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한국 전래동화를 활용한 아동용 텍스타일 디자인 연구

        이미숙(Mi Suk Lee),정경희(Kyung Hee Chu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3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9 No.4

        문화적 콘텐츠가 중요시되고 있는 시기에 상품 경쟁력의 근원은 바로 디자인을 통한 문화 해석력과 창조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국내 아동용 텍스타일들은 대부분 아동을 대상으로 만화, 비디오, 영화 등과의 연관성 있는 캐릭터가 많이 이용되고 있는데 주로 외국의 캐릭터가 수입되어 사용되고 있고, 국내 캐릭터도우리 문화의 고유성이 반영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문화적·교육적 가치를 지니는 한국 전래동화를 모티브로 활용한 고감성 아동용 텍스타일 디자인을 시도해봄으로써 한국의 문학적요소가 지닌 디자인 소스로서의 가능성을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과 내용은 먼저 관련문헌과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전래동화의 개념 및 특징, 전래동화의 교육·문화적 가치, 한국 전래동화의 역사 및 특징, 아동용 텍스타일 디자인의 특성과 선행연구를 고찰한 다음, 한국 전래동화 ‘해와 달이 된 오누이’를 모티브로 활용한 텍스타일을 개발하였다. 텍스타일 디자인 개발은먼저, ‘해와 달이 된 오누이’ 캐릭터별 디자인과 이야기 장면별 디자인을 한 후, 벡터 이미지로의 변형, 컬러 조정 등의 단계를 거쳐 3종류의 텍스타일을 디자인하고 이를 활용하여 의류, 액세서리, 인테리어 소품등의 디자인에 시뮬레이션 하였다. 텍스타일 디자인, 시뮬레이션 작업은 Adobe Illustrator CS 5.0과 Adobe Photoshop CS 7.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및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용 텍스타일 디자인을 위해 한국 전래동화 중 인지도가 높고 아동복 캐릭터 모티프로 가장 어울리는 것으로 나타난 ‘해와 달이 된 오누이’를 디자인모티프로 선정하고 핸드 드로잉과 수채화 기법을 활용하여 전래동화 속 캐릭터와 장면별 디자인 한 후, 3종의 텍스타일 디자인을 제시하고 이를 활용하여 의류, 액세서리, 인테리어 소품 등의 디자인에 적용하여 시뮬레이션 하였다. 텍스타일 Design 1은 “해와 달이 된오누이” 장면별 디자인을 모두 활용한 아기자기하고 귀여운 이미지의 텍스타일 디자인으로, 핸드 드로잉과수채화의 붓 터치를 강조하였다. Design 2는 전래동화이야기의 밤 장면들을 활용한 디자인으로, 밤하늘에 반짝이는 별과 달을 연상시키는 환상적인 이미지의 디자인을 하였다. Design 3은 불규칙한 옐로우 도트 패턴에 오누이와 해와 달 캐릭터 이미지를 합성하여 따뜻하고 귀여운 이미지의 디자인이다. 이상에서 전개된텍스타일 디자인을 의류, 액세서리, 인테리어 소품 등의 디자인에 적용하여 시뮬레이션 하였다. 둘째, 본 연구를 통해서 정형화된 이미지를 갖고있지 않은 한국 전래동화는 아동에게 창의적인 시각을 향상시켜 줄 수 있는 아동용 텍스타일 디자인 개발을 위한 디자인 소스로서의 특징들을 갖고 있고 한국 전래동화 등장인물의 캐릭터화와 스토리텔링을 통한 텍스타일 디자인의 새로운 방법론을 모색해 보는계기가 되었으며, 융복합형 문화 콘텐츠디자인의 산업화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아동용품이 개성화, 고급화, 패션화 되고있고 문화 해석력에 바탕을 둔 독창적인 디자인이 중요시되고 있는 시기에, 한국 전래동화를 모티브로 활용한 아동용 텍스타일 디자인을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앞으로도 디자인 모티브로써 무한한 가능성을 지니고 있는 한국 전래동화를 활용한 고부가가치, 고감성 문화상품 개발을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야 한다고 사료된다. In a time period of regarding cultural contents asimportant, the source of product competitiveness iscultural interpretation and creation through design. However, most of textiles for kids in Korea useanimation-, video-, movie-related kids characters, which are mainly imported from foreign counties. Evendomestic characters do not reflect uniqueness of Koreanculture.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the possibility to use Korean literature elements as adesign source by applying Korean folktales withcultural and educational value as a motive andattempting high sensitive textile design for kids. For the methods and contents of study, first, thisstudy reviewed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educational and cultural value, history andcharacteristics of Korean folktales, the characteristics oftextile design for kids, and previous researches basedon related literature and previous studies. Then, textileswere developed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e Brotherand Sister who Became the Sun and the Moon’. Thedevelopment of textile design was first made bydesigning the characters and story scenes of the story. Three kinds of textiles were designed via the phasesof change into a vector image and color adjustmentswere simulated in clothes, accessories, and interior propdesign. Adobe Photoshop CS 7.0, and Adobe IllustratorCS 5.0 programs were used for the textile designs andsimulations. The results and conclusion of this studywere as follows. First, ‘The Brother and Sister who Became the Sunand the Moon’ was selected as a design motive fortextile design for kids as it was found to have thehighest recognition in Korean folktales and be the mostsuitable for kids wear. Using hand drawing andwatercolor techniques, characters and story of thisfolktale were designed and three kinds of textile designwere suggested. Finally, the developed textile designwas applied to and simulated in clothes, accessories, andinterior prop designs. Design 1 applied all scene designof ‘The Brother and Sister who Became the Sun andthe Moon’, represented a pretty and cute image, andstressed hand drawing and watercolor brush touch. Design 2 used the night scenes of the story andrepresented a fantastic image which suggests twinklingstars and the moon. Design 3 combined the brother andsister with the sun and the moon character imagesalong with an irregular yellow dot pattern andexpressed a warm and cute image. The developedtextile design was applied to and simulated in clothes, accessories, and interior prop design. Second, this study showed that Korean folktaleswhich have no a fixed image have the nature of a designsource to develop textile design for kids to improvechildren`s creative perspective. Also it served as anopportunity to explore new methodology of textiledesign through character- making of Korean folktalecharacters and storytelling and confirmed thepossibility of the convergence cultural contents designindustry. This study is meaningful that it suggested textiledesign for kinds in the motive of a Korean folktale inthe time period when kids goods have becomeindividual, advanced, and fashionable and lay stress onoriginal design based on culture interpretation. Furtherresearch should be conducted to develop highvalue-added and high sensitive cultural products usingKorean folktales having limitless possibilities of adesign motive.

