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21세기 찬송가』의 "한국화" 연구

        김세완 한국기독교철학회 2014 기독교철학 Vol.18 No.-

        이 글은 『21세기 찬송가』에 나타난 ‘한국화’된 곡을 음악적으로 분석하여 ‘한국화’된 양상을 고찰한 내용을 담고 있다. 그동안에 음악적 분석으로 연구된 한국교회음악에 대한 ‘한국화’ 양상은 주로 한국전통음악의 음악적인 요소의 반영에 초점을 맞추었다. 하지만 이 글에서는 교회음악에 이루어진 ‘한국화’를 한국전통음악의 요소가 반영된 여부에만 초점 맞추지 않는다. 한국교회음악의 ‘한국화’는 현시대에 진정한 ‘한국화’를 인식하는 것이 요구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먼저 현시대의 진정한 ‘한국화’의 의미가 무엇인지를 진단하는 것이 선행되며 현재적 진단 뒤에 도출되는 의미에 따라 한국교회음악의 ‘한국화’를 살피는 것이 필요하다. 한국교회음악의 ‘한국화’된 양상을 살피기 위해 연구대상으로 삼은 것은 교회음악의 핵심인 찬송가이다. 연구대상으로 삼기에 적합한 찬송가는 현행찬송가인 『21세기 찬송가』이다. 『21세기 찬송가』에는 ‘한국화’된 곡이 풍부하기 때문이다. 『21세기 찬송가』의 ‘한국화’에 대한 연구는 먼저 ‘한국화’된 곡을 추려낸 다음에 작곡가별로 음악적으로 분석하여 ‘한국화’된 양상을 살펴보고자 한다. 작곡가별 분석이 끝난 뒤에는 ‘한국화’ 지수를 매겨 ‘한국화’된 양상을 가시화하였다. 도출된 ‘한국화’ 지수는 한국교회음악의 ‘한국화’에 대한 현재적 상황을 진단하고 현재적 상황에 맞는 한국화를 모색할 수 있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This thesis analyzes the Koreanized Christian church hymns selected from 21th Century Hymnal. It sequentially suggests some practical methods and musical technics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authentic Koreanized church music in its context. The previous studies on the Koreanized church music were done only in the perspectives of the past Korean traditional elements. This study, however, develops beyond those traditional components because the true Koreanized music must authentically reflect the current Korean musicality. Thus, it is necessary to correctly define what it means to be a Koreanized church music. This definition will subsequently aid to draw some practical suggestions on how to enhance the Koreanization of church music in the days to come.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procedures were conducted: Firstly, as samples, several hymn songs with the prominently Koreanized components were selected from 21th Century Hymnal, which is used in the most churches in South Korea today. As the second step, the musical analyses were carried out according to the composers and their musical patterns and distinctiveness. Thirdly, based on the how Koreanized those songs were, they were systematically categorized with the scale of indexing figures. This study provides the accurate diagnoses and evaluations of the current Koreanization of Christian church songs as well as practical recommendations on development of the future directions.

      • KCI등재

        해외대학의 한국학 프로그램을 위한 태권도의 역할

        임관인 한국체육철학회 2008 움직임의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Vol.16 No.3

        Establishing the Taekwondo, symbol of Korea, as the educational program in foreign universities may undoubtedly make great contribution to the development of Koreanology. Besides, it's expected to the value of establishing Taekwondo educational program and Taekwondo subject in foreign distinguished universities. The research bases on the above-mentioned significant value.The aim of the research is to make Taekwondo as one part of the Koreanology to spread the Korean culture to all over the world. The Korean Taekwondo masters will be given the opportunities to go abroad and spread the Korean culture to all over the world through it. It could be a excellent way of stirring up the pride of Korean, if they spread Taekwondo history, spirit, philosophy and use korean particularly during Taekwondo education process. Consequently, Taekwondo history, spirit and philosophy need to be added into the Taekwondo education curriculum for Koreanology education. Taekwondo history will be significant to understand the Korean culture, while Taekwondo spirit will be valuable to understanding Korean manners and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Taekwondo spirit in current education needs to be promoted to the one people all over the world are in sympathy with. Especially for Belt, Dobok and martial art of the technical motions, as they are the brand of the Korean image, they could be wonderful tool for spreading korean image.It could be one of the outstanding programs motivating to lead the spiritual world and expanding Koreanology education program, and the value of Taekwondo will be spread to all over the world. 한국의 문화상징인 태권도를 교육 프로그램화 하여 외국의 대학에 설치하는 것은 장기적으로 한국학 발전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음은 물론, 외국의 명문대학에 태권도 교육프로그램 및 태권도학과를 설치하게 되는 커다란 가치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전제하에 이 연구를 실시하였다.이 연구의 최종목적은 한국학 범주에 태권도 영역을 포함시킴으로써 우리나라의 문화를 세계에 전파하는데 크게 기여하고자 한다. 그를 통해서 우리나라 태권도 교육자의 해외파견 기회를 얻을 수 있으며, 우리나라 문화를 전 세계에 알리는데 크게 기여하게 될 것이다. 특히 태권도 교육에 있어서 우리나라 태권도의 역사와 정신 및 철학을 알리며, 모든 수련과정에서 한국어를 사용하게 됨에 따라 한국인의 자긍심을 일깨울 수 있는 가장 훌륭한 도구로써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따라서 한국학 교육을 위해 태권도 교육과정 안에 역사, 정신, 철학 프로그램을 포함시킴으로써, 태권도 역사는 한국의 문화적 흐름을 이해하는데 커다란 의미를 가져다 줄 것이며, 또한 태권도 정신은 우리의 예의규범을 이해하고 인간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크게 기여할 것이므로 그 가치가 크다고 하겠다. 따라서 현재 태권도 교육에서 사용되고 있는 태권도 정신은 세계인이 모두 공감하는 정신성에로의 개발을 위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특히 우리의 전통철학으로서 띠와 도복, 그리고 기술동작에 따른 철학적 무도성은 한국학 교육과 함께 한국의 이미지를 대표하는 브랜드로서 그들에게 한국의 정신적 이미지를 공유하게 하는 훌륭한 도구가 될 수 있을 것이다.그것은 우리의 정신세계가 세계를 이끌어 가는 동기가 될 수 있다는 자부심과 함께 태권도의 국제화와 함께 한국학 프로그램의 영역 확대에 크게 기여할 것이며, 그를 통해 태권도의 가치를 세계에 확장 시키는 가장 훌륭한 방안이 될 것이다.

