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평생교육 성과에 대한 성인학습자의 인식 분석

        안현용,박지회,고장완 한국성인계속교육학회 2021 성인계속교육연구 Vol.12 No.1

        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dult learners' outcomes on the university lifelong education based on students background and university characteristics, and to explore the factors affecting the satisfaction, thereby deriving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effectiveness of university lifelong education. To that end, we surveyed adult learners participating in the ‘Lifelong education at universities for the Future of Education(LiFE)’ project, and the data of 2,628 students who responded to all questionnaire were used for analysis. Utilizing M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is study reveal the following results: First, according to the student characteristics, female learners showed higher satisfaction in all areas than male learners, but the remaining individual characteristics did not bring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satisfaction. The university characteristics showed differences in satisfaction depending on types of lifelong education projects, region of university, and type of admission requirement. Second, the factors affecting adult leaners’ lifelong educational satisfaction, in terms of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are gender, grade, academic major and age, which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In general, the lower the grade, and the higher the age, the higher the overall satisfaction level of lifelong education, and the higher the satisfaction level of natural science and art and physical education compared to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In the case of university characteristics, adult learners at universities in the non-Seoul metropolitan area generally perceive high satisfaction in lifelong education, although there are differences in sub-area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practical and policy recommendations were suggested. 본 연구는 성인학습자가 인식한 대학의 평생교육체제 전환 사업 성과 인식이 개인배경 및 대학특성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비교하고 이에 대한 영향요인을 알아봄으로써, 대학의 평생교육체제 전환 성과를 제고할 수 있는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대학의 평생교육체제 지원사업’에 참여 중인 대학의 성인학습자를 대상으로 교육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였고, 2,628명의 데이터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다변량분산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적용하였다. 분석결과는 첫째, 성인학습자의 평생교육만족도 차이를 가져오는 개인 특성에 따르면, 여학생이 남학생 보다 모든 영역에서 높은 만족도를 나타내었으나, 나머지 개인 특성은 만족도에 유의미한 차이를 가져오지 않았다. 다만, 개체 간 효과검증에서 세부적 차이를 나타내었다. 대학특성으로는 평생교육사업유형, 대학권역, 입학제도유형에 따른 만족도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성인학습자의 평생교육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개인특성에서는 성, 학년, 학과계열, 연령 변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력을 나타냈다. 즉 여학생에 비해 남학생이, 1학년 다른 학년에 비해, 성인학습자의 연령이 높을수록, 인문사회계열에 비해 자연과학, 예체능계열이 만족도 전반을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특성의 경우 수도권 이외 지역 대학의 성인학습자들이 영역마다 차이는 있지만 대체로 평생교육만족도를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평생교육체제 전환 성과를 제고할 수 있는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 KCI등재

        성인학습자의 후진학 계속교육 만족도와 참여의사에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직무관련특성 및 교육환경특성을 중심으로-

        안현용 한국성인계속교육학회 2020 성인계속교육연구 Vol.11 No.4

        This study is to examine various factors affecting satisfaction of adult learners with college later and continuing education and intention to engage. Accordingly, the study practically examined the influence of job-related factors and educational environment factors as well as the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with college later and continuing education and intention to engag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ings. First, it was found that two variables of average monthly income' and 'provision of in-house education' among corporate characteristic factors of job-related factor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positive effect on college later and continuing education. Second, it was found that two variables of 'contribution of capacity improvement' and 'company support' among educational training factors of job-related factor had significant and positive effect on the satisfaction of college later and continuing education. In addition, 'employment type factor' among corporate characteristic factors of job-related factor was found to be an antecedents that showed significant effect on the intention to engage college later. Third, it was found that 'educational hours' among educational environment factors had negative effect on the satisfaction of college later and continuing education and 'attendance weight of classes' had a positive effect. No variables that had significant effect on intention to engage education among educational environment factors were found. Fourth, the satisfaction of adult learners with college later and continuing education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negative effect on intention to engage. 본 연구는 성인학습자의 후진학 계속교육 만족도와 참여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에 직무관련요인 및 교육환경요인의 영향력을 실질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후진학 계속학습에 대한 만족도와 참여의사 간의 관계 역시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직무관련요인의 기업특성요인 중 ‘월 평균 소득’ 및 ‘사내교육제공여부’ 2가지 변인이 후진학 계속교육 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직무관련요인의 교육훈련요인 중 ‘능력향상기여’, ‘회사지원’ 2가지 변인이 후진학 계속교육 만족도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무관련요인의 기업특성요인 중 ‘고용형태요인’이 후진학 참여의사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선행변인임이 밝혀졌다. 셋째, 교육환경요인 중 ‘교육운영시간’은 후진학 계속교육 만족도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출석수업비중’은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환경요인 중 교육참여의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발견되지 않았다. 넷째, 마지막으로 성인학습자의 후진학 계속교육 만족도는 참여의사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발견되었다.

