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람회를 통해 본 한국 근·현대의 서예

        전상모 ( Jun Sang Mo ) 한국동양예술학회 2020 동양예술 Vol.46 No.-

        본고에서는 《협전》·《조선미전》·《국전》이 근·현대 한국서예의 흐름을 주도했다고 간주하고, 담론을 중심으로 그 문제점을 대략 살펴보았다. 《조선미전》과《국전》을 거쳐 오면서 많은 작가가 배출되었지만 작가들의 작품을 살펴보면 대부분이 획일화된 경향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그럼에도 ‘전람회’가 서예의 대중화에 기여한 면은 대단히 컸다. 《협전》은 ‘미술의 발전과 후배양성’을 목적으로 1921년부터 15회까지 개최된 우리나라 최초의 민전이었으나 《조선미전》에 필적할 만한 규모나 형태를 갖추지 못한 채 막을 내렸다. 그렇지만 후학을 양성하고 전람회도 가지면서 민족미술의 맥을 이었다는 데에 그 의의가 있으며 당시 시대상황을 고려할 때 마땅히 높이 평가되어야 할 것이다. 《조선미전》은 일제의 조직적인 문화정책답게 조선 서화계 전반이 일본풍의 아카데미즘으로 이끌려져 가게 되었다. 다른 부문과는 달리 《조선미전》서부는 민족사회의 서예가를 심사위원으로 위촉하였는데, 이로 인해 계열성이 나타났다. 이러한 경향은 《국전》으로도 이어져 한국 현대서예의 다양한 발전을 저해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이러한 문제점에도 불구하고 《조선미전》으로 인해 형성된 언론의 반응은 한국 근·현대서예에 있어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저널을 통해 당시 서화의 실상을 알리는 가운데 서예의 존재가치에 대한 평가와 분발을 촉발하였고, 자연히 일반대중의 관심을 유도하는 결과를 낳게 되었다. 《국전》의 목적은 일제 식민지문화 잔재의 청산과 민족미술의 수립이었지만, 《국전》은 《조선미전》과 마찬가지로 세속적인 명리를 달성하기 위한 도구로 전락하였다. 그래서 《국전》이 진행되는 동안 주목되는 현상은 그 수상작이나 특·입선작을 통해서 볼 때, 어느 한 개인이나 사숙적인 요소가 많이 나타나 있다. 그렇지만 《국전》은 많은 우여곡절에도 불구하고 1949년부터 1981년까지 30회에 이르는 동안 한국 서단의 중추가 되는 서예가들을 배출시킴으로써 한국 현대서예의 기초를 튼튼하게 다져냈다는 것은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다. 1920년대의 《협전》과 《조선미전》그리고 해방 후 30여 년간 이어온《국전》은 서예의 저변을 확장시켰으며, 이로 인해 서예의 담론이 일어나게 되었다. 따라서 한국 근·현대서예에 있어서의 ‘전람회’는 특별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또한 ‘전람회’는 식민지 조선과 해방 후 30여 년간 우리나라 근·현대 서예를 선도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런 까닭에 본고에서 근·현대 한국서예의 흐름을 ‘전람회’에 대한 담론을 중심으로 간략하게 살펴보는 것도 오늘날 한국서단이 나아가야 할 방향성을 모색하는데 많은 교훈이 되리라 생각한다. In this paper, I considered that 《Exhibition of Paintings and Calligraphy Association》, 《Joseon Art Exhibition》and 《National Art Exhibition of the Republic of Korea》led the flow of Korean modern- contemporary calligraphy and examined the problems with a focus on discourse. Many artists have been produced through 《Joseon Art Exhibition》and 《National Art Exhibi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but most of the artists' works did not escape the uniform tendency. Nevertheless, the exhibition contributed to the popularization of calligraphy. 