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한국 전통이미지의 재해석을 통한 콘솔디자인 개발 연구 - 생활용 가구 제품 개발을 중심으로

        최진식,김미자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17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51 No.-

        While interest in Korean traditional culture and products seems to increase, various product development is still insufficient. In the traditional craft industry, the situation is similar, and it is experiencing a lot of difficulties due to changes in domestic and overseas market environ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console design that reflects the traditional culture as a modern image by reinterpreting traditional Korean images. The scope of the study is focused on the functional aspects that give convenience of life and the console design of Korean traditional image that also serves as decorative elements. The focus of the study was on the process of console furniture development, centering on the design development process that reinterpreted traditional Korean images. In this study, first, as an element of Korean traditional image, I extracted curvilinear, which is one of Korean traditional beauty, and applied smooth and simple curve image to the upper part of the console. Second, I applied the design to the motif of architectural structure. The Kongpo of Korean architecture(connecting the pillars and the roof), the image of the column, the interpretation of traditional Korean images and reflected in the console design. Third, cloud pattern is used as a decorative element of console table as a detailed expression element in Korean traditional pattern. In this way, I reinterpreted the traditional image and applied it to the console design as a basic element of the work, and produced three kinds of console furniture. This study is meaningful to reinterpret Korean traditional images and to develop and propose modern products using them, and it is necessary to pursue more efforts for various products in the future. 한국 전통문화와 상품에 대한 관심은 증가하는 것으로 보이는 반면, 다양한 상품 개발은 아직 미흡한 실정에 있다. 전통공예 산업에 있어서도 사정은 이와 비슷하여 현실적으로 국내외 시장 환경 변화에 따른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 전통이미지를 재해석하여 전통문화가 현대적 이미지로 반영된 콘솔디자인 개발을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범위는 생활 의 편리함을 주는 기능적 측면과 함께 장식적인 요소로서도 역할을 하는 콘솔디자인을 대상으로 설정하였다. 연구의 핵심부 분은 디자인 개발과정을 중심으로 하는 사례개발 과정에 초점을 두었다. 콘솔디자인의 기본적 구조는 기존의 콘솔의 범주에 서 벗어나지 않도록 하여 사용성과 편의성을 확보하도록 하였으며 시각적, 장식적 디자인은 한국 전통적인 이미지에 부합시 켜 디자인의 방향을 결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전통이미지의 요소로서 첫째, 한국의 전통미 가운데 하나인 곡선미를 추출하여 콘솔의 상단부분에 부드럽고 단순한 곡선이미지를 적용하였다. 둘째, 건축적인 구조를 모티브로 하여 디자인에 적 용하였다. 한국 건축의 공포(기둥과 지붕을 연결하는 부분)이미지, 기둥 모양, 그리고 창살의 구조를 활용하여 한국의 전통이 미지로 해석하고 콘솔디자인에 반영하였다. 셋째, 한국의 전통적인 문양 가운데 구름문 문양을 세부 표현 요소로 하여 콘솔 테이블의 장식요소로 활용하였다. 이와 같은 요소에서 전통이미지를 재해석하여 작품의 기본 요소로서 콘솔디자인에 적용하 여 3종류의 콘솔가구를 제작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의 전통적 이미지를 재해석하고 이를 적용한 현대적인 상품을 개발하여 시작품을 제안하는데 의미가 있으며 앞으로도 다양한 상품에 대한 연구 개발 노력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빅데이터 기반 패션 큐레이션서비스 디자인 중요성에 관한 연구

        엄경희(Eom, Kyoung Hee),오임경(Oh, Rim Kyu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7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3 No.4

