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습자중심 교육과정에 관한 연구

        길형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0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 No.2

        제 7차 교육과정은 학습자들이 자신의 적성과 소질에 맞는 교과목을 선택하여 능동적․자율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학습자중심의 교육과정을 실시하겠다는 것이다. 학습자중심 교육과정은 1995년 교육개혁이 진행되면서 현행교육과정에서 노출된 문제점을 해결하고 새로운 시대에 적응할 수 있는 대안으로 등장하였다. 그러나 이에 대한 많은 관심과 논의에도 불구하고 열린 교육과 마찬가지로 그 의미가 분명하지 않은 채, 아직도 우리의 교육현장은 실험실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셈이다. 따라서 학습자중심 교육과정에 대한 활발한 논의와 검토, 그리고 그 효과에 대한 자료의 축적이 시급한 상태이다. 이 연구는 먼저 학습자중심 교육과정의 의미가 무엇인지를 규명하고, 둘째, 학습자중심 교육과정이 왜 필요한지를 검토한다. 셋째, 학습자중심 교육과정을 시행하기 위한 조건은 어떠한 것들이 있으며, 마지막을 학습자중심 교육과정의 가능성과 한계점을 총론적 관점에서 탐색해 보고자 한다. 학습자중심 교육과정은 세계화․정보화 시대의 요청이기도 하며, 우리의 교육이 안고 있었던 많은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하나의 대안일 수 있다. 그러나 그것이 내포하고 있는 목적과 내용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교육과정의 이론과 시행과정에 대한 절차 및 구성요소 등이 구체화되어야 할 것이다. The 7th National Curriculum has the same goal as that of the learner-centered curriculum which is to foster students\ active participation enabling them to choose curricula and courses by themselves. Therefore, the learner-centered curriculum has been suggested as an alternative solution for coping with the current educational problems occurring since the adoption of educational reform in 1995. However, there is no clear definition of such a curriculum although it has already become a popular approach in the current educational context. When the learner-centered curriculum is applied at the classroom level without any evidence of the effectiveness of such an approach, the school becomes an experimental lab, and the students become guinea pigs. Therefore, it is necessity to gather information about the effectiveness of this approach and actively debate its appropriateness in the educational context of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the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al materials it uses and to find a rational for accepting the learner-centered curriculum in order to bring about educational reform in Korea. Next, proper teaching and learning conditions necessary to apply the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the limitation and potential range of this approach will be investigated in general. The learner-centered curriculum is an alternative solution that our current era seeks. However, in order to make adequate use of this approach we need first to investigate how well this approach works in practical situations.

