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조태병 한국기초조형학회 2010 기초조형학연구 Vol.11 No.1
This research - conducted in response to the tenth anniversary of the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KSBDA) - analyzed the present status of Korean society's basic design and art in reference to various conference and exhibitions, as well as this institute. There have been 25 conference and exhibitions,in total, with 2-3 conference and exhibitions per year, on various subjects related to basic design and art. Firstly, we segmented topics according to meaning and elements of design and art, basic design and art and education, and the vision of the basic design and art. In this way, we were able to identify various developmental directions through in-depth study on different subjects over the past ten years. Secondly, the scope of the present study incorporated the basic design and art cultures of many countries, including Asian countries, the U.S., and European countries, that have participated in conference and exhibitions. Thirdly, we interpreted art pieces that were displayed at conference and exhibitions according to their form, space, and time. Furthermore, the institute of Korean basic design and art has been meeting its social responsibilities through various social, educational, and cultural studies. The present study then suggests future tasks and draws conclusions about the future of design and art. 본 연구는 한국기초조형학회의 발족 10주년을 맞아 지난 10년간 진행된 학술대회 및 작품전과 본 학회의 연구소를 중심으로 한국기초조형학회의 현황을 분석해보고자 한다. 학술대회와 작품전은 ‘기초조형’에 대한 다각적인 주제로 년간 2~3회에 걸쳐 총 25회 진행되었다. 그 내용을 분석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술대회의 주제를 기초조형의 의미 및 요소, 기초조형과 교육, 기초조형의 비전으로 분류함으로써 지난 10년 간 각 주제에 대한 심도 깊은 논의를 통해 앞으로의 미래를 전망하고 발전방향에 대해 모색했다. 둘째, 국제 작품전 에서 아시아, 미주, 유럽 및 국내 참가국 현황을 분석하여 전 세계적으로 뻗어가는 기초조형학회의 연구의 폭을 살펴보고 셋째, 작품전에 전시된 작품의 세부적 성격을 통해 기초조형의 근원적 요소를 응용한 작품해석을 살펴볼 수 있다. 또한 한국기초조형학회의 연구소를 통해 사회, 교육, 문화 등 다방면에서 논의되는 쟁점을 연구 분석하여 사회적 역할 및 책임을 다하여 왔음을 확인할 수 있다, 앞으로 본 연구를 통해 기초조형의 미래를 전망해 보고 향후 과제에 대해 고찰해 보는 것으로 마감하고자 한다.
조태병 한국기초조형학회 2010 기초조형학연구 Vol.11 No.1
This research strive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the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KSBDA) - based on the papers published in the KSBDA journal. The KSBDA journal covers various areas of art and design with an emphasis placed on the studies related to and teaching of basic design and art. This research segments previous studies in various ways. Firstly, research was conducted by segmenting papers according to their keywords. This enabled us to identify the flow of topics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and characterize any trends in a historical, cultural, and social context. Secondly, by segmenting researchers according to region, we were able to draw conclusions on how physical environmental factors were reflected in their research. Thirdly, research was conducted on segmenting Korean design and art’s ten-year history by eras, namely the 1st era (2000-2003), 2nd era (2004-2007), and 3rd era (2008-2009). Through these analyses, we intend to interpret culture and art trendsand take a closer look at the possibilities for basic design and art in the digital media era. This research has also formed the basis for another study topic in the ‘21st Century Design and Art Education and Basic Course’ and provided a future outlook on Korean basic design and art. 본 연구는 한국기초조형학회의 발족 10주년을 맞아 지난 10년간의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을 중심으로 한국기초조형학회의 현황을 분석해보고자 한다. 한국기초조형학회의 학술지는예술영역과 디자인의 전 분야를 주제로 아우르며 기초조형에 대한 학술 및 교육을 근간으로 진행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그간 구축해온 연구내용에 대해 다양한 방법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첫째, 논문 키워드별 분류를 통하여 과거로부터 현재까지의 주제별 연구의 흐름도를 살펴보며 현시대의 역사적, 문화적, 사회적 맥락을 읽을 수 있었고 둘째, 연구자의 지역별 분류를 통하여 물리적 환경요인이 학술 연구 참여활동에 반영이 되었는지의 여부를 잠정적으로 유추해 볼 수 있었다. 셋째, 성장주기별 분류를 통하여 1기(2000~2003),2기(2004~2007), 3기(2008~2009)로 나누어 한국기초조형학회의 10년을 되짚어 보는 계기를 마련한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디지털미디어시대의 기초조형에 대한 가능성을 살펴보고 문화·예술을 통한 시대흐름의 경향을 해석해 보고자 한다. 이것은 한국기초조형학회의 위상과 앞으로의 전망을 동시에 내다보며 향후 ‘21세기의 조형교육과 기초과정’이라는 끊임없는 연구 과제를 제안하게 한다.
