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시설보호아동의 상담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홍혜교 한국아동부모학회 2017 아동부모학회지 Vol.3 No.1

        본 연구는 시설보호아동들이 시설 입소 전후로 자신들에게 다양하게 제공되는 상담프로그램 들을 어떻게 경험하고 있는지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I 지역의 아동양육시설에 거주하고 있는 시설보호아동 5명을 대상으로 2016년 6월부터 7월까지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질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시설보호아동들이 경험한 상담은 ‘상담의 주인공은 누구인가요?’라고 생각하게 되는 것이었다. 내가 왜 상담을 받아야 하는지, 언제 시작하 는지, 언제 끝나는지 알 수 없는, 상담의 주체는 ‘내’가 아닌 것이었다. 둘째, 시설보호아동들은 상담실에서 “있는 그대로의 나”로써 수용되지 못하였다. 나의 시간을 갖고 싶지만 정해진 시간에 상담실에 가야만 하고, 하고 싶지 않은 작업을 강요받으면서 대충대충 한다는 지적을 받기도 한다. 셋째, 시설보호아동들은 내가 사는 세상과 상담실의 세상의 상반된 경험을 하게 된다. 아동들이 사는 세상에서 경험하는 반복되는 폭력과 학대를 상담자에게 털어놓았을 때, 상담선생님이 제안 하는 방법들은 상담실 밖의 나를 도와주지 못했다. 마지막으로 시설보호아동들은 상담실을 진정 한 나를 발견하는 곳으로 경험하게 된다. 아동들은 상담실에서 내가 꾸미고 싶은 나만의 세상을 꾸미기도 하고, 나의 이야기에 집중하여, 공감하고 들어주며 편안함을 주는 상담 과정을 통해 자신 감을 갖게 되고, 예전과는 다른 ‘나’를 발견하게 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기초해서 시설보호아 동의 상담 프로그램은 아동들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보다 전문적으로 계획되고, 체계적으로 제공 되어야 한다는 점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analyzes the counseling experiences of institutionalized children with qualitative research method. According to the study, it is revealed that institutionalized children had no idea of why they started counseling, let alone when the counseling started and ended. Institutionalized children actually wanted to have free time, but they had to go to the counseling room at a fixed time and were forced to do what they did not want. So institutionalized children did not feel that they were accepted as “just as they are” in counseling. Also, when the counselor suggested the ways to overcome the violence and abuse from which the children suffered, it was found out that they were far from helpful. However, in the counseling room it was also reported that the children were able to create their own world, and the counselors listened to their stories intentively with empathy. Institutionalized children gained confidence through this process. These results suggest that counseling programs for institutionalized children should be planned carefully and professionally so

