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충남지방(忠南地方)의 농업기계(農業機械) 훈련실태(訓練實態)에 관(關)한 조사(調査)

        김성래,이상우,김만수,Kim, Soung-Rai,Lee, Sang-Woo,Kim, Man-Su 충남대학교 농업과학연구소 1977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Science Vol.4 No.1

        This survey was conducted to secure a basic data for the effective training programs that might be an essential part of any successful mechanization of agriculture in Korea. Chung Nam provincial training center and 17 guidance offices with farm machinery training centers which were thought to be a medium level on their scale in whole country were selected in the survey on its training accomplishments, stafts, facilities, schedule and number of trainees at one time or in a class. The results and recommendations from this survey were as follows; To enhance the effect of farm machinery training, it was absolutely necessary for city or county training center to complement its facilities and equipments. It might be desirable that instructors of each training center should be the one educated or highly trained in the institution of farm machinery, and that the number of technical assistants should be increased and their present part time working condition should be changed to full-time status. It was recommended that training for farmers should be scheduled during off-season so that farmers could participate in the training couses, and that the number of trainees in a class should be reduced to about 10 trainees, which was approximately a fourth of the present situation. 농업기계(農業機械) 훈련업무(訓練業務)의 능률화(能率化)를 위(爲)한 기본자료(基本資料)를 얻기 위하여 충남지방(忠南地方)의 농업기계(農業機械) 훈련기간(訓練機間)인 도(道) 농민교육원(農民敎育院)과 17개(個) 시(市) 군(郡) 훈련소(訓練所)를 대상(對象)으로 훈련실태(訓練實態) 및 훈련기간(訓練機間)의 실태(實態) 등(等)을 분석(分析)했던 바 다음과 같은 결론(結論)을 얻었다. 1. 농업기계(農業機械) 훈련(訓練)의 효과(效果)를 높이기 위(爲)해서는 시(市) 군(郡) 농업기계(農業機械) 훈련소(訓練所)의 타설(拖設) 및 장비(裝備)의 보완(補完)이 절실히 필요(必要)하며 2. 각급(各級) 농업기계(農業機械) 훈련소(訓練所)의 교관(敎官)은 농업기계(農業機械)의 전문교육(專門敎育)을 이수(履修)한 자(者)로 보완(補完)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기술요원(技術要員)의 수적(數的) 안배(按配)와 이들의 직급(職級)올 정규화(定規化)하는 것이 요망(要望)된다. 3. 효과적(效果的)인 훈련(訓練)을 진행(進行)키 위(爲)해서는 훈련시기(訓練時期)를 농한기(農閑期)로 하여야 할 것이며 1개(個) 반(班)의 인원(人員)도 현재(現在)의 약(約) 1/4인 10명(名) 내외(內外)로 편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충남지역 토마토 재배온실의 구조와 환경조절설비 실태분석