        본 논문은 정보 과다의 현대 사회 속에서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패션 큐레이션서비스 디자인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패션 큐레이션서비스 디자인을 제공받고자 하는 대상에게 효과적인 정보를 제공하고 패션 산업 분야의 상업적 가치 창출 도모에 이론적으로 도움이 되고자 연구되어졌다. 연구범위는 현재 한국의 인구 비율과 평균적으로 안정된 경제력을 가지고 있는 3 · 40대 한국남성을 중심으로 라이프스타일을 조사하고 소셜 커뮤니케이션 사용 현황을 분석하여 패션 큐레이션서비스 디자인의 필요성과 중요성에 관한 결론에 이르고 있다, 연구방법은 인터넷을 이용한 국내 정보 데이터를 중심으로 논문과 단행본 도서 · 출판물 및 각 기관 조사 자료를 통하여 조사 및 분석을 중심으로 하였다.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패션 큐레이션서비스 디자인 중요성에 조사 연구 결과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 시켰다. 첫째, 최근 등장한 빅데이터의 중요성이 부각됨에 따라 빅데이터가 수집하는 방대한 양의 정보가 사용자에게 모두 필요한 것은 아니다. 무분별한 정보 속에서 사용자의 만족을 충족시켜주는 정보를 선별하여 필요한 정보를 수집 전달해주는 큐레이션서비스 디자인이 빅데이터의 중요성과 더불어 현대 사회에 필요한 서비스 디자인으로 중요하게 부각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3 · 40대 한국남성의 라이프스타일을 조사 분석 해본 결과 다른 연령층에 비해 경제적인 소득이 높은 3 · 40대 한국남성은 외모에 관한 관심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3 · 40대 한국남성의 인터넷 및 소셜 커뮤니케이션의 사용 빈도수, 이용량 및 의존도도 3 · 40대 한국 여성들 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3 · 40대 한국남성의 라이프스타일을 조사 분석 결과 패션 관련 소비가 점차 증가함에 따라 패션 큐레이션서비스 디자인의 필요성에 대한 중요성 확인 할 수 있었다. 셋째, 외모의 관심도와 인터넷 및 소셜 커뮤니케이션에 의존도가 높은 3 · 40대 한국남성은 패션시장이 점차적으로 커짐에 따라 빅데이터는 있으나 3 · 40대 한국남성의 라이프스타일을 충족하기 위한 패션 큐레이션서비스 디자인이 미흡함으로 이러한 문제점을 충족시킬 수 있는 패션 큐레이션서비스 디자인의 중요성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3 · 40대 한국남성이 비율과 소비성향 및 경제력을 바탕으로 호기심과 만족을 충족시킬 수 있는 패션 큐레이션서비스 디자인을 제공함으로써 향후 급부상 되어 지고 있는 남성 패션 마켓에 대응하여 글로벌 마켓에서의 경쟁력을 강화 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본 조사 연구를 통하여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3 · 40대 한국남성들을 위한 패션 큐레이선서비스 디자인을 구축하고 활용하면 패션과 디지털 기술 융합의 가치를 창출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사료된다.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effective information to the targets that intend to receive fashion curation service design by recognizing its importance based on the big data in the modern society with excessive information, to theoretically support the commercial value creation in the fashion industry. For the range of study, we researched focusing on the lifestyle of Korean male in their 30s ~ 40s who have stable economic power, average population group in Korea, analyzed the status of social communication use, which led the conclusion about importance and necessity of fashion curation service design. For the research method, we used the survey and analysis through theses, monography, publications, research documents and survey data of institution mainly with domestic data. The results of investigation are as follows. First, Big data means the technology that can manage, analyze the extensive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s for information managed and analyzed by Big data according to the needs of users refers to curation service. The service focusing on fashion among many of contents curation service design is the fashion curation service design. Second, when researching lifestyle of Korean male in their 30s ~ 40s, they have high interest in appearance, their economic income is higher than other age groups, and show the tendency of increasing fashion-related consumption. In addition, the frequency, use amount, and dependence of internet and social communication by Korean males in their 30s and 40s are relatively higher than those of Korean females in their 30s and 40s. Third, if utilizing fashion curation service design for Korean male in their 30s and 40s who have high interest in appearance, highly dependent to internet and social communication, we can confirm the importance of fashion curation service design for the consumption increase of Korean male in their 30s and 40s that has been bigger in the fashion market. Therefore, if providing a fashion curation service design that satisfies their curiosity and satisfaction based on the ratio, consumption trend and consumption power, respectively, it shows high possibility that it will be developed into an important service design for the future of the male fashion market. Through this research, we can build the value of fashion and digital technology convergence by constructing and utilizing fashion curation service design for Korean male in their 30s and 40th based on Big Data. In addition, we are looking forward to strengthen our competitiveness in the global market in response to the rapidly emerging male fashion market.

