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은 동북아 '중심' 국가인가? : 현실 중국과 우리 안의 중국에 대하여

        李琮敏 한국중국문화학회 2004 中國學論叢 Vol.17 No.-

        本論文的主題是硏究在現實中國和韓國里的中國之距離的. 這樣的距離是因近代以來形成起來的相互偏見和誤解而産生的. 一般來說, 韓國里有理解中國的幾個視角, 卽文化大國的視角, 卑下的視角, 敵對的視角, 大衆文化的視角, 新興富强國的視角. 這樣的視角幷不是固定的, 而是隨着歷史的文化的脈絡來形成. 比如說, 近代以前文化大國的視角比較强, 近代以後卑下的視角到現在其影響力흔强, 韓國戰爭以後在冷戰時代敵對的視角比較强, 韓中建交以後隨着中國經濟能力成長新興富强國的視角重新生成, 而且, 解放以後因香港,臺灣等中華圈大衆文化影響力大衆文化的視角漸漸形成. 這樣的視角先入見地限制韓國理解中國的方式. 所以, 透明的理解中國的實際情況首先必須反思韓國對中國的誤解和偏見.

      • KCI등재

        현행 고등학교 중국어 교과서에 게재된 사진의 문화적 고찰

        朴現圭,陳秀美,柳知惠,金善兒 한국중국문화학회 2001 中國學論叢 Vol.12 No.-

        自從1992年8月, 韓中兩國建交以后, 在外交·商務·文化交流1留學·旅游等各個方面都得到了蓬勃的發展. 爲了順應這一國際潮流, 最重要駒就是語言能力. 因此, 敎育部的敎育課程也增大了對中國語敎育的關心, 事實上在高中敎育中, 將中國語選爲第二外國語的比率呈逐漸增加的縕勢. 在外國語敎育中, 作爲基本的敎材的作用不僅在外國語敎育方面, 而且還注重于對使用相應語言的國家和民族的文化進行理解. 因此, 最近爲了在中國語敎育課程中也强化有關中國文化敎育的重要性, 在敎材課文中直接載入中國文化以及韓中兩國文化之뇌較等內容, 而且在敎材中還附加照片和揷鬪資料, 幷行視覺敎育 通過這-方法, 學生在首次接觸中國語敎材時, 通過封面和封面內的照片, 以及本文中的據獨照片, 可以更加准確地把握何霜中國的形象和文化.本論文正是着眼于這-點, 選擇第雌騙驗育課程中被選定的一般高中現行中國語敎材共5冊, 以其中所登載的照片爲對象進行分析. 同時分析內容還包括, 讀些照片對于學生來說, 在了解中國文化方面如何有效地傳達知識, 在增進理解方面會起到多大作用, 幷旦對這里所存在的間題進行討論, 探求合理的改善方案. 書本是內容的充實也固然重要, 但外部的設計以及附加照片 1 揷圖等視覺效果也不容忽視, 具有同等的重要性. 一般的書籍如此, 而作爲敎材來講, 在增進學習效果方面, 這種視覺效果更重要. 本論文雖然以對現行中國語敎材中所收錄駒部分照片爲進行了分析, 但在誤計彧圖片部分也可作與沈相同約結論. 2002年敎育課程的轉換時機卽將來臨, 中國語敎材也重新進拒了改編. 希望今盾被改編的中國語敎材將對本論文中所提及的問題進行改善, 對書中的每一張照片都進行愼重的選擇, 從而可使學習中國語的學生更加准確多方面地了解中國文化. 爲了對這些間題進行改善, 筆者認爲敎育當局應該投入更多的關心, 幷在制度上予以充分的協助.

