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화 〈오아시스〉의 등장인물과 공간적 특성 고찰

        네빈(BASKAYA Nuriye Nevin) 한국비평문학회 2020 批評文學 Vol.- No.77

        〈오아시스〉는 가족과 사회로부터 분리되어 타자화된 홍종두와 한공주가 그들만의 공간에서 주체성을 회복하는 과정을 그린 영화이다. 그들은 가족에게 인정받지 못하고 사회에서 독립된 인격체로 존중받지 못한다. 가족과 사회적 타자로서 경계인이 된 종두와 공주가 〈오아시스〉에서 어떻게 주체성을 회복하는지 분석하기 위해 행위소 모델을 원용하였다. 그리고 등장인물의 행동과 심리상태를 구체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푸코의 헤테로토피아 개념을 활용하여 〈오아시스〉의 공간적 특성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 가족과 사회에 의해 자신의 의지와 상관없이 타자로서의 삶을 강요받았던 종두와 공주가 서로 소통하면서 사랑하는 주체적인 인물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곧 그들이 자신들을 타자로 규정한 현실에 대한 환상을 통해 물리적 공간의 경계를 넘어선 공간으로서의 오아시스를 구축함으로써, 가족과 사회의 억압적 시선에서 벗어난 삶을 살아가는 존재임을 의미한다. 따라서 〈오아시스〉는 사회적 편견에 의해 타자로 대상화된 존재들의 주체성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담보한 영화라 할 수 있다. 〈Oasis〉 is a film depicting the process of regain subjectivity in their own space by the characters Hong Jong-du and Gong-ju Han who are separated from both their families and society and become others. They are neither recognized by their families nor respected as individuals by society. Hence, the Actantial model is used to analyze how Jong-du and Gong-ju, who become marginal both in family and society as others, regain their subjectivity in 〈Oasis〉. In addition, space in 〈Oasis〉 is analyzed through Foucault’s concept of heterotopia in order to examine the behaviour and psychological state of the characters in detail.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Jong-du and Gong-ju, who were forced to live as others by their families and society against their will, communicated with each other and fell in love. Beyond the eyes of family and society, Jong-du and Gong-ju find an oasis in a realistic space beyond the boundaries of physical space by sharing a fantasy of reality that they are not defined as others. Therefore, we can say that 〈Oasis〉 shows a new perception of the subjectivity of beings who are objectified as others by social prejudice.

      • KCI등재후보

        觀光루트로서의 실크로드에 관한 연구

        송기헌 한국호텔관광학회 2009 호텔관광연구 Vol.11 No.1

        The Silk Road can be divided into the steppe route, the oasis route, and 5 branch routes. The oasis route consists of the northern route and the southern route. The steppe route was developed by the Scythians in the 7th Century. The oasis southern route was developed by Zhang Jian during the reign of Emperor Mu of the Han Dynasty, and the oasis northern route was developed by Ban Cho during the reign of Emperor Ming of the Han Dynasty. Numerous wealthy merchants, Buddhist monks, and travelers used the Silk Road since the ancient times. The Silk Road, which was a trade route in the ancient times, is now a popular route for tourism. Today, a lot of travel agencies are developing and promoting traveling courses for visiting the Silk Road, for example, the Tian Shan Southern Route in China, the Karakoram Highway in Pakistan, the five Stan Countries, the Persian civilization course in Iran, the Middle East and Turkey. In my opinion, what needs to be done on the part of Korean travel agencies for the Silk Road travelling are: reinforcement of advertisement for the Silk Road traveling courses, development of full course of the Silk Road tour, development of various the Silk Road travel courses, developing travel courses in preparation for the opening of Afghanistan and Iraq, banning exaggerated advertisements. In addition, publishing travel guide books for the Silk Road region, restoring the Dunhwang Road, and extending the east end of the Silk Road to Gyeongju are also issues that should be addressed.