      • KCI등재

        사회과에서 안전교육의 실제적인 접목을 위한 지역학습 교재 개발

        김봉석(Kim Bong-Seo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8

        본 연구는 안전교육의 중요성에 비해 사회과의 연구가 부족하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사회과에서 안전교육은 이론만이 아닌 실제로 실행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이에 먼저 범교과 학습 위주의 분산적인 교육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지역학습과의 접목 가능성을 탐색하여 필요성과 정당성을 확보하였다. 또한 지역학습의 지속성, 활용성을 위해 지역화 교과서에 안전교육 내용을 구성하는 방안이 현실적인 대안임을 밝혔다. 연구방법으로 문헌연구, 교육과정 및 교과서 분석, 포커스그룹 인터뷰, 지역의 사례 조사, 1차 개발 교재의 전문가 검증, 최종 교재 개발안 도출의 과정을 거쳤다. 개발 교재의 소재는 대구의 도시철도 3호선 모노레일이며, 교재로서의 적합성, 전형성, 확장성, 지역성, 흥미도 면에서 적절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첫째, 지역에서 안전문제를 학습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례를 통한 교재 개발, 둘째, 사회과와 안전교육의 구체적인 접목을 위한 방안으로서 지역화 교과서를 통한 지역학습, 셋째, 사회과와 안전교육의 연결을 위한 지역의 사례 발굴, 넷째, 사회과와 범교과 학습 주제를 연결하는 교재 개발 전략 제시, 다섯째, 사회과의 학문적 외연을 확대시키는 실마리 제시 여섯째, 실제로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지역학습과 안전교육의 접목 방안 제시이다. 특히 본 연구는 사회과에서 안전교육을 실제적으로 접목하는 방안으로서 지역학습을 제안하면서 실제적으로 지역화 교과서에 포함시킬 수 있는 교재를 구체적으로 개발하여 진행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향후 본 연구가 사회과와 안전교육의 접목, 지역학습의 소재 발굴과 개발과정에 관한 연구, 지역화 교과서 개발에 실제적으로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started with the lack of interest in social studies and the awareness of the need for actionable measures, not just theory, compared to the importance of safety education. First, in order to improve the problem of distributed education focused on cross-curricular learning, the necessity and legitimacy were secured by exploring the need for regional learning and grafting. In addition, it was revealed that the method of constructing safety education contents in localized textbooks for the continuity and utilization of local learning is a realistic alternative. The material of the developed textbook was Daegu Line 3 urban rail monorail, and was suitable in terms of suitability, typicality, expandability, regionality, and interest as a textbook.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first, the development of textbooks through concrete examples for learning safety issues in the region, second, the regional learning through localization textbooks as a way to concretely integrate social studies and safety education, and third, the link between social studies and safety education. Finding local cases for education, Fourth, Proposing a textbook development strategy that connects social studies and cross-curricular learning topics, Fifth, Proposing clues to expand the academic outreach of social studies Sixth, Practical ways to combine local learning and safety education that can be used in the field Jesse.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can make a practical contribution to the grafting of social studies and safety education, research on the material discovery and development process of regional learning, and the development of localized textbooks.

      • KCI등재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나타난 범교과 학습 주제 현황 분석

        양윤정(Yang, YoonJ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10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s in based on cross-curricular themes. The study revealed that there are several themes including cross-curricular themes in the curriculums and execution of curriculum reorganization on each school curriculums. Correspondence between the learning contents and cross-curricular themes which explains the high concentration rates of each cross-curricular themes on reflecting the cross-curricular themes in each school curriculum. As the subject, there are most high hour rates of moral course but reflected several cross-curricular themes of korean course. The cross-curricular themes of the special course including safety education courses of the school curriculum is assigned on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 especially the self-regulated activity course. Therefore this article ends with on implication deductions for cross-curricular themes in th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as the analysis of the study. 본 연구는 2015 개정교육과정 적용에 앞서 범교과 학습 주제가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어떻게 반영되고 있는지를 인천 소재 초등학교 10개교의 6학년 교육과정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현행 교육과정에서는 교육부 고시에 나타난 범교과 학습 주제 외 에도 그 외 학습 주제가 다수 적용되고 있으며, 학교에 따라 학습 주제의 재구성이이루어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교과별로 범교과 학습 주제를 반영한 사항으로는 교과에 따라 개별 범교과 학습 주제의 편중률이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해당 교과 학습 내용과 범교과 학습 주제 간 대응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고 볼 수 있으며, 도덕 교과에 가장 많은 시수를 반영하였으나 주제별로는 국어 교과에서 다양한 범교과 학습 주제를 반영하였다. 또한 창의적 체험활동 영역별로 안전교 육 외 각 학교에서 학교특색 또는 중점사업으로 선정한 범교과 학습 주제 관련 시수를 다수 반영하였으며, 특히 자율활동 영역에 집중적으로 반영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학교 교육과정에서의 범교과 학습 주제 반영에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 KCI등재

        학습자중심교육을 위한 교사역량요소 도출 및 예비교사와 현직교사의 인식 비교

        장경원(Chang Kyung won),김희정(Kim Hee j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2 No.2

