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기획논문 : 六堂崔南善의 『三國遺事』 인식과 「三國遺事解題」

        고영섭 ( Young Seop Ko ) 한국불교사연구소 2014 한국불교사연구 Vol.5 No.-

        이 논문은 육당 최남선(六堂崔南善, 1890~1957)의 『삼국유사』 인식과 그의 「삼국유사해제」에 대해 검토한 글이다. 최남선은 어린 시절부터 고전과 서양문물을 접하였다. 그는 일본 유학 이전부터 단군에 대한 지식과 인식이 있었고, 일본 유학 이후에는 『삼국유사』를 재발견하여 단군을 복원하고 역사를 복원하였다. 최남선의 민족의식과 문화이식은 일련의 「단군론」기술과 『삼국유사』에 대한 장문의 「해제」서술로 이어졌다. 최남선의 「해제」는 그의 「단군론」과 『불함문화론』을 뒷받침하는 주요한 논설이며, 이후 『삼국유사』 ``해제``의 ``전범``이자 ``전형``이 되었다. 그는 『삼국유사』의 재발견을 통하여 단군을 복원하고 역사를 복원하여 불함문화권을 확충하려 하였다. 최남선이 단군을 우리 역사의 구심으로 삼은 것은 매우 큰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반면 그가 단군을 불함문화권의 원심으로 확산시킨 것은 단군의 초점을 흐리게 한 근거이기도 하였다. 최남선은 우리의 많은 고전 중에서 특히 『삼국유사』에 집중하였다. 그것은 이 텍스트가 머금고있는 민족의식과 문화의식 및 단군의 기록과 신화의 원천 때문이었다. 그는 이들 민족의식과 문화의식을 대립의식으로 제고시켰고, 단군의 기록과 각국의 신화를 일제에 맞서는 정치적 전략으로 활용하였다. 최남선의 고대사에 관한 일련의 집필은 일제의 문화정치에 맞서는 전략이었고, 민족의식을 고취시키기 위한 전술이었다. 하지만 그 역시 그 전략과 전술에 휘둘린 감이 없지 않았다. 결국 그는 근대주의와 민족주의의 대립 구도가 제국주의의 길항구도 속으로 편입되자 친일로 기울어졌고 스스로 친일행위를 정당화하는 입장을 견지하였다. 최남선의 역사 복원과 문화 민족의 열망은 『삼국유사』를 통해서 표출되었다. 그리고 여러 편의 「단군론」과 『불함문화론』의 입론을 통해 확장되었다. 그는 대립의식을 통해 문화민족을 자각하려 하였고 역사의식을 통해 신화를 넘어서고자 하였다. 최남선의 민족의식이 수립될 수 있었던 것은 『삼국유사』와 단군과 가야의 발견에 의해서였다. 이 발견을 계기로 그가 쓴 『삼국유사』에 대한 장문의 「해제」는 이후 『삼국유사』 「해제」의한 ``모범``이 되었다. 그 이후 『삼국유사』 번역자들은 저마다 육당의 「해제」를 의식하지 않을 수 없었다. 번역자들은 육당의 「해제」보다 더 길게 쓰거나 또는 더 잘 써야 한다는 강박관념 혹은 그 「해제」에 전거를 대면서 그에게 위임하려는 태도까지 생겨났다. 결국 번역자들은 『삼국유사』의 전모를 한 눈으로 또렷하게 엿볼 수 있도록 「해제」를 작성해야만 했다. 그러다 보니 ``해제`` 간에 상호 영향이 있을 수밖에 없었다. 최남선은 『삼국유사』에 대해 "조선 상대를 혼자 담당하는 문헌"이며 "조선의 생활과 문화의 근원(源頭)와 고형(古形)을 보여주는 것은 오직 이 책이 있을 따름이다"고 하였다. 그의 말처럼 『삼국유사』는 우리 민족의 유전인자를 고스란히 간직한 보물 창고이다. 여기에는 민족 동질성의 인자인 언어 문자와 역사 문화로부터 철학 사상 및 예술 과학이 담겨 있다. 이처럼 최남선은 『삼국유사』가 민족공동체와 역사공동체의 근간이자 민족과 역사의 회복으로 나아가는 이정표이자 길잡이로 인식하고 있었다. 그리하여 그는 『삼국유사』의 핵심과 특장을 「해제」속에 잘 정리하여 한민족의 정체성을 수립하고 인식틀을 확보해 놓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Yukdang Choi Nam-Sun``s recognition over 『Samgukyusa』 and 「Samgukyusa Interpretation」. He experienced the classic and western culture from the childhood. He had the knowledge and recognition about Dangun prior to the study aborad in Japan. After returning from Japan, he rediscovered 『Samgukyusa』 and restored Dangun and history. The national consciousness and cultural consciousness of Choi Nam-Sun was led to the description of 「Dangun Theory」and long 「Interpretation」about 『Samgukyusa』. 「Interpretation」 of Choi Nam-Sun was a main editorial to support his 「Dangun Theory」 and 『Buddhist Culture Theory』, After that, it became the ``standard`` and ``tradition`` of ``interpretation`` of 『Samgukyusa』. He tried to enlarge the baundary of Bulham Culture by restoring Dangun and history through the rediscovery of 『Samgukyusa』. Choi Nam-Sun``s selection of Dangun as the center of Korean history was very meaningful. On the contrary, his intention to enlarge Dangun as the center of the baundary of Bulham Culture was the basis to blur the focus on Dangun. Among many classics, he especially focused on 『Samgukyusa』. It was due to the national consciousness and cultural consciousness, the record about Dangun and the origin of mythology contained in the text. He reconsidered the national consciousness and cultural consciousness as the confronting consciousness and used the record about Dangun and the mythology of each country as the political strategy to fight against Japan. Choi Nam-Sun``s general description about the ancient history was the strategy against the cultural policy of Japan and the one to improve the national consciousness. However, he was shaken by the strategy and tactic. After all, as the conflict composition between modernism and national consciousness is biased to the antagonistic composition of imperialism, he became the pro-Japan collaborator and adhered to the position to justify the pro-Japan activity. Choi Nam-Sun``s aspiration for history recovery and cultural people was expressed through 『Samgukyusa』 and it was enlarged through various arguments of 「Dangun Theory」and 『Bulham Cultural Theory』. He tried to enlighten the cultural people through confronting consciousness and tried to go beyond the mythology through historical consciousness. The national consciousness of Choi Nam-Sun could be founded because of the discovery of 『Samgukyusa』, Dangun and Gaya. Because of the discovery, the long 「Interpretation」about his 『Samgukyusa』 became the standard for 「Interpretation」about 『Samgukyusa』. After that, the translator of 『Samgukyusa』 should pay attention to Yukdang``s 「Interpretation」about 『Samgukyusa』. Translator had the obsession thought to write long or better 「Interpretation」than Yukdang``s one and the attitude to assign it to Yukdang by citing the authority of 「Interpretation」. After all, the translator should prepare 「Interpretation」in the way that he shows the whole story of 『Samgukyusa』 at a glance. It was connected to the mutual effects among ``interpretations``. In 『Samgukyusa』, Choi Nam-Sun said, "Only the book is responsible for the area before Joseon Dynasty and shows the origin and old form of Joseon``s life and culture." As he said, 『Samgukyusa』 was the treasure warehouse containing the gene of Korean people. Here, the factor of people``s homogeneity ranging from linguistic character to history, culture, philosophy, art and science is contained. Like that, Choi Nam-Sun recognized 『Samgukyusa』 as the milestone and guide to go to the recovery of people and history as well as the origin of national community and historical community. He arranged the key and characteristics of 『 Samgukyusa』 in 「Interpretation」well to establish the identity of Korean people and secure the recognition frame.