      • KCI등재

        K-디자인에 기반한 아이덴티티 전략 및 문화상품 개발

        김진경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24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76 No.-

        21세기 K-컬처가 전 세계적으로 각광 받는 시점에 한국 고유의 아이덴티티를 지닌 디자인 문화상품은 한국 문화를 알리는 데 큰 영향력을 전파하고 있다. K-디자인에 기반한 문화상품은 한국적 미감을 지닌 아이디어가 구체화되고 생산, 유통, 서 비스 과정을 통해 실제 상품으로 출시한다. 본 연구는 한국적 가치가 담긴 우수한 문화상품 발굴의 중요성 및 K-디자인 아이덴티티가 분명한 문화상품 활성화에 목적이 있으며 본 연구 목적에 맞게 문헌연구, 사례분석, K-디자인 문화상품 개발 순으로 진행하였다. 문헌연구를 통해 K-디자인에 기반한 문화상품의 아이덴티티는 정체성, 독창성, 연상성, 역사성의 네 가지 특성으로 도출하였으며 이 후 2022년-2020년의 대한민국 관광기념품공모전에 당선한 문화상품을 선정하여 사례 분 석하였다. 사례분석을 토대로 실제 K-디자인 문화상품 4종을 개발하여 아이덴티티 유효성을 검증하였다. 결론적으로 K- 디자인에 기반한 아이덴티티 전략으로는 한국문화를 대표하는 정체성, 한국문화를 연상하는 연상성, 한국문화의 역사를 반 영한 역사성, 한국문화와 연계한 차별화된 독창성이다. 한국문화의 고유성을 오래도록 기억할 수 있는 디자인 요소의 아이 덴티티를 연구하여야 하며 아이디어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K-디자인 전략을 세운 후 실제 제품에 적용하여 상품화 해야 함을 시사한다. 상품 기획을 도출하고 실제 상품으로 출시하는 과정에서 한국문화의 정체성을 바르게 세워 이미지를 통합 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문화상품은 향후 실질적 상품화를 통하여 한국문화를 알리는 아이덴티티 전략 확보를 목표로 하며 후속 연구를 통해 실효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K-디자인 전략은 세계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는 잠재력 있는 자원이며 국가 위상을 높일 수 있는 활동이다. 본 연구로 인하여 한국의 고유한 전통과 문화적 가 치를 지닌 경쟁력있는 디자인 문화상품 발굴과 발전에 밑거름이 되길 기대한다. At a time when 21st-century K-culture is gaining global recognition, Korean design cultural products with a unique Korean identity are spreading significant influence in promoting Korean culture. These cultural products based on K-design are being developed by concretizing ideas imbued with Korean aesthetics, going through the processes of production, distribution, and services, culminating in the release of actual products. This study aims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discovering outstanding cultural products with Korean values and to activate cultural products with a clear K-design identity. To achieve this goal, the research proceeded in the following sequence: literature review, case analysis, and the development of K-design cultural products.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the identity of cultural products based on K-design was derived with four characteristics: identity, originality, association, and historical context. Subsequently, a case analysis was conducted by selecting cultural products that had won awards in the Republic of Korea's tourism souvenir competition Between 2022 and 2020. Based on the case analysis, four actual K-design cultural products were developed and the validity of their identity was verified. In conclusion, the identity strategy based on K-design includes representing the identity of Korean culture, evoking associations with Korean culture, reflecting the history of Korean culture, and showcasing distinctive originality linked to Korean culture. Research on the identity of design elements that can help preserve the uniqueness of Korean culture for a long time is necessary. After establishing a K-design strategy that reinterprets ideas in a contemporary context, it is important to apply it to actual products for commercialization. The study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accurately establishing the identity of Korean culture through the process of deriving product planning and releasing actual products. we intend to verify their effectiveness through subsequent research. We hope that this research will contribute to the discovery and development of competitive design cultural products with Korea's unique traditions and cultural values.