        본 연구는 학습자중심교육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교수역량을 구성하는 요소들 을 도출, 타당화하여 구명하고, 이 교수역량요소들에 대한 현직교사와 예비교사들의 인식을 비교ㆍ분석함으로써 향후 현직교사재교육 및 예비교사 교육 시 학습자중심 교육을 위한 교수역량개발 방법에 시사점을 얻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학습자중심 교육을 위한 교수역량요소 도출을 위해 IBSTPI의 역량 개발 모델 및 국내외의 연구 들이 분석되었고, 교육공학 전문가 2명, 현직교사 5명이 교수역량의 도출과 타당화 과정에 참여하였다. 연구결과 학습자중심교육을 위한 교수역량은 교사의 태도, 교과 및 교수법에 대한 지식, 의사소통(경청ㆍ칭찬ㆍ질문), 수업운영 및 평가 등 4개 영역 30개의 하위요소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역량요소에 대한 현직교사와 예비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한 결과 현직교사와 예비교사들은 모두 도출된 역량에 대해 매 우 중요하다고 인식하였으나, 실제로 실천하고 있는 실행도는 그리 높지 않다는 반 응을 보였다. 두 집단의 인식을 비교한 결과 학습자중심교육을 위한 교수역량의 중 요도에 대한 인식에는 의미있는 차이가 없었고, 실행도에 대한 인식에서는 현직교사 가 예비교사보다는 높은 점수를 보여 의미있는 차이가 있었다. 연구결과는 향후 교사재 교육, 예비교사교육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raw, research, and check the validity of components of teaching competencies which are needed for learner-centered education, and to find the implications on the way of developing teaching competencies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thoughts of pre-service and in-service teachers about these competencies when they are educated or reeducated. To draw the constituents of teaching competencies for learner-centered education, related literature reviews and analysis of the teaching competence developing model, IBSTPI were conducted and two specialists in educational technology and five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joined in drawing and checking the validity of teaching competencies.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re are four components such as i) teacher s attitude, ii) knowledge for subjects and teaching method, iii) communication(listening, praising and questioning) and, iv) class management and evaluation, followed by 30 subcomponents. The research shows that both pre-service and in-service teachers thought that the teaching competencies which are drawn from this study are important but they didn t practice them much. The result of comparing the two group s thoughts about teaching competencies, there is no meaningful difference in understanding the importance of teaching competencies, but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in practicing them: in-service teachers showed higher points than pre-service teachers.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ic material for developing and conducting programs of in-service teachers reeducation and pre-service teacher s training.

      • KCI등재

        무라이 미노루(村井実)의 교육관에서 해석한 학습자 중심의 학교무용교육의 가치

        김보연(Kim, Bo Ye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8

        본 연구는 학교무용교육을 학습자 중심 교과교육으로 구상하는 것이 어떠한 가치가 있는지에 대해 이론적으로 고찰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교육이란 언제나 「선함(善さ)」을 구(求)하며 살고 있는 인간이 보다 나은 「선함(善さ)」의 판단을 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라고 정의한 무라이 미노루(村井実)의 이론을 채용하였다. 무용은 감정과 생각 등 자신의 내면을 몸을 통해 외부로 표현하는 것이다. 이를 교육하기 위해서는 표현의 근원 즉, 무라이(村井)가 말하는 내면의 「선함(善さ)의 구조」에 대해 이해할 필요가 있다. 무라이(村井)에 의하면 인간의 내면에는 본래 4가지의 요구(상호성, 효용성, 無모순성, 美(조화)에 대한 요구)가 갖추어져 있으며 그것들이 모두 만족되었을 경우 인간은 「선하다(善い)」라고 판단한다. 학습자 중심의 교육이라는 관점에서 무라이(村井)의 이론을 보면, 무라이(村井)가 말하는 「보다 선하게(善く) 살기 위한」가장 이상적인 학습 조건이 학습자 중심 교과 교육이 된다. 그렇다면 학습자 중심의 학교무용교육에 있어서 4가지의 요구가 어떻게 만족되는가. 본 논문에서는 ‘탈춤’ 수업의 분석을 통해 이 문제를 고찰하였다. 그 결과 학습자의 표현은 「선함(善さ)」의 4가지 요구가 모두 만족되어 나타난 자신만의 움직임인 것으로 해석되었다. 학교무용교육은 학습자의 모든 표현에 대한 가치존중이 기본 전제이다. 그러므로 학습자 내면의 「선함(善さ)의 구조」를 기초로 한 무라이(村井)의 교육 이론을 도입함으로써 학교무용교육은 학습자 중심의 교과교육으로서 충분한 가치를 지닌다. The research aims to consider what is the value of designing school dance education as a learner-centered curriculum in a theoretical perspective. To this end, the education theory of Minoru MURAI was adopted to the paper; education helps humans who always seek for “Goodness”, which enables them to make an even better judgement of “Goodness”. Dance expresses one s inner self such as emotions and thoughts, through the body. Therefore, in order to educate it,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source of the expression, specifically where Murai states it as the inner “structure of Goodness”. According to Murai, there are four basic demands humans possess inside; interconnection, utility, non-contradictoriness, and harmony. If they are all satisfied, humans are judged to be “Good”. Looking at Murai’s theory in the perspective of a learner-centered curriculum, the most ideal learning condition which Murai calls as a condition “to live better”, becomes a learner-centered curriculum. If so, how are the four basic demands satisfied in the curriculum of learner-centered school dance education? This paper examines this issue through an analysis of mask dance(Talchum) class. As a result, expressions of the learners were interpreted as their own unique movement which resulted from the satisfaction of all four demands of “Goodness”. In addition, respecting the value of all different expressions of the learner is the basis of school dance education. Therefore, school dance education has a sufficient value as a learner-centered curriculum by introducing Murai’s education theory based on the “structure of goodness”.