      • KCI등재

        『삼국유사』를 통한 한국문화 콘텐츠 개발 시론

        정진원(CHUNG, JINWON)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4 한국학연구 Vol.50 No.-

        이 글의 주제는 ‘한국학 콘텐츠 개발로서의 고전읽기- 『삼국유사』를 중심으로-’라는 한국연구재단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구성된 ‘삼국유사 콘텐츠 개발’ 시론이다. 『삼국유사』라는 고전 텍스트를 새롭게 읽고, 실질적인 문화 콘텐츠로 기획하고 실행하고자 하였다. 특히 『삼국유사』중 ‘효선’ 편을 해외 한국학과 접목하여 차세대 모티브가 될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그리하여 우리 고전 텍스트를 잘 가공하면 한국문화 나아가 한류문화를 업그레이드하는 디딤돌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서론에서는 『삼국유사』이야기와 관련된 세계문화유산을 스토리텔링하는데 초점을 맞추었다. 본론에서는 콘텐츠 활용 대상으로 일연선사가 거처하며 『삼국유사』를 집필했다는 ‘운문사’, 그리고 세계문화유산 중에서 ‘경주 역사지구의 양동마을’과 ‘불국사, 석굴암’을 선택하여 『삼국유사』‘효선’ 편 중 두 가지 이야기와 접목시켰다. 곧 ‘양동 마을’이 그 하나인데 두 씨족으로 이루어진 마을 중 하나가 ‘효선’ 편 「손순매아」의 후손인 손씨의 씨족마을이다. ‘불국사와 석굴암’ 역시 효선편의 김대성 이야기 「대성효이세부모」의 유적이라는 점을 관련시켜 콘텐츠를 구성하였다. 『삼국유사』속 스토리텔링으로 이상의 콘텐츠를 1차 대상으로 삼고, 2차 콘텐츠 개발 가능성도 시도하였다. 곧 운문사는 일연이 머물며 삼국유사를 집필한 곳이기도 하지만 ‘원광법사 이야기’와 ‘보양스님과 이목이야기’도 같은 운문사를 무대로 한 내용이라 다른 콘텐츠로 확장시킬 수 있다. 「손순매아」에 나오는 ‘손순’의 경우 ‘손순의 유허지’가 남아있어 답사 프로그램으로 개발해 나갈 여지가 있다. ‘불국사, 석굴암’을 지은 ‘김대성 이야기’에서는 두 사찰의 특징과 유적들을 신라의 불교 사상과 불교 건축이야기로 확장하는 등 무궁무진한 콘텐츠 개발이 가능하다. 곧 『삼국유사』 ‘효선’의 이야기로 시작하여 ‘한국 불교와 전통문화 콘텐츠’로 뻗어나갈 수 있는 콘텐츠들인 것이다. 이와 같이 『삼국유사』는 발굴하면 할수록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한국학 문화콘텐츠로 탈바꿈할 원석으로 가득 차 있는 콘텐츠의 보물창고라 할 수 있다. 결론에서는 프로그램 콘텐츠와 그 실행 내용을 중심으로 앞으로의 고전 콘텐츠 활용방안을 제시해 보았다. 이 시도를 바탕으로 해외 한국학 관련 학과와 차세대 한류 콘텐츠를 원하는 한류 문화 수용자들에게 다양하고 업그레이드된 한류 문화 체험의 가능성을 제안하고자 한다. 부록으로 이러한 시론의 소재와 계획의 바탕이 된 『삼국유사』관련 문화유산 콘텐츠 답사 과정을 사진과 함께 첨부하였다. 대상은 Bonn대학 한국학과-세종학당 학생들이다. The subject of this paper is a ‘Classic new reading as Content Development in Korean Studies ?focused on SamgukYusa-’. This paper is a result of a new interpretation of the classic SamgukYusa. The SamgukYusa is a new and future essential contents. We confirmed that SamgukYusa would be a stepping stone to the next generation of contents. In the introduction we focused on SamgukYusa storytelling related to World Heritage. We selected three places. 1) The place where SamgukYusa was written Unmunsa Contents: Unmunsa Temple Stay & Study, 2) The world cultural heritage Yangdong Village, 3) The world cultural heritage Bulguksa and Seokgulam. Yangdong Village is a ancestral village of SamgukYusa ‘Sonsun Maeah’. Seokgulam and Bulguksa are also ruins of Kim Daesung’s storytelling. In Conclusion, I proposed to take advantage of the classical content based on lecture and fieldwork in 2012 and 2013. This paper’s purpose is to develop content to provide cultural experiences to overseas Korean Studies departments. I intend to expand Hallyu(Korean Wave) contents to include the classical content of SamgukYusa. The experimental learning consist of 26 students from the University of Bonn-Sejonghakdang. They visited Korea in 2012 and freely explored the World Heritage, Gyeongju Historic District and Unmunsa temple stay, the birthplace of SamgukYusa. The following year, I visited the University of Bonn and lectured about their experience at the temple stay and the World Heritage related to SamgukYusa. I discovered that the University of Bonn students, whether or not they had participated in the Korea Cultural experience, expressed interest in SamgukYusa. They also wanted to buy and learn more about SamgukYusa. This Field work report and photos with University of Bonn students can be found in appendix.

