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Comparison of Surgical Infection and Readmission Rates after Laparoscopy in Pediatric Complicated Appendicitis

        Jo, Hey Sung,Boo, Yoon Jung,Lee, Eun Hee,Lee, Ji Sung Korean Association of Pediatric Surgeons 2014 소아외과 Vol.20 No.2

        Purpose: Laparoscopic appendectomy (LA) has become a gold standard for children even in complicated appendiciti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postoperative surgical site infection rates between laparoscopic and open appendectomy (OA) group in pediatric complicated appendicitis. Methods: A total of 1,158 pediatric patients (age ${\leq}$ 15 years) underwent operation for appendicitis over a period of 8 years. Among these patients, 274 patients (23.7%) were diagnosed with complicated appendicitis by radiologic, operative and pathologic findings, and their clinical outcomes were retrospectively analyzed. Results: Of the 274 patients with complicated appendicitis, 108 patients underwent LA and 166 patients underwent OA. Patients in the LA group returned to oral intake earlier (1.9 days vs. 2.7 days; p<0.01) and had a shorter hospital stay (5.0 days vs. 6.3 days; p<0.01). However, rate of postoperative intra-abdominal infection (organ/space surgical site infection) was higher in the LA group (LA 15/108 [13.9%] vs. OA 12/166 [7.2%]; p<0.01). Readmission rate was also higher in the LA group (LA 9/108 [8.3%] vs. OA 3/166 [1.8%]; p<0.01). Conclusion: The minimally invasive laparoscopic technique has more advantages compared to the open procedure in terms of hospital stay and early recovery. However, intra-abdominal infection and readmission rates were higher in the laparoscopy group. Further studies should be performed to evaluate high rate of organ/space surgical infection rate of laparoscopic procedure in pediatric complicated appendicitis.

      • Extragonadal Intraabdominal Mixed Germ Cell Tumor with Liver Metastasis: Successful Treatment and Long-term Follow-up

        박진영,Park, Jinyoung Korean Association of Pediatric Surgeons 2013 소아외과 Vol.19 No.1

        성선 외 생식세포종양은 비교적 드물어 모든 생식세포종양의 5% 미만을 차지한다. 주로 천미부생식세포종양이 골반부나 후복막으로 확장된 경우가 대부분이며, 후복막이나 복강 내에 발생하는 생식세포종양은 매우 드물다. 저자는 복부 종괴를 주소로 내원한 18개월 된 여아에서 간 전이를 동반한 복강 내 혼합 생식세포종양을 치료하였다. 복부 초음파 및 전산화 단층촬영에서 복부 좌상사분역에 석회화, 고형 및 지방 성분을 포함하고 있는 낭성 종괴와 간에 1cm 크기의 결절이 관찰되었다. 종괴는 개복 후 제거되었으며, 병리조직학적으로 대부분의 내배엽동 종양과 적은 성숙 기형종으로 구성된 혼합 생식세포종양으로 진단되었으며, 간의 전이병변도 동일하게 진단되었다. 수술 후 항암화학요법을 시행하였으며, 환자는 현재 수술 후 10년이 경과하였으나 재발의 소견은 없다.

      • Fitz-Hugh-Curtis Syndrome in A 15-year-old Adolescent with Right Upper Quadrant Abdominal Pain : Case Report

        정규환,박태진,정성은,박귀원,김현영,Jung, Kyu-Whan,Park, Tae-Jin,Jung, Sung-Eun,Park, Kwi-Won,Kim, Hyun-Young Korean Association of Pediatric Surgeons 2011 소아외과 Vol.17 No.2

        Fitz-Hugh-Curtis 증후군은 골반 내 염증성 질환을 가진 환자의 직접적 간 실질 침범이 없는 간피막 염증에 의한 간주위염으로, 1930년대에 Thomas Fitz-Hugh와 Arthur Curtis에 의해 보고되었다. Neisseria gonorrhea나 Chlamydia trachomatis에 의해 발병하며, 항생제로 치료되는 양성 성교전파질환이다. 대부분 가임기의 젊은 여성에서 발견되지만, 15세의 청소년에서 진단된 증례가 있어 보고하는 바이다. 15세 여자 환자가 1개월 전부터 발생한 간헐적인 우상복부와 하복부의 통증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환자는 한 달 전 남자친구와 첫 성교를 한 이후, 5일 전까지 10여 차례정도 성교를 하였다. 사회력 상 고등학교 1학년 생이고, 월경 주기는 28-30일로 규칙적이었다. 내원 당일 시행한 임신 반응 검사는 음성이었다. 시행한 복부전산화단층촬영에서 우측 간엽의 가쪽 부분이 동맥기 조영증강을 보이며 골반내감염을 동반하고 있었다. 부인과 검진 상 질경부 면봉 검사에서 Chlamydia trachomatis 양성소견을 보였으며, 소변배양검사에서 Neisseria gonorrhea가 동정되었다. Fitz-Hugh-Curtis 증후군 진단 하에 4주간 doxycycline과 metronidazole의 경구용 항생제 복용 후 호전되었다.