      • KCI등재후보

        외국 초등국어과 교과서의 특징과 시사점

        이주섭,전제응,김병수,최규홍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0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6 No.2

        본고는 새로운 교육과정의 개정을 앞두고 있는 시점에서 향후 새 교육과정에 터한 새 교과서의 개발 방향 모색의 일환으로 미국, 프랑스, 일본의 초등 국어 교과서의 면면을 검토하여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그래서 먼저 자국의 언어 교육 동향, 교육과정, 교과서 발행 제도를 개략적으로 살펴보고, 그 나라의 비교적 높은 점유율을 가진 출판사의 교과서를 선정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각 교과서의 특징은 큰 틀에서는 ‘언어 사용’에 대한 강조와 ‘자국어 교육’의 강조로 나타났으며, 나라별 체제 및 구성 요소들은 교육과정이 추구하고자하는 요소들을 잘 반영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교과서 분석을 통해 새롭게 얻을 수 있었던 시사점으로는 여러 가지 형태의 교수 학습 자료를 통해 학습자의 다양한 요구와 흥미를 충족시킬 수 있는 교과서와 학습량의 적정화를 통한 완전학습을 추구하는 교과서를 지향해야함을 알 수 있었고, 교과서의 내적 구조와 전개 방식 또한 다양한 형태로 제시되어 학생들의 학습 의욕을 높일 수 있도록 해야겠으며, 자국어에 대한 교육에 좀더 깊은 관심을 기울여 국어 문화 창달과 국어 정신 고양에 힘써야함을 알 수 있었다. 변화된 사회적, 교육적 환경에 따른 교과서 연구는 당연한 현상이다. 하지만 교과서 만능주의 또한 경계해야 한다. 요컨대, 교과서 자체에 대한 정밀한 논의도 있어야하겠지만, ‘교과서 개발 이후’의 문제와 ‘질 높은 국어 교육을 위한 제 변인들과 교과서의 관계’ 문제에 대한 고민도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to explore the national language textbook in elementary school. We have selected three textbooks which are 『Literacy Place』of America, 『Tout le Francais』 of France and 『小學國語』of Japan. We surveyed the tendency of language education each books. Then we explored the characteristics and implication of those. The results from the analysis appeared as follows : First, national language art is regarded as a important subject in each country. Especially, In France the national language art is the most important subject. Second, three textbooks have been focused on \ language use\ . So students participate in a lesson voluntarily. Third, each of textbooks have distinctive feature. The 『Literacy Place』 has a various educational materials, and the 『Tout le Francais』 has effective device for student to learn language with interest and curiosity, and the 『小學國語』has a simple unit system.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that we need to improve continuously the quality of Korean language textbook. In order to do this, most of all, Korean language textbook which is used in elementary school must be checked intensively.