      • KCI등재

        한국 창작무용 의상디자인의 변천과정 및 특징에 관한 고찰

        김혜경,김흥경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006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Vol.6 No.2

        한국무용은 19세기말 신무용의 탄생으로 연희 형태에서 무대와 객석이 분리된 극장식 무용으로 재. 이런 변화는 기존의 형식적이고 기교적인 한국전통무용이 예술적 측면을 강화시키면서 , 독창적이고 창작적인 한국 창작무용으로 성장하는 계기가 되었다 .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이런 과정에서 양산된 한국 창작무용의 의상디자인이 어떻게 전통적 미의식과 , 재생성으로 이어져왔는지 그 변모의 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 첫째, 신무용기에서 한국 창작무용으로 넘어가면서 무용작품은 예술적 무용을 지향하는 종합예술로 발전하게 되었다 . 이 때 무용의상의 변화의 특징은 전통적인 무용의상에 비해 장식적인 요소가 많아졌고 서구화된 디자인 형태도 나타나게 되었다 . 둘째, 포스트모더니즘의 출현으로 무용계의 국제문화교류가 활발해지고 네트워크화 되어 한국 창작무용 의상은 해체화 , 단순화, 개방화, 퓨전화, 다양화라는 특징을 보였다. 셋째, 급격한 변화 양상은 특히 , 신인 안무가들의 무용작품의상에서 발견되고 있다. 긍정적 측면에서 그 대표적인 변화는 다양화를 들 수 있다 . 그 결과 한국 창작무용 의상디자인을 위한 창작 연구 범위가 일반의상 디자인을 포함 , 훨씬 더 광범위해졌다. 16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제6권 제2호반면에 부정적인 측면에서는 한국무용만이 갖는 고유한 전통적 미의식 개발의 소홀함으로 현대무용과의 차별성이 점차적으로 소멸되는 변화양상을 띄게 되었다 . Korean Dance has been newly established into the Theater-type Dance from banqueting since the new type of creative dance appeared at the end of 19th century as a composite art. This change allows intensifying marvelous improvement of the artistic phase and has been an important beginning of originative and creative of Korean Creative Dance. Based on the aspect, this paper focuses on careful consideration and look into how the costume of Korean creative dance has been changed and growth though the combination and formation of aesthetic sense between traditional and modern. The question resolves itself into the following three points. First, in the state of turnover from Neo Dance era to Korean Creative Dance, dancing performance has been alternated to composite type of art. At the time, the dancing costume identified as very decorative with various ornaments than before, and also show westernizing influence in the design. Second, as a result of the Post Modernism appear, Korean Dancing field make cultural exchange worldwide lively and build a network with countries, the Korean Creative Dance has been disorganize, simplified, be candid, and diverse. Third, through the dramatic change and improvement, a lot of new choreographer bring multiform of directing in an affirmative concept so that let the costume design to be extensive to general clothes. On the other hand, been remiss to find the peculiarity of Korean traditional Dance has been gradually and hard to distinguish with Contemporary dance in a negative concept.

      • KCI등재

        한국 전래동화를 활용한 아동용 텍스타일 디자인 연구

        이미숙(Mi Suk Lee),정경희(Kyung Hee Chu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3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9 No.4