      • KCI등재

        빅데이터 기반 패션 큐레이션서비스 디자인 중요성에 관한 연구

        엄경희(Eom, Kyoung Hee),오임경(Oh, Rim Kyu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7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3 No.4

        본 논문은 정보 과다의 현대 사회 속에서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패션 큐레이션서비스 디자인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패션 큐레이션서비스 디자인을 제공받고자 하는 대상에게 효과적인 정보를 제공하고 패션 산업 분야의 상업적 가치 창출 도모에 이론적으로 도움이 되고자 연구되어졌다. 연구범위는 현재 한국의 인구 비율과 평균적으로 안정된 경제력을 가지고 있는 3 · 40대 한국남성을 중심으로 라이프스타일을 조사하고 소셜 커뮤니케이션 사용 현황을 분석하여 패션 큐레이션서비스 디자인의 필요성과 중요성에 관한 결론에 이르고 있다, 연구방법은 인터넷을 이용한 국내 정보 데이터를 중심으로 논문과 단행본 도서 · 출판물 및 각 기관 조사 자료를 통하여 조사 및 분석을 중심으로 하였다.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패션 큐레이션서비스 디자인 중요성에 조사 연구 결과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 시켰다. 첫째, 최근 등장한 빅데이터의 중요성이 부각됨에 따라 빅데이터가 수집하는 방대한 양의 정보가 사용자에게 모두 필요한 것은 아니다. 무분별한 정보 속에서 사용자의 만족을 충족시켜주는 정보를 선별하여 필요한 정보를 수집 전달해주는 큐레이션서비스 디자인이 빅데이터의 중요성과 더불어 현대 사회에 필요한 서비스 디자인으로 중요하게 부각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3 · 40대 한국남성의 라이프스타일을 조사 분석 해본 결과 다른 연령층에 비해 경제적인 소득이 높은 3 · 40대 한국남성은 외모에 관한 관심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3 · 40대 한국남성의 인터넷 및 소셜 커뮤니케이션의 사용 빈도수, 이용량 및 의존도도 3 · 40대 한국 여성들 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3 · 40대 한국남성의 라이프스타일을 조사 분석 결과 패션 관련 소비가 점차 증가함에 따라 패션 큐레이션서비스 디자인의 필요성에 대한 중요성 확인 할 수 있었다. 셋째, 외모의 관심도와 인터넷 및 소셜 커뮤니케이션에 의존도가 높은 3 · 40대 한국남성은 패션시장이 점차적으로 커짐에 따라 빅데이터는 있으나 3 · 40대 한국남성의 라이프스타일을 충족하기 위한 패션 큐레이션서비스 디자인이 미흡함으로 이러한 문제점을 충족시킬 수 있는 패션 큐레이션서비스 디자인의 중요성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3 · 40대 한국남성이 비율과 소비성향 및 경제력을 바탕으로 호기심과 만족을 충족시킬 수 있는 패션 큐레이션서비스 디자인을 제공함으로써 향후 급부상 되어 지고 있는 남성 패션 마켓에 대응하여 글로벌 마켓에서의 경쟁력을 강화 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본 조사 연구를 통하여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3 · 40대 한국남성들을 위한 패션 큐레이선서비스 디자인을 구축하고 활용하면 패션과 디지털 기술 융합의 가치를 창출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사료된다.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effective information to the targets that intend to receive fashion curation service design by recognizing its importance based on the big data in the modern society with excessive information, to theoretically support the commercial value creation in the fashion industry. For the range of study, we researched focusing on the lifestyle of Korean male in their 30s ~ 40s who have stable economic power, average population group in Korea, analyzed the status of social communication use, which led the conclusion about importance and necessity of fashion curation service design. For the research method, we used the survey and analysis through theses, monography, publications, research documents and survey data of institution mainly with domestic data. The results of investigation are as follows. First, Big data means the technology that can manage, analyze the extensive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s for information managed and analyzed by Big data according to the needs of users refers to curation service. The service focusing on fashion among many of contents curation service design is the fashion curation service design. Second, when researching lifestyle of Korean male in their 30s ~ 40s, they have high interest in appearance, their economic income is higher than other age groups, and show the tendency of increasing fashion-related consumption. In addition, the frequency, use amount, and dependence of internet and social communication by Korean males in their 30s and 40s are relatively higher than those of Korean females in their 30s and 40s. Third, if utilizing fashion curation service design for Korean male in their 30s and 40s who have high interest in appearance, highly dependent to internet and social communication, we can confirm the importance of fashion curation service design for the consumption increase of Korean male in their 30s and 40s that has been bigger in the fashion market. Therefore, if providing a fashion curation service design that satisfies their curiosity and satisfaction based on the ratio, consumption trend and consumption power, respectively, it shows high possibility that it will be developed into an important service design for the future of the male fashion market. Through this research, we can build the value of fashion and digital technology convergence by constructing and utilizing fashion curation service design for Korean male in their 30s and 40th based on Big Data. In addition, we are looking forward to strengthen our competitiveness in the global market in response to the rapidly emerging male fashion market.