      • KCI등재

        다카하시 도오루(高橋亨)의 ‘한국철학관’과 내셔널리즘

        김미영(Kim Miyeong) 한국동양철학회 2010 동양철학 Vol.0 No.34

        현재 한국철학계에서는 다카하시의 철학관을 두 측면에서 평가한다. 한편으로는 식민사관으로 비판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근대적 의미의 전통철학 연구의 개척자로 평가한다. 이 양대 평가는 모두 일본 제국주의의 식민통치과정과 긴밀히 연관되어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1910년대, 1920년대, 1930년대에 걸쳐 나타나는 그의 한국철학관의 변화과정을 중심으로 그의 한국철학관 형성과정과 국가사상 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1910년대에는 한국이 중국사상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는 방향모색의 과정에서 조선의 고유문자나 조선의 고유문학의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하지 않았다. 그러나 1920년대에는 동화정책의 일환으로 한국어의 일본어로의 대체를 강조하며, 한국철학사에서 조선어에 의한 창작활동의 가능성을 배제하고 있다. 따라서 한국유학사 연구의 시발점을 1910년대에는 신라시대로부터 시작하나, 1920년대에는 철학으로서의 유학이라는 측면에서 조선성리학 구명에 중점을 두며 고려말부터 시작하고 있다. 또한 1920년대에는 유학을 철학적 측면으로 다루며 조선성리학에 집중하고, 한국인의 일본에의 동화를 위한 종교정책의 일환으로 불교연구에 집중하고 있다. 반면, 1930년대에 접어들면 조선유학의 특징을 종교성에 두며, 한국인에게 종교적 교화라는 측면에서 불교보다 유학이 적합하다고 주장한다. 따라서 이 시기에 그는 더 이상 불교연구를 진행하지 않고, 한국유교의 종교성을 구명하는 데 집중한다. 따라서 그는 중국이 근세 쇠퇴한 원인이나 조선이 멸망한 원인을 유교에서 찾으려는 시도를 부정하면서, 조선이 500년간 유지될 수 있었던 힘을 유교에서 찾고 있다. 이러한 일련의 한국철학관의 변화는 그의 전통철학 연구대상의 변화를 초래하게 되었으며, 이러한 변화는 20세기 철학사와 국가사상간의 관계를 읽어볼 수 있게 해 준다. 따라서 철학사상이 국가사상을 어떻게 넘어설 수 있는가의 문제는 20세기 전개된 철학사에 대한 비판적 검토를 통해서 가능하게 될 것이다. Takahashi's viewpoint on Korean Philosophy is evaluated from two aspects by Korean philosophers. One is criticized by Colonialism, and the other is evaluated from the standpoint that he was the scholar studying Korean traditional philosophy by modern systems of study. These two aspects are related with the course of colonial regime of Japanese imperialism. So, I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velopment process of his viewpoint on Korean Philosophy and the nationalism, laying stress on the change of his viewpoint on it in 1910's, 1920's, and 1930's. In 1910's, he didn't exclude the possibility of Korean traditional character or literature as a way out of Korean Chinese Thought in this time. But in 1920's, he as an assimilationist, stressing the substitution of Japanese for Korean, tried to exclude the possibility of studying Korean philosophy in Korean in the history of Korean philosophy. Accordingly, in 1910's, he put the starting point of Korean confucian history in Shilla, but in 1920's, in the end of Koryo. Also, in 1920's, he focused on Chu Zi's learning of Chosun, emphasizing the confucianism as a philosophical idea, and on Korean Buddhism as a part of a religion policy for the Korean assimilation to Japan. But, in 1930's, he emphasized Chosun confucianism as a religion, not studying the Korean Buddhism any more, but Korean confucianism, from the viewpoint that the confucianism as a religion was more suitable for Korean. This change of his viewpoint on Korean philosophy led to the transition of object of his study and show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istory of philosophy in the 20th century and the nationalism. Therefore, in order for philosophy to overcome nationalism, I think we have to have critical review on his study of the history of Korean philosophy developed in the 20th century.

      • KCI등재

        니체 사상에서의 한국무용의 의미

        박미영 한국체육철학회 2008 움직임의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Vol.16 No.3