      • KCI등재SCOPUS

        한의학술논문검색시스템 기능개선을 위한 사용자 요구 분석에 관한 연구

        한정민,배순희,송미영,Han, Jeong-Min,Bae, Sun-Hee,Song, Mi-Young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과학기술정보센터 2009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Vol.40 No.3

        많은 검색엔진의 개발과 웹 기술의 발전으로 기존의 키워드 검색에서 검색어에 의미를 부여하는 시맨틱 검색이 출현하게 되었다. 이런 흐름에 맞추어 한국한의학연구원에서 제공하는 한의학술논문시스템(오아시스)의 개선도 필요하게 되었다. 그리하여 오아시스를 사용해 본 경험이 있는 회원을 대상으로 소속이나 지위, 경력에 대한 인구사회학적 분석과 오아시스의 편리성 및 제공되는 논문의 가치에 대해 분석하였다. 뿐만 아니라, 오아시스의 개선해야 할 방향으로 한의학연구를 위해 분야별 중요도를 조사하였다. 설문의 조사를 통해 얻은 결과, 한자 위주의 검색어에 대한 의미를 파악할 수 있는 자동화검색이 필요하며 키워드 검색방식을 탈피하고 동음이의어를 판별할 수 있는 전거시스템의 도입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참고문헌 인용지수 정보와 관련기관의 임상정보와의 연계 필요성 및 Open API를 이용한 해외 주요 사이트와의 연계검색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오아시스는 한의학술논문을 서비스하는 국내 유일의 사이트인 만큼 한의계의 요구를 충분히 분석하고 검색의 문제점을 보완한다면 한의학발전의 중추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anks to current development of many search engines and web technologies, a new semantic searching technology appears, featuring giving a relevant meaning to the keyword beyond the previous keyword search service. On the wave of advance of various search engines, the enhancement of OASIS offered by KIOM is needed as well. To do this, KIOM examined demographic and sociological analysis on their position, status, and career, the convenience of OASIS, and the value of papers offered in OASIS from members who have ever used it. Furthermore, the importance of each area involved in oriental medicine is also examined in terms of a new direction for OASIS improvement. Based on the result of the user survey, it turned out that not only an automatic search system that can find meaning of chinese character-centered key words but also a Authority-system which can distinguish homonym beyond simple keyword search system should be introduced quickly. Also, we reached the conclusion that it is necessary to interconnect a citation index information on references with laboratory information of the agencies concerned and interconnect major web sites around the world by using Open API. OASIS is the only domestic web site for offering papers that cover oriental medicine. Therefore, if requirements about the site in oriental medical circles are analyzed sufficiently and the problems of its information search system are improved, OASIS is expected to play a critical role in the development of oriental medicine.

