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의 노인주거연구의 경향 - 한국과 일본, 미국의 연구 경향 비교를 중심으로 -

        최정신 한국주거학회 1996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Vol.7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에서 장래에 이루어질 노인주거연구의 주제를 예측할 수 있도록 일본, 미국, 한국의 노인주거연구의 경향의 차이를 파악하고 비교하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는 세나라에서 1940년대부터 1990년대 현대까지 발표된 노인주거연구에 대한 학술지와 논문을 분석함으로써 이루어졌다. 세 나라에서 전체 772편의 논문을 수집하여 이를 발표된 연도와 주제에 따라 분류하였다. 본 연구는 일본과 미국의 연구 경향의 특징을 별도로 발표한 후속 연구이다. 일본에서는 1950년대에 노인주거에 대한 연구가 시작되어 80년대 후반에 절정을 이루었으며, 그 이후로 서서히 관심이 줄어들고 있는 추세이다. 일본에서의 주요 주제는 노인홈과 노인시설내의 주 생활조사, 3대 동거 주택, 유료노인홈과 노인시설의 소비자 문제등이다. 미국의 경우, 노인주거의 연구는 일본보다 빠른 1940년대에 시작되어 70년대와 80년대에 걸쳐서 다른 때보다 더 많은 연구가 발표되었다. 주요주제는 1970년대부터 80년대에는 노인주거와 노인시설에 집중되어 있었으나 80년대 이후에 노인주거의 연구방법과 노인주택정책방향으로 관심이 바뀌고 있다. 한국에서의 노인주거에 대한 연구는 세나라 중에서 가장 늦은, 1970년대 후반부터 시작되어 80년대 후반 이래로 그 관심이 점점 증가하고 있다. 한국에서 가장 관심이 있는 연구대상의 하나는 일본과 마찬가지로 기혼자녀와 노부모와의 동거주택에 대한 주제이다. 이상 세나라의 연구주제에서의 차이점은, 한국과 일본에서는 모두 노인주거와 연구방법 분야에는 비교적 관심이 적은 반면, 미국에서는 3대동거주택에 대한 관심이 적은 것이다. 일본과 미국 두나라에 비하여 한국에서는 노인주거 연구에 있어서 아직까지 다양한 주제를 발견하기 어려운데 그 이유는 한국에서는 노인주거에 대한 구체적인 개발이 아직까지 이루어지지 않아서 노인주거에 대한 경험도 많지 않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앞으로 한국에서도 노인주거가 개발된다면 그 후에는 보다 다양한 연구주제가 나타날 것이라고 기대된다. 예를 들면 노인거주시설의 질적인 비교, 특수한 형태의 노인주거에 대한 요구, 노인주거내의 주생활조사나 평가, 노인을 위한 설비의 디자인 등에 관한 연구들을 생각해 볼 수 있다.

      • KCI등재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지속가능한 주거환경 중요요인에 관한 연구

