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정부의 R&D 지원과 벤처기업의 스톡옵션제도 활용이 벤처기업의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

        김호현 ( Kim Ho-hyun ),박형준 ( Park Hyung-jun ) 한국벤처혁신학회 2024 벤처혁신연구 Vol.7 No.1

        본 연구는 정부의 R&D 지원과 벤처기업의 스톡옵션제도 활용이 벤처기업의 혁신, 즉 혁신역량 및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벤처확인기업을 대상으로 진행된 벤처기업정밀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해 부분최소제곱 구조방정식모델링(PLS-SEM) 방법으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정부 R&D 지원의 수혜 여부는 벤처기업의 혁신역량 강화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R&D 지원은 벤처기업의 혁신성과에도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벤처기업의 스톡옵션제도 활용은 기업의 혁신역량 강화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벤처기업의 혁신성과에도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벤처기업의 혁신역량은 정부의 R&D 지원 및 벤처기업의 스톡옵션제도 활용과 기업의 혁신성과 사이를 유의하게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들은 벤처기업의 혁신에 있어서 정부의 R&D 지원과 스톡옵션 제도의 활용이 의미있는 역할을 할 수 있음을 보여주며, 아울러 혁신의 프로세스에서 벤처기업의 혁신역량이 중요한 의미가 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벤처기업에 대한 R&D 지원의 기조를 꾸준히 이어나가면서 동시에 기업의 역량강화를 지원하는 다면적 정책수단을 투입할 필요가 있으며, 스톡옵션제도의 활성화를 위한 법적·제도적 정비와 정책적 지원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government's R&D support and the use of stock options by venture companies on the innovation of venture companies, that is, innovation capabilities and innovation performance. An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partial least squar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PLS-SEM) method using the data from the detailed survey of venture companies conducted on domestic venture confirmation compani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benefit of government R&D support had a positive (+) effect on strengthening the innovation capabilities of venture companies, and R&D support also had a positive (+) effect on the innovation performance of venture companies. Next, it was found that the use of stock options by venture companies had a positive (+) effect on the reinforcement of the innovation capabilities of companies and a positive (+) effect on the innovation performance of venture companie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innovation capabilities of venture companies significantly mediate between the government's R&D support and the use of stock options by venture companies and the innovation performance of companies. These analysis results show that the government's R&D support and the use of stock option systems can play a meaningful role in the innovation of venture companies, and also show that the innovation capabilities of venture companies have an important meaning in the process of innov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tinue the stance of R&D support for ventures and at the same time to introduce multi-faceted policy measures to support corporate capacity building, and legal and institutional maintenance and policy support to revitalize the stock option system need to be continuously provided.

      • KCI등재

        정부의 R&D 지원과 벤처기업의 스톡옵션제도 활용이 벤처기업의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

        김호현,박형준 사단법인 한국벤처혁신학회 2024 벤처혁신연구 Vol.7 No.1

        본 연구는 정부의 R&D 지원과 벤처기업의 스톡옵션제도 활용이 벤처기업의 혁신, 즉 혁신역량 및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벤처확인기업을 대상으로 진행된 벤처기업정밀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해부분최소제곱 구조방정식모델링(PLS-SEM) 방법으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정부 R&D 지원의 수혜 여부는 벤처기업의 혁신역량 강화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R&D 지원은 벤처기업의 혁신성과에도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벤처기업의 스톡옵션제도 활용은 기업의 혁신역량 강화에 정(+)의 영향을미치고, 벤처기업의 혁신성과에도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벤처기업의 혁신역량은 정부의 R&D 지원및 벤처기업의 스톡옵션제도 활용과 기업의 혁신성과 사이를 유의하게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들은 벤처기업의 혁신에 있어서 정부의 R&D 지원과 스톡옵션 제도의 활용이 의미있는 역할을 할 수 있음을 보여주며, 아울러 혁신의 프로세스에서 벤처기업의 혁신역량이 중요한 의미가 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벤처기업에 대한 R&D 지원의 기조를 꾸준히 이어나가면서 동시에 기업의 역량강화를 지원하는 다면적 정책수단을 투입할 필요가 있으며, 스톡옵션제도의 활성화를 위한 법적·제도적 정비와 정책적 지원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government's R&D support and the use of stock options by venture companies on the innovation of venture companies, that is, innovation capabilities and innovation performance. An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partial least squar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PLS-SEM) method using the data from the detailed survey of venture companies conducted on domestic venture confirmation compani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benefit of government R&D support had a positive (+) effect on strengthening the innovation capabilities of venture companies, and R&D support also had a positive (+) effect on the innovation performance of venture companies. Next, it was found that the use of stock options by venture companies had a positive (+) effect on the reinforcement of the innovation capabilities of companies and a positive (+) effect on the innovation performance of venture companie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innovation capabilities of venture companies significantly mediate between the government's R&D support and the use of stock options by venture companies and the innovation performance of companies. These analysis results show that the government's R&D support and the use of stock option systems can play a meaningful role in the innovation of venture companies, and also show that the innovation capabilities of venture companies have an important meaning in the process of innov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tinue the stance of R&D support for ventures and at the same time to introduce multi-faceted policy measures to support corporate capacity building, and legal and institutional maintenance and policy support to revitalize the stock option system need to be continuously provided.