      • KCI등재

        한국 창작무용 의상디자인의 변천과정 및 특징에 관한 고찰

        김혜경,김흥경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006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Vol.6 No.2

        한국무용은 19세기말 신무용의 탄생으로 연희 형태에서 무대와 객석이 분리된 극장식 무용으로 재. 이런 변화는 기존의 형식적이고 기교적인 한국전통무용이 예술적 측면을 강화시키면서 , 독창적이고 창작적인 한국 창작무용으로 성장하는 계기가 되었다 .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이런 과정에서 양산된 한국 창작무용의 의상디자인이 어떻게 전통적 미의식과 , 재생성으로 이어져왔는지 그 변모의 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 첫째, 신무용기에서 한국 창작무용으로 넘어가면서 무용작품은 예술적 무용을 지향하는 종합예술로 발전하게 되었다 . 이 때 무용의상의 변화의 특징은 전통적인 무용의상에 비해 장식적인 요소가 많아졌고 서구화된 디자인 형태도 나타나게 되었다 . 둘째, 포스트모더니즘의 출현으로 무용계의 국제문화교류가 활발해지고 네트워크화 되어 한국 창작무용 의상은 해체화 , 단순화, 개방화, 퓨전화, 다양화라는 특징을 보였다. 셋째, 급격한 변화 양상은 특히 , 신인 안무가들의 무용작품의상에서 발견되고 있다. 긍정적 측면에서 그 대표적인 변화는 다양화를 들 수 있다 . 그 결과 한국 창작무용 의상디자인을 위한 창작 연구 범위가 일반의상 디자인을 포함 , 훨씬 더 광범위해졌다. 16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제6권 제2호반면에 부정적인 측면에서는 한국무용만이 갖는 고유한 전통적 미의식 개발의 소홀함으로 현대무용과의 차별성이 점차적으로 소멸되는 변화양상을 띄게 되었다 . Korean Dance has been newly established into the Theater-type Dance from banqueting since the new type of creative dance appeared at the end of 19th century as a composite art. This change allows intensifying marvelous improvement of the artistic phase and has been an important beginning of originative and creative of Korean Creative Dance. Based on the aspect, this paper focuses on careful consideration and look into how the costume of Korean creative dance has been changed and growth though the combination and formation of aesthetic sense between traditional and modern. The question resolves itself into the following three points. First, in the state of turnover from Neo Dance era to Korean Creative Dance, dancing performance has been alternated to composite type of art. At the time, the dancing costume identified as very decorative with various ornaments than before, and also show westernizing influence in the design. Second, as a result of the Post Modernism appear, Korean Dancing field make cultural exchange worldwide lively and build a network with countries, the Korean Creative Dance has been disorganize, simplified, be candid, and diverse. Third, through the dramatic change and improvement, a lot of new choreographer bring multiform of directing in an affirmative concept so that let the costume design to be extensive to general clothes. On the other hand, been remiss to find the peculiarity of Korean traditional Dance has been gradually and hard to distinguish with Contemporary dance in a negative concept.

      • KCI등재후보

        한국 전통이미지의 재해석을 통한 콘솔디자인 개발 연구 - 생활용 가구 제품 개발을 중심으로

        최진식,김미자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17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51 No.-