        전하진,이성훈,김기홍,최민섭 한국주거환경학회 2017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 Vol.15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important factors of the sustainable residential environment at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ge. This study attempted to deduct and analyze important factors of the sustainable residential environment among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social sustainability, economic sustainability. Moreover, this study attempted to conduct the analysis using the general statistical processing method based on the demographical data obtained from the questionnaire research on the basis of the understanding that the identity of the specialist is ambiguous when AHP is used under development of the sustainable residential environment at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ge. And it attempted to analyze the cross-tabs of demographical characteristics by professional group to make an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specific contents. Finally, This study was made to find out the degree of importance through the case revealed that sustainable residential environment at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g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reductions of the housing expenses are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the economic sustainability. Second, it was found that reductions and changes of using energy are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the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Finally, it was found that community formation and continuity are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the social sustainability.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 시대로의 패러다임 전환기를 맞이하고 있는 상황에서 시대적 변화와 흐름에 맞는 지속가능한 주거환경이 필요함을 인식하고 이를 위한 중요요인을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4차 산업혁명 및 지속가능한 주거환경 관련 선행연구를 검토하고 FGI 분석을 통해 4차 산업혁명 시대에 필요한 지속가능한 주거환경 요인의 AHP 측정항목을 설정하고, 전문가 AHP 분석을 통해 4차 산업혁명 시대에 필요한 지속가능한 주거환경 중요요인의 우선순위를 실증분석 하였다. 실증분석 결과를 통해 도출된 의미있는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4차 산업혁명 시대에는 경제적 지속가능성 요소 중에서 개별주택 유지 관리비 절감, 개인 생활비 절감, 개인의 지속적인 고정소득 창출 및 자급자족 기반 형성이 가능한 주거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둘째, 4차 산업혁명 시대에는 환경적 지속가능성 요소 중에서 에너지 이용 변화 및 절감이 가능한 주거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마지막으로 4차 산업혁명 시대에는 사회적 지속가능성 요소 중에서 커뮤니티 형성 및 지속을 위한 주민참여 기능을 강화할 수 있는 기능과 함께 커뮤니티 형성 및 지속을 위한 공간을 도입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도출 된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지속가능한 주거환경의 중요요인은 국내 주거환경의 변화를 모색하는데 중요한 지표가 될 수 있는 바, 보다 적극적인 자세로 지속가능한 주거환경 조성을 위한 개발과 연구가 필요하다 하겠다. 본 연구를 시작으로 부동산학 측면에서 4차 산업혁명과 관련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다. 특히 본 연구에서 도출 된 전문가들의 중요요인들이 수요자들 입장에서는 어떻게 생각하고 어떠한 요인을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지 파악하는 연구를 진행해 볼 필요가 있다. 뿐만 아니라 부동산 산업 전반에서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요구되는 당면과제를 찾아보고 시대적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주요 과제를 찾아나가는 노력이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A Study on the Housing Consumption Change in Life Cycle

        Lee, Hoon,Lee, Joo-Ah,Kim, Seong-Hee 한국주거환경학회 2015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 Vol.13 No.1

        본 연구는 생애주기상에서 발생하는 주요 사건들(고령화, 출가, 독거가구화 등의 시간적 흐름)이 주거소비면적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분석한 것이다. 생애주기상의 많은 사건들이 주거소비면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연구들은 많이 존재하여 왔다. 그러나 기존연구들은 고령화 계층과 비고령화 계층 간의 집단 비교를 통하여 고령화 계층과 비고령화 계층을 나누고 있으며, 주택소비함수 구성 시에 많은 추정치(자가가격 추정치, 전세가격 추정치 등)들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주거소비실태 실측 조사 자료를 사용하여 자가 가구를 대상으로 한 전체 생애주기 주거소비함수를 구성하였다. 또한 기존 고령화 계층의 주거소비연구들이 횡단면 자료를 기반으로 하였다는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차분회귀분석모형(반복헤도닉모형)을 사용하여 주거면적에 대한 연령의 시계열적 효과를 분석하여 생애주기 함수가 시점이 다른 상황에서도 재현되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는 점에서 차별성이 있다. 일반적인 생애주기 이론에서는 가구주가 중장년층이 되면 주거소비가 점차 늘어나고, 자녀출가 및 노년기로 접어들어 은퇴의 시기가 되면, 주거 소비를 줄여서 현금 축적 및 생활비로의 전용 등이 발생할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고령화 계층은 은퇴 이후에도 상당 기간 동안 주거 면적을 늘려나가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즉, 장년층 못지않게 60~70대 연령층에서도 주거 면적을 늘려나가는 경향이 여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도 고령화 연구의 가장 큰 한계점인 횡단면 자료 사용의 문제를 완벽하게 극복하였다고는 볼 수 없지만, 향후 고령화 계층을 시계열적으로 샘플의 누락 없이 추적 조사할 수 있는 패널자료가 구축된다면 보다 더 정교한 결과가 도출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개발제한구역내 국민임대주택의 입지특성과 주거만족도 연구 - 경남․부산․울산시를 中心으로 -