화합(和合)미학관을 적용한 중국 기초 조형과정 개선방안 연구
장시림,왕이팡,맹형재 한국기초조형학회 2022 기초조형학연구 Vol.23 No.3
The forming foundation course is a key part of the professional education system of art design, since it plays an important role in developing students’ artistic appreciation and creative thinking. Unfortunately, China’s forming foundation curriculum lacks the education of cultural literacy and creativity of the oriental and localized aesthetic system. And from the perspective of today’s cultural competition, the existing education model is not helpful for cultivating creative talent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make China’s forming foundation curriculum more cultural and creative by applying traditional Chinese Harmonious Aesthetics. In terms of research methods, first, through literature research, the educational objectives, methods, contents, and training programs of forming foundation curriculum in China are clarified, and the concept of Harmonious Aesthetics and its forming elements are clarified. Second, in order to clarify the problems of forming foundation curriculum in China, the representative universities in China and ROK were selected for comparative case analysis. Third, to solve the problem of forming foundation courses, the study extracts the forming elements in Harmonious Aesthetics and constructs a framework for improving the educational curriculum. Fourth, through such framework, the study proposes the improvement plan of the forming foundation curriculum from the aspects of educational objectives, methods, contents, and training programs.First of all, further emphasize the ways of aesthetic expression in educational objectives, and establish the educational objectives of truly expressing students' thoughts. Apply the concept of “phases and continuity” in educational methods. While considering the continuity of the educational process, pay attention to the correlation between different forming trainings. In terms of educational contents, improve the integrity and pluralism of educational contents by fulfilling the requirements of “aesthetic relation”, “integrity” and “pluralism” of Harmonious Aesthetics. In setting training programs, avoid unitary and stereotyped training, and pay attention to the diversity and difference of training contents.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play a guiding role in promoting the reform of the forming foundation process. 기초 조형과정은 예술 디자인 전공의 교육체계에서 중요한 부분으로써 학생들의 예술 감상과 창의적사고를 함양하는 중요한 과정이다. 그러나 현재 중국 기초 조형과정에 있어 동양의 미적 체계에서 비롯된 문화적 소양교육과 창의적 교육관 형성되지 않았으며, 오늘날 문화 경쟁의 관점에서 바라볼 때창의적인 인재 양성에 부합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중국 기초 조형과정을 개선하기 위해 동양적 화합(和合)미학관을 적용하여 현재 교육과정에 문화성과 창의성을 부족한 문제를 해결하는것이다. 연구방법은 첫째, 문헌연구를 통해 중국 기초 조형과정의 교육목표, 교육방법, 교육내용, 훈련프로그램의 내용과 화합미학관의 개념 및 조형 요소를 도출하였다. 둘째, 현재 중국 기초 조형과정의문제점을 파악하기 위해 중국과 한국의 대표사례를 선정하여 비교분석을 진행하였다. 셋째, 기초 조형과정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화합미학관에 내포된 조형 요소를 바탕으로 교육과정 개선의 틀을 구성하였다. 