      • KCI등재

        『삼국유사』 신주편 연구

        박인희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12 石堂論叢 Vol.0 No.52

        Studies on Samgukyusa have been progressed largely in the three fields of study, history, literature and Buddhism. Up to date, there have been hundreds of the research papers. However, there are a relatively small number of studies on Sinju-pyeon in Samgukyusa. The aim of this paper is to reveal what Sinju-pyeon in Samgukyusa treats and tries to convey. There are three stories in Sinju-pyeon in Samgukyusa. A review of the three stories reveals the following things in common. They are stories that their main characters who are (1)monks solve (2)other people's difficulties (3)from other people's request (4)by the law of Buddha. The other people's difficulties were knotty. Because they remained unresolved for long time or suddenly happened to someone. Nevertheless, they were solved by the law of Buddha. In the three stories in Sinju-pyeon, the law of Buddha conquers difficulties, which makes them especially distinguished from other stories. Although Samgukyusa might be regarded as a history book, it might be seen as a book collecting stories about Buddhism, too. By the way, the law of Buddha is Buddha's teaching and one of the Three Treasures in Buddhism. In Samgukyusa, there are various of stories related to Buddhism. It seems that the law of Buddha should have been treated more importantly in Samgukyusa. Nevertheless, there are only the three stories. It can be seen that the reason is a special character of Buddhism. The key point of Buddhism is that people find enlightenment through cultivating their mind for themselves and renounce their earthly desires. In this process, the law of Buddha should help them to renounce their earthly desires. It must not be used as a means for solving individual difficulties. This is the reason that there are only the three stories in Sinju-pyeon in Samgukyusa although the law of Buddha is treated in it. Sinju-pyeon in Samgukyusa treats the law of Buddha and shows that there is no difficulties that cannot be solved by the law of Buddha. Nevertheless, there are only the three stories in it.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reason is in order to show that the law of Buddha should not be used thoughtlessly for solving individuals' problems. 『삼국유사』는 사학, 문학, 불교학에서 다각도로 연구되었다. 하지만 신주편에 대한 논의는 상대적으로 적었다. 본고의 목적은 신주편이 무엇을 다루고 있으며, 전하려는 바가 무엇인지 밝히려는 것이다. 『삼국유사』 신주편에는 세 편의 이야기가 실려 있다. 세 편의 이야기를 살펴본 결과 다음과 같은 공통점이 있었다. 세 이야기는 1) 승려가 주인공이며, 2) 타인의 요청으로, 3) 타인의 어려움을, 4) 불법으로 해결한 이야기라는 점이다. 신주편 세 이야기를 『삼국유사』 다른 편목의 이야기들과 비교했을 때 어려움을 불법으로 극복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 신주편 세 이야기에는 불법에 대한 바른 인식을 갖도록 하는 내용이 있었다. 불법은 함부로 사용해서는 안 되며, 불법은 어려움을 극복하는 수단이 아니라 불법을 따르는 삶을 살도록 만들기 위함이며, 불법은 대가를 지불하고 그 효험을 구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그 자체로 영험한 것이라는 사실이다. 이를 통해 볼 때 『삼국유사』 신주편에서 다루려는 것은 불법이며, 불법이 지닌 영험함을 보여주려 한 것으로 보인다. 그럼에도 세 편밖에 실리지 않은 것은 불법에 대한 그릇된 인식이 형성되는 것을 경계했기 때문이다.