      • KCI등재후보

        상징투쟁자로서의 예술가

        김동일(Kim, Dong-il),양정애(Yang, Jungae) 한국문화사회학회 2013 문화와 사회 Vol.14 No.-

        이 논문은 프랑스의 사회학자 피에르 부르디외의 상징투쟁(symbolic struggle) 개념을 원용하여 ‘상징투쟁자로서의 예술가’의 가능성을 살펴보고 이를 오아시스 프로젝트(2003~2007)의 활동을 통해 검토하고자 한다. 여기서 상징투쟁이란 사회공간에서 ‘상징’, 곧 예술을 통한 투쟁인 동시에 그러한 사회적 투쟁을 예술의 영역에서 ‘인정’(recognition)이라는 특수한 ‘상징자본’(symbolic capital)으로 변환해 내는 활동을 의미한다. 상징투쟁자란 곧 그러한 변환을 수행하는 예술가를 말한다. 상징투쟁자로서 예술가들은 캔버스나 고요한 아뜰리에, 혹은 화이트큐브처럼 전통적으로 ‘예술계’(artworld)의 중심이 아니라, 흔히 ‘현장’으로 불리는 사회공간 속에서 작업한다. 모순으로 가득 찬 사회공간이야말로 상징투쟁자로서의 예술가들의 캔버스이자 전시장이라 할 수 있다. 오아시스 프로젝트는 그러한 상징투쟁자로서 예술가의 한 사례라 할 수 있다. 오아시스 프로젝트는 방치된 빈 건물을 예술 스쾃을 이용하여 재생하려는 목적으로 시작된 프로젝트로 김윤환, 김강 두 사람에 의해 제안되었으며, 다양한 상황에서 그들의 의도에 동참하는 다수의 예술가들 사이의 느슨한 예술가 네트워크를 지칭한다. 오아시스 프로젝트는 2003년 결성에서 2007년 말 해소에 이르기까지 4년이라는 비교적 짧은 기간 활동했지만, <목동 예술인회관 스쾃>(2004), <동숭동 프로젝트 720>(2005), <예술포장마차>(2005-2006) 등을 통해 ‘스쾃(Squat)-예술점거’ 행위가 한국 예술계 내에서 정당한 미학적 실천의 한 형태로서 공인되는 데 기여했다. 또한 그들은 대부분의 예술가들이 자신의 작업실 하나 갖지 못한 반면, 도처에 사용가능한 공간들이 텅 빈 채 방치되고 있는 상반된 현실을 드러내 보여 주었다. 이 논문이 오아시스의 활동에 관심을 갖는 이유는 그들의 활동이 예술운동이자 사회운동이었으며, 사회공간의 변화 뿐 아니라 예술계의 변화를 유발했기 때문이다. 그들의 활동은 단순히 문제를 고발하고 부각하는 것이 아니라, 도시계획 정책당국, 재래시장, 변두리 마을 공동체, 부당해고에 파업으로 맞서는 노동자 등 다양한 참여자들에게 유의미한 아이디어를 제공했다. 특히 서울시가 추진하고 있는 문래동 예술창작촌 사업은 오아시스 프로젝트의 문제의식이 정책을 통해 제도화된 사례라 할 수 있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the concept "artist as symbolic struggler" in the light of Pierre Bourdieu"s theoretical concept "symbolic struggle". In this paper, symbolic struggle is used as the process of transforming the effect of social struggle of artist in social space into the "recognition" in artworld, and vice versa. We think that this symbolic struggler can be the representative type of artist in contemporary artworld. They perform "squat", that is artistic occupying empty space, on the front line where the contradictory forces conflict one another. For them, social space can be a kind of "canvas" for their artistic practice. Especially, Oasis Project in Korean artworld can be defined as the first squater group. They performed <Mok-dong Artist Union Hall Squat Project>(2004), <Dongsung-dong Project 720>(2005), <Artist Cart Bar>(2005-2006), and contributed to making occupying as the legitimate artistic practice in Korea. And also, they revealed the situation where almost all of artists do not have their workroom but so many empty space increases rapidly in some reason. They have succeeded in transforming the effects between their artistic practice and social resistance, and settled as one of main actors in both social space and art field in Korea.

      • KCI등재SCOPUS

        웹 접근성을 고려한 전통의학정보포털 설계 및 구현

        한정민,장현철,김진현,예상준,김상균,김철,송미영,Han, Jeong-Min,Jang, Hyun-Chul,Kim, Jin-Hyun,Yea, Sang-Jun,Kim, Sang-Kyun,Kim, Chul,Song, Mi-Young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과학기술정보센터 2010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Vol.41 No.4

        본 논문에서는 국내에서 유일하게 한의학 학술논문 및 한의학 연구정보를 제공하는 오아시스(Oriental Medicine Advanced Searching Integrated System)를 대상으로 국가에서 정한 [웹 접근성 국가표준]을 어느 정도 반영하고 있는지 평가해 보고, 웹 접근 취약성을 분석하여 해결방법을 모색하였다. 웹 접근성 평가항목으로는 웹 콘텐츠를 쉽게 인식할 수 있는 정도를 평가하는 인식의 용이성(Perceivable), 웹 콘텐츠를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는지를 평가하는 운용의 용이성(Operable), 콘텐츠 구성에 대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제어하고 있는지를 평가요소로 하는 이해의 용이성(Understandable), 웹브라우저의 종류나 버전에 관계없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를 평가하는 기술의 진보성(Robust)으로 구분하여 평가하였다. 평가된 결과를 기준으로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장애인의 웹 접근성을 고려한 오아시스를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웹 취약성을 수정하여 재구축한 오아시스는 한의학 연구를 하는 청각, 시각 장애인들에게 일반인들과 동등한 웹 접근 기회를 부여해 줌으로써 장애인들의 한의학 지식습득에 많은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shows evaluation of how much OASIS meets "the korean web content accessibility guidelines" and analysis of some of the accessibility problems and their solutions in OASIS(Oriental Medicine Advanced Searching Integrated System) which is the only web site that offers papers and project information related to Traditional Medicine in Korea. The evaluation criteria to determine if OASIS is accessible is classified into four sub items; Perceivable - if information and user interface components is presentable to users in ways they can perceive, Operable - if user interface components and navigation are operable, Understandable - if information and the operation of user interface are understandable, Robust - if content is robust enough that it can be interpreted reliably by a wide variety of user agents, including assistive technologies. Based on the measured results, OASIS has just been redesigned and implemented in more accessible and effective way. OASIS that improves web accessibility for the disabled is expected to help them study oriental medicine more easily and conveniently by providing equal access and equal opportunity to use the web.