《Exhibition of Paintings and Calligraphy Association》was the first nongovernmental exhibition held with the purpose of 'development of art and nurture of younger generation' in Korea in 1921 and had been continued till the 15th exhibition. However, it did not have a large scale or a systematic form comparable to Joseon Art Exhibition. Nevertheless, it is significant that it had carried on the legacy of national arts by nurturing the younger generation artists and having continuous exhibitions, and it should be highly appreciated considering the circumstance of the times. Since 《Joseon Art Exhibition》was a part of the systematic cultural policy of Japanese imperialism, the whole Korean calligraphy field was led by Japanese academicism. Unlike the other fields of art, the calligraphy field of 《Joseon Art Exhibition》commissioned the calligraphers from the nationalistic society as judges, so the filiation has been produced. This trend was also found in 《National Art Exhibi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it was judged to impede various developments of Korean modern calligraphy. In spite of these problems, the reaction of the press against 《Joseon Art Exhibition》has important meaning in Korean modern-contemporary calligraphy. Through the journal, the press informed the reality of calligraphy of the times, and that caused the evaluation and exertion of the value of calligraphy, which naturally had led to the public's attention. The purpose of 《National Art Exhibition of the Republic of Korea》was to clear the remnants of Japanese colonial culture and to establish national art, but 《National Art Exhibition of the Republic of Korea》became a tool for achieving secular fame and wealth as 《Joseon Art Exhibition》did. As a result, the winning works of 《National Art Exhibition of the Republic of Korea》had often been concentrated on the pupils of certain individuals. Despite these many twists and turns, it is undeniable that 《National Art Exhibition of the Republic of Korea》laid out the foundations of Korean modern calligraphy by producing the calligraphers who became the backbone of the field of Korean calligraphy during the 30 times of exhibitions from 1949 to 1981. 《Exhibition of Paintings and Calligraphy Association》and 《Joseon Art Exhibition》of the 1920s, and 《National Art Exhibition of the Republic of Korea》which had been continued for 30 years since liberation expanded the base of calligraphy, and it led to the discourse of calligraphy. Therefore, the ‘Exhibition’ in Korean modern-contemporary calligraphy has a special meaning. In addition, it could be said that the 'Exhibition' led the Korean modern-contemporary calligraphy during the period of colonial Joseon and 30 years after liberation. For this reason, a brief review of the flow of Korean modern-contemporary calligraphy, focused on the discourse on “Exhibitions” would be a lesson for us to seek the direction of the Korean calligraphy these days.