      • KCI등재

        북한 성인교육에 대한 연구동향 분석

        이병준,이지인 한국성인계속교육학회 2022 성인계속교육연구 Vol.13 No.2

        북한의 성인교육은 기본적으로 사회주의 교육이념을 지향할 뿐 아니라 사회주의적 인간 육성에 중점을 두고 모든 교육이 전개되고 있다. 다가올 통일사회에 대비하여 북한교육을 무조건 부정적으로 보기보다는 냉전 후 이루어온‘있는 그대로’ 평가함으로써 북한 교육에 대한 균형적인 인식을 갖추려는 자세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북한 성인교육에 대한 객관적인 분석을 목적으로 북한 성인교육에 대한 연구를 북한 집권시기, 연구방법, 연구주제영역별로 분류하고 분석을 실시하여, 북한 성인교육의 연구방향 및 진척을 파악하고 향후 과제를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전반적으로 북한 성인교육에 대한 연구가 양적으로 부족하며 연구방법 측면에서는 북한 현지 자료를 근거로 하여 현황을 분석하고 해석하는 문헌연구에 편중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북한은 학교교육에 비하여 성인교육을 등한시하는 모습을 보이며 그마저도 성인의 가치관과 행위양식 증진을 위한 교육이라기보다는 정치사상화의 성격이 짙다. 특히, 북한의 성인교육은 북한 당국이 필요로 하는 정치사상교육에 초점을 둠으로써 성인 개개인의 잠재력을 개발하고, 삶의 만족을 누리는 것을 지향하는 한국의 평생교육과는 거리가 있다. 이 격차를 줄여나가기 위해서는 남한 평생교육에서도 북한 관련 연구에 매진하여아 하며 동시에 북한의 교육연구에서도 평생교육 측면에서의 논의가 확대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후보

        평생교육, 마을만들기를 통해 공간을 배우다: 공간담론과 교육담론의 연결고리 찾기

        이병준 한국성인계속교육학회 2017 성인계속교육연구 Vol.8 No.3

        최근 평생교육은 마을만들기의 실천과 담론에 뛰어들고 있다. 그러나 과연 평생교육이 마을만들기 담론과 실천을 얼마나 이해하면서 그 접목을 시도하고 있는가의 문제를 제기한다면 그 현실은 초라하다. 평생교육과 마을만들기 둘 다 지역사회를 기반하고 있다는 점에서, 이 프로젝트에서 핵심인력의 역량이 성공을 결정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리고 지역시민들의 교육과 학습을 중요시한다는 점에서는 같은 문제의식을 지니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그러나 마을만들기는 평생교육적 관심을 넘어선다는 점에서 차이점이 발견된다. 마을만들기는 무엇보다도 지역의 공간에 관심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공간은 지리적, 물리적 공간임과 동시에 이를 넘어서는 사회적 상호작용의 공간이다. 또한 이러한 공간은 과거 세대와 현 세대가 만나고 만날 수 있는 문화적 기억의 공간이기도 하다. 아울러 마을만들기를 통해 형성되어질 공간은 시민들의 공동의 관심을 표출할 수 있는 공론장의 공간이기도 하다. 마을만들기의 공간에 대한 관심은 이 프로젝트에 참여할 때는 기본적으로 공간담론에 대한 이해가 요구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마을만들기에 참여하는 현재의 평생교육에서의 담론에는 공간담론이 거의 빠져있다. 공간적 실천이 어떠한 점에서 교육적 실천과 연관되어지는지, 그리고 교육적 실천을 위해 어떠한 공간적 실천과 병행해서 가야하는지에 대한 논의는 거의 다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교육담론과 공간담론의 연결고리를 이해하기 위한 이론적 토대를 제공한다.