        Among many western philosophers, Nietzsche was a philosopher who reasoned flitting over oriental view of art, especially showing heavy Buddhist color. This research is to explore Nietzsche's oriental thought, and the meaning of Korean dance based on his artistic thoughts. Nietzsche's oriental reasoning of Buddhist thought was most Korean, an art world pursued by Nietzsche. Therefore, exploring Nietzsche's oriental view on art and the meaning of Korean dance which supports such logic is summarized as follows.First, Nietzsche suggests Buddhism as a conquest towards new future as philosophy which affirms life and the realities of life. He informs a method of caring the spirit to be relieved of pain, and such conquest unites with eternal recurrence thought relating to the reliance on power. His present view of human is a view of the world transcending‘human and nature’ dichotomy, and recognizes Übermensch conquering difficult situations as Buddha in Buddhism. Second, Korean philosophical thought is a meeting and parting under a harmonious relation, a view of human to achieve peace and harmony through self-conquest and recovery to human's good nature based on practice of Buddhism or Confucianism. The Dangun, the founding father of the Korean nation, mythology and humanitarianism is an anthropocentric view of the world which takes a serious view of human world towards the present world. Korean's consciousness structure is based on practice of humanism, populism, mutual respect, equality, and secularism. It is not a traditional dichotomist structure of the west which separates the view of human and the view of nature from one another, but identical with Nietzsche's monistic structure which shares identical logical connection.Third, the image of curve in Korean dance depicts circulating cosmologic meaning, intervening and circulating between human and human, human and nature, reality and transcendental world, and present and future. Han(恨), Korean emotion consisting of grudge, hate, regret, sadness, grief, and heartburning, is a remaining hope, which transcends a simple sadness, towards a creative world of‘creation’ and‘drive’, sublimating to the world of ideal and delight. Unlike western dance which emphasizes on a strong desire of expressing individuality, technical skill, and material, Korean dance emphasizes internal suppression and peace, and revelation skill which recognizes spiritual subject through concentration on the inside. Breathing in Korean dance, the midway connecting the heavens and the earth, using human body as the core, is a typical Korean dance technique which is scientific and philosophic as it is.Lastly, Korean dance for Nietzsche is a creative principle towards a new world as reliance on power. Nietzsche's‘funambulist’, a metaphor towards the transcendental world with human as the central figure, is a typical theme of Korean dance. Up and down movement in space and time, filling and emptying, and tying and untying are also Korean expression of life and death, creation and destruction, pain and hope, and comedy and tragedy. Nietzsche's Übermensch is‘the one who dances’, a dancer who has a strong will, and is not subordinate to exterior conditions. Moreover, Buddhist doctrine and view of the world, that is, coming into being and changed Dionysus' Nirvana world is identical to Korean dance which comprehends emotion of Koreans who live free and creative lives. 서양 철학자 가운데 니체는 특히 불교적 색채를 농후하게 보이며, 동양적 예술관을 넘나들며 사유한 철학자이다. 이 연구는 니체의 동양적 사상을 탐색하고 그 속에서 나타나는 그의 예술사상을 바탕으로 한국무용의 의미를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니체의 불교사상에 대한 동양적 사유는 가장 한국적이었던 것으로, 바로 니체가 추구하는 예술세계였다. 따라서 이러한 논리를 뒷받침할 수 있는 니체의 동양적 예술관과 한국무용의 의미 찾기는 다음과 같이 집약할 수 있을 것이다. 첫째, 니체는 불교를 삶과 현실을 긍정하는 철학으로서 새로운 미래에 대한 극복으로 제시한다. 삶의 고통을 벗어나는 정신 섭생의 방법을 알려주고, 이러한 극복은 힘에의 의지와 관련하여 영원회귀사상으로 교합된다. 그의 현시적인 인간관은‘인간과 자연’이라는 이분법을 넘어선 세계관으로 생·노·병·사의 어려운 상황을 극복하는 위버멘쉬(Übermensch 초인, 극복인)를 불교의 부처로 인식한다. 둘째, 한국 철학사상은 조화로운 관계 속에서의 이합집산으로, 불교나 유교의 실천성을 근본으로 한 인간의 선한 본성에로의 회복과 자기극복을 통한 평화와 안녕을 달성하고자 하는 인간관이다. 특히 단군신화와 홍익인간은 현세에 대한 인간세계를 중시하는 인간중심주의의 세계관이다. 따라서 한국인의 의식 구조는 인본주의, 대동주의, 상호존중, 평등, 현세주의적 이념의 실천을 기저로 한다. 인간관과 자연관이 서로 분리되는 전통적인 서양의 이원론적인 구조가 아닌, 동일한 사상적 맥을 같이 하는 니체식의 일원론적인 구조와 동일한 것이다. 셋째, 한국 무용에서 곡선의 이미지는 순환하는 우주론적 의미를, 인간과 인간을, 인간과 자연을, 현실과 초월세계를, 현재와 미래를 끊임없이 매개하며 순환한다. 우리 민족의 정서인 한(恨)은 단순한 슬픔을 넘어선 이상과 환희의 세계로 승화되는 ‘생성’과 ‘충동’의 창조적 세계에 대한 여망이다. 한국 춤은 개성 표현에 대한 욕망이 강한 서양 춤과는 다르게 내면적 평정과 평화를, 기교나 재료보다는 내면으로의 주의집중에 의한 대상의 정신적 실체를 인식한 현시적 능력을 강조하는 춤이다. 한국무용에서의 호흡은 사람의 몸이 중심이 되어 하늘과 땅의 중간 접점을 이어주는 대표적인 한국무용의 기교로서 그 자체가 과학적이고 철학적이라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니체에게 있어서 한국의 무용은‘힘에의 의지’로서 새로운 세계에 대한 창조적 원리이다. 니체의‘줄 타는 광대’는 인간을 중심으로 하는 초월적 세계에 대한 비유로서 한국무용의 대표적인 주제이다. 시공간의 상하 움직임, 채움과 비움, 맺음과 풀림은 삶과 죽음, 창조와 파괴, 고통과 희망, 희극과 비극의 한국적 표현이기도 하다. 니체의 위버멘쉬는‘춤추는 자’로서 의지가 강하고 외부 여건에 종속되지 않는 무용가이다. 또한 불교의 교리와 세계관, 즉 생성 변화하는 디오니소스의 열반 세계는 자유롭고 창조적인 삶을 사는 한국인의 정서를 담은 한국무용과 일치하는 내용이다.