        문화적 콘텐츠가 중요시되고 있는 시기에 상품 경쟁력의 근원은 바로 디자인을 통한 문화 해석력과 창조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국내 아동용 텍스타일들은 대부분 아동을 대상으로 만화, 비디오, 영화 등과의 연관성 있는 캐릭터가 많이 이용되고 있는데 주로 외국의 캐릭터가 수입되어 사용되고 있고, 국내 캐릭터도우리 문화의 고유성이 반영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문화적·교육적 가치를 지니는 한국 전래동화를 모티브로 활용한 고감성 아동용 텍스타일 디자인을 시도해봄으로써 한국의 문학적요소가 지닌 디자인 소스로서의 가능성을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과 내용은 먼저 관련문헌과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전래동화의 개념 및 특징, 전래동화의 교육·문화적 가치, 한국 전래동화의 역사 및 특징, 아동용 텍스타일 디자인의 특성과 선행연구를 고찰한 다음, 한국 전래동화 ‘해와 달이 된 오누이’를 모티브로 활용한 텍스타일을 개발하였다. 텍스타일 디자인 개발은먼저, ‘해와 달이 된 오누이’ 캐릭터별 디자인과 이야기 장면별 디자인을 한 후, 벡터 이미지로의 변형, 컬러 조정 등의 단계를 거쳐 3종류의 텍스타일을 디자인하고 이를 활용하여 의류, 액세서리, 인테리어 소품등의 디자인에 시뮬레이션 하였다. 텍스타일 디자인, 시뮬레이션 작업은 Adobe Illustrator CS 5.0과 Adobe Photoshop CS 7.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및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용 텍스타일 디자인을 위해 한국 전래동화 중 인지도가 높고 아동복 캐릭터 모티프로 가장 어울리는 것으로 나타난 ‘해와 달이 된 오누이’를 디자인모티프로 선정하고 핸드 드로잉과 수채화 기법을 활용하여 전래동화 속 캐릭터와 장면별 디자인 한 후, 3종의 텍스타일 디자인을 제시하고 이를 활용하여 의류, 액세서리, 인테리어 소품 등의 디자인에 적용하여 시뮬레이션 하였다. 텍스타일 Design 1은 “해와 달이 된오누이” 장면별 디자인을 모두 활용한 아기자기하고 귀여운 이미지의 텍스타일 디자인으로, 핸드 드로잉과수채화의 붓 터치를 강조하였다. Design 2는 전래동화이야기의 밤 장면들을 활용한 디자인으로, 밤하늘에 반짝이는 별과 달을 연상시키는 환상적인 이미지의 디자인을 하였다. Design 3은 불규칙한 옐로우 도트 패턴에 오누이와 해와 달 캐릭터 이미지를 합성하여 따뜻하고 귀여운 이미지의 디자인이다. 이상에서 전개된텍스타일 디자인을 의류, 액세서리, 인테리어 소품 등의 디자인에 적용하여 시뮬레이션 하였다. 둘째, 본 연구를 통해서 정형화된 이미지를 갖고있지 않은 한국 전래동화는 아동에게 창의적인 시각을 향상시켜 줄 수 있는 아동용 텍스타일 디자인 개발을 위한 디자인 소스로서의 특징들을 갖고 있고 한국 전래동화 등장인물의 캐릭터화와 스토리텔링을 통한 텍스타일 디자인의 새로운 방법론을 모색해 보는계기가 되었으며, 융복합형 문화 콘텐츠디자인의 산업화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아동용품이 개성화, 고급화, 패션화 되고있고 문화 해석력에 바탕을 둔 독창적인 디자인이 중요시되고 있는 시기에, 한국 전래동화를 모티브로 활용한 아동용 텍스타일 디자인을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앞으로도 디자인 모티브로써 무한한 가능성을 지니고 있는 한국 전래동화를 활용한 고부가가치, 고감성 문화상품 개발을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야 한다고 사료된다. In a time period of regarding cultural contents asimportant, the source of product competitiveness iscultural interpretation and creation through design. However, most of textiles for kids in Korea useanimation-, video-, movie-related kids characters, which are mainly imported from foreign counties. Evendomestic characters do not reflect uniqueness of Koreanculture.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the possibility to use Korean literature elements as adesign source by applying Korean folktales withcultural and educational value as a motive andattempting high sensitive textile design for kids. For the methods and contents of study, first, thisstudy reviewed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educational and cultural value, history andcharacteristics of Korean folktales, the characteristics oftextile design for kids, and previous researches basedon related literature and previous studies. Then, textileswere developed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e Brotherand Sister who Became the Sun and the Moon’. Thedevelopment of textile design was first made bydesigning the characters and story scenes of the story. Three kinds of textiles were designed via the phasesof change into a vector image and color adjustmentswere simulated in clothes, accessories, and interior propdesign. Adobe Photoshop CS 7.0, and Adobe IllustratorCS 5.0 programs were used for the textile designs andsimulations. The results and conclusion of this studywere as follows. First, ‘The Brother and Sister who Became the Sunand the Moon’ was selected as a design motive fortextile design for kids as it was found to have thehighest recognition in Korean folktales and be the mostsuitable for kids wear. Using hand drawing andwatercolor techniques, characters and story of thisfolktale were designed and three kinds of textile designwere suggested. Finally, the developed textile designwas applied to and simulated in clothes, accessories, andinterior prop designs. Design 1 applied all scene designof ‘The Brother and Sister who Became the Sun andthe Moon’, represented a pretty and cute image, andstressed hand drawing and watercolor brush touch. Design 2 used the night scenes of the story andrepresented a fantastic image which suggests twinklingstars and the moon. Design 3 combined the brother andsister with the sun and the moon character imagesalong with an irregular yellow dot pattern andexpressed a warm and cute image. The developedtextile design was applied to and simulated in clothes, accessories, and interior prop design. Second, this study showed that Korean folktaleswhich have no a fixed image have the nature of a designsource to develop textile design for kids to improvechildren`s creative perspective. Also it served as anopportunity to explore new methodology of textiledesign through character- making of Korean folktalecharacters and storytelling and confirmed thepossibility of the convergence cultural contents designindustry. This study is meaningful that it suggested textiledesign for kinds in the motive of a Korean folktale inthe time period when kids goods have becomeindividual, advanced, and fashionable and lay stress onoriginal design based on culture interpretation. Furtherresearch should be conducted to develop highvalue-added and high sensitive cultural products usingKorean folktales having limitless possibilities of adesign motive.