      • KCI등재

        『삼국유사』 신주편 연구

        박인희 ( In Hee Park ) 東亞大學校附設 石堂傳統文化硏究院 2012 石堂論叢 Vol.0 No.52

        『삼국유사』는 사학, 문학, 불교학에서 다각도로 연구되었다. 하지만 신주편에 대한 논의는 상대적으로 적었다. 본고의 목적은 신주편이 무엇을 다루고 있으며, 전하려는 바가 무엇인지 밝히려는 것이다. 『삼국유사』 신주편에는 세 편의 이야기가 실려 있다. 세 편의 이야기를 살펴본 결과 다음과 같은 공통점이 있었다. 세 이야기는 1) 승려가 주인공이며, 2) 타인의 요청으로, 3) 타인의 어려움을, 4) 불법으로 해결한 이야기라는 점이다. 신주편 세 이야기를 『삼국유사』 다른 편목의 이야기들과 비교했을 때 어려움을 불법으로 극복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 신주편 세 이야기에는 불법에 대한 바른 인식을 갖도록 하는 내용이 있었다. 즉 불법은 함부로 사용해서는 안 되며, 불법은 어려움을 극복하는 수단이 아니라 불법을 따르는 삶을 살도록 만들기 위함이며, 불법은 대가를 지불하고 그 효험을 구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그 자체로 영험한 것이라는 사실이다. 이를 통해 볼 때 『삼국유사』 신주편에서 다루려는 것은 불법이며, 불법이 지닌 영험함을 보여주려 한 것으로 보인다. 그럼에도 세 편밖에 실리지 않은 것은 불법에 대한 그릇된 인식이 형성되는 것을 경계했기 때문이다. Studies on Samgukyusa have been progressed largely in the three fields of study, history, literature and Buddhism. Up to date, there have been hundreds of the research papers. However, there are a relatively small number of studies on Sinju-pyeon in Samgukyusa. The aim of this paper is to reveal what Sinju-pyeon in Samgukyusa treats and tries to convey. There are three stories in Sinju-pyeon in Samgukyusa. A review of the three stories reveals the following things in common. They are stories that their main characters who are (1)monks solve (2)other people`s difficulties (3)from other people`s request (4)by the law of Buddha. The other people`s difficulties were knotty. Because they remained unresolved for long time or suddenly happened to someone. Nevertheless, they were solved by the law of Buddha. In the three stories in Sinju-pyeon, the law of Buddha conquers difficulties, which makes them especially distinguished from other stories. Although Samgukyusa might be regarded as a history book, it might be seen as a book collecting stories about Buddhism, too. By the way, the law of Buddha is Buddha`s teaching and one of the Three Treasures in Buddhism. In Samgukyusa, there are various of stories related to Buddhism. It seems that the law of Buddha should have been treated more importantly in Samgukyusa. Nevertheless, there are only the three stories. It can be seen that the reason is a special character of Buddhism. The key point of Buddhism is that people find enlightenment through cultivating their mind for themselves and renounce their earthly desires. In this process, the law of Buddha should help them to renounce their earthly desires. It must not be used as a means for solving individual difficulties. This is the reason that there are only the three stories in Sinju-pyeon in Samgukyusa although the law of Buddha is treated in it. Sinju-pyeon in Samgukyusa treats the law of Buddha and shows that there is no difficulties that cannot be solved by the law of Buddha. Nevertheless, there are only the three stories in it.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reason is in order to show that the law of Buddha should not be used thoughtlessly for solving individuals` problems.