        While interest in Korean traditional culture and products seems to increase, various product development is still insufficient. In the traditional craft industry, the situation is similar, and it is experiencing a lot of difficulties due to changes in domestic and overseas market environ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console design that reflects the traditional culture as a modern image by reinterpreting traditional Korean images. The scope of the study is focused on the functional aspects that give convenience of life and the console design of Korean traditional image that also serves as decorative elements. The focus of the study was on the process of console furniture development, centering on the design development process that reinterpreted traditional Korean images. In this study, first, as an element of Korean traditional image, I extracted curvilinear, which is one of Korean traditional beauty, and applied smooth and simple curve image to the upper part of the console. Second, I applied the design to the motif of architectural structure. The Kongpo of Korean architecture(connecting the pillars and the roof), the image of the column, the interpretation of traditional Korean images and reflected in the console design. Third, cloud pattern is used as a decorative element of console table as a detailed expression element in Korean traditional pattern. In this way, I reinterpreted the traditional image and applied it to the console design as a basic element of the work, and produced three kinds of console furniture. This study is meaningful to reinterpret Korean traditional images and to develop and propose modern products using them, and it is necessary to pursue more efforts for various products in the future. 한국 전통문화와 상품에 대한 관심은 증가하는 것으로 보이는 반면, 다양한 상품 개발은 아직 미흡한 실정에 있다. 전통공예 산업에 있어서도 사정은 이와 비슷하여 현실적으로 국내외 시장 환경 변화에 따른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 전통이미지를 재해석하여 전통문화가 현대적 이미지로 반영된 콘솔디자인 개발을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범위는 생활 의 편리함을 주는 기능적 측면과 함께 장식적인 요소로서도 역할을 하는 콘솔디자인을 대상으로 설정하였다. 연구의 핵심부 분은 디자인 개발과정을 중심으로 하는 사례개발 과정에 초점을 두었다. 콘솔디자인의 기본적 구조는 기존의 콘솔의 범주에 서 벗어나지 않도록 하여 사용성과 편의성을 확보하도록 하였으며 시각적, 장식적 디자인은 한국 전통적인 이미지에 부합시 켜 디자인의 방향을 결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전통이미지의 요소로서 첫째, 한국의 전통미 가운데 하나인 곡선미를 추출하여 콘솔의 상단부분에 부드럽고 단순한 곡선이미지를 적용하였다. 둘째, 건축적인 구조를 모티브로 하여 디자인에 적 용하였다. 한국 건축의 공포(기둥과 지붕을 연결하는 부분)이미지, 기둥 모양, 그리고 창살의 구조를 활용하여 한국의 전통이 미지로 해석하고 콘솔디자인에 반영하였다. 셋째, 한국의 전통적인 문양 가운데 구름문 문양을 세부 표현 요소로 하여 콘솔 테이블의 장식요소로 활용하였다. 이와 같은 요소에서 전통이미지를 재해석하여 작품의 기본 요소로서 콘솔디자인에 적용하 여 3종류의 콘솔가구를 제작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의 전통적 이미지를 재해석하고 이를 적용한 현대적인 상품을 개발하여 시작품을 제안하는데 의미가 있으며 앞으로도 다양한 상품에 대한 연구 개발 노력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

      • KCI등재

        K-디자인에 기반한 아이덴티티 전략 및 문화상품 개발

        김진경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24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76 No.-

        21세기 K-컬처가 전 세계적으로 각광 받는 시점에 한국 고유의 아이덴티티를 지닌 디자인 문화상품은 한국 문화를 알리는 데 큰 영향력을 전파하고 있다. K-디자인에 기반한 문화상품은 한국적 미감을 지닌 아이디어가 구체화되고 생산, 유통, 서 비스 과정을 통해 실제 상품으로 출시한다. 본 연구는 한국적 가치가 담긴 우수한 문화상품 발굴의 중요성 및 K-디자인 아이덴티티가 분명한 문화상품 활성화에 목적이 있으며 본 연구 목적에 맞게 문헌연구, 사례분석, K-디자인 문화상품 개발 순으로 진행하였다. 문헌연구를 통해 K-디자인에 기반한 문화상품의 아이덴티티는 정체성, 독창성, 연상성, 역사성의 네 가지 특성으로 도출하였으며 이 후 2022년-2020년의 대한민국 관광기념품공모전에 당선한 문화상품을 선정하여 사례 분 석하였다. 사례분석을 토대로 실제 K-디자인 문화상품 4종을 개발하여 아이덴티티 유효성을 검증하였다. 결론적으로 K- 디자인에 기반한 아이덴티티 전략으로는 한국문화를 대표하는 정체성, 한국문화를 연상하는 연상성, 한국문화의 역사를 반 영한 역사성, 한국문화와 연계한 차별화된 독창성이다. 한국문화의 고유성을 오래도록 기억할 수 있는 디자인 요소의 아이 덴티티를 연구하여야 하며 아이디어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K-디자인 전략을 세운 후 실제 제품에 적용하여 상품화 해야 함을 시사한다. 상품 기획을 도출하고 실제 상품으로 출시하는 과정에서 한국문화의 정체성을 바르게 세워 이미지를 통합 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문화상품은 향후 실질적 상품화를 통하여 한국문화를 알리는 아이덴티티 전략 확보를 목표로 하며 후속 연구를 통해 실효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K-디자인 전략은 세계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는 잠재력 있는 자원이며 국가 위상을 높일 수 있는 활동이다. 본 연구로 인하여 한국의 고유한 전통과 문화적 가 치를 지닌 경쟁력있는 디자인 문화상품 발굴과 발전에 밑거름이 되길 기대한다. At a time when 21st-century K-culture is gaining global recognition, Korean design cultural products with a unique Korean identity are spreading significant influence in promoting Korean culture. These cultural products based on K-design are being developed by concretizing ideas imbued with Korean aesthetics, going through the processes of production, distribution, and services, culminating in the release of actual products. This study aims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discovering outstanding cultural products with Korean values and to activate cultural products with a clear K-design identity. To achieve this goal, the research proceeded in the following sequence: literature review, case analysis, and the development of K-design cultural products.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the identity of cultural products based on K-design was derived with four characteristics: identity, originality, association, and historical context. Subsequently, a case analysis was conducted by selecting cultural products that had won awards in the Republic of Korea's tourism souvenir competition Between 2022 and 2020. Based on the case analysis, four actual K-design cultural products were developed and the validity of their identity was verified. In conclusion, the identity strategy based on K-design includes representing the identity of Korean culture, evoking associations with Korean culture, reflecting the history of Korean culture, and showcasing distinctive originality linked to Korean culture. Research on the identity of design elements that can help preserve the uniqueness of Korean culture for a long time is necessary. After establishing a K-design strategy that reinterprets ideas in a contemporary context, it is important to apply it to actual products for commercialization. The study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accurately establishing the identity of Korean culture through the process of deriving product planning and releasing actual products. we intend to verify their effectiveness through subsequent research. We hope that this research will contribute to the discovery and development of competitive design cultural products with Korea's unique traditions and cultural values.