      • KCI등재후보

        초등돌봄교실에서 아동권리를 바탕으로 한 교육환경 발전방안에 대한 고찰

        이선영,김수향 한국아동부모학회 2021 아동부모학회지 Vol.7 No.2

        연구목적: 본 연구는 초등돌봄교실의 교육환경의 활용 및 운영실태에 대한 학부모와 교 사의 인식을 아동권리적 관점에서 비교 분석함으로써, 아동권리가 실현되는 초등돌봄교 실의 교육환경 발전방안을 제시하여 초등돌봄교실의 아동 중심 정책 추진의 기반을 마 련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경상북도교육청 관내 초등학교 10개교의 초등돌봄교실을 이용하고 있는 학부모 150명과 초등돌봄교실 담당 경험이 있는 교사 150명이 참여하였다. 회수된 247부 중 유 효 설문지 214부를 분석하였다. 설문조사는 2021년 9월 1일부터 2021년 9월 10일까지 실시하였다. 분석 방법은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t-검증,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학부모와 교사 모두 돌봄교실 시설환경에 대한 만족도는 높은 편이나 학부모는 다양한 교육활동이 가능한 교구 확보 등 교육활동 측면의 시설환경 개선에 관심이 높 았던 반면, 교사는 돌봄교실의 위치와 전용 교실 확보 등 외형적인 시설환경에 더 관심 이 많은 것을 볼 수 있다. 아동 의견 반영 및 놀이 환경 구축에 대하여 교사가 학부모보 다 우선시하고 있었다. 연구결론: 제4차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의 아동정책의 핵심과제인 아동의 기본권에 대한 보편적 보장을 달성하기 위하여 초등돌봄교실 교육환경 면에서 학부모와 교사 양측 모두의 의견을 균형 있게 수용함과 동시에 아동권에 기초한 초등돌봄교실 정책의 비전 이 마련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Purpose: This study aims to contribute to laying the foundation for the promotion of child-centered policies in elementary care classes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perceptions of parents and teachers on the use and operation of the educational environment of elementary care classes from a child rights perspective. Methods: 150 parents using elementary care classes at 10 elementary schools in the Gyeongsangbuk-do Office of Education and 150 teachers with experience in elementary care classes participated. Of the 247 copies collected, 214 copies of the valid questionnaire were analyzed.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September 1, 2021 to September 10, 2021. As for the analysis method, frequency analysis, t-verification, and cross-analysis were performed. Results: Both parents and teachers were highly satisfied with the facility environment of the care class, but parents were interested in improving the facility environment in terms of educational activities, such as securing teaching aids for various educational activities, while teachers were more interested in the location of the care class. Teachers prioritized the reflection of children’s opinions and the establishment of a play environment over parents. Conclusion: This suggests that in order to achieve universal guarantee of children’s basic rights, which is the core task of the 4th Basic Plan for Low Fertility and Aged Society, both parents and teachers should be balanced in terms of the educational environment of elementary care classes.

      • KCI등재후보

        조기 입학 아동에 대한 초등학교 1학년 교사의 인식 -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중심으로

        이선영,김수향 한국아동부모학회 2021 아동부모학회지 Vol.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조기 입학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조기 입학 아동의 학교 적응 정도 를 진단해보고 추후 조기 입학 아동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학교 생활 적응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참여자는 조기 입학한 아동 1명과 아동이 재학 중인 A 초등학교에서 근무하는 1학년 교사 5명이며 자료 수집을 위해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교사들은 연구 대상 아동 의 학교 생활 적응 정도는 우수한 편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교사들은 연구 대상 아 동의 학업성취도는 우수한 편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교사들은 연구 대상 아동의 교우관계에 있어 다소 문제점이 보인다고 인식하였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조기입학을 준비하는 아동의 취학 전 가정교육과 유아교육기관에서의 학습 태도와 사회적 기술을 경 험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해야 함을 시사한다. 아울러 본 연구 참여 아동을 대상으로 진 급에 따른 종단 연구를 지속적으로 진행한다면 조기 입학 아동의 학교 생활 적응에 도움 을 줄 수 있는 심도 깊은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agnose the teacher's perception of early admissions and the degree of early admission children adaptation to school and to provide basic data to enhance their understanding of early admission children and help them adapt to school.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one child who entered the school early and five first-year teachers who worked at A elementary school where the child was attending and used focus group interviews to collect data. First, teachers recognized the degree of adaptation of the children studied to school life as superior. Second, teachers recognized the academic performance of the children studied as excellent. Third, teachers recognized that there were some problems with the fellowship of the children studi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it suggests that children who prepare for early admissions should prepare a foundation to experience their pre-school home education and learning attitudes and social skill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Furthermore, it is believed that continuing to conduct long-term studies on children participating in this study will provide depth information that can help early admission children adapt to school life.