        남상운(Sang-Woon Nam),김영식(Young-Shik Kim) 충남대학교 농업과학연구소 2009 농업과학연구 Vol.36 No.1

        충남지역 토마토 재배온실의 구조적 안정성 확보와 체계적 환경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목적으로 구조 및 환경조절설비 실태를 조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조사대상 충남지역의 토마토 재배온실은 호당 평균면적 0.45㏊, 플라스틱 단동온실의 형태가 대부분이며 10년 이상 시설을 사용하고 있는 농가가 많고, 설치방향은 단?연동 구분 없이 대부분 남북동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토양재배가 수경재배에 비해 훨씬 많다. 온실의 폭은 7~8m(평균 7.6m), 길이는 80~100m(평균 89.7m)인 농가가 대부분이었으며, 단동온실의 평균 높이는 측고 1.6m, 동고 3.2m, 연동온실의 평균높이는 측고 2.9m, 동고 4.8m로 농촌진흥청의 보급형 온실에 비하여는 약간 높게 나타나고 있지만 토마토 재배에 적합한 환경관리를 위해서는 온실의 측고를 좀 더 높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단동온실의 서까래 규격은 양호하나 설치간격이 대체로 넓고, 도리의 설치 개수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동온실의 경우 서까래, 도리, 중방의 규격과 설치간격은 대체로 양호하나 기둥의 설치간격이 대체로 넓은 편이어서 구조적인 안전성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단동 서까래 매설부위 및 연동 기둥의 기초부위는 침하나 인발에 충분히 저항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피복재는 대부분 PE필름을 사용하고 에너지절감을 위해 내부에 고정터널을 설치하는 농가가 많으며 내피도 대부분 PE필름을 사용하고 있다. 단동온실에서는 보온커튼을 사용하는 농가가 많지 않고, 연동에서는 대부분 부직포 또는 알루미늄스크린 등의 다층 보온커튼을 사용하고 있다. 관수장치는 점적호스를 가장 많이 사용하고 다음으로 분수호스를 사용하고 있으며, 관수제어는 수동이 가장 많고 다음으로 타이머를 이용하고있다. 토양수분 계측에 의한 자동제어는 7.5%에 불과해 관수자동화의 필요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난방은 대부분 온풍 난방기를 이용하고 있으며 적정 난방기 용량을 확보하고 있지 못한 농가도 많아 저온기 생육적온 유지에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난방비는 10a당 평균 6백만 원정도가 연간 소요되는 것으로 조사되어 난방비 절감 대책이 절실한 것으로 사료된다. 대부분 권취식 천측창을 설치하고 있으나 단동의 경우 천창을 설치한 온실은 17.5%에 불과하며, 환기창 개폐장치는 대부분 자동으로 이루어져 있다. 강제 환기팬이나 공기 유동팬을 설치한 온실은 25.8%에 불과하며 설치대수가 매우 부족하고 정확한 설치기준이 마련되어 있지 못하다. 별도의 구조물에 토마토 유인줄을 설치하지 않고 중방이나 서까래에 설치하는 농가가 많아 구조물에 미치는 작물하중의 영향을 검토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기타 탄산가스 시비, 광환경 제어, 지중가온이나 방충망설치, 하절기 온실냉방 등 고도의 환경조절을 실시하는 농가는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An investigation was conducted to get the basic data for establishing structural safety and environmental management of tomato greenhouses in Chungnam region. The contents of the investigation consisted of actual state of greenhouse structures and environmental control facilities. Most of greenhouses were arch type single-span plastic houses and they had too low height for growing tomatoes. Frameworks of multi-span greenhouses were suitable, but those of single-span were mostly insufficient. Every greenhouse had thermal curtain movable or covering fixed inside the greenhouse for energy saving, and heating facilities were mostly warm air heater. Irrigation facilities were mostly drip tube and controlled by manual operation or timer. Almost all of the greenhouses didn't install high level of environmental control facilities such as ventilator, air circulation fan, CO₂ fertilizer, insect screen, supplemental light, and cooling device.

      • KCI등재

        한국(韓國)에 있어서의 식물보호(植物保護) 연구사(硏究史) -1900년대(年代)를 중심(中心)으로-

        박종성,Park, Jong-Seong 충남대학교 농업과학연구소 1979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Science Vol.6 No.1