      • Laparoscopic Removal of a Gastric Trichobezoar in an 8-Year-Old Girl - a Case Report -

        최규석,최병호,박진영,Choi, Gyu-Seog,Choe, Byung-Ho,Park, Jin-Young Korean Association of Pediatric Surgeons 2010 소아외과 Vol.16 No.1

        Gastric trichobezoars are commonly observed in young women with trichotillomania and trichophagia. We encountered an 8-year-old girl who had trichotillomania and trichophagia with abdominal pain and a mass, which was diagnosed as a large gastric trichobezoar. On physical examination, a huge, firm nontender mobile mass was palpated in her epigastrium. An upper gastrointestinal series and abdominal computed tomography (CT) scan showed a large mass in the stomach. Endoscopic removal was tried but failed. Laparoscopic removal was therefore performed. The trichobezoar was successfully retrieved through a gastrotomy and removed through an extended umbilical trocar incision. This case demonstrates that laparoscopic removal of large gastric trichobezoars is feasible and safe without a large abdominal incision.

      • 직장-질 누공을 동반한 관형 뒤창자 중복

        남소현,김대연,김성철,김인구,Nam, So-Hyeon,Kim, Dae-Yeon,Kim, Seong-Cheol,Kim, In-Gu Korean Association of Pediatric Surgeons 2009 소아외과 Vol.15 No.1

        환아는 4개월부터 직장 탈출증과 심한 변비를 보였으며, 9개월에 질로부터 대변이 배출되는 증상을 나타냈으나 검사상 우측 이상 형성 콩팥 및 이소성 요관 이외 특이 소견이 없어 경과 관찰을 시행하였다. 16개월에 전신 마취하에 이학적 검사를 시행하여 누공을 확인하였고 이를 통한 대장 조영술에서 직장 중복증을 진단하여 수술을 시행하였다. 수술 시야에서 직장부터 횡행 결장에 이르는 관형의 뒤창자 중복을 확인하고, 직장-질 누공을 분리하고 결장 및 직장에는 중격절개술을 시행하였으며, 동반된 기형인 이소성 요관과 무기능 우측 신장은 절제하였다. 환아는 수술 후 3년간 잘 지내고 있다. 직장-질 누공을 동반한 관형의 뒤창자 중복은 매우 드문 선천성 기형으로 저자들의 경험을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Incomplete Removal of Totally Implantable Venous Devices : Report of 2 Cases

        손상용,이한별,김수홍,박태진,정규환,김현영,김웅한,정성은,Son, Sang-Yong,Lee, Han-Byoel,Kim, Soo-Hong,Park, Taejin,Jung, Kyuhwan,Kim, Hyun-Young,Kim, Woong-Han,Jung, Sung-Eun Korean Association of Pediatric Surgeons 2012 소아외과 Vol.18 No.1

        Totally implantable venous devices (TIVD)는 장기간 항암 화학 요법이나 총 정맥 영양, 수액치료가 필요한 환자에서 많이 사용된다. TIVD는 매우 유용하고 안전한 장치이지만, 이와 관련된 다양한 합병증이 보고 되어 왔다. 저자들은 카테터의 혈관 내 유착에 의해 TIVD의 제거가 불완전하게 된 2예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A Case of Mediastinal Cavernous Hemangioma

        이석열,박경배,오미혜,이승진,이철세,Lee, Seock-Yeol,Park, Kyung-Bae,Oh, Mee-Hye,Lee, Seung-Jin,Lee, Cheol-Sae Korean Association of Pediatric Surgeons 2009 소아외과 Vol.15 No.2

        We report a case of cavernous hemangioma of the anterior mediastinum that was incidentally detected by chest radiography taken at a routine health check-up. A mass lesion was seen in the anterior mediastinum on computed tomography and magnetic resonance imaging. Direct surgical removal was performed for diagnosis and treatment through right thoracotomy. Histopathology confirmed the mass as a cavernous haemangioma. Post-operative course was uneventful.

      • The Prognosis of Gastroschisis and Omphalocele

        Jwa, Eunkyoung,Kim, Seong Chul,Kim, Dae Yeon,Hwang, Ji-Hee,Namgoong, Jung-Man,Kim, In-Koo Korean Association of Pediatric Surgeons 2014 소아외과 Vol.20 No.2