넷째, 도출한 틀을 통해 교육목표, 교육방법, 교육내용, 훈련 프로그램 네 가지 방향에서 기초 조형과정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우선, 교육목표에서 미적 감각의 표현방법을 더욱 강조하여 학생의 생각을 진솔하게 표현하는 교육목표를 세우다, 교육방법에서 ‘단계성과 연속성’의 개념을 적용하여, 교육과정의 연속성을 고려하면서 다른 조형 연습 간의 연관성을 주목해야 한다, 교육내용에서 화합 미학관의 ‘미의 관계성’, ‘전체성’, ‘다원성’의 요구와 결합하여 교육내용의 전체성과 다원성을 중시해야한다, 훈련 프로그램에서는 단일성과 패턴화된 훈련을 피하고, 훈련 내용의 다양성과 차별성을 중시해학생들이 연습에서 새로운 형식, 새로운 영감을 발굴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본 연구는 기초 조형과정의 개혁을 추진하는 데 일정한 지도적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이훈기 한국기초조형학회 2021 기초조형학연구 Vol.2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Korean sculptural ceramics in terms of reproducibility and expressiveness according to the degree of abstract approach and to identify their characteristics. The research subjects were selected from the artists who have lectured at universities since the 1980s and a number of Korean artists who won the Korean International Ceramic Biennale.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research work from the perspective of classical reproduction, expression concept, modern extension, and expression concept, Shin Sang-ho and Yeo Seon-gu's sculptures are interpreted as ‘Simulakr’ by Bodriyas, ‘Designation’ by Choi Kwang-jin, and ‘Denotation’ by Goodman. Meanwhile, the sculptural ceramic works by Jang Su-hong, Shin Kwang-seok, and Seo Byung-ho are analyzed as ‘Denotation, Metaphorical denotation’ by Goodman and ‘Designation, Exmaple’ by Choi Kwang-jin. Lastly, the ceramic sculptures of Kwon Oh-hoon and Lee Chun-bok were understood as ‘Example’ by Choi Gwang-jin and ‘Metaphorical denotation’ by Goodman.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sculptural ceramics in Korea can be divided into reproductive sculptural ceramics, expressive sculptural ceramics, and sculptural ceramics mixed with reproduction and expression depending on the degree of abstract approach. Reproductive sculpting ceramics are mainly used as motifs of visible objects, but the subjective intervention of writers is important, and some expressive sculpting ceramics, which are mainly used as motifs of non-visual objects, are included as visible objects. Visual and non-visual elements tended to be used equally as motifs in sculptural ceramics mixed with reproduction and expression. From a morphological perspective, the more reproducible to expressive implementation, the more likely the geometric tendency was to increase. 1970년대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한국의 도예계에는 기능성이 배제된 조형도자가 활발히 제작되고있다. 본 연구는 한국 현대조형도자의 성격을 추상적 접근 정도에 따른 재현성과 표현성에 대한 관점으로 분석하여 그 성격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재현성과 표현성은 고전적 개념에 더해 현대의 확장된 개념을 적용하였다. 연구 대상으로는 1980년대 이후 대학에서 교육한 작가와 ‘이천세계도자비엔날레’에서 수상한 국내 작가의 작품을 선정하였다. 연구작품을 고전적 재현, 표현개념과 현대의 확장된 재현, 표현개념의 관점에서 분석한 결과 신상호와 여선구의 조형도자는 보드리야스의 ‘시뮬라크르’, 최광진의 ‘지칭’, 굿맨의 ‘지시’란 개념으로, 장수홍, 신광석, 서병호의 조형도자는 굿맨의 ‘지시, 은유적 예시’ 최광진의 ‘지칭, 예시’란 개념으로, 권오훈과 이춘복의 조형도자는 최광진의 ‘예시’, 굿맨의‘은유적 예시’적 성향을 가진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국의 현대조형도자의 성격은 추상적 접근 정도에따라 재현적 조형도자, 표현적 조형도자, 그리고 재현과 표현이 혼재하는 조형도자로 구분될 수 있는데, 재현적 조형도자는 주로 가시적 대상이 모티브로 사용되나 작가의 주관적 개입이 중시되며 일부표현적 성향을 내포하였고, 주로 비가시적 대상이 모티브로 사용되는 표현적 조형도자는 가시적 대상이 포함되어 일부 재현적 성향을 내포하였다. 재현과 표현이 혼재된 조형도자에는 가시적, 비가시적요소가 비등하게 모티브로 사용되는 경향을 보였다. 형태적 측면에서 보면 재현적에서 표현적으로 이행할수록 기하학적 성향이 증가하는 경향성을 보였다. 작품에 담겨진 추상적 정서는 생명, 마음의 고향, 자연, 환생, 하늘, 신, 어머니, 기억, 목가적 정서, 바람, 빛, 경계 등의 동양적 성격이 주류를 이룬다,
현행 고등교육에 있어 한국화 교육의 문제점과 해결 방안에 대하여
민병권 한국기초조형학회 2014 기초조형학연구 Vol.15 No.2