      • KCI등재후보

        부모의 양육 태도가 만 5세 유아의 또래관계와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이성주,김수향 한국아동부모학회 2019 아동부모학회지 Vol.5 No.1

        본 연구는 부모의 양육태도가 만 5세 유아의 또래관계와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부모의 양육태도 측정도구는 상형자(1992)와 오화심(1994)이 Schaefer(1959)의 MBRI를 참고하여 만든 질문지 사용하였고, 만5세 유아의 또래관계를 측 정도구는 Fantuzzo, Manzd와 McDermott(1998)이 제작한 PIPPS를 번안한 정현빈(2011) 의 또래관계 평정척도 사용하였다. 만5세 유아의 자기조절력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이정란 (2003)이 개발한 부모용 평정척도로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Window용 SPSS 20.0프로그램을 사용하여 , 빈도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결과 부모의 양육태도에서 아버지와 어머니의 양육태도에 따른 유아의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가 있고, 부모가 자녀를 대하는 양육태도가 애정적 일수록 만 5세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수준을 높일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학령 전 만 5세의 유아를 대상으로 하여 부모의 양육태도가 또래관계와 자기조 절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봄으로서 가정에서 자녀를 양육함에 있어서 부모의 효율 적인 양육태도에 따른 개선방안을 마련하고 부모교육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This study ascertained an influence of parenting attitude on peer relationship and self control ability of children aged five. A tool which was developed by HyeongJa Sang(1992) and HwaSim Oh(1994) by referring to MBRI of Schaefer(1959) was used to measure parenting attitude. A tool for rating peer relationship developed by HyunBin Jeong(2011) who adapted PIPPS made by Fantuzzo, Manzd and McDermott(1998) was used to measure peer relationship of children aged five. A tool developed by JeongRan Lee(2003) was used to measure self control of children.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by using SPSS 20.0 program for window to analyze data collected. First, when examining an influence of parenting attitude on peer relationship of children, it was ascertained that parenting attitude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peer relationship of children aged five.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father's affectionate attitude was, the higher interaction of children in play with peers was. The study showed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child's peer relationship with the parent's upbringing and that the more loving the parent's upbringing, the higher the level of self-regulating the 5-year-career.

      • KCI등재후보

        우리나라 창작 그림책에 나타난 마음이론 -2009년 국립청소년 어린이 도서관에서 다독 도서 선정

        이귀옥 한국아동부모학회 2016 아동부모학회지 Vol.2 No.2

        This study aims to suggest future research directions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current research trends in relation to child care practices. Thus, 41 researches about child care practices were analyzed which were published in journals form January 2003 to June 2016 in Korea in the field. These studies were analyzed according to research frequency, purpose, method, and subject. First, researches on child care practices were studied most intensely in 2009 and there was none in 2005. specifically focused on nursery. Because the standards of child care practices are being strengthened nowadays, recent researches on child care practices tend to be increased. Second, in terms of research purpose, studies mostly dealt with the investigation of the meanings of child care practices. There were the least number of researches whose purposes were to develop a program or to find out the cause of its failures. Third, to mention their research method, qualitative researches outnumber the quantitative ones. Still, quantitative researches are also important, and the results of qualitative studies, carried out so far, should be utilized faithfully to provide a direction for future child care practices. Fourth, main subjects for the researches have been concentrated on the pre-service teachers. So, more studies should be actively carried out on the various important parties of child care practices such as practice guidance teachers, directors, professors. 본 연구는 우리나라 창작 그림책의 플롯과 문장에서 나타난 마음이론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연구대상은 우리나라 창작 그림책 18권이며, 연구도구는 마음이론 분석 틀 인 정서, 바람, 믿음, 의도, 틀린믿음, 거짓말, 농담으로 구성되었다. 평정자 2명을 선 정하여 훈련 후 각 그림책의 플롯인 발달·전개, 절정, 결말로 구분하여 이를 마음이론 분석틀로 분석하였다. 또한 그림책에 나타난 문장도 마음이론 분석틀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발달·전개에서는 ‘바람’이, 절정에서는 ‘틀린믿음’이, 결말에서는 ‘믿음’이 가장 많은 분포를 차지하였다. 창작 그림책 문장에 나타난 마음이론 빈도는 ‘정서’가 가장 많았고, ‘믿음’, ‘틀린믿음’, ‘바람’, ‘농담’, ‘의도’, ‘거짓말’ 순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그림 책 제작에는 빈도가 적었던 ‘의도’, ‘거짓말’, ‘농담’같은 마음이론을 그림책 플롯에 다 루어 다양한 마음이론을 아동에게 경험해 줄 것을 시사한다. 또한, 문장에서도 플롯과 비슷한 마음이론이 사용되어 문장에서도 다양한 마음이론을 다루어 보는 것 또한 필 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 KCI등재후보

