 인과 관계 표상에 대한 인과 베이즈 모형의 가정이 실제 사람들의 표상과 다를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인과 구조가 작동하는 방식에 대한 인지적 이해를 바탕으로 판단과 예측의 정확성을 향상시키는 후속 연구가 필요함을 보여 주였다.

      • KCI등재

        「인성교육진흥법」제시된 인성교육의 목표에 대한 고찰

        이병래(Lee, Byung-Nae)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7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2 No.5

        이 연구는 인성교육진흥법이 추구하는 인성교육의 목표를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구체적으로 인성교육진흥법에 제시된 인성교육의 목표가 인성교육진흥법에서 추구하고 있는 ‘법’의 이념 및 목적, ‘인성교육의 목적’에 부합하는지의 여부를 고찰하려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첫 번째로 인성교육진흥법이 추구하는 ‘이념’과 ‘목적’이 무엇인지를 고찰하였다. 두 번째로는 인성교육진흥법에서 추구하는 ‘인성교육의 목적’이 인성교육진흥법의 ‘이념’과 ‘목적’에 부합하는지를 고찰하였다. 마지막으로 인성교육진흥법에 제시되어 있는 ‘인성교육의 목표’가 인성교육진흥법이 추구하는 ‘인성교육의 목적’에 부합하는지를 고찰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성교육의 목적’은 인성교육진흥법에서 추구하는 이념 및 목적에 부합된다. 둘째, ‘인성교육의 목표’는 인성교육진흥법에서 추구하는 인성교육의 목적에 부합한다고 인정하기 어렵다. 따라서 ‘인성교육의 목표’를 재정립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Objectives of Humanity Education pursued by the Humanity Education Promotion Act. Specifically, the Objective of Humanity Education presented in the Humanity Education Promotion Act is to examine whether it is in line with the Ideology and Purpose of ‘Act’ pursued by the Humanity Education Promotion Act, and the Goal of Humanity Education. In order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e first thing is to examine the ‘Ideology’ and ‘Purpose’ pursued by the Humanity Education Promotion Act. Second, we examined whether the ‘Goal of Humanity Education’ pursuant to Humanity Education Promotion Act is in line with the ‘Ideology’ and ‘Purpose’ of the Humanity Education Promotion Act. Finally, we examined whether the ‘Objective of Humanity Education’ presented in the Humanity Education Promotion Act is in line with the ‘Goal of Humanity Education’ pursued by the Humanity Education Promotion Ac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Goal of Humanity Education’ is in line with the Ideology and Purpose pursued in the Humanity Education Promotion Act. Second, it is hard to admit that the ‘Objectives of Humanity Education’ is in line with the Goal of the Humanity Education pursued by the Humanity Education Promotion Ac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define the ‘Objectives of Humanity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