      • KCI등재

        벤처기업을 둘러싼 외부요인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 : 기업역량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박다인,김대진 사단법인 한국벤처혁신학회 2024 벤처혁신연구 Vol.7 No.1

        본 연구는 벤처기업정밀실태조사에서 수집된 국내 벤처기업 데이터를 통해 벤처환경수준과 벤처기업확인제도의 혜택과 내부역량, 경영성과 간 관계를 분석하였다. 고위험과 고성과를 특징으로 하는 벤처기업의 기업역량에 미치는 환경적인 요소들과 결합해 달성할 수 있는 성과 수준을 확인하였으며, 성과의 경우 재무성과와 기술성과로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벤처환경수준으로 대변되는 인프라 수준과 실제 벤처기업확인제도 혜택 정도를 독립변수로 설정하였으며, 매개변수의 경우 기업역량, 종속변수의 경우 재무성과와 기술성과로 구분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벤처환경수준은기업역량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벤처기업확인제도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역량의 경우기술성과에는 긍정적 영향을 미쳤으나 재무성과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내부역량이 벤처환경수준 및 벤처기업확인제도 혜택과 경영성과 간 관계를 매개한다는 연구 결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실제 벤처기업의 데이터를 활용해 환경에서 역량, 성과로 이어지는 일련의 프로세스를 확인하고, 기업역량의 중요성을 확인했다는시사점을 갖는다. 아울러 벤처환경수준과 벤처기업확인제도에 대한 환경적 요소가 내부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했기 때문에 추후 개편된 벤처기업확인제도에 해당 프로세스를 도입하는 경우 벤처기업의 성과를 높일 수 있는 요소들에대한 보다 정밀한 연구가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the venture environment, the benefits of the venture business verification system, internal capabilities, and management performance through the actual data of domestic venture companies collected in the Venture Business Precision Survey. As a result of the empirical analysis, the level of venture infrastructure did not affect the company's capabilities, but it was found that the venture company confirmation system had a positive effect. In the case of corporate competency, it was found that it had a positive effect on technological performance, but had no effect on sales performance. However, the research results confirmed that internal competenc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enture environment level and the benefits of the venture business confirmation system and business performance. This study has the implications of confirming a series of processes leading to competency and performance in the environment using data from actual venture companies, and confirming the importance of corporate competency. In addition, since we confirmed the effect of the environmental factors of the venture environment level and the venture business confirmation system on the internal performance, if the process is introduced in the later reorganized venture business confirmation system, we will examine the factors that can enhance the performance of venture businesses. A more precise check is expected.