      • KCI등재

        1950년대의 한국미술(1), 제1공화국 미술의 태동과 진통

        홍선표(洪善杓) 한국미술연구소 2015 美術史論壇 Vol.- No.40

        Within the periodical waves of Korea, the new divided country, the art of the 1950s sought a new change along with a struggle for the leadership through its objective conditions: the three-year period of war, the period of returning to the capital, and the renaissance. The main themes included a succession of the tradition of the ethnic arts, the internationalization of modern art, and so on. In addition to another reenactment of the fascist nationalism of the Japanese Occupation, an effort to overcome Japanese style since Korea"s liberation has continued. Meanwhile, the modern arts of the Asian modernism, which encompassed both nationalism and modernism, yielded certain positive results, so that they started accelerating their movement toward modern arts. Such creative activities were developed by professors in Korea"s first art college and emerging artists of the first generation that was from the art college. The activities were conducted in the art field that was mainly organized by the Korean Arts Association that has reconstructed the right-wing-based Joseon Arts Association. Also, the Korean Arts Association has been reorganized by North and South Korean artists. With a focus on the paintings that compose most part of the Korean artworks in the 1950s, this dissertation introduces them by dividing them into several categories of the themes. In doing so, this dissertation attempts to rebuild a step of the history of Korean paintings, that is, the time when switched from modern arts of the Japanese Occupation to contemporary arts of the Republic of Korea, while exploring the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the arts in the period. As a part of it, the dissertation describes the reorganization of the art field, which only consisted of the right wingers, the art activities in refuges, and the artists and their styles, particularly, the artists who worked mainly for national exhibitions, that is, the main battleground for gaining cultural hegemony and fame distributed by the country.