      • KCI등재

        중국 문화산업의 전후방산업 연관성에 관한 연구―2017년, 2020년 중국산업연관표 비교를 중심으로

        김형근,최정석 한국중국문화학회 2023 中國學論叢 Vol.- No.79

        중국의 문화산업은 세계 경제 변화와 발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산업 중 하나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과정 중에 있다. 특히 중국 경제의 성장 방식이 양적 성장에서 질적 성장으로 전환되면서 문화산업의 육성이 국가정책 수립에서 중요한 전략적 의미를 갖게 되었다. 그러나 아직까지 중국인들은 문화산업이 서구 선진국가와 비교하여 소프트파워 측면에서 낙후되었다고 여기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국정부의 정책적 지원에 힘입어 중국 문화산업은 최근 몇 년간 꾸준한 성장을 이루어냈다. 2021년까지 전국에는 규모가 6.5만 개 이상의 문화 관련기업이 총 매출액으로 11조 9064억 위안을 달성하였으며, 이는 전년 대비 20.86% 증가한 최고 성장률을 기록한 바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문화산업의 산업적 가치는 GDP의 5%에 불과하여 성장 단계에 머물러 있다는 평가가 존재하고 있다. 따라서 중국 문화산업이 당장 중국 경제 발전을 주요 지원 산업으로 대체하는 것은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의 경제발전은 여전히 전통적인 제조업 중심의 산업에 의존하고 있으며, 문화산업의 양적, 질적 성장을 동시에 실현하기 위해서는 정부와 관련 업계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평가된다. 본 연구에서는 산업연관분석을 통해 중국 문화산업이 다른 산업들과 상호작용하고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산업간 시너지를 창출하고 산업 발전을 더욱 효율적으로 이끌어낼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하였다. 2017년과 2020년의 투입산출표를 활용하여 비교분석하였으며, 중국 문화산업이 기존의 정부주도 방식에서 민간산업 주도로 체질이 개선되는 모습으로 변화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 결과로 2017년에는 의류, 피혁 등 기타제조업, 숙박 및 요식업, 공공관리 및 사회조직 부문에 문화산업이 영향을 상대적으로 크게 끼쳤다면, 2020년에는 방직업, 농림목어업, 의류, 피혁 등 기타제조업의 순서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전방산업연관성을 분석한 결과, 중국 문화산업은 주로 화학공업과 금융업 등과 연관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2020년에는 금융업에 기반한 부동산업의 연관성이 더 컸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문화산업이 성장함에 있어 금융활동의 역할이 강조되는 것을 시사한다. Chinese government support to the cultural industry has grown steadily in recent years, with more than 65,000 culture-related enterprises nationwide and a total turnover of RMB 11.9064 trillion. However, the cultural industry's share of GDP remains stagnant at 5% and is expected to be difficult to replace in China's economic development. China's economy is still dependent on traditional manufacturing, and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growth of the cultural industry requires cooperation between the government and the industry. The input-output analysis of this study shows that China's cultural industry interacts and produces synergistic effects with other industries. Among them, the cultural industry has a high correlation with the financial and real estate industries, highlighting the role of financial activities. In the future, China's cultural industry is expected to develop further through cooperation between the government and the private sector, and this development is expected to help China's economic growth and enhance the global competitiveness of the cultural industry.

      • KCI등재

        개혁개방 이후 한국을 바라보는 중국의 눈 읽기

        이종민 한국중국문화학회 2003 中國學論叢 Vol.15 No.-

        本論文以改革開放以后中國對韓國的理解方式爲論題. 中國對韓國的認識改革開放以后有深刻的變化. 改革開放以前, 在中國的眼里的韓國是以美國爲中心主義的資本主義體制下的邊緣國家或貧窮的敵對國家, 這都是受冷戰體制以及北韓的國際關系之影響. 但是改革開放以后, 這樣的觀點逐漸生産了變化, 這和中國對韓國經濟發展濃厚興趣有密切關系. 隨着冷戰體制的結束與再編入到資本主義世界主導制, 中國改變了對韓國的否定的觀點而重新理解韓國肯定的一面. 這在八十年代主要表現爲在經濟方面承認韓國的成就, 九十年代以后對韓國的關心擴展到政治, 社會, 曆史, 文化等諸領域, 在相互理解和文化交流之基礎上韓國關系得以重建. 特別是九七年以來,在中國的謂韓流現象的影響下, 對韓國的關心更廣範化. 可是韓中兩國的相互理解還存在着偏見和誤區.因此韓中雙方需要反省對對方的偏見和誤解, 而且在相互理解之基礎上再構公正的和連帶的韓中關系, 這就是我們時代必須解決的曆史使命.