        노르웨이, 스웨덴, 핀란드, 한국의 문화예술 관련 초중등 교육과정 비교연구

        이지윤,정대련 한국아동부모학회 2024 아동부모학회지 Vol.10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urricula of Korea and three Norway, Sweden, Finland in detail in terms of class time allocation, achievement goals and content system, and content elements in order to compare and analyze the relevance of cultural arts. Methods: In the first and second stages of the International Standard Classification of Education (ISCED) stage, the curriculum, class hours, and educational contents of culture and art were compared and analyzed using Norwegian, Swedish, Finnish, and South Korean curriculum and other official documents and research reports as data. Results: First, the four countries commonly incorporated arts and culture into their curricula in the following subjects: national language, music, fine arts (visual arts and crafts), and physical education. Norway, Sweden, Finland additionally incorporated arts and culture into religious education, ethics, social studies, and history. Second, in all four countries, the national language is the most important subject in the classroom, with literature playing an important role. Third, in ISCED1, the proportion of arts and culture courses in all four countries was more than 50%, but in ISCED2, the proportion of arts and culture courses decreased overall. In ISCED2, Norway, Sweden, Finland maintained the content of arts and culture at around 50.97% to 59.76%, but Korea saw a significant decrease to 33.39%. Fourth, when analyzing the achievement goals and contents of the curriculum, the four countries had similar achievement goals, and children's literature, songs, stories, dance, and artworks were commonly used in cultural education, while the three Nordic countries also emphasized architecture and digital tools. Fifth, in terms of arts and culture content, South Korea emphasizes the arts, while the three Nordic countries reflect cultural diversity with an aesthetic perspective throughout the curriculum. Conclusion: : South Korea education education should understand the need for cultural and artistic education in curriculum organization, and refer to the cases Norway, Sweden, Finland for future curriculum improvement and promotion to improve the quality of cultural and artistic education and its contribution to educational subjects and beneficiaries. 연구목적: 본 연구는 한국과 북유럽 3국(노르웨이, 스웨덴, 핀란드)의 교육과정을 기초로 하여 문화예술과의 관련성을 비교 분석하기 위해 수업시간 배분, 연구방법: 노르웨이, 스웨덴, 핀란드, 한국의 교육과정 및 기타 공식 문서, 연구보고서 등을 자료 로 활용하여 국제표준교육분류체계(ISCED) 단계의 1단계(초등학교)와 2단계(중학교)에 서 문화예술이 교육내용으로 활용되는 교과와 수업시간, 교육내용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4개국 공통적으로 문화예술이 활용되는 교과는 국어, 음악, 미술(시각예술 및 공예), 체육 등이었다. 북유럽 3국은 추가적으로 종교교육 및 윤리, 사회, 역사 교과에서도 문화 예술을 교육내용으로 활용하였다. 둘째, 4개국 모두 수업시간의 비중에 있어서 국어 교과 가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문학을 통한 교육이 중요한 역할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 났다. 셋째, ISCED 1단계에서 4개국에서문화예술을 활용한 교과가 50% 이상을 상회하였 으나, 2단계가 되면서 문화예술 관련 교과의 비중이 전반적 줄어들고 있었다. 한편 2단계 에서도 북유럽 3국은 문화예술 관련 내용을 약 50.97%~59.76% 수준에서 유지하고 있으 나, 한국은 33.39%, 큰 폭으로 감소하였다. 넷째, 교과의 성취목표와 내용을 분석한 결과 4개국이 추구하는 성취목표가 유사하였으며, 문화예술교육에 아동문학, 노래, 이야기, 춤, 미술작품 등이 공통적으로 활용하고 있었으며, 북유럽 3국은 추가적으로 건축, 디지 털 도구 등도 강조하고 있었다. 다섯째, 교과에 관련한 문화예술 내용에 있어서, 한국은 예술적인 부분을 강조하고 있으며, 북유럽 3국은 교과 교육 전반적으로 미학적 관점과 더불어 문화적 다양성을 반영하고 있었다. 연구결론: 한국의 초중등 교육과정 구성에 있어서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필요성을 이해하고, 향 후 교육과정 개선 및 추진을 위해 북유럽 3국의 사례를 참고하여 문화예술교육의 질 적 개선 및 교육 주체와 수혜자들에 대한 기여를 도모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대학생의 결혼관에 대한 인식 연구 – 부모교육과 보육과정 수강생을 중심으로