      • KCI등재후보

        대학의 장애인 평생교육 지원체제 활성화를 위한 지역 대상 홍보(public relations) 유형체계 탐색

        김영준 한국성인계속교육학회 2017 성인계속교육연구 Vol.8 No.3

        본 연구는 대학의 장애인 평생교육 지원체제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일환으로 지역 대상의 홍보를 다양한 유형으로 체계화시킬 수 있는 방안을 탐색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연구목적에 의한 연구 내용을 세 가지 차원인 ‘조직적 홍보체계’, ‘교육과정적 홍보체계’, ‘전문가 양성 홍보체계’로 구성하였으며, 세 가지 유형의 정의 기준에 따라 자료 수집에 의한 선정과 자료 분석이 이루어졌다. 그리고 자료 분석의 결과와 연구 결과에 최종 반영하고자 하는 도식에 대한 적절성을 전문가 회의에 따라 검토하는 절차 역시 거쳤다. 첫 번째 연구 내용인 ‘조직적 차원의 지역 대상 홍보체계’에서는 대학과 지역의 장애인 평생교육기관 간의 협약이 체결되어야 한다는 입장이 제시되었고, 이런 협약이 구체적으로 실행되기 위한 기능요소와 수반조건 역시 제시되었다. 두 번째 연구 내용인 ‘교육과정적 차원의 지역 대상 홍보체계’에서는 대학이 지역 대상 연계 교육 실천의 일환으로 관련된 정보자료를 매뉴얼화하거나 장애인 평생교육과정을 여러 형태로 실제 운영해야 한다는 방안이 제시되었으며, 이를 위해 수반되어야 할 조건도 함께 제시되었다. 다음으로, 세 번째 연구 내용인 ‘전문가 양성 차원의 지역 대상 홍보체계’에서는 지역의 장애인 평생교육기관에서 종사하고 있는 전문가에게 전문역량상의 연수를 몇몇 유형으로 제공하는 방안이 제시되었으며, 이에 따른 수반 조건도 함께 제시되었다. 또한, 이상의 세 가지 유형은 상호 연계적인 적용 관점에서 고찰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 제시된 바가 현실화되기 위하여 전제되어야 할 실행 원리를 논의하였으며, 아울러 현행의 장애인 평생교육 분야에서 쟁점이 되고 있는 사안과 연구 결과를 상호 연계하여 논의함으로써 최종적으로 연구 결과가 어떤 맥락과 방향에서 활용되어야 하는가를 조망하였다.

      • KCI등재

        대학 성인학습자의 개인배경, 평생학습에 대한 이해 ・가치・태도가 평생학습 행복에 미치는 영향

        조향미,박지회,서예원 한국성인계속교육학회 2022 성인계속교육연구 Vol.13 No.2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how the individual background, understanding, value, and participation attitude of adult learners participating in the university lifelong curriculum affect perceived happiness through lifelong education. The perceived happiness of adult learners, the dependent variable of this study, was measured mainly in four areas: improving self-esteem, satisfaction of internal growth, decreasing negative effect, and improving the searching for meaning.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a self-report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adult learners participating in the lifelong education degree course at C University in Chungcheong Province, and 189 people who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survey and responded without missing data were used for analysis. As for the analysis method,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appli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intrinsic values, individual satisfaction-oriented attitudes, and social activity participation-oriented attitudes of adult learners influenced 'improving self-esteem'. Second, the attitude toward self-satisfaction and the attitude toward leisure influenced 'satisfaction with internal growth'. Third, grade, intrinsic value, social activity participation-oriented attitude, and leisure-oriented attitude influenced 'reduction of negative emotions'. Fourth, intrinsic value, extrinsic value, and leisure-oriented attitude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improving the pursuit of meaning'.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ications that can enhance perceived happiness as an educational outcome in the affective aspect of adult learners participating in lifelong education were derived. 본 연구는 대학 평생교육과정에 참여 중인 성인학습자들의 개인배경을 비롯하여 평생학습에 대한 이해, 가치, 참여태도가 평생교육을 통한 지각된 행복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종속변수인 성인학습자의 지각된 행복감은 자아존중감 향상, 내적성장 만족, 부정정서 감소, 의미추구 향상의 네 영역을 중심으로 측정되었다. 연구의 목적 달성을 위해 충청권 소재 C대학교의 평생교육 학위과정에 참여하고 있는 성인학습자를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온라인 설문조사를 진행하였고, 조사 참여에 동의하고 결측없이 응답한 189명의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방법은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적용하였다. 분석결과, 성인학습자의 ‘자아존중감 향상’에는 평생학습에 대한 내재적 가치, 개인만족 지향 태도, 사회활동참여 지향 태도가, ‘내적성장 만족’에는 개인만족 지향 태도, 여가 지향 태도가, ‘부정정서 감소’에는 학년, 내재적 가치, 사회활동참여 지향 태도, 여가 지향 태도가, ‘의미추구 향상’에는 내재적 가치, 외재적 가치, 여가 지향 태도가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평생교육에 참여하는 성인학습자의 정의적 측면에서의 교육성과로서 지각된 평생학습 행복을 제고할 수 있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 KCI등재