        김성덕,서유석 한국주거환경학회 2019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 Vol.17 No.1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tudy on the location characteristics and residential satisfaction of public rental housing in green belt and suggest proper location model of it. Construction of public rental housing in green belt has advantage of acquiring site to build it easily, but it is doubtful whether it is proper or not as housing environment of low income classes. To analyse and verify suitability of it's location in green belt, it was surveyed locational conditions and characteristics, especially types and number of neighborhood facilities, distance from home to downtown or their office, etc. Results of comparing and analysing diverse conditions of 5 public rental housings are as follows. Firstly, it was analysed that there were a lot of differences in numbers and characteristics of neighborhood facilities, and zoning around public rental housing affected numbers and characteristics of them more than it's location in the city. In other words, types and number of neighborhood facilities around public rental housing was increased more in case of commercial zoning than residential zoning. Secondly, dwellers' housing satisfaction of neighborhood facilities was also increased according to proximity(distance) from home to downtown and its' diversity. Thirdly, public rental housing dwellers' housing satisfaction is analysed to increase in downtown and suburban area more than in isolated area, and housing location affected housing satisfaction more than types and number of neighborhood facilities. Suitability of neighborhood and it's location is difficult to standardize it because of private preference differences, but housing satisfaction of low income classes was influenced so much by distance and arriving time from home to office, therefore, downtown area or area near to public rental housing is assessed to be good location in housing environment of low income class. At these area, there are diverse neighborhood facilities and public transportations, and they can get a job easily at there. 본 연구에서는 2004년 국민임대주택건설 특별조치법 시행으로 개발제한구역에 임대주택을 건립할 수 있도록 한 이후 건립된 국민임대주택(장기공공임대주택)을 중심으로 입지의 적정성과 주거만족도를 조사, 분석함으로써 바람직한 국민임대주택의 입지모델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는 먼저 국민임대주택의 입지 및 주거환경과 관련하여 기존 관련연구 분석을 통해 정량적 분석의 지표로서 주거입지 및 주거환경 요소를, 정성적 분석의 지표로서 주거만족도를 평가요소로 선정하였다. 다음으로 임대아파트 건립의 법적인 토대로서 개발제한구역에서의 예정지구지정에 관한 특례가 규정된‘국민임대주택건설 등에 관한 특별조치법’(2003.12.31.) 시행이후, 관련법규 내용과 함께 이 특례규정에 따라 개발제한구역내에 건립된 경남·부산·울산지역의 임대아파트 단지를 사례조사 대상으로 선정하여 주거환경 및 입지적 특성과 함께 이에 대한 거주자들의 주거만족도를 조사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주거입지의 적정성은 규범화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으나 도시외곽에 위치할수록 근린생활시설이 적고 다양하지 못한데다가, 직장까지의 거리와 이동시간이 주거만족도에 더 큰 영향을 미치므로 저소득층을 위한 국민임대주택이라는 속성상 가급적 다양한 대중교통의 이용이 가능하고 주변에 근린생활권이 이미 형성되어 있는 도심지역이나 기존주거지에 인접한 지역이 바람직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 KCI등재

        공공임대주택의 혼합주거형태가 주거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서울시 임대주택 패널 1차년도 자료를 중심으로 -