      • KCI등재후보

        자유논문 : 한국교회에 영향을 미친 성장주의에 대한극복 방안 연구

        이명구 ( Myung Ku Lee ) 한국기독교철학회 2009 기독교철학 Vol.9 No.-

        본 논문은 먼저, 한국교회에 성장주의가 태동하게 된 배경을 고찰해보고 있다. 다음은 경제성장과 맞물려 한국교회에 잠재 된 성장주의가 낳은 역기능적인 병폐들을 살펴보고, 그 성장주의에 대한 극복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끝으로 오늘날 한국교회가 올바른 성장을 위해 지향해야 할 한국교회의 모습이 무엇인지 나름대로 작은 소견을 제시하면서 본 논문을 맺고 있다. 교회란 무엇인가?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에서는 "교회는 그리스도의 몸이고, 그리스도는 교회의 머리이시다. 이 교회는 머리되시는 그리스도를 중심으로 모여들었고, 지금 모여들고 있고, 장차 모여 들게 되는 택함을 받은 모든 사람들로 구성된다"고 정의한다. 이처럼 교회는 "그리스도와 그 지체들 사이에 생명의 유기성"을 가지므로 교회의 성장과 부흥은 반드시 필요하다. 하지만 교회가 어떤 토대위에서 세워지고 어떻게 성장하느냐? 하는 것은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예수님은 베드로의 명백한 신앙 고백위에 교회를 세우실 것을 말씀하셨는데도,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 교회성장은 분명히 큰 문제가 아닐 수 없다. 한국교회는 경제성장과 맞물려 급성장을 하였다. 하지만 한국교회의 화려한 성장과 부흥 이면(裏面)에는 기독교의 본질을 병폐시키는 `성장주의`가 자리 잡고 있음을 알 수 있다. 60년대 이후 추진된, 경제성장 제일주의 정책은 배고프고 굶주렸던 국민들에게 물질적인 풍요로움과 삶에 여유로움을 주었다. 그러나 여기에는 경제성장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비윤리적인 능률과 효율성을 강조하므로, 목적보다는 수단만을 앞세우는 `성장주의`가 태동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성장주의 의식구조는 한국교회 내에도 팽배하게 되었고, 교회는 성장을 위해서라면, 선별하지 않고 이것저것을 수용하고 적용하였다. 그래서 괄목할만한 성장을 이루었지만, 그에 따르는 병폐와 부작용도 적지 않았다. 과연, 한국교회의 성장 이면에 숨겨있는 병폐는 무엇인가? 그 병폐들을 보면, 첫째는 교회의 세속화이다. 둘째는 맘모니즘의 팽배이다. 셋째는 프로그램중심의 목회이다. 넷째는 개인주의에 빠진 개(個)교회지향적인 목회이다. 다섯째는 성령의 도구화이다. 여섯째는 사역중심의 목회이다. 반면에 한국교회의 역기능적인 성장주의 병폐를 극복하는 대안과 방법으로 여섯 가지를 제시하였는데, 그것은 첫째로 교회의 기독교 본질 회복이다. 둘째는 그리스도의 마음을 품는 목회이다. 셋째는 시장상황원리의 올바른 접목이다. 넷째는 교회의 열린 공동체성 회복이다. 다섯째는 성령과의 인격적인 관계 회복이다. 여섯째는 하나님 중심의 사역이다. 이와 같은 인식을 가지고 목회사역을 할 때, 한국교회의 성장 이면에 숨겨있는 병폐를 치유하고 건강한 교회로 탈바꿈하게 될 것이다. 그러면, 오늘날 한국교회가 올바른 성장을 위해 지향해야 할 교회의 모습을 제시해 보고자한다. 교회는 그리스도의 몸으로 생명의 유기성을 가진다. 그래서 교회는 부흥 성장하여야 한다. 그러나 위에서 살펴본 것처럼 인위적인 교회성장은 오히려 기독교의 본질을 상실한 채 외형만 큰 공룡을 만들게 된다. 따라서 한국교회는 다음과 같이 기독교의 본질에 충실한 교회가 되어야 한다. 첫째로, 한국교회는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는 교회가 되어야 한다. 둘째로, 예수 그리스도가 으뜸이 되는 교회가 되어야 한다. 셋째로, 성령께서 주도하시는 교회가 되어야 한다. 넷째로, 사회에 `참된 도덕성과 공동체성`을 확립할 수 있는 정신적이고 영적인 교회이다. 마지막으로, 문화변혁적인 교회이다. 이와 같은 교회가 될 때, 한국교회는 세속적인 문화와 사상에 물들지 않고, 하나님의 선하시고 기뻐하시고 온전하신 뜻을 분별하며, 하나님의 뜻을 이 땅에 이루어 드리게 될 것이다. 또한 한국교회는 사회적 공신력을 회복하고 선교에도 커다란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다. This essay, first, tries to research the situational background of the growth-ism which has appeared in the Korean church. Next, in this essay, tries to find the bad influences of the growth-ism which has encroached on the Korean church, mixed with the economic growth. Then, it tries to present the ways to overcome the growth-ism. Finally, this essay tries to propose the alternatives to aspire the right growth of the Korean church` appearance. What is the church? According to the Westminster Confession of Faith, "the church is the body of Jesus Christ, Jesus Christ is the head of the church. The church that consists of all people who selected, gathered around of Christ who became the head of the Church, now it is coming, will gather in the future", he has defined. Such the church has "the organic-life between the Christ and christians", so the church`s growth and revival are required necessarily. But the church should be built on top of any foundation and how does it grow? This question is more important than anything else. Jesus Christ spoked to built the church on Peter`s Faith Confession. but the ways and means to break into the right growth of the church can be a big problem definitely. The Korean church was the rapid growth, mixed with economic growth. However, we can see the other side of spectacular growth and revival of the Korean church. it is that the `growth-ism` to corrupt the essence of Christianity. Pursued since the `60s, the economic growth- first policy has given the material richness and relaxation of the life to the hungry people. But this economic growth, to emphasis the unethical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has quickened the `growth-ism` to focus only a means rather than the purpose. Thus, the awareness-structure of the growth-ism was prevailed even just within the Korean church, for the sake of church-growth, that stuff does not selectively applied and accepted. So, the Korean church have achieved remarkable growth, but have followed the considerable stigmas and side effects behind growth. Indeed, what is the hidden stigmas behind the growth of the Korean church? According to the Korean church`s stigmas, the first is the secularization of the church. The second is a prevalence of the Mammon-ism. The third is a program-centered ministry. The fourth is a private-church ministry falling in individualism. The 5th is treated the Holy Spirit as a tool. The sixth is a labor-centered ministry. In contrast, this essay tries to propose the methods and alternatives of the six kinds to overcome the dysfunctional growth-ism of the Korean church. First, it is to recover the essence of the church. The second is the ministry with the Christ` heart. The third is the right graft about the principle of market conditions. Fourth, the church is to recover an open-community. The fifth is to restore a personal relationship with the Holy Spirit. The sixth is to restore the God-centered ministry. Thus, When pastors have recognized the right pastoral ministry, the Korean church will are cured from the stigma to hide behind the growth-ism and will be transformed into a healthy church. So, this essay tries to appear the appearance of the Korean church to aspire for the correct growth, today. The church of Jesus Christ has a body of organic-life. So the church should be revived. However, as discussed above, the artificial church-growth rather will lost the essence of the Christianity and will make a shape of a big dinosaur. The Korean church, such as the faithful church to the essence of the Christianity should be. First, the Korean church should give the glory to God. Secondly, Jesus Christ must be the finest in the church. Thirdly, it should be that the church to be led by the Holy Spirit. Fourth, it must be the mental and spiritual church to establish the true morality and community in society. Finally, the Korean church should be the cultural revolution church. When such a church, the Korean church will not be corrupted by the secular cultures and thoughts, will be discerned God`s good and delightful and whole meaning, God`s will on earth will be accomplished wholly. In addition, the Korean church will be restored a social public-confidence and will be a big influence in mission.