      • KCI등재

        《중화문화통지》의 민간신앙 서술 분석 : 지역문화시리즈 10권의 분석을 중심으로

        林泰弘 한국중국문화학회 2006 中國學論叢 Vol.21 No.-

        이 글은 1998년에 중국에서 대대적으로 출판된《중화문화통지(中華文化通志)》101권중 민간신앙과 관련된 내용을 조사, 정리하고 분석한 것이다. 《중화문화통지》는 2000년 9월 장 쩌민(江澤民) 중국 국가주석이 미국의 펜실버니아 대학 도서관 창립기념으로 전질 101권을 특별히 보낸 것으로도 유명하다. 이 전집은 '중화민족문화백과전서'라고도 평가되는데 총 200여명이 넘는 전문가, 학자들이 모여서 수천년의 중국문화를 체계적으로 정리한 거대 저작물이다. 《사고전서(四庫全書)》이후의 최대의 걸작이라고도 평가되는 이 문화 저작 시리즈는 중국의 고대에서 현대에 이르기 까지 모든 분야의 문화를 총망라해서 100권으로 정리한 것이다. 이 시리즈의 전체 구성은 중국문화를 역대문화연혁(历代文化沿革), 지역문화(地域文化), 민족문화(民族文化), 제도문화(制度文化), 교화와 예의(教化与礼仪), 학술(学术), 과학기술(科学技术), 예문(艺文), 종교와 민속(宗教与民俗), 중외문화교류(中外文化交流) 등 10개의 분야로 나누고, 그 밑에 각 분

      • KCI등재

        韩国和中国背景下变革型领导和 组织承诺的跨层次关系研究 - 心理授权的中介作用-

        최명철 한국중국문화학회 2013 中國學論叢 Vol.38 No.-

        본 연구는 한국에서 근무하는 한국인과 중국기업에서 근무하는 중국인을 대상으로 변혁적 리더십이 심리적 임파워먼트와 조직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다차원적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한국과 중국에서 변혁적 리더십과 조직몰입간의 인과관계속에서 임파워먼트가 다차원적으로 어떠한 매개효과를 갖는 지를 비교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한국에서 변혁적 리더십은 대체로 임파워먼트의 의미성, 자기결정력, 영향력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중국에서 변혁적 리더십은 임파워먼트의 모든 하위요인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한국과 중국에서 임파워먼트의 모든 하위요인은 감정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쳤고, 지속몰입에는 의미성과 영향력만이 영향을 미쳤다. 변혁적 리더십과 조직몰입간의 관계에서 임파워먼트의 매개작용을 살펴보면, 한국에서 변혁적 리더십과 감정몰입간의 관계에서 임파워먼트의 거의 모든 요인이 부분매개작용을 했고, 변혁적 리더십(개별적 배려, 지적 자극)과 지속몰입간의 관계에서 임파워먼트의 의미성만이 부분매개작용을 했다. 중국에서 변혁적 리더십과 감정몰입간의 관계에서 임파워먼트의 모든 요인이 부분매개작용을 했고, 변혁적 리더십과 지속몰입간의 관계에서 의미성만이 완전 및 부분매개작용을 했다. 한국과 중국에서 변혁적 리더십이 임파워먼트가 조직몰입과 임파워먼트의 형성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인지해야 하고, 이에 따른 변혁적 리더십의 적절한 발휘 및 활용이 필요하다. 한국뿐 아니라 중국에서도 임파워먼트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이나 변혁적 리더십과 조직몰입간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이 상당히 큰 것으로 나타났고, 2006년 임파워먼트가 중국에 처음 연구되었을 때보다 임파워먼트의 영향력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부하들에게 단순명령 및 지시보다는 권한위임, 재량권의 확대, 직원들의 능력개발 및 자율성 향상이 향후 중국진출기업과 중국기업에서 주요한 과제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張承志創作初探 : 他的理想主義與抗戰文學論 His Idealism and (Political) Resistance