        강영욱 한국아동부모학회 2021 아동부모학회지 Vol.7 No.2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결혼관과 하위요인 ‘정서적 안정’, ‘결혼조건’, ‘결혼 유지’, 그리고 ‘결혼제도’에 대한 인식이 어떠한지 알아보는 것이고, 대학에서 바람직한 결혼관을 갖도록 교육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서의 의미를 두고 있다. 연구방법: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방법은 2020년 11월 9일∼11월 27일까지 서울의 A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 11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분석은 연구대 상의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빈도분석, 백분율 분석과 ANOVA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대학생의 결혼관 하위요인 ‘정서적 안정’은 남학생이 수용적, 긍정적, 전통적, 보수적으로 인식하였고, 여학생은 결혼에 대해 덜 긍정적으로 인식하였다. 이는 여학생 들의 사회적 가치관, 여성으로서의 자아 욕구, 출산과 육아, 경제적 부담 등 다양한 요인 으로 인해 실제적으로 결혼에 대해 부정적으로 생각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3학 년이 정서적 안정이 높은 것은 대인관계, 연예경험, 교육경험 등의 영향이나 연령이 증 가할수록 보수적인 결혼관을 갖는다는 연구결과와 같다. 따라서 대학교육에서 남학생들 에게는 결혼에 대한 남녀의 인식의 차이와 여학생들이 갖는 결혼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는 방안 마련을 위한 교육의 기회를 제공하 고, 여학생들에게도 결혼을 통해 정서적으로 안정감을 갖기 위한 방안을 찾아볼 수 있도 록 돕기 위한 교육과 학년에 따른 다른 교육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 on marriage and its sub‐factors, ‘emotional stability’, ‘marriage conditions’, ‘maintenance of marriage’, and ‘marriage system’, and this study has its meaning in that it can be a basic data for educating them in universities to have a desirable perception on marriage. Methods: As a research method to achieve the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on 114 university students enrolled in University A located in Seoul from November 9 to November 27, 2020. Regarding the study analysis, the frequency analysis, percentage analysis, and ANOVA analysis were performed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Results: Male students were found to be higher in ‘emotional stability’, a sub‐factor of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 of marriage than female students. Second, the results according to school year were also higher in the junior year than the freshman year in ‘emotional stability’, a sub‐factor of the perception of marriage. Conclusion: As for ‘emotional stability’, a sub‐factor of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 of marriage, male students perceived it in a way accepting, positive, traditional, and conservative, and female students perceived marriage less positively. It can be said that this is actually negative thinking about marriage due to various factors such as the social values of female students, the desire for self as a woman, childbirth and childrearing, and economic burden. In addition, there are research results showing that the high emotional stability of junior students is influenced by factors such a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entertainment experiences, and educational experiences, but has a more conservative perception of marriage as their age increases. Therefore, in university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provide male students with educational opportunities to prepare measures that can help change the differences between male and female perceptions of marriage and the female students’ perception of marriage from negative to positive, and there is a need for education to help female students find ways to achieve emotional stability through marriage and diverse education congenial to the school year.