      • KCI등재

        『삼국유사』 스토리텔링의 문화콘텐츠 생성 욕망과 신화적 독서의 생산성 연구 -서정주의 <삼국유사> 해석의 시정신을 중심으로-

        표정옥 ( Jung Ok Pyo )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2013 동방학 Vol.27 No.-

        현재 <삼국유사>는 다양한 각도로 재조명되고 있고 그 부가가치는 더욱 주목받고 있다. 본고는 이러한 문화적인 <삼국유사>의 풍부한 상상력을 미당 서정주가 <삼국유사>를 직접적 소재로 활용한 시세계와 연결시켜 현대적 문화 욕망으로 풀어가고자 한다. 미당은 ??신라초??, ??동천??, ??질마재 신화?? 를 통해 <삼국유사>속 신라의 상상력을 작품 안으로 끌어들였다. 6.25 전쟁을 경험한 시인은 신라를 삼국통일의 정신으로 보고 완성된 민족의 원형을 찾으려했다. 서정주가 <삼국유사>의 상상력을 활용한 것에 주목한 몇몇 논자들은 주로 설화세계와 불교세계의 <삼국유사>의 상상력이 작품 안에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 살피고 있다. 그러나 본고는 연구의 대상을 <삼국유사> 이야기를 전면적으로 다시 풀어쓴 서정주의 시를 통해 현대 문화콘텐츠의 생성 욕망과 만나보기로 하겠다. 서정주가 <삼국유사>를 읽는 과정은 신화적 독서의 과정이었고 그러한 신화적 상상력은 서정주의 현실의 창이 되었고 미래를 읽어내는 만화경으로 작용한다. 독서는 과거의 이야기를 독자가 읽는 시점에서 이해하고 반영하게 함으로써 오늘날의 역사에 영향을 끼친다는 것이다. 서정주의 <삼국유사> 독해 시들에 등장하는 다양한 현실 독해 원리들은 신화적 독서의 여정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article attempts to study about the productivity of the mythical reading and the productive desires about cultural contents of Samgukyusa storytelling, focusing on the interpretation of a poet SeoJungJu`s Samgukyusa poems. The Strange stories of Samgukyusa are created into many cultural contents such as play, musical, drama, movie, and festivals. In 2012, there are many cultural Samgukyusa contents. This article tries to retrospect into the imagination of Samgukyusa with mythical reading of a poet SeoJungJu`s poems. The Shilla was the complete cosmos to a poet SeoJungJu. He sought to find the national archtype through the thoughts of the Shilla. The mythical reading of Samgukyusa made a poet SeoJungJu imagine creatively and mythically. Through the SeoJungJu`s poems, we can find the cultural productivity of Samgukyusa. Finally, we can connect the Samgukyusa cultural contents with SeoJungJu`s poems. Myths of Ilyeon and SeoJungJu are the same viewpoints about the world. In this article, we can compare the SeoJungJu`s poetic desires with Ilyeon`s storytelling desires.

      • KCI등재

        일본의 『三國遺事』 연구동향과 과제

        이석환 한국동서철학회 2019 동서철학연구 Vol.0 No.92

        This paper describes the current state of the Japanese research on Samgukyusa. Samgukyusa, a document which allows us to understand society, culture, life, historical views, and the Buddhist view of the time, has been mostly studied as a single document in various fields of humanities in Korea. Therefore, this paper primarily examines the present condition of the block book of the Samgukyusa. And later, it describes how the Samgukyusa was studied in Japan by dividing it into two categories: a category of literature, translation and linguistics; and a category of history and philosophy.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 research has advanced in the whole field of humanities. Much research has been advanced, especially in fields of history and language, philosophy, mythology and fables. Second, many Korean research results are being introduced in Japan. The Special Edition of the Ajiakouron(『アジア公論』), The Special Edition No. 169 of Ajiayugaku(『アジア遊学』), and The Study of Journal of Indian and Buddhist Studies show the direct or translated research results of Korean researchers. However, since the research is centered on mainly history and philosophy,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the results of research in the language field to Japanese academia. Thirdly, the existing Samgukyusa in Japan, which reside in Tenri University, Hosabunko(蓬左文庫) and Kanda(神田), were seized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in 1592 or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n particular, the collection of the Tenri University’s facsimile edition of Samgukyusa is the main text of the study and its comparative research based on the facsimile edition was conducted in both Korea and Japan Currently, Samgukyusa, which is the research subject of researchers, is studied mainly based on the facsimile edition. Through the facsimile edition and printed books we can understand the thought and the historical contents, but the facsimile edition alone cannot confirm the corrections, brushstrokes, and calibrations of the originals. Therefore, the original domestic and foreign documents have to be confirmed and secured for empirical research such as the comparison and contrasting of Samgukyusa. In addition, in order to utilize and inform various contents of the tribal remains, it is necessary to conduct fusion research between research systems in all the field of humanities. 본 논문은 일연의 저서인 『삼국유사』가 일본에서는 어떻게 연구되었는지에 관하여 살펴본 논문이다. 『삼국유사』는 당시의 사회, 문화, 생활, 역사관, 불교관을 볼 수 있는 문헌으로서 인문학의 다양한 분야에서 단일문헌으로는 가장 많이 연구되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삼국유사』의 판본현황을 살펴보고, 일본에서 『삼국유사』가 어떻게 연구되었는지에 관하여 문헌학과 번역학, 어문학의 측면과 역사 · 철학의 두 카테고리로 나누어 고찰했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문학분야의 전분야에 걸친 연구가 진행되었다. 특히 사학과 어학, 철학과 신화와 설화의 분야에서 다수의 연구가 진행되었다. 둘째, 한국의 연구성과가 다수 일본에 소개되고 있다. 『아시아공론』의 특집기사와 『아시아유학』의 169호 특별판, 『인도학불교학연구』의 기사 등을 살펴보면, 한국 연구자들의 연구결과를 직접 소개하거나 번역하여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역사철학 분야의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어학분야에서의 연구결과를 일본학계에 제시할 필요가 있다. 셋째, 일본에 현존하는 『삼국유사』는 임진왜란 또는 일제 강점기에 수탈된 것으로서 텐리대학과 호사분고, 칸다본의 임신본이 있다. 특히 텐리대학 소장본이 연구의 주요문헌이고, 영인본을 바탕으로 대조연구가 한일양국에서 진행되었다. 현재 연구자들의 연구대상이 되는 『삼국유사』는 영인본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영인본과 활자본을 통해 사상과 역사적인 내용은 알 수 있으나 영인본만으로는 원본에 있는 가필과 필사, 보사, 수정여부를 확인할 수 없다. 그러므로 『삼국유사』의 교감과 대교 등의 실증적 연구를 위해서는 국내외 문헌의 원본을 확인하고 확보해야만 한다. 또한 『삼국유사』의 다양한 컨텐츠를 활용하고 알리기 위해서라도 인문학 제분야의 학제간 융합연구가 필요하다.