        대학의 성인 친화적 교육체제 구축 및 운영 사례 연구: 지방 대형 사립대를 중심으로

        배영주,김가원 한국성인계속교육학회 2022 성인계속교육연구 Vol.13 No.3

        This study analyzed the case of a large private university in a province with the aim of preparing improvement measures for the <Lifelong Education at universities for the Future Educaiton>(LiFE) promo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Noting that the core of this project lies in the transformation of the front-line university system, the researchers looked into the context and process of how the work to establish an adult-friendly education system was being developed within the university. As a result of interviewing 14 members of A University, who have been participating in this project since 2018, A University's adult university was operating as an isolated and disconnected organization without securing basic educational support services enjoyed by other universities. The researchers could see that these difficulties and limitations were largely due to the rigidity of the Ministry of Education's project design and conceptual confusion related to lifelong education, and proposed a new approach model to implement the university's adult-friendly education system. 이 연구는 대학의 고등평생교육기관으로서의 위상 정립을 위해 교육부가 추진하고 있는 <대학의 평생교육체제 지원 사업>(LiFE)의 개선책 마련을 목적으로, 해당 사업에 참여 중인 지방의 한 대형 사립대학 사례를 분석하였다. 연구자들은 이 사업의 핵심이 일선 대학의 체제 변혁에 있다는 점에 주목하여, 성인 친화적 교육체제 구축 작업이 대학 내부에서 어떻게 전개되고 있는지 그 맥락과 과정을 들여다보면서 지속가능성을 타진하는 작업을 진행하였다. B지역에서 2018년부터 이 사업에 참여하여 성인단과대학을 설치, 운영하고 있는 A대학 구성원 14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면담을 진행한 결과, A대학 성인단과대학은 학생 모집부터 학생 관리, 수업의 질 관리 등 교육 전반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외딴 ‘섬’처럼 고립되고 단절된 조직으로 운영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자들은 이러한 어려움과 한계가 대학 본부의 비협조적 태도에서 기인한 것이라기보다, 교육부 사업 설계의 경직성과 평생교육 관련 개념적 혼란에서 기인한 측면이 크다는 점을 간파할 수 있었고, 대학의 성인 친화적 교육 체제 구현을 위한 새로운 접근 모형을 제안할 수 있었다.