      • KCI등재

        이승조의 <핵(核)> 연작 - 한국적 모더니즘의 또 다른 가능성

        조수진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구 한국근대미술사학회) 2020 한국근현대미술사학 Vol.39 No.-

        Lee Seungjio is well known for his <Nucleus> series — paintings comprised of various cylindrical forms resembling pipes. Throughout his lifetime, Lee devoted himself to these distinctively clear, rational and deliberate abstract pieces. Existing analyses of Lee Seungjio’s paintings often view the pipe-like forms in the <Nucleus> series as symbols of modernization unfolding in Korea at the time, and regard his work as a model example of Korean geometric abstract art. Additionally, some have associated the changes since the 1970s in Lee’s paintings with the conceptual art of group “AG” or Lee’s interest in phenomenology. In other analyses, Seungjio has been touted as one of the founding fathers of monochrome abstract art in Korea. However, in these previous studies, it is difficult to find detailed explanation regarding what exact features of the <Nucleus> series made it different from other geometric abstract art at the time — or what exactly Korean op art even was. Is there really no way of recognizing the significance of Lee Seungjio’s art, without referencing his core artistic features to specific organizations or art styles? This paper began from the above question. This paper aims to achieve two things: first, to regard Lee’s paintings as a visual indicator existing within the societal/cultural and political/economic climate of the time; second, to propose a new way to understand not only Lee’s art but also the history of Korean geometrical abstract art since the 1960s. This paper finds that Lee’s <Nucleus> series was born from the intersection of 《National Art Exhibi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avant-garde art group “Origin”, and industrial design — leading the paintings to simultaneously embody the contradicting qualities of avant-garde/ academic, and pure/applied arts. Furthermore, this paper also argues that the <Nucleus> series cannot be understood only in the confines of figurative painting, geometric or monochromatic abstract painting. This paper seeks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existing research methods in Korean art history, which has traditionally been rooted on nationalism and evolutionist views. As an alternative, this paper employs a new methodological framework to investigate geometric abstract art and Lee Seungjio’s works. As a result, this study finds that in his styles spanning across the figurative, the abstract, and the hyper-realistic, Lee’s only objective as an artist ultimately lied in the visual issues of paintings. In conclusion, Lee Seungjio’s <Nucleus> series successfully created a complete visual illusion by overcoming the resistance of medium, fulfilling the duty long carried by modernism abstract paintings. From this, we can discover from Lee’s abstract works a new possibility for Korean modernism — one that neither relies on tradition nor spirit. 이승조(李承祚, 1941-1990)는 파이프를 연상시키는 원통 형태를 다양하게 구성한 회화 〈핵(核, Nucleus)〉 연작으로 널리 알려진 작가이다. 작가는 특유의 명징하고, 이지적이며, 계획적인 성격의 추상회화를 평생 고집스럽게 선보여 작고한 뒤엔 “우리 화단에서는 보기 드물게 엄격한 기하학적 추상의 세계를 추구한 화가”, “논리적인 작업의 전통이나 체험이 빈약한 우리의 현대미술 속에서 더없이 이채로운 존재”라는 찬사를 받았다. 이승조 회화에 관한 기존의 연구들은 대체로 〈핵〉 연작에 나타나는 파이프 형상을 조국 근대화에 주력하던 한국 사회의 시대적 상징물로 바라보면서, 그의 작업을 기하학적 추상회화의 새로운 전형을 구축한 것으로 여기거나, 한국 옵아트의 대표적인 사례로서 간주한다. 또 1970년대 이후 이승조 작품의 변화를 그룹 ‘AG’의 개념미술 및 현상학에의 관심과 연계해 해석하거나, 그를 모노크롬 추상회화의 태동과 형성을 주도한 주요 작가의 반열에 올려놓기도 한다. 그러나 이 연구들에서 정작 이승조의 〈핵〉 연작의 어떤 특징이 당대의 다른 기하학적 추상회화와 구별되는 새로운 전형을 제시했는지, 한국적 옵아트란 과연 어떤 것이었는지에 대한 구체 적이고 상세한 설명은 찾아보기 어렵다. 이승조의 예술세계 전반을 관통하는 핵심적 특징을 특정 활동 단체나 회화 양식의 성격에 기대지 않고 고찰해 그 미술사적 의의를 찾을 방법은 없는 것일까? 이 같은 의문에서 출발한 본 연구는 이승조의 회화를 당대의 사회·문화적, 정치·경제적 맥락 속에 자리하는 시각적 지표로 간주하고, 그의 작품뿐 아니라 1960년대 이후 한국 기하학적 추상회화의 역사 전반에 대한 기존 견해를 교정할 기회를 마련해 보고자 했다. 이로써 한국의 기하학적 추상회화, 옵아트의 시발점이 된 이승조의 〈핵〉 연작이 《국전》, 재야의 전위 단체 ‘오리진’, 산업디자인의 영역이 교차하는 지점에서 탄생했음을, 그리하여 태생적으로 전위미술과 아카데미즘 미술, 순수미술과 응용미술의 속성을 모두 지니고 있었음을 밝혔다. 또 이승조의 〈핵〉 연작을 구상, 기하학적 추상, 모노크롬 추상, 그리고 극사실회화의 어느 한 범주에만 국한해 이해할 수 없음도 피력했다. 본 연구는 이 같은 과정을 통해 순혈주의와 진화론에 기반했던 기존 한국 현대미술사의 기술 방식을 극복하고, 기하학적 추상회화와 이승조 회화를 고찰할수 있는 새로운 미술사 방법론을 모색해 보고자 했다. 그 결과 구상에서 출발해 추상으로, 그리고 다시 극사실에 도달하기까지, 작가 이승조의 목표는 오로지 회화에 서의 시각적 문제의 추구였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이승조의 〈핵〉 연작은 미술사에서 모더니즘 추상회화에 주어졌던 과업, 즉 ‘매체의 저항을 압도해 완벽한 시각적 일루 전을 창출하는’ 일을 완수해냈는데, 이로써 우리는 그의 추상회화에서 전통이나 정신에 기대지 않은 한국적 모더니즘의 또 다른 가능성을 발견할 수 있다.