      • KCI등재

        국내 기업 연구개발 종사자의 셀프리더십이 직무만족을 매개로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 제조업과 정보통신업 비교

        최민석,황찬규 사단법인 한국벤처혁신학회 2024 벤처혁신연구 Vol.7 No.1

        연구개발 종사자의 혁신행동은 신제품 또는 서비스를 창출하거나 기존 제품/서비스의 개선 등 효율화를 통해 기업의 지속적인 성장과 경쟁력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연구개발 종사자들은 높은 전문성과 창의성을 기반으로업무를 진행하는 경향이 높기 떄문에 외부로부터의 지시나 요구보다는 스스로의 동기부여에 의해서 혁신행동이 발현될가능성이 높다. 셀프리더십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연구는 다양한 분야에서 진행되어 왔으나 연구개발 (R&D) 종사자를대상으로 한 연구는 많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제조업 및 정보통신 (ICT) 기업 연구개발 종사자의 셀프리더십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및 셀프리더십과 혁신행동 간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랜덤표집 방식으로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확보한 209건의 데이터에 대해 SPSS 20.0 프로그램을 활용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및요인간 상관관계 분석, 다중회귀분석 및 매개효과 분석을 진행하고 제조업과 ICT 간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다음과 같다. 첫 째, 제조업과 ICT 모두 셀프리더십과 직무만족, 셀프리더십과 혁신행동 사이에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둘 째, 셀프리더십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분석 결과, 제조업의 경우 자연보상 전략과 건설적사고전략만이 유의한 정 (+)의 영향을 미친 반면 ICT의 경우에는 행동지향 전략, 자연보상 전략 및 건설적사고 전략 모두유의한 정 (+)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 째, 셀프리더십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분석 결과, 제조업의경우 자연보상 전략과 건설적사고 전략만이 유의한 정 (+)의 영향을 미친 반면, ICT의 경우에는 행동지향 전략과 자연보상 전략이 유의한 정 (+)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조업의 행동지향 전략과 ICT의 건설적사고 전략은유의하지 않았다. 넷 째, 직무만족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분석 결과, 제조업과 ICT 모두에서 유의한 정(+)의 영향을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제조업의 경우가 ICT보다 상대적으로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 째, 직무만족의매개효과 분석 결과, 제조업의 경우 건설적사고 전략만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부분적인 매개효과가있음을 확인하였다. 반면, ICT의 경우에는 셀프리더십의 모든 하위 요인에 대해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로부터 제조업과 ICT업 간에 셀프리더십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매개효과의 작용 메커니즘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연구결과는 각 산업의 특성과 연구개발 조직 특성을 고려하여 조직 내의 리더십, 직무설계, 그리고 직무만족을 촉진하는 방향으로 조직의 전략과 문화를 개선하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In this study, we compared and analyzed the influence of self-leadership on innovative behavior and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among R&D practitioners in manufacturing and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industries. To accomplish this, we conducted an online survey using random sampling methods and collected data from 209 respondents. We employe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mediation analysis using SPSS 20.0 software to analyze the data and to compare differences between the manufacturing and ICT sectors.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both in manufacturing and ICT sectors, self-leadership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job satisfaction and innovative behavior. Secondly, in the analysis of the impact of self-leadership on innovative behavior, in the manufacturing sector, only natural reward strategy and constructive thought strategy showed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while in the ICT sector, behavioral-oriented strategy, natural reward strategy, and constructive thought strategy all showed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Thirdly, in the analysis of the impact of self-leadership on job satisfaction, in the manufacturing sector, only natural reward strategy and constructive thought strategy showed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while in the ICT sector, behavioral-oriented strategy and natural reward strategy showed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Fourthly, in the analysis of the impact of job satisfaction on innovative behavior,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were observed in both manufacturing and ICT sectors, with manufacturing sector having relatively greater impact than ICT sector. Lastly,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n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indicate that in the manufacturing sector, only a constructive thinking strategy significantly influences, showing partial mediating effects. However, in the ICT sector, no mediating effects of job satisfaction were observed for any sub-factors of self-leadership. These research findings highlight differences in the mechanisms of action of self-leadership on innovative behavior and its mediating effects between the manufacturing and ICT sectors. Furthermore, the results suggest the importance of improving organizational strategies and culture towards promoting leadership, job design, and job satisfaction,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industry and research and development organization.