      • KCI등재

        김정은 정권 등장 이전과 이후 로동신문에 나타난 교육동향 분석: 키워드 연결망분석을 중심으로

        김효선,김현철 한국성인계속교육학회 2021 성인계속교육연구 Vol.12 No.1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education related keywords of Rodong Sinmun, a North Korean newspaper that serves as the official newspaper of the central committee of the Workers’ Party of Korea, and then compare the trends of education before and after Kim Jung-Un’s secretive supreme leader. The research was used 2,524 keywords in the title of the Rodong Sinmun from 2014 to 2018, and visualized the networks among the keywords by Gephi 0.9.2. As the results, the study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change of keywords before and after Kim Jung-Un’s secretive supreme leader. Before Kim’s reign, keywords in Rodong Sinmun highlighted socialist education. However North Korea’s education was emphasized real educational issues such as education information, lifelong education after his reign. Second, They were also focused on scientific technique education. Third, Korean schools and students in Japan was in demand of Rodong Sinmun, but the educational exchange of China was shown in 2018.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the research presents highly significant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본 연구는 로동신문에 나타난 ‘교육’관련 핵심키워드를 분석하여 북한의 교육의 동향을 탐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연구는 김정은이 국무위원장 집권기간 전후 동안을 키워드 연결망분석을 통해 그 결과를 시각화 하여 비교하고, 심도 있는 논의를 도출한다. 이를 위하여 2014-2018년의 로동신문의 기사의 제목에 나타난 핵심키워드 2,524를 추출하여 분석의 자료로 사용하였고, Gephi 0.9.2를 사용하여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의 결과는 첫째, 김정은 집권 이전은 우상화 및 주체사상을 강조하는 사회주의 교육을 강조하지만, 김정은 집권 이후 초기에는 사회주의 체제의 강조보다 현실교육에 주안점을 두고 교육정보화, 원격교육, 평생교육, 의무교육 등 다양한 교육의 선진화와 인재육성을 통한 체제 강화를 유지하고 있었다. 둘째, 과학교육을 강조하고 이를 통해 체제 유지를 위한 기틀을 삼고 있었다. 셋째, 일본에 있는 학교 및 학생 교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지만, 2018년도부터는 중국과 교육관련 연계 활동이 강화되고 있어 국제관계의 변화가 교육에도 반영되고 있었다. 넷째, 김정은 전후와 상관없이 우리나라에 대한 로동신문의 기조는 시위나 규탄 등 교육현상에 대한 비판기사가 주를 이루고 있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본 연구가 갖는 이론적, 실천적 논의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초고령화 사회 고등교육 연계 노인평생교육 활성화 방안 : 일본의 대학 노인평생교육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이은주,이로미,장지은 한국성인계속교육학회 2022 성인계속교육연구 Vol.13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collaborations with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such as universities in lifelong education for older adults. By analysis on the cases in Japan, a country that has faced super-aged society and the learning needs of retired babyboomers, this study tried to elaborate its importances and implications to the Korean society. To do so, the broad context of lifelong education for older adults in Japan was investigated. Then, two representative cases of collaboration with universities namely Extension Center by Waseda University and Rikkyo Second Stage College by Rikkyo University in Japan were investigated along with the general context of lifelong education for older adults in Japan to understand how the expansion of lifelong education for older adults were possible and gained proposed outcomes. As results, this study found that collaboration of higher education brought meaningful changes in the perception of older adults from passive to active learners whose learning orientations expand beyond personal purposes to reach social ones. Also, intergenerational characteristics of higher learning shown in these two cases show the possibility that learning of older adults contributes in resolving various social issues in super-aged societies. Suggestions from these cases when applied to Korean context were elaborated. 본 연구는 노인평생교육 활성화 방안의 하나로 대학이 주도하는 고등교육 연계 방안을 제안하고자 추진되었다. 우리보다 시기적으로 먼저 초고령 사회로의 진입과 베이비부머의 노년기 학습요구를 당면하였던 일본의 사례를 통해 고등교육연계 노인평생교육의 중요성과 의의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일본의 전반적인 평생교육 맥락 속 노인평생교육의 현황을 제시한 뒤 사례분석 방법을 통해 일본의 와세다 대학교(早稲田大学)의 ‘엑스텐션센터(エクステンションセンター)’와 릿쿄 대학교(立教大学)의 ‘세컨드스테이지대학(セカンドステージ大学)’을 중심으로 고등교육기관의 참여를 통한 일본의 노인평생교육의 확대의 현황과 효과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고등교육 연계 노인평생교육은 노인을 수혜자, 또는 지원 대상자로 보는 시각에서 능동적인 학습자로 자리매김하는 효과가 있고 노인의 학습이 개인의 복지향상을 넘어선 공공성을 지향하는 특징을 가진다. 또한 두 사례에서 나타난 ‘타 세대 간의 공학(共學)’이 가져온 세대공동체 교육효과가 공동체의 활성화에 일조함은 물론, 생산인구 감소 및 저출생 등의 사회 전반의 문제 해결에도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올 수 있음에 주목하고, 이를 근거로 하여 우리사회의 평생교육 맥락에서 적용할 때 필요한 과제들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발달장애 전공과의 평생교육기관으로의 재구조화를 위한 직업재활(재활상담) 분야의 평생교육 전문인력 자격 융합 요구 분석