      • KCI등재

        하라 켄야의 ‘백(白)’ 특성에 관한 연구 -무인양품 디자인을 중심으로-

        맹형재(Maeng, Hyeon Jae),서희봉(Seo, Hee Bo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0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6 No.4

        일본 현대디자인은 세계2차 대전 후 재건의 과정에서 아시아의 다른 나라들보다 가장 먼저 서양의 디자인을 받아들이게 되면서 일본만의 독자적인 디자인 사고를 모색하게 되었다. 그 결과 70년대 이후 일본만의 독자적인 미의식인 와비 · 사비의 빈곤함 속에서 마음의 풍요를 즐기는 절제, 단순성에서 미를 찾고 있다. 본 연구는 자연의 순수성과 여유로움, 정신적 안정이라는 와비 · 사비의 삶과 문화를 추구하는 디자이너 하라 켄야의 디자인 사상 ‘백(白)’의 특성과 무인양품 디자인의 사례 연구를 통하여 한국 디자인의 현재와 미래를 생각해 보고 향후 디자인 관련 산업 발전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이론적이고 체계적인 학술 자료를 제공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첫째, 문헌고찰을 통해 ‘햅틱’, ‘리디자인’, ‘디자인의 디자인’ 등의 다양한 저술 활동을 통하여 하라 켄야의 디자인 철학을 파악한다. 둘째, ‘백(白)’에 관한 특성을 도출하고 셋째, 무인양품 사례들을 분석함으로써 백(白)의 특성을 어떻게 활용하였는지 확인한다. 마지막으로, 도출된 ‘백(白)’ 특성을 바탕으로 향 후 한국의 정체성과 고유성이 반영된 디자인 개발이 겪는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도록 제안한다. 연구 결과 무인양품은 기본적인 것은 일본의 전통문화와 생활양식에 기반을 둔 디자인을 실행하고 있었고 대중들의 생활패턴이나 요구사항 등을 적극적으로 수용하여 자신의 것으로 만들어 나간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한국과 같은 아시아 문화권인 일본의 대표 디자이너 하라 켄야의 디자인 사상인 ‘백(白)’의 특성과 무인양품 디자인의 사례를 참고하여 디자인 철학의 감수성, 아이디어의 수용성, 노 디자인의 절제미, 디자인의 확장성 등의 사례분석을 통해 한국 디자인의 비전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가 한국적인 문화를 바탕으로 고유성과 정체성이 반영된 디자인 개발 자료로서 활용되어질 수 있기를 기대한다. Since Japan embraced the western design faster than any other countries in asia while restoring the country after world war Ⅱ, the modern design of Japan sought for ideas that are unique to the country. As a result, certain beauty has been found in moderation and simplicity, where one relishes the richness of one’s mind amid the poverty of Wabi-sabi, the unique Japanese aesthetics that emerged after the 1970’s. This study examines the “white” design philosophy of Kenya Hara, who pursues the life and culture of Wabi-sabi including the innocence and composure of nature and mental relaxation, together with his designs for Muji. In doing so, this study aims to reflect on the present and future of the design of Korea, and provide theoretical and organized academic resources so that it can benefit the future development of design-related industries. Study methods are as follows. First, by studying Hara’s various writings as references, such as “Haptic,” “Re-design,” and “Designing design,” I will grasp Kenya Hara’s philosophy on design. Second, I will deduce characteristics of “white,” and third, I will clarify how characteristics of “white” has been applied through analyzing cases from Muji. Lastly, based on deduced characteristics of “white,” I will propose ways to solve possible problems in the future in design development reflecting Korea’s uniqueness and sense of identity. In conclusion, Muji on a basic level has been producing design that is based on Japan’s traditional culture and lifestyle, while actively embracing the life patterns and demands of the mass, transforming them as their own. This study has attempted to provide a vision for the design of Korea by analyzing the cases of sensibility of design philosophy, accomodability of ideas, aesthetics of moderate design, and expansibility of design. In doing so, this study has referred to the characteristics of “white” design philosophy and the cases of Muji designs, promoted by the renowned Japanese designer Hara who belongs to the same cultural zone in asia. I hope that this study will serve as a material for developing design that is based on the Korean culture and reflects the country’s uniqueness and sense of identity.