      • KCI등재

        네덜란드의 혁신클러스터정책과 시사점

        김영우 사단법인 한국벤처혁신학회 2022 벤처혁신연구 Vol.5 No.1

        본 연구는 네덜란드의 지역별 혁신 클러스터정책을 통해 네덜란드 경제의 성장동인을 찾고자 한다. 전통적으로 농업과 물류중심의 경제구조를 가진 네덜란드는 1990년대 지역 클러스터를 만들면서 첨단 허브 국가로서 역할을 충실하게 해왔고 작은 나라임에도 세계 수출의 7위를 차지하는 등 혁신국가의 이미지를 만드는데 성공했다. 그 바탕에는 혁신을 위한 체계적인 분석 접근법으로 ‘지역 혁신 시스템(Rational Innovation System)’의 개념을 도입하고 지역의 특색을 살린 산학연 모델이 가장 큰 요인으로 작용했다. 여기에는 적절한 중앙정부의 혁신 생태계 조성을 위한 정책적 방향제시와 지역을 중심으로 한 산학연 모델이 크게 작용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런 점을 종합적으로 살펴 볼 때 본고에서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발견할 수 있다. 첫째, 혁신 클러스터의 활성화이다. 둘째, Top 9을 중심으로 한 신산업육성정책과 미래산업 전략을 활성화하고 있다. 셋째, 산학연 협력을 구체화하고 있다. 넷째, 스타트업의 창업을 육성하고 있다. 이를 종합하면 네덜란드는 2019년 설립된 TechLeap은 네덜란드의 기술 생태계를 정량화하고 가속화하는 데 도움을 주는데 자본, 시장 및 인재에 대한 접근성을 개선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이니셔티브를 통해 기술 기업이 확장할 수 있는 최적의 환경을 조성해 네덜란드를 미래의 기술 선도기업들을 위한 보금자리로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첨단농업과 물류국가로 알려진 네덜란드는 4차 산업혁명시대를 맞이하여 로테르담을 중심으로 하는 물류의 항구에서 ICT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지식항구(brainport)’로 확장하고 있다. 네덜란드는 물류 국가에서 산업화에 성공했지만 최근 지역혁신 생태계를 만들기 위한 중앙정부의 비전 제시와 지역의 특화산업을 연계한 산학연 클러스터 모델이 가장 큰 디딤돌 역할을 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네덜란드의 혁신정책은 혁신 클러스터 생태계를 중심으로 지역을 개발하고 일자리 창출과 새로운 산업을 위한 투자를 통해 유럽의 ‘디지털 관문’으로서 역할에 보다 충실할 것으로 전망된다. ​

      • KCI등재후보

        국내 기업 연구개발 종사자의 셀프리더십이 직무만족을 매개로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 제조업과 정보통신업 비교