      • KCI등재

        동양철학 연구의 현황과 전망 - 한국동서철학회 35주년 연구사를 중심으로 -

        이종성 한국동서철학회 2019 동서철학연구 Vol.0 No.91

        This writing is designed to examine the Current Situation and Prospect of Eastern Philosophy Studies focusing on the study history of the 35th year of the Korean Society for Philosophy East-West. The objects under examination in this writing are the research papers of eastern philosophy contained in the complete 90 volumes from the first issue of the Korean Society for Philosophy East-West that was published on June 25, 1984 to the 90th issue published on December 31, 2018. This writing classified the research performance of the eastern philosophy part into eastern philosophy and Korean philosophy, based on the research classification table o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and then classified this into detailed parts; examined in aspect of large, medium, and small classifications. As a result, I verified that the volume of research of eastern philosophy was relatively more than that of Korean philosophy, and the research of Chinese philosophy and Korean Confucianism philosophy was greatest. In particular, the highest research objects revealed through the research analysis of writers since 2000 have been verified to be Lao-tzu and Chuang-tzu in the case of Chinese philosophy, and Yulgok in the case of Korean philosophy. This current research situation reflects the overall research tendency of Korean eastern philosophy as well as their major fields of study and the field of activities of those who submit papers. In addition, in terms of this current situation, participants' locality becomes the main advantage of the academic journal, and that, at the same time, can be an element to be pointed out as a limit. This is why the globalism of the academic journal is required. If the Korean Society for Philosophy East-West is to produce more developed philosophical discussion in the future, a variety of efforts for improvement such as the expansion of research participants' locality, that of the research scope of topics, etc. is required. In addition, that which drives the field of more realistic philosophical discussion which can satisfy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s seen to be needed. Through this, the research direction of eastern philosophy needs to contribute to producing more realistic and future-oriented ideas. 이 글은 1983년 3월 19일 창립한 한국동서학회 35주년 연구사를 중심으로 동양철학 연구의 현황과 전망을 살펴보기 위해 기획된 것이다. 이 글의 검토대상은 한국동서철학회가 1984년 6월 25일 발행한 『동서철학연구』 창간호부터 2018년 12월 31일 발행한 제90호까지 총 90권에 수록된 동양철학 연구논문들이다. 이 글은 한국연구재단의 연구분류표를 기준으로 동양철학분야의 연구 성과를 동양철학과 한국철학으로 구분하고 이를 다시 분야별 세부영역으로 분류함으로써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의 측면에서 검토한 것이다. 그 결과 동양철학 연구가 한국철학 연구보다 상대적으로 많았음을 확인하였고, 그 가운데 중국철학 연구와 한국유가철학 연구가 주도적이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2000년대 이후 인물별 연구 분석을 통해 드러난 상위 연구대상은 중국철학의 경우 노자와 장자, 한국철학의 경우 율곡 이이였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 현황은 논문 게재자의 전공분야 및 활동지역을 비롯한 한국동양철학계의 전반적인 연구경향성을 반영하고 있다. 또한 이와 같은 현황을 통해 볼 때 연구 참여자들의 로컬리티가 학술지의 주요 강점으로 자리매김 되는데, 그것은 동시에 학술지의 한계로 지적될 요소이기도 하다. 학술지의 글로컬리즘이 요청되는 이유이다. 한국동서철학회가 향후 보다 발전적인 철학담론의 생산을 도모하고자 한다면 연구 참여자의 지역적 확장 및 주제별 연구범위의 확대 등 다양한 개선노력이 필요하다. 뿐만 아니라, 제4차 산업혁명시대에 부응할 수 있는 보다 현실적인 철학담론의 장을 이끌어내는 것이 필요해 보인다. 이를 통해 동양철학 연구의 방향성이 보다 현실적이고 미래지향적인 이념 창출을 위해 이바지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 KCI등재