This research analyzed various techniques in the works of artists of Modern Korean painting, and how these techniques are taught at colleges. And problems with these techniques and their solutions were found. The diversity of techniques in Korean painting is the most important tool for presenting and shaping the modernity of tKorean painting. However, it is also true that these techniques, which have also adopted Western formative styles, are shaking the existence of Korean painting itself. But today’s modern art is being diversified into various genres, and presents a trend in which different genres are combined when creating a work. And the genre of painting is commonly exchanged with various other genres such as music, film, and stage drama. Korean painting is expanding its area into the stream of time as well. Through this research, problems were found in the continuity and existence of Korean painting in today’s modern art, and in the method used for the curriculum of Korean painting at colleges to embrace tradition and modernity. Therefore, this research classified changes in Korean painting made from the 1950s to today according to three periods. In addition, this research has found painting techniques that have brought great transformations in Korean painting, and whether Korean painting transformed through these techniques stand as an extension of Korea’s traditional painting. This research explores the effect of college education, which is connected with school relations or personal ties, and shows that improvement methods to address the problems with the current college education system must be sought. Thus,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offer a new education method harmonious with tradition and modernity in the current college education system for Korean painting. 본 연구는 현대 한국화의 실기 방법에 있어 작가들의 작품에 나타난 다양한 기법에 대하여 분석하고, 이러한 기법들이 고등미술 교육기관인 대학의 한국화 전공에 있어 어떻게 교육되어져 왔으며 그리고 그 속에 나타난 문제점은 무엇인지에 대한 해결방법을 찾고자 하였다. 한국화에 있어 기법의 다양성은 현대성을 표방하고 구체화시킬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수단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다양한 기법들 자체가 서구의 조형방식에 힘입은 것이 많아 전통을 기반으로 이어져온 한국화의 존립 자체를 희석시키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오늘날의 현대 예술은 서로 다른 이질적인 장르가 다원화되고 복합적으로 융합하고 있음을 흔히 볼 수 있고, 한국화 장르 역시 이러한 시대적 흐름 속에서 그 영역을 확장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현대 미술 안에서 실재하는 한국화의 전통성 연계 및 존위에 관한 문제점을 알아봄과 동시에 작가를 전문적으로 양성하는 고등미술 교육기관인 대학에 있어 어떻게 하면 전통과 현대를 아우를 수 있는 체계적 교육이 가능한지 알아보았다. 이를 위하여 1950년부터 현재까지 한국화의 변모양상을 세 개의 시기로 구분하여 조형적 측면에 있어 큰 변화를 가져온 실기기법은 무엇이 있었는지 그리고 이러한 변모된 한국화가 과연 한국의 전통 회화의 연장선에 있는지 아닌지에 대하여 알아보기도 하였다. 또한 이러한 한국화의 현대화 과정에 있어 학맥 혹은 화맥으로 얽혀있는 고등미술의 교육의 영향이 어떠하였는지 밝혀보았으며,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장르의 파괴가 현격하게 나타나고 있는 오늘날의 현대 한국화에 있어서 현행 고등미술 교육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찾는 것이 절실히 필요함을 피력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대 한국화의 고등미술 교육에 있어 전통과 현대의 조화로운 방식을 찾고자 한 것이라 할 수 있다.
한국 전통 석조 조형물의 해학성에 관한 연구 -조형성을 중심으로-
박경윤 한국기초조형학회 2013 기초조형학연구 Vol.14 No.1
The study on the stone sculptures is not carried out while the various fields of traditional Korean cultures are carried out actively for continuous period. This is the topics to be discussed that priority of the discussion on aesthetics standard. For the analysis of beauty on the traditional Korean stone sculptures, analysis of formative meaning shall be based on the humor. In this study¸ the formative meaning of stone sculptures based on the Korean humor. Based on the discussion of beauty and humor, the three meanings on traditional Korean stone sculptures are derived from as follows:1) Formative meaning 2) expressive meaning and 3) spiritual meaning. In this conclusion, the humor appears in the traditional Korean stone sculptures can be understood to be the formative essence. In this regard, un-technical