        최민석 ( Choi Min-seog ),황찬규 ( Hwang Chan-gyu ) 한국벤처혁신학회 2024 벤처혁신연구 Vol.7 No.1

        연구개발 종사자의 혁신행동은 신제품 또는 서비스를 창출하거나 기존 제품/서비스의 개선 등 효율화를 통해 기업 의 지속적인 성장과 경쟁력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연구개발 종사자들은 높은 전문성과 창의성을 기반으로 업무를 진행하는 경향이 높기 떄문에 외부로부터의 지시나 요구보다는 스스로의 동기부여에 의해서 혁신행동이 발현될 가능성이 높다. 셀프리더십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연구는 다양한 분야에서 진행되어 왔으나 연구개발 (R&D) 종사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많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제조업 및 정보통신 (ICT) 기업 연구개발 종사자의 셀프리더십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및 셀프리더십과 혁신행동 간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랜덤표집 방식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확보한 209건의 데이터에 대해 SPSS 20.0 프로그램을 활용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및 요인간 상관관계 분석, 다중회귀분석 및 매개효과 분석을 진행하고 제조업과 ICT 간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째, 제조업과 ICT 모두 셀프리더십과 직무만족, 셀프리더십과 혁신행동 사이에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둘 째, 셀프리더십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분석 결과, 제조업의 경우 자연보상 전략과 건설적사고전략만이 유의한 정 (+)의 영향을 미친 반면 ICT의 경우에는 행동지향 전략, 자연보상 전략 및 건설적사고 전략 모두 유의한 정 (+)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 째, 셀프리더십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분석 결과, 제조업의 경우 자연보상 전략과 건설적사고 전략만이 유의한 정 (+)의 영향을 미친 반면, ICT의 경우에는 행동지향 전략과 자연보상 전략이 유의한 정 (+)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조업의 행동지향 전략과 ICT의 건설적사고 전략은 유의하지 않았다. 넷 째, 직무만족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분석 결과, 제조업과 ICT 모두에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제조업의 경우가 ICT보다 상대적으로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 째, 직무만족의 매개효과 분석 결과, 제조업의 경우 건설적사고 전략만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부분적인 매개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반면, ICT의 경우에는 셀프리더십의 모든 하위 요인에 대해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로부터 제조업과 ICT업 간에 셀프리더십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매개효과의 작용 메커니즘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연구결과는 각 산업의 특성과 연구개발 조직 특성을 고려하여 조직 내의 리더십, 직무설계, 그리고 직무만족을 촉진하는 방향으로 조직의 전략과 문화를 개선하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In this study, we compared and analyzed the influence of self-leadership on innovative behavior and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among R&D practitioners in manufacturing and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industries. To accomplish this, we conducted an online survey using random sampling methods and collected data from 209 respondents. We employe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mediation analysis using SPSS 20.0 software to analyze the data and to compare differences between the manufacturing and ICT sectors.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both in manufacturing and ICT sectors, self-leadership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job satisfaction and innovative behavior. Secondly, in the analysis of the impact of self-leadership on innovative behavior, in the manufacturing sector, only natural reward strategy and constructive thought strategy showed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while in the ICT sector, behavioral-oriented strategy, natural reward strategy, and constructive thought strategy all showed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Thirdly, in the analysis of the impact of self-leadership on job satisfaction, in the manufacturing sector, only natural reward strategy and constructive thought strategy showed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while in the ICT sector, behavioral-oriented strategy and natural reward strategy showed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Fourthly, in the analysis of the impact of job satisfaction on innovative behavior,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were observed in both manufacturing and ICT sectors, with manufacturing sector having relatively greater impact than ICT sector. Lastly,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n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indicate that in the manufacturing sector, only a constructive thinking strategy significantly influences, showing partial mediating effects. However, in the ICT sector, no mediating effects of job satisfaction were observed for any sub-factors of self-leadership. These research findings highlight differences in the mechanisms of action of self-leadership on innovative behavior and its mediating effects between the manufacturing and ICT sectors. Furthermore, the results suggest the importance of improving organizational strategies and culture towards promoting leadership, job design, and job satisfaction,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industry and research and development organization.

      • KCI등재후보

        벤처기업을 둘러싼 외부요인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 : 기업역량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박다인 ( Park Da-in ),김대진 ( Kim Dae-jin ) 한국벤처혁신학회 2024 벤처혁신연구 Vol.7 No.1

        본 연구는 벤처기업정밀실태조사에서 수집된 국내 벤처기업 데이터를 통해 벤처환경수준과 벤처기업확인제도의 혜택과 내부역량, 경영성과 간 관계를 분석하였다. 고위험과 고성과를 특징으로 하는 벤처기업의 기업역량에 미치는 환경적인 요소들과 결합해 달성할 수 있는 성과 수준을 확인하였으며, 성과의 경우 재무성과와 기술성과로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벤처환경수준으로 대변되는 인프라 수준과 실제 벤처기업확인제도 혜택 정도를 독립변수로 설정하였으며, 매개변수의 경우 기업역량, 종속변수의 경우 재무성과와 기술성과로 구분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벤처환경수준은 기업역량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벤처기업확인제도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역량의 경우 기술성과에는 긍정적 영향을 미쳤으나 재무성과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내부역량이 벤처환경수준 및 벤처기업확인제도 혜택과 경영성과 간 관계를 매개한다는 연구 결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실제 벤처기업의 데이터를 활용해 환경에서 역량, 성과로 이어지는 일련의 프로세스를 확인하고, 기업역량의 중요성을 확인했다는 시사점을 갖는다. 아울러 벤처환경수준과 벤처기업확인제도에 대한 환경적 요소가 내부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했기 때문에 추후 개편된 벤처기업확인제도에 해당 프로세스를 도입하는 경우 벤처기업의 성과를 높일 수 있는 요소들에 대한 보다 정밀한 연구가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the venture environment, the benefits of the venture business verification system, internal capabilities, and management performance through the actual data of domestic venture companies collected in the Venture Business Precision Survey. As a result of the empirical analysis, the level of venture infrastructure did not affect the company's capabilities, but it was found that the venture company confirmation system had a positive effect. In the case of corporate competency, it was found that it had a positive effect on technological performance, but had no effect on sales performance. However, the research results confirmed that internal competenc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enture environment level and the benefits of the venture business confirmation system and business performance. This study has the implications of confirming a series of processes leading to competency and performance in the environment using data from actual venture companies, and confirming the importance of corporate competency. In addition, since we confirmed the effect of the environmental factors of the venture environment level and the venture business confirmation system on the internal performance, if the process is introduced in the later reorganized venture business confirmation system, we will examine the factors that can enhance the performance of venture businesses. A more precise check is expected.