        The study was conducted to search developmental process of plant protection science from review of forty-three hundreds literatures presented since 1900 in Korea and to forecast future statues of the science to be done. About 80 percent of literatures related to plant protection science such as plant pathology, applied entomology, weed science and agricultural pharmacology were collected from publications of agricultural and forestry reseach organizations attached to Office of Rural Development and Office of Forestry. The rest of literatures were mainly collected from Korean Journal of Plant Protection Society and small number of literatures were also collected from publications of the other journals of crop science and thesis collection of agricultural colleges. In Korea, research organizations of plant protection science are divided into two main groups such as exclusive agricultural research organizations and agricultural colleges. It is pointed out that the former contributions to plant protection science are very great compared to those of the latter since 1900. From periodical consideration of developmental process of the science since 1900, the history or the science are divided into three eras such as introduction and sprout of modern plant protection science during the first forty years, distress of the science during the following twenty years including the Second World War and the Korean War and rapid growth of the science after 1961. In spite of long time distress of the science during the Second World War and the Korean War, the researches on plant protection science in post-war have been done twice as many as pre-war. From consideration of the subject plants in researches of plant protection, it is shown that a great many researches on protection of rice plant have been done and occupy 37 percent of plant protection researches since 1900. And also researches on protection of fruit-trees and cash-crops are not so many as those of rice plant but have been done in noticeable numbers. In fact, researches on protection of fruit-trees and cashcrops were the most important subjects of plant protection researches in pre-war while those of rice plant were the most important subjects after 1930, particulary in post-war. From consideration of contents of plant protection researches, it is said that more fundamental researches than applied ones such as practical control methods of diseases, insect pests and weeds were done in pre-war while more applied researches than fundamental ones were done in post-war, Among applied researches, those of chemical control were the most important subjects. Researches on disease and insect-pest resistance have been done in both pre-war and post-war while researches on forecasting of disease and insect-pest and race of plant pathogens have been done in post-war. And also researches on weed control mainly have been done after 1960. Researches on agricultural chemicals for control of diseases, insect pests and weeds still belong to a new field which must be expected in future, and there is nothing to notice with the exception of practical application of agricultural chemicals introduced from foreign countries. Some of important researches on diseases and insect pests were discussed in relation to developmental process of plant protection science in Korea since 1900. In future, researches on plant protection will be develop to the direction supporting importance of integrated control for plant protection. Therefore, it is pointed out that security of highly educated and trained scientists with enlargement of reseach fields of plant protection science are necessary and role of agricultural colleges for future development of the science must be emphasized. 우리나라에 있어서 과학적(科學的)인 식물보호연구(植物保護硏究)가 시작된 1900년대초기(年代初期)부터 1975년(年)까지 약(約)70여년간(餘年間)에 이루어진 4,300여건(餘件)의 연구(硏究)를 정리분석(整理分析)하여 식물보호학(植物保護學)의 발달과정(發達過程)을 역사적(歷史的)으로 고찰(考察)하고 장래(將來) 어떠한 방향(方向)으로 발전(發展)해 나아갈 것인가를 예측(豫測)하기 위하여 이 연구(硏究)에 착수(着手)하였다. 이 연구(硏究)를 위하여 수집(蒐集)한 문헌(文獻)의 약(約)80%가 농림업관계(農林業關係) 연구전담기관(硏究專擔機關)인 농촌진흥청(農村振興廳), 각도농촌진흥원(各道農村振興院), 산림청임업시험장(山林廳林業試驗場) 등의 간행물(刊行物)에 수록(收錄)되어 있고 그 다음으로 전후(戰後)에 간행(刊行)되고 있는 한국식물보호학회지(韓國植物保護學會誌)에 상당히 많이 수록(收錄)되어 있으며 이 밖에 국내외(國內外)의 농림관계학술지(農林關係學術誌)나 대학논문집(大學論文集)에도 소수(少數)이기는 하나 수록(收錄)되어 있다. 우리나라 식물보호연구기관(植物保護硏究機關)으로는 농림업관계연구전담기관(農林業關係硏究專擔機關)(농촌진흥청(農村振興廳), 산림청(山林廳), 각도농촌진흥원(各道農村振興院) 등)과 대학(大學)으로 크게 나눌 수 있는데 그 동안의 연구건수(硏究件數)에서 보면 전자(前者)의 기여도(寄與度)는 약(約)80%이고 대학(大學)의 기여도(寄與度)는 약(約)20%로서 대학(大學)의 기여도(寄與度)가 훨씬 낮다. 우리나라 식물보호연구(植物保護硏究)를 시대별(時代別)로 보면 1900년대초기(年代初期)부터 1940년(年)까지 약(約) 40년간(年間)의 현대식물보호학(現代植物保護學)의 도입(導入), 정초기(定礎期)에 이어 1941년(年)부터 1960년(年)까지 약(約)20년간(年間)의 수난기(受難期)를 거쳐 1962년이후(年以後)의 발전기(發展期)에 들어서 있다. 오랜 수난기(受難期)를 거쳤지만 전후(戰後)의 연구(硏究)는 전전(戰前)의 약(約) 2배(倍)나 되며 분야별(分野別)로는 식물병(植物病)에 관한 것 약(約)2.5배(倍), 해충(害蟲)에 관한 것 약(約)1.2배(倍), 잡초(雜草)에 관한 것 약(約)43.8배(倍), 농약(農藥)에 관한 것 약(約)1.5배(倍)로 늘어나 있다. 우리나라 식물보호연구(植物保護硏究)를 작물별(作物別)로 보면 수도(水稻)에 관한 것이 약(約)37%로서 가장 많고 그 다음이 과수(果樹)(13.8%), 특용작물(特用作物)(7.9%), 채소(菜蔬)(6.2%), 수목(樹木)(6%) 기타작물(其他作物)의 순(順)으로 줄어들고 있다. 시대별(時代別)로 볼 때 1930년경(年傾)까지는 과수(果樹)나 특용작물(特用作物)의 보호연구(保護硏究)가 수도(水稻)의 그것보다 많은 과수(果樹) 및 특용작물보호연구시대(特用作物保護硏究時代)라고 할 수 있고 그 후 현재(現在)까지는 수도(水稻)의 보호연구(保護硏究)가 과수(果樹)나 특용작물(特用作物)의 그것보다 훨씬 많은 전전(戰前) 및 전후(戰後) 수도보호시대(水稻保護時代)라고 할 수 있다. 우리나라 식물보호연구(植物保護硏究)를 내용별(內容別)로 살펴보면 전전(戰前)에는 기초연구(基礎硏究)가 방제연구(防除硏究)보다 많았으나 전후(戰後)에는 이와 반대(反對)로 방제연구(防除硏究)가 기초연구(基礎硏究)보다 훨씬 많으며 방제연구(防除硏究)중에서도 약제방제(藥劑防除)에 관한 것이 식물병(植物病) 81%, 해충(害蟲) 77%, 잡초(雜草) 89%로서 특히 전후(戰後) 식물보호연구(植物保護硏究)의 주축