      • KCI등재

        일반논문 : 최남선의 『삼국유사해제(三國遺事解題)』에 나타난 기억(記憶)의 문화적 욕망과 신화의 정치적 전략 연구

        표정옥 ( Jung Ok Pyo ) 국제비교한국학회 2013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Vol.21 No.3

        본고는 최남선의 『삼국유사해제』를 이해하기 위해 원천 텍스트인 일연의 『三國遺事』와의 연계성을 고려해 문화적 기억과 신화의 정치적 욕망을 읽어가는 작업이다. 본고는 근대 심상공간에 투사된 신화적 상상력과 지식의 형성과정을 재정립하기 위해 최남선의 『삼국유사해제』를 중심으로 한 근대 공간의 신화성에 대한 논의를 세 가지 측면에서 논하고자 했다. 첫째, 지금까지 최남선이 『三國遺事』에 관심을 가지게 된 문화적 배경과 의의가 적극적으로 연구되지 않았다는 점을 지적할 수 있다. 임진왜란 때 일본으로 건너간 『三國遺事』를 최남선이 세상에 소개했다고 하는 논의는 간헐적으로 언급이 되어왔으나 전기적인 측면에서 왜 하필이면 『三國遺事』를 근대 초창기에 문화담론의 중심에 두었는지 규명하지 못했다. 둘째, 최남선은 『三國遺事』 중에서도 특히 고조선의 ‘단군’에 대해서 지대한 관심을 가졌다. 최남선의 단군 연구는 일본 학자들의 단군에 대한 잘못된 해석을 바로잡기 위해 시작된 논의였다. 특히, 일본 학자의 <단군고>는 단군의 역사와 실체를 부정하기 위해 작성된 논문이었다. 최남선은 단군에 대한 기억 구축과 신화화를 통해서 궁극적으로 문화민족을 열망하였다. 단군에 대한 문화적이고 신화적인 공동 환상을 어떻게 만들어 가는지 살펴볼 것이다. 셋째, 최남선에게 있어서 신화를 기억하는 것은 문화의 정치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삼국유사해제>의 문화의 정치화 전략을 통해서 신화의 정치적 전략은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이 세 가지의 문제의식을 『三國遺事』와 <삼국유사해제>의 비교연구를 통해 집중적으로 살펴보고자 했다. This article attempts to examine into the cultural desire of the memory and the political strategy of the myth in Ilyeon`s Samgukyusa and Choi Nam-sun`s Samgukyusaheje <The interpretation of Samgukyusa>. To build up the mythical imagination in the modern mental space, Choi published Samgukyusaheje with Samgukyusa. Choi already published in such magazines as Sonyeon(Boys) and Chengchoon(Youth), after he had returned from Japan. This article compares Ilyeon`s Samgukyusa with Choi`s Samgukyusaheje in three points of view. The first, this article researches into the cultural backgrounds of writing Samgukyusa and Samhgukyusaheje. In 1592, Chosun was deprived of Ilyeon`s Samgukyusa to Japan. For 400 years, Samgukyusa was read in Japanese kingdom. Choi published this book with interpretation in 1927. The second, Choi thought the Dangun most importantly. His research into Dangun was a political struggle against Japanese scholars. He wanted the cultural nationality through the Dangun. The Third, Choi`s methods of studying the myth was not only to obtain the cultural modernity and the political modernity. Memorizing the myth was the sign to express his strong will. Through three points, this article researches into Choi`s cultural mythicality.