      • KCI등재

        공간 브랜드아이덴티티의 어포던스 디자인 요소에 관한 연구 -한국 화장품 매장 공간을 중심으로-

        한야람,한석원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4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9 No.3

        (연구배경 및 목적) 코로나바이러스가 종식된 이후 오프라인 쇼핑이 점차 회복되면서 소비자들은 브랜드 이미지와 화장품 매장에 대한 관심도 늘어나고 있다. 소비자들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화장품 브랜드는 매장, 브랜드 이미지 디자인, 매장의 공간 디자인 등을 다시 고려하여 새로운 시장 트렌드에 대응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 화장품 매장공간에서 어포던스 디자인 요소의 활용 현황과 브랜드 아이덴티티 강화 효과를 살펴봄으로써, 공간 브랜드아이덴티티 구축과 소비자 신뢰도를 구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실질적인 제언과 기여를 목표로 하고 있다. (연구방법) 연구방법으로는 첫째, 이론 고찰을 통해 공간 브랜드아이덴티티와 어포던스 디자인의 정의를 충분히 이해하고, 어포던스 디자인은 공간 브랜드아이덴티티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정리한다. 둘째, 공간 브랜드아이덴티티의 특징과 어포던스 디자인의 유형을 분석하고 공간 브랜드아이덴티티의 어포던스 디자인 요소를 도출한다. 셋째, 한국의 유명한 화장품 브랜드 사례들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공간 브랜드아이덴티티에 대한 어포던스 디자인의 시사점을 발견한다. 넷째, 종합 분석 결과를 근거로 하여, 공간 브랜드아이덴티티 구축에 대한 제언을 제시한다. (결과) 분석 결과로서는 첫째, 공간 브랜드아이덴티티 어포던스 디자인 유형을 보면 감각적 어포던스의 평가가 가장 낮았다. 둘째, 공간 브랜드아이덴티티 어포던스 디자인 유형을 보면 기능적 어포던스의 평가도 높지 않고 소비자들은 매장 공간의 기능성에 대해 더 높은 기대를 갖게 되었다. 셋째, 공간 브랜드아이덴티티의 어포던스 디자인 매체성, 역사성, 작용성, 융합성, 복합성의 연관성도 비교적 작았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공간 브랜드아이덴티티 구축과 소비자 신뢰도를 구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실질적인 제언을 제시하였다. 화장품 매장 환경을 디자인할 때 다양한 감각을 활용하여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기능을 이해하고 상호작용할 수 있는 디자인을 만들 수 있다. 매장 공간의 물체나 인터페이스가 수행할 수 있는 기능에 대한 시각적인 단서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이해하고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품이나 시스템 내에서 기능적 상호작용이 합리적인 흐름과 구조를 가지도록 설계할 수 있다. 사용자가 예상하는 방식으로 기능이 배치되고 조직되어 있어야 한다. 공간을 통해 브랜드가 소비자들에게 작용하고, 상호작용하며 강한 인상과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요소와 방법을 조합하고 공간에서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조합하고 공간에서 다층적이고 다차원적인 브랜드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Background and Purpose) After the end of the coronavirus, offline shopping is gradually recovering, leading to increased consumer interest in brand image and cosmetic stores. In order to meet consumer demands, cosmetic brands need to reconsider aspects such as store design, brand image design, and spatial design to adapt to new market trend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provide practical recommendations and contributions for establishing spatial brand identity and enhancing consumer confidence by examining the current usage of affordance design elements and their impact on strengthening brand identity in South Korean cosmetic retail spaces. (Method) The research methodology involves: First, through theoretical review, thoroughly understanding the definitions of spatial brand identity and affordance design, summarizing the significant role of affordance design in shaping spatial brand identity. Second,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spatial brand identity and the types of affordance design, and deriving affordance design elements for spatial brand identity. Third, comprehensively analyzing cases of well-known Korean cosmetic brands to discover the implications of affordance design for spatial brand identity. Fourth, based on the comprehensive analysis, providing recommendations for establishing spatial brand identity. (Results) As for the analysis results: First, among the types of affordance design for spatial brand identity, the evaluation of sensory affordance was the lowest. Second, the evaluation of functional affordance within the spatial brand identity affordance design types was also not high, and consumers have higher expectations regarding the functionality of store spaces. Third, the correlation of affordance design mediums such as materiality, historicity, actionability, integrability,, and multiplicativity within spatial brand identity was relatively low. (Conclusions) Through this study, practical suggestions that can help build spatial brand identity and consumer confidence were presented. When designing a cosmetics store environment, various senses can be utilized to create a design that allows users to intuitively understand and interact with functions. It uses visual clues about the functions that objects or interfaces in the store space can perform so that users can intuitively understand and interact with them. Additionally, functional interactions within a product or system can be designed to have a reasonable flow and structure. Functions must be laid out and organized in the way users expect. Through space, brands can act, interact, and provide strong impressions and experiences to consumers. Various elements and methods can be combined and the brand identity can be effectively expressed in space. It is possible to combine various components and provide a multi-layered and multi-dimensional brand experience in space.