        한국인의 운명적 하늘관

        윤천근 한국동서철학회 2010 동서철학연구 Vol.58 No.-

        우리민족에게 있어서 하늘은 지배적 신격이면서 동시에 위대한 자연이라는 이중적 의미를 갖는다. 이러한 이중성은 우리민족의 종교적 의식이 유령관에서 유신관으로 발전하면서, 전자를 버리고 후자를 만들어 갖는 방식의 문화적 변모과정을 걸어 나간 것이 아니라. 전자 속에 후자의 성격을 가미시키는 방식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이다. 그것은 우리 민족의 신성관념이 기본적으로 범신론적인 바탕을 갖는다는 점과 관계가 있다. 우리민족의 사유구조 속에서 하늘은 태양, 달, 별, 비, 구름 바람 등으로 받아들여지기도 하고, 천신, 상제로 받아들여지기도 한다. 전자는 유령관에서 유신관으로 진화하는 단계 속에 놓여지는 하늘의 자연신적 모습이고, 후자는 유령관에서 유신관으로 진화한 결과로서 나타나는 인격적 주재천의 모습이다. 이를테면 우리는 단군신화의 환웅신이 갖고 있는 ‘인간360여 가지 일을 다 주관’하는 모습에서 지배적인 주재천으로서의 모습을 본다. 그러나 그렇다고 해서 인간의 삶에 대한 지배력을 이 인격적 주재천만이 갖고 있는 것은 아니다. 우리는 동일한 능력을 산신에게서도 보고, 수신에게서도 보고, 여러 다른 신격들에게서도 본다. 다양한 자연물 속에 산재하는 다양한 신성들이 인간의 운명에 개입하는 것이다. 신성들이 행사하는 권능이 사적인 관계를 바탕으로 하여 나타나는 것이므로, 어떤 사람이 어떤 신성과 보다 긴밀한 사적 관계가 맺어지느냐에 따라, 어떤 신성이 그 사람의 운명에 주도적으로 개입하느냐가 결정되는 것이다. 한국인은 그런 여러 신성들의 어떤 작용과 개입에 의해 운명은 만들어지며, 인간은 그런 운명에 따라 살아가는 존재라는 의식을 갖는다. 그렇게 인간의 운명을 만들어내는 모든 신성들의 작용력을 한국인은 ‘하늘이 주관하는 운명’으로 대표시켜 이해하는 것이다. 이렇게 일단 만들어진 운명은 피해갈 수 있는 것이 아니라고 한국인은 생각한다. 그러므로 한국인은 기본적으로 운명론자라고 하겠다. 그러나 하늘이 우리에게 어떤 운명을 만들어 놓았는지는 명확하게 알 수 있는 것이 아니고, 또 지성으로 하늘을 모시면 운명을 주관하는 하늘을 감동시켜 좋은 운명을 갖추어 주게 할 수도 있는 것이라는 점에서, 한국인은 그 운명보다는 인간의 정성에 더 중요성을 부여한다. 그것은 또한 사적 관계를 ‘나의 하늘’로 그 의식 속에 놓여지게 되는 하늘이 자신에 대해서 ‘나쁜 운명을 만들어주지는 않을 것’이라는 낭만적 기대감도 전제되어 있는 문제라고 하겠다. 人間生於他的存在環境中, 這就是一定的自然環境. 自然自體置了客觀的領域, 而且無關我的實際生命活動. 自我必然地隨行他自身的生命活動, 故自我向這種存在環境, 表出一定關心, 生産一定關係, 這叫是‘自我的他者化之過程’. 通過這種他者化的過程, 一面自我受用他者變化一定他者化的自我, 一面他者變化分有自我性的他者, 結果形成了自我干涉他者的新種存在環境, 這是自我的世界觀. 自我的世界觀中的自然, 不是其自體的自然, 是自我的自然. 自我的自然, 因爲分有自我性, 終局看做了一定的具有人格性卽靈性的存在物, 而且登場自然神格的觀念. 韓國民族通過這種過程, 形成汎神論的世界觀. 韓國民族之長久的歷史過程中漸進形成的此種汎神論的世界, 具有一面水平的諸神觀, 又一面垂直的天神支配之相對優越的一神觀. 自然中的天保持一種比較優越的地位, 汎神論的體系中的天保持一種比較優越的權能, 當然兩者置於相互連繫的構造下. 觀於韓國民族之‘汎神論的構造上的優越一神觀’天是保有靈性的自然神格, 而且天是支配一切的主宰神格. 後者的側面, 看於檀君神話中的桓雄之支配力, 主官人間三百六十餘事, 這是保有絶對神格的 特徵, 但是沒有唯一神的性格. 前者的側面, 顯於朱蒙神話的構造, 柳花感化太陽光線而孕朱蒙, 這是保有自然中之天的屬性, 太陽代表天界的特徵, 這是顯示天神始端於自然的天而且蓄漸變化而形成一個絶對的神格之痕迹. 韓國人之天觀念, 爲形狀化從出這種兩側面之相互融和或綜合. 這種韓國人之天, 主管人間運命, 而且韓國人承認天神附與之自己運命. 這種運命論的前提下, 韓國人引出其精誠與不斷努力之情狀, 沒有墮落或降伏於巨大天的專橫與狂暴. 這是由何原因而可能麻? 我想, 因爲韓國人的天觀念造形於私的而且主觀的關係下, 於韓國人心性內面必然有了一定浪漫的期待感, 卽他保有‘我的天爲不與於我此種極端苛酷的運命’之內心, 故可能‘盡人事待天命’的處身.