      • 한국적 디자인 형상성과 신조형주의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조선시대 조각보와 신조형주의의 몬드리안을 중심으로-

        윤우중,이현진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014 디자인지식저널 Vol.32 No.-

        21세기는 다양한 디자인과 미술 양식이 공존하고 과학기술의 발달로 다양한 실험적인 표현들이 추구되고 있다. 이러한 실험적인 표현 및 양식 속에는 시대와 지역을 초월한 공통된 디자인 유사성을 발견할 수 있다. 이러한 유사성이 나타나는 현상과 함께 각 나라마다 대표되는 디자인 형질들이 요구되는 패러다임 또한 요구되고 있다. 미국의 실용주의, 프랑스의 장식주의, 독일의 견고한 함축미 등과 같이 각국을 대표하는 디자인 경향은 그 나라의 디자인 정체성을 견고히 하는 역할을 하고 있는 반면 유구한 역사와 전통을 자랑하는 한국의 경우 차별화된 디자인 형질, 즉 디자인 정체성에 대해 생각하게 된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현대디자인의 경향과 연관된 신조형주의의 개념을 통해 한국디자인의 정체성에 대해 살펴보고자 시도 되었다. 형상성의 보편적 리얼리티를 표현하는 신조형주의와의 연관성을 비교하여 과거부터 잠재해 있던 본질적인 한국의 조형적 원리를 찾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면과 색채의 구성에서 매우 뛰어난 조형성을 보여주는 19세기 조선의 조각보와 현대 추상예술의 선구자인 몬드리안의 사례로 살펴보도록 하였다. 연구방법은 형상성의 개념을 통해 조각보와 신조형주의인 몬드리안 작품이 지닌 내재적인 의미와 외재적 의미를 조형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형상성의 조형개념이 조각보와 몬드리안의 작품에 보편성으로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이러한 조형적 보편성은 현대디자인에도 적용되고 있음을 사례를 통해 살펴보았다. 결국 한국의 조각보에는 잠재된 한국 특유의 조형가치가 충분하며, 이를 신조형주의의 개념과 비교하여 한국 디자인이 지니고 있는 표현형질의 우수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197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 황부용 디자인 활동의 배경과 특징

        강현주 한국디자인학회 2024 디자인학연구 Vol.37 No.2

        연구배경 황부용(1951년생)은 33년간(1975~2008) 디자인계에서 활동한 그래픽 디자이너이다. 2009년에전업 화가가 된 후 잊혔지만 ‘디자인계 문맹퇴치운동’이라는 문제의식을 갖고 활동하며 한국 그래픽 디자인이현대화하고 전문화되는 데 기여했기에 그의 활동을 한국디자인사 맥락에서 재조명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황부용의 디자인 작업과 저술을 검토하고 인터뷰를 진행했다. 상공미전과 한국시각디자인협회(KSVD) 관련 자료를 살펴보고 20세기 중반 한국 디자인 상황을 파악하기 위해 신문 및 잡지 기사와 서적 등을참고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그가 상공미전 추천작가가 된 1975년부터 서울올림픽대회조직위원회(SLOOC)를 떠난 1987년까지의 시기를 중점적으로 다루었다. 연구결과 해방 이후 응용미술과 상업미술 차원에서 인식되던 한국 그래픽 디자인은 1970, 80년대에 시각 커뮤니케이션에 기반을 둔 전문 분야가 되었다. 이러한 시기에서 전개된 황부용의 디자인 활동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보였다. 첫째는 해외 디자인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탐구다. 둘째는 디자인 창작과 글쓰기의 병행이고, 셋째는 새로운 디자인 분야에 대한 도전과 개척이다. 넷째는 디자인 커뮤니티에서의 교류와 소통이다. 결론 디자인 실무 경험과 이론적 지식을 겸비한 황부용은 앞선 시대의식과 소명감으로 디자인 분야에 신선한 자극과 지적 활력을 불어넣었다. 그의 디자인 활동은 한국 그래픽 디자인이 디자인 리터러시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현대적인 시각 커뮤니케이션 디자인으로서 정체성을 구축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Background Hwang Buyong (born 1951) is a graphic designer who dedicated 33 years to the field from 1975 to 2008. Despite being somewhat forgotten after transitioning to painting in 2009, he was active during the 1970s and 1980s, contributing to the enhancement of design literacy. Recognized for his role in the modernization and professionalization of South Korean graphic design,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study his design activities in the context of Korean design history. Methods Hwang Buyong’s design works and writings were reviewed, and several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him. Reference materials for The Korean Commercial & Industrial Art Exhibition and the Korean Society of Visual Design (KSVD) were searched. Furthermore, newspaper articles, magazine pieces, and books were examined to comprehend the state of Korean design in the mid-20th century. This study focused on the period during which he was active from 1975, when he became a Recommended Artist, to 1987, when he left the Seoul Olympic Organizing Committee. Results Until the 1960s, graphic design was seen as applied art and commercial art, but it modernized into visual communication design in the 1970s and 1980s. Hwang Buyong's design activities in this period can be summarized by his interest in foreign designs, the synergy of design practice and writing, exploration of new design fields, and active networking in the design community. Conclusions Hwang Buyong, with practical design experience and theoretical knowledge, emerged as a leading figure among his generation of designers, infusing the field of design with fresh stimulation and intellectual vitality. His design activities contributed to Korean graphic design and improving design literacy.