      • KCI등재후보

        여성농업인의 농외소득활동 참여 결정요인 분석

        안수영(Soo Young Ahn),권용대(Yong Dae Kwon) 충남대학교 농업과학연구소 2015 농업과학연구 Vol.42 No.3

        This study aims at analyzing determinants of non-farming income activities of female farmers, and presenting how to support their participation in non-farming activities. The result of logistic regressive analysis whose subjects are female farmers in the Chungnam area indicates that human and economic capital variables that can predict non-farming income activity participation statistically significantly are persons at the age of 40s to 50s and female farmers who returned to the rural areas. Farming characteristic variables are households that receive subsidiary and participate in two different types of farming whose main farming is rice. The female farmers who spend longer hours doing household chores participate in non-farming income activities more actively. In terms of policy and on-site response variables, the interest in farming and farming businesses shows positive relation, and that of farming and community organization participation presents negative relation. These analysis results indicate that the local government must present the policy that can select non-farming income activity participation groups strategically. This study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expand community centered-non-farming income activities, and to expand or make laws to support female farmer"s participation in non-farming activities.

      • KCI등재

        개량(改良)된 방법(方法)에 의한 면(緬), 산양(山羊)의 식도루관형성술(食道瘻管形成術)

        김명철,김교준,이인덕,Kim, Myung Cheol,Kim, Kyo Joon,Lee, In Duk 충남대학교 농업과학연구소 1987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Science Vol.14 No.1

        충남대학교(忠南大學校) 농과대학(慶科大學) 부속동물사육장(附屬動物飼育場)에서 사육중인 한국재래산양(韓國在來山羊) 및 면양(緬羊) 각(各) 3 두(頭)에 대하여 방목중(放牧中)에 있어서 forage material의 섭식상(攝食狀)을 연구할 목적(目的)으로 고안(考案)한 방법에 의하여 식도루관형성술(食道瘻管形成術)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이 보고(報告)한다. 1. 고안(考案)된 식도루관형성술의 시술(施術)이 용이(容易)하였으며 섭식상(攝食狀)의 연구에 적합(適合)하였다. 2. 본(本) 법(法)에 의한 식도루관은 장착(裝着)이 확실(確實)하여 장기간(長期間)(1년이상(年以上))에 걸쳐 공시(供試)할 수 있었다. Three sheep and 3 Korean native goats, raised in animal farm in Agricultural College of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were esophageally fistulated for herbivore dietary composition studies.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Esophageal fistulation with improved method was relatively convenient in surgical operation and it was also suitable for the study of forage material in sheep and goats. 2. Excellent animal health was maintained over one year during which animals were utilized periodically in diet studies.