      • KCI등재

        백제사에서의 興法과 <三國遺事> ‘法王禁殺’條의 의미

        박현숙 동국대학교 WISE(와이즈)캠퍼스 신라문화연구소 2014 新羅文化 Vol.43 No.-

        The part of ‘Heungbeop’ in the the Samgukyusa consists of two articles, one of which, entitled as ‘Nantabyeokje,’ discusses the introduction of Buddhism to Baekje and the other of which, entitled as ‘Beopwanggeumsal,’ deals with the measures for the advancement of Buddhism taken by Baekje. This shows that the book considers the two subjects to be significantly relevant to the ‘Heungbeop’ in Baekje. Especially the event recorded in the article of ‘Beopwanggeumsal’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subjects in relation to the ‘Heungbeop’ in Baekje, which is why the Samgukyusa spared a separate article for the event. Therefore this paper makes an attempt to find out the reasons why the Samgukyusa, in the part of ‘Heungbeop’ focused on Beopwang(法王) instead of Seongwang(聖王), Wideokwang(威德王), and Muwang(武王), who actively engaged in various activities to promote Buddhism in Baekje. The first reason is that the part related to the ‘Heungbeop’ the Samgukyusa was written mainly based on the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Samguksagi. Secondly, the title ‘Beopwang’ itself probably drew attention from the editors of the Samgukyusa. The title ‘Beopheungwang(法興王)’ from Silla and the title ‘Beopwang’ from Baekje certainly have something in common. Not only did both kings have Buddhist names but also they led a lifestyle that conformed to the Buddhist principle of ‘Geumsalsaengyeong(禁殺令).’ Thus it is possible that the editors of the Samgukyusa perceived Beopwang of Baekje as someone comparable to Beopheungwang of Silla in terms of ‘Heungbeop’. The Samgukyusa is mainly concerned with Buddhism itself rather than its relations to the state. It is also a historical text that was designed to deliver concrete historical facts obtained through historical research. The part of ‘Heungbeop’ in the book was a record of the important events related to the propagation of Buddhism in the three kingdoms that had been omitted in the Samguksagi. The ‘Heungbeop’ part is important in that it allows us to see the period of the Three Kingdoms with a understanding of Buddhism.

      • 『삼국유사』권2 <무왕조>에 나타난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와 문학치료적 함의

        장만식 ( Jang Man-sik ) 한국문학치료학회 2007 문학치료연구 Vol.6 No.-

        This study aimed to find out and analyze oedipus complex symbols and metaphors appeared in < Muwangjo >, Volume II of 『Samgukyusa』 and to open up the possibility of curing or educating the oedipus complex through the fairy tale, Korean classic literature. Furthermore, the study attempted to suggest that Korean classic literature, the fairy tale, would be studied and utilized in various therapeutic situations with the aid of this study. The study of < Muwangjo >, Volume II of 『Samgukyusa』 acknowledged that its content was based on real persons and stories, and narrative content was added to enrich its story and took a developed epic aspects. Therefore, this study considered it as a fairy tale and discussed it from the narrative perspective. In addition, the study dealt with the entire part of < Muwangjo >, Volume II of 『Samgukyusa』and it did not separate the Yeongidam about Mireuksa foundation from other parts in the rear section of < Muwangjo > because < Muwangjo >, Volume II of 『Samgukyusa』 has expanded the width of life and the depth of thought in today`s life as well as in the contemporary life even if several centuries have passed. It has been believed that it would enable one to widen and deepen one`s understanding and appreciation through its psychological understanding so that one could discover small materials or guidelines and lessons for our lives, which would be meaningful. Compared to 『Beauty and the Beast』 that was rich with romantic and fantastic expressions, < Muwangjo >, Volume II of 『Samgukyusa』 could be considered original, and there were the differences in weight between beast and Seodong in their identification and works. However, the researcher of this study attempted to find out oedipus complex-oriented symbols and metaphors shown in 『Beauty and the Beast』 starting from the assumption of a fairy tale based on the existing studies and to analyze them. Then, the study interpreted them shown in < Muwangjo >, Volume II of 『Samgukyusa』 based on 『Beauty and the Beast』. Based on this interpretation, the study attempted to find out the methods of applying the education of classic literature as its literature-therapeutic implication, that is, human being who bestowed love with mature consciousness about sex, and a healing for the recognition of mature life. * 연기(담)- Yeongi-dam: a fairy tale about the origin (history) of founding a Buddhist temple * 삼국유사- Samgukyusa: Korea`s oldest remaining history book on the Three Kingdoms era written in the late 13th century and compiled by Buddhist monk

      • KCI등재

        삼국유사 고판본과 파른본의 위상

        김상현 ( Sang Hyun Kim )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13 동방학지 Vol.162 No.-