        오정석,이성원 한국주거환경학회 2018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 Vol.16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overall, internal and external housing environment satisfaction, accessibility, convenience and social relation for resident between rental-only housing complex and tenure mixed housing complex and its types. The types of complexes include; (1)rental-only housing complex, (2)tenure mixed housing complex which rental and sale are located in the same building, (3)tenure mixed housing complex but rental and sale are not located in the same building. Statistical analysis was done using SPSS 22.0 statistical package. Statistical techniques were Mann Whitney and Kruskal Wallis analysis for frequency analysis,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respondents' general characteristic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overall residential satisfaction of the residents of the tenure mixed complex and the non-mixed complex. In addition, the highest satisfaction was obtained for (2)tenure mixed housing complex which rental and sale are located in the same building, followed by (3)tenure mixed housing complex but rental and sale are not located in the same building and (1)rental-only housing complex. This suggests that tenure mixed housing is solving the problems caused by the social exclusion phenomenon and the spatial separation of the residential areas with different income levels. Meanwhile, it seems that public efforts will be needed for the satisfaction of the accessibility and convenience, and the social environment for residents of the tenure mixed complex. 이 연구는 서울시 공공임대주택 패널자료를 원자료로 혼합단지유형 자료를 추가 활용하여 서울시 혼합주거형태에 따른 주거환경과 주거만족도 차이를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에 도달하였다. 첫째, 혼합단지와 비혼합단지(전용임대단지) 거주자의 전반적 주거환경만족도는 유의한 차이가 있으며 혼합주택 거주자의 전반적 주거환경만족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주택내부환경 만족도에서는 마감상태는 전용임대단지가, 배리어프리설계에 대해서는 혼합단지가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외부환경만족도에 대해서는 휴게/녹지공간, 주차시설, 장애인/고령자시설 및 방범상태 모두가 혼합주택의 경우가 임대전용단지보다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접근성 및 편의성 만족도에서는 대중교통 편의성, 교육환경, 생활편의시설, 공공시설 접근성, 문화시설 접근성 및 의료시설 접근성에서 전용임대단지가 혼합단지의 경우보다 높은 만족도를 나타내었으며, 사회환경 만족도에서는 각각 이웃과의 교류 및 단지내 커뮤니티 시설 이용여부는 임대전용단지가, 이웃에 대한 신뢰와 동거가족과의 관계에 대해서는 혼합단지가 더 높은 만족도를 보여주었다. 둘째, 거주자의 전반적 주거환경만족도는 혼합단지 혼합동이 가장 높은 만족도를, 혼합단지 분리동과 비혼합단지가 각각 그 다음으로 높았다. 주택 내부환경 만족도에 대해서 혼합단지 혼합동이 주택성능, 마감상태, 설비상태, 배리어프리 설계의 모든 항목에서 가장 높은 만족도를 나타내었으며, 주택 외부환경 만족도에 대해서도 모든 항목이 복합단지 복합동이 가장 높은 만족도를 나타내었다. 접근성 및 편의성 만족도에서는 비혼합단지, 혼합단지 혼합동 그리고 혼합단지 분리동의 순으로 나타났으나, 대중교통편의성은 혼합단지 혼합동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환경 만족도에서는 이웃에 대한 신뢰도는 혼합단지 혼합동, 분리동, 그리고 비혼합단지 순으로 나타나고, 동거가족 관계 및 단지내 커뮤니티 시설이용여부는 혼합단지 분리동, 혼합동 그리고 비혼합단지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분양주택과 임대주택의 물리적인 혼합배치를 통하여 거주자의 주거만족도 향상을 제고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공공은 지금까지 공공임대주택을 공급하는데 있어, 혼합주거형태를 통해서 거주자의 주거만족도를 향상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 KCI등재

        청년 1인가구의 주거환경만족도와 주거이동의향 실증분석 : 도시와 농촌 차이

        임준홍(Im, Jun-hong) 한국주거환경학회 2021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 Vol.19 No.1

        This study divides the residential areas of young one-person households living in Chuncheongnam-do into urban and rural areas, and analyzes the degree to which they are satisfied with their residential environment and they intend to migrate. The key findings are as follow: First, there is no difference in residential environment satisfaction among living areas (cities and rural areas). Although urban residents’ satisfaction (5.56 out of 10) is higher than that of rural residents (5.47), it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by residential environment factors, urban residents are more satisfied with the access to living facilities, while rural residents are more satisfied with the air, noise, and green areas. Third, depending on the living area of young one-person households, urban residents’ intention of the residential movement is higher than that of rural residents. Fourth, the analysis on the factor that affects the satisfaction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shows that all four types of housing factors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In particular, convenience facility factors have a greater impact than other factors, which are common in urban and rural areas. Fifth, as the result of analyzing the determinants of the intention to move around, urban residents are not greatly affected by certain factors, and rural residents are greatly influenced by cultural tourism and sports factors. Young one-person households are very important for maintaining urban vitality and strengthening residential stability. In particular, considering the high cost of housing for young people, various housing policies in the supply-side for young people and the maintenance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that can attract young people are required. 본 연구는 충남에서 생활하는 청년 1인가구의 거주지역을 도시와 농촌으로 구분하여 주거환경만족도와 주거이동의향에 대해 실증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년 1인가구는 생활지역(도시와 농촌)에 따라 주거환경만족도의 차이는 없다. 즉, 도시생활자가(5.56)가 농촌생활자(5.47)보다 높았지만 통계적으로는 유의하지 않다. 둘째, 주거환경 요인별 분석결과, 도시생활자는 생활편의시설의 이용 만족도가 높은데 반해, 농촌생활자는 대기, 소음진동, 녹지에 대한 만족도가 높다. 셋째, 청년 1인가구의 생활지역에 따라 주거이동의향은 도시생활자가 농촌생활자보다 높다. 넷째, 주거환경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4가지 주거요인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정(+)의 영향 준다. 특히, 편의시설요인이 다른 요인들에 비해 큰 영향을 주고, 이는 도시지역과 농촌지역에서 공통적이다. 다섯째, 주거이동 의향 결정요인을 분석한 결과, 도시지역 생활자는 특정 요인에 큰 영향을 받지 않고, 농촌지역 생활자는 문화관광스포츠요인에 많은 영향을 받는다. 청년 1인가구는 도시활력 유지와 거주안정성 강화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특히, 청년의 높은 주거비 부담을 높은 것을 고려할 때, 청년들을 위한 다양한 주택공급, 청년들에게 매력을 줄 수 있는 주거환경 정비가 요구된다.