      • KCI등재

        1980년대로부터의 질문, 그리고 2000년대 이후 : 한국의 ‘두렁’과 프랑스의 스쾃 ‘아르 크로쉬,’ 그리고 ‘오아시스 프로젝트’

        김강,김동일 한국미술이론학회 2015 미술이론과 현장 Vol.0 No.19

        한국과 프랑스에서 새로운 예술운동이 태동하던 1980년대에 활동했던 한국의 두렁과 프랑스의 아르 크로쉬는 예술의 발생과 소통의 장소가 기존의 예술제 도와는 다른 점을 보여준다. 이 상이한 지점이 새로운 예술의 가능성을 내포 하고 있었으며, 그것들은 2000년대 이후 양국의 제도예술현장에서도 더러 발 견되어지고 있다. 따라서 예술 그 자체를 고정된 형식과 내용을 바라보지 않 고 그 범주와 존재방식에 대해 문제제기했던 두 집단의 노력은 후대의 예술 가들에게 예술개념 자체에 대한 도전적 질문으로서 많은 영감을 주고 있다. 본 논문은 80년대 한국과 유럽에서 대두된 새로운 예술운동이 2000년대 이후 한국의 예술현장과 어떠한 연관성을 맺고 있는 가를 한국의 ‘두렁’, 프랑스의 예술스쾃 ‘아르 크로쉬’를 비교분석하면서, 2000년대 이후 등장한 오아시스프 로젝트의 사례를 통해 고찰하고자 한다. 이는 예술 그 자체를 혁명적으로 변 화시키고자 했었던 양국의 예술가들에 의한 운동이 현재는 어떠한 모습으로 예술계와 사회에 현현하고 있는지를 살펴보는 노정이 될 것이다. Dureung in Korea and Art Cloche in France, art movements in the 1980s, were engendered and practiced as an antithesis to conventional art. They exhibited new directions for art that represented a stark departure from Western modernist aesthetics; their influences are palpable in the art scenes of the 2000s in Korea and Europe. The artists of Dureung and Art Cloche posed ontological questions regarding art per se rather than conforming to the established frame of art and, by doing so, inspired the artists who followed them in a profound way. This paper undertakes a comparative analysis of Dureung and Art Cloche, and investigates how these revolutionary art movements of the 1980s have influenced artists in the 2000s in Korea. The Oasis project will be examined as a reference so as to illustrate the embodiment of the ideas of Dureung and Art Cloche in present day art works.

      • KCI등재

        1980년대로부터의 질문, 그리고 2000년대 이후: 한국의 ‘두렁’과 프랑스의 스쾃 ‘아르 크로쉬,’ 그리고 ‘오아시스 프로젝트’