      • KCI등재

        액상정액을 이용한 인공수정시 품종, 계절, 인공수정 횟수 및 정자농도가 번식성적에 미치는 영향

        김인철,박창식,이규승,서길웅,한성욱 충남대학교 농업과학연구소 2001 농업과학연구 Vol.28 No.2

        돼지에서 액상정액을 이용한 인공수정이 번식성적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축산기술연구소 종축개량부 (충남, 성환) 돼지 인공수정센터에서 사육중인 인공수정용 종모돈을 이용하여 1995년부터 2000년까지 액상정액을 이용한 인공수정시 종모돈의 품종, 인공수정횟수, 계절 및 정자농도가 번식성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돼지 인공수정시 번식성적 향상과 실용화에 기여하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액상정액 인공수정시 정액을 생산한 종모돈의 품종 (Landrace, Yorkshire, Duroc)간 번식성적은 유의차가 인정되지 않았다. 발정당 2회 또는 3회 인공수정 시에도 번식성적에 차이가 없었다. 인공수정을 실시한 계절별로 번식성적을 조사하였으나 계절간 차이점은 발견할 수 없었다. 액상정액 인공수정시 1회 주입정자의 최저농도를 구명코자 활력 70% 이상인 정자수를 기준으로 80 ml 병당 정자농도를 3.0, 2.5, 2.0 및 1.5×10^(9)로 조절하여 인공수정한 결과 수태율, 분만율, 총산자수 및 생존산자수에서 통계적인 유의차가 인정되지 않아 1회 주입정자농도는 운동성 정자 기준으로 1.5×10^(9)/80 ml 이상으로 조절하면 인공수정에 실용적으로 사용 할 수 있음을 보였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liquid boar semen on reproductive performance in swine artificial insemination Many factors, which were breeds, time of insemination, breeding season, sperm per dose etc. have been tried to improve reproductive efficiency. Boars were raised at Swine Artificial Insemination Center in National Livestock Research Institute. Sunghwan, Chungnam, Korea.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from 1995 to 2000.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fertility results compared with 3 breeds (Landrace, Yorkshire and Duroc), frequencies of artificial insemination (double and triple) per estrus cycle and different seasons by using liquid boar semen.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nception rate, farrowing rate and litter size using 4 trials of 3.0, 2.5, 20 and 1.5×10^(9)/80㎖ in liquid boar semen with 70% of motile sperm cells. We confirmed that the sperm number per dose of 1.5×10^(9)/80㎖ could be used for commercial artificial insemination.