      • KCI등재

        후기 연진회(鍊眞會)의 사군자 연구 ― 대한민국미술전람회와 전라남도미술대전 출품작을 중심으로 ―

        최혜영 ( Choi Hea-young )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17 호남학 Vol.0 No.62

        본 논문은 광주지역의 가장 오래된 수묵채색화단체인 연진회(鍊眞會, 1938- )의 현대 사군자 양식에 관한 글이다. 근현대 광주화단의 거장 의재 허백련(毅齋 許百鍊, 1891-1977)은 일제강점기 격변하는 국내화단의 흐름 속에서 조선말기의 전통남종화를 지속하여 그린 인물로 잘 알려져 있다. 그는 산수화뿐만 아니라 매란국죽에 화훼류를 더한 팔군자, 십군자를 평생에 걸쳐 다수 남기면서 호남지역의 사군자전통을 이어나갔다. 허백련을 중심으로 결성된 연진회(鍊眞會)는 시대, 구성인물과 모임의 성격이 변화함에 □라 일제강점기의 전기 연진회와 해방이후의 후기 연진회로 구분한다. 후기 연진회는 1950년대부터 허백련의 문하에 들어가 도제식 교육을 통해 서화를 배운 이들로, 그와는 사제관계에 있기 때문에 화풍 간 영향관계가 분명히 드러난다. 이는 호남지역 서화가들의 동호적 성격이 짙은 전기 연진회와 구분되는 점으로, 이러한 특징 때문에 후기 연진회의 초기 창작활동은 기법적, 제재적인 측면에서 허백련의 화풍과 유사한 요소들을 찾아보기가 쉽다. 그 중에서도 남종화 창작활동의 기초단계로 여겨지는 사군자는 이러한 측면이 더욱 두드러지는 장르이다. 즉, 후기 연진회의 사군자는 허백련으로부터 호남화단의 전통 사군자 계보를 이어갔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니고 있다. 또한 이들은 1950-1970년대 화단에서 열풍을 일으켰던 대한민국미술전람회, 전라남도미술대전 등 관전에서 괄목할만한 수상실적을 내면서 한국 현대 사군자의 일맥을 이룸으로써 중요하게 여겨진다. 한편으로 왕성한 공모전 활동이 연진회의 사군자 양식에 미친 영향 역시 존재하는데, 관전이 제시한 규격에 따라 사군자를 그리는 화면의 규모가 축소, 정형화되고 그 안에서 제재 선택의 폭도 좁아지게 되었다는 점이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후기 연진회는 호남화단의 팔군자 전통에 따라 매란국죽 외에도 모란과 소나무 등을 다수 그리는 독자적인 특징을 드러내었다. 또한 일부 작가들은 일명 ‘허백련 풍 사군자’에서 탈피하여 일찍이 개성적인 화풍을 펼쳐나가기도 하였다. 이렇게 허백련의 전통을 이어받은 후기 연진회의 사군자는 이들이 직접 설립, 운영하였던 연진회미술원으로 이어짐으로써 대략 한 세기에 가까운 시간 동안 그 양식이 이어져나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paper studies modern painting style of the Four Noble Plants(plum blossom, chrysanthemum, orchid, and bamboo) by members of Yeonjinhoe (1938- ), the oldest association of ink and light color painters in Gwangju, the central city of southeastern Korea. Heo Baek-ryeon(1891-1977), pennamed Uijae, is an iconic painter from Gwangju. He is well known for upholding the traditional Southern School painting of the late Joseon period through the great change in Korean painting that occurred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Carrying on the tradition of the Four Noble Plants of the Jeolla region, Heo Baek-ryeon added four or six flowering plants to the original Four Noble Plants and left many paintings of what could be called the Eight Noble Plants and the Ten Noble Plants in addition to landscape paintings. Organized under the leadership of Heo Baek-ryeon, the Yeonjinhoe underwent two distinct phases marked by change in the membership and purpose of meetings of the association: the Early Yeonjinhoe and the Latter Yeonjinhoe. Yeonjinhoe in the latter period was composed of painters who had learned painting from Heo Baek-ryeon through apprenticeship training since the 1950s. Paintings by members of the Latter Yeonjinhoe show obvious influence of the master. It is easy to find similarities to Heo Baek-ryeon’s painting style in earlier works by the Latter Yeonjinhoe members in terms of techniques and subjects. This distinguishes them from paintings by the Early Yeonjinhoe members working on calligraphy and painting in the region, who shared the same basic taste but were independent. Influence of Heo Baek-ryeon is much more apparent in the paintings of the Four Noble Plants that are thought to have been done during the early stage of Southern School painting. In short, the paintings of the Four Noble Plants by members of the Latter Yeonjinhoe are important in that they continued the genealogy of the Four Noble Plants tradition of painting in the Jeolla region following Heo Baek-ryeon. Interestingly, the Latter Yeonjinhoe members made strong showings in major governmentorganized art competitions including the Grand Art Exhibition of Korea and the Grand Art Exhibition of Jeollanam-do Province and formed one of the main streams of the Four Noble Plants in modern Korea. And Yeonjinhoe came to be regarded as an important art circle in Korea. On the other hand, the painting style of the Four Noble Plants of Yeonjinhoe became increasingly influenced by competitions because of the members’ wide participation. Their works became smaller and standardized according to the entry requirements of the competitions, which necessarily narrowed the choice of subjects. Nevertheless, the unique painting style of the Latter Yeonjinhoe showed through, and the members did numerous paintings of peonies and pine trees together with plum blossoms, chrysanthemums, orchids, and bamboo, the four traditional subjects of painters of the Jeolla region. Some painters who emerged from the so-called ‘Four Noble Plants in the Heo Baek-ryeon style’ eventually developed their own unique painting styles, but the style of Four Noble Plants of the Latter Yeonjinhoe, which was built on the tradition of Heo Baek-ryeon, was carried on by the Art Institute of Yeonjinhoe founded and run by members of the Latter Yeonjinhoe. That painting style of Heo Baek-ryeon continued for nearly one hundred years testifies to the importance of the art of Yeonjinhoe.