        千賢耕 한국중국문화학회 2004 中國學論叢 Vol.17 No.-

        張承志는 新時期 이래 中國문단에서 크게 주목을 받는 작가이다. 回族 태생, 이슬람교도 紅衛兵, 이어서 知靑으로 등단하는 등 남다른 이력부터 세인의 관심을 받았다. 개혁개방으로 인민의 경제생활이 향상되고, 이는 현대화와 시장경제체제에 대한 열렬한 찬양을 넘어 금전숭배의 물질만능사조와 필연적으로 뒤따르는 인간정신 쇠퇴라는 풍조를 낳았다. 삶의 세속화, 속류화 등에 따라 문화계 역시 오락성의 추구상업주의화가 지배적 분위기를 형성했고, 이에 문단에서는 숭고한 연간정신 삶의 궁극의 목표를 상실한데 대한 우려와 질책의 소리가 "인문정신"에 대한 논쟁으로 표출되었다. 張承志는 바로 이러한 1990년대 이후 중국인문학계의 風景에 돌발적인 존재이다. 그는 보편적 사회분위기와는 달리 인간의 존재가치에 대한 끊임없는 懷疑, 궁극적인 가치에 대한 추구, 자기수양과 불요불굴의 정신을 강조하며 "혁명시대"의 힘을 잃어가는 중국사회를 一喝하였다. 그의 작품에 항상 등장하는 "求道者"의 형상이나 끓어넘치는 젊음의 기백 등, 격정적 理想主義와 英雄主義로 대표되는 그의 작품세계는 이렇듯 꿈과 격정을 잃어버린 세대에게 희망으로 다가가며 "熱氣" "神話"등의 현상을 낳기까지 한 것이다. 그러나 한편 그의 理想主義나 英雄主義는 紅衛兵 출신이라는 개인경력과 맞물려 다른 평가를 이끌어내기도 한다. 특히 현대중국의 "암혹기"라 평가받는 文化大革命과 紅衛兵에 대해서도 張承志는 "영광의 60년대"라는 인식을 갖고 있다. 물론 張承志가 인정하는 것은 목표를 향한 열정, 전체를 위한 개인의 희생과 헌신, 절대 굴하지 않는 투쟁정신, 사회 전체의 총체적인 통일 등 그 시절이 담지했던 "理想"과 "激情"이었다. 그러나 교조적인 이상과 격정, 전체를 위한 개인의 희생과 헌신을 강요받으며, 그러한 이상주의와 영웅주의 속에 인간으로서의 존재가치를 빼앗겨야 했던 당대 중국인들은 경계와 우려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아울러 張承志의 抗戰文學論 역시 이와 유사한 양면적 평가를 받는다. "세계화"와 함께 추진되는 미국 주도의 覇權主義는 제3세계에 또 다른 식민주의(新植民主義)의 두려움을 자아내고 있다. 서구화된 생활양식이 빚어낼 수밖에 없는 서구 추수적 중국사회의 분위기는 文化帝國主義의 침략에 대한 지식인들의 "민족존망의 위기감"을 자아냈고, 張承志는 이러한 위기의식을 "서구문명"에 대한 투항에의 저항(抵抗投降), 즉 "新식민주의 반대"라는 "抗戰文學論"으로 형상화한 것이다. 이는 중국 뿐 아니라 한국을 포함한 제3세계 공통의 문제이지만, 이러한 움직임이 낳을 또다른 부정적 결과를 경계해야 할 것이다. 중국의 中華主義가 이러한 민족적 위기감과 결합할 때는 또다른 보수주의 사조가 등장할 것이고, 이는 人類共榮의 공동체적 삶을 목표로 하는 현대인에게는 더더욱 중요하고도 시급한 문제이다. 이렇게 張承志는 中國 안팎에서 각기 다른 이유로 주목을 받는 "문제적" 작가인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

        중국과 일본 차문화산업 비교 연구 ―커피문화 확산에 따른 중국 차문화산업의 발전 방안을 중심으로

        엄영욱,조원일,김성순,이식,신승식,전영의,란아시 한국중국문화학회 2023 中國學論叢 Vol.- No.80

        본고는 중국의 차 문화 산업이 커피 문화 산업의 급속한 발전과 충격에 직면하여 차문화산업이 위축되어 가는 상황에서 중국 차 문화 산업의 발전을 보호하고 촉진하기 위한 대응 및 개발 계획을 제안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주로 일본 차 문화 산업의 동향과 중국의 차 문화 산업, 커피 문화 산업, 이 둘의 비교 분석을 통해 중국 차 문화 산업이 직면한 도전과 문제를 논의하고 해당 솔루션을 제안한 것이다. 본고의 연구 목표는 중국 차 문화 산업의 발전을 보호하고 촉진하기 위해 실행 가능하고 표적화된 대응 방안 및 발전 계획을 제시하였다. This paper proposes a response and development plan to protect and promote the development of the Chinese tea culture industry at a time when the tea culture industry is shrinking in the face of the rapid development and shock of the coffee culture industry. This study mainly discussed the challenges and problems faced by the Chinese tea culture industry and proposed solutions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of the trends of the Japanese tea culture industry and China's tea culture industry and coffee culture industry. In order to protect and promote the development of the Chinese tea culture industry, the research goal of this paper presents viable and targeted countermeasures and development plan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