        김강,김동일 한국미술이론학회 2015 미술이론과 현장 Vol.0 No.19

        한국과 프랑스에서 새로운 예술운동이 태동하던 1980년대에 활동했던 한국의 두렁과 프랑스의 아르 크로쉬는 예술의 발생과 소통의 장소가 기존의 예술제도와는 다른 점을 보여준다. 이 상이한 지점이 새로운 예술의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었으며, 그것들은 2000년대 이후 양국의 제도예술현장에서도 더러 발견되어지고 있다. 따라서 예술 그 자체를 고정된 형식과 내용을 바라보지 않고 그 범주와 존재방식에 대해 문제제기했던 두 집단의 노력은 후대의 예술가들에게 예술개념 자체에 대한 도전적 질문으로서 많은 영감을 주고 있다. 본 논문은 80년대 한국과 유럽에서 대두된 새로운 예술운동이 2000년대 이후 한국의 예술현장과 어떠한 연관성을 맺고 있는 가를 한국의 ‘두렁’, 프랑스의 예술스쾃 ‘아르 크로쉬’를 비교분석하면서, 2000년대 이후 등장한 오아시스프로젝트의 사례를 통해 고찰하고자 한다. 이는 예술 그 자체를 혁명적으로 변화시키고자 했었던 양국의 예술가들에 의한 운동이 현재는 어떠한 모습으로 예술계와 사회에 현현하고 있는지를 살펴보는 노정이 될 것이다. Dureung in Korea and Art Cloche in France, art movements in the 1980s, were engendered and practiced as an antithesis to conventional art. They exhibited new directions for art that represented a stark departure from Western modernist aesthetics; their influences are palpable in the art scenes of the 2000s in Korea and Europe. The artists of Dureung and Art Cloche posed ontological questions regarding art per se rather than conforming to the established frame of art and, by doing so, inspired the artists who followed them in a profound way. This paper undertakes a comparative analysis of Dureung and Art Cloche, and investigates how these revolutionary art movements of the 1980s have influenced artists in the 2000s in Korea. The Oasis project will be examined as a reference so as to illustrate the embodiment of the ideas of Dureung and Art Cloche in present day art works.