      • KCI등재

        COVID-19 재정지원정책과 기업가정신이 중소기업혁신에 미치는 영향 : 스마트워크 도입 유무에 따른 비교 연구

        전영준 사단법인 한국벤처혁신학회 2022 벤처혁신연구 Vol.5 No.4

        COVID-19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경제는 악화되었으며 국내 역시 큰 타격을 받게 되었다. 이에 정부는 중소기업들이 겪고 있는 자금난 해소를 위해 전례 없는 COVID-19 관련 재정지원 정책을 시행하였다. 또한, 정부는 COVID-19 확산이 지속되자 비대면 접촉을 권고했으며 그에 따른 지침과 방안을 내세움에 따라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의 조직들은 비대면 형태의 업무방식을 도입하였다. 이러한 상황을 고려하여 본 연구는 COVID-19 관련 재정지원 정책이 중소기업의 혁신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였다. 또한, 기업의 혁신을 위해서는 정부의 지원과 같은 외부적인 지원도 중요하나 내부적 역량 역시 중요한 요인에 해당한다. 따라서 기업가정신이 제품혁신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으며, 더하여 비대면 형태의 업무방식이 활성화됨에 따라 스마트워크를 도입한 기업과 도입하지 않는 기업 간 비교를 통해 스마트워크의 효과를 파악하였다. 가설검증을 위한 자료수집은 과학기술정책연구원에서 제공하는 한국기업혁신조사-2020년 (제조업)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또한, 가설검증을 위해 성향점수매칭을 이용해 표본에 대한 선택편의를 줄인 이후 스마트도입 기업과 도입하지 않은 기업 간 집단을 분류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기업가정신의 경우 스마트워크 도입 여부에 상관없이 중소기업의 제품혁신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COVID-19 재정지원정책의 경우, 금융지원은 스마트워크를 도입한 기업에게만 제품혁신에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이외에 지원정책은 스마트워크 도입 여부에 상관없이 제품혁신에는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 기업가정신은 스마트워크 도입 여부에 상관없이 정(+)의 영향을 나타냈으며, COVID-19 관련 재정지원정책은 지원유형에 따라 혼재된 결과를 보여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정책적 및 학문적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었다.

      • KCI등재

        벤처기업을 둘러싼 외부요인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 : 기업역량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박다인,김대진 사단법인 한국벤처혁신학회 2024 벤처혁신연구 Vol.7 No.1

        본 연구는 벤처기업정밀실태조사에서 수집된 국내 벤처기업 데이터를 통해 벤처환경수준과 벤처기업확인제도의 혜택과 내부역량, 경영성과 간 관계를 분석하였다. 고위험과 고성과를 특징으로 하는 벤처기업의 기업역량에 미치는 환경적인 요소들과 결합해 달성할 수 있는 성과 수준을 확인하였으며, 성과의 경우 재무성과와 기술성과로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벤처환경수준으로 대변되는 인프라 수준과 실제 벤처기업확인제도 혜택 정도를 독립변수로 설정하였으며, 매개변수의 경우 기업역량, 종속변수의 경우 재무성과와 기술성과로 구분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벤처환경수준은기업역량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벤처기업확인제도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역량의 경우기술성과에는 긍정적 영향을 미쳤으나 재무성과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내부역량이 벤처환경수준 및 벤처기업확인제도 혜택과 경영성과 간 관계를 매개한다는 연구 결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실제 벤처기업의 데이터를 활용해 환경에서 역량, 성과로 이어지는 일련의 프로세스를 확인하고, 기업역량의 중요성을 확인했다는시사점을 갖는다. 아울러 벤처환경수준과 벤처기업확인제도에 대한 환경적 요소가 내부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했기 때문에 추후 개편된 벤처기업확인제도에 해당 프로세스를 도입하는 경우 벤처기업의 성과를 높일 수 있는 요소들에대한 보다 정밀한 연구가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the venture environment, the benefits of the venture business verification system, internal capabilities, and management performance through the actual data of domestic venture companies collected in the Venture Business Precision Survey. As a result of the empirical analysis, the level of venture infrastructure did not affect the company's capabilities, but it was found that the venture company confirmation system had a positive effect. In the case of corporate competency, it was found that it had a positive effect on technological performance, but had no effect on sales performance. However, the research results confirmed that internal competenc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enture environment level and the benefits of the venture business confirmation system and business performance. This study has the implications of confirming a series of processes leading to competency and performance in the environment using data from actual venture companies, and confirming the importance of corporate competency. In addition, since we confirmed the effect of the environmental factors of the venture environment level and the venture business confirmation system on the internal performance, if the process is introduced in the later reorganized venture business confirmation system, we will examine the factors that can enhance the performance of venture businesses. A more precise check is expected.