      • KCI등재

        인천시 ‘월미한국전통정원’의 빛 디자인 구현방안 연구

        이상혁 ( Sang-hyuk Lee ),김영희 ( Young-hee Kim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21 한국디자인포럼 Vol.26 No.1

        연구배경 월미한국전통정원의 빛 디자인 제안을 위해 진행하였다. 인천시 중구의 시장경제 활성화와 관광명소 확대로 인한 관광객 유입 유도 및 월미한국전통정원의 활성화를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단행본, 인터넷, 사례 조사를 진행하고 현장조사에서 직접촬영 및 자료조사 등을 진행했다. 연구 범위는 월미한국전통정원을 중심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국가 표준 조도기준, 빛이 아름다운 국제도시 인천 만들기 2018, 환경부 산하 한국 환경공단 빛 공해 방지법, 국토교통부의 조명환경 관리구역의 유형 등의 이론적 연구를 통해 월미한국전통정원의 빛 디자인의 기초를 마련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조사를 통해 얻은 결과와 문제점을 바탕으로 새로운 기준을 제시했다. 월미한국전통정원의 빛 디자인 방향을 조도기준(KS A 3011)에 부합하도록 하되, 본 연구결과로 얻은 값을 조정하여 새로운 기준을 적용, 시뮬레이션을 통한 이미지를 구현하였다. 결론 월미한국전통정원 만의 특색을 바탕으로 연구결과로 얻은 새로운 기준과 CPTED 디자인을 고려한 빛 디자인을 시뮬레이션으로 제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인천시 중구의 CPTED 디자인을 포함한 현실적인 빛 디자인 가이드라인의 새로운 기준 마련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Background It was conducted for the light design proposal of the Korean Traditional Garden in Wolmi. The purpose is to revitalize the market economy in Jung-gu, Incheon, induce the influx of tourists through the expansion of tourist attractions, and to revitalize the Wolmi Korean traditional garden. Methods Paperwork, internet, and case studies were conducted, and direct filming and data surveys were conducted in the field survey. The research scope is centered on the Korean traditional garden in Wolmi. Specifically, through theoretical research on national standard illumination standards, making Incheon, an international city with beautiful lights 2018, the Light Pollution Prevention Act under the Ministry of Environment, and the types of lighting environment management zones of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Wolmi Korean traditional garden landscape lighting design Prepare the foundation. Result A new standard was proposed based on the results and problems obtained through the investigation. The light design direction of the Korean traditional garden in Wolmi was set to conform to the illumination standard (KS A 3011), but the value obtained from this study was adjusted and applied as a new standard, and the image was implemented through simulation. Conclusion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Traditional Garden in Wolmi, a new standard obtained as a result of the study and a light design in consideration of CPTED design were presented through simulation. Based on thi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new standard for realistic light design guidelines including CPTED design in Jung-gu, Inche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