        본고에서는 파른본 『삼국유사』를 다른 여러 고판본과 비교하여, 그 특징과 위상을 살펴보고자 했다. 이를 요약하면 대략 다음과 같다. 『삼국유사』에는 권1부터 권4까지에는 저자가 기록되지 않고, 권5에만 國尊曹溪宗迦智山下麟角寺住持圓徑?照大禪師一然撰이라는 저자명이 보인다. 저자의 職銜에 諡號 普覺이 포함되지 않았음에 유의하면, 일연이 國尊에 책봉되고 79세로 인각사 주지가 되었던 1285년이후로부터 84세로 입적한 1289년까지의 일연 생존 시에 『삼국유사』는 제5권까지 모두 脫稿되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삼국유사』에는 일연의 제자 無極이 덧붙인 기록이 두 군데 있지만, 無極은 자신이 덧붙인 기록에 無極記라고 밝혀 원래의 원문과 구별할 수있도록 했다. 그리고 무극은 『삼국유사』를 간행?유통시켰을 것인데, 아마 이것이 초간이었을 것이다. 물론 고려시대에 『삼국유사』가 간행되었다는 구체적 사실은 드러나지 않고 있다. 비록 고려 공민왕 10년(1361)에 작성된 전적에 『삼국유사』가 인용된 사례가 있지만, 이 또한 간행본인지 필사본인 지에 대한 판단은 쉽지 않다. 조선 초의 고간본을 초간본으로 보기에는 여러 문제가 있다. 闕字와 避諱代字 등이 가장 중요한 문제로 대두된다. 조선 초기 고판본에도 궐자의 사례가 여러 차례 보인다. 파른본에는 글자를 새기지 않은 채 빈칸으로 남겨둔 것이 왕력 및 권1과 권2에서 18곳에 이른다. 고려 혜종의 휘 武자를 대신해서 虎자를 쓴 사례와 성종의 휘 治자를 대신해서 理자를 쓴 사례는 대단히 많다. 이처럼 고려시대의 피휘법이 적용된 사례가 많은 것은 고려시대에 이미 존재했던 초판본으로부터 비롯되었기 때문일것이다. 물론 피휘법이 적용되지 않은경우도 가끔 있는데, 이는 조선시대 초기 重刊時에 고쳐졌을 가능성이 있다조선 초에 간행된 고간본 삼국유사 는 석남본, 송은본, 니산본, 조종업본, 범어사본, 파른본 등이 있다. 그러나 석남본은 현재 그 소재가 불명이고,니산본과 조종업본은 권2와 권3만이 전해온다. 따라서 왕력과 권1 권2의 파른본이 갖는 의미는 더욱 크다. 조선초기 간본 중 왕력과 권1의 경우는 오직 파른본 만이 유일하다는 점에서 파른본의 가치는 더욱 큰 것이다. 왕력은한국 고대 왕위 계승에 관한 사료를 전해주고 있기에 중요한데, 파른본 왕력의 인쇄 상태는 비교적 양호한 편이다. 그리고 임신본 『삼국유사』 기이편 고조선조의 桓國 운운은 원래 고판본의 桓因의 因을 國으로 잘못 새긴 것이었음은 파른본을 통해서만 확인할 수 있다. 파른본에는 桓因의 因이 그 이체자인 으로 되어 있다. 비록 한 글자이지만 단군신화와 관련된 오랜 논쟁의 일단을 종식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하다.핵심어: 파른본 『삼국유사』, 일연(一然), 왕력(王曆), 환인(桓因), 궐자(闕字) This study aims to elucidate the unique features and significance of the Pareun Edition of Samgukyusa by comparing it with other editions of the work. The name of the author, Ilyeon, is not included in Books 1, 2, 3 and 4 of Samgukyusa: only volume 5 has the name written in it. Considering the fact that Ilyeon`s posthumous title for the work, Bogak, is not used with the author`s name, it is possible to conclude that Samgukyusa was completed between 1285, when Ilyeon became the chief priest of Ingaksa Temple and master of the King at the age of 79, and 1289, when he attained nirvana at the age of 84. There are two additional remarks by Mugeuk, Ilyeon`s disciple, in the original Samgukyusa. These notes are distinguished from Ilyeon`s text by Mugeuk`s name written under them. It is believed that Mugeuk published and popularized Samgukyusa, and if so, his is likely the first edition. However, there is no definite evidence that Samgukyusa was published in the Goryeo period. Even though a book published in the 1 0th year ( 1 361 ) of t he K ing Gongmin o f Goryeo q uotes f rom Samgukyusa, it is not easy to elucidate whether the quotation from Samgukyusa came from a printed copy or a handwritten one. substituted for ``因`` in the word ``桓因`` in the ``Giyi`` (``Mythology``) chapter of the ``Gojoseon`` article of the Old Edition. In the Pareun Edition, ``因`` in ``桓因`` is engraved as `` ``, which is one of many variant forms of the character ``因``. This one character is important enough to end the controversy of many decades concerning the myth of Tan-gun`s birt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