      • KCI등재후보

        이슈 리더십이 혁신 행동에 미치는 영향 연구 : 학습 민첩성의 매개효과

        박성열,정병규 사단법인 한국벤처혁신학회 2021 벤처혁신연구 Vol.4 No.3

        This study was conducted focusing on the innovative behavior necessary for the long-term survival of an organization in a business environment in which uncertainty and complexity are increasing. To this end, the relationship between issue leadership and innovative behavior of organizational members was investigated from the perspective of Signaling theory, Path-Goal theory and Job Demands-Resources theory. In addition, the mediating role of learning agility and sub-components of learning agility was empirically analyzed. For empirical analysis, a survey was conducted with a total of 252 team leaders and team members working in multinational companies (142 in Korea, 110 in the U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ssue leadership was analyzed to have a positive (+) effect on the innovative behavior of employees. Learning agility was found to play a mediating role between issue leadership and innovative behavior. On the other hand, the mediating effect was tested for each of the sub-components of learning agility, such as feedback seeking, information seeking, reflecting, experimenting, agility. As a result, all five sub-components were found to play a mediating role between issue leadership and innovative behavior. In particular, it was analyzed that the mediating effect of agility was the largest. Next, information seeking appeared to be large. Although there are some studies that have identified the mediating role of learning agility between issue leadership and innovative behavior, this study is considered to have academic implication as there are few cases of subdivided study. At the practical level, it is expecte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where to focus more when trying to improve an organization's learning agility and innovation behavior 본 연구는 불확실성과 복잡성이 증대되고 있는 경영 환경하에서 조직의 장기적 생존에 필요한 혁신 행동에 초점을 맞추어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이슈 리더십이 조직 구성원의 혁신 행동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신호이론(Signaling ttheory), 경로-목표이론(Path-Goal Theory), 직무요구-자원이론(Job Demands-Resources Theory) 관점에서 규명하였다. 또한 학습 민첩성 및 학습 민첩성의 하위 구성 요인의 매개 역할을 실증적으로 분석 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해 다국적 기업에 근무하고 있는 팀장과 팀원 총 252쌍(한국 142쌍, 미국 110쌍)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이슈 리더십은 종업원들의 혁신 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학습 민첩성은 이슈 리더십과 혁신 행동간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학습 민첩성의 하위 구성 요인인 피드백 추구성향, 정보 지향성, 성찰, 실험성, 민첩성의 각각에 대해 매개효과를 검정하였다. 그 결과 5개의 하위 구성 요인 모두 이슈 리더십과 혁신 행동간에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민첩성의 매개효과가 가장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음으로 정보 지향성이 크게 나타났다. 이슈 리더십이 혁신 행동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 관계에서 학습 민첩성의 매개 역할을 규명한 일부 연구는 있지만, 이를 세분화해서 살펴본 경우는 거의 없는 실정에서 본 연구는 학술적인 의미가 있다고 사료 된다. 실무적인 차원에서도 조직의 학습 민첩성 제고를 하고자 할 때 어느 부분을 더 집중해야 할 것인지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보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