      • KCI등재

        학교 교육을 위한 예술기반(Arts-Based) 교수·학습 방법의 이론적 토대 연구

        승윤희(Seung, Yun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4

        21세기에 들어오면서 ‘예술을 통한 교육’의 관점 및 그 역할은 전인적 인격의 형성 이나 바르고 아름다운 인간적 품성을 넘어 개인의 역량뿐만 아니라 사회, 문화적인 역량을 기르는 것으로 더욱 확장되고 있다. 학자들이 제시한 뇌기반 학습 (brain-based learning)의 원리들을 살펴보면 예술 활동을 교육에 적극적으로 활용 하라는 내용이 발견된다. 뇌 과학 연구자들이 지지하는 예술기반 교육은 학교 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방법에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등장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 교육 안에서 비예술 교과수업에 예술을 활용하는 예술기반 교수·학습 방법의 이론적 토대를 세우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그동안 심리학을 기반으로 하던 교수· 학습 이론 및 방법이 뇌 과학과 예술 분야로 확장되고 있음을 살펴보았으며, 미래 사회에 요구되는 교육이 예술기반 교육으로 실현될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하여 비예술 교과수업에 적용할 수 있는 예술기반 교수·학습 방법의 원리를 다섯 가지로 제시하 였다. 예술기반 교수·학습 방법을 연구하는 궁극적인 목적은 비예술 교과의 학업성 취를 높이는 데 있는 것이 아니라, 학습자의 잠재된 상상력과 창의성을 예술의 힘으로 이끌어내는 데 있다. 미래 사회에 필요한 교육의 역할이 예술교육을 통해 실현되 기를 기대한다면, 양질의 예술교육과 예술기반 교육의 실천 및 전문성을 확보하기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As we enter the 21 st century, the perspective and role of ‘Education through Art’ is expanding beyond the formation or application of a holistic personality and beautiful human character to developing not only individual capacity, but also social and cultural capacity. Looking into the principles of brain-based learning presented by scholars, content suggesting arts activities to be actively used in education is discovered. Arts-based education, supported by brain science researchers, is emerging as a new paradigm in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for school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ay out the theoretical foundation for arts-base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that utilize arts in non-art subjects within school education. For this, it was recognized that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based on psychology have been expanding into the fields of brain science and arts. Seeking the possibility of education required in the future to be arts-based education, five principles of the arts-base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that are applicable to non-art fields of study are suggested. The ultimate purpose of studying the arts-base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is not to improve academic performance of non-art subjects, but to bring out learners’ potential imagination and creativity through the power of arts. If it is expected that the role of education needed for future society be achieved through arts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obtain arts-based specialty and arts education of high quality.

      • KCI등재

        교육과정 개정에서 범교과 학습 주제의 교육과정 적용 방안 연구

        강현석(Kang. HyeonSuk),전호재(Jeon. HoJa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4 No.11

        지금까지 교육과정 개정 논의에서는 다양한 국가·사회적 요구가 범교과 학습 주제 교육에 큰 압력으로 작용해오고 있다. 7차 교육과정에서 범교과 학습 주제가 등장한 이후 범교과 학습 주제는 양적 측면에서 엄청난 팽창을 하여 2009개정 교육과 정에서는 39개의 범교과 학습 주제가 제시되었다. 그러나 학교 현장에서는 범교과학습 주제의 교육에서 당초 의도한 목적에 맞게 실행되고 있지 않으며 더 큰 문제는 교사의 수업과 학습자의 학습에 부담을 주고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문제 상황의 배 경에는 다양한 국가·사회적 요구의 반영 과정에서 그 교육적 가치를 적절하게 판단하는 과정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이 자리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의 범교과 학습 주제가 교육과정 운영을 어렵게 하는 이유와 그 모습들을 살펴보고 국가·사회적 요구가 교육과정에 반영되는 과정을 살펴보고자한다. 이어서 선행 연구를 기반으로 다양한 범교과 학습 주제의 개념을 대안으로 제 시, 분석하고자 한다. 그리고 현재의 빠르게 변화하는 국가·사회적 요구의 수용 모델을 검토하기 위한 새로운 범교과 학습 주제의 정련 과정을 제시하고자 한다. Teachers and students engage in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based on the national curriculum. The revision of curricula can affect and be affected by national social needs. The national social needs consist of what is worth being learned in the future. In this context, cross-curricular subjects were designed to reflect those needs i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But the cross-curricular subjects have not been working well in every curriculum revision since they were introduced. The curricula revised in 2009 have 39 cross-curricular subjects. They caused many problems in curriculum practice because there were too many things to do in the classroom. Furthermore these 39 cross-curricular subjects sharing similar purposes and contents give rise to unnecessary duplication problems. Expecting the number of cross-curricular subjects, there was no proper curriculum revision system. To solve this problem, this study inquires into varied reasons and phenomena of the current curriculum revision system in the view of schools and classes. Base on revealed reasons, we need to consider the concept of cross-curricular subjects. Some preceding studies helped us to explore various valid statuses of the cross-curricular subjects in the national curriculum. These statuses show some examples of new national curriculum. By synthesizing these alternatives, this study suggests a new cross-curricular subject organization process which consists of 5 steps: positioning the cross-curricular subject; rearranging cross-curricular subjects; verifying new needs; deciding presentation methods; and embodying. This new process of curriculum revision can be applied continuously to deal with national and social needs.