      • KCI등재

        한부모 가족의 주거이력에 관한 연구 -한부모 형성과정의 주거경험을 중심으로-

        이한나,김승희 한국주거환경학회 2019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 Vol.17 No.3

        Single-parent families face many challenges in the formation process, such as a sharp decrease in income, burden of child rearing, household burdens, and social and institutional prejudice. It is difficult for a woman to re-enter the labor market immediately after the formation because it is difficult to have a stable career in the labor market due to family life-long events such as marriage or childbirth (Kim Ga-yul, 2007). In addition, if you have young children, you will need a suitable and secure residence to raise your child. In other words, in the process of forming a single-parent family housing movement is generated and the demand for housing suitable for the new situation (Kirsten Gram-Hanssen, 2005), a situation that requires a housing welfare policy suitable for the situation. The study tracked the housing history of single-parent families to determine the realities of the situation and demonstrated differences in housing movement by type of single-parent family. The study method was typed into a single-parent group by characteristic cluster using a two-stage cluster analysis of SPSS, using the chi-square test of pearson residential history by type, that is, residential mobile areas, occupancy forms, housing type differences were analyzed. Through this, we will use this as the basis for a demonstration of the difference separating single-parent families from moving to housing, and to find housing assistance that is appropriate for the situation of single-parent families. 본 연구는 한부모 가족 형성과정에서 발생하는 비자발적 주거이동을 분석하기 위해 주거특성에 따라 한부모 가족의 유형을 분류하고 주거이력을 고찰하여 그 차이를 분석하였다. 한부모 가족의 주거문제는 그 형성과정에서 인구·사회적 특성, 자녀연령, 경제적 수준, 주거경험 등에 따라 다를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한부모 가족의 유형 분류를 위해 혼인상태, 월평균소득, 고용형태, 총가구원수, 주거이동 횟수를 변수로 사용하여 3개의 군집을 분류하였다. 그 결과, 1유형인 이혼 한부모, 2유형인 사별 한부모, 3유형인 미혼 한부모로 도출되었다. 1유형은 이혼로 인해 주거환경이 급격히 하락하고, 이 열악한 주거환경이 지속되는 집단이다. 주거이력 상태를 추적한 결과 주거이동 경험이 증가하여도 자력으로 상향이동이 불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2유형은 사별에 의해 한부모가 형성되었고, 그 후 주거이동이 발생한 집단으로 상대적으로 주거수준이 안정되어 있있으며, 자력으로 주거의 상향이동이 가능한 형태로 나타났다. 3유형은 미혼 한부모로 임신·출산에 의해 미혼 한부모 형성이 된 후 자녀양육을 위한 주거이동을 한 집단으로 타 군집 보다 기타형태의 주거이동이 다수 이루어졌고, 무상으로 친척친구집이다 일시적 거소 등에 머물다가 자녀의 성장에 따라 주거이동을 하며, 때로는 주변의 도움으로 주거상향이동까지 하는 집단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1유형은 주거상태의 하향이동을 막기 위해 한곳에서 안심하고 거주할 수 있는 주거환경을 마련 할 필요가 있으며, 3유형의 경우 형성직후 집중적인 주거지원을 통해 미취업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생계곤란, 자녀양육 곤란 등을 미연에 방지하고, 자력으로 주거이동 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 줄 필요가 있다. 즉, 이혼, 사별, 미혼모 발생 등 어쩔 수 없는 상황으로 촉발되는 주거이동의 경우 공적주택 등 주거지원이 적절한 시기에 제공될 수 있어야 하며, 주거지원 정책은 한부모 가족의 세분화된 특성에 적합하게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결혼 및 출산에 영향을 미치는 주거빈곤 특성요인 분석