simplicity out of free spirits and indifference out of Korean’s traditional freedom from bondage and emotional natural beauty as well as observation is known to be the basis of formative essence. Our original unique cultures maintains its continuous value on the basis of our cultural spirits that is consistent with beauty of emptiness and space, pursuit of direct truth and the spirit of non-technicality. By formatively analyzing the humor of stone sculptures which shows most significantly the humor of Korean culture, reanalysis on the traditional Korean humor and the unique meaning of beauty that has different scale and standard of the beauty of other cultures, we can derive high standard value of beauty to express. This study has the meaning as described above. 한국 전통 예술의 다양한 분야에 대한 연구는 오랜 기간 활발히 진행되어 왔으나 석조 조형물에 대한 조형적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고 있지 않았다. 이는 미적 기준을 어디에 두어야 할 것인지에 대한 논의가 우선되어야 할 논제이기 때문이다. 한국 전통 석조 조형물의 미적 해석은 해학성을 그 기준으로 할 때 조형적인 의미 해석이 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해학성을 기조로 하여 석조 조형물의 조형적 의미를 분석 하였다. 한국의 미와 해학성에 대한 논의를 근거로 하여 한국 전통 석조 조형물에 대한 형태적 의미와 표현적 의미, 그리고 정신적 의미 등 세 가지 개념을 추출하여 해학성에 대한 조형적 의미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얻은 결론은 한국의 전통 석조 조형물에 나타나는 해학성이 우리 민족의 틀에 얽매이지 않는 자유로운 정신과 원칙으로부터의 무관심으로 일관되는 무기교, 또한 표현의 소박함에서 오는 정감어린 자연미와 관조성이 해학성을 형성시키는 조형적 요소로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비움과 여백의 미학, 직관적 진리의 추구, 탈기교의 정신으로 일관되는 우리의 예술 정신에서 기인되는 것으로 우리 민족예술의 독특한 문화의 원형적 요소로서 그 지속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한국의 해학성이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석조 조형물의 해학성을 조형적으로 해석해 봄으로써 우리의 전통 해학에 대한 재조명과 타민족과 미학적 척도와 기준이 다른 우리민족 만의 특별한 미학적 의미를 찾아내어 조형물 안에 내재된 한국의 해학성에 대한 높은 수준의 미학적 가치를 이끌어내어 시사함에 본 연구의 의미를 부여하겠다.
영국. 미국대학 Foundation 코스의 한국 기초디자인교육에서의 그 활용가능성
문철 한국기초조형학회 2006 기초조형학연구 Vol.7 No.3
With our rapidly advanced digital technology, Korean design education puts effort to educate students with a specialized perspective. However, our society has result many prospective students to concentrate their studies based on a purposely structured and restrained format in order to get admissions to schools. Once accepted, many students encounter difficulty to adapt to the collegiate level of specialized design education. Using computer software, our school provides elementary design labs to enable students to enlarge their technique of expression, and to work in convenient environment. Nevertheless, many students minimize the importance of the foundation of the design education, thus they neglect to adapt to the program; this problem strongly demands for a newly developed strategy of foundation education. Therefore, this thesis will discuss the possibility of developing and utilizing Korean design education by analyzing the foundation education of the Western countries's design education. The analyses of foundation courses in the United States and the Great Britain will provide and help Korean design schools to formulate more specified and specialized courses. Based on a survey given to the current students, who were asked to evaluate the comprehensive level, and the satisfactory level of the foundation courses, the thesis will define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foundation cours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urrent and the previous design education, and eventually a newly developed course, which concentrates on contemplativeness and application. 