      • KCI등재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변천에 따른 시기별 음악 교육과정의 내용 및 초등학교 음악 교과서 분석

        이재란,승윤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1

        목적 본 연구는 특수교육의 제1차 교육과정부터 음악 교육과정의 내용을 고찰하여 그 양상을 분석하고,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에따른 초등학교 음악 교과서를 분석하여 교육과정기별로 음악 교과서의 특징 및 시사점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음악 교육과정 분석은 교육과정 문서의 구성과 변화 내용을 중심으로 분석하였으며, 음악 교과서 분석은 총 11권의 분석 대상교과서를 ‘음악 영역 및 활동’, ‘음악 개념 및 요소’의 두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음악 영역 및 활동 분석에서는 영역별, 활동 유형별비율을 분석하였고 음악 개념 및 요소 분석에서는 학습 내용과 학습 내용의 학년별 위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음악 교육과정 분석 결과, 내용 및 내용 체계는 2011 교육과정부터 일반 교육과정과 형식 및 내용이 연계되어 구성되고 있었다. 음악 요소는 2008과 2011 교육과정에서 ‘소리’를 중심으로 제시되다가 2015와 2022 교육과정에서 대부분 음악 용어로 대체되었다. 음악 교과서 분석 결과 첫째, 음악 영역별 비율은 2008 음악 교과서와 2011 음악 교과서에서는 ‘감상’ 영역, 2015 음악교과서에서는 ‘가창’ 영역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영역별 활동 유형의 비율은 가창, 기악, 감상 영역 전반에 걸쳐 2008 음악 교과서에서는 ‘소리’ 관련 활동이 높게 나타났고, 2011 음악 교과서와 2015 음악 교과서에서는 ‘음악 개념 및 요소’ 관련 활동이 높게 나타났다. 창작 영역에서는 ‘소리 만들기’와 ‘가사 바꾸기’ 활동이 주로 나타났으며, 생활화 영역에서는 전 교과서에서 ‘놀이’ 활동의 비율이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음악 개념 및 요소 분석에서 2008 음악 교과서는 다른 교과서의 저학년 수준의 내용으로 구성된 것으로나타났다. 2011 음악 교과서와 2015 음악 교과서는 ‘리듬, 형식, 빠르기, 셈여림’ 학습 내용의 수준이 비슷하게 나타났으나, ‘가락’과‘음색’ 학습에서는 학년별 연계 및 위계성이 불분명하게 나타났다. ‘화성’ 학습은 대부분의 교과서에서 제시되지 않았고, 소리의 특성과 관련된 활동에서는 음악 개념과의 연계에서 지도상의 오류가 나타났다. 결론 특수학교 음악학습 내용의 범위와 수준은 재고될 필요가 있으며 동시에 체계적인 교수⋅학습 연구가 요구된다. 교육과정의흐름과 교과서 분석 결과를 제시한 본 연구는 향후 특수교육의 음악 교육과정 개발과 초등학교 음악 교과서 집필에 유용한 기초 자료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이와 관련된 후속 연구를 활성화시킬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학습자 중심 영어과 수업을 위한 교육과정의 적절성에 관한 연구 : 제7차 초등 영어과 교육과정 적절성을 중심으로