      • KCI등재후보

        자녀를 유아교육기관에 보내는 북한이탈주민 어머니의 어려움과 지원방안

        백은영 한국아동부모학회 2021 아동부모학회지 Vol.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iculties of North Korean defector mothers sending their children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and to discuss support plans for them.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nine research articles that revealed specific examples of ‘North Korean defectors, raising children’ and ‘North Korean defectors, young children’ as common themes. As a result of this study, North Korean defector mothers who send their children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were experiencing difficulties due to differences in language, educational methods, and economic burden. As a support plans for the difficulties of language differences, the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methods and textbooks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was proposed. Regarding the differences in education methods, parent education in which parents from North and South Korea participate together, online parent education support for North Korean defectors, and development of educational apps were suggested. For the difficulty of cost burden, part-time cooperative childcare after returning home by autonomous operation of North Korean defector mothers was proposed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기 자녀를 유아교육기관에 보내는 북한이탈주민 어머니의 어려 움을 살펴보고, 지원 방안에 대해 논의하는 것이었다. 연구대상은 ‘북한이탈주민, 자녀 양육’, ‘북한이탈주민, 유아’를 공통 주제어로 한 구체적 사례가 드러나는 연구물 9편이었 다. 연구결과 자녀를 유아교육기관에 보내는 북한이탈주민 어머니들은 언어 차이, 교육 방식의 차이, 경제적 부담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각 어려움에 따른 지원 방안으로 는 언어 차이의 어려움에 있어서는 유아교육기관용 한국어 교육 방법 및 교재 개발이 제 안되었다. 그리고 교육 방식 차이에 대해서는 남북한 출신 부모가 함께 참여하는 부모교 육, 북한이탈주민을 위한 온라인 부모교육 지원과 교육용 앱의 개발이 제안되었다. 비용 부담의 어려움에 있어서는 북한이탈주민 어머니들의 자치 운영에 의한 귀가 후 시간제 공동육아가 제안되었다.

      • KCI등재후보

        부모의 성취압력이 초중고생 자녀의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이기선,최재곤 한국아동부모학회 2022 아동부모학회지 Vol.8 No.1

        연구목적: 부와 모의 성취압력이 자녀의 학교급별과 성별에 따라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이 각기 어떻게 다른 지를 파악한다. 연구방법: 초등 5학년에서 고등 2학년까지 770명을 대상으로 부와 모의 성취압력과 공격 성을 자기보고식 설문지로 측정하고, 학교급별과 성별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부의 성취압력은 중고생 자녀의 신체적 공격성과 고등학생 자녀의 적대 감에 영향을 미치고, 모의 성취압력은 초등생 자녀의 적대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 타났다. 둘째, 부의 성취압력은 남아의 신체적 공격성에, 여아의 적대감에 영향을 미치 고, 모의 성취압력은 남아의 언어적 공격성과 적대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녀의 학교급별내에서 성별로 다시 세분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부의 성취압력 은 중등 여아의 신체적 공격성에, 중고생 여아의 적대감에 영향을 미치고, 모의 성취압 력은 초등 남아의 언어적 공격성과 적대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론: 부와 모의 성취압력은 자녀의 학교급과 성별에 따라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게 나타났다. 이 결과는 부모가 자녀의 학교급과 성별 특성에 적합하게 학업관여방 식을 제공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parental achievement pressure on their children’s aggression according to their children’s gender, and schools –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ers. Methods: The sample were 770 students from 5th to 11th graders while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They answered two questionnaires. One was about achievement pressure from their father and mother. And the other was about aggression of themselves. And the data was analyzed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ccording to the students’ gender and schools. Results: The results were found as follows: First, the father's achievement pressure influenced on his child’s physical aggression and hostility while middle and high school. And the mother's achievement pressure influenced on her child’s hostility while elementary school. Second, the father's achievement pressure influenced on his son’s physical aggression and daughter’s hostility. And the mother's achievement pressure influenced on her son’s verbal aggression and hostility. Third, the father's achievement pressure influenced on his daughter’s physical aggression and hostility while middle and high school. And the mother's achievement pressure influenced on her son’s verbal aggression and hostility while elementary school. Conclusion: The father's and mother's achievement pressure influenced on their children’s aggression according to their children’s gender and schools. This result suggests that parents need to provide an academic involvement appropriate for their children's gender and schools.