      • KCI등재

        이효석 문학의 커피향기와 카페공간 고찰

        이미림 한국현대소설학회 2018 현대소설연구 Vol.- No.70

        문학이론과 근대지식으로 무장한 이효석은 에로티즘과 엑조티즘을 특징으로 하는 도시소설을 남겼다. 대학교수를 지닌 작가는 예술과 생활을 일치시켰고, 서구근대문학의 조건으로 풍토, 기후, 육체를 중시하면서 환경과 상황이 작품을 탄생시키므로 딸기 같은 문학, 토마토 같은 문학, 능금 같은 문학, 메주 내 나는 문학, 버터 내 나는 문학이 탄생한다고 보았다. 서구근대문학을 육체문학, 청년문학, 체취문학으로 이해한 작가는 커피향기와 카페공간을 근대성의 기호이자 안식처로 활용했다. 카페는 1930년대 구인회 소속의 모더니즘소설의 배경을 형성했고, 이효석 역시 일상과 작품 속에서 커피향이 흘러나오는 카페공간에 대한 장소애를 가졌다. 카페는 근대성과 구별짓기의 특성을 지니면서도 모멸과 억압에서 벗어나 누구나 대접받고 환영받는 곳이었다. 촌사람, 전근대인과 구별되는 카페공간엔 예술과 지식, 음악과 세련된 정서를 바탕으로 지적인 대화가 오갔고 어느 누구의 간섭도 받지 않는 내밀하고도 은밀한 은신처이자 안개, 운문, 향기, 꿈, 공상으로 비유되는 예술가적 감성을 유지할 수 있었다. 차를 마시고 문학을 토론하며 시간을 점검하면서 클래식 음악을 듣는 일은 근대적 시간하에 근대적 삶의 양상을 드러내는 근대인의 모습을 의미했다. 항구도시 근처에 위치한 <기우>, <북국사신>의 카페는 사연 많은 손님들이 모여들어 노래하고 춤추고 술과 커피를 마시고 사랑을 쟁취하는 낭만과 청춘의 오아시스로 재현된다. 밀항자, 여행자, 선원, 이주노동자들이 국경을 넘기 위한 극도의 긴장감 속에서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카페는 엥겔스걸인 러시아 여급이나 가족경제가 몰락해 여급의 나락으로 떨어진 조선여인의 사연을 담고 있다. 초기소설 속 카페는 일제의 억압과 폭력과 감시망에서 벗어난 식민지 조선인의 망명과 궁핍과 낭만이 혼재되고 있다. 카페는 룸펜의 공상과 여가와 사교의 소비공간으로도 재현된다. 실직한 지식인 룸펜들이 경성 혹은 평양거리를 걷다가 지쳐 들른 카페는 식민자본주의 근대라는 특수한 상황 속에 도시문명의 특성을 드러냈다. <천사와 산문시>에서는 남루하고 초라한 하숙집을 나서 호텔, 백화점, 카페, 카바레가 즐비한 거리를 산책하다가 여급 즉 마음의 천사가 있는 카페에서 위로와 성적 서비스를 받는 일상을 그린다. <공상구락부>도 30살의 실직한 미혼남성 4명이 카페에 죽치고 앉아 미인과 여행을 갈망하거나 세계여행을 꿈꾸지만 광산사업의 실패로 모임은 해체된다. 카페여급과 남성고객과의 욕망과 사랑의 실험장인 <성찬>, <계절> 속 카페는 일부일처제, 가족주의, 낭만적 연애, 가부장제, 이성애의 한계를 성찰하고 연적을 질투하기보다는 연민와 연대의 차원으로 성찰한 주체적이고 독립적인 여급이 머무는 곳이다. 카페는 망명과 궁핍과 낭만으로서의 오아시스, 룸펜의 공상과 여가와 사교로서의 소비공간, 여급의 성과 사랑이 실험장 등의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Armed with literature theories and modern knowledge, Lee Hyo-seok left urban novels characterized by eroticism and exoticism. The writer and college professor had his art match his life and believed that environments and situations would gave birth to works with an emphasis on natural characteristics, climate, and the body as conditions for modern Western literature. Such examples of his would include literature like strawberry, tomato, apple, fermented soybean lump, or butter. He understood modern Western literature as sensual literature, youth literature, and body odor literature and used coffee smell and cafe space as the signs of modernity in his works. Cafes made a mainstream in the modernism literature of Guinhoi in the 1930s, and Lee used a cafe space emitting coffee smell as an allegory in his daily life and works, as well. A cafe was a sign of modernity and distinction, representing a place where everyone could receive a treatment and welcome, escaping from contempt and suppression. Distinguished from country people and premodern individuals, the cafe space witnessed intelligent conversations based on art, knowledge, music, and refined emotions and provided customers with a private and secret space of their own free from anyone's interference. It was a space needed by Lee to maintain his artistic sensibility likened to fog, verse, scent, dream, and fantasy as a professor and head of family. Drinking a cup of tea while discussing literature, checking time, and listening to classical music depicted an aspect of modern people to reveal a modern lifestyle in modern time. Cafes near a port city "Bukguksasin" and "Giwoo" were reproduced as an oasis of romance and youth where customers with many stories would gather, singing, dancing, drinking alcohol and coffee, and getting love. These were where stowaways, travelers, crewmen, and migrant workers could take a rest in extreme tension to cross the border. These places also told the stories of Russian waitresses as Engels girls and Joseon women that became waitresses after the fall of home economy. The cafes in his early works written from the perspective of class consciousness had a mixture of asylum, poverty, and romance for the people of colonized Joseon that escaped from the suppression, violence, and surveillance of the ruling Japanese. Cafes were also reproduced as the space of consuming hobos' fantasy, leisure, and social intercourse. Hobos that were intellectuals without a job would enter a cafe after walking around Seoul or Pyeongyang streets with tired legs. Such a cafe would reveal the characteristics of urban civilization in a unique situation of colonized capitalist modern times. In his Angels and Prose Poems, Lee depicts the main character's daily life of leaving his shabby, humble, tragic, and miserable boarding house, walking along the streets lined with hotels, department stores, cafes, and cabarets, and receiving comfort and sexual service from the angels of his heart or waitresses, who had a great appearance and talent, were proficient with talks, adorned themselves with mufflers and dresses, and wore make-up, at a cafe. His Fantasy Gurakbu describes the daily life of intellectuals in colonized Joseon represented by four single men without a job in their thirties. They would sit in a cafe all day long, dreaming of taking a trip with a beautiful lady or traveling around the world. Their gathering would break down, however, after one of them was put in a difficult situation after his mining business failed. In Lee's novels, the cafe space was also reproduced as the testing ground of sex and love. In his experiments with desire and love between cafe waitresses and male customers, the stories were told in women's position, which differentiates Lee from other writers. Women were well aware of men's irresponsible and temporary sexual instinct and recognized the limitations of monogamy, modern romantic dating, patriarchy, and heterosexual love. They would unde...