        길형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0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3 No.2

        정규과목으로서의 영어교과가 제 7차 교육과정으로 개편되면서, 초등 영어가 학습자 중심의 교육에 더욱 초점을 맞추면서 학습자의 개인차를 중시하고 의사소통능력을 중시하며, 활동중심, 과업중심의 영어교육, 창의력을 중시하는 영어교육으로 방향을 맞추게 되었다. 이 같은 방향에 따라 제 7차 초등영어교육의 목표는 수준별 학습(심화․보충형 수준별 수업), 의사소통기능, 언어기능, 문화 영역 등에 관한 내용을 포함하며 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구체적인 내용 체계를 담고 있다. 내용 체계에서는 언어기능이 이해기능과 표현기능으로 구체화되었고, 의사소통기능에 관한 포괄적인 내용이 제시되었으며, 언어 재료를 통해서 자유로운 의사소통을 위한 문화와 가치관 등을 포함한 소재, 음운 변화, 어휘, 단일문장의 길이 등에 관한 사항이 진술되어 활동의 근거를 마련하였다. 그러나 이제는 이러한 내용 체계를 근거로 교과서가 제작되어 현장에서 사용되고 있지만, 학습자 및 교사들의 지역적인 특수성, 학습자의 다양한 수준, 학습자의 관심과 흥미, 그리고 학습자나 교사들의 요구들이 잘 반영되어 있는지, 교과서나 교사용 지도서가 현장 적용시 제반 문제점은 없었는지 검토하는 일이 필요한 시기다. 이는 앞으로 개정될 교육과정에서는 교사와 학습의 주체인 학생들의 요구 사항이 잘 반영되어 학습자 중심의 교수․학습의 효과를 극대화하는데도 필요한 일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제 7차 교육과정 초등 영어과 전반에 걸쳐 면밀한 분석을 하고자 하는데, 그 영역은 크게, 교육과정의 내용, 교수․학습 방법, 평가 부분이며, 교재 분석과 더불어 제7차 초등 영어 교육과정에 대해 초등학교 교사와 학생들의 견해와 요구 사항을 설문 조사를 통해 알아보고, 교육현장의 현실과 여건을 반영한 새로운 초등영어 교육과정 개발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wo fold: to evaluate the relevance of the 7th national curriculum retrospectively and to cast a forward look at the possible revision of the curriculum as to what to teach, how to teach, and how to assess the achievement of curriculum objectives. To attain the goals of study, a questionnaire was designed to survey teachers\ and students\ opinions on the contents, methods and assessment of the current elementary school English curriculum via textbooks and teacher\ s guide they have used at least one year. 150 teachers and 667 students have responded to the survey, and the results of closed questionnaires are analyzed statistically and open questionnaires are classified qualitatively. The findings for each field are as follows: (1) content area ① The distribution of communicative functions needs to be balanced to achieve the communicative objectives. ② Number of words exposed to students needs to be better graded so that students are able to master new words appeared in each lesson. ③ Cultural tips provided in teacher\ s guide need to be more closely related to the lesson material for a given class hour. ④ Achievement standards need to be reduced in its number of items and its abstract statement. Instead, they need to be more detailed so that they are observably adequate. (2) method area ① Lessons should be introduced with motivational elements relevant to the lesson objective. ② Role play types need to be expanded in its variety so that they can provide opportunity for meaningful communicative practices. ③ Groupings need to be diversified to cope with each lesson objective. ④ Supplementary learning materials need to be provided in separate kit instead of being attached to the textbook which make the materials one time use only. (3) Assessment area ① Assessment guidelines need to be presented with examples and evaluation criteria. ② Performative evaluation was encouraged to assess students\ English proficiency, but most teachers felt that it\ s difficult to apply the performative evaluation for large clas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