        이다은,서원석 한국주거환경학회 2019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 Vol.17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residential poverty and marriage and childbirth based on the periods of family formation and extension, and to identify the effects of residential poverty on marriage and childbirth using ANOVA, post-hoc analysis, and multinomial logistic model. The empirical analysis confirm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effects on marriage and childbirth not only on residential poverty, but also on all variables used in this study, such as household characteristics, economic characteristics, and residential characteristics. Specifically, first of all, occupational stability and assets were important factors in marriage and childbirth. Second, the higher the number of households, the higher the burden on psychological housing and residential costs. Third, childbirths were found to be a little higher in the non-metropolitan area than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where housing costs are high. Fourth, regardless of the residential poverty types, residential poverty was an important factor in hesitating to marry. In particular, this study showed that the possibility of unmarried is the highest if they are in a situation of multiple poverty. Through these results, this study confirmed the implications of improving economic conditions, such as jobs and income stability, as well as providing support for housing and residential stability in order to solve the low birth rate problem through promoting marriage and childbirth. 본 연구는 가족 형성기와 확장기 가구를 대상으로 주거 빈곤과 결혼 및 출산의 관계를 파악하고, 주거 빈곤이 결혼과 출산에 미치는 영향을 분산분석, 사후분석, 그리고 다항로지스틱모형을 이용해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결혼과 출산에 있어 주거 빈곤뿐만 아니라 가구특성, 경제특성, 거주특성을 포함하는 모든 변수에서 유의미한 영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구체적으로 확인해보면, 첫 번째, 실업 상태가 아닌 직업적 안정성 및 자산은 결혼과 출산에 있어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두 번째, 심리적 주거비에 대한 부담은 가구구성원이 많을수록 더 높게 나타났다. 세 번째, 출산 의사는 주거비에 대한 부담이 높은 수도권보다는 비수도권에서 좀 더 높게 나타났다. 네 번째, 주거 빈곤은 유형과 관계없이 결혼을 망설이는 데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특히 중복빈곤 상황에 놓여있을 경우 미혼의 가능성을 가장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본 연구는 결혼과 출산 촉진을 통한 저출산 문제 해소를 위해서는 직업, 소득 등 경제적 여건을 개선해주는 것뿐만 아니라 물리적 주거안정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지속가능한 한국형 나무아파트 계획 - 콘크리트 열린 지지구조와 목조 개별 주거의 혼합을 중심으로 -

        김정인 한국주거학회 2020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Vol.31 No.4

        This study aims to build a new housing model in which the current reinforced concrete Apartments are re-imagined as sustainable, future-oriented, and wood-based vertical living spaces. In this process, we argue that wood is the proper material for future housing. By employing wood's regenerative potential, the study suggests that a wood-based infill housing combined with the existing skeletons of reinforced concrete is the proper answer to future housing demands as well as the impending global warming and environmental crisis. Critiquing the current culture of Korean apartments that have exacerbated our contemporary environmental problems, the Wood Infill Unit and Concrete Open Structure provides a paradigm shift from the unsustainable practices of reinforced concrete construction and its subsequent resource depletion. Along with the sustainable agenda, the new vertical residence design proposes the novel method of placing individual wood houses on “vertical land” made of reinforced concrete or steel frames. The result is that the Wood Infill Unit and Concrete Open Structure re-establish the material base of contemporary high-rise residences: from concrete and steel to wood. This hybrid apartment shows how introducing the material of wood into existing construction bases can open a new organization of building industries, while addressing critical issues of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by imagining the future potential of wood. 본 연구는 동북아시아, 특히 서울과 같은 글로벌 메가 도시에 대규모로 공급된 수직 공동주거, 즉 아파트 주거문화를 바탕으로 환경오염과 자원고갈 문제를 어떻게 지속가능한 미래 지향적 방향으로 재정립할 수 있을 것인가에 답하기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콘크리트 수직대지 위 목조 주거로서 나무 아파트라는 목재 중심의 수직 공동주거 제안을 통해 지금의 콘크리트 아파트 주거문화를 혁신적으로 개선하고 실질적인 변화를 모색하려 한다. “한국형 나무 아파트”라고 명명된 목재혼합 고층 공동주거는 단순한 재료의 변화뿐만 아니라 이를 새롭게 조직하고 조합하는(Assemble) 방식과 도시 공유(urban commons)로서 조직된 수직 공동주거를 지속가능한 차원에서 현재의 주거문화에 새롭게 대입, 제안함을 목표로 한다. 즉, 증가하는 지구환경 위기와 사회적 변화 (Anthropocene, Urban Common 등)를 안고 있는 21세기초 한국 건축 환경에서 고층 공동주거(아파트)의 근본적 패러다임을 변화시키는 것이 본 연구의 목표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단순히 목재로 개별 유닛부터 전체 구조까지 구성하고자 하는 현재의 흐름을 극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철골과 철근콘크리트의 장점을 열린 지지구조로 부분 수용하고 여기에 목재가 혼합되어 주거를 이루는 상호 보완적 방식을 연구할 것이다. 즉 급속히 변화하는 디지털 기술을 목재 산업과 연결해, 변하는 것(개별주거의 목재 구성)과 변하지 않는 것(수직대지 기반으로서 철근콘크리트와 철골구조)을 혼합하는 복합적 방식의 수직 주거 대안을 미래 건설 산업에 제안함에 있다.