      • KCI등재

        남계 이규선(南溪 李奎鮮, 1938~2014)의 회화

        송희경 ( Song Hee-kyung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구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21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84 No.-

        남계 이규선(南溪 李奎鮮, 1938~2014)은 한국화 분야에서 독자적인 추상 회화를 창작한 화가다. 그는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회화과 학부 시절에 유화를 그리고 국전 서양화부와 동양화부에 모두 출품하는 등, 동양화와 서양화를 가리지 않고 학습하였다. 그러나 1970년 19회 국전부터 동양화부 비구상 부문에만 참여하면서 본격적으로 추상성을 모색하였다. 이 시기 출품작의 특징은 직선의 교차로 생긴 기하학적 면 분할, 두터운 채색과 호분의 사용, 스프레이 기법을 활용한 얼룩의 고안이다. 이렇듯 회장미술에서는 추상 회화로 두각을 나타냈지만, 상업용 그림으로는 소품의 아동 인물화를 다작하기도 하였다. 이규선은 1970년 중, 후반부터 검정색을 위주로 한 화면에 일부 원색을 가미하였고, 부드러운 곡선으로 면의 분할을 시도하였다. 1990년대에는 단순한 흑백의 평면 추상에 더욱 집중하며, 검정색의 붓질이 지나간 자리에서 엿보이는 미묘한 차이를 보여주었다. 2000년대부터 시작된 <시창청공>, <서창청공> 시리즈에서는 실내 창호지 문을 열어 외부 풍경을 바라보는 연출을 시도하였다. 이렇듯 이규선은 전통 회화의 개념, 이론, 서사보다도 사물이나 상황에서 떠오르는 기분이나 이미지를 표현하고자 하였다. 현대 회화로서의 추상성, 동양 회화로서의 수묵과 자연의 모티브, 한국 회화로서의 원색을 조합하여, 이규선 만의 현대성, 동양성, 한국성의 기호를 창출한 것이다. 이것이 이규선이 추구한 추상 회화의 특징이라 할 수 있다. Lee Gyu Sun(李奎鮮, 1938~2014), also known for his art name Namgye(南溪), was a painter who created his own distinctive style of abstract paintings in Korean painting. During his undergraduate degree in painting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Fine Arts, he first studied oil painting. He then studied both oriental and western paintings, submitting his works of oriental and western paintings to the relevant departments of the National Art Exhibi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However, since the 19th National Art Exhibition in 1970, participating in the Nonrepresentalism Category of the Department of Oriental Painting only, he began to pursue abstractness in earnest. The entries during this period are known for the features like the geometric area division created by the intersection of straight lines, the use of thick coloring and whitewash, and the design of stains using the spray technique. As such, he stood out for abstract paintings in venue art, but for commercial paintings, he prolifically drew small-sized portraits of children. From the mid-and late 1970s, he added some primary colors to the black base screen and attempted to divide faces with a smooth curve. In the 1990s, he focused more on flat abstraction in black and white, showing a delicate difference derived from traces of black ink brush strokes. In the series of Sichang Cheonggong and Seochang Cheonggong, which began in the 2000s, he attempted an arrangement of the scenery between the opening windows made of Korean traditional paper. Hence, he attempted to express the feelings and inspirations that arise from objects or situations as images rather than focus on the concepts, theories, and narratives of traditional painting. By choosing abstraction in the sense of contemporary painting, ink and nature motifs in that of oriental painting, and primary colors in that of Korean painting, Lee Gyu Sun's unique signs of modernity, orientality, and Koreanness were created. This can be considered the characteristic of abstract painting by Gyu Sun Lee.