      • KCI등재

        한국적 텍스타일 디자인 기획을 위한 K-Culture 트렌드 스타일 제안

        정민희,윤세환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4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30 No.2

        디지털 기술의 눈부신 성장으로 세계 시장은 시⋅ 공간의 제약을 뛰어넘는 초연결 시대로 진입하였다. 동시에 다양한 문화를 포용하는 다원주의가 대두되면서, 주류문화의 개념은 축소되고 비주류 문화들이 상대적으로 조명받게 되었다. 이에 따라 타자 문화에 대한 전 세계인의 사고방식이 변화하였고 미래의 소비자들이 영위하게 될 시장은 무한히 확장될 전망이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90년대 말부터 확산되고있는‘한류(The Korean Wave)’와 이를 기반으로 등장한‘K-Culture’는 글로벌 시장에서 비서구 국가가 주도하는 문화적 역류(逆流)로서 주목받고 있는 현상이다. 오늘날 세계 시장에서 K-Culture가 지니는 입지를 공고히 하고 그 지속성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국내 차원의 면밀한 논의와 분석이 수반된 명확한 정보를 제시하고 수출해야 한다. 이는 한국의 이미지가 세계 시장에서 하나의 독립된 문화 트렌드 스타일로 성장할 수있는 계기를 마련하는 동시에 한국적 디자인의 독창성을 획득하고 보편성을 확립할 수 있는 결과로 이어질 것이다. 이에 본 논문은 꾸준한 성장을 이어오고 있는 한류현상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기반으로 K-Culture 트렌드 스타일을 제안하여 한국의 현대 문화 이미지가 합리적으로 반영된 한국형 텍스타일 디자인 기획을 위한 기틀을 마련하는 데에 그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우선적으로 트렌드에 관한 이론적 분석을 통해 사회⋅문화적 흐름과 디자인 트렌드의 연관성에 관해 모색하고 일반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문화 트렌드의 선행사례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한류 이미지가K-Culture 트렌드로 적용될 수 있는 가능성에 관해고찰하고 그 결과를 종합하여 유의미한 디자인 트렌드 정보를 도출, 분류하여 K-Culture 트렌드 인사이트를 제안하였다. 최종 연구 결과로서 “Share Traditional Value”, “Digital Territoire” 그리고 “Korean Hip”의 세 가지테마를 통해 우리나라의 생활문화를 설명할 수 있는K-Culture 트렌드 인사이트를 제시하였다. 이들은 각각 우리나라의 전통과 디지털 그리고 생활문화를 반영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다양한 문화적 측면을 묘사하고 있다. 반면, 이들은 소통, 공감, 연대 그리고포용과 같은 공통적인 정서 또한 공유하고 있었는데, 이는 시대에 따른 경향성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오늘날 한국의 문화 이미지에는 우리가 지켜온 전통 가치들이 지속적으로 내재되어 있었음을 시사한다. 한류에 힘입어 다양한 한국의 생활 문화가 전 세계인의 관심을 받고있는 현재, 본 연구는 한국 문화 이미지를 객관화하고 K-Culture를 보편적인 문화 트렌드 스타일로 확립하여 성공적인 한국적 디자인 기획을 위한 기초 자료로서 그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아울러 연구에서 진행한 한국의 문화이미지에 대한 재고는 국내 디자인 시장에 새로운 전환점을 제공하고 세계 시장에서 우리의 문화 주권을보장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하는 기회가 될 것이라생각된다. With the rapid growth of digital technology, the global market has entered a hyper-connected era, transcending the limitations of time and space. Concurrently, the emergence of pluralism, which embraces diverse cultures, has led to the diminishing concept of mainstream culture and a relative spotlight on non-mainstream cultures. Consequently, the global perception of various cultures has evolved, and the market in which future consumers will engage is expected to expand indefinitely. Against this backdrop, ‘Hallyu’ (the Korean Wave), proliferating since the late 1990s, and the ensuing ‘K-Culture’ have garnered attention as a cultural countercurrent led by a non-Western country in the global market. To solidify the position of K-Culture in today’s world market and ensure its sustainability, it is imperative to present and export clear information accompanied by meticulous domestic discussions and analyses. This approach will provide a foundation for the image of Korea to grow as an independent cultural trend style in the global market while also leading to the acquisition of originality and the establishment of universality in Korean design. Therefore,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continuously growing phenomenon of Hallyu and, based on its findings, propose K-Culture trend styles to lay the groundwork for Korean textile design planning that rationally reflects the contemporary cultural image of Korea. To achieve this, a theoretical analysis of trends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o-cultural currents and design trends, presenting precedents of cultural trends in general use. Furthermore, the potential for the Hallyu image to be applied as a K-Culture trend was examined, and the results were synthesized to derive and categorize meaningful design trend information, culminating in the proposal of K-Culture trend insights. As the final research outcome, K-Culture trend insights were presented through three themes: “Share Traditional Value,” “Digital Territoire,” and “Korean Hip.” These themes reflect Korea’s traditional, digital, and lifestyle cultures, respectively, depicting various cultural aspects of the country. They also share common sentiments such as communication, empathy, solidarity, and inclusiveness, suggesting that despite changes in trends over time, the traditional values we have preserved remain embedded in today’s cultural image of Korea. Given that various facets of Korean lifestyle culture are currently capturing global attention, propelled by Hallyu, this study is anticipated to serve as foundational material for establishing K-Culture as a universal cultural trend style and for successful Korean design planning. Additionally, the reevaluation of Korea’s cultural image conducted in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offer a new turning point for the domestic design market and provide an opportunity to secure our cultural sovereignty in the global market.