        Purpose: Gastroschisis and omphalocele are major anterior abdominal wall defec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linical differences and mortalities of gastroschisis and omphalocele in Asan Medical Center. Methods: A retrospective review of the medical records was conducted of 103 cases of gastroschisis and omphalocele from September 1989 to February 2013 in Asan Medical Center in Korea. Results: There were 43 cases (41.7%) of gastroschisis and 60 cases (58.3%) of omphalocele. There was a female predominance in both gastroschisis (60.5%) and omphalocele (58.3%). The average gestational age at delivery was $36.7{\pm}0.4$ weeks for both groups. The mean birth weights were $2,381.9{\pm}80.6g$ for gastroschisis and $2,779.4{\pm}82.8g$ for omphalocele (p=0.001). Mean maternal ages in the gastroschisis and omphalocele groups were $27.5{\pm}0.7$ years and $30.5{\pm}0.7$ years, respectively (p=0.002). Associated malformations were documented in 13 infants (30.2%) with gastroschisis and 46 infants (76.7%) with omphalocele (p<0.001). All of gastroschisis patients except one underwent surgery including 31 primary repairs and 11 staged repairs. Fifty-two infants with omphalocele underwent surgery-primary repair in 41 infants and staged repair in 11 infants. Among 103 cases, 19 cases (18.4%) expired. Mortality rates of gastroschisis and omphalocele were 23.3% (10/43 cases) and 15.0% (9/60 cases), respectively (p=0.287). The main causes of death were abdominal compartment syndrome (6/10 cases) in gastroschisis, respiratory failure (4/9 cases) and discharge against medical advice (4/9 cases) in omphalocele. Conclusion: Gastroschisisis was associated with younger maternal age and lower birth weight than omphalocele. Associated malformations were more common in omphalocele. The mortality rates did not make a statistical significance. This might be the improvement of treatment of cardiac anomalies, because no patient died from cardiac dysfunction in our study. Furthermore, abdominal compartment syndrome might be the main cause of death in gastroschisis.

      • Hemorrhagic Complication of Protruding Preperitoneal Fat Presenting as an Incarcerated Inguinal Hernia in a Patient with Clinically Occult Inguinal Hernia

        정은영,박우현,최순옥,Jung, Eunyoung,Park, Woo-Hyun,Choi, Soon-Ok Korean Association of Pediatric Surgeons 2013 소아외과 Vol.19 No.2

        전복막지방 탈출로 인한 합병증은 소아에서 매우 드물며 서혜부 탈장과의 감별이 어렵다. 저자들은 술 전 초음파에서 대망 지방을 포함하고 있는 서혜부 탈장으로 진단된 5세 남아의 수술 중 출혈이 합병된 전복막지방탈출증을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Risk Factors for Malignancy of Pheochromocytoma and Abdominal Paraganglioma in Children: Clinicopathologic Perspectives

        장지훈,김수홍,민혜숙,김현영,정성은,박귀원,이성철,Chang, Jihoon,Kim, Soo-Hong,Min, Hye Sook,Kim, Hyun-Young,Jung, Sung-Eun,Park, Kwi-Won,Lee, Seong-Cheol Korean Association of Pediatric Surgeons 2013 소아외과 Vol.19 No.2

        목적 Pheochromocytoma of the Adrenal gland Scaled Score (PASS) 시스템과 면역화학염색 등을 통한 갈색세포종 및 부교감신경절종의 악성화 예측인자가 제시되고 있으나 명확한 병리학적 또는 분자생물학적 예측인자는 밝혀진 바 없다. 본 연구에서는 임상적, 병리학적 분석을 통해 갈색세포종 및 복강내 부교감신경절종의 악성화 예측인자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0년 1월부터 2010년 12월까지 서울대학교어린이병원에서 수술적 절제 후 병리학적으로 갈색세포종 및 복강내 부교감신경절종으로 확진된 20명의 18세 이하 소아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적 특징을 분석하였고, PASS 시스템에 따른 병리 슬라이드 판독하였다. 세포활성도를 반영한다고 알려진 유전자에 대한 항체 중 Ki-67, p53, bcl-2, mdm-2, cycline D1, p21, p27을 이용해 면역 화학검사를 한 후 결과를 확인하였다. 결과 20명의 환자 중 갈색세포종은 14명, 복강내 부교감신경절종은 6명이었다. 악성화는 각각 4명, 3명에서 관찰되었다. 혈관 침범, 주변부 지방조직 침습, 세포분열 증가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악성화 예측인자였으며(각각 p=.007, .031, .031), 갈색세포종만 분석하였을 때도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각각 p=.033, .003, .019). PASS 시스템은 악성화를 예측하는데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며, 혈관 침범, 주변부 지방조직 침습, 세포분열 증가를 항목으로 하여 새롭게 만든 병리 스코어 시스템은 악성 환자군과 양성 환자군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001). 악성과 양성 질환 사이의 면역화학염색 결과에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론 소아에서 갈색세포종 및 복강내 부교감신경절종의 악성화 예측인자로 혈관 침범, 주변부 지방조직 침습, 세포분열 증가를 이용할 수 있다. 소아에서 PASS시스템으로 악성화를 예측할 수 없었으나, 새로운 병리스코어 시스템으로 악성 환자군을 예측할 수 있었다. 면역화학검사 결과 세포 활성도를 반영하는 인자들은 악성화를 예측할 수 없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