      • KCI등재

        일초 이철주(逸初 李澈周, 1941- )의 한국화

        송희경 ( Song Heekyung )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2017 한국문화연구 Vol.32 No.-

        이철주는 1960년대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회화과에서 동양화를 전공하고, 국내 최고의 관전이었던 대한민국미술전람회에서 국무총리상과 문화공보부장관상을 2번이나 수상했으며, 대학에서 교편을 잡은 한국화가이다. 그는 1960년대 중반부터 1980년대 후반까지 인물과 풍경을 정확하게 사생한 후 이를 새로운 양식으로 표현하는 작업을 지속했다. 그가 화폭에 재현한 대상들은 전통문화를 계승하는 명장이나 예술인, 서민의 고단한 생활상, 개발과 건설이 한창인 도시 등 매우 다양했다. 동시대의 현장성을 기록했던 그의 작업은 1990년대 초반부터 변모한다. 우주라는 상상의 세계를 대상으로 구상에서 비구상으로 전환한 것이다. 이 시기에 제작된 그림은 획이 파생한 문자의 구성을 기본으로 하면서 전면회화 양식을 추구하거나 같은 도형의 셀을 재조합하는 추상화였다. 특히 <소우주> 연작에서는 정사각형의 화면을 다시 분할한 후 중앙에 사물을 배치했다. 이러한 시각성은 그가 새롭게 재편한 질서와 우주관의 또 다른 표현이다. 현재까지도 그는 점차 색을 배제하고 먹만을 사용한 강렬한 추상화를 지속하고 있다. 그림에서 `획(劃)`을 가장 중요시 했던 이철주는 인물화나 도시 풍경화에서부터 형상을 변형한 추상화에 이르기까지 지필묵이 구사 가능한 모든 조형언어를 두루 섭렵했다. 특히 현재에도 수묵 추상을 지속하면서 현대 한국화에 있어서 수묵의 가치를 높이기 위해 색다른 방법론을 모색하고 있다. 따라서 그의 작품에서는 전통을 지키되 변화하는 시대적 미술 사조와 여러 방법론을 모색했던 현대 한국화의 복합적인 특성이 발견된다. Lee, Cheoljoo, an artist who specializes in Korean painting, graduated from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s College of Fine Arts with a major in Oriental Painting. He won two Minister of Culture and Communications prizes in the National Art Exhibi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the largest art exhibition in Korea at that time, and eventually turned to teaching. From mid-1960s to late 1980s, Lee worked on creating a precise replication of a portrait or a landscape initially, and then expressed the replication using new techniques. His works were drawn from a wide range of subjects, from master artisans or artists of traditional culture, to the difficult lives of the common people and the development of the urban landscape. Lee`s work underwent a significant change from the actual contemporary world in the early 1990s, as he turned to nonfigurative art, exploring a world of imagination―space. The paintings produced during this period are abstract pieces based on a sequence of characters formed from the strokes, which feature constructions of all-over patterns or recombinations of cells made from identical polygons. His Microcosmos series, for instance, divides the rectangular screen and places objects in the center of the rectangle. Such visuals express Lee`s new order and cosmology. Lee continues to work with powerful and abstract imagery, using only the ink and excluding all colors except black and white. Lee, Cheoljoo who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stroke” (劃) in a painting, has mastered all techniques of construction possible from the trinity of paper, ink, and brush, from portrait and urban landscape to abstract pieces. Thus, his pieces represent the question on the need to preserve tradition, and the search for the changing techniques and artistic trends of the present time that are essential in the field of modern Korean painting.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