      • 한국적 디자인 형상성과 신조형주의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조선시대 조각보와 신조형주의의 몬드리안을 중심으로-

        윤우중,이현진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014 디자인지식저널 Vol.32 No.-

        21세기는 다양한 디자인과 미술 양식이 공존하고 과학기술의 발달로 다양한 실험적인 표현들이 추구되고 있다. 이러한 실험적인 표현 및 양식 속에는 시대와 지역을 초월한 공통된 디자인 유사성을 발견할 수 있다. 이러한 유사성이 나타나는 현상과 함께 각 나라마다 대표되는 디자인 형질들이 요구되는 패러다임 또한 요구되고 있다. 미국의 실용주의, 프랑스의 장식주의, 독일의 견고한 함축미 등과 같이 각국을 대표하는 디자인 경향은 그 나라의 디자인 정체성을 견고히 하는 역할을 하고 있는 반면 유구한 역사와 전통을 자랑하는 한국의 경우 차별화된 디자인 형질, 즉 디자인 정체성에 대해 생각하게 된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현대디자인의 경향과 연관된 신조형주의의 개념을 통해 한국디자인의 정체성에 대해 살펴보고자 시도 되었다. 형상성의 보편적 리얼리티를 표현하는 신조형주의와의 연관성을 비교하여 과거부터 잠재해 있던 본질적인 한국의 조형적 원리를 찾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면과 색채의 구성에서 매우 뛰어난 조형성을 보여주는 19세기 조선의 조각보와 현대 추상예술의 선구자인 몬드리안의 사례로 살펴보도록 하였다. 연구방법은 형상성의 개념을 통해 조각보와 신조형주의인 몬드리안 작품이 지닌 내재적인 의미와 외재적 의미를 조형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형상성의 조형개념이 조각보와 몬드리안의 작품에 보편성으로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이러한 조형적 보편성은 현대디자인에도 적용되고 있음을 사례를 통해 살펴보았다. 결국 한국의 조각보에는 잠재된 한국 특유의 조형가치가 충분하며, 이를 신조형주의의 개념과 비교하여 한국 디자인이 지니고 있는 표현형질의 우수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한국의 현대 테이블 데커레이션의 형용사 이미지 유형별 색채 선호도 연구 및 제안

        이승은(Seung Eun Lee),윤민희(Min Hie Yun)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3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9 No.3