      • KCI등재후보

        영유아 발달선별검사에 대한 교사 인식과 요구를 통한 활용방안 연구 -여주시 발달선별검사 사업에 참여한 보육교사를 중심으로

        박부숙,김형욱,박윤조 한국아동부모학회 2022 아동부모학회지 Vol.8 No.2

        연구목적: 본 연구는 영유아 발달선별검사 시행 전후 보육교사의 인식과 요구도를 알아보고 활 용방안을 모색함으로써 체계적인 영유아 발달 지원체계 구축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 용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경기도 여주시 소재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K-CDR-R(영유아 발달선별검사) 교육을 실시하고, 영유아를 대상으로 발달선별검사를 실시하였다. 검사 실시 후 교사들은 발달선별검사에 대한 설문에 응답하였고, 결과는 SPSS 24.0을 활용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교사들은 영유아 발달선별검사의 필요성을 인식하였으나, 발달지연 및 문제행 동을 보이는 영유아로 인한 어려움을 느꼈고, 접근이 용이한 발달검사를 요구하였 다. K-CDR-R 검사 실시 후 일반 영유아 발달에 대한 이해도도 높아졌다. 둘째, 교 사들은 검사 결과를 토대로 가정 및 지역사회와 연계가 이루어졌다. 또한 체계적인 영유아 발달 지원체계와 부모와 교사를 위한 발달선별검사 교육을 요구하였다. 연구결론: 교사들은 영유아 발달선별검사의 필요성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으므로, 교사 들이 접근하기 쉬운 발달선별검사가 필요하다. 영유아 발달선별검사 결과를 토대로 영유아의 발달지연 및 문제행동에 대해 가정과 원활한 연계를 위해 부모상담 및 부모 교육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영유아들의 건강한 성장과 발달을 지원할 수 있도록 교 사들의 요구를 반영하여 가정-기관-지역사회의 협력체계구축을 제언하는 바이다. Purpose: This study seeks to find out the awareness and needs of childcare teachers before and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early childhood development screening test and to utilize them as basic data for establishing a systematic support system for early childhood development. Methods: K-CDR-R (Young Children Development Screening Test) education was conducted for childcare teachers located in Yeoju-si, Gyeonggi-do, and developmental screening test was conducted for young children. After the test, the teachers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about the developmental screening test,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using SPSS 24.0. Results: First, teachers recognized the need for a developmental screening test for young children, but felt difficulties due to young children showing developmental delays and problematic behaviors, and requested an easily accessible developmental test. After the K-CDR-R test, the understanding of general infant development has also improved. Second, based on the test results of the test, the teachers were connected with their families and communities. In addition, a systematic young children’s development support system and development screening test education for parents and teachers were requested. Conclusion: Since teachers are positively aware of the need for development screening tests for young children, development screening tests that are easy for teachers to access are need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young children development screening test, parent counseling and education are needed for smooth connection with the developmental delay and problem behavior of young children. Lastly, this study suggests the systematic establishment of cooperation between home, institution, and community by reflecting teachers' needs to support healthy growth and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