      • KCI등재

        싱글맘 가족 쉐어하우스 입주 의사와 주거지원서비스 요구에 관한 연구

        백효진(Baek, Hyojin),이한나(Lee, Hanna),김승희(Kim, Seunghee) 한국주거환경학회 2021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 Vol.19 No.2

        이 연구는 공공의 주택지원을 받지 못하는 싱글맘 가족에 대하여 그들의 주거수준 향상을 위한 방안으로 쉐어하우스에 대하여 논의한다. 일본 사례 연구를 통해 싱글맘 가족 쉐어하우스는 공간과 노동력 쉐어를 통해 주거비 절감과 상호 돌봄이 이루어지고 있는 운영상의 특징을 도출하였다. 또, 싱글맘 가족에게 필요한 보육원이나 일자리를 제공하는 상업시설이 쉐어하우스 건물에서 함께 운영되고 있었다. 위 특징을 바탕으로 한국 싱글맘 가족의 쉐어하우스 입주의사와 희망하는 주거지원서비스를 분석하였다. 가장 선호하는 주거지원은 ‘주거비와 생활비의 경감’, ‘자녀의 방과 후 돌봄서비스’였다. 첫째 자녀의 연령이 10대 후반으로 갈 수록 ‘정보교환 및 상호지지관계 형성’을, 첫째 자녀의 연령이 어릴수록 ‘가사지원서비스’를 선택하였다. 희망하는 주거지원서비스는 가족의 생애주기에 따라 달라지고 있었다. 분석결과를 통해 싱글맘 가족 쉐어하우스를 도입할 경우 고려해야 할 사항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먼저, 쉐어를 통해 주거비를 절감하지만 주거 수준은 저하되지 않는 방안의 모색이 필요하다. 다음으로, 입주자간 커뮤니티를 통해 가사 및 돌봄을 상호협력하는 방안이 도입되어야 한다. 외부인력을 통한 가사 및 돌봄은 주거비를 향상시키므로 입주자간 상호협력과 절충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다양한 주거서비스를 발굴하여 쉐어하우스의 입주율을 높이면서도 싱글맘 가족의 복지도 실현할 수 있는 모델 개발이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This study discusses shared housing as an option for single-mother families who are not subject to any public housing support to raise their housing standards. Based on a study done in Japan, shared houses for single-mother families had operational characteristics with a drop in housing cost and mutual care through sharing of space and labor. Besides, commercial facilities that provide jobs for single mothers and nursery schools for children were in the same building as the shared housing. An analysis surveyed the intent of single mothers moving into the shared house and their desire for housing support services. The most desired living assistance was a reduction in housing and living costs, followed by childcare service after school. For single mothers with their first child closer to their late teens, information exchange and forming mutual support relationship, and single mothers with younger children picked house chores support service. The housing supports the surveyed families wanted varied depending on the lifecycle of the family. Based on the analysis, the study proposed a method to implement shared housing for single mothers. First, a measure to reduce housing costs but not to lower living standards must be introduced. Second, a measure for cooperation in house chores and care via a resident community must be introduced. An outside force does any house chores and care services would raise the living cost, which means it must be compensated through cooperation among residents. Lastly, various types of shared house model which includes various support services must be developed to raise the move-in rate of shared housing and realize single-mother families welfa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