        한류열풍과 더불어 한국의 식문화에 관한 관심이 전 세계적으로 부각되면서 다양한 영역에서 한식의 세계화를 위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한식의 세계화는 음식뿐만 아니라 식탁, 식기, 화예디자인등에 관한 식공간의 총체적인 분위기 연출과 디자인, 색채조화 등의 연구가 필요하다. 테이블 데커레이션에서 색채는 상차림의 주제와 목적에 부응하는 전체적 이미지를 결정하는 중요한 디자인 요소이며 상차림의 상징적인 의미와 독창적인 식공간을 연출하는 효과를 준다. 색채는 상차림의 음식, 식탁, 식기, 화예디자인, 소품에 이르기까지 모든 구성요소에 적용되기 때문에, 이러한 요소들의 색채가 전체적으로 상호작용하여 하나의 색채이미지를 구성한다. 식공간의 조화로운 색채 배치는 식욕을 돋울 뿐만아니라 심리적으로 쾌적하고 편안한 공간 이미지를 연출하게 한다. 조화로운 식공간 연출을 위해서 다양한 구성요소들의 색채조화를 고려하여 디자인하여야한다. 세계화의 추세에 따라 한국의 현대 테이블 데커레이션은 서구화, 퓨전화 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추세 속에서 한국의 전통 식문화의 색채를 한국의 현대 테이블 데커레이션에 적용할 수 있는 색채이미지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한국의 대표적인 현대 테이블 데커레이션 사례를 바탕으로 소비자가 선호하는 형용사 이미지 유형을 추출한 후 테이블 데커레이션의 이미지 유형에 따른 색채를 분석.제안하였다. 현대 테이블 데커레이션의 사례는 국내.외 테이블웨어 전문 전시회의 수상작품 59점 중 전문가 자문에 의하여 식탁(테이블클로스), 식기, 화예디자인의 색채 조화가 잘 표현된 13점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선정한 13점의 사례를 중심으로 일반인과 전문가를 대상으로 대표적색채 형용사 이미지 15개의 요인 분석을 실시한 후형용사 이미지 유형별 설문지 조사와 색채측색을 실시한 후 선호도에 따른 먼셀 값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정성적, 정량적 연구를 종합적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제안하였다. 첫째, 형용사 이미지 유형별 요인분석과 설문지 조사를 바탕으로 ‘클래식한’, ‘중후한’, ‘상쾌한’, ‘개성적인’의 4개 대표 형용사를 추출하였으며, 그 중에서 ‘클래식한’, ‘개성적인’의 이미지가 한국의 현대 데커레이션에서 표출되는 대표적 형용사로 나타났다. 둘째, 형용사 이미지 유형별 색채 분석 결과 한국의 현대 테이블 데커레이션에서는 환경 친화적이고 우리나라의 토양과 환경에 어울리는 색채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명하고 강한 색보다는 편안하고 안정감을 주는 저채도의 은은한 색채가 전체적인 테이블 데커레이션에서 선호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색채는 오방색의 원색보다는 2차색인 간색을 적용하여 전체적으로 내츄럴한 이미지의 색상을 선택하고 식탁(테이블크로스).식기류.화예디자인 등의 색채조화를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경향은 웰빙, 로하스, 에코 스타일의 자연친화적인 식문화에 대한 현대인의 관심이 증가하면서 나타났다. 넷째, 현대 테이블 데커레이션은 단순한 식사만의 공간이 아니라, 공간예술로서 그 영역이 확장되면서 구성요소들은 기능적 역할뿐만 아니라 오브제로서의 역할을 담당하였다. 다섯째, 전통 상차림의 한국의 문화적 특성과 색채 이미지를 반영하면서 동시에 세계화 시대의 보편적 감각에 부응하는 색채 이미지를 현대 테이블 데커레이션에 표현하는 경향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색채이미지 선호도에 관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선호하는 형용사 이미지 유형별 현대 테이블 데커레이션의 색채를 제안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한국 문화의 독창성과 보편성을 기반으로 한국의 테이블 데커레이션의 T.P.O(Time. Place.Object)에 따라 조화롭게 연출하여 한식문화의 세계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In company with Hallyu, the Korean Wave, the international interest in Korea``s culinary culture has been to the fore and the subject of globalization of the Korean food is actively studied in various fields. The globalization of the culture not only needs study of the food but also requires a deeper research on general elements for dining space such as table, dinnerware, and floral art and design for atmosphere setting as well as design, color harmony. etc. As for table decoration, color is the critical element for deciding overall imagery that meets the theme and objective of table settings. Color has the stage effect of the symbolic meanings and creative eating space production on the table. Table arrangements color is applied in every element from food, table, dinnerware, floral designs, to props, and these elements, through interaction, reaches a whole new color image. Harmonious color placement for a meal space improves the appetite, not to mention providing a comfortable and pleasant image of the environment. In order to create a harmonious meal space, designs must be done in consideration of varied elements’ coordination of color. Following the globalizing trend, modern Korean table settings shows a decoration tendency for fusion and Westernization. Research on color image should be carried out in order to find suitable ways to apply Korea``s traditional culinary colors to modern table decoration. This study analyzes consumers’ preferences on image adjectives, which are extracted from the representative examples of modern Korean table decoration, and suggests colors according to table arrangements. The examples of modern table decoration are based on the 13 table setting cases out of 59 prize-winning works of domestic and foreign tableware exhibitions that are selected by experts on which they claim the colors of the tables (and tablecloths), dinnerware, and floral designs were well balanced. With the 13 chosen examples, questionnaire survey on adjective image types and color measurement were proceeded targeted both at experts and lay people after analyzing 15 color adjective factors, and finally Munsell values were suggested according to the preferences. With an overall analysis on this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research, following conclusions are made. First, on the basis of adjective image type factor analysis, 4 adjectives were extracted: classic, grave, refreshing, and distinctive. Among them, "classical" and "distinctive" images appeared as typical adjectives describing modern Korean table decoration. Second, as a result of the adjective image type color analysis, modern Korean table decoration was nature-friendly and preferred colors that harmonize with the soil and environment. It was further turned out that Koreans favored soft colors of low chroma that lends stability for overall table decoration instead of vivid, bright colors. Third, instead of the 5 primary colors of obangsaek, the secondary half-tinted colors were advisable with consideration of the color balance between table (or tablecloths), dinnerware, and floral art design. This tendency started to appear in company with modern people``s rising interest on nature-friendly food culture such as well-being, Lohas, Echo styles. Fourth, as modern table decoration not only takes place of eating space but also as a spatial art, it furthers the range of the elements and functions as objet. Fifth, a tendency was shown for modern table settings that reflects Korea``s cultural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table arrangements as well as expresses color image that matches the universal sense of the global era. With this research results of color image preference, the favored adjective image type colors for modern table decoration can be suggested.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globalization of Korean culinary culture with well-balanced table arrangement in accordance with T·P·O (Time·Place·Object) of the table decoration on the basis of Korea``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