      • KCI등재후보

        고속도로 휴게소의 이용 특성과 선택요인에 관한 연구

        권영인,이창운,임재경,정병두 한국교통연구원 2010 交通硏究 Vol.17 No.4

        In recent years, the concept of highway service areas is developing from simple resting areas to areas of prospective economic growth by providing various services related to neighboring tourist destinations. The concept of a multi-purpose highway service area was introduced in Japan in 1990. Currently, there are 26 Highway Oases which have been institutionalized as the central business in regional areas and have a significant contribution to help revive regional economies. This study analyzes the surveys of 417 users of 4 highway service areas in Korea. The results from the surveys are used to determine the characteristics which have the most influence in users’ selection of highway service area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urvey, it was determined that 65.3% of the total variables categorized into 3 main factors. The most considered Factor-1 is the appropriate condition of the location (easy access, service area scale, scenery). Factor-2 is appropriate facilities(diversity of the menu, restaurant atmosphere), and finally Factor-3 is the quality of sales (local products, sale of goods). 근년 고속도로 휴게소의 개념이 단순히 고속도로 이용자의 휴식공간에서 인근에 관광지나 관광시설과 연계하여 지역경제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는 공간으로 바뀌고 있다. 이러한 복합휴게타운의 개념을 이미 오래전에 도입한 일본에서는 현재 26개소의 하이웨이 오아시스를 운영 중에 있으며, ‘휴게소를 활용한 지역거점 정비사업’으로 제도화하여 지역 활성화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고속도로 휴게소 4개소에 대한 설문조사를 토대로 고속도로 이용특성을 분석하고, 휴게소를 선택하고자 할 때 어떤 점을 중요시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가운데 어느 항목이 어느 정도 더 중요한 지 선택요인에 대하여 제시하였다. 휴게소 선택 중요도에 대한 요인추출결과, 전체 변수의 65.3%를 3개 요인으로 설명할 수 있으며, 여기서 요인1은 입지의 양호성(접근 편리성+휴게소의 규모+주변경관)으로 가장 비중이 크고, 요인 2는 시설내용의 양호성(음식메뉴의 다양성 +식당의 분위기), 요인 3은 상품판매의 양호성(특산물+상품판매)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1940-50년대 군가 음반 연구

        이준희(Lee Jun-hue)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2024 군사 Vol.- No.130

        한국 군가의 역사는 1948년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이때부터 새로운 군가가 많이 만들어졌고, 군가를 수록한 음반을 제작하려는 움직임도 나타나기 시작했다. 군가 유통에서 음반이 담당하는 역할이 절대적인 것은 아니지만, 1940-50년대 초기 군가 음반은 당대의 소리를 직접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자료 가치가 크며, 연구 대상으로서도 중요하다. 군가 음반으로 볼 수 있는 최초 사례는 1949년에 이미 등장했고, 1950년 한국전쟁 발발을 계기로 그 제작은 더욱 확대되었다. 전쟁 중에는 특히 대구 소재 오리엔트레코드가 많은 음반을 발매하며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전쟁이 끝난 뒤에도 서울 소재 여러 음반회사들이 군가 음반 제작을 이어갔는데, 1950년대 유력 음반회사였던 유니버살레코드와 오아시스레코드는 군 당국의 위탁을 받는 형식으로 제작을 수행했다. 1950년대 말까지 여러 음반회사에서 발매된 군가 SP음반은 최소한 20장 이상 확인되며, 대중음악과 작가음악 분야를 망라한 여러 음악가들의 참여로 녹음되었다. 그 중에서도 김동진, 박시춘, 김희조 등의 역할이 특히 두드러졌다고 할 수 있다. The history of Korean military songs began in earnest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Korean government in 1948. At this time, many new military songs were composed, and there was a movement to record military songs. While the role of recordings in the distribution of military songs is not absolute, early military song recordings from the 1940s and 50s have great archival value as they provide a first-hand account of the sounds of the time, and are important as research objects. The earliest examples of military song recordings appear as early as 1949, and their production expanded with the outbreak of the Korean War in 1950. During the war, the Daegu-based Orient Record in particular played a key role, releasing many records. After the war, several Seoul-based record labels continued to produce military music, with Universal Record and Oasis Record, two of the most prominent labels of the 1950s, commissioned by the military authorities. By the end of the 1950s, at least 20 SP recordings of military songs released by various record companies have been identified, and they were recorded with the participation of various musicians from the fields of popular music and auteur music. Among them, the roles of Kim Dong-jin, Park Si-chun, and Kim Hee-jo were particularly promin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