      • 제초제 처리에 의한 보리의 작물학적 특성

        홍범용,최윤표,차희정,주정일,이희봉 충남대학교 농업과학연구소 2008 농업과학연구 Vol.35 No.2

        총체용 "유연" 보리 품종에 대한 토양처리용제초제인 Alachlor와 Butachlor를 처리하여 이들 각각에 대한 잡초방제 효과와 보리 종실 및 건물수량의 증감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고자 2007년 10월 10일 충남대학교 전작 포장에 휴립세조파로 파종하였고, 파종 2일 후에 이들 약제를 처리하고 이듬해에 분얼기와 출수기등 2회에 걸쳐 잡초초중수와 개체수 및 수량 관련 형질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잡초 발생 경감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1차 조사인 처리 25주 후인 3월 30일 조사에서는 Butachlor 처리구에서 점나도나물이 개체수 8.7점, 생체중 4.0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Alachlor 처리구에서는 냉이가 5.3개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반면에 둑새풀은 처리된 2종의 약제 모두 발생하지 않았으나 무처리구의 경우에는 둑새풀 39개로 높았다. 2 보리 출수기에는 Butachlor의 경우 냉이와 점나도나물의 개체수가 각각 1.7과 2.3개로 두종의 약제에서 비슷하게 발생 하였으나, Alachlor의 경우에는 오히려 점나도나물보다 냉이의 출현개체가 높았다. 반면에 둑새풀은 1차 조사와 같이 발생하지 않았다. 무처리구 역시 1차 조사와 같이 모든 초종에서 매우 높게 발생하였다. 3. 보리 생육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제초제 처리 25주와 30주 후인 2차에 걸쳐 Alachlor 처리구에서 살펴본 결과 초장, 분얼수, 생체중, 건물중, 근장등이 무처리구에 비해 높게 나타 났는데 특히 분얼기에서는 생체중 및 건물중의 증가효과가 컸으며, 등숙기에서는 무처리보다 간장 9.2cm, 분얼수 1.8개. 생체중 15.6g, 건물중 3.0g 높게 나타났다. 4. 단위면적당 종실수량 및 지상부 간엽중에 대해 약제 처리효과를 살펴보면 간엽중은 처리간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종실수량은 Alachlor에서 가장 높았고 이어서 Butachlor, 무처리 순이었다. 5. 이상의 결과를 요약하면 맥류 파종시 잡초 경감효과 및 수량증수를 위해서는 제초제 사용이 반드시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제초제간 효과는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find the botanical characters and effect of weed control for herbicides treatment after barley sowing. Barley variety used in study was “Yuyeon”, hood-type awn for whole crop forage use, which developed at RDA in 2004. Sowing date was on 10th October, 2007, and was drilled as 60 × 20cm. Herbicides were treated on 2th day after barley sowing. Measured items were number and kinds of weeds at each treatment and growth characteristics and grain yield in barley. Cerastium holosteoides var. hallaisanense among weeds surveyed at tillering stages in Butachlor treatment were highly appeared, but Alopecurus aequalis var. amurensis did not appeared while Alopecurus aequalis var. amurensis was 39 plants and Capeslla bursa-pastoris was 37 plants in check. Occurrence of the Capeslla bursa-pastoris at primary survey and Cerastium holosteoides var. hallaisanense in ripening stage were high, while Alopecurus aequalis var. amurensis did not emerged. Botanical characteristics of barley each as plant height, number of tillers and spiklets per plant. surveyed at ripening stage were higher than check. Grain yield per 10a was the highest at Alachlor among treatments, while dry matter of leaf and culm were similar among treatments. Therefore, effect of yield increasing of barley by herbicide after sowing was reconfirmed through this study. Especially, effect of Alachlor was lightly high compared with others.

      • KCI등재

        충남지방(忠南地方)의 전작물(田作物) 작부체계확립(作付體系確立)에 관(關)한 연구(硏究)

        최창렬,김달웅,이재창,김영래,Choi, Chang Yeol,Kim, Dal Ung,Lee, Jae Chang,Kim, Young Rae 충남대학교 농업과학연구소 1976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Science Vol.3 No.1