      • KCI등재

        근대와 만난 한국의 도교 -이능화 『조선도교사』의 기본입장을 중심으로-

        이종성 한국동서철학회 2010 동서철학연구 Vol.58 No.-

        이 논문은 이능화의 『조선도교사』에 나타난 기본입장을 검토해보려는 취지에서 기획되었다. 이능화는 역사의 좌절과 절망을 딛고 자신의 책무를 국학연구의 의의에서 확인받고자 한 일제강점기의 대표적 지식인의 한 사람이다. 그는 조선사편수회에 참여한 것이 문제가 되어 아직까지 친일의 혐의로부터 자유롭지 못한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그가 남긴 수많은 국학관련 저술들은 이능화에 대한 전면적인 재평가를 제기하기에 전연 부족함이 없다. 이능화의 『조선도교사』는 한국도교의 역사를 통사적 관점에서 그 특징과 전개과정을 구체적으로 서술한 저서이다. 그것은 한국도교사에 관한 선구적인 연구 성과에 해당한다. 이능화는 『조선도교사』를 통해 한국도교 기원설을 주장하는데, 무엇보다도 그 기원을 단군신화에서 찾는다는 점이 주목된다. 단군신화를 역사적 기원으로 삼는다는 것 자체가 민족의 기원을 단군으로부터 확인한다는 의미이기 때문에 그 의의는 매우 크다. 그것은 일제의 조선사에 대한 식민사관을 부정한다는 의미까지 담고 있다. 이능화는 한국도교 기원설을 통해 주체의식을 발견하고자 하였고, 이를 통해 나라와 민족을 재발견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관점은 『조선도교사』가 민족주의적 성향을 갖게 한 충분조건이었다. 이능화는 소격서 철폐의 사건을 민족주의적 측면에서 비판한다. 그는 소격서 철폐사건이 유교적 사대주의자들에 의한 민족적 자긍심의 포기의 선언에 다름 아니었다고 비판한다. 본래 천손의 자손이라는 민족적 자부심이 도교의 몰락과 함께 주체를 무력화시켰다는 것이 이능화의 인식이었던 것이다. 다른 한편 이능화는 도교가 근대 지향적 사유의 형성에 이바지하였다고 평가한다. 그래서 그는 중국 또는 중화를 조선과 동열에서 대비하고 `지나’라고 표현할 뿐만 아니라, 유교적 도덕주의를 `악한 도덕’이라고 비판하면서 근대 지향적 도덕으로서의 `선한 도덕’을 제창한다. 빈부·귀천·강약·남녀의 차별을 혁파하는 것이야말로 `선한 도덕’이라고 본 이능화는 근대 지향성과 도덕 지향성을 양립시키고자 하는 의지를 피력한다. 本論文是以李能和的《朝鮮道敎史》爲中心,探討其基本思想爲主旨而設計的。李能和是日帝强占期,立足于歷史的挫折和絶望,把國學硏究的意義爲己任的代表學者。他因曾贊加過朝鮮史編修會而自今未能擺脫親日的嫌疑。但是他所留下的相關國學著述,有充分的證据能구再次評价李能和。李能和的《朝鮮道敎史》是一部把韓國道敎的歷史以通史的角度具?闡述其特征和展開過程的著作,算是對韓國道敎史硏究的先驅成果。李能和通過《朝鮮道敎史》主張韓國道敎的起源說,特別是把起源的根据在檀君神話中尋?。把檀君神話當做歷史的起源是意味着把檀君視爲民族的起源之故,其意義甚深。這還意味着否定日本帝國主義對朝鮮的殖民歷史觀。李能和想通過韓國道敎的起源說來尋?主?意識,以此來再次尋?國家和民族。因此,《朝鮮道敎史》具有民族主義性向。李能和從民族主義的側面上批判撤銷昭格署的事件。他遣責說撤銷昭格署的事件就是儒敎事大主義者們放?民族自豪感的宣言。李能和認爲原本的天帝子孫的民族自豪感伴隨着道敎的沒落而被消?,但是道敎却在近代志向性思維的形成做出了貢獻。所以,他把中國或中華看成是同朝鮮相等的位置,故稱其爲‘支那’,幷批判儒敎的道德主義是‘惡的道德’,進而提倡作爲近代志向性道德的‘善的道德’。李能和認爲消除貧富貴賤强·弱·男女等差別才是‘善的道德’,幷主張同時建立近代志向性和道德志向性。

      • KCI등재

        『한국 사회에서 정의란 무엇인가』에 대한 비판적 검토 ― 정의의 원천으로서의 헌법, 그리고 제도선행적 응분원칙의 이해에 대한 의문을 중심으로―

        손제연(Son, Jeyoun) 한국법철학회 2021 법철학연구 Vol.24 No.1

        본고는 김도균 저, 『한국 사회에서 정의란 무엇인가』(아카넷, 2020, 이하 ‘『한국정의론』’)에서 드러나는 두 가지 논의를 비판적으로 고찰한다. 먼저 한국사회의 정의의 원천을 헌법적 실천에서 발견하려는 시도에 대해 의문을 제기한다. 저자의 시도에 대한 유망한 해석은 헌법적 실천에 정의 원칙의 위상에 해당하는 추정적 지위를 부여하게 된다. 이와 같은 시도는 해당 저술을 통해 뚜렷한 정당화 논증을 찾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현실의 사회제도를 평가해야 할 정의이론의 역할과 정면으로 충돌하는 것으로 보인다. 두 번째로, 『한국정의론』의 논의에서 드러나는 정의 원칙들 간의 위상 관계는 상당히 모호하며, 롤즈가 제기한 사회정의론의 핵심과제인 우선성 문제를 해결하는 데 불충분하다는 점을 응분 원칙의 정의 체계에서의 위상을 도출하는 저자의 논의를 분석함으로써 지적한다. 이를 위해 본고는 롤즈의 『정의론』에 나타나는 우선성 문제와 응분에 대한 제도적 관점을 둘러싼 논쟁을 설명하고, 이를 토대로 롤즈가 거부한 응분원칙의 정의원칙으로서의 위상을 다원주의적 조건부 원칙으로 복권하려는 시도로 이해되는 『한국정의론』 제2장의 논증을 비판적으로 재구성한다. 이러한 논증은 롤즈가 응분 원칙을 그에 대한 제도적 이해를 통하여 정의 원칙들에서 배제한 이유와 제도적 응분 이론을 둘러싼 논쟁에 대한 일련의 오해에서 기인한 것이며 응분원칙의 조건부적 정의 원칙으로서의 위상은 설사 셰플러가 제시한 제도-선행적 성격을 인정한다 하더라도 복원되지 않는 것이다. 이는 적어도 롤즈의 관점에서 본다면 조건부 정의 원칙의 위상에 대한 『한국정의론』 저자의 오해에 기인하는 것이고, 이로 인해 응분원칙을 포함한 『한국정의론』에서 발견된 잠정적 정의 원칙들의 위상은 추상적 수준에서도 모호하다고 할 수 있다. This article critically examines two questions from Dokyun Kim’s, Theory of Justice in Korea (hereinafter, ‘TJK ’). First, it raises a question about the attempt to find the justice of Korean society in the constitution. Such an attempt seems to conflict with the role of the theory of justice in evaluating a social system.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inciples of justice revealed in the discussion of TJK is obscure and is insufficient to solve “the priority problem”, which is the core task of the social justice theory raised by Rawls. For this, this paper explains the debate over the institutional view of desert and the priority problem of Rawls. Furthermore, the author’s posi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lural principles of justice, which is clearly revealed in Chapter 2 of TJK , should be reconstructed. This paper argues that Kim’s view stems from a series of misunderstandings about Rawls’ priority problem and the debates on Rawls’ institutional theory of desert, and that the attempt to raise the position of desert principle to a prima facie principle of pluralism has failed.