디지털의 발전과 함께 현재 한국 디자인 교육은 전문화, 세분화의 경향과 함께 다양한 방식으로의 교육들이 시도되고 있다. 이러한 다양하고 전문화되는 교육 환경속 에서 한국 학생들은 대학 입학 이전의 특정한 입시 교육을 중점으로 하는 제한된 디자인지식의 학습배경을 가지고 대학입학 후 전문화된 디자인 교육의 적응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또한 대학에서의 하드웨어. 소프트웨어를 기반으로 하는 기초디자인 실습은 표현기술의 영역을 넓혀주고 편리한 작업 환경을 학생들에게 제공하고 있지만 정작 학생들이 디자인 교육에서의 기초과정에 대한 재인식과 적응에 대한 이해를 반감시키고 있는 실정에 있기 때문에 기초디자인 교육의 특성화 방안이 모색되어져야 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디자인과 미술교육의 근원지 또는 선진국이라 할 수 있는 외국의 디자인 교육의 파운데이션 코스를 비교 분석하여 한국에서의 기초조형교육과정의 필요성과 그 활용가능성에 대하여 재인식하는 기회를 갖고자 한다. 미국과 영국의 주요 학교의 파운데이션 코스에 대한 분석은 한국 디자인 대학에서의 디자인의 기초 조형교육이 좀 더 특성화되어지고 세분화되어지는데 도움을 줄 것 이다. 재학생들이 저학년에 배워온 기초디자인 교과목의 이해도와 만족도 등에 대한 설문을 기반으로 현재 기초 디자인 교육의 위치와 대학에서 배우는 이전의 디자인교육의 연계성에 대해 분석하고, 그 분석을 바탕으로 사고력과 응용력을 중점으로 하는 학제적이고 융합적인 디자인 기초조형 교육의 프로젝트 시범운영연구를 시도하였다.영국. 미국대학 Foundation 코스의 한국 기초디자인교육에서의 그 활용가능성
한국기초조형학회 성장기의 운영정책과 성과 고찰- 2004~5년 실태를 중심으로-
이길순 한국기초조형학회 2013 기초조형학연구 Vol.14 No.1
The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KSBDA) was founded in July 1999. Since then, KSDBA has recognized as its academic growth during 13 years, has been more robust and faster, compared with other academic societies This Society journal 'Research of Basic Design & Art Studies' was approved to listed journals by Korea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within the shortest period, after the founding KSDBA. In addition, This Society's creative management and fiscal health are more superior, compared with other societies. Such management method of KSBDA is the best case about academic society management, and seems to be the case also appears to mimic the operation of other Socie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how these exemplary growth had been made possible by research and analysis on the KSBDA's management. And then evaluation will be needed to find out. Society has promoted growth in the development of business policies. The Society had propelled project and planned policy for internet site improvements, clarification of membership information and a journal published at four times during the year. This project had been pursued passionately, and Society had been made significant advances by this policy. In particular, the human elements that can communicate well, had positive effect on the development of the Society. And Society's rapid growth had been made possible. In such an environment, Society's project which can facilitate the development had been deployed. This study has to research on per Society of the role as a catalyst in the development of growth. I just think it's worthwhile for subsequent generations. 한국기초조형학회는 1999년 7월 창립한 이후 13년을 지내오는 동안 다른 학회와 비교하여 빠르고 건실한 학술적 성장을 하였다고 평가받고 있다. 이는 학회창립 후 최단기간에 학술지 ‘기초조형학 연구’가 한국연구재단 등재학술지로 승인되었으므로 이와 같은 평가는 적절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또 학회의 창의적인 경영과 재정 건실성도 다른 학회와 비교하여 우월하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운영방법이 학회 가운데 모범적인 사례가 되고 있고 일부 다른 학회들이 운영을 모방을 하는 사례도 나타나고 있다고 사료된다. 그래서 이러한 모범적인 성장이 어떻게 하여 가능하게 되었는지 조사, 분석하고 이에 대한 평가가 필요하다고 사료되어 본 연구를 하게 되었다. 학회는 성장기에 발전적인 사업정책을 펼쳤으며 그중에서 회원정보 명확화 추진, 학회 홈페이지 개선, 학술지의 연4회 증간 등을 정열적으로 추진하였다. 이 정책 추진의 성과로 학회의 성장이 도모되었다. 특히 소통을 잘 할 수 있는 인적요소는 학회 발전에 긍정적으로 작용하였으며 이러한 배경에서 당 학회의 성장기 발전이 가능하였고 그런 환경 속에서 발전을 촉진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사업들이 유익하게 전개되었다고 판단되었다. 당 학회가 성장기 발전의 촉매 역할을 한 것이 무엇인지 연구하는 것은 후속세대를 위해서도 가치 있는 일이 될 것이다.