        본(本) 시험(試驗)은 1975년도(年度) 충남대학교(忠南大學校) 농과대학(農科大學)의 시험전(試驗田)에서 경지이용율(耕地利用率)을 높이기 위한 작부체계(作付體系)를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우선 콩 단작(單作), 옥수수 단작(單作)과 몇가지 수준(水準)의 콩+감자 및 콩+옥수수 상호작시험(交互作試驗)을 실시(實施)하였는데 당년(當年) 8월이후(月以後) 10월(月)까지 계속(繼續)된 많은 강우(降雨)로 인(因)하여 콩+감자 혼작구(混作區)의 감자와 열무 시험(試驗)은 실패(失敗)하였다. 따라서 기타(其他) 처리구(處理區)에 대(對)한 시험결과(試驗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콩 단작구(單作區)에 비(比)하여 옥수수 상호작구(交互作區)의 콩은 개화기(開花期)가 2~3일간(日間) 지연(遲延)되었으며 성숙기(成熟期)도 2일간(日間) 지연(遲延)되었으나 옥수수는 개화기(開花期), 성숙기(成熟期) 등의 처리간(處理間) 차이(差異)를 인정(認定)할 수 없었다. 2. 콩의 간장(稈長)은 콩 단작구(單作區)가 콩+옥수수 혼작구(混作區)에 비(比)하여 더 길었으며 이들 Group간(間)에는 고도(高度)의 유의차(有意差)가 있었다. 3. 주당협수(株當莢數)는 Group간(間)에 유의차(有意差)가 인정(認定)되지 않았다. 4. 절간장(節間長) 및 절수(節數)는 Group간(間)에 유의차(有惠差)가 인정(認定)되었는데 이들 모두 옥수수+콩의 혼작구(混作區)가 콩의 혼작구(混作區)가 콩 단작구(單作區)에 비(比)하여 더 큰 결과(結果)를 보였다. 지아수에서는 이와는 반대(反對)의 현상(現象)이 나타났다. 5. 간중(稈重)은 이들 Group간(間)에 유의차(有意差)가 인정(認定)되지 않았다. 6. 10a당(當) 수량(收量)은 Group간(間)에 유의차(有意差)가 있었으며 콩 단작구(單作區)가 콩+옥수수 혼작구(混作區)에 비(比)하여 무거웠다. 7. 주당입중(株當粒重)에서는 Group들 간에 유의차(有意差)가 인정(認定)되었는데 콩 단작구(單作區)가 콩+옥수수 혼작구(混作區)에 비(比)하여 더 가벼웠고 혼작구(混作區)에서는 혼작방식(混作方式)에 따라서 유의차(有意差)가 인정(認定)되었다. 8. 옥수수에 있어서 단작구(單作區)와 옥수수+콩의 혼작구(混作區)의 비교(比較)는 초장(草長), 10a당(當) 자수본수(雌穗本數), 자수일본당평균중(雌穗一本當平均重), 자수일본당입중(雌穗一本當粒重), 자수장(雌穗長), 자수(雌穗)둘레, 주당자수수(株當雌穗數)에 있어서는 Group간 또는 Group내(內)에서 유의차(有意差)가 인정(認定)되지 않았고 단지 10a당(當) 옥수수 수량(收量)에 있어서는 1%수준(水準)에서 Group간에 유의차(有意差)가 있었는데 옥수수 단작구(單作區)가 제일 많았고 콩+옥수수 혼작구(混作區)에 있어서는 혼작방식(混作方式)에 따라서 수량(收量)에 유의차(有意差)가 있었다. 9. 경제성분석(經濟性分析)에 있어서는 콩+옥수수의 혼작구(混作區)가 조수익(粗收益)이 많았으며 특히 7처리구(處理區)는 콩 단작구(單作區)에 비(比)하여 476%의 수익(收益)을 증가(增加)시켰다. 10. 예측(豫測)했던 바와 같이 콩의 각종형질(各種形質)은 작부체계(作付體系)에 따라서 옥수수에 비(比)하여 현저하게 영향(影響)을 받았다. 앞으로 농가소득증대(農家所得增大)를 위한 더욱 합리적(合理的)인 작부체계(作付體系)의 구명(究明)이 필요(必要)하다고 생각된다. As an accempt to increase thc efficiency of land use and the food production to achieve the national goal in the food self-sufficiency, nine cropping systems on the upper-land were examined in pure-stand and in mixtures of soybean, corn, potato and radish. The important conclusion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flowering date of soybean was two or three days earlier in pure-stand than in the mixture with corn. The maturing date two days earlier in the pure-stand than in the mixture with corn. The flowering and maturing dates were not different among various cropping systems in corn. 2. The stem length of soybea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various cropping systems. Soybean in pure-stand was shorter in stem length than with corn. 3. The number of pods per soybean plant did not give an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various cultivation methods. 4. The length of internode and the number of nodes per soybean plant in the mixture with corn were greater than in the pure-stand. In the number of branches per plant this was reversed. 5. The average stem dry weight of soybean per 10a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various cultivation methods. 6. The soybean yield per 10a in the pure-stand was obviously greater than the mixture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cultivation method within the mixture with corn in soybean yield. 7. The 1,000-grain weight of soybea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nd those in the pure-stand was heavier than those in the mixture with corn. 8. Grain weight per soybean plant and the stem diameter in the pure-stand were significantly lesser than those in the mixture with corn. 9. In the comparisons of corn in the pure-stand and in the mixture with soybean, plant height, number of ear per 10a, mean ear weight and remember of grain per plant, 100-grain weight, ear length, ear girth and number of ear pel plant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various cultivation methods except for the grain yield per 10a. 10. In the economic analysis, the mixture with soybean and corn gave the greatest gross income. The combination 7 was the best which was 47.6% increase income comparing with the soybean pure-stand. 11. As it can be assumed, soybean plant was influenced greatly than corn by various cropping system. It is necessary to study more complex cropping system finding and giving more desirable multiple cropping system for the farm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