      • KCI등재

        한국의 태권도사상에 관한 연구

        권혁정,이동건 한국체육철학회 2015 움직임의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Vol.23 No.2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stablish the thought of Taekwondo by shedding light on the meanings implicit in the Korean martial art, based on the philosophy of major traditional Korean thoughts such as Pungryudo, Hwarangdo, Seonbido, and HongikIngan. This research shows how Taekwondo's view of mind and body is of the oneness of mind and body in this regard. This is very important of object with aim. This research shows that the constant 'practice' of Taekwondo leads to clear and concrete goals of 'protection': self-protection, protection of mind, protection of God, and protection of family and, furthermore, the country. The ultimate goal of Korean Taekwondo is to achieve the realization of Tao, the central idea of Korean thought by means of 'protection,' Korean Taekwondo's goal. That kind of realization is inherent in the spirit of Korea and has contributed to the globalization of Taekwondo via Pungryudo, Hwarangdo, and Seonbido, all of which run continuously in the mind of the Korean people. Therefore, the spirit of Taekwondo is based on fairness and the five Buddhist commardments·the constant virtues, and humanitarianism. The traditional methods of practicing Taekwondo are physical and spiritual ones. For the physical one, there are three ways to discipline body, breathing, and mind. For the spiritual one, there are two ways to practice mind control and meditation. The practice of Taekwondo requires going through the steps of introduction, technique, art, and tao. Introduction is the beginner's stage in which one accepts a martial art uniform and In the stage of Technique, one is required to practice poomsae, a key part of Taekwondo. The stage of Art is that of Taekwondo demonstration. It reaches the pinnacle of techniques. Tao is the stage in which one seeks to attain realization by mastering supreme techniques and experiencing them.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 고유의 주요사상인 풍류도(風流道), 화랑도(花郞道), 선비도, 홍익인간(弘益人間)사상을 토대로 태권도에 내재한 함의를 밝혀 한국의 태권도사상을 정립하고자 함에 있다. 먼저 태권도의 신체사상은 태권도의 목표와 목적을 명확하게 정립하는데 중요한 사항으로 한국 주요사상의 중심인 도를 체득하기 위하여 심신을 부단히 닦음과 깨침을 얻기 위한 ‘심신일여론적 신체관(心身一如論的 身體觀)’을 가진다. 따라서 한국 태권도의 목표는 무도적인 차원에서 절차탁마(切磋琢磨)라는 의미에서 부단히 ‘닦음’을 수련함으로써 구체적이고 명확한 목표인 ‘지킴’에 이르는데, 이는 자신을 지키고(호신:護身), 마음을 지키고(호심:護心), 신의 뜻을 지키며(호신:護神), 혈족(호족:護族)과 나아가 나라를 지키는 데(호국:護國) 있다. 한편, 한국 태권도의 목적은 한국 태권도의 목표인 ‘지킴’을 수단으로 하여 궁극적으로 한국사상의 중심인 ‘도의 깨침’에 이르는데, 이 깨침이 바로 한국의 얼과 혼이 내재하여 한민족의 정신세계에 면면히 흐르는 풍류도와 화랑도, 그리고 선비도를 거쳐 세계화된 태권도에 이른 것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태권도의 정신은 한국 고유의 정신을 함축 요약한 ‘광명정대(光明正大)’와 ‘오계 ․ 오상(五戒五常)’ 그리고 ‘홍익인간(弘益人間)’의 정신이라 할 수 있다. 한국의 태권도 수련방법은 무를 수행하는 전통적 수련법인 신법(身法)과 심법(心法)이 있다. 이를 세분화하면 신법에는 전통적 무의 수련방법인 조신(調身), 조식(調息), 조심(調心)이 있고, 심법은 정좌법(靜坐法=태극심법)과 부동심(不動心)이 있다. 이와 같은 태권도 수련은 경(經), 술(術), 예(藝), 도(道)의 단계법(段階法)을 거친다. 경(經)의 단계는 태권도를 수련하기 위한 입문의 단계인 도복을 받아들이고 술(術)의 단계는 기술을 습득하는 품새의 단계이며 예(藝)의 단계는 기술의 극치를 이루어 최고의 경지에 도달하는 시범의 단계이다. 도(道)의 단계는 도체험에 있는 것으로 깨침의 경지를 추구하는 단계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