윤을요,박선경 한국기초조형학회 2009 기초조형학연구 Vol.10 No.2
Fashion in the internationalization era is one flow frequenting the boundaries of area and time. The saying, The most Korean thing is the most global one’, means usually that today’s fashion was not created simply by one advanced trend. Therefore, a language of the times suited to the international standard is included in international styles while finding out such codes is an important part of design planning. Therefore, this research, with modern fashion, hoped to look for the factors of the most Korean fashion designs which can be defended through a language of the international time while the core was understood having esthetic sensitivity and formative esthetics of Korean fashion design utilizing international sense as its foundation. The research result showed that the esthetic sensitivity of Korean fashion had the background of Korean fashion design as its evidence while it could be understood that the formative esthetics of Korean fashion design considered simple, classical, and natural esthetics as its foundation. In conclusion, the formative esthetics of Korean fashion design seen through this research could be understood by being largely divided into esthetics of simple texture, classical form, and five elements of color—the high value added to Korea’s fashion industry and the globalization of Korea’s fashion will be achievable if such formative esthetics of Korean fashion design is developed into the code of international fashion design. 국제화 시대의 패션은 지역과 시대의 경계를 넘나드는 하나의 흐름이다. 흔히 ‘가장 한국적인 것이 세계적인 것’이라는 말은 오늘날의 패션이 하나의 선진 트렌드에 의해서만 창출되지 않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국제적인 스타일에는 국제적 표준에 적합한 시대 언어가 내재되어 있으며, 이러한 코드를 찾아내는 것은 디자인 기획에 있어 중요한 부분이 아닐 수 없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현대 패션에 있어서 국제적인 시대 언어로 대변될 수 있는 가장 한국적인 패션 디자인의 요소를 찾고자 하였으며, 그 핵심은 국제적 감각을 살린 한국적인 패션 디자인의 미의식과 조형미를 기초로 파악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연구의 범위와 방법은 95년부터 현재까지 국내외 컬렉션의 자료와 문헌을 중심으로 분석하였으며, 연구의 결과 한국적인 패션의 미의식은 한국적인 패션 디자인의 배경을 근거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한국적인 패션 디자인의 조형미는 소박미, 고아미, 자연미를 토대로 하고 있음도 파악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한국적인 패션 디자인의 조형미는 크게 소박한 소재미, 고아한 형태미, 오행의 색채미로 나누어 이해할 수 있었고, 이러한 한국적인 패션 디자인의 조형미를 국제적인 패션 디자인의 코드로 발전시킨다면 한국의 패션산업의 고부가가치와 한국 패션의 세계화를 이룰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되어진다.
박혜숙 한국기초조형학회 2009 기초조형학연구 Vol.10 No.5
We have many difficulties of developing system for the basic formative education, especially improvement of an originality, an expression ability, a practical ability and a thinking faculty. But already numerous well-known universities have advanced the fundamental design education programs in United States, Great Britain and the Europe. However, in Korea, the entrance examination system of the Arts and Design University have been problems with the uniformity practical technique and lack of ability for creativity. Therefore we need to find a solution for this problem with new proposal for the basic formative design education on the actual state of affairs in our circumstance. At this point, there are many researches for the entrance examination without the practical test and it would possible to study for an immature student who has want to study in the Arts and design universities in Korea. The fact is this, a creative designer able to get an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for their countries powerfully. From this, the aim of the basic formative design education is that, development for the originality training and logical design thinking with various professional programs. Also it respects originality training and in-depth research is more necessary. In order to, in this thesis, I investigated the basic formative education programs and fundamental design curriculums in Korea and abroad universities. What is more important, I researched the assessment of the foundation design education program for the design student who was selected with the open selection system by the D Woman’s university. Also I analyzed of the questionnaire and the interview with the students for the improvement in the new basic formative program for our design course. 미국과 영국, 유럽 등 선진 미술대학에서는 창의력, 표현력, 응용력, 사고력 향상을 위한 기초 조형교육 프로그램을 유기적으로 실시하고 있는 것과는 달리 국내의 기초 디자인교육에 대한 개념은 아직 실험 단계이거나 시행착오를 겪는 과도기적 과정에 있는 실정이다. 특히 우리나라에서의 학원입시교육 위주의 획일화 된 입시실기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한국교육 실정에 맞는 기초 조형 교육에 대한 제안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최근 각 대학에서는 실기시험을 치르지 않고도 디자인을 전공할 수 있도록 방안을 마련하는 입시제도 연구에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으며, 이는 국내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창의적인 디자이너야 말로 각 국가의 경쟁력을 고취시킬 수 있다는 의식이 높아지고 있음을 뜻한다. 이에 따라 창의력 훈련을 위한 보다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하며 특히 기초조형 교육 수업의 목표는 본질적으로 논리적 디자인 사고능력과 기초조형 실기력 향상을 위한 전문적인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기초조형 교육과정 운영 현황 및 기초디자인 교육과정의 흐름을 고찰하고, 특히 D여자대학교 특성화 사업의 일환으로 추진한 개방형 학생선발 제도로 선발된 실기·비실기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교육 프로그램인 디자인전공 계열기초 교과목 프로그램의 타당성과 효과성을 측정하고 교육과정의 장단점 분석을 통하여 더욱 효과적인 미래지향적 기초조형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연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