        김영준,권량희 한국성인계속교육학회 2022 성인계속교육연구 Vol.13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qualitatively analyze the needs for the convergence of qualifications of lifelong education professionals in the field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rehabilitation counseling), which is one of the measures to be considered in order to restructure the majoring courses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s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in an organizational level. FGI was used for the research method, targeting experts in the field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rehabilitation counseling). The study contents and results were presented in three main aspects. First, based on the consistency of the curriculum composed by the current majoring courses for developmental disabilities with the field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rehabilitation counseling), the consistency between the field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rehabilitation counseling) and the lifelong education curriculum for IDD, the study examined whether it is reasonable for the current majoring courses for developmental disabilities to be restructured as a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 through convergence with the qualification of lifelong education professionals in the field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rehabilitation counseling). Second, the plan required to train lifelong education professionals in the field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rehabilitation counseling) was suggested for the restructure of majoring courses for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to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Third, the plan required for the placement of lifelong education professionals in the field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rehabilitation counseling) was suggested for the restructure of majoring courses for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to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As a result of the study, if the majoring courses for the current developmental disability are converged with the training and placement of lifelong education professionals in the field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rehabilitation counseling) in order to be restructured into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the linkage and advancement of the current majoring courses curriculum into lifelong education curriculum, the qualification of coordinator type professionals through counseling-based curriculum planning, the qualification of professionals centered on curriculum operation, and the realization of standards for training lifelong education professionals through cooperation between university and major courses possible could be analyzed. In addition, it was analyzed that the lifelong education professionals manpower exchange project through linkage between majoring courses-led regional institutions can be promoted. 본 연구는 발달장애학생을 위한 전공과가 조직적인 차원에서 평생교육기관으로 재구조화되기 위하여 고려되어야 할 한 가지 방안에 해당하는 직업재활(재활상담) 분야의 평생교육 전문인력 자격 융합에 대한 요구를 질적으로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 방법은 직업재활(재활상담) 분야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FGI가 사용되었다. 연구 내용 및 결과는 크게 세 가지의 측면으로 제시되었다. 첫 번째는 현행의 발달장애 전공과가 구성하고 있는 교육과정이 직업재활(재활상담) 분야와 갖는 정합성, 직업재활(재활상담) 분야와 발달장애인 평생교육과정 간 정합성 등을 근거로 하여 현행의 발달장애 전공과과 직업재활(재활상담) 분야의 평생교육 전문인력 자격 융합을 통해 평생교육기관으로 재구조화되는 것이 타당한가를 고찰하였다. 두 번째는 발달장애 전공과의 평생교육기관으로의 재구조화를 위하여 직업재활(재활상담) 분야의 평생교육 전문인력 자격 양성에 요구되는 방안이 제시되었다. 세 번째는 발달장애 전공과의 평생교육기관으로의 재구조화를 위하여 직업재활(재활상담) 분야의 평생교육 전문인력 자격 배치에 요구되는 방안이 제시되었다. 연구 결과, 현행의 발달장애 전공과가 평생교육기관으로 재구조화되기 위하여 직업재활(재활상담) 분야의 평생교육 전문인력 자격 양성 및 배치와 융합될 경우 현행 전공과 교육과정의 평생교육과정으로의 연계 및 고도화, 상담 기반의 교육과정 기획을 통한 코디네이터 유형 전문인력 자격, 교육과정 운영 중심의 전문인력 자격, 대학-전공과 간 협력을 통한 평생교육 전문인력 자격 양성 기준의 구체화, 전공과 주도의 지역 유관기관 간 연계를 통한 평생교육 전문인력 교류 사업 등이